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461A -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461A
KR20170135461A KR1020160067423A KR20160067423A KR20170135461A KR 20170135461 A KR20170135461 A KR 20170135461A KR 1020160067423 A KR1020160067423 A KR 1020160067423A KR 20160067423 A KR20160067423 A KR 20160067423A KR 20170135461 A KR20170135461 A KR 2017013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od
reflector
vehicle
trunk door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882B1 (ko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우전자
Priority to KR102016006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88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10Electro- or photo- luminescent surfaces, e.g. signalling by way of electroluminescent strips 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는,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며 반사판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 트렁크 도어에 마련되어 트렁크 도어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안전 삼각대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 및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 시에 개방된 트렁크 도어의 삼각대 록킹부를 작동시켜 안전 삼각대을 펼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SAFETY INDICA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TRUNK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안점 삼각대를 설치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고 발생 시 후방 차량에게 빠르게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 안전표지판은 공사 현장에서의 위험을 피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도로에서 운행하던 차량이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하여 노견 등에서 응급조치를 해야 하는 경우에 후속차량들에게 고장 차량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차량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해 보면, 현재 사용되는 반사판 삼각대로 된 안전표지판은 흐린 날이나 태양을 등지고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사판의 효과가 전혀 없고, 밤에도 차량의 전조등이 반사판을 비추지 않으면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더구나 지금의 차량 안전표지판은 거의 길바닥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차량이 드물게 다니던 수십 년 전에는 충분히 가능한 안전조치였다.
하지만 지금처럼 앞차의 꼬리를 물고 다닐 정도로 차량이 많아진 상황에서는 앞차의 차체가 노견 쪽을 보는 운전자의 시야를 많이 가린다.
따라서 길바닥에 낮게 설치된 안전표지판을 쉽게 발견할 수가 없어서 갑자기 나타난 고장차량을 피하기 위해서 엉뚱한 사고를 일으키기도 하고, 안전표지판인 삼각대를 미처 피하지 못해 짓밟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았다.
한편 종래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안전삼각대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중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타인의 차량에게 차량이 정차중임을 제대로 알려줄 수 없게 됨으로써 각종안전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방의 차량에게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빠른 시간에 알려주지 못해 2차 사고 발생의 위험도 존재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81269호(권혁수) 2012. 07. 1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가 안점 삼각대를 설치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고 발생 시 후방 차량에게 빠르게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며 반사판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 상기 트렁크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상기 안전 삼각대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 및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 시에 개방된 상기 트렁크 도어의 상기 삼각대 록킹부를 작동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를 펼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삼각대는, 상기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과, 일측부가 상기 제1 반사판에 힌지 결합 되는 제2 반사판과, 일측부가 상기 제2 반사판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반사판이 구비된 상기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마련되는 복수의 점등 램프; 및 일측부는 상기 트렁크 도어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반사판에 결합 되는 힌지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사판의 타측부는 상기 제1 반사판에 마련된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반사판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3 반사판의 상기 타측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타고 하강되어 상기 반사판이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삼각대 록킹부는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록킹 로드를 갖는 솔레노이드 플런저 (Plung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에 원격 통신으로 안전 삼각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제어부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트렁크에 장착된 트렁크 도어 오픈부를 작동시켜 상기 트렁크 도어를 오픈함과 아울러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가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는 사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사고 감지 센서에서 사고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에 상기 안전 삼각대의 작동을 위한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트렁크 도어를 오픈함과 아울러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가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고의 발생 시 상기 자동차에 마련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위치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로공사 긴급구조대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며 반사판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 및 상기 트렁크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상기 안전 삼각대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상기 트렁크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상기 안전 삼각대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안전 삼각대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사고 발생 시 개방된 트렁크 도어에 마련된 안전 삼각대가 펼쳐지게 되어 운전자가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함과 아울러 후방의 차량에게 사고를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어 2차 사고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의 일실시예 의하면, 운전자의 하차 시 도로상에서 큰 위험에 처처할 수 있는 고속도로 등에서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자동차 내부에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 등의 자동차 내부 장치를 이용하여 안전 삼각대를 조작 및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하차하여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함과 아울러 후방의 차량에게 사고를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어 2차 사고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삼각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사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사판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삼각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사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사판의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1)는,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TD)에 배치되며 반사판(110)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100)와, 트렁크 도어(TD)에 마련되어 트렁크 도어(TD)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안전 삼각대(100)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200)와,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 시에 개방된 트렁크 도어(TD)의 삼각대 록킹부(200)를 작동시켜 안전 삼각대(100)을 펼치게 하는 제어부(300)와,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를 감지하는 사고 감지 센서(400)와, 자동차에 마련되어 트렁크 도어(TD)를 자동으로 오픈시키는 트렁크 도어 오픈부(500)와, 자동차에 마련되는 위치 감지 센서(600)와, 자동차에 마련되는 통신부(700)를 구비한다.
안전 삼각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TD)에 마련되며, 일반적인 사용시에는 트렁크 도어(TD)에 접힘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사고의 발생 시에는 삼각대 록킹부(200)의 록킹 해제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펼쳐져 후방의 차량에게 사고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안전 삼각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판(111)과 상측부가 제1 반사판(111)에 힌지 결합 되는 제2 반사판(112)과, 우측부가 제2 반사판(112)의 하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반사판(113)이 구비되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반사판(110)과, 반사판(11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점등 램프(12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트렁크 도어(TD)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반사판(110)에 결합 되는 힌지 브래킷(130)을 포함한다.
안전 삼각대(100)의 반사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힌지 결합 되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사고 발생 시에만 트렁크 도어(TD)에서 펼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접힌 상태로 트렁크 도어(TD)에 결합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반사판(110)이 펼치지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자동차에 사고가 발생되어 삼각대 록킹부(200)의 록킹이 해제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삼각대 록킹부(200)의 록킹 로드(210)에 지지된 반사판(110)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브래킷(130)의 일측부 회전에 의해 하강된다.
반사판(110)이 하강되면, 반사판(110)은 자체의 하중과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112,113)의 힌지 결합으로 인해 펼쳐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4를 기준으로 제3 반사판(113)의 우측 단부는 고정된 상태가 아닌 자유 상태에 있고, 제3 반사판(113)에는 스토퍼 돌기(113a)가 마련되고 이 스토퍼 돌기(113a)는 제1 반사판(111)의 가이드(111a)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반사판(113)은 스토퍼 돌기(113a)가 제1 반사판(111)의 가이드(111a)에 지지되면서 하측으로 하강되고, 이러한 하강은 스토퍼 돌기(113a)와 가이드(111a)의 마찰력이 최고가 되는 지점 즉 반사판(110)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지점에서 종료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점등 램프(120)는 엘이디(LED)를 포함하고, 힌지 브래킷(130)은 트렁크 도어(TD)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 될 수 있고 반사판(110)에는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 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 예는 반사판(110)과 트렁크 도어(TD) 사이의 공간에 흡음 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스폰지나 고무를 마련하여 반사판(110)과 트렁크 도어(TD)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삼각대 록킹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도어(TD)에 마련되어 반사판(110)이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반사판(110)을 록킹하고, 사고의 발생 시 반사판(110)의 록킹을 해제하여 반사판(110)이 트렁크 도어(TD)로부터 낙하되어 펼쳐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삼각대 록킹부(200)는 록킹 로드(210)를 갖는 솔레노이드 플런저(Plunger)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삼각대 록킹부(200)는 제어부(30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반사판(110)의 록킹을 해제할 수도 있고, 운전자가 록킹 로드(210)를 밀어넣어 반사판(110)의 록킹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삼각대 록킹부(200)는 제1 반사판(111)의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 감지 센서(4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트렁크 도어 오픈부(500)를 작동시켜 트렁크 도어(TD)를 자동으로 개방함과 아울러 삼각대 록킹부(200)의 록킹을 해제시켜 반사판(110)이 자동으로 펼쳐지게 할 수 있고, 점등 램프(1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위치 감지 센서(6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기초로 사고 발생 시 통신부(700)를 통해 도로공사 긴급구조대나 보험사 등으로 위치를 전송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300)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S)나 네비게이션(N)에 원격 통신으로 안전 삼각대(100)의 상태 정보 즉 반사판(110)이 접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점등 램프(12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지 여부 등의 정보를 보내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운전자가 육안으로 안전 삼각대(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트렁크 도어(TD)에 감시 카메라(미도시)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사고 감지 센서(400)에서 사고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S)나 네비게이션(N)에 안전 삼각대(100)의 작동을 위한 버튼 즉 버튼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사고 감지 센서(400)는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의 유무를 감지하고, 사고 감지 센서(40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본 실시 예에서 사고 감지 센서(400)는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나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 측면에 각각 또는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트렁크 도어 오픈부(500)는, 트렁크(T)에 마련되어 제어부(300)의 신호를 기초로 트렁크 도어(TD)를 자동으로 오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트렁크 도어 오픈부(500)는 공지된 트렁크 자동 개폐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전기로 작동되며 일측부는 트렁크(T)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트렁크 도어(TD)에 결합 되는 한 쌍의 실린더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는 사고의 발생 시 제어부(300)에서 트렁크 도어 오픈부(500)를 작동시켜 트렁크 도어(TD)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600)는 자동차에 마련되며 GPS 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사고의 발생 시 위치 감지 센서(600)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300)는 위치 감지 센서(600)에서 감지된 위치를 통신부(700)를 통해 원격으로 도로공사 긴급구조대나 보험사 등에 운전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통신부(700)는 자동차에 마련되며 자동차의 사고 위치 등을 원격으로 수신부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700)는 블루 투스, LTE 등의 공지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100 : 안전 삼각대 110 : 반사판
111 : 제1 반사판 111a : 가이드
112 : 제2 반사판 113 : 제3 반사판
113a : 스토퍼 돌기 120 : 점등 램프
130 : 힌지 브래킷 200 : 삼각대 록킹부
210 : 록킹 로드 300 : 제어부
400 : 사고 감지 센서 500 : 트렁크 도어 오픈부
600 : 위치 감지 센서 700 : 통신부
N : 네비게이션 S : 휴대용 단말기
T : 트렁크 TD : 트렁크 도어

Claims (10)

  1.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며 반사판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
    상기 트렁크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상기 안전 삼각대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 및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어 사고 시에 개방된 상기 트렁크 도어의 상기 삼각대 록킹부를 작동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을 펼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삼각대는,
    상기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과, 일측부가 상기 제1 반사판에 힌지 결합 되는 제2 반사판과, 일측부가 상기 제2 반사판의 타측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3 반사판이 구비된 상기 반사판;
    상기 반사판에 마련되는 복수의 점등 램프; 및
    일측부는 상기 트렁크 도어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반사판에 결합 되는 힌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반사판의 타측부는 상기 제1 반사판에 마련된 가이드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반사판이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3 반사판의 상기 타측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이드를 타고 하강되어 상기 반사판이 삼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삼각대 록킹부는 상기 반사판을 지지하는 록킹 로드를 갖는 솔레노이드 플런저(Plunger)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에 원격 통신으로 안전 삼각대의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제어부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트렁크에 장착된 트렁크 도어 오픈부를 작동시켜 상기 트렁크 도어를 오픈함과 아울러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가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는 사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사고 감지 센서에서 사고를 감지하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에 상기 안전 삼각대의 작동을 위한 버튼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상기 버튼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트렁크 도어를 오픈함과 아울러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록킹을 해제시켜 상기 안전 삼각대가 펼쳐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 마련되는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고의 발생 시 상기 자동차에 마련된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자동차의 위치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도로공사 긴급구조대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10. 자동차의 트렁크 도어에 배치되며 반사판이 접히거나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안전 삼각대; 및
    상기 트렁크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트렁크 도어에 접힘 상태로 결합 된 상기 안전 삼각대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삼각대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의 사고 시 상기 트렁크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삼각대 록킹부의 상기 안전 삼각대의 록킹이 해제되어 상기 안전 삼각대가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KR1020160067423A 2016-05-31 2016-05-31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KR101838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3A KR101838882B1 (ko) 2016-05-31 2016-05-31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3A KR101838882B1 (ko) 2016-05-31 2016-05-31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61A true KR20170135461A (ko) 2017-12-08
KR101838882B1 KR101838882B1 (ko) 2018-03-15

Family

ID=6091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23A KR101838882B1 (ko) 2016-05-31 2016-05-31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8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06B1 (ko) * 2018-01-09 2018-05-11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WO2019139221A1 (ko) * 2018-01-09 2019-07-18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KR20200000271U (ko) 2018-07-25 2020-02-04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원터치 안전표지판
CN111565975A (zh) * 2018-01-09 2020-08-21 朴世宪 车用警告显示装置
KR102153601B1 (ko) * 2019-10-22 2020-09-08 박현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10119245A (ko) 2020-03-24 2021-10-05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2385B2 (ja) * 1994-03-31 1998-10-22 池田物産株式会社 自動車のトランクルーム用物品保持装置
KR101452641B1 (ko) * 2013-07-10 2014-10-22 이선근 안전 삼각대 세트
KR101558105B1 (ko) * 2014-09-15 2015-10-07 박세현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06B1 (ko) * 2018-01-09 2018-05-11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WO2019139221A1 (ko) * 2018-01-09 2019-07-18 박세헌 차량용 경고표시장치
CN111565975A (zh) * 2018-01-09 2020-08-21 朴世宪 车用警告显示装置
KR20200000271U (ko) 2018-07-25 2020-02-04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원터치 안전표지판
KR102153601B1 (ko) * 2019-10-22 2020-09-08 박현 교통 사고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210119245A (ko) 2020-03-24 2021-10-05 (주)케이원글로벌모터스 2차 사고 방지용 차량용 안전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82B1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882B1 (ko) 자동차용 자동 안전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렁크 구조체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3249B1 (ko) 안전 삼각대를 이용한 안전 경고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차량 안전 장치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CN102815264A (zh) 一种安全下车控制方法及其系统
CA2960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ystem diagnostics, reporting, and dot compliance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6622A (ko)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KR1016815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용 비상 경고 표시장치
KR20050041574A (ko) 자동차의 비상사태 표출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32605A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101636507B1 (ko) 비콘이 내장된 안전 삼각대
JP6606128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324815B1 (ko) 차량용 비상상황 표시장치
CN204197122U (zh) 倾倒闪光警报装置
JP2016094169A (ja) サイドミラー制御装置
JP2009116728A (ja) 事故車両への追突防止装置
KR20160017485A (ko) 중장비 또는 대형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인체 감지 알람 시스템
KR200464251Y1 (ko) 사고발생 표시장치
JP3211747U (ja) 自動車通知情報板
TWI530410B (zh) 車輛安全自動通報系統含防盜裝置
KR20140079278A (ko) 차량사고시 연막과 불꽃을 이용한 자동 경고장치
KR102044485B1 (ko) 차량용 사고알림장치 운영 시스템
KR102525636B1 (ko) 착탈형 차량용 소화기 고정장치
KR20220073348A (ko) IoT 안전삼각대를 이용한 교통사고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