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06B1 -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06B1
KR101857406B1 KR1020180002853A KR20180002853A KR101857406B1 KR 101857406 B1 KR101857406 B1 KR 101857406B1 KR 1020180002853 A KR1020180002853 A KR 1020180002853A KR 20180002853 A KR20180002853 A KR 20180002853A KR 101857406 B1 KR101857406 B1 KR 10185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gear member
base plate
guide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헌
Original Assignee
박세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헌 filed Critical 박세헌
Priority to KR102018000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06B1/ko
Priority to PCT/KR2018/011868 priority patent/WO2019139221A1/ko
Priority to US16/960,780 priority patent/US20200331385A1/en
Priority to CN201880083628.9A priority patent/CN11156597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구동유닛,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구동유닛의 구동시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 및 차체 또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구동유닛과 경고안내부재를 미사용시 접어 보관하고 사용시 펼치도록 조작하는 사용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후방이나 전방에서 운행 중인 상대 차량에 사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불필요시 외부로 노출 방지하여 차량의 미감상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한 경고표시장치를 보호하며, 경고표시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경고표시장치{WARNING-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에서 운행 중인 상대 차량에 사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불필요시 외부로 노출 방지하여 차량의 미감상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한 경고표시장치를 보호하며, 경고표시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한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중 긴급차량(경찰차, 소방차, 엠블런스 등) 또는 사고차량이나 작업차량 등에는 주변을 주행하는 차량 및 사람들에게 비상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경광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광등은 차량의 루프패널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서, 경광등을 고정시킬 때에는 루프패널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고정공의 상면에 완충부재를 위치시킨 후 경광등의 하부에 마련된 브래킷을 완충부재의 상면에 안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경광등 장착구조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372439호(등록일: 2003.02.04. 발명의 명칭: 화물차량의 경고등 장치)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차량용 경광등은 차량이 응급구조나 기타 비상 상황에서 운전될 시에 루프패널 상부면에 간이 부착식의 경광등을 임시로 부착하여 사용한 바, 이로 인해 경광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고, 경광등을 분실할 수도 있으므로 응급시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경광등은 차량에 고정 설치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차량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후방에서 운행 중인 상대 차량에 사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불필요시 외부로 노출 방지하여 차량의 미감상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한 경고표시장치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경교표시장치를 보호하고자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고표시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경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는: 차체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 및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미사용시 접어 보관하고, 사용시 펼치도록 조작하는 사용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차체 중 개방시 노출되는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는 주동기어부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기어부재; 및 상기 종동기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연결하는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경고안내부재는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사용조작부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조작부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과 함께 접히는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레버; 및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설정치 이상의 외력 또는 외부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후크레버를 상기 경고안내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는: 차체에 구비되고,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체 중 지붕 또는 닫힌 상태의 트렁크도어의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주동회전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양방향 회전되는 주동기어부재;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종동회전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기어부재; 및 상기 종동기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연결하는 회동바를 포함한다.
상기 종동회전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는 상기 회동바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후방에서 운행 중인 상대 차량에 사고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불필요시 외부로 노출 방지하여 차량의 미감상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한 경고표시장치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경교표시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고표시장치를 차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구동유닛(120), 경고안내부재(130) 및 사용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는 차체(10) 특히, 차체(10) 중 트렁크도어(1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는 트렁크도어(12)가 개방시 후방 차량에게 노출된다. 물론, 트렁크도어(12)가 닫힌 상태일 경우에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는 노출이 방지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차체(10)에 구비된다. 특히,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차체(10) 중 개방시 노출되는 트렁크도어(12)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트렁크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가 노출 방지되어 보호되고 차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미적 감각이 향상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110)는 트렁크도어(12)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는데, 체결부재(112)에 의해 트렁크도어(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체결부재(112)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구동유닛(120)을 회동 및 왕복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물론,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구동유닛(120)은 트렁크도어(12)의 내측면에 회동 및 왕복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유닛(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게 되고, 경고안내부재(130)를 왕복 회전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구동유닛(120)은 프레임(121), 주동기어부재(123), 종동기어부재(126) 및 회동바(128)를 포함한다.
프레임(12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장된다. 즉, 프레임(121)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제 1경첩(122)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 및 타방향으로 초기 위치 복귀된다. 여기서, '일방향'은 주행중인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이다.
아울러, 주동기어부재(123)는 프레임(121)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 회전된다.
다시 말해서, 주동기어부재(123)는 주동회전샤프트(124)가 중심홀에 삽입된다. 그래서, 주동기어부재(123)는 주동회전샤프트(124)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주동기어부재(123)와 주동회전샤프트(124)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주동기어부재(123)가 단독으로 주동회전샤프트(124)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특히, 주동회전샤프트(124)는 양측 또는 일측이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동기어부재(123)는 프레임(121)의 내측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로써, 주동기어부재(123)가 프레임(121) 내측에 매립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 등 신체 일부가 주동기어부재(123)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프레임(121)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121)은 주동모터(125)를 고정 설치하고, 주동모터(125)는 주동회전샤프트(124) 또는 주동기어부재(123)를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왕복 회전 조작한다. 물론, 주동모터(125)는 프레임(121)에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다.
또한, 종동기어부재(126)는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주동기어부재(12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세히, 종동기어부재(126)는 중심홀에 종동회전샤프트(127)를 축 삽입한다. 그리고, 종동회전샤프트(127)는 양측 또는 일측이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이때, 종동기어부재(126)는 프레임(121)의 내측에 삽입(매립)될 수도 있고, 주동기어부재(123)와 외접 기어 결합된다. 그래서, 종동기어부재(126)는 주동기어부재(12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종동기어부재(126)와 종동회전샤프트(127)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종동기어부재(126)가 종동회전샤프트(127)에 대해 회전될 수도 있다.
회동바(128)는 종동기어부재(12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종동기어부재(126) 또는 종동회전샤프트(127)에 연결된다. 그래서, 회동바(128)는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특히, 회동바(128)는 도로의 중앙과 가장자리 방향을 따라 왕복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회동바(128)는 경고안내부재(130)를 연결한다. 물론, 회동바(128)는 다양한 방식으로 경고안내부재(130)를 고정 설치한다. 이에 따라, 경고안내부재(130)는 회동바(128)와 동일하게 호 궤적을 따라 왕복 회동된다.
특히, 경고안내부재(130)는 구동유닛(120)의 회동바(128)에 연결되어, 구동유닛(120)의 구동시, 회동바(128)와 함께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경고안내부재(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경고안내부재(130)는 빛을 발하는 경고등(132)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고등(132)은 다양한 문자나 글자의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외력 또는 외부 조작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빛을 발하게 된다. 상세히, 경고등(132)은 운전자가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거나, 차체(10)가 다른 차량과 충돌시 트렁크도어(12)가 열리고 이에 연동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발광하게 된다.
특히, 경고안내부재(130)는, 사용조작부(140)로써 걸어 고정시, 평면적을 줄이기 위해 접힘 가능하게 구비되어 접힌 상태로 사용조작부(140)에 구속될 수 있다.
즉, 경고안내부재(13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게 된다. 물론, 경고안내부재(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분리된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사용조작부(140)는 차체(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구동유닛(120)과 경고안내부재(130)를 미사용시 접어 보관하고, 사용시 펼치도록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조작부(14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해 구동유닛(120)과 경고안내부재(130)를 미사용시 접어 보관하는 역할을 하고, 사용시 구동유닛(120)과 경고안내부재(130)가 펼쳐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사용조작부(140)는 후크레버(142) 및 분리작동부재(144)를 포함한다.
후크레버(142)는 차체(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유닛(120)과 함께 접히는 경고안내부재(130)를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크레버(142)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제 2경첩(14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후크레버(142)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측으로 구동유닛(120)과 함께 접히는 경고안내부재(130)를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경고안내부재(130)는 다단으로 접힌 상태로 후크레버(142)에 걸리는 것으로 한다.
물론, 후크레버(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설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분리작동부재(144)는 차체(10) 또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구비되어, 설정치 이상의 외력 또는 외부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후크레버(142)를 경고안내부재(130)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분리작동부재(144)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타측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에 고정 설치되어, 설정치 이상의 외부 충격력 또는 외부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후크레버(142)를 밀어 경고안내부재(130)와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분리작동부재(144)는 전후진 작동되는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유닛(120)과 경고안내부재(130)가 베이스플레이트(110) 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후크레버(142)가 경고안내부재(130)를 걸어 고정한다. 그리고, 트렁크도어(12)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 후, 차체(10)가 부딪힘으로써 설정치 이상의 외부 충격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트렁크도어(12)가 개방된다.
이에 연동되어, 분리작동부재(144)는 전진되며 후크레버(142)를 밀어 경고안내부재(130)로부터 분리한다. 그래서, 경고안내부재(130)는 펼쳐지면서 구동유닛(120)과 함께 자중에 의해 펼쳐지게 된다. 이때, 분리작동부재(144)는 원위치로 복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연동되어, 주동모터(125)가 작동함으로써, 주동기어부재(123)가 회전됨에 따라, 종동기어부재(126)가 원주 방향으로 양방향 회전되고, 이 회전력이 회동바(128)와 경고안내부재(130)를 양방향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주동모터(125)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전송될 때까지 계속 구동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보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표시장치(100)는 하우징(150), 구동유닛(120) 및 경고안내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50)은 차체(10) 특히, 차체(10) 중 높이가 높은 지붕(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하우징(150)은 착탈부재(152)에 의해 차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로서, 착탈부재(152)는 테트론 테이프(일명, '찍찍이')에 의해 지붕(14)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하우징(150)은 닫힌 상태의 트렁크도어(도시하지 않음)의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우징(150)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하우징(15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구동유닛(120)은 하우징(150)의 내측에 구비되어 경고안내부재(130)를 왕복 회동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동유닛(120)은 주동기어부재(123), 종동기어부재(126) 및 회동바(128)를 포함한다.
주동기어부재(123)는 주동회전샤프트(124)가 중심홀에 축 삽입되고, 주동회전샤프트(124)는 양측 또는 일측이 대응되는 하우징(150)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그리고, 주동기어부재(123)는 주동모터(125)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된다.
종동기어부재(126)는 종동회전샤프트(127)가 중심홀에 축 삽입되고, 종동회전샤프트(127)는 양측 또는 일측이 대응되는 하우징(150)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된다.
그래서, 종동기어부재(126)는 주동기어부재(123)에 외접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동기어부재(126)는 주동기어부재(12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회동바(128)는 종동기어부재(126)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고, 경고안내부재(13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종동기어부재(126)가 회전시, 회동바(128)와 경고안내부재(130)는 호 궤적을 따라 왕복 회동된다.
특히, 경고안내부재(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광되는 경고등(1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의 긴급 점검이나 단순 접촉 사고시, 트렁크에 보관되는 하우징(150)을 꺼내 지붕(14)에 부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주동모터(125)가 구동됨으로써, 주동기어부재(123)와 종동기어부재(126)를 통해 회동바(128)와 경고안내부재(130)가 왕복 회동된다.
상황 종료시, 사용자는 주동모터(125)에 전송되는 신호를 차단 후, 하우징(150)을 지붕(14)으로부터 탈거 후 트렁크에 보관하게 된다.
이때, 회동바(128)와 경고안내부재(130)의 전체 높이가 너무 높을 경우, 경고표시장치(100)가 트렁크에 보관되기 어렵거나, 보관 공간이 넓어져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동기어부재(126)의 중심홀에 축 삽입된 종동회전샤프트(127)는 하우징(150)에 대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즉, 하우징(150)은 종동회전샤프트(127)를 거치 또는 삽입할 수 있도록 설치홀부(154)를 호 궤적을 따라 복수 개 또는 2개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종동회전샤프트(127)를 종동기어부재(126)로부터 분리 후 최하측의 설치홀부(154)에 삽입하며 종동기어부재(126)에 끼운다. 이로 인해, 회동바(128)는 지붕(14)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경고안내부재(130)는 결합부재(129)에 의해 회동바(128)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결합부재(129)를 풀어 경고안내부재(130)와 회동바(128)를 분리 후, 경고안내부재(130)를 하우징(150)의 내측에 보관한다.
결과적으로, 회동바(128)와 경고안내부재(130)는 하우징(1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150)은 보관시 구동유닛(120)과 경고안내부재(13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질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12: 트렁크도어
14: 지붕 100: 경고표시장치
110: 베이스플레이트 112: 체결부재
120: 구동유닛 121: 프레임
122: 제 1경첩 123: 주동기어부재
124: 주동회전샤프트 125: 주동모터
126: 종동기어부재 127: 종동회전샤프트
128: 회동바 130: 경고안내부재
132: 경고등 132: 경고등
140: 사용조작부 142: 후크레버
144: 분리작동부재 150: 하우징
153: 착탈부재 154: 설치홀부

Claims (9)

  1. 차체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 및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유닛과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미사용시 접어 보관하고, 사용시 펼치도록 조작하는 사용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는 주동기어부재;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기어부재; 및
    상기 종동기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연결하는 회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차체 중 개방시 노출되는 트렁크도어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안내부재는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사용조작부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5.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조작부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과 함께 접히는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레버; 및
    상기 차체 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설정치 이상의 외력 또는 외부 신호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후크레버를 상기 경고안내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6. 차체에 구비되고, 일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시 왕복 회동되며 대향하는 전방 또는 후방측의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경고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주동회전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양방향 회전되는 주동기어부재;
    상기 하우징에 거치되는 종동회전샤프트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주동기어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종동기어부재; 및
    상기 종동기어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왕복 회동 운동을 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를 연결하는 회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체 중 지붕 또는 닫힌 상태의 트렁크도어의 상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회전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경고안내부재는 상기 회동바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KR1020180002853A 2018-01-09 2018-01-09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KR10185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53A KR101857406B1 (ko) 2018-01-09 2018-01-09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PCT/KR2018/011868 WO2019139221A1 (ko) 2018-01-09 2018-10-10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US16/960,780 US20200331385A1 (en) 2018-01-09 2018-10-10 Warning display device for vehicle
CN201880083628.9A CN111565975A (zh) 2018-01-09 2018-10-10 车用警告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53A KR101857406B1 (ko) 2018-01-09 2018-01-09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406B1 true KR101857406B1 (ko) 2018-05-11

Family

ID=6218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853A KR101857406B1 (ko) 2018-01-09 2018-01-09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40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741A (ko) * 2004-12-21 2006-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삼각대
KR101156067B1 (ko) * 2009-08-13 2012-06-20 김연수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
KR101177871B1 (ko) * 2010-06-22 2012-08-28 최문석 차량통행 차단기
KR20130004998U (ko) * 2012-02-13 2013-08-21 서영춘 차량정지 유도등
KR101436625B1 (ko) * 2012-02-04 2014-09-04 박동철 차량용 교통안전표지 주름식 표시장치
KR200481833Y1 (ko) * 2015-05-11 2016-11-16 장세기 안전 삼각대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KR20170022225A (ko) * 2015-08-19 2017-03-02 지수호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101787397B1 (ko) * 2016-06-02 2017-10-20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접이가 가능한 원거리 비상신호장치
KR20170135461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여우전자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741A (ko) * 2004-12-21 2006-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비상삼각대
KR101156067B1 (ko) * 2009-08-13 2012-06-20 김연수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
KR101177871B1 (ko) * 2010-06-22 2012-08-28 최문석 차량통행 차단기
KR101436625B1 (ko) * 2012-02-04 2014-09-04 박동철 차량용 교통안전표지 주름식 표시장치
KR20130004998U (ko) * 2012-02-13 2013-08-21 서영춘 차량정지 유도등
KR200481833Y1 (ko) * 2015-05-11 2016-11-16 장세기 안전 삼각대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KR20170022225A (ko) * 2015-08-19 2017-03-02 지수호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20170135461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여우전자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KR101787397B1 (ko) * 2016-06-02 2017-10-20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접이가 가능한 원거리 비상신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798B2 (en) Horizontal retractable vehicle step
US7210718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KR101459892B1 (ko) 차량용 페달 장치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US20120111261A1 (en) Wheelchair access space reservation device (lift guard) for vehicles equipped with wheelchair lifts
KR101857941B1 (ko)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US10745220B2 (en) Vehicle Restraint System
US20200331385A1 (en) Warning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1857406B1 (ko)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KR101925132B1 (ko) 차량 트렁크 설치형 삼각대
US8042820B1 (en) Driver's side large vehicle step
JP2005289367A (ja) 人と衝突しそうなときに、少なくとも、フロント側のフードロック領域で、自動車車両のフロントフードを持ち上げる装置および持ち上げられたフロントフードを逆動するための手段
US6612802B2 (en) Electrically-actuated transfer seat
CN111565975A (zh) 车用警告显示装置
CN211731226U (zh) 一种踏板装置、乘员室及消防车
KR101034585B1 (ko) 화물차 덮개 보관함
KR200279876Y1 (ko) 자동차 도난방지장치
CN110641374A (zh) 踏板装置和车辆
KR980008820A (ko) 차량의 비상 안전표지판 자동설치장치
KR102068695B1 (ko) 차량의 긴급상황 알림장치
CN110745095B (zh) 发动机罩装置及车辆
KR102500382B1 (ko) 차량 에어방식 경고장치
KR20130002852A (ko)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JPH0644752Y2 (ja) 車両の乗降用ステップの作動警告装置
CN209209808U (zh) 一种多功能引导车式翻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