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5749A -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5749A
KR20170015749A KR1020150108610A KR20150108610A KR20170015749A KR 20170015749 A KR20170015749 A KR 20170015749A KR 1020150108610 A KR1020150108610 A KR 1020150108610A KR 20150108610 A KR20150108610 A KR 20150108610A KR 20170015749 A KR20170015749 A KR 2017001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ffer
voltage
digit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795B1 (ko
Inventor
황문상
최원준
박준상
안태지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8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95B1/ko
Priority to US15/174,845 priority patent/US10297221B2/en
Publication of KR2017001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749A/ko
Priority to US16/373,522 priority patent/US10504474B2/en
Priority to US16/708,390 priority patent/US11270660B2/en
Priority to KR1020220109252A priority patent/KR102670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데이터 드라이버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출력 버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기준 계조 전압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 버퍼부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출력 버퍼부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ATA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OLED 등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전력 소모가 낮은 장점이 있어, 모니터, 노트북,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거나,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여 출력 오프셋을 저감할 수 있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출력 버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기준 계조 전압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 버퍼부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한다. 상기 출력 버퍼부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상기 계조 전압들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스위치부, 유닛 게인 버퍼 및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계조 전압을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 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폴디드 캐스코드 증폭기(folded cascode amplifier)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클래스 AB 증폭기(class AB amplifi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에 포함된 스위치부들은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드라이버, 데이터 드라이버 및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출력 버퍼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복수의 기준 계조 전압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 버퍼부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출력 버퍼부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는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스위치부 및 유닛 게인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계조 전압을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 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준 계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달하는 계조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데이터 드라이버 내 출력 버퍼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여 출력 오프셋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조 전압 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DAC 및 출력 버퍼를 자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버퍼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퍼 회로 중 하나의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6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7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8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압 안정화부에 소스 폴로워가 포함되는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폴로워를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에 연결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DP), 신호제어부(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계조 전압 생성부(130), 및 데이터 드라이버(14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과 같은 투과형 표시패널 또는 반투과형 표시패널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및 한 쌍의 편광판들(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패널은 VA(Vertical Alignment)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plane switching) 모드 또는 FFS(fringefield switching) 모드, 및 PLS(Plane to Line Switching) 모드 등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일 수 있고, 특정한 모드의 패널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된다.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절연되게 교차한다.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20)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40)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상기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그밖에 상기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펜타일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화소(PXij)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과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i번째 게이트 라인(GLi)으로부터 수신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j번째 데이터 라인(DLj)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화소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커패시터는 상기 대응하는 화소 전압과 공통 전압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하량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량에 따라 액정 방향자(미도시)의 배열이 변화되어, 상기 액정 방향자의 배열에 따라 상기 액정층으로 입사된 광이 투과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화소(PXij)는 상기 화소 전압의 레벨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할 수 있다.
신호제어부(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계조 전압 생성부(130) 및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영상이 생성되도록 상기 표시패널(DP)을 제어한다.
신호제어부(110)는 입력 영상신호들(RGB)을 수신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4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제어부(110)는 수신된 입력 영상신호들(RGB)을 변환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제어부(110)는 각종 제어신호들(CS), 예를 들면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메인 클럭신호,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 등을 입력받고,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들(CONT1, CONT2)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제어신호(CONT1)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로 전달되고 제 2 제어신호(CONT2)는 데이터 드라이버(1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들(CONT1, CONT2)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4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제 1 제어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게이트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신호들은 활성화 구간이 서로 다른 펄스신호들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화소행 단위로 턴-온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계조 전압 생성부(130)로부터 각 계조에 해당하는 기준 계조 전압(VGMA1~VGMAn)을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화소행 단위로, 해당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 1 제어신호(CONT1)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12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직개시신호, 게이트 전압의 출력시기를 결정하는 게이트 클럭신호 및 상기 게이트 전압의 온 펄스폭을 결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조 전압 생성부(300)는 제 1 구동 전압(VDD) 및 공통 전압(Vcom)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의 광 투과율과 관련된 기준 계조 전압들(VGMA1~VGMAn)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구동 전압(VDD)의 레벨은 표시 패널마다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제 2 제어신호(CONT2) 및 상기 영상 데이터들(RGB)을 수신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40)는 계조전압 생성부(130)로부터 전달받은 계조전압들(VGMA1-VGMAn)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들(RGB)을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제어신호(CONT2)는 데이터 드라이버(140)의 동작을 개시하는 수평개시신호(STH), 상기 데이터 전압들(VRGB)의 극성을 제어하는 극성제어신호(POL),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4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압들(VRGB)이 출력되는 시기를 결정하는 출력개시신호(T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조 전압 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조 전압 생성부(200)는 상기 제 1 구동 전압(VDD)과 상기 공통 전압(Vcom)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저항들(RS1-RSn, Rs0)을 포함하여, n개의 기준 계조 전압(VGMA1, VGMA2, …, VGMAn)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계조 전압(VGMA1, VGMA2, …, VGMAn)은 전압 분배 원리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 전압(VDD)과 공통 전압(Vcom) 사이에서 서로 다른 레벨을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드라이버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쉬프트 레지스터(310), 래치(320),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330: Digital Analog Converter; 이하, DAC), 및 출력 버퍼(340)를 포함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310)는 종속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스테이지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지들은 데이터 클럭신호(CLK)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지들 중 첫 번째 스테이지에 수평개시신호(STH)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수평개시신호(STH)에 의해서 첫 번째 스테이지의 동작이 개시되면,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지들은 상기 데이터 클럭신호(CLK)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래치(320)는 복수 개의 래치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래치회로들은 상기 복수 개의 스테이지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래치(320)는 상기 영상 데이터들(RGB)을 화소행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래치회로들은 상기 제어신호들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들(RGB) 중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래치(320)는 상기 저장된 상기 화소행 분량의 영상 데이터들(RGB)을 DAC(330)에 제공할 수 있다.
DAC(330)는 계조전압 생성부(130)로부터 생성된 기준 계조 전압들(VGMA1 ~VGMAn)을 수신한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DAC(330)는 상기 복수 개의 래치회로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DAC(330)는 래치(320)로부터 공급된 상기 화소행 분량의 영상 데이터들을 계조 전압들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 버퍼(340)는 DAC(330)로부터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한다. 출력 버퍼(340)는 상기 계조 전압들을 버퍼링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링된 상기 계조 전압들은 래치(32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계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계조 전압들(VGMA1 ~VGMAn)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버퍼링된 계조 전압들은 래치(320)로부터 전달된 각각의 계조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준 계조 전압들(VGMA1 ~VGMAn)을 증폭한 전압들일 수 있다. 출력 버퍼(340)는 출력개시신호(TP)에 응답하여 화소행 분량의 데이터 전압들을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버퍼(340)는 예컨대,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DLm)의 개수와 동일한 복수 개의 버퍼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DAC 및 출력 버퍼를 자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쉬프트 레지스터(310) 및 래치(320)는 생략되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버퍼(420)는 n개의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개의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은 각각 대응하는 스위치들(421a, 422a, …, 429a) 및 대응하는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421a, 422a, …, 429a)은 C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n개의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은 유닛 게인 버퍼 대신에 특정 이득값을 갖는 버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은 클래스 AB 증폭기(class AB amplifie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상적인 데이터 드라이버는, 하나의 DAC(410) 출력을 출력 버퍼(420) 내에 포함된 n개의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이 공유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즉, DAC(410)는 출력 버퍼(420) 내에 포함된 n개의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DAC(410)가 제 1 버퍼 회로(421)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동안, 제 1 선택 신호들(SEL1, SELB1)에 기초하여 제 1 버퍼 회로(421) 내에 포함된 제 1 스위치(421a)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제 2 내지 제 n 버퍼 회로(422, …, 429)에 포함된 스위치들(422a, …, 429a)은 활성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DAC(410)로부터 출력되는 계조 전압은 제 1 버퍼 회로(421) 내에 포함된 제 1 유닛 게인 버퍼(421b)로 전달된다. 이후에, DAC(410)가 제 2 버퍼 회로(422)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출력하는 동안, 제 2 선택 신호들(SEL2, SELB2)에 기초하여 제 2 버퍼회로(422) 내에 포함된 제 2 스위치(422a)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제 1 버퍼회로, 제 3 내지 제 n 버퍼 회로(421, 423, …, 429)에 포함된 스위치들(421a, 423a, …, 429a)은 활성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DAC(410)로부터 출력되는 계조 전압은 제 2 버퍼 회로(422) 내에 포함된 제 2 유닛 게인 버퍼(422b)로 전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버퍼 회로(421) 내지 제 n 버퍼 회로(429)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이 순차적으로 DAC(410)에서 출력되어 제 1 내지 제 n 유닛 게인 버퍼(421b, 422b, …, 429b)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데이터 드라이버의 출력 버퍼(420) 내 각 버퍼 회로들(421, 422, …, 429)의 스위치들(421a, 422a, …, 429a)의 온/오프 동작시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의 입력단으로 채널 전하가 유입되어,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의 선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의 입력단에 비해 출력단 부하가 크므로, 입력단의 정착 시간(settling time)과 출력단의 정착 시간 사이에 부정합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의 출력 전압 변화가 유닛 게인 버퍼들(421b, 422b, …, 429b) 내 기생 커패시턴스를 통해 입력 전압의 변화를 유도하여 출력 오프셋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버퍼는, 각 버퍼 회로들 내에 포함된 스위치와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전압 안정화부를 두어, 상술한 유닛 게인 버퍼의 선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출력 오프셋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버퍼에 포함되는 복수의 버퍼 회로 중 하나의 버퍼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버퍼에 포함되는 버퍼 회로(500)는 스위치(510), 전압 안정화부(520) 및 유닛 게인 버퍼(53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510)는 DAC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510)는 DAC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계조 전압들 중 해당 버퍼 회로(500)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이 출력될 때 턴온되어 DAC로부터 출력되는 계조 전압을 유닛 게인 버퍼(53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해당 버퍼 회로(500)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이 출력되는 동안, 스위치(510)로 입력되는 선택 신호들(SEL, SELB)이 활성화된다.
전압 안정화부(520)는 스위치(510)의 출력단(AINP)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안정화부(520)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스위치(510)의 온오프 동작시 발생하는 채널 전하 유입에 따라 유닛 게인 버퍼(530)의 입력 전압이 영향을 받는 효과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전압 안정화부(520)는 스위치(5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530)의 출력단(AOUT)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받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전압 안정화부(5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6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620)는 스위치(610)와 유닛 게인 버퍼(630)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62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620)에 포함되는 커패시터(621)의 일단은 스위치(610)의 출력단(AINP) 및 유닛 게인 버퍼(6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ground)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안정화부(620)를 커패시터(621)로 구현하는 경우, 스위치(61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채널 전하가 유입되더라도 유닛 게인 버퍼(630)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다음 [표 1]은 섭씨 25℃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커패시터(621)의 커패시턴스 값 변화에 따른 에러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커패시턴스 값(Cs)은 100펨토패럿(fF)에서 1000펨토패럿까지 100펨토패럿 단위로 증가하였다. 비트 에러율은 10비트 중에 평균적으로 몇 비트 오류가 발생하는지를 나타낸다. "VL→VH"행은 로우 전압에서 하이전압으로 천이시의 오류를 나타내고, "VH→VL"행은 하이 전압에서 로우 전압으로 천이시의 오류를 나타낸다. 또한 VCM은 전압 천이 없는 공통 전압 유지시의 오류를 나타낸다.
Cs 100fF 200fF 300fF 400fF 500fF 600fF 700fF 800fF 900fF 1000fF
VL→VH 2.518 1.509 1.081 0.842 0.690 0.580 0.504 0.448 0.398 0.353
VH→VL 3.133 1.756 1.217 0.929 0.751 0.630 0.542 0.478 0.425 0.383
VCM 0.360 0.197 0.137 0.099 0.080 0.068 0.057 0.049 0.046 0.042
다음 [표 2]은 섭씨 100℃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커패시터(621)의 커패시턴스 값 변화에 따른 에러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Cs 100fF 200fF 300fF 400fF 500fF 600fF 700fF 800fF 900fF 1000fF
VL→VH 2.662 1.608 1.153 0.899 0.736 0.626 0.542 0.482 0.432 0.391
VH→VL 3.152 1.783 1.240 0.952 0.770 0.649 0.558 0.493 0.440 0.398
VCM 0.315 0.167 0.114 0.106 0.072 0.057 0.049 0.042 0.038 0.030
다음 [표 3]은 섭씨 -25℃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커패시터(621)의 커패시턴스 값 변화에 따른 에러율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Cs 100fF 200fF 300fF 400fF 500fF 600fF 700fF 800fF 900fF 1000fF
VL→VH 2.063 1.267 0.929 0.728 0.559 0.508 0.444 0.391 0.353 0.319
VH→VL 2.985 1.688 1.172 0.895 0.611 0.607 0.523 0.459 0.410 0.368
VCM 0.432 0.228 0.152 0.118 0.091 0.076 0.064 0.057 0.053 0.046
스위치(610)의 출력단 및 유닛 게인 버퍼(630)의 입력단 사이에 커패시터를 연결하지 않는 경우의 오차율은 평균 2 내지 3 비트였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900fF의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경우 에러율이 0.5비트 이하로 유지되며, 커패시터를 연결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하 유입에 따른 영향이 대폭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버퍼 회로(600) 내 스위치(610)와 유닛 게인 버퍼(630) 사이에 커패시터(621)를 연결하는 경우, 스위치(61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채널 전하가 유입되더라도 유닛 게인 버퍼(630)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7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720)는 스위치(710)와 유닛 게인 버퍼(730)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 722)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720)에 포함되는 소스 폴로워(722)는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 및 유닛 게인 버퍼(7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소스 폴로워(722)에 의해,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730)의 출력단(AOUT)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연결되지 않게 된다. 통상적인 버퍼 회로(예: 도 4에 도시된 버퍼 회로; 421, 422, …, 429)의 경우 스위치의 출력단과 유닛 게인 버퍼의 비반전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어, 스위치의 출력단(AINP)이 유닛 게인 버퍼 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출력단(AOUT)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7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폴로워(722)가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7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은 유닛 게인 버퍼(730) 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은 유닛 게인 버퍼(730)의 출력단(AOU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소스 폴로워(722)로 전압 안정화부(720)를 구성하는 경우, 유닛 게인 버퍼(730)의 출력단(AOUT)의 전압 변화가 스위치(710)의 출력단(AINP)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유닛 게인 버퍼(730)의 입력 전압의 변화가 저감되어 출력 오프셋이 줄어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8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안정화부(820)는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821) 및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8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822)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전압 안정화부(820)가 커패시터(821)를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81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채널 전하가 유입되더라도 유닛 게인 버퍼(830)로 입력되는 입력 전압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전압 안정화부(820)에 포함되는 소스 폴로워(822)에 의해,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30)의 출력단(AOUT)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연결되지 않게 된다. 통상적인 버퍼 회로(예: 도 4에 도시된 버퍼 회로; 421, 422, …, 429)의 경우 스위치의 출력단과 유닛 게인 버퍼의 비반전 입력단이 직접 연결되어, 스위치의 출력단(AINP)이 유닛 게인 버퍼 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해 출력단(AOUT)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퍼 회로(80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폴로워(822)가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과 유닛 게인 버퍼(830)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은 유닛 게인 버퍼(830) 내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스위치(810)의 출력단(AINP)은 유닛 게인 버퍼(830)의 출력단(AOU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압 안정화부에 소스 폴로워가 포함되는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전압 안정화부(720, 820)가 소스 폴로워(722, 822)를 포함하는 경우, 유닛 게인 버퍼(730, 830)의 출력단(AOUT)이 스위치(710, 810)의 출력단(AINP)에 영향을 덜 미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위치(810)로의 입력 전압(Vin), 스위치의 출력단과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소스 폴로워가 연결된 경우의 출력 전압 오프셋값(VAINP1), 및 소스 폴로워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출력 전압 오프셋값(VAINP2)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입력 전압(Vin)이 1.650(mV)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의 출력단과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소스 폴로워를 연결한 경우 출력전압 오프셋값(VAINP1)이 0.05(mV)인데 비해, 소스 폴로워를 연결하지 않은 경우 출력전압 오프셋값(VAINP2)은 5.21(mV)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압 안정화부가 소스 폴로워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출력전압 오프셋값을 5.21(mV)에서 0.05(mV)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폴로워를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에 연결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즉, 도 7의 소스 폴로워(720)와 유닛 게인 버퍼(730)는 도 10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소스 폴로워에 포함되는 구성은 타원형의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닛 게인 버퍼와 소스 폴로워를 포함하는 회로(1000)는 복수의 NMOS 트랜지스터, 복수의 PMOS 트랜지스터 및 복수의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유닛 게인 버퍼는 폴디드 캐스코드 증폭기(folded cascade amplifier)로 구현되며, 제 1 내지 제 10 PMOS 트랜지스터(PM1~PM10), 제 1 내지 제 10 NMOS 트랜지스터(NM1~NM10) 및 두 개의 커패시터(Cc)를 포함한다. 또한 유닛 게인 버퍼는 제 1 바이어스전압 내지 제 6 바이어스 전압(VB1P, VB2P, VB3, VB4, VB5P, VB6)과 연결되고, 또한 제 1 전원전압(VDDA) 및 제 2 전원 전압(VSSA)과 연결된다.
소스 폴로워는 네 개의 PMOS 트랜지스터(SPM1 ~ SPM4) 및 네 개의 NMOS 트랜지스터(SNM1~SNM4)를 포함한다. 또한 소스 폴로워는 제 1 바이어스 전압(VB1P), 제 4 바이어스 전압(VB4), 제 1 전원 전압(VDDA) 및 제 2 전원 전압(VSSA)과 연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회로도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소스 폴로워를 유닛 게인 버퍼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신호 제어부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Claims (14)

  1. 기준 계조 전압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하는 출력 버퍼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로서,
    상기 출력 버퍼부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상기 계조 전압들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계조 전압을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하는 유닛 게인 버퍼; 및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는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폴디드 캐스코드 증폭기(folded cascode amplifi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게인 버퍼는 클래스 AB 증폭기(class AB ampl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C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에 포함된 스위치부들은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턴온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10.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복수의 기준 계조 전압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들을 생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을 수신하는 출력 버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버퍼부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복수의 버퍼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는 전압 안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회로 각각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계조 전압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계조 전압을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하는 유닛 게인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유닛 게인 버퍼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 전압을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안정화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상기 유닛 게인 버퍼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소스 폴로워(source follow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계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달하는 계조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108610A 2015-07-31 2015-07-31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39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10A KR102439795B1 (ko) 2015-07-31 2015-07-31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5/174,845 US10297221B2 (en) 2015-07-31 2016-06-06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16/373,522 US10504474B2 (en) 2015-07-31 2019-04-02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16/708,390 US11270660B2 (en) 2015-07-31 2019-12-09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0220109252A KR102670564B1 (ko) 2022-08-30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10A KR102439795B1 (ko) 2015-07-31 2015-07-31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252A Division KR102670564B1 (ko) 2022-08-30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749A true KR20170015749A (ko) 2017-02-09
KR102439795B1 KR102439795B1 (ko) 2022-09-06

Family

ID=5788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610A KR102439795B1 (ko) 2015-07-31 2015-07-31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0297221B2 (ko)
KR (1) KR102439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23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KR20210018575A (ko) * 2019-08-05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라인으로의 전압 출력을 가속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US11705046B2 (en) 2020-10-19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with sample/hol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6654B2 (en) 2017-08-24 2019-07-3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LED pixel circuit and method for retarding aging of OLED device
CN107507568B (zh) * 2017-08-24 2019-08-1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像素电路及减缓oled器件老化的方法
CN109883562B (zh) * 2019-03-07 2021-03-09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温度传感器以及温度感测方法
US11257414B2 (en) * 2019-06-27 2022-02-22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tabilizing a source output voltage for a display pane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355A (ja) * 2002-02-08 2003-08-22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基準電圧発生方法
US20040155849A1 (en) * 2003-02-10 2004-08-12 Bu Lin-Kai Data driver for an LCD panel
KR20070038873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기주식회사 출력 버퍼회로
KR20080060077A (ko) * 2006-12-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화질 개선 방법
KR20100083319A (ko) * 2009-01-13 2010-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628A (ja) * 1998-05-16 2000-02-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表示装置
JP2001195042A (ja) * 2000-01-05 2001-07-1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パネル用ソース・ドライバ及びソース・ドライバ出力バラツキの平準化方法
JP3500353B2 (ja) * 2000-08-25 2004-02-23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ユニティーゲインバッファ
TW504898B (en) * 2001-04-17 2002-10-01 Himax Tech Inc Distributed data signal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FR2857146A1 (fr) * 2003-07-03 2005-01-07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a matrice active
KR100959780B1 (ko) * 2003-09-0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604067B1 (ko) * 2004-12-24 2006-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버퍼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집적회로와 발광 표시장치
US20070063955A1 (en) * 2005-09-16 2007-03-22 Hung-Shiang Chen Driving device
KR100800491B1 (ko) * 2007-01-2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 슬루 레이트와 다운 슬루 레이트의 매칭을 위한 출력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TW200847110A (en) * 2007-05-23 2008-12-01 Faraday Tech Corp Output stage and related logic control method applied to source driver/chip
JP5075051B2 (ja) 2008-08-05 2012-11-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Ab級増幅回路、及び表示装置
KR100980347B1 (ko) 2008-09-05 2010-09-0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더링 스위치를 구비하는 증폭기 및 그 증폭기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101022092B1 (ko) * 2009-01-12 2011-03-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810268B2 (en) * 2010-04-21 2014-08-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Built-in self-test circu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source driver
JP5616762B2 (ja) * 2010-11-24 2014-10-2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出力回路及び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US20130120327A1 (en) * 2011-11-11 2013-05-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torage capacitor for electromechanical system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3794188A (zh) * 2014-02-10 2014-05-14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输出缓冲电路、阵列基板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355A (ja) * 2002-02-08 2003-08-22 Seiko Epson Corp 基準電圧発生回路、表示駆動回路、表示装置及び基準電圧発生方法
US20040155849A1 (en) * 2003-02-10 2004-08-12 Bu Lin-Kai Data driver for an LCD panel
KR20070038873A (ko) * 2005-10-06 2007-04-11 삼성전기주식회사 출력 버퍼회로
KR20080060077A (ko) * 2006-12-26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화질 개선 방법
KR20100083319A (ko) * 2009-01-13 2010-07-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23A (ko) * 2017-12-07 2019-06-1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
KR20210018575A (ko) * 2019-08-05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라인으로의 전압 출력을 가속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US11705046B2 (en) 2020-10-19 2023-07-18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with sample/hol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184A (ko) 2022-09-19
KR102439795B1 (ko) 2022-09-06
US20190228731A1 (en) 2019-07-25
US20200118512A1 (en) 2020-04-16
US20170032759A1 (en) 2017-02-02
US10297221B2 (en) 2019-05-21
US10504474B2 (en) 2019-12-10
US11270660B2 (en)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795B1 (ko)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274504B2 (en) Output amplifier circuit and data driver of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616762B2 (ja) 出力回路及びデータ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US9147361B2 (en) Output circuit,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JP4492694B2 (ja)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952553B2 (en) Amplifier circuits in which compensation capacitors can be cross-connected so that the voltage level at an output node can be reset to about one-half a difference between a power voltage level and a common reference voltage level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TW201436464A (zh) 輸出緩衝電路以及具備該電路的源極驅動電路
CN107452354B (zh) 一种灰阶控制电路、显示驱动电路及显示装置
JP2008139860A (ja) 表示品質の改善された液晶表示システム及び関連駆動方法
US20100328289A1 (en) Signal-line driving circuit,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7551111B2 (en) Decoder circuit, driving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20090096816A1 (en) Data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JP4973482B2 (ja)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495480B2 (en) Reference voltage driving circuit with a compensating circuit
JP5417762B2 (ja) 階調電圧生成回路、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670564B1 (ko)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5086010B2 (ja) Lcdパネル駆動回路
JP5277639B2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69364A (ja) ドライバ、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164202A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2123996A1 (ja) 階調電圧発生回路及び表示装置
JP5277638B2 (ja) サンプルホールド回路、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69387A (ja)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