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576B1 -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576B1
KR101989576B1 KR1020180007139A KR20180007139A KR101989576B1 KR 101989576 B1 KR101989576 B1 KR 101989576B1 KR 1020180007139 A KR1020180007139 A KR 1020180007139A KR 20180007139 A KR20180007139 A KR 20180007139A KR 101989576 B1 KR101989576 B1 KR 10198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tripod
sub
vehicle
safety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환석
Original Assignee
최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석 filed Critical 최환석
Priority to KR102018000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14Monitor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베이스 부재와,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접 설치하러 가지 않고도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Warning triangl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등에 비치되어 있다가, 사고 발생 등 외부에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를 하여야 하는 경우 꺼내어져서 설치됨으로써, 상기 경고 표시를 외부에 대하여 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허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의하면,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접이식으로 접혀 있던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사용자가 펼친 다음 차량 뒤 일정 거리까지 직접 가져가서 직접 도로 상에 설치하여야 하였고, 그에 따라 그러한 설치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러한 설치 중에 사용자에 대한 2차 사고 등 안전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고,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제 10-2011-0014968호, 공개일자: 2011.02.14., 발명의 명칭: 접이식 안전삼각대 등록특허 제 10-1259312호, 등록일자: 2013.04.23., 발명의 명칭: 접이식 안전표지 삼각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접 설치하러 가지 않고도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는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서로 포개어진 형태로 접철되거나, 외부에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펼쳐지면서 세워질 수 있는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외부에 안전을 위한 상기 경고 표시가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발신하는 레이저 발신 부재;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의 상하좌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 및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의 직립 여부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의하면,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베이스 부재와,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접 설치하러 가지 않고도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접히는 과정의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완전히 접힌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적용되는 균형 감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균형 감지 부재가 기울어지는 과정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균형 감지 부재가 완전히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접히는 과정의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접히는 과정의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완전히 접힌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적용되는 균형 감지 부재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균형 감지 부재가 기울어지는 과정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균형 감지 부재가 완전히 기울어진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의 작동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05)와,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100)는 레이저 발신 부재(140)와,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150)와,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02)와,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170)와,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71)와, 제어 부재(101)와, 영상 촬영 부재(104)와, 저장 부재(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5)는 차량(10)의 지붕 상면, 트렁크 상면 등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05)의 저면에는 영구 자석(106)이 설치된다.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는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로 구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 상에 서로 포개어진 형태로 접철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로부터 펼쳐지면서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가 세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시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105)에서 가장 먼 측부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 제 2 서브 플레이트(113) 및 제 3 서브 플레이트(115)로 지칭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 및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는 각각 일정 면적의 넓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와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는 제 1 서브 힌지(120)에 의해 접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와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는 제 2 서브 힌지(125)에 의해 접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와 상기 베이스 부재(105)는 제 3 서브 힌지(128)에 의해 접철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서브 힌지(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05)의 상공 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브 힌지(125)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에서 상기 제 1 서브 힌지(120)가 형성된 측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서브 힌지(128)는 상기 제 1 서브 힌지(120)의 하측의 상기 베이스 부재(105)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 및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포개어질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29는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부재(105) 상에 각각 형성되는 다른 극의 영구 자석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의 저면에는 N극이, 상기 베이스 부재(105) 상에는 S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에 대해 직립되도록 세워졌을 때, 상기 영구 자석(129)에 의해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 상에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6은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의 저면과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른 극의 영구 자석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의 저면에는 N극이,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의 상면에는 S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에 대해 직립되도록 세워졌을 때, 상기 영구 자석(126)에 의해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가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 상에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1은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의 저면과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다른 극의 영구 자석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의 저면에는 N극이,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의 상면에는 S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에 대해 직립되도록 세워졌을 때, 상기 영구 자석(121)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 상에 세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14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를 관통하여 바람이 관통되도록 하는 바람 관통 홀로, 상기 바람 관통 홀(114)이 형성됨에 따라, 강한 바람에도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가 전복되지 아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람 관통 홀(114)은 상기 서브 플레이트(111, 113, 115)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두 개 이상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람 관통 홀(114)은 상기 제 2 서브 플레이트(113)와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에 걸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람 관통 홀(114)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부수적인 경고 표시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35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상세히는 상기 제 3 서브 플레이트(115)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 부재(101)의 명령에 따라 경고음을 발신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의 경고음 발신 부재이다.
도면 번호 130은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상세히는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 부재(101)의 명령에 따라 점멸되면서 부수적인 경고 표시가 될 수 있는 점멸 부재이다.
상기 점멸 부재(130)는 일 측방으로 향하는 제 1 화살표(131)와, 타 측방으로 향하는 제 2 화살표(132)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 부재(101)의 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만 점멸되거나, 어느 하나만 항상 켜져 있거나, 교대로 점멸되거나, 둘 다 함께 점멸되거나, 둘 다 항상 켜져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점멸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상세히는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에 배치되어,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외부,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노면에 안전을 위한 상기 경고 표시(145), 예를 들어 삼각대 형태의 표식이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발신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는 레이저 발신 몸체(141)와,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실제 레이저를 발신하는 레이저 발신체(142)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150)는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의 상하좌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150)는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는 상하 방향 조절부(151)와,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는 좌우 방향 조절부(155)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 방향 조절부(151)는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에 연결된 상하 방향 회동축(153)과, 상기 상하 방향 회동축(153)을 회동시키는 전기 모터 등의 상하 방향 회동 수단(15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 방향 조절부(155)는 상기 상하 방향 회동 수단(152)이 결합되고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 내부 공간(112)의 좌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좌우 방향 조절 몸체(158)와, 상기 좌우 방향 조절 몸체(158)에 연결된 좌우 방향 회동축(157)과, 상기 제 1 서브 플레이트(111)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 방향 회동축(157)을 회동시키는 전기 모터 등의 좌우 방향 회동 수단(156)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 방향 회동 수단(152)이 작동되면, 상기 레이저 발신체(142)의 발신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조절되고, 상기 좌우 방향 회동 수단(156)이 작동되면, 상기 레이저 발신체(142)의 발신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경고 표시를 하고자 하는 부분에 정확하게 그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02)는 상기 베이스 부재(105)와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170)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가 상기 경고 표시를 수행할 것에 대한 명령 신호를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 또는 스마트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170)에는 상기 차량의 차량 번호 등의 정보가 입력된 QR 코드나 인터넷 주소가 개시되어 있어서, 그러한 QR 코드나 인터넷 주소를 스캔하여 자동적으로 사고 접수와 사고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71)는 상기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170)에 배치되어,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 부재(101)는 상기 베이스 부재(105)와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02)와 상기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71)의 각 지피에스 수신 정보를 취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부재(101)는 상기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02)와 상기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71)의 각 지피에스 수신 정보의 평균한 값을 외부, 예를 들어 소방서, 경찰서 등으로 통신망을 통해 문자 등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어 부재(101)가 상기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02)와 상기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171)의 각 지피에스 수신 정보를 취합하여, 외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100)이 설치된 상기 차량의 사고, 고장 위치 등이 자동적으로 신속하게 전송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상기 제어 부재(101)는 상기 점멸 부재(130)의 방향 지시를 위한 일부 점멸, 점멸 속도 조절 등을 조절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상 촬영 부재(104)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에 배치되어,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차량의 블랙박스가 사고 등으로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에도, 상기 영상 촬영 부재(104)에서 촬영된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부재(103)는 상기 영상 촬영 부재(104)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 촬영 부재(104)와 상기 저장 부재(103)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5)에는 상기 점멸 부재(130),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 등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삽될 수 있고, 상기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170)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여량 및 잔여 사용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100)는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140)의 직립 여부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균형 감지 부재(160)는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에 부착되고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 내부의 상단에서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회동 연결 링(162)과, 상기 회동 연결 링(162)에 회동 가능하게 걸려 중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상기 회동 연결 링(162)과 멀어지는 말단부 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회동체(163)와, 상기 회동체(163)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회동 마그넷(164)과,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16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자력 변화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홀 센서(166)와,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하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체(163)에 매달려 회동되는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 센서 등의 균형 감지 접촉 센서(165)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체(163)와 상기 회동 마그넷(164)은 자중에 의해 상기 회동 연결 링(162)에 연결된 상태로 항상 중력 방향을 향하게 된다.
감지 효과를 증진하기 위하여,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는 상기 균형 감지 부재 케이스(161)의 내부의 저면 상의 중앙과 그 양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세 개 이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마그넷(164)은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 중 중앙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가 임의로 기울어지기 시작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의 기울어지는 정도만큼 상기 회동체(163)가 중력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에 의해 감지되는 자력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의 기울어지기 시작함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가 최대값으로 기울어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마그넷(164)의 위치 변동에 따른 자력 변화 최대값이 상기 균형 감지 홀 센서(166)에 의해 감지됨과 함께, 상기 회동 마그넷(164)이 상기 균형 감지 접촉 센서(165)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의 최대 기울어짐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의 기울어짐과 그 기울어지는 정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 부재(101)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레이저 발신 몸체(141)의 임의적인 기울어짐과 그 기울어지는 정도가 신속하게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100)가 상기 베이스 부재(105)와,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11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접 설치하러 가지 않고도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상기 경고 표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가 접히는 과정의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200)는 베이스 부재(205)와,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210)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210)가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211, 213, 215)로 구성되되, 상기 서브 플레이트(211, 213, 215) 중 상대적으로 가장 하측의 것(215)에 점멸 부재(230)가 배치되고, 상기 서브 플레이트(211, 213, 215) 중 상기 점멸 부재(230)가 배치된 것 이외의 그 상부의 것들(211, 213)은 전체적으로 삼각대로 보이도록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들의 중앙부에는 바람 관통 홀(214)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211, 213, 215) 중 상대적으로 가장 상측의 것(211)의 상부에는 레이저 발신 부재(24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211, 213, 215)의 삼각형 형태를 보고 외부에서 삼각대로 즉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직접 설치하러 가지 않고도 외부에 대해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101 : 제어 부재
102 :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
103 : 저장 부재
104 : 영상 촬영 부재
105 : 베이스 부재
110 :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
140 : 레이저 발신 부재
150 :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
170 :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
171 :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

Claims (5)

  1.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베이스 부재;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서로 포개어진 형태로 접철되거나, 외부에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각 서브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펼쳐지면서 세워질 수 있는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외부에 안전을 위한 상기 경고 표시가 표시되도록 레이저를 발신하는 레이저 발신 부재;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의 상하좌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방향 조절 부재; 및
    상기 레이저 발신 부재의 직립 여부를 감지하는 균형 감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지피에스(GPS) 신호를 수신하는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가 상기 경고 표시를 수행할 것에 대한 명령 신호를 외부에서 전달하기 위한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
    상기 휴대용 명령 입력 부재에 배치되어,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 및
    상기 본체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와 상기 휴대측 지피에스 수신 부재의 각 지피에스 수신 정보를 취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는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접철식 안전 삼각대 부재 전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 촬영 부재; 및
    상기 영상 촬영 부재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KR1020180007139A 2018-01-19 2018-01-19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KR10198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39A KR101989576B1 (ko) 2018-01-19 2018-01-19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39A KR101989576B1 (ko) 2018-01-19 2018-01-19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576B1 true KR101989576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39A KR101989576B1 (ko) 2018-01-19 2018-01-19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60B1 (ko)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CN111312104A (zh) * 2019-12-12 2020-06-19 福建天匠加装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安装用警示装置
KR20230074381A (ko) 2021-11-20 2023-05-30 신민서 드라이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빗
KR20230074382A (ko) 2021-11-20 2023-05-30 신민서 마우스 장판이 장착된 노트북
KR20230105357A (ko) 2022-01-04 2023-07-11 최지원 우산장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968A (ko) 2010-11-01 2011-02-14 이광현 접이식 안전삼각대
KR101259312B1 (ko) 2011-06-13 2013-05-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안전표지 삼각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506290B1 (ko) * 2014-12-01 2015-04-07 강수일 자동차용 기능성 안전표지판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968A (ko) 2010-11-01 2011-02-14 이광현 접이식 안전삼각대
KR101259312B1 (ko) 2011-06-13 2013-05-0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안전표지 삼각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506290B1 (ko) * 2014-12-01 2015-04-07 강수일 자동차용 기능성 안전표지판
KR20170016622A (ko) * 2015-08-04 2017-02-14 이재필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60B1 (ko)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CN111312104A (zh) * 2019-12-12 2020-06-19 福建天匠加装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安装用警示装置
KR20230074381A (ko) 2021-11-20 2023-05-30 신민서 드라이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빗
KR20230074382A (ko) 2021-11-20 2023-05-30 신민서 마우스 장판이 장착된 노트북
KR20230105357A (ko) 2022-01-04 2023-07-11 최지원 우산장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76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US9218057B2 (en) Vehicular display system
EP2575520B1 (en) Switch system for helmet mounted electronic device
EP3124330A1 (en) Apparatus for vehicle
JP4801232B1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8649973B2 (en) Guide display device and guide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display contents
US20090174571A1 (en) Navigation apparatus having emergency warning system
CN105984383A (zh) 车载摄像系统
JP2008059291A (ja) モバイルレコーダ
JP5354670B2 (ja) 目標物検出装置
WO2021084978A1 (ja) 自動駐車支援システム
US20130222147A1 (en) Portable warning system
CN205539723U (zh) 智能车载抬头显示器
JP2001123419A (ja) 道路標識装置及び道路標識転倒検知システム
JP5246614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2009248925A (ja) 道路交通情報の受信装置
JP2008213759A (ja) 車載用表示装置
KR20180074394A (ko) 안내 로봇
JP5174942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539026B1 (ko) 핸즈프리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블랙박스
KR101799940B1 (ko) 투명 lcd 스크린을 구비한 차량용 영상 장치
JP5651898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5036895B2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によって実行される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70092432A (ko) 무선충전기능이 있는 차량용 영상 투영장치
JP4635225B2 (ja) 位置情報確認システム、位置情報確認方法、当該方法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当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