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658B1 -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658B1
KR100776658B1 KR1020060111366A KR20060111366A KR100776658B1 KR 100776658 B1 KR100776658 B1 KR 100776658B1 KR 1020060111366 A KR1020060111366 A KR 1020060111366A KR 20060111366 A KR20060111366 A KR 20060111366A KR 100776658 B1 KR100776658 B1 KR 10077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battery
power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통신용 장치와 네비게이션 센서가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된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에서 차량사고로 차량의 배터리가 파손되었을 경우 사용하기 위해 장착되어진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시간지연 없이 자동으로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는 중앙제어부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와; 사고 발생시 차량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와; 차량의 사고 혹은 추돌 등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석 고정코어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점이 형성되는 이동철편을 가지며 접점 형성시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중앙제어부 측에 전달하고,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의 출력신호 중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인식하고 인식된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디지털 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동철편에 의한 접점을 유지시키는 전자석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차량배터리, 정전압부, 보조배터리, 에어백 작동제어부, 추돌신호 검출부, 전자석 스위치, 무선송출부, 중앙제어부, 위치정보 발생부

Description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ACCIDENT HAPPENING AUTOMATIC NOTICE SYSTEM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동작 상태 신호 파형 예시도
도 3은 종래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종래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상태 신호 파형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배터리 11 : 정전압부 20 : 보조배터리
30 : 에어백 작동제어부 40 : 추돌신호 검출부 MS : 전자석 스위치
50 : 무선송출부 60 : 중앙제어부 70 : 위치정보 발생부
본 발명은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통신용 장치(CDMA, GSM 등의 기타 위성 등 모든 통신장치)와 네비게이션 센서가 하나 의 시스템에 통합된 텔레매틱스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에서 차량사고로 차량의 배터리가 파손되었을 경우 사용하기 위해 장착되어진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시간지연 없이 자동으로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 또는 기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돌시 자동차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는 안전벨트와 더불어 에어백 시스템(Air-bag system)이 있으며,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센서, 배터리, 진단장치 등으로 구성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Air-bag control unit)와 에어백과 작동기체 팽창장치로 구성된 에어백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근래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사고발생시 탑승자가 사고신고를 못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사고발생 여부와 해당위치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장소(예를 들어, 보험회사, 긴급구조센터 등)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종래 구현방식에 대해 첨부한 도 3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첨부한 도 3은 종래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입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는 중앙제어부(60)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10)와, 상기 차량배터리(10)의 공급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중앙제어부(60)에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부(11)와, 사고발생시 차량배터리(1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20)와,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며 온동작시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을 상기 중앙제어부(60) 측에 전달하는 스위치(S)와, 차량의 사고 혹은 추돌 등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제어부(30)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작동에 따른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는가를 인식하기 위한 추돌신호 검출부(40)와, 상기 추돌신호 검출부(40)에서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이 디지털 장치에 공급되도록 스위치(S)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입력되는 정보를 특정의 장소(예를 들어, 보험회사, 긴급구조센터 등)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출부(50) 및 상기 중앙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현 차량의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송출부(50) 측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발생부(7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은 에어백 작동제어부 (30)가 작동하는 경우 이를 사고 혹은 추돌로 인식하여 위치정보 발생부(70)를 통해 인식되는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무선송출부(50)에서 특정의 장소(예를 들어, 보험회사, 긴급구조센터 등)에 무선으로 자동통지하는 기술이다.
이때,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동전원으로 평소에는 차량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압부(11)에서 4V로 변환하여 사용하며, 보조배터리(20)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그런데 사고발생시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작동제어부(30)가 추돌에 의한 에어백 작동시점에 차량배터리(10)가 손상되었다고 가정하 는 경우 이를 대비하여 보조배터리(20)가 존재하나, 실질적으로 보조배터리(20)에 의해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이 동작하는 시점은 약 70ms 정도의 시간지연이 발생되어진다.
그 이유는 에어백 작동제어부(30)가 추돌을 감지하여 에어백 작동을 위한 신호(추돌신호)를 발생시키면 이를 인식하는 추돌신호 검출부(40)에서의 동작상의 이유로 약 50ms 정도의 지연시간이 발생되고, 무선송출부(50) 측에서 스위치(S)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데 약 20ms 정도의 지연시간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첨부한 도 3에서는 배터리의 구동전원이 중앙제어부(60) 측에만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전체에 공급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작동시점에 차량배터리(10)가 손상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 무선송출부(50)의 동작이 멈춤에 따라 보조배터리(20)의 전원공급 그 자체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사고로 판단될 수 있는 상황에서 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도록 전자석 원리의 전원전달경로 개폐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간지연 없이 보조배터리로부터 정상적인 전원공급을 받도록 하는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는 중앙제어부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와; 사고발생시 차량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와; 차량의 사고 혹은 추돌 등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석 고정코어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점이 형성되는 이동철편을 가지며 접점 형성시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중앙제어부 측에 전달하고,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의 출력신호 중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인식하고 인식된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디지털 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동철편에 의한 접점을 유지시키는 전자석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입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는 중앙제어부(60)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10)와, 상기 차량배터리(10)의 공급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중앙제어부(60)에 공급하기 위한 정전압부(11)와, 사고발생시 차량배터리(10)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6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 (20)와, 차량의 사고 혹은 추돌 등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제어부(30)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에어백작동에 따른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는가를 인식하기 위 한 추돌신호 검출부(40)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석 고정코어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점이 형성되는 이동철편을 가지며 접점 형성시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을 상기 중앙제어부(60) 측에 전달하는 전자석 스위치(MS)와, 상기 추돌신호 검출부(40)에서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이 디지털 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전자석 스위치(MS)의 이동철편에 의한 접점을 유지시키며 이후 입력되는 정보를 특정의 장소(예를 들어, 보험회사, 긴급구조센터 등)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송출부(50) 및 상기 중앙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현 차량의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상기 무선송출부(50)측에 제공하는 위치정보 발생부(7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전과 마찬가지로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구동전원으로 평소에는 차량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압부 (11)에서 4V로 변환하여 사용하며, 보조배터리(20)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 또는 기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돌시 에어백 작동제어부(30)가 작동하고,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는 전자석 스위치(MS)에 직접 입력되어진다.
상기 전자석 스위치(MS)는 전자석 고정코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두 개의 이동철편이 위치하며, 평소에는 무선송출부(50) 혹은 에어백 작동제어부(30)와 보조배터리(20) 간의 등전위가 형성되어 고정코어가 전자석으로써 역할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이동철편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점을 형성하게 되면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이 바로 중앙제어부(60) 측에 제공되어진다.
즉 사고발생시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작동제어부 (30)가 추돌에 의한 에어백 작동시점에 차량배터리(10)가 손상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도 보조배터리(20)의 전원은 바로 중앙제어부(60) 측에 제공되어진다.
반면에 상술한 과정에 의해 상기 전자석 스위치(MS) 내 이동철편의 접점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30)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가 일정시간 이후 정지되며 추돌감지신호가 정지되면 무선송출부(50)가 정상상태를 유지함으로 무선송출부(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의 동작 중 에어백 작동시점에 주 전원공급장치가 손상되어 보조전원장치가 구동되기 이전에 시스템 전체가 다운되어 통지 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되는 정전압에 의해 구동하며 현 차량의 상황과 위치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감독하는 중앙제어부와;
    차량의 각종 전기장치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차량배터리와;
    사고발생시 차량배터리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중앙제어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와;
    차량의 사고 혹은 추돌 등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구비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작동제어부와;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전자석 고정코어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접점이 형성되는 이동철편을 가지며 접점 형성시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중앙제어부 측에 전달하고, 상기 에어백 작동제어부의 출력신호 중 추돌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이를 인식하고 인식된 추돌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디지털 장치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동철편에 의한 접점을 유지시키는 전자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석 스위치는 에어백 작동제어부의 추돌신호가 정지된 후 무선송출부에 의하여 제어하는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KR1020060111366A 2006-11-13 2006-11-13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KR10077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66A KR100776658B1 (ko) 2006-11-13 2006-11-13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366A KR100776658B1 (ko) 2006-11-13 2006-11-13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658B1 true KR100776658B1 (ko) 2007-11-15

Family

ID=3906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366A KR100776658B1 (ko) 2006-11-13 2006-11-13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86B1 (ko) * 2007-11-19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782A (ko) * 1995-12-27 1997-07-31 정몽원 자동차용 밧데리
KR19980030372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용 구조신호 송수신장치
JP2003072489A (ja) 2001-09-07 2003-03-12 Yazaki Corp 車両用電源供給装置
KR200369320Y1 (ko) 2004-09-07 2004-12-03 유기현 스위치를 이용한 보조전원 점검장치
KR100610972B1 (ko) 2005-07-04 2006-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용 보조전원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4782A (ko) * 1995-12-27 1997-07-31 정몽원 자동차용 밧데리
KR19980030372A (ko) * 1996-10-29 1998-07-25 양재신 자동차용 구조신호 송수신장치
JP2003072489A (ja) 2001-09-07 2003-03-12 Yazaki Corp 車両用電源供給装置
KR200369320Y1 (ko) 2004-09-07 2004-12-03 유기현 스위치를 이용한 보조전원 점검장치
KR100610972B1 (ko) 2005-07-04 2006-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용 보조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86B1 (ko) * 2007-11-19 201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응급사고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128B2 (en) On-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JP2005112043A (ja) 車両用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4180941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844427B1 (ko) 시트벨트 착용여부 감지시스템 및 방법 및 방법
KR20170016622A (ko) 차량 후방 안전표시등 제어 시스템
CN101638078A (zh) 一种基于gsm/gps可报警与跟踪的安全气囊系统及其控制方法
JP5177586B2 (ja) 制御装置
KR100776658B1 (ko)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CN112193196B (zh) 车辆
US2017029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erts relative to airbag deployment
US94976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ggering an emergency call in a motor vehicle
CN101887809B (zh) 一种安全带佩戴触发开关
CN109849672B (zh) 电池包防碰撞系统及其控制方法、电动汽车
KR101621874B1 (ko) 에어백 시스템, 그 제어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44858A (ko) 사고 차량의 2차 충돌 방지시스템
CN101885321A (zh) 一种安全带佩戴智能提醒装置
JP2021009512A (ja) 事故通報装置
KR100567349B1 (ko) 오토바이 안전 시스템
JPH04252758A (ja) 衝突判断回路
KR100412707B1 (ko) 차량의 충돌 감지와 가속도량을 함께 측정 가능한에어백용 통합센서
JP420381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110105916A (ko) 통합 에어백 전자 제어 유닛
KR20110009892A (ko)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
KR100447740B1 (ko) 차량용 시트벨트 프리텐셔너 제어 시스템
CN113815420A (zh) 一种电动汽车的碰撞检测控制方法、系统及电动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