KR20210143108A -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108A
KR20210143108A KR1020210056815A KR20210056815A KR20210143108A KR 20210143108 A KR20210143108 A KR 20210143108A KR 1020210056815 A KR1020210056815 A KR 1020210056815A KR 20210056815 A KR20210056815 A KR 20210056815A KR 20210143108 A KR20210143108 A KR 2021014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unit
remote server
emergency
fro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474B1 (ko
Inventor
민득기
Original Assignee
민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득기 filed Critical 민득기
Publication of KR2021014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02J9/06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for light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면등(130), 2차 전지(140), 통신부(150), 정전 감지부(170), 연기 감지부(180), 열 감지부(19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로서, 중앙 교류 전원(10)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원 입력부(120), 전원 입력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좌측 전면등 및 우측 전면등을 포함하는 전면등(130), 중앙 교류 전원(10)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140).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 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부(150),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제공되는 중앙 교류 전원(10)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 감지부(170), 연기를 감지하여 SMOKE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감지부(180), 열을 감지하여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 감지부(190) 및 원격 서버(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면, 제어부가 설치된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의 터널 내 위치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SELF-DIAGNOSE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GUIDANCE DEVICE}
본 개시는 비상 유도 장치의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유도 장치를 관리자가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점검 및 관리가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상 유도등은 정전이나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일반 조명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점등되는 전등으로서, 소방법 내지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등의 규정에 따라 소방 대상물에 설치되어야 한다. 소방 대상물에는 예컨대 거실, 피난구 복도 계단, 통로 등이 있다.
비상용 유도등은 통상적으로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내부 광원에 의해 조명되는 녹색의 안내판이 설치된다. 광원은 평상시에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작동하고, 화재 또는 재해 등의 비상시 정전이 발생하면 내장된 배터리의 직류 전원에 의해 작동한다. 배터리는 평상 시에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비상 유도등은 소방법규에 따라 일정 조도량 이상으로 1시간 연속적인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방화관리자가 비상 유도등을 직접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컨대, 방화관리자가 비상 유도등이 설치된 곳을 일일이 찾아가서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든지, 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인위적인 점검을 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존재했다. 그로 인해, 방화관리자가 없는 곳에서는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관리가 소홀이 이루어져 비상시에 비상 유도등이 점등되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원격으로 비상 유도 장치의 점검 관리가 가능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로의 정상 전원 공급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정상 점등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2차 전지의 정상 충전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연기 감지부의 연기 감지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열 감지부의 열 감지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면등(130), 2차 전지(140), 통신부(150), 정전 감지부(170), 연기 감지부(180), 열 감지부(19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로서, 중앙 교류 전원(10)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원 입력부(120), 전원 입력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좌측 전면등 및 우측 전면등을 포함하는 전면등(130), 중앙 교류 전원(10)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140).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 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부(150),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제공되는 중앙 교류 전원(10)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 감지부(170), 연기를 감지하여 SMOKE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감지부(180), 열을 감지하여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 감지부(190) 및 원격 서버(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60)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면, 제어부가 설치된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의 터널 내 위치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좌측 전면등 또는 우측 전면등을 택일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60)는 원격 서버(500)로부터 입력 받은 LAMP OFF RELAY 제어신호 및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며,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부(160)로 입력되고,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는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며,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비상 유도 장치의 점검 관리가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로의 정상 전원 공급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정상 점등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2차 전지의 정상 충전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연기 감지부의 연기 감지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자가진단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의 열 감지부의 열 감지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 가능하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3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원격제어 시스템의 비상 유도 장치(100) 및 원격 서버(500)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의 구현 환경(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술하기에 앞서, 도면의 정면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정면" 또는 "전면", 측면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측부" 또는 "측면", 그 왼쪽은 "좌측" 또는 그 오른쪽은 "우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허용오차가 존재할 때 허용오차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쉬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 "의 용어는 마쿠쉬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전면"은 터널의 벽면의 반대측으로 노출된 면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또는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용어는 유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기기를 통해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의미는 임의의 전자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 내에 저장된 임의의 콘텐츠 및/또는 이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0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전면"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는 중앙 교류 전원(10)을 입력 받는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2차 전지(140), 통신부(150), 제어부(160), 정전 감지부(170), 연기 감지부(180), 열 감지부(19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 유도 장치(100)는 터널용 장치에 해당한다. 비상 유도 장치(100)는 화재 발생 또는 재해 발생으로 인한 정전 시에 전면등(130)을 동작(예컨대, 자동 점멸)시켜, 비상 시에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한 시각 효과를 줄 수 있다.
중앙 교류 전원(10)은 시간에 따라 그 크기와 극성(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전류에 해당할 수 있다. 중앙 교류 전원(10)은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100)에 일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20)는 중앙 교류 전원(10)의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20)는 비상 유도 장치(100)의 동작 전압에 맞게 중앙 교류 전원(10)의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20)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전원은 전면등(130), 2차 전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 비상 유도 장치(100)의 부품(130, 140, 150, 160 및 170)에 제공될 수 있다. 중앙 교류 전원(10)은 비상 유도 장치(100)로 상시 제공되는 전원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중앙 교류 전원(10)은 전압이 변환되기 전 후의 전원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전면등(130)은 전원 입력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전면등(130)은 내부 광원, 및 내부 광원에서 발광하는 빛이 투과 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등(130)은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커버가 전면등의 앞면의 좌우에 설치되고, 각 커버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의 패턴 및 이미지가 좌우의 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등(130)에는 중앙 교류 전원(10)이 인가될 수 있다. 전면등(130)은 제어부(160)에 의해 점멸이 동작될 수 있다. 전면등(130)에 포함된 광원은 LED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전면등은 좌측 전면등과 우측 전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전면등은 전면등 전체를 반으로 나누었을 때 좌측 커버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 전면등은 우측 커버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전면등 및 우측 전면등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터널 안에 있는 사람에게 안내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전면등은 좌측 커버에 대해 빛을 방사할 수 있고, 우측 전면등은 우측 커버에 대해 빛을 방사할 수 있다.
2차 전지(140)는 중앙 교류 전원(1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2차 전지(140)는, 비상시 예컨대 중앙 교류 전원(10)이 비상 유도 장치(100)에 공급되지 않을 때, 비상 유도 장치(100)의 부품(130, 140, 150, 160 및 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2차 전지(140)는, 비상시 예컨대 중앙 교류 전원(10)이 비상 유도 장치(100)에 공급되지 않을 때, 전면등(13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선(2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선(20)과 연결된 네트워크(400, 도 4에 도시)를 통해 비상 유도 장치(100)가 네트워크 상에서 원격 서버(500, 도 4에 도시)와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한 제어 신호를 네트워크 상으로 출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네트워크 상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전면등(130)의 동작, 예컨대 점멸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원격 서버(500)와 주고 받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전면등(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중앙 교류 전원(10) 및/또는 2차 전지(140)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상시 중앙 교류 전원(10)에 의해 작동하는 상시 제어부와 비상시 2차 전지(140)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시 제어부로 나뉠 수 있다. 상시 제어부와 비상시 제어부는 물리적으로 통합된 1 개의 제어부에 해당할 수 있고,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2 개의 제어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원격 서버(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면, 제어부가 설치된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의 터널 내 위치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전 감지부(170)는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제공되는 중앙 교류 전원(10)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전 판별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정전 판별 신호에 따라, 전면등(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연기 감지부(180)는 비상 유도 장치(100) 내외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SMOKE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SMOKE DETECT 제어신호를 입력 밭고, 제어신호에 따라, 전면등(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열 감지부(190)는 비상 유도 장치(100) 내외에서 열을 감지하여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입력 밭고, 제어신호에 따라, 전면등(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50) 및 통신선(20)을 통해 원격 서버(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비상 유도 장치(100)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출력하거나 입력받는 제어신호는 [표 1]과 같다.
비상 유도 장치(100)와 외부의 서버(예컨대, 원격 서버(500)) 간에 통신하는 [표 1]에 기재된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비상 유도 장치(100)를 원격에서 자가진단이 가능하다. 자가진단을 통해 관리자는 단말(600, 도 4에 도시)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복수 개의 비상 유도 장치(100)를 관리 및 점검할 수 있다.
비상 유도 장치의 입출력 제어신호
제어신호 입력/출력 세부 설명
AC IN OK 출력신호 'L'
LEFT LAMP OK 출력신호 'L'
LIGHT LAMP OK 출력신호 'L'
BATT CHARG 출력신호 충전중 - 'H,L' 반복 500ms duty만충전 - 'L'
BATT ERROR 출력신호 'H,L' 반복 500ms duty
BATT MODE (LAMP ON) 출력신호 'L'
RUN OUT (전원부) 출력신호 'H,L' 반복 500ms duty
LEFT LAMP OFF RELAY 입력신호 제어시에만 동작함
LIGHT LAMP OFF RELAY 입력신호 제어시에만 동작함
TEST BATT MODE RELAY 입력신호 제어시에만 동작함
SMOKE DETECT 입력신호 센서 검출 동작시에만 동작함
HEAT DETECT 입력신호 센서 검출 동작시에만 동작함
비상 유도 장치로부터의 출력 제어신호
AC IN OK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AC IN OK 제어신호를 통해, 중앙 교류 전원(10)이 정상적으로 전원 입력부(120)로 입력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AC IN OK 제어신호는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LAMP OK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LAMP OK 제어신호는 전면등(130)의 좌측 광원의 교류(AC) 전원 및 직류(DC) 전원에 의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LEFT LAMP OK 제어신호 및 전면등(130)의 우측 광원의 교류 전원 및 직류 전원에 의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RIGHT LAMP OK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LAMP OK 제어신호는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LAMP OK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중앙 교류 전원에 의해서 전면등이 정상 작동하는지 및 2차 전지에 의해 전면등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BATT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중앙 교류 전원(10)이 비상 유도 장치(100)에 공급되지 않을 때,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BATT 제어신호는, 2차 전지(140)의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BATT CHARG 제어신호, 2차 전지(140)의 코드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BATT ERROR 제어신호, 2차 전지(140)가 공급하는 직류(DC) 전원에 의해 전면등(130)이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BATT MODE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BATT CHARG 제어신호는 2차 전지(140)가 충전 중일 때, 500ms 주기로 번갈아 반복되는 동작 중지 제어신호(H) 및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된 상태(만충전)일 때,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BATT ERROR 제어신호는 500ms 주기로 번갈아 반복되는 동작 중지 제어신호(H)와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BATT MODE 제어신호는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RUN OUT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로,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UN OUT 제어신호는 500ms 주기로 번갈아 반복되는 동작 중지 제어신호(H)와 동작 활성 제어신호(L)에 해당할 수 있다.
비상 유도 장치로의 입력 제어신호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로,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전면등(130)의 좌측 광원의 교류(AC) 전원 및 직류(DC) 전원에 의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LEFT LAMP OFF RELAY 제어신호와, 전면등(130)의 우측 광원의 교류(AC) 전원 및 직류(DC) 전원에 의한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RIGHT LAMP OFF RELAY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LEFT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좌측 전면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IGHT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우측 전면등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비상 유도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에서 출력되어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는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로,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는 비상 유도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에서 출력되어 제어부(160)로 입력될 수 있다.
SMOKE DETECT(연기 감지) 제어신호는 센서 검출 동작 시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로, 연기 감지부(180)의 연기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HEAT DETECT(열 감지) 제어신호는 센서 검출 동작 시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로, 열 감지부(190)의 열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300)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400)에 연결된, 자가진단 원격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400)에 연결된, 자가진단 원격제어 시스템의 비상 유도 장치(100) 및 원격 서버(500)의 내부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상 유도 장치(100)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300)은,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1),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2),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3), 연기 감지부(180)의 연기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S304) 및 열 감지부(190)의 열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S305)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1)는,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제어부(160)로부터 AC IN OK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원격 서버(500)가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의 전원 입력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1)에서 출력된 AC IN OK 제어신호가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통신부(550)는 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510)의 전원 입력부 작동 확인 모듈(511)이 제어 신호를 통해 전원 입력부(12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2)는, 원격 서버(500)의 프로세서(510)의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2)로부터 LAMP OFF RELAY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LAMP OFF RELAY 제어신호가 네트워트 상에서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전달되고, 비상 유도 장치(100)의 통신부(1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2)은 LAMP OFF RELAY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전면등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LAMP OK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LAMP OK 제어신호는 통신부(150)를 거쳐 네트워트 상에서 원격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통신부(550)는 LAMP OK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2)은 LAMP OK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03)는, 원격 서버(500)의 프로세서(510)의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3)로부터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가 네트워트 상에서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전달되고, 비상 유도 장치(100)의 통신부(1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비상 유도 장치(100)의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3)은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2차 전지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 후, BATT CHARG, BATT ERROR, BATT MODE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부(150)를 거쳐 네트워트 상에서 원격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통신부(550)는 BATT CHARG, BATT ERROR, BATT MODE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3)은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기 감지부(180)의 연기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S304)는 비상 유도 장치(100)의 연기 감지부(180)가 센서 검출 동작 시 SMOKE DETECT(연기 감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원격 서버(500)가 연기 감지부(180)의 연기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의 연기 감지 확인 모듈(164)에서 출력된 SMOKE DETECT(연기 감지) 제어신호가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통신부(550)는 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510)의 연기 감지 확인 모듈(514)이 제어 신호를 통해 연기 감지부(180)의 연기 감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열 감지부(190)의 열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S305)는 비상 유도 장치(100)의 열 감지부(190)가 센서 검출 동작 시 HEAT DETECT(열 감지)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원격 서버(500)가 열 감지부(190)의 열 감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의 열 감지 확인 모듈(165)에서 출력된 HEAT DETECT(열 감지) 제어신호가 통신부(150)를 통해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500)의 통신부(550)는 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510)의 열 감지 확인 모듈(515)이 제어 신호를 통해 열 감지부(190)의 열 감지를 확인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비상 유도 장치(100) 및 원격 서버(500)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4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40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210)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1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400)에 연결된 비상 유도 장치(100)는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2차 전지(140), 통신부(150), 제어부(160), 정전 감지부(170), 연기 감지부(180), 열 감지부(19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400)에 연결된 원격 서버(500)는 프로세서(510), 메모리(520) 및 통신부(550)를 포함한다. 비상 유도 장치(100) 및 원격 서버(500)는 각각의 통신부(150, 5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정보 및/또는 제어신호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전원 입력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1),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2),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3), 연기 감지 확인 모듈(164) 및 열 감지 확인 모듈(165)을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1),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2),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163), 연기 감지 확인 모듈(164) 및 열 감지 확인 모듈(165)은 통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60)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및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연기 감지부(180) 및 열 감지부(190)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전원 입력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1),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2),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3), 연기 감지 확인 모듈(514) 및 열 감지 확인 모듈(515)을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1), 전면등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2), 2차 전지 정상 작동 확인 모듈(513), 연기 감지 확인 모듈(514) 및 열 감지 확인 모듈(515)은 통신부(550)를 통해 프로세서(510)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각각의 제어신호를 통해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및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연기 감지부(180) 및 열 감지부(190)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520) 또는 통신부(550)에 의해 프로세서(51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2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520)는 개별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5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600) 또는 원격 서버(5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6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52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600) 및 원격 서버(50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52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40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520)에 로딩될 수 있다.
통신부(55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 서버(500)와 비상 유도 장치(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550)는 네트워크(4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600)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60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 서버(500) 및 비상 유도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원격 서버(500)에 접속하여 개별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원 입력부, 전면등, 정전 감지부, 연기 감지부, 열 감지부 및 2차 전지의 정상 작동 여부와 관련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600)을 통해, 사용자는 개별 비상 유도 장치(10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는지, 전면등이 정상 작동하고 있는지, 2차 전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서버(500)와 비상 유도 장치(100) 간의 제어 신호 통신을 통한 자가진단의 주기를 미리 설정해 놓고(예컨대, 매일 24:00에 원격 진단을 수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0)을 통해 원격 서버(500)에 접속하여 자가진단 결과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600)을 통해 비상 유도 장치(100)의 자가진단을 실시하도록 원격 서버(500)에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휴대폰 단말, 태블릿 단말 및 PC 단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60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600)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400)를 원격 서버(50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유도 장치(100)의 구현 환경(7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에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2000, 3000)는 도 1 및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비상 유도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는 각각의 비상 유도 장치로 수신 또는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 입력부(120), 전면등(130) 및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연기 감지부(180) 및 열 감지부(190)의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터널 벽면에 설치된 복수의 비상 유도 장치는 동일한 방식으로 터널 안에 있는 사람에게 탈출 방향을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발생시, 비상 유도 장치(100)는 전면등을 이용하여 터널 내에 발생한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연기 감지부(180)로부터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또는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입력 받으면, 제어부(160)는 제1 비상 유도 장치(100)의 터널 내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제1 비상 유도 장치(100)의 ID를 원격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서버(500)는 터널 내의 제1 비상 유도 장치(100)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 비상 유도 장치(100) 주변의 비상 유도 장치(2000, 3000)의 좌측 전면등 또는 우측 전면등을 택일적으로 점등할 수 있다. 제1 비상 유도 장치(100) 주변의 비상 유도 장치(2000, 3000)의 좌측 전면등 또는 우측 전면등을 택일적으로 점등함으로써, 터널 내의 사람에게 대피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술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 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비상 유도 장치
110: 중앙 교류 전원
120: 전원 입력부
130: 전면등
140: 2차 전지
150: 통신부
160: 제어부
170: 정전 감지부
180: 연기 감지부
190: 열 감지부
400: 네트워크
500: 원격 서버
510: 프로세서
520: 메모리
550: 통신부
600: 사용자 단말

Claims (3)

  1.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로서,
    중앙 교류 전원(10)의 전압을 변환하는 전원 입력부(120);
    상기 전원 입력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비상 유도 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좌측 전면등 및 우측 전면등을 포함하는 전면등(130);
    상기 중앙 교류 전원(10)에 의해 충전되는 2차 전지(140);
    네트워크(400)를 통해 원격 서버(500)와 통신하는 통신부(150);
    상기 비상 유도 장치(100)로 제공되는 중앙 교류 전원(10)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 감지부(170);
    터널 내 연기를 감지하여 SMOKE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감지부(180);
    터널 내 열을 감지하여 HEAT DETECT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 감지부(190); 및
    원격 서버(5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원격 서버(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면, 상기 제어부가 설치된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의 터널 내 위치 정보를 원격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SMOKE DETECT 제어신호 및 HEAT DETECT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좌측 전면등 또는 우측 전면등을 택일적으로 점등하도록 구성되는,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원격 서버(500)로부터 입력 받은 LAMP OFF RELAY 제어신호 및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LAMP OFF RELAY 제어신호는, 상기 전면등(13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며,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로부터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고,
    상기 TEST BATT MODE RELAY 제어신호는 상기 2차 전지(1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며, 제어가 필요한 타이밍에만 원격 서버(500)로부터 상기 제어부(160)로 입력되는,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100).
KR1020210056815A 2020-05-19 2021-04-30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428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658 2020-05-19
KR20200059658 202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108A true KR20210143108A (ko) 2021-11-26
KR102428474B1 KR102428474B1 (ko) 2022-08-02

Family

ID=7870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815A KR102428474B1 (ko) 2020-05-19 2021-04-30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668A (ko) * 2022-08-02 2022-10-18 민득기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499A (ja) * 1988-07-27 1990-02-06 T K Hiroshima:Kk 車両誘導に使用する信号装置
KR20040098152A (ko) * 2003-05-13 2004-11-20 (주)해도옵틱스 비상대피유도장치
KR20060028303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비상조명등의 자동 자기진단 장치
KR20110045893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6499A (ja) * 1988-07-27 1990-02-06 T K Hiroshima:Kk 車両誘導に使用する信号装置
KR20040098152A (ko) * 2003-05-13 2004-11-20 (주)해도옵틱스 비상대피유도장치
KR20060028303A (ko) * 2004-09-24 2006-03-29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비상조명등의 자동 자기진단 장치
KR20110045893A (ko) * 2009-10-28 2011-05-04 한국 전기안전공사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668A (ko) * 2022-08-02 2022-10-18 민득기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474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4353B1 (en) Wireless control 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emergency luminaire
CA3013034C (en) Fail-safe lighting control system
US10916110B2 (en) Emergency lighting, evacuation, and rescue routing with power over-ethernet
CN102170742A (zh) 照明控制装置
KR102428474B1 (ko) 비상 유도 장치를 위한 자가진단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2171663A (zh) 机器人状态提示系统、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200096953A1 (en) Automatic Compensation For An Electrical Device In An Electrical System
KR101173633B1 (ko) 조명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20200103198A (ko) 무선메쉬와 AI를 이용한 휴대가능한 지능형 화재예측 IoT센서 키트
US10306713B2 (en) Reserve power and control for light sources in a light fixture
Imteaj et al. IoT based energy and gas economic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Raspberry Pi 3
KR102540385B1 (ko) 터널용 비상 유도 장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2469185B (zh) 一种照明控制装置
CN206533591U (zh) 智能型紧急照明灯
JP2005182661A (ja) 非常用照明点検システム
JP6941254B2 (ja) ライトデバイス及び照明システム
JP2006014513A (ja) 防災照明点検システム
KR102465619B1 (ko) 디지털 마커를 이용한 판넬 내부 공간 별 화재예측 시스템
US11783683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462214B2 (ja) 照明システム、収集端末、照明器具、及びプログラム
JP200725219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WO2023157645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973033B1 (en) Smart emergency light
JP201003385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WO2023144088A1 (en) Commissioning device using a short-range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