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394A - 안내 로봇 - Google Patents

안내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394A
KR20180074394A KR1020160178424A KR20160178424A KR20180074394A KR 20180074394 A KR20180074394 A KR 20180074394A KR 1020160178424 A KR1020160178424 A KR 1020160178424A KR 20160178424 A KR20160178424 A KR 20160178424A KR 20180074394 A KR20180074394 A KR 20180074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ver
middle cover
display unit
guide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호
최해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394A/ko
Publication of KR20180074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제 1 미들커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동 가능한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1 미들커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대 화면의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므로, 안내 로봇이 먼거리로 떨어져 있어도 디스플레이가 잘 보이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내 로봇{GUIDANCE ROBOT}
본 발명은 안내 로봇에 관한 것이다.
로봇의 응용분야는 대체로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생산과 같은 기계 가공 공업에서는 로봇이 반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람의 팔이 하는 작업을 한 번만 가르쳐 주면 몇 시간이든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산업로봇이 이미 많이 가동되고 있다.
또한, 로봇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기술은 이미 종래에 많이 구현되어 있다. 로봇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거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다.
한편, 최근 공항 이용객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 및 스마트 공항으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으로, 공항 내에서 로봇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공항에 인공지능 로봇을 도입하는 경우,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이 대체할 수 없었던 사람의 고유 역할을 로봇이 대신 수행할 수 있어, 제공되는 서비스의 양적 및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동작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상기 필요한 정보에 맞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의 높이가 조절되거나 회전하여 사용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등록번호: 10-1496909 (등록일자: 2015.02.23)
발명의 명칭: 로봇
2. 등록번호: 20-0441761 (등록일자: 2008.09.01)
발명의 명칭: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로봇
상기 선행문헌에서 로봇은 몸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피사체의 시선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 높이조절 및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단수의 디스플레이만을 구비하므로 먼 거리에서 로봇이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기에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디스플레이 크기의 확장에도 한계가 존재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기본적으로 피사체 하나의 방향을 향하여 하나의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선행문헌도 하나의 피사체를 가정하여 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다수의 사람들이 유동하는 장소 예를 들어 공항, 놀이공원, 대형 스타디움 등에서는 이와 같은 로봇의 활용도가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술한 선행문헌의 로봇은 정지한 경우와 주행 중인 경우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자의 눈높이에 집중하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주행 중 디스플레이 위치에 기인하여 불필요한 공기 저항을 얻게 된다.
또한, 상술한 선행문헌의 디스플레이는 로봇의 전체 형상과 매칭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승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로봇의 균형이 쉽게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로봇의 균형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면, 주행시 작은 충돌에도 쉽게 넘어지거나, 사람 등에 충돌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안내 로봇에 있어서 먼거리로 이동할수록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안내 로봇에 있어서 주행 시와 정지 시에 달라지는 디스플레이의 사용환경에 알맞게 대처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안내 로봇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일 방향으로 일 정보만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넘을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하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안내 로봇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의 무게에 의하여 안내 로봇의 주행 과정에서 커브나 주위의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질 수 있는 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제 1 미들커버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동 가능한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1 미들커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회동 가능한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대 화면의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므로, 안내 로봇이 먼거리로 떨어져 있어도 디스플레이가 잘 보이므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주행 시에는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양 측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독립적으로 밀착 고정되고, 정지 시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주행 또는 정지 상황에 알맞게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환경에 알맞은 디스플레이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리더기가 구비되는 헤드부의 케이스인 탑커버, 상기 탑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미들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양 측방에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복수로 구비되므로,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독립적인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제 1 미들커버의 후면커버에 대응되도록 제 1 축 및 제 2 축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 축이 제 1 디스플레이의 회동중심이 되며, 상기 제 2 축이 제 2 디스플레이의 회동중심이 되므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의 회동 시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독립적인 방향에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다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제 2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함으로써 통일된 방향에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헤드부의 케이스인 탑커버, 바디부의 케이스인 제 1 미들커버, 주행부의 케이스인 제 2 미들커버가 구비되어 외관을 이루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 미들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의 하면에 의해 고정 지지되므로, 안내 로봇의 주행 시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필요에 따라 하나의 화면으로 합쳐져 먼 거리에서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내 로봇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안내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안내 로봇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먼 거리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안내 로봇의 신뢰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과 정지에 따라 변화하는 디스플레이의 포지션은 안내 로봇의 사용환경에 알맞도록 변화하는 것이므로 안내 로봇의 작동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시에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주행의 안정성을 높여주며, 주의의 사람과의 충돌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각각의 방향에서 독립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다양화될 수 있다. 즉, 정보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의 주행 시 디스플레이의 무게를 상하로 지지하고 고정해줄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하중에 의한 구조적 처짐 현상과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인 디스플레이의 활용에 의하여 멀티적으로 복수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내 로봇의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하는 안내 로봇의 수를 감소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결합되어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거나 분리되어 각각의 방향으로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안내 로봇을 통하여 공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주행 시 외관을 보여주는 후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정지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정지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주행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내 로봇은 공항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 또는 공항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전방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주행 시 외관을 보여주는 후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정지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도 1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름하며, 가로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안내 로봇(1)의 중심축 방향이며, 제 2 미들커버(33)의 중심축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의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이름한다. 또한, 스테레오 카메라(43)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이름하고, 이에 정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이름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로봇(1)은 본체(10)와,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32,3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31), 상기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미들 커버(32),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미들 커버(33) 및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받기 위하여 성인 어른의 키보다 낮은 높이(예: 142cm)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31)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전면 일측에 조작부(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1)는 사물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 인식 센서는 2D 카메라 및 RGB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D 카메라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사람 또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GBD 센서(Red, Green, Blue, Distance)는 사람의 위치 또는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직접 입력받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조작부(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이크(42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42a)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42a)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탑 커버(31)의 상단부 어느 지점에 4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로봇(1)이 정지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이더라도, 사용자로부터 음성 형태의 길 안내 요청을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는 상기 조작부(41)가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예: 음성 명령 등)을 수신하면, 상기 탑 커버(31)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공항 정보 등을 보면서 상기 조작부(41)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비상 조작 버튼(4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은 상기 안내 로봇(1)이 정지해 있거나 주행 중에, 상기 안내 로봇(1)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은 본체(10)에 설치되는 메인 파워보드의 전원을 on/off하도록 상기 메인 파워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은 상기 안내 로봇(1)이 전방을 향하여 주행하더라도,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은 상기 조작부(41)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상기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원통 형상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내부에는 보드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바디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커버(32)는 상기 탑커버(31)의 하부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탑커버(31)의 하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미들커버(32)는 상기 탑커버(31)의 하면의 원 내부에 그려지는 삼각형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삼각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탑커버(31)의 하면과 후술할 제 2 미들커버의 상면(33b)은, 디스플레이부(20)가 안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전면부는, 라운드진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커버(32)는 횡단면이 부채꼴인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전면부는 광고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전면부의 호의 크기를 양 측면커버가 형성하는 호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양 측면커버는 제 1 측면커버(37)와 제 2 측면커버(38)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커버(32)가 부채꼴인 기둥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라운드면을 가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일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1 측면커버(37)와, 상기 전면부의 타 단부에서 상기 제 1 측면커버(37)까지 연장되는 제 2 측면커버(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부채꼴의 중심각이 위치하는 꼭지점을 절단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상기 제 1 측면커버(37)로부터 상기 제 2 측면커버(38)까지 연장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후면커버(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커버(37)는 후술할 제 1 디스플레이(21)가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측면커버(38)는 후술할 제 2 디스플레이(22)가 밀착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39)는, 후술할 제 1 디스플레이(21)와 제 2 디스플레이(22)의 회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이 형성하는 둘레의 내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커버(32)는 제 1 디스플레이안착부(32a) 및 제 2 디스플레이안착부(3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안착부(32a)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정면부와 상기 제 1 측면커버(37)의 사이에, 일정 폭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안착부(32b)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정면부와 상기 제 2 측면커버(38)의 사이에, 일정 폭을 가지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안착부(32a) 및 제 2 디스플레이안착부(32b)는 후술할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 및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의 일 측 단부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3,24)가 안착되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상부에는 RGBD 센서(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상기 안내 로봇(1)과 장애물 사이의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하는 방향, 즉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또는 사람의 키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스피커(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정면부 내측에는 스피커(4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44)는 사용자에게 공항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피커(44)는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는 배터리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스테레오 카메라(43)와 연결되는 카메라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테레오 카메라(43)의 작동을 위한 홀이다. 상기 카메라 홀은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43)는 상기 카메라 홀을 통해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스테레오 카메라(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43)는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입체영상을 통해 상기 안내 로봇(1)과 장애물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제 1 절개부(46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전방 라이더(71)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상기 전방 라이더(136)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전방 라이더(71)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라이더(71)는 상기 제 1 절개부(46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제 2 절개부(46b)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후술될 후방 라이더(72)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후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후방 라이더(7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제 2 절개부(46b)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절개부(46b)와 연결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절개부(46b)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안내 로봇(1)의 후방 라이더(72)에서 방출된 레이저가 다른 안내 로봇(1)의 전방 라이더(71)에 조사되어 상호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커버(33)는 상면(33b)에서부터 스테레오 카메라와 연결되는 카메라 홀의 위치까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방을 향하여 커지는 직경의 비는 변동할 수 있다. 상기 변동하는 비율로 직경이 커지면서 형성되는 외곽면을 라우드커버(33a)라고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미들커버(33)는, 상기 카메라 홀의 위치에서부터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방을 향하여 커지는 직경의 비는 일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탑커버(31)의 하단면과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은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초음파 센서(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상기 안내 로봇(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안내 로봇(1)과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안내 로봇(1)에 근접한 전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다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단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34)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텀 커버(34)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34)의 내부에는 메인바퀴 및 보조바퀴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본체(10)의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는 상기 안내 로봇(1)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우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상기 안내 로봇(1)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21,22)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커버(2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를 수용하는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를 수용하는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는, 상기 본체(10)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을 이룰 수 있다. 마찬자기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는 상기 본체(10)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 및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는 상기 안내 로봇(1)의 내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의 홀로 형성하는 제 1 결합홀(23a) 및 제 2 결합홀(2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3,24)와 본체(1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축(2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는 제 1 축(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제 2 축(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25)은, 상기 제 1 결합홀(23a)에 삽입되거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결합홀(23a)과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축(25)은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와 상기 제 1 축(25)의 체결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와 상기 제 1 축(25)은 상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축(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에는 제 1 홀(2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27)에는 상기 제 1 축(25)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축(25)은 상기 탑커버(31)의 하면과 상기 상면(33b)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와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의 회동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축(26)은, 상기 제 2 결합홀(24a)에 삽입되거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결합홀(23a)과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축(26)은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와 상기 제 2 축(26)의 체결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와 상기 제 2 축(26)은 상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축(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에는 제 2 홀(2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은 상기 제 1 홀(27)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홀(28)에는 상기 제 2 축(26)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축(26)은 상기 탑커버(31)의 하면과 상기 상면(33b)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와 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의 회동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27) 및 제 2 홀(28)은, 상기 후면커버(39)의 양 단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27)에는 상기 제 1 결합홀(23a)을 통과한 제 1 축(25)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홀(28)에는 상기 제 2 결합홀(24a)을 통과한 제 2 축(26)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에 수용되는 제 1 디스플레이(21)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에 수용되는 제 2 디스플레이(22)는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복수개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라운드커버(33a) 내측에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결합홀(23a) 및/또는 제 2 결합홀(24a)을 향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모터는 각각 제 1 축(25) 및/또는 제 2 축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축(25) 및 제 2 축(26)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커버(31)의 내측에도 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31)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는, 상기 제 1 축(25) 및/또는 제 2 축 (26)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운드커버(33a)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는 상기 제 1 축(25) 및/또는 제 2 축(26)의 하단부와 연결할 수 있고, 상기 탑커버(31)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는 상기 제 1 축(25) 및/또는 제 2 축(26)의 상단부와 연결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모터는 상기 제 1 축(25) 및/또는 상기 제 2 축(26)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축(25)과 제 2축(26)을 회전시키는 장치는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축(25,26)은 벨트 풀리 방식, 체인 전동 방식, 로프 전동 방식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일 때에는,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의한 충돌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의 배면부는 상기 제 1 측면커버(37)와 맞닿아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의 배면부는 상기 제 2 측면커버(38)와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 및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의 상단은 상기 탑커버(31)의 하면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 및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의 하단은 상기 제 2 미들커버(33)의 상면(33b)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를 디스플레이부(20)의 접힘 상태라고 이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는, 상기 제 1 측면커버(37), 상기 탑커버(31)의 하면 및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상면(33b)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상기 제 2 측면커버(38), 상기 탑커버(31)의 하면 및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상면(33b)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안내 로봇(1)이 정지한 때에는, 주행 안정성을 확보의 요구보다 사용자에 대한 안내기능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는 상기 제 1 축(25)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는 상기 제 2 축(26)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의 후방에서 측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하나의 화면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면커버(39)에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일체의 디스플레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체의 디스플레이는 최대 면적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와 제 2 디스플레이(22)는 하나의 화면을 좌우로 분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디스플레이부(20)의 펼침 상태 또는 합체 상태라고 이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멀리 있는 사용자도 상기 안내 로봇(1)의 안내를 확인할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후, 다시 안내 로봇(1)이 주행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23)는 역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측면커버(37)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는 제 1 측면커버(37)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커버(24)는 역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측면커버(38)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제 2 측면커버(38)에 고정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의 주행 시에는,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양 측면에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가 독립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 1 디스플레이(21)와 제 2 디스플레이(22)는 각각의 방향으로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안내 로봇(1)의 정지 시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22)는 회동하여 좌우로 연결되므로 대형화면을 가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대형화면으로 합체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3)의 후방, 즉, 상기 후면커버(39)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대형화면으로 합체된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0)는 공통된 정보를 대형화된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디스플레이(21)와 제 2 디스플레이(22)는 하나의 화면을 각각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로봇(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안내 로봇(1)은 공항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어느 지정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42a)에 의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후 2D카메라 또는 RGBD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탑커버(31)와 조작부(41)가 사용자에게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탑커버(31)는 제 1 미들커버(32)의 후방을 향하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로봇(1)은 사용자의 일정 거리 앞에서 정지하고, 이때, 상기 축(25,26)과 연결되는 모터를 구동하여 접힘 상태에 있는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가 회전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는 합체 상태가 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은 정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을 향하는 조작부(41)를 컨트롤 하여 자신을 향하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후 안내 로봇(1)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에스코트하여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사용자에게 탑승구 안내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는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시각 정보(예: 공항 게이트 질의 정보, 길 안내 서비스 정보 등)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동력전달 장치를 통하여 주행기능을 제공하는 주행부(70), 상기 주행부(70)의 상측에 위치하여 주요 전자장비를 구비하는 바디부(60) 및 상기 바디부(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부(70)는 모터와 연결되는 메인 바퀴와 상기 메인바퀴에 종속적인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의 상측에 적층되는 범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60)는 상기 주행부(70)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6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60)에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핵심적인 전자 장비(AP보드, UI보드, 메인보드 등)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는, 상기 탑 커버(31)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헤드부(5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탑 커버(31)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탑 커버(31)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50)는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는 리더기(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55)는 사용자의 여권, 항공권, 모바일 바코드 등을 스캔 또는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더기(55)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리더기(55)에 모바일 기기를 삽입하여, 모바일 탑승권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모바일 탑승권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탑승구를 표시하고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31)는 상기 리더기(55)의 삽입구와 연결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탑커버(31)에 형성된 홀로 항공권을 삽입하면 상기 리더기(55)에 의해 바코드를 인식하고 관련된 정보를 제 1 디스플레이(21) 또는 제 2 디스플레이(2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정지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주행 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본체의 외형이 달라지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안내 로봇(1)은 본체(10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제 1 디스플레이(201)와 제 2 디스플레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본체(100)는, 주행이 가능한 주행부(70’), 상기 주행부(70’)의 상측에 연장되는 바디부(60’) 및 상기 바디부(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부(70’), 바디부(60’), 및 헤드부(5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케이스(커버)의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세하게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100)는 정면부가 일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헤드부(50’), 바디부(60’) 및 주행부(70’)의 케이스는 전면부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70’)는 지면을 향할수록 크기가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져 기울어짐이나 불균형에 기인한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부(70’)의 상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60’)와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부(50’)의 하면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6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부(70’)의 케이스(제 2 미들커버)는 상기 헤드부(50’)의 케이스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행부(70’)의 케이스(제 2 미들커버)의 상면이 삼각 형상을 가지면 상기 헤드부(50’)의 케이스(탑커버)의 하면은 상기 주행부(70’)의 케이스의 상면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부(60’)의 케이스(제 1 미들커버)는, 상기 주행부(70’)의 케이스로부터 상기 헤드부(50’)의 케이스까지 연장되는 가상의 공간을 최대 부피로 하여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60’)의 케이스에 밀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헤드부의 하면과 주행부의 상면에 의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바디부(60’)의 케이스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바디부(60’)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우측방과 좌측방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헤드부(50’)는 상기 바디부(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헤드부(50’)의 하면은, 상기 바디부(6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크기는 디스플레이부(200)의 지지공간을 고려하여 더 크게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50’)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50’)의 케이스인 탑커버(310)의 하면은 상기 바디부(60’)의 케이스인 제 1 미들커버의 상면과 대응되도록 형성하며, 탑커버(310)의 하면의 면적은 제 1 미들커버의 상면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헤드부(5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상측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브(200)를 지지해주므로 원형의 경우보다 불필요한 공간낭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헤드부(50’)는 탑커버(310) 및 경사커버(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310)는 상기 헤드부(50’)의 외관을 둘러싸는 케이스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커버(311)는 상기 탑커버(310)의 일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커버(311)는 상기 헤드부(50’)의 상면의 어느 일 지점에서 하면의 후방 단부까지 일정한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케이스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경사커버(311)는 중심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비상스위치(4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커버(311)는, 상기 탑커버(310)의 일 측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가압 시 상기 탑커버(310)와 회동하지 않는 모서리가 상방으로 상승하여 경사커버(311)가 열릴 수 있다. 사용자가 상승된 모서리부분을 다시 눌려주면 경사커버(311)가 닫힐 수 있다.
상기 경사커버(311)가 열리는 경우, 상기 경사커버(311) 내부에 위치하는 리더기(5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경사커버를 1 회 가압하여 개방시킨 뒤, 노출된 상기 리더기(55)에 탑승권 등을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초한 정보를 디스플레이(201,202)를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10 : 본체 31 : 탑커버
32 : 제 1 미들커버 33 : 제 2 미들커버

Claims (9)

  1. 회전 가능한 탑커버;
    상기 탑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미들커버;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다수의 보드가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미들커버;
    상기 제 2 미들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바퀴가 구비되는 주행부 및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일 측면에 위치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타 측면에 위치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커버;
    상기 제 1 디스플레이커버에 형성되는 결합홀; 및
    상기 제 1 결합홀을 관통하며,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축을 포함하는 안내 로봇.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가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미들커버의 양 측면에 독립적으로 밀착 고정되며,
    상기 주행부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는 회동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형성하는 안내 로봇.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과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6.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제 2 미들커버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 및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2 미들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의 하면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안내 로봇.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사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커버가 열리는 경우, 상기 리더기가 외부로 노출되는 안내 로봇.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들커버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가지는 안내 로봇.
KR1020160178424A 2016-12-23 2016-12-23 안내 로봇 KR20180074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24A KR20180074394A (ko) 2016-12-23 2016-12-23 안내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24A KR20180074394A (ko) 2016-12-23 2016-12-23 안내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394A true KR20180074394A (ko) 2018-07-03

Family

ID=6291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24A KR20180074394A (ko) 2016-12-23 2016-12-23 안내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3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642A (zh) * 2020-12-12 2021-03-30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防撞底盘
CN112894838A (zh) * 2021-01-13 2021-06-04 深圳玖伍微联信息技术有限公司 机器人及头部回转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642A (zh) * 2020-12-12 2021-03-30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防撞底盘
CN112572642B (zh) * 2020-12-12 2022-01-14 安徽新博普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机器人用防撞底盘
CN112894838A (zh) * 2021-01-13 2021-06-04 深圳玖伍微联信息技术有限公司 机器人及头部回转装置
CN112894838B (zh) * 2021-01-13 2021-10-15 深圳玖伍微联信息技术有限公司 机器人及头部回转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70214B (zh) 机器人
EP3338963B1 (en) Guide robot
EP3646998B1 (en) Mobile robot
EP3422331A1 (en) Method of operating moving robot
KR102642621B1 (ko) 안내 로봇
US10834845B2 (en) Guide robot
US11731261B2 (en) Mov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91914B1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KR102137173B1 (ko) 안내 로봇
KR101989576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장치
KR102137164B1 (ko) 안내 로봇
EP3338964B1 (en) Guide robot
KR20180074394A (ko) 안내 로봇
KR102648103B1 (ko) 안내 로봇
KR102070213B1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KR20180074499A (ko) 안내 로봇
US20210157326A1 (en) Autonomous mobile body system, control program for autonomous mobile body, and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body
KR20190003124A (ko) 이동 로봇의 동작 방법
KR20190004986A (ko) 안내 로봇
KR102648105B1 (ko) 안내 로봇
KR102021948B1 (ko) 안내 로봇
KR20190143542A (ko) 이동 로봇
JP2018126808A (ja) ブース付ロボット
JPH08297032A (ja) 車両の情報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