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219A -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219A
KR20170012219A KR1020167031175A KR20167031175A KR20170012219A KR 20170012219 A KR20170012219 A KR 20170012219A KR 1020167031175 A KR1020167031175 A KR 1020167031175A KR 20167031175 A KR20167031175 A KR 20167031175A KR 20170012219 A KR20170012219 A KR 2017001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mass
layer
resin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로 다나카
류이치 와카하라
유스케 츠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반사 필름과 접촉하는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와의 부착을 억제하는 동시에,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이나 절삭분의 전사 오염) 및 열에 의한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내열성이 양호한(열에 의한 변색이 작은) 반사 필름과,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REFLECTIVE FILM AND EDGE-LIT BACKLIGHT UNIT USING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한 반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층을 배면으로부터 비추어 발광되는 백라이트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백라이트 방식으로서는, 에지 라이트형과 직하형이 알려져 있다.
이들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반사 필름으로서, 백색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비즈층, 입자 함유층 혹은 도포층이라고도 함)이 적층되고, 표면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돌기)가 형성된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의 휘도 향상이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하기 위해, 입자의 피복률, 입자의 적층수, 돌기 높이, 돌출되는 입자 개수 등을 규정한 수지층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4).
또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혹은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접촉에 의해 도광판에 스크래치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수지층에 입자를 함유시켜 수지층 표면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내지 9).
일본 특허 공개 제2010-8584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43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442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1063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20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8-512719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1/1052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81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59610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에는 수지층에 함유되는 입자로서 많은 종류의 입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입자 중에는 폴리에틸렌 입자도 예시되어 있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 입자의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0만 이하가 일반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입자나 폴리프로필렌 입자로 대표되는 폴리올레핀 입자는 비교적 경도가 낮고, 열에 대한 열화(변색 등)가 비교적 적다는 특성이 있는 것에 주목하여, 이들 특성을 살린 반사 필름의 개발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 입자를 수지층에 함유시킨 경우, 가공 시 혹은 제품 사용 시의 고온 환경 하에서, 용융이나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그 결과 반사 필름과 접촉하는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를 오염시킨다는 좋지 않은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 입자는 비교적 미끄럼성이 양호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 입자를 수지층에 함유시켜 반사 필름의 표면에 볼록부(돌기)를 형성시킨 경우, 도광판과의 접촉에 의한 미끄럼성은 충분히 발현되지 않고, 그 결과, 도광판과의 접촉에 의해 깎인 폴리에틸렌 입자의 일부(절삭분(粉))가 도광판에 부착되어(전사되어) 도광판을 오염시킨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특성(비교적 경도가 낮고, 열에 대한 열화(변색)가 비교적 적다는 특성)을 살려, 반사 필름과 접촉하는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와의 부착을 억제하는 동시에,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이나 절삭분의 전사 오염) 및 열에 의한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내열성이 양호한(열에 의한 변색이 작은) 반사 필름과,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2]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가 폴리에틸렌 입자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인, [1]에 기재된 반사 필름.
[3]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이 5 내지 100㎛인, [1] 또는 [2]에 기재된 반사 필름.
[4] 상기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함유량이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3 내지 75질량%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
[5]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과 상기 수지층의 두께(d: ㎛)의 비율(r/d)이 1.5 이상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
[6] 상기 기재 필름이, 적어도 내부에 기포를 갖는 백색 필름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
[7] 상기 기재 필름이,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층(B층)의 양면에 상기 B층을 지지하기 위한 필름층(A층)이 적층된 백색 필름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
[8]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이, 그의 수지층이 적층된 면을 도광판과 마주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필름과 접촉하는 부재(이하, 접촉 부재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예를 들어, 도광판)와의 부착을 억제하는 동시에,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이나 절삭분의 전사 오염) 및 열에 의한 접촉 부재(예를 들어, 도광판)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내열성이 양호한(열에 의한 변색이 작은) 반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사 필름과 접촉하는 부재(접촉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반사 필름의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 접촉 부재가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특히,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하고, 이러한 유닛은 반사 필름과 도광판이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하, 접촉 부재의 예로서 도광판을 들어 설명한다.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에 의해 백점 얼룩(점상으로 밝게 시인되는 부분이 발생한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도광판과의 부착이 억제되고, 그 결과, 백점 얼룩의 발생이 억제된다.
반사 필름과 도광판이 접촉함으로써 도광판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도광판의 손상이 억제된다. 여기서, 도광판이 손상된다는 것은, 예를 들어 도광판에 스크래치 흠집이 생기는 것, 반사 필름의 수지층 중의 입자가 깎여 그 절삭분이 도광판에 전사되어 도광판을 오염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점등에 의해 고온이 되는 경우가 있어,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 종래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한 경우, 폴리에틸렌 입자가 용융하여 도광판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열에 의한 변색)이 양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반사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수지층 표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표면 사진의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지층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층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실시 형태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수지층 표면에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표면에 상기와 같은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이 억제되고, 그 결과, 백점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볼록부를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로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이나 절삭분의 전사 오염) 및 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내열성(열에 의한 변색)이 양호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표면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는, 수지층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배율 500배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찰 각도는 수지층 표면에 대해 30도의 경사각으로 관찰함으로써 볼록부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반사 필름의 일례의 수지층 표면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한 표면 사진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수지층 표면에는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 3은 본 발명에 관한 수지층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 3에 있어서, 부호 1이 수지에 의한 피막, 부호 2가 입자(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나타내고 있다.
수지층 표면에 있어서의 입자에 의한 볼록부는 입자의 일부만이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도 2의 (A)), 입자의 절반 이상이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2의 (B)). 볼록부는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개의 입자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개의 입자가 집합 혹은 응집된 상태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2의 (C)).
또한, 수지층 표면에 평면적으로 입자가 거의 간극 없이 배열되어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도 3의 (A)), 또한 수지층의 두께 방향으로 복수개의 입자가 겹친 상태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도 3의 (B)).
도 2, 3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볼록부 영역의 일부 혹은 전부가 수지층에 함유되는 수지(결합제)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입자의 탈락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이나, 환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가 적은 올레핀인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입자(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는 다른 폴리올레핀 입자(탄소수가 비교적 많은 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입자)에 비해 경도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도광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에 폴리에틸렌 입자 및 폴리프로필렌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이나, 환상 올레핀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1-부텐, 1-헥센, 1-옥텐 및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이나, 환상 올레핀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의 함유 비율은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은 99질량% 정도이다.
상기한 폴리올레핀 입자 중에서도,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입자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입자가 바람직하다. 이 폴리에틸렌 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광판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수지층에의 혼합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 수지층의 도포성이 비교적 양호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간단히 「폴리올레핀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언급이 없는 한, 「폴리올레핀 입자」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는 그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 입자(점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에 비해, 초고분자량의 폴리올레핀 입자이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을 충분히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8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도 평균 분자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0만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0만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500만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 입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5817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011231호 공보 등을 참조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을 주성분 하는 공중합체(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 입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3171호 공보를 참조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입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2348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29202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726호 공보 등을 참조함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에틸렌 입자는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어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페론(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사제), " 하이젝스 밀리언(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미쓰이 가가쿠사제), "선파인(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사제), "다이니마(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DSM사제), "스펙트라(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허니웰사제), "GUR(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티코나사제), "호스타렌(등록 상표)" 시리즈(상품명, 헥스트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는 수지층의 표면에 폴리올레핀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은 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층에 평균 입자 직경이 5㎛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수지층 표면에 적당한 볼록부가 형성되고, 그 결과,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백점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탈락을 억제한다는 관점 및 수지층을 도포 형성할 때의 균일한 도공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직경이 5 내지 100㎛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수지층에 함유시키고, 수지층 표면에 적당한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입자의 탈락 방지나 균일한 도포성을 확보하면서,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입자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는 경도가 비교적 작으므로, 도광판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 직경(r: ㎛)이란, 사진 상에서 1개의 입자를 완전히 둘러싸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있어서, 정사각형인 경우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긴 변의 길이(장축 직경)를 입자의 최대 길이로 하여, 실시예에 기재된 개수의 입자의 최대 길이를 평균한 값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의 형상은 구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의 폴리올레핀 입자로 수지층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의 흠집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구상」이란, 반드시 진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입자의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등 곡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입자의 단면에 있어서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의 비(긴 직경/짧은 직경)가 1.4 이하임을 의미한다.
수지층 표면에 폴리올레핀 입자에 의한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지층 표면의 미끄럼성이 향상된다는 바람직한 효과가 발현한다. 수지층 표면의 미끄럼성이 향상됨으로써, 반사 필름의 수지층 표면과 도광판이 접촉함으로써 일어나는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이 억제되고, 또한 수지층에 함유되는 폴리올레핀 입자가 깎이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도광판의 오염(전사 오염)이 억제되므로 바람직하다.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 입자(점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는 수지층에 함유시켜 수지층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시킨 경우, 수지층 표면의 미끄럼성은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미끄럼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이유는 점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인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 입자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는 경도가 작기 때문에, 접촉 부재(도광판)와의 접촉에 의해 압축 변형되어, 미끄럼성이 저하되어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수지층 표면의 미끄럼성이 양호하면, 백라이트가 진동했을 때나 도광판이 열변형되었을 때에, 반사 필름이 도광판에 걸려 반사 필름이 변형된다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다는 효과가 기대된다.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은 폴리올레핀 입자와 수지(결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유기 성분을 주체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2종 이상의 공중합체 혹은 혼합물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혹은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첨가물의 분산성, 생산성, 광택도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수지층의 내광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제(자외선 흡수 성분)나 광 안정화제(광 안정화 성분)를 포함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 중에 함유시키는 자외선 흡수 성분으로서는 벤조트리아졸이나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고, 수지 중에 함유시키는 광 안정화 성분으로서는 힌더드 아민(HALS)을 들 수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 성분과 광 안정화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 분자 중에 자외선 흡수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와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분자 중에 광 안정화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와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혹은 분자 중에 자외선 흡수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 분자 중에 광 안정화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의 분자 중에 자외선 흡수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오츠카 가가쿠(주)제의 상품명 「RUVA-93」)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분자 중에 광 안정화 성분을 포함하는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주)아데카(ADEKA)제의 상품명 「아데카스탭(등록 상표) LA-82」)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의 제조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고, 이를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지는 (주)닛폰 쇼쿠바이로부터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로서 시판되고 있어, 입수할 수 있다.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지층 표면에 적당한 양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3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탈락을 억제한다는 관점 및 수지층의 도포 형성 시의 균일한 도공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7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6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5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즉, 수지층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3 내지 75질량%가 바람직하다.
수지층에 있어서의 수지(결합제)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입자를 고착하여 탈락을 억제한다는 관점 및 수지층을 도포 형성할 때의 균일한 도공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2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 함유량의 상한은 수지층 표면에 적당한 크기의 볼록부를 적당한 양으로 형성한다는 관점에서,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층은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지층은 상술한 수지(결합제)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수지층에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수지층의 경도가 향상되고, 이에 의해 폴리올레핀 입자의 탈락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멜라민계, 에폭시계의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비교적 저온에서도 신속히 가교 반응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수지층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0.3 내지 2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5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에는 그 가공 시(반사 필름을 펀칭하고, 성형하여 백라이트 내에 조립함) 등에 대전되어, 주위에 존재하는 대전된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수지층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수지나 음이온성 수지 등의 유기계 대전 방지제, 도전성 무기 화합물(예를 들어, 산화주석,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ATO), 산화인듐, 주석 도프 산화인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층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형광 증백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의 활제, 커플링제, 염료,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의 두께(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3 내지 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의 두께란, 수지층 위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즉, 입자에 의한 돌기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이다.
수지층의 두께가 0.3㎛ 미만이면, 폴리올레핀 입자가 탈락하는 경우가 있고, 한편, 수지층의 두께가 20㎛를 초과하면 폴리올레핀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한다는 관점 및 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을 억제(백점 얼룩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수지층에 함유되는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과 수지층 두께(d: ㎛)의 비율(r/d)은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비율(r/d)의 상한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탈락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일본 마이크로톰 연구소(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을 사용하여 관찰하고, 수지층 표면에 입자가 보이고 있는 부분이 아니라, 수지층 표면이 수지로 되어 있는 부분 5개소의 두께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수지층의 두께로 한다.
본 발명에는 전술한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층 표면에 평면적으로 입자가 거의 간극 없이 배열되어 볼록부를 형성하는 형태가 포함된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 수지층의 두께란, 기재 표면부터 입자 표면까지의 거리를 5개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수지층의 두께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형태는 입자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 영역의 일부 혹은 전부를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로 피복시킴으로써, 입자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즉, 수지층에 함유되는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입자와 수지의 함유 비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혹은 입자와 수지의 상용성을 조정함으로써, 입자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 영역의 일부 혹은 전부를 수지층에 포함되는 수지로 피복시킬 수 있다.
수지층은 폴리올레핀 입자 이외의 다른 입자(이하, 「다른 입자」라고 함)를 함유할 수 있다. 수지층에 다른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 다른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이, 평균 입자 직경이 비교적 작은 다른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수지층의 흠집 내성(흠집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특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0.8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0.7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6배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하한은 0.05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0.1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른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구체적으로는 1 내지 2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 내지 1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에 있어서의 다른 입자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입자 100질량부에 대해 10 내지 200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150질량부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130질량부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계 입자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등의 유기계 입자, 혹은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등의 무기계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입자 중에서도, 나일론계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다. 나일론계 수지 입자는 경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도광판의 손상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필름에 있어서, 수지층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된다. 수지층은 기재 필름의 편면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기재 필름의 양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의 적층은, 예를 들어 적어도 수지, 폴리올레핀 입자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도포 조성물(도포액)을 기재 필름 위에 도포, 건조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지층의 도포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데 있어서, 임의의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트, 롤 코트, 스핀 코트, 리버스 코트, 바 코트, 스크린 코트, 블레이드 코트, 에어 나이프 코트, 디핑 등의 도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의 도포 조성물은 기재 필름의 제조 시에 도포(인라인 코팅)해도 되고, 결정 배향 완료 후의 기재 필름 위에 도포(오프라인 코팅)해도 된다.
[기재 필름]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은이나 알루미늄의 증착 필름, 은박이나 알루미늄박의 라미네이트 필름, 백색 필름, 다층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이로 인해, 내부에 기포 및/또는 비상용의 입자를 함유하는 백색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백색 필름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에, 백색 착색제 및/또는 기포를 함유시킴으로써 백색을 나타내도록 한 필름이다.
백색 필름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예를 들어, 가시광선(파장 550㎚)의 반사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관점에서, 적어도 내부에 기포를 갖는 백색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내부에 기포를 갖는 백색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들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의 〔0034〕 내지 〔0057〕,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0007〕 내지 〔00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호 공보의 〔0008〕 내지 〔0034〕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혹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혼합 및/또는 공중합한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백색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술한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층(B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상기 B층을 지지(보유 지지)하기 위한 필름층(A층)이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 A층은 B층의 편면에만 적층되어 있어도 되고, B층의 양면에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즉, A층/B층의 2층 구성, A1층/B층/A2층의 3층 구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강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A1층/B층/A2층의 3층 구성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1층과 A2층은 A층이고, A1층과 A2층은 동일한 구성(조성이나 두께가 동일)이어도 되고, 다른 구성(조성 및 두께 중 적어도 한쪽이 상이함)이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3층 구성에 있어서, A1층과 A2층은 완전히 동일한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백색 필름의 생산성의 관점에서, A1층과 A2층은 완전히 동일한 조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A1층과 A2층을 통합하여 「A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A층」이라는 표현에는 2층 구성의 A층 및 3층 구성의 A1층과 A2층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A층에 함유하는 각종 재료의 함유량은 1층당의 함유량을 가리킨다.
A층은 B층을 지지(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에 이 기능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A층은 수지를 주체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층이 수지를 주체로 하는 층이라는 것은, A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수지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층은 수지를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8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99질량% 정도이다.
또한, A층은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층에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반사 필름에 적당한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반사 필름에 미끄럼성이 부여됨으로써 취급성이나 가공성(투과부(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 가공 등)이 양호해진다.
A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는 공지의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등이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A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A층을 구성하는 수지 총량 100질량부에 대해 50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70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99질량부 정도이다.
A층에 함유시키는 입자로서는,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유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벤조구아나민과 같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입자, 상기 수지의 2종 이상의 공중합체 혹은 혼합물을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무기 입자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아연,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운모티타늄, 탈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입자 중에서도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고, 무기 입자 중에서도 탄산칼슘,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실리카가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층에 함유시키는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05 내지 1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3㎛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A층에 있어서의 입자의 함유량은 A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0.0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의 함유량은 A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의 함유량이 0.005질량% 미만에서는, 양호한 미끄럼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입자의 함유량이 20질량%를 초과하면 제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B층은 필름층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함으로써 백색화되어 있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은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층(B층)의 제조 방법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호 공보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B층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는 공지의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등이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유량은 B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7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95질량% 정도이다.
B층에 있어서의 기포의 형성은, 예를 들어 필름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와는 비상용인 수지를 미세하게 분산시키고, 그것을 연신(예를 들어, 2축 연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B층은, B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이하, 비상용 수지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를 혼합하여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용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연신 시에 비상용 수지를 핵으로 한 공동이 생기고, 이 공동 계면에 의해 광 반사가 일어나므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비상용인 수지로서는, 단독 중합체이거나 공중합체여도 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불소 수지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의 비상용 수지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임계 표면 장력차가 크고, 연신 후의 열처리에 의해 변형되기 어려운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B층에 함유시키는 비상용 수지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B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5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이다. 또한, B층 중에 함유시키는 비상용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매트릭스 중에 수 평균 입자 직경이 0.4㎛ 이상 3.0㎛ 이하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적절한 반사 계면수나 필름 강도를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비상용 수지의 수 평균 입자 직경은 0.5㎛ 이상 1.5㎛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 평균 입자 직경이란, 필름의 폭 방향(TD)의 단면을 잘라내고, 그 단면의 B층 부분을 (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 주사형 전자 현미경(FE-SEM) S-2100A형을 사용하여 관측되는 입자 100개의 면적을 구하여, 진원으로 환산했을 때의 직경의 평균값이다.
B층에는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 등의 입자를 더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자로서는 전술한 A층에 함유시킬 수 있는 입자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입자 중에서도, 파장 400 내지 700㎚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흡수가 적은 탄산칼슘,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의 무기 입자가 반사 특성이나 은폐성, 제조 비용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의 권취성, 장시간의 제막 안정성, 반사 특성 향상의 관점에서,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이 가장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서는, 0.1 내지 3㎛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무기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성이나 은폐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B층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양호한 반사 특성이나 은폐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B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무기 입자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반사 시트의 투과 황색도(YI)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무기 입자의 상한 함유량은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B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층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함유시킴으로써, B층에 비교적 고농도의 무기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제막할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B층 중의 비상용 수지의 분산제로서의 역할도 갖는다.
이러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이소프탈산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필름이 2층 구성인 경우의 각 층의 두께 비율은 높은 반사율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A층:B층=2:98 내지 20:8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A층:B층=3:97 내지 10:9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백색 필름이 3층 구성인 경우의 각 층의 두께 비율은 높은 반사율을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A1층:B층:A2층=1:98:1 내지 15:70:1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A1층:B층:A2층=2:96:2 내지 10:80:1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높은 반사율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의 상한은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 상표)" E20(도레이(주)제), SY90, SY95(SKC제) 등을 들 수 있고, 2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테트론(등록 상표)" 필름 UXSP, UXJP(데이진 듀퐁 필름(주)제) 등을 들 수 있고, 3층 구성의 백색 필름으로서는, "루미러(등록 상표)" E60L, E6SL, E6SR, E6SQ, E6Z, E80A, E85D(도레이(주)제), "테트론(등록 상표)" 필름 UX, UXE, UXS7, UXQ1(데이진 듀퐁 필름(주)제), Lumirex(등록 상표) II(미츠비시 주시(주)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구성인 백색 필름의 예로서, Optilon(등록 상표) ACR3000, ACR3020(듀퐁(주)제), "MCPET(등록 상표)"(고가 덴키 고교(주)제)를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하다. 백라이트 방식으로서는, 에지 라이트형과 직하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어떤 방식에든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방식에 적합하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방식은 도광판의 측단부에 배치된 광원의 광을, 도광판을 통해 전반(傳搬)시켜 액정층(화면)을 비추는 방식이고,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도광판에 대해 액정층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수지층이 적층된 면이 도광판과 마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접촉함으로써, 도광판을 손상시킨다는 문제, 도광판과 반사 필름의 부착에 의한 백점 얼룩의 문제가 있지만, 이들의 문제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경감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층에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저분자량(점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했을 때의 특유의 문제(열에 의해 도광판을 오염시킨다는 문제)는 본 발명의 반사 필름, 즉, 수지층에 초고분자량(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의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억제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측정 방법, 평가 방법 및 재료를 이하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
(1) 점도 평균 분자량
(1-1) 폴리올레핀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
JIS K7367(1999)에 따라서,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측정한다. 극한점도를 [η]로 하면, 점도 평균 분자량(Mv)은 이하의 식으로 표현된다.
Mv=a×[η]b
(여기서, a, b는 계수이고, 용매나 고분자의 조성에 따라 결정됨). 또한, 폴리에틸렌 입자(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함) 및 폴리프로필렌 입자(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대해서는, 이하의 (1-2), (1-3)에 따라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1-2) 폴리에틸렌 입자(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및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함)의 점도 평균 분자량
JIS K7367-3(1999)에 따라, 극한점도[η] 및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측정하였다.
20mL의 데칼린(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BHT)을 1g/L 포함함)에 폴리에틸렌 입자 20㎎을 넣고, 150℃에서 2시간 교반하여 폴리에틸렌 입자를 용해시켰다. 그 용액을 135℃의 항온조에서, 캐논-펜스케 점도계(형식 번호: SO)를 사용하여, 표선간의 낙하 시간(ts)을 측정하였다. 또한, 블랭크로서 폴리에틸렌 입자를 용해하고 있지 않은, 데칼린만의 낙하 시간(tb)을 측정하였다. 이하의 식에 따라 폴리에틸렌 입자의 비점도(ηsp/C)를 플롯하고, 농도 0으로 외삽한 극한점도[η]를 구하였다.
(ηsp/C)=(ts/tb-1)/0.1
이 [η]로부터 이하의 식에 따라,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구하였다.
Mv=(5.37×104)×[η]1.37.
(1-3) 폴리프로필렌 입자(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함)의 점도 평균 분자량
상기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극한점도[η]를 구하고, 이하의 식에 따라 점도 평균 분자량(Mv)을 구하였다.
Mv=(8.88×104)×[η]1.25.
(2) 수지층에 함유되는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반사 필름을, 일본 마이크로톰 연구소(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보다도 큰 입자는 500배, 그 이외는 1,000배)으로 관찰하여, 그 단면 사진으로부터, 수지층에 함유되는 입자에 대해 무작위로 선택한 30개의 입자의 각각의 최대 길이를 계측하고, 그들을 평균한 값을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여기서, 입자의 최대 길이는 1개의 입자를 완전히 둘러싸는 면적이 가장 작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즉,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4변에 입자가 접하고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인 경우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긴 변의 길이(장축 직경)를 입자의 최대 길이로 하였다(즉, 가장 긴 정방향(定方向) 접선 직경을 입자의 최대 길이로 하였음).
(3) 수지층의 두께
반사 필름을, 일본 마이크로톰 연구소(주)제 로터리식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나이프 경사 각도 3°로 필름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얻어진 필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배)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수지층 표면에 입자가 보이고 있는 부분이 아니라, 수지층 표면이 수지로 되어 있는 부분 5개소의 두께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수지층의 두께로 하였다.
(4) 내열성 평가 그 1(열에 의한 변색)
반사 필름을 온도 60℃의 분위기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후, 상온 하에서 1시간 방치하여, 반사 필름의 수지층면의 변색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A: 변색이 없다.
B: 변색이 확인된다.
(5) 내열성 평가 그 2(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
17인치 액정 TV(파나소닉(주)제, "VIERA(등록 상표)" TH-L17F1)를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백라이트 A로 함)를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A의 발광면의 크기는 37.5㎝×21.2㎝이고, 대각의 길이는 43.1㎝였다. 또한, 백라이트 A로부터 광학 필름 3매, 도광판(아크릴판, 3.5㎜ 두께, 도광판에 형성된 볼록부의 높이 12㎛)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과 동일한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 대신에 재단한 반사 필름의 수지층의 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매를 분해 전과 동일한 순서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분해 및 조립한 백라이트 A를 온도 80도의 분위기 하에서 1시간 가열한 후, 상온 하에서 1시간 방치하고, 다시 액정 TV를 분해하여, 도광판의 반사 필름이 접촉한 면의 오염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S: 오염이 없다.
A: 오염이 약간 확인되지만, 허용 레벨이다.
B: 오염되어 있다.
(6-1) 도광판의 손상(스크래치 흠집)의 평가 그 1
40인치 액정 TV(Samsung사제, PAVV UN40B7000WF)를 분해하여 얻어진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면측에 반사 필름의 수지층의 면이 접촉되도록 적층시킨 후, 200gf/㎠(0.0196㎫), 100gf/㎠(0.0098㎫) 및 50gf/㎠(0.0049㎫)의 하중 하에서 반사 필름을 1m/분의 선속도로 인상하고, 상기 도광판의 표면 위에 발생한 스크래치 흠집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급: 어떤 하중 하에 있어서도 흠집이 보이지 않는다.
B급: 200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100gf/㎠의 하중 하, 50gf/㎠의 하중 하에 있어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는다.
C급: 200gf/㎠, 100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50gf/㎠의 하중 하에 있어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는다.
D급: 50gf/㎠의 하중 하에 있어서 흠집이 보인다.
(6-2) 도광판의 손상(입자 절삭분의 전사 오염)의 평가 그 2
40인치 액정 TV(Samsung사제, PAVV UN40B7000WF)를 분해하여 얻어진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면측에 반사 필름의 수지층 면이 접촉되도록 적층시킨 후, 200gf/㎠(0.0196㎫)의 하중 하에서 반사 필름을 1m/분의 선속도로 인상하고, 상기 도광판의 표면 위에 반사 필름에 함유되는 입자의 절삭분이 도광판에 전사되어 도광판을 오염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오염이 없다.
B: 오염되어 있다.
(7) 백점 얼룩(반사 필름과 도광판의 부착)의 평가
52인치 액정 TV(소니사제, "BRAVIA(등록 상표)" KDL-52EX700)를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를 취출하였다. 이 백라이트의 발광면의 크기는 116㎝×65.5㎝이고, 대각의 길이는 133.2㎝였다. 또한, 백라이트로부터 광학 필름 3매, 오목형 도광판(아크릴판, 4㎜ 두께, 오목부 깊이 55㎛) 및 반사 필름을 취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반사 필름을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과 동일한 형상, 크기로 재단하였다. 탑재되어 있던 반사 필름 대신에 재단한 반사 필름의 수지층면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도광판 및 광학 필름 3매를 분해 전과 동일한 방향 및 방향으로 설치하였다.
이 액정 TV를 점등하여, 육안으로 백점 얼룩을 관찰하였다.
S: 백점이 관찰되지 않는다.
A: 백점이 약간 관찰되지만, 허용 레벨이다.
B: 백점이 명확하게 관찰된다.
(8) 미끄럼성의 평가
반사 필름의 수지층면과 아크릴판(스미토모 가가쿠(주)제의 「"스미펙스(등록 상표)" E(클리어)」 두께 3㎜)의 동마찰 계수를 JIS K7125(1999년)에 준거하여, 도레이식 슬립 테스터 200G-15C(MAKINO SEISAKUSHO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하중: 200g
이동 속도(인장 속도): 150㎜/분
<평가>
각각 동마찰 계수를 3회 측정하여 평균한 값(평균 동마찰 계수)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S: 평균 동마찰 계수가 0.3 이하이다.
A: 평균 동마찰 계수가 0.3보다 크고 0.6 이하이다.
B: 평균 동마찰 계수가 0.6보다 크다.
(9) 수지층의 도포성의 평가
기재 필름 위에 도포된 수지층을 육안 관찰하여, 줄무늬상 얼룩의 발생 정도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S: 줄무늬상 얼룩은 확인되지 않는다.
A: 얇은 줄무늬상 얼룩이 확인된다.
B: 줄무늬상 얼룩이 명확하게 확인된다.
(10) 수지층 표면에 있어서의 입자에 의한 볼록부의 확인
반사 필름의 수지층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500배)으로, 수지층 표면에 대해 30도의 사각에서 관찰하여, 볼록부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입자]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종 입자를 준비하였다. 입자의 형상은 후술하는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 2(부정형) 이외는 모두 구상이다.
<폴리에틸렌 입자(a);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폴리에틸렌 입자(b);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1U,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폴리에틸렌 입자(c);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PM-200, 점도 평균 분자량 180만
<폴리에틸렌 입자(d);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33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폴리에틸렌 입자(e);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헥스트사의 "호스타렌(등록 상표)" GUR4126, 점도 평균 분자량 300만
<폴리에틸렌 입자(f);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티코나사의 상품명 "GUR(등록 상표)" 4186, 점도 평균 분자량 300만
<폴리에틸렌 입자(g);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티코나사의 상품명 "GUR(등록 상표)" 2126, 점도 평균 분자량 400만
<폴리에틸렌 입자 (h);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상기 각 입자는 이하의 요령으로 합성하였다.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4.76g, 2-에틸헥실알코올 23.2ml 및 데칸 25ml를 120℃에서 2시간 가열하여 균일 용액으로 하고, 또한 벤조산에틸 0.9ml를 첨가하였다. 이 균일 용액을 -20℃로 냉각한 후, 사염화티타늄 200ml 중에 1시간에 걸쳐 교반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이 혼합물을 1시간에 걸쳐 90℃로 승온하고, 벤조산에틸 1.8ml를 첨가하고, 또한 90℃에서 2시간 교반 하에서 유지한 후, 고체 성분을 여과에 의해 채취하였다. 계속해서, 이 고체 성분을 사염화티타늄 200ml에 다시 윤활시켜, 90℃에서 2시간 가열한 후, 여과에 의해 고체 성분을 채취하였다. 유리된 티타늄 화합물이 세정액 중에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정제 헥산으로 충분히 세정하여,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을 얻었다.
(본 중합)
내용적 2L의 오토클레이브에, 정제 데칸 1.0L,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1.0mmol 및 상기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을 티타늄 원자로 환산하여 0.013mmol 장입하였다. 그 후, 60℃까지 승온하고 나서 에틸렌의 공급을 비롯하여, 65℃에서 전압 6.0㎏/㎠G를 유지하도록 에틸렌을 4시간에 걸쳐 공급하였다. 중합 종료 후, 강온, 탈압하여 중합체 130g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200만이었다.
<폴리에틸렌 입자 (i);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상기의 폴리에틸렌 입자 (h)의 합성에 있어서,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의 장입량, 에틸렌 공급 시의 전압(全壓) 및 에틸렌의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점도 평균 분자량이 60만인 폴리에틸렌 입자 (i)를 얻었다.
<폴리에틸렌 입자 (j);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상기의 폴리에틸렌 입자 (h)의 합성에 있어서,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의 장입량, 에틸렌 공급 시의 전압 및 에틸렌의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점도 평균 분자량이 120만인 폴리에틸렌 입자 (j)를 얻었다.
<폴리에틸렌 입자 (k);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상기의 폴리에틸렌 입자 (h)의 합성에 있어서,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의 장입량, 에틸렌 공급 시의 전압 및 에틸렌의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점도 평균 분자량이 600만인 폴리에틸렌 입자 (k)를 얻었다.
<폴리에틸렌 입자 (l);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이하의 요령으로 합성하였다.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75g, 데칸 280.3g 및 2-에틸헥실알코올 308.3g을 온도 130℃에서 3시간 가열 반응시켜 균일 용액으로 한 후, 이 용액 중에 2-이소부틸-2-이소프로필-1,3-디메톡시프로판 22.2ml를 첨가하고, 또한 온도 100℃에서 1시간 교반 혼합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균일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이 균일 용액 30ml를 -20℃로 유지한 사염화티타늄 80ml 중에 교반 하에서 45분간에 걸쳐 전량 적하 장입하였다. 장입 종료 후, 이 혼합액의 온도를 4.5시간에 걸쳐 110℃로 승온하고, 2시간, 동일 온도에서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2시간의 반응 종료 후, 열 여과로 고체부를 채취하고, 이 고체부를 100ml의 사염화티타늄으로 재현탁시킨 후, 다시 온도 110℃에서 2시간, 가열 반응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다시 열 여과로 고체부를 채취하고, 온도 90℃의 데칸 및 헥산을 사용하여 세정액 중에 유리되는 티타늄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충분히 세정하였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조정한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은 데칸 슬러리로서 보존하였다.
(본 중합)
충분히 질소 치환된 내용량 1리터의 중합기에, 실온에서 250ml의 헵탄, 트리에틸알루미늄 2.0밀리몰 및 고체상 전이 금속 촉매 성분을 티타늄 원자 환산으로 0.045밀리몰을 가하여, 온도 65℃까지 승온하고, 중합기에 에틸렌을 공급하여 압력 0.8㎫로 73분간 중합하였다. 그 후, 온도 60℃까지 온도를 낮추어 탈압 후, 질소로 시스템 내의 에틸렌을 퍼지하였다. 계속해서 4-메틸-1-펜텐 350ml를 첨가하고, 온도 60℃에서 60분간 중합을 행하였다. 중합 종료 후, 중합기로부터 중합체 입자를 취출하여 여과한 후, 헥산으로 세정하였다. 얻어진 전체 중합체의 수량(收量)은 65.3g이고, 반응계에 공급한 에틸렌의 적산량과 전체 중합체의 수량의 관계로부터 산출한 중합체의 조성은 질량비로 폴리에틸렌; 93질량%, 폴리-4-메틸-1-펜텐; 7질량%였다.
얻어진 공중합체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300만이었다.
<폴리프로필렌 입자;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이하의 요령으로 합성하였다.
(예비 중합)
내용량 6리터의 교반기 부착 반응기에 n-헵탄 3리터를 투입하고, 프로필렌 중합용 고체상 티타늄 촉매 성분 30g, 트리메틸알루미늄을 고체상 티타늄 촉매 성분 중의 티타늄 원자에 대해 10배몰 및 2,6-디메틸-3,3-비스(메톡시메틸)헵탄을 고체상 티타늄 촉매 성분 중의 티타늄 원자에 대해 2배몰의 비율로 공급하였다. 이어서, 프로필렌 48N 리터를 장입하고, 조내 온도를 15℃ 이하로 유지하여 프로필렌을 완전히 반응시켜, 예비 중합체를 얻었다. 이것에 이소부탄을 가하여 예비 중합 고체 1.6g/리터가 될 때까지 희석하여, 예비 중합체 슬러리로 하였다.
(본 중합)
용량 600리터의 교반기 부착 제1단 반응기에 액화 프로필렌 단량체 110㎏, 상기 (1)에서 얻은 예비 중합체 슬러리 5리터, 트리에틸알루미늄 0.14몰,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0.14몰 및 수소 5N 리터를 장입하고, 온도 70℃에서 1시간 중합을 행하여, 폴리프로필렌 입자를 얻었다. 이 폴리프로필렌 입자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60만이었다.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 1>
스미토모 세이카(주)제의 "플로 비즈(등록 상표)" LE-2080, 점도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입자 2>
스미토모 세이카(주)제의 "플로센(등록 상표)" UF20, 점도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
<가교 아크릴 입자>
세키스이 플라스틱(주)제의 "테크폴리머(등록 상표)" MBX-30
<가교 아크릴 입자>
세키스이 플라스틱(주)제의 "테크폴리머(등록 상표)" SSX-104
<다른 입자>
도레이(주)제의 SP10(나일론 12 수지 입자).
[실시예 1]
백색 필름(도레이(주)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바 코터를 사용하여 수지층 두께가 약 3㎛가 되도록, 하기의 수지층 도포액을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하여 수지층을 적층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70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12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55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28.6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66.7질량%이다.
[실시예 2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
실시예 1의 수지층 도포액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 입자를 표 1에 나타내는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4 및 6은 수지층 두께가 약 6㎛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실시예 14]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50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20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67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47.6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47.6질량%이다.
[실시예 15]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85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6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46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14.3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81.0질량%이다.
[실시예 16]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16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33.6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87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80.0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15.2질량%이다.
[실시예 17]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21.3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31.5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84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75.0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20.2질량%이다.
[실시예 18]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96.8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1.3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39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3.0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92.2질량%이다.
[실시예 19]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94.8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2.1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40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입자의 함유 비율은 5.0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90.3질량%이다.
[실시예 20]
이하의 수지층 도포액으로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반사 필름을 제작하였다.
<수지층 도포액>
벤조트리아졸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주)닛폰 쇼쿠바이제 "할스 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 농도 40질량% 용액) 86.3질량부, 폴리에틸렌 입자 a(미쓰이 가가쿠(주)의 "미페론(등록 상표)" XM-220, 점도 평균 분자량 200만) 3.4질량부, 나일론 입자(도레이(주)의 SP10) 2.1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닛폰 폴리우레탄 고교(주) "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농도 75질량%) 2.7질량부, 아세트산에틸 45질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이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30질량%이다. 또한, 이 도포액에 포함되는 전체 고형분량 100질량%에 대한 폴리에틸렌 입자 a의 함유 비율은 8.1질량%, 나일론 입자의 함유 비율은 5.0질량%, 수지의 함유 비율은 82.2질량%이다.
[평가]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반사 필름에 대해, 전술한 측정 및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수지층 표면에 입자에 의한 볼록부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내열성-1(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것) 및 내열성-2(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이 없는 것)이 양호하여, 도광판의 손상 및 백점 얼룩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미끄럼성 및 도포성이 양호하다.
한편, 저분자량(점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하) 폴리에틸렌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내열성-2(열에 의한 도광판의 오염이 없는 것)가 뒤떨어져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미끄럼성이 뒤떨어져 있으므로 도광판과의 접촉에 의해 입자가 깎여 도광판에 전사되어, 도광판을 오염시키고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도포성이 뒤떨어져 있고 줄무늬상 얼룩의 발생이 있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백점 얼룩의 평가가 뒤떨어져 있다.
가교 아크릴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3은 도광판의 손상이 뒤떨어져 있다.
가교 아크릴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4는 도광판의 손상이 뒤떨어져 있고,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비교적 작은 입자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백점 얼룩의 발생이 보인다.
본 발명에 관한 반사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하는 데 적합한 것이다.
1 : 수지에 의한 피막
2 : 입자(폴리올레핀 입자)

Claims (8)

  1.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점도 평균 분자량이 50만 이상인 폴리올레핀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가 폴리에틸렌 입자 및/또는 폴리프로필렌 입자인, 반사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이 5 내지 100㎛인, 반사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함유량이 수지층의 고형분 총량 100질량%에 대해 3 내지 75질량%인, 반사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r: ㎛)과 상기 수지층의 두께(d: ㎛)의 비율(r/d)이 1.5 이상인, 반사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적어도 내부에 기포를 갖는 백색 필름인, 반사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내부에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층(B층)의 양면에 상기 B층을 지지하기 위한 필름층(A층)이 적층된 백색 필름인, 반사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 필름이, 그의 수지층이 적층된 면을 도광판과 마주 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KR1020167031175A 2014-05-30 2015-05-20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KR20170012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2066 2014-05-30
JPJP-P-2014-112066 2014-05-30
PCT/JP2015/064424 WO2015182448A1 (ja) 2014-05-30 2015-05-20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219A true KR20170012219A (ko) 2017-02-02

Family

ID=5469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175A KR20170012219A (ko) 2014-05-30 2015-05-20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232063B2 (ko)
KR (1) KR20170012219A (ko)
CN (1) CN106461822B (ko)
TW (1) TWI661936B (ko)
WO (1) WO2015182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2705B (zh) * 2017-11-08 2023-11-21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聚乙烯系樹脂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0044321A (ja) 2008-08-18 2010-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0044238A (ja) 2008-08-13 2010-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0085843A (ja) 2008-10-01 2010-04-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WO2011105294A1 (ja) 2010-02-24 2011-09-01 東レ株式会社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12108190A (ja) 2010-11-15 2012-06-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JP2012159610A (ja) 2011-01-31 2012-08-23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JP2013210639A (ja) 2006-06-23 2013-10-10 Toray Ind Inc 白色反射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3965B2 (ja) * 1995-01-27 2005-08-17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反射体及びそれを用いた光反射装置
JP4050564B2 (ja) * 2002-07-23 2008-02-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異方性光散乱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6023342A (ja) * 2004-07-06 2006-01-26 Seiko Instruments Inc 投影用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投影システム
JP4606133B2 (ja) * 2004-07-13 2011-01-05 三菱樹脂株式会社 筆記ボード/反射型スクリーン両用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兼用ボード
JP2006083230A (ja) * 2004-09-14 2006-03-30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6243453A (ja) * 2005-03-04 2006-09-14 Toray Ind Inc スクリーン
JP2007176999A (ja) * 2005-12-27 2007-07-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該反射フィルムを備えた反射板
US20100209694A1 (en) * 2007-09-28 2010-08-19 Toray Industries, Inc. White film, and surface light source using the same
JP5391617B2 (ja) * 2007-09-28 2014-01-15 東レ株式会社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5255298B2 (ja) * 2008-01-30 2013-08-07 帝人株式会社 多孔膜と金属薄板との積層反射シート
JP5564808B2 (ja) * 2009-03-24 2014-08-06 東レ株式会社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1137060A (ja) * 2009-12-28 2011-07-14 Sumika Styron Polycarbonate Ltd 光反射性に優れた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US20130314796A1 (en) * 2011-02-21 2013-11-28 Kazutoshi Hitomi Light reflection plate
CN106200119B (zh) * 2011-03-29 2020-01-21 东丽株式会社 边光型背光源用白色反射膜及使用其的液晶显示器用背光源
JP2013205599A (ja) * 2012-03-28 2013-10-07 Panasonic Corp 映写用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ホワイトボード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018A (ja) 2001-09-19 2003-03-28 Keiwa Inc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8512719A (ja) 2004-09-13 2008-04-24 エスケーシー ハース ディスプレイ フィルムズ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反射シートおよ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3210639A (ja) 2006-06-23 2013-10-10 Toray Ind Inc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10044238A (ja) 2008-08-13 2010-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0044321A (ja) 2008-08-18 2010-02-2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0085843A (ja) 2008-10-01 2010-04-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WO2011105294A1 (ja) 2010-02-24 2011-09-01 東レ株式会社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12108190A (ja) 2010-11-15 2012-06-07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JP2012159610A (ja) 2011-01-31 2012-08-23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反射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32063B2 (ja) 2017-11-15
CN106461822B (zh) 2019-12-13
CN106461822A (zh) 2017-02-22
TW201545879A (zh) 2015-12-16
TWI661936B (zh) 2019-06-11
JPWO2015182448A1 (ja) 2017-04-20
WO2015182448A1 (ja) 2015-12-03
JP2016180991A (ja) 2016-10-13
JP6226024B2 (ja)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5758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6426470B2 (ja) 光制御フィルム
TW200829962A (en) White polyester film for light reflecting plate
JP2006215488A (ja) 積層型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2005015307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laminated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method,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WO2016042992A1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WO2016204234A1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面光源装置用反射ユニット
TWI400486B (zh) A reflector, and a light source device and a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12219A (ko)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
TWI697698B (zh) 白色反射薄膜及液晶顯示器用背光
JPWO2016017416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676551B (zh) 積層薄膜
JP2018072496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白色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7044718A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
WO2017131030A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7134380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8189681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5835532B1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
JP2018141884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JP2017090560A (ja) 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7134146A (ja)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用反射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