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726A - 전원 자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원 자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726A
KR20060092726A KR1020050013818A KR20050013818A KR20060092726A KR 20060092726 A KR20060092726 A KR 20060092726A KR 1020050013818 A KR1020050013818 A KR 1020050013818A KR 20050013818 A KR20050013818 A KR 20050013818A KR 20060092726 A KR20060092726 A KR 20060092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sensor
power
specific target
targ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829B1 (ko
Inventor
김효구
Original Assignee
김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구 filed Critical 김효구
Priority to KR102005001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8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의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되는 제 1 동체감지센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한 동체를 감지하는 제 2 동체감지센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 제 2 동체감지센서 및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동체감지센서, 센서, 전기장치, 화장실, 조명등, 전원 자동 스위치

Description

전원 자동 스위치{Automatic on/off switch for saving electric p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시스템블록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0 : 제어수단 200 : 동체감지센서유닛
210 : 제1동체감지센서 220 : 제2동체감지센서
300 : 수동스위치 400 : 전기장치
본 발명은, 전기 절전을 위한 자동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베란다 등 특정대상공간 내, 외에 구비된 전기장치의 on/off에 있어 사용자의 위치변위패턴에 따라 전기장치의 on/off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사용자가 상기 특정 대상공간의 출입에 있어 스위치조작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자동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대상공간을 조명하는 조명등과 같이 전기장치 전원의 on/off를 이루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가 요구됨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통상의 스위치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만 전기장치의 on/off를 이룰 수 있었던 바, 그 사용에 있어 매번 스위치 조작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랐다. 또한, 사람의 출입이 없는 경우에서도 스위치가 온(on)되어 있으면 전기 장치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었으며, 대개의 경우 상기한 스위치는 화장실 등의 특정대상공간 외부 입구측에 구비되므로 상기한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함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없어 외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오프(off)작용 등에 의해 내부 사용자의 불안감을 가중시켰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는, 타이머회로가 구비되어 동체감지로부터 소정시간후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주로 복도, 계단참, 엘리베이터 승강장 등의 개방형 통로에 한정적으로 채택될 수밖에 없고, 화장실 등과 같이 독립적으로 밀폐된 특정대상공간에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앞서 언급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로부터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04-39441호, 특허출원 제2004-49555호, 특허출원 1제2004-75757호에서 "절전스위치"와"자동모드기능을 갖는 절전스위치 및 그 제어방 법", "자동스위치"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한 출원발명은 다양한 유형의 동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용 개폐감지센서로 구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송출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자동점등/자동소등을 이루는 자동모드기능, 수동점등/자동소등에 따른 반자동모드, 수동점등/수동소등에 따른 수동모드를 구현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 종래의 인체감지센서등으로부터 대두되었던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구성과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며, 상기 출원발명에는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함을 외부에 인지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 등이 구성되었던 바, 외부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어 앞서 언급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사용방법을 동시에 제공함에 따라 다변화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한편 상기의 자동전원스위치는 특정대상공간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 내에 진입하려다 진입하지 않는 경우의 오작동으로 인한 계속된 전원공급이 일부 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에 의하여 출원된 자동 전원 스위치와는 그 운용방법이 상이한 제어체계를 갖는 자동 전원 스위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는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출원된 자동 전원 스위치와 함께 다 양한 특정대상공간에 상호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은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대상공간 내에 진입하려다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도 오작동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의 특정대상공간 내 진출입에 따는 동체감지에 의하여 전기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과 차단을 이룰 수 있는 자동 전원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전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의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되는 제 1 동체감지센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한 동체를 감지하는 제 2 동체감지센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 제 2 동체감지센서 및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 1 동 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ii)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는 단계; iii)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의 기재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는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의 독립된 특정대상공간에 관련된 전등, 환풍기 등의 전기장치의 자동전원 공급 및 차단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 전원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제 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 2동체감지센서(220)로 구성된 동체감지센서유닛(200), 상기 동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특정대상공간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제어수단(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100)과 동체감지센서유닛(200)의 전기적인 연결은 유선과 무선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20)는 어떤 센서이건 동체를 감지하는 센서이면 가능하나, 특히 동체의 움직임을 감지 할 수 있는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근접센서, 송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광센서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에 있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는 센서에 동체가 감지되면 특정대상공간에 구비된 전기장치에 전원을 소정시간동안 공급하거나,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제 2 동체감지센서는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동체가 감지됨에 따라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공급된 상태에서 동체가 상기 제 2 동체감지센서에 감지되면 전기장치에 전원공급을 계속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제 2 동체감지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전기장치에 전원 공급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동체움직임이 감지되면 유지되던 전원은 차단되게 된다.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전기장치에 전기가 공급되는 소정시간의 설정은 특정대상공간의 넓이 및 환경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1 내지 10초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에 진입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에 감지되고 소정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그 역할을 전환시키는 시점은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 시점,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또는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고 일정 시간 후 시점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 내에서 외부로 진출할 때에 제 1 동체감지센서에 감지됨에 따라 전원 차단되면서 전원 공급센서로 그 역할이 전환시키는 시점은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이거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 후 시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는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 또는 상기 입구와 인접된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220)는 특정대상공간의 내측에 제1동체감지센서와 일정거리를 두어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인접부위, 내부 천장면, 벽면 등의 어느 위치이건 배치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와 제2동체감지센서(220)의 상호 동체 유효감지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록 동체 유효감지범위가 겹친다 하더라도 제1 동체감지센서와 제2동체감지센서의 역할이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의 구현에는 문제가 없다.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20)를 상기한 위치에 배치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 지향각이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입구측을 출입하는 동체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문틀로부터 5도 전후로써 설정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동체감지센서(220)는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지향각이 상호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되되, 그 감지지향각은 상기 특정대상공간의 면적과 구조를 고려하여 제조자가 조절 생산 가능하나, 대개의 경우 90도 전후의 각으로 설정되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의 대부분을 감지유효거리로 하되, 상기 제1동체감지센서(210)의 감지지향각과 중복됨이 없도록 설정하여 동체감지에 따른 에러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감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특정대상공간의 특성 또는 구비되는 동체감지센서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센서의 위치 등을 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각 센서의 특징에 따른 센서의 위치의 구체적 구현예의 기술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에서 동체감지가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의 센서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연속적인 동체감지센서가 이루어져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계속적인 감지로 인한 전원공급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는 오작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제어수단은 제1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일정시간동안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동체가 특정대상공간에 진입함에 따른 감지신호 수신 후(소정시간 동안 전원공급 단계) 와 특정대상공간 진출에 따른 감지신호 수신 후(전원차단 단계)가 이에 해당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는 특정대상공간의 넓이 또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0.1 내지 5초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는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공급 여부에 상응하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특정 대상공간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디케이터에는 특정대상공간 진출입자가 상기 전기장치에의 전원 공급 여부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전원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동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수동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에 의하여 전원이 소정시 간 전원이 공급되는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특정대상공간 진입 시 제 1 동체감지센서의 중복감지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작용이 중복되어 일어나도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한 동체감지 시에만 소정시간이 지나도 전원공급이 유지되므로 중복감지에 의한 오작동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하기의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방법을 포함한다.
i)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 1 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ii)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는 단계.
iii)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에서 동체감지가 이루어진 후 소정시간의 센서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으면 연속적인 동체감지센서가 이루어져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인접한 위치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오작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i) 단계 또는 iii) 단계에서 상기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감지된 후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일정시간 작동 정지시키는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방법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에 진입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에 감지되고 소정정시간 동안 전원이 공급되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그 역할을 전환시키는 시점은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 시점,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또는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고 일정 시간 후 시점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iii) 단계에서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 내에서 외부로 진출할 때에 제 1 동체감지센서에 감지됨에 따라 전원 차단되면서 전원 공급센서로 그 역할을 전환시키는 시점은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이거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 후 시점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들 실시예로부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는 제1동체감지센서(210) 및 제2동체감지센서(220)로 이루어지는 동체감지센서유닛(200)과, 수동스위치(300) 및, 이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수단(10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 (100)은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장치(400)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수동스위치(300)가 구비된 스위치박스(미도시)의 내부 또는, 제1동체감지센서(210) 또는 제2동체감지센서(220)와 일체화 구성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에 회로 설계된 마이콤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수단(100)을 위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2를 살펴보면,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상기 입구와 인접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배치 구성된 제 1동체감지센서와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에의 진입함에 따라 제 1동체감지센서가 감지(S1)되고 소정시간(T1)동안 전기장치에 전원이 공급됨과 동시에 제 1동체감지센서는 전원 차단 센서로 그 역할이 전환되며, 이때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감지(S1)된 후 일정시간(T2) 동안 센서의 작동이 정지되어 동체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동체감지센서가 감지(S1) 후 전기장치에 전원이 공급이 이루어지는 소정시간(T1)동안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 내부 제 2 동체 감지센서의 감지 위치에 진입하면서 제2동체감지센서에 감지(S2)되면 전기장치에의 전원의 공급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제 2 동체감지센서의 지속적인 감지여부와는 상관없이 전원은 계속 유지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진출함에 따라 동체감지(S1) 후 전원 차단 센서로 그 역할이 전환된 제 1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감지(S3)됨에 따라 전원공급은 차단되며, 다시 제 1 동체감지센서는 전원 공급 센서로 그 역할이 전환되어 다시 특정대상공간으로 진입하는 동체를 감지(S1)하여 전원을 소정시간(T1) 동안 공급하는 단계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에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체감지(S2) 후에 일정시간(T3) 동안 제 1 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전원 스위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는 화장실 또는 베란다에 설치되는 전기조명장치, 환풍기, 문 자동개폐장치, 살균장치, 음향장치 및 방향제 살포기, 보안시스템, 냉온방시스템, 공조시스템 및, 가전제품의 작동제어시스템 등의 전원장치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장치에의 전원공급 및 차단 시점을 동체감지외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거나 일정시간 이후에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스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본 발명에서는 제 1 동체감지센서와 제 2 동체감지센서의 역할이 구분됨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대상공간 내에 진입하려다 진입하지 않는 경우 단지 제 1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소정시간동안만 전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었다 차단되게 되므로 제 1 동체감지센서의 오작동 등으로 인한 계속된 전원공급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되는 제 1 동체감지센서;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한 동체를 감지하는 제 2 동체감지센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 제 2 동체감지센서 및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며,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 공급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감지된 후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의 작동을 일정시간동안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는 시점이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 시점,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또는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고 일정 시간 후 시점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한 시점이며,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시점이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이거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 후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상공간의 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공급 여부에 상응하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기장치에의 전원 공급 여부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 원 스위치.
  6. i) 특정대상공간 입구측 또는 인접된 부위에 배치된 제 1 동체감지센서로부터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특정대상공간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에 소정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시키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ii)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에 특정대상공간 내부에 진입된 동체가 제 2 동체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에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는 단계;
    iii) 상기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전기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키면서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 또는 iii) 단계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상기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된 제 1 동체감지센서에 동체가 감지된 후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일정시간 작동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차단센서로 전환시키는 시점이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전원이 공급되는 소정시간 내 시점,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 또는 제 2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되고 일정 시간 후 시점으로부터 선택되는 시점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한 시점이며, 상기 제 1 동체감지센서를 전원 공급센서로 전환시키는 시점이 제 1 동체감지센서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시점이거나 동체감지시그널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 후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스위치의 제어방법.
KR1020050013818A 2005-02-18 2005-02-18 전원 자동 스위치 KR10070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18A KR100702829B1 (ko) 2005-02-18 2005-02-18 전원 자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818A KR100702829B1 (ko) 2005-02-18 2005-02-18 전원 자동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726A true KR20060092726A (ko) 2006-08-23
KR100702829B1 KR100702829B1 (ko) 2007-04-03

Family

ID=3759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818A KR100702829B1 (ko) 2005-02-18 2005-02-18 전원 자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66B1 (ko) * 2006-10-30 2008-08-14 김효구 자동차단장치
CN105813299A (zh) * 2014-12-31 2016-07-27 广州励丰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域功率供电的舞台、影视灯光供电控制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768B1 (ko) * 2008-07-03 2012-07-30 주식회사 세명전자 입실자 감지장치를 이용한 전등제어방법
KR101034042B1 (ko) * 2008-11-25 2011-05-11 이엔에스엠 주식회사 반자동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095A (ja) * 1990-10-31 1992-06-17 Inax Corp 室内器具の制御装置
KR960016640A (ko) * 1994-10-26 1996-05-22 배순훈 인체감지에 따른 실내등 점멸제어장치
JPH1126171A (ja) 1997-07-03 1999-01-29 Sanko Denki:Kk 自動照明装置
KR100494430B1 (ko) 2004-09-22 2005-06-10 주식회사 보탬 자동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66B1 (ko) * 2006-10-30 2008-08-14 김효구 자동차단장치
CN105813299A (zh) * 2014-12-31 2016-07-27 广州励丰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区域功率供电的舞台、影视灯光供电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829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8323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US7122976B1 (en) Light management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0702829B1 (ko) 전원 자동 스위치
CN104806549A (zh) 一种室内排气扇及灯的控制系统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CN1938803B (zh) 节能开关
KR100494430B1 (ko) 자동스위치
JP4735217B2 (ja) 2線式負荷制御装置
JP2013195341A (ja) 認識システムおよびそのコントローラ、認識方法
KR100581541B1 (ko) 램프자동제어시스템
JP2009264647A (ja) トイレの換気扇制御装置
KR101701126B1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20044174A (ko)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및 상기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N115769677A (zh) 响应于非接触致动的负载控制装置
KR101508534B1 (ko) 화장실 조명 장치 및 방법
CN204663938U (zh) 一种室内排气扇及灯的控制系统
US8660707B2 (en) Automatic cutoff apparatus
TWM542228U (zh) 可增加功能的觸控開關
KR200391718Y1 (ko) 댁내 조명 일괄 소등 스위치 구조
JPH10125475A (ja) 照明制御装置
JP3567816B2 (ja) トイレ用熱線式自動スイッチ
JP2008010332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点灯方法
JP2007026973A (ja) 照明システム
KR20050111475A (ko) 인체 감지를 통한 에너지 절약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00233A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