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269A - 신축 붐의 신축 장치 - Google Patents

신축 붐의 신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269A
KR20170008269A KR1020167035073A KR20167035073A KR20170008269A KR 20170008269 A KR20170008269 A KR 20170008269A KR 1020167035073 A KR1020167035073 A KR 1020167035073A KR 20167035073 A KR20167035073 A KR 20167035073A KR 20170008269 A KR20170008269 A KR 20170008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end side
rod
extens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909B1 (ko
Inventor
마사히로 이시이
마사오 가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24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00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856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00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139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058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13904A external-priority patent/JP640587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다다노
Publication of KR2017000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66F9/065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with a telescopic b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신축 붐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삽입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를 제공한다. 신축 붐(1)의 신축 장치(3)는 세컨드 붐(22)을 신축하는 신축 실린더(4)와, 신축 실린더(4)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탑 붐(24)과 서드 붐(23)을 동시에 신축하는 신축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 기구(5)는,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에 일단측이 고정되어 탑 붐(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그 선단측에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를 배치하고 탑 붐(24)에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신축 붐의 신축 장치{EXTENSION AND RETRACTION DEVICE FOR TELESCOPIC BOOM}
본 발명은, 크레인차, 고소(高所) 작업차 등의 작업기에 설치되는 4단식 이상의 신축 붐(boom)의 신축에 사용되는 신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크레인차, 고소 작업차 등의 작업기에 설치되는 신축 붐 중에서 4단식 이상의 신축 붐의 신축에 사용되는 신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신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신축 장치는, 탑(top) 붐 이외의 복수의 붐을 신축하는 적어도 2개의 신축 실린더와, 적어도 2개의 신축 실린더 내에서 탑 붐 측의 신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탑 붐을 신축하는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신축 기구에는, 2개의 시브(sheave)(신장용 시브와 축소용 시브)와 2개의 와이어(신장용 와이어와 축소용 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제1988-038219호 공보
그렇지만, 종래의 신축 장치에서는, 신장용 시브가 서드(third) 붐의 선단에 고정되는 것 같은 경우는, 삽입(insertion) 작업에서 장애물에 간섭하여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삽입 작업의 효율이 좋지 않다. 또한, 삽입 작업이란, 건물 내부로 매달아 올린 물건을 반입할 때나, 조원(造園) 작업에서 나뭇가지가 밀집되어 있는 현장 등에서 신축 붐을 신장시키는 작업이다.
또한, 종래의 신축 장치에서는, 적어도 2개의 신축 실린더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축 실린더의 신축 제어가 복잡하게 되어 고비용이 된다.
또한, 신축 시에는 각 신축 실린더가 순서대로 신축하여 가기 때문에, 신축 실린더의 절환 시에는 신축 붐의 신축 속도가 변화하여 신축 붐에 쇼크(붐의 단 바뀜 시의 쇼크)가 발생되어 버린다. 따라서, 신축 붐의 조작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신축 붐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삽입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신축 붐의 신축 장치를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작업기에 설치되는 4단식 이상의 신축 붐의 신축에 사용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이며,
전축(全縮) 시에 탑 붐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탑 붐의 2단 아래 이후의 붐을 신축하는 적어도 1개의 신축 실린더와, 당해 적어도 1개의 신축 실린더 내에서 상기 탑 붐 측에 위치하는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탑 붐 및 그 1단 아래의 붐을 동시에 신축하는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기구는,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상기 탑 붐 내에 배치되는 봉상(棒狀) 서포트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봉상 서포트 부재는, 그 선단측에 상기 탑 붐을 신장하기 위한 탑 붐 신장용 시브를 배치하고 상기 탑 붐에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에, 상기 1단 아래의 붐을 신장하기 위한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를 상기 탑 붐에 내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 붐을 축소하기 위한 탑 붐 축소용 시브를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상기 탑 붐 축소용 시브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의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에 대한 배치 위치는,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의 회전 중심을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는 수평선이,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중립축(中立軸)과 일치 또는 당해 중립축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는,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선단측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이며, 당해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와 함께 상기 탑 붐을 신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탑 붐 신장용 와이어는, 당해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에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을 거쳐 걸 수 있고, 그 양단이 상기 탑 붐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축소용 시브는,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이며, 당해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와 함께 상기 탑 붐을 축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탑 붐 축소용 와이어는, 당해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에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을 거쳐 걸 수 있고, 그 양단이 상기 탑 붐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는, 그 내측에 상기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는,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상방에 배치되고, 단면 형상이 역 U자 형상인 봉상으로 형성되고, 당해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를 사용하고 탑 붐 신장용 시브를 탑 붐에 내장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삽입 작업 시에는 탑 붐 신장용 시브가 장애물에 간섭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삽입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서는, 탑 붐의 1단 아래의 붐을 신축하기 위한 신축 실린더 대신에 신축 기구를 사용하였다. 이에 의해 신축 실린더의 사용 개수가 종래보다도 1개 감소하기 때문에, 신축 실린더의 신축 동작의 제어를 종래보다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서는, 신축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탑 붐 및 그 1단 아래의 붐의 동시 신축이 가능하게 되므로, 붐의 단 바꿈 시의 쇼크를 없애거나, 또는 쇼크의 회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신축 붐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의 선단측에 탑 붐 신장용 시브를 배치하고, 그 봉상 서포트 부재를 탑 붐에 내장하도록 형성하고, 그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탑 붐 축소용 시브를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신축 붐의 조립 전, 혹은 신축 붐의 조립과는 별도로, 또는 신축 붐의 조립과 동시가 아니어도, 쌍방의 시브에 탑 붐 신장용 와이어와 탑 붐 축소용 와이어를 각각 걸어서 텐션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신축 붐의 조립 시에 쌍방의 와이어를 배치(配索)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쌍방의 와이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립을 행할 필요가 없고, 신축 붐의 조립 후에 쌍방의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할 필요도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조립공수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에서는,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에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를 탑 붐에 내장하도록 배치하고, 봉상 서포트 부재를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와 평행으로 배치하고, 그 내측에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탑 붐 내의 공간절약 설계가 가능하게 되므로, 신축 붐 중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탑 붐은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그 외의 붐도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 붐의 신축 장치는, 신축 붐 전체의 단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축 붐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신축 붐의 제조 코스트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신축 붐의 전축 시의 내부의 우측면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단측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신축 붐을 전신(全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탑 붐 신장용 시브를 중심으로 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의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의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있어서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고정 핀에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의 서드 붐의 기단부와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부와의 고정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형태의 서드 붐의 기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실시형태의 신축 실린더의 기단부와 베이스 붐의 저부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동 실시형태의 베이스 붐의 기단측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폐색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4단식의 신축 붐을 예로 들어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신축 붐(1)의 전축시의 내부의 우측면이다. 이 신축 붐(1)은, 크레인차, 고소 작업차 등의 작업기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신축 붐(1)은 4단식의 신축 붐이며, 붐 본체(2)와, 붐 본체(2)를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신축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신축 붐(1)에 있어서 앞쪽이 선단측, 뒤쪽이 기단측이다. 이후의 각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붐 본체(2)는, 4개의 붐이 기단측으로부터 네스팅(nesting)식으로 삽입되어 신축 붐(1)의 길이 방향 A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붐은, 기단측으로부터, 베이스(base) 붐(21), 세컨드(second) 붐(22), 서드(third) 붐(23), 탑(top) 붐(24)이다. 각 붐은 통 형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서드 붐(2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탑 붐(24)의 1단 아래의 붐에 상당하고, 세컨드 붐(22)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탑 붐(24)의 2단 아래 이후의 붐에 상당한다.
신축 장치(3)는, 세컨드 붐(22)을 신축하는 신축 실린더(4)(탑 붐 측 신축 실린더)와, 서드 붐(23)과 탑 붐(24)을 신축하는 신축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신축 실린더(4)는, 탑 붐(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신축 실린더(4)는, 통 형상의 실린더 튜브(41)와, 실린더 튜브(41)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피스톤에 일단이 고정되고 실린더 튜브(41)의 기단으로부터 발출(拔出)한 실린더 로드(42)를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 로드(42)는, 기단부(42a)가 베이스 붐(21)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41)는, 기단부(41a)가 세컨드 붐(22)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탑 붐(24)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 튜브(41)는 유압에 의해 길이 방향 A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신축 실린더(4)가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신축 기구(5)는, 신축 실린더(4)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서드 붐(23)과 탑 붐(24)을 동시에 신축하는 것이다. 이 신축 기구(5)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와, 2개의 신장용 와이어 기구와, 2개의 축소용 와이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봉상 서포트 부재(10)]
최초로, 도 1을 이용하여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해 설명한다.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후술하는 탑 붐 신장용 시브(sheave)(71, (71))를 탑 붐(24)에 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봉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튜브(41)의 상방에 실린더 튜브(41)와 평행으로 배치되고 있다. 또한, 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일단측이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고, 탑 붐(24) 내에 길이 방향 A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괄호 내의 부분은 좌측에 있기 때문에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단면 형상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U자 형상(하방으로 개구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상벽부(10a)와, 이 상벽부(10a)의 좌우 측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측벽부(10b, 10b)를 갖고 있다.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좌우의 측벽부(10b, 10b) 사이에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상부(61a)가 배치되어 있다. 즉,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내측(10s)에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상부(61a)가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신장용 와이어 기구]
다음으로, 도 1~도 3을 이용하여 2개의 신장용 와이어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2개의 신장용 와이어 기구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6)와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7)이다.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6)는, 서드 붐(23)을 신장하는 것이다. 이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6)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와, 복수의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를 구비하고 있다.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는, 실린더 튜브(41)의 선단측에 설치된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는 봉상 서포트 부재(10) 내에 위치하고 있고, 탑 붐(24)에 내장되어 있다.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직경은, 실린더 튜브(41)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상부(61a)와 하부(61b)(도 5, 도 6 참조)는, 실린더 튜브(41)의 윗 가장자리 및 아래 가장자리보다도 상하로 돌출하여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상부(61a)가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내측(10s)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가 걸쳐지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축이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에 대해서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는, 길이 방향 A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의 선단부의 하측에는, 좌우에 롤러(11a, (11a))가 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11a, (11a))는, 신축 붐(1)의 신축 시에 붐 본체(2) 내의 하측을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신축 장치(3)를 지지하는 것이다.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에 걸쳐져 있다.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일단은,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의 하측에 설치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일단측 고정부(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은, 봉상 서포트 부재(10) 내의 기단측에 설치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에 고정되어 있다.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7)는, 탑 붐(24)을 신장하는 것이다. 이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기구(7)는,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와,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선단측에
설치된 봉상 서포트 부재 선단측 지지부(14)에 있어서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는,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가 걸쳐질 수 있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축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는,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에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를 거쳐 걸쳐져 있다(도 2 참조).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의 양단은, 탑 붐(24) 내의 기단측의 상면에 설치된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고정부(15)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2개의 신장용 와이어 기구와 신축 실린더(4)를 이용한 신축 붐(1)의 전신(全伸) 동작(도 1→도 4)에 대해 설명한다.
(1) 세컨드 붐(22)의 신장
유압에 의해 실린더 튜브(41)가 신축 붐(1)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실린더 튜브(41)가 고정되어 있는 세컨드 붐(22)이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늘려진다.
(2) 서드 붐(23)의 신장
실린더 튜브(41)가 선단측으로 이동하면, 실린더 튜브(41)의 선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도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에 걸쳐져 있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양단은,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와, 봉상 서포트 부재(10)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가 선단측으로 이동하여도,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는, 일단이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에 고정된 채이므로, 다른 일단에서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선단측으로 끌어 당긴다. 이에 의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고정되어 있는 서드 붐(23)이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늘려진다.
(3) 탑 붐(24)의 신장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선단측으로 이동하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선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도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에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를 거쳐 걸쳐져 있는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의 양단은, 탑 붐(24)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탑 붐(24)을 선단측으로 끌어 당긴다. 이에 의해 탑 붐(24)이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뻗어 늘려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의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한 배치 위치는, 탑 붐 신장용 시브(71)의 회전 중심(71s)을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길이 방향(신축 붐(1)의 길이 방향 A)으로 통과하는 수평선(71t)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중립축(10t)의 하측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수평선(71t)이 중립축(10t)의 상측 근방에 위치하도록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의 배치 위치를 설정해도 좋다.
중립축(10t)이란,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굽힘 모멘트를 걸었을 때에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부하를 받고 있지 않은 부분이다.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립축(10t)은 통상 수평선(71t)과 일치한다. 그러나,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개구한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의 강도가 높게 되어, 중립축(10t)은 수평선(71t)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봉상 서포트 부재 선단측 지지부(14)의 선단측에는 롤러 장착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롤러 장착부(1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롤러(14b, (14b))와 하부 롤러(14a, (14a))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롤러(14b, (14b))와 하부 롤러(14a, (14a))는, 각각 신축 붐(1)의 신축 시에 붐 본체(2) 내의 상측과 하측에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신축 장치(3)를 지지하는 것이다.
[2개의 축소용 와이어 기구]
다음으로, 도 1~도 3을 이용하여 2개의 축소용 와이어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2개의 축소용 와이어 기구는,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8)와 탑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9)이다.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8)는, 서드 붐(23)을 축소하는 것이다. 이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8)는, 한 쌍의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와,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는, 세컨드 붐(22) 내의 기단측에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세컨드 붐(22)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는,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가 걸쳐지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축이 세컨드 붐(22)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는, 한 쌍의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에,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설치된 봉상 서포트 부재 기단측 지지부(16)를 거쳐 걸쳐져 있다(도 3 참조).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의 양단은, 베이스 붐(21)의 선단측에 설치된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 고정부(17)에 고정되어 있다.
탑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9)는, 탑 붐(24)을 축소하는 것이다. 이 탑 붐 축소용 와이어 기구(9)는,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와,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좌우로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해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는,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가 걸쳐지는 것이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축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대해서 기울어져 배치되어도 좋다.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는,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에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를 거쳐 걸쳐져 있다(도 2 참조).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의 양단은, 탑 붐(24) 내의 기단측의 상면에 설치된 탑 붐 축소용 와이어 고정부(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탑 붐 축소용 와이어 고정부(18)는,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고정부(15)보다도 기단측에 배치되고, 탑 붐 신장용 와이어 고정부(15)와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2개의 축소용 와이어 기구와 신축 실린더(4)를 이용한 신축 붐(1)의 전축(全縮) 동작(도 4→도 1)에 대해 설명한다.
(1) 세컨드 붐(22)의 축소
유압에 의해 실린더 튜브(41)가 신축 붐(1)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실린더 튜브(41)가 고정되어 있는 세컨드 붐(22)이 기단측으로 이동하여 축소될 수 있다.
(2) 서드 붐(23)의 축소
세컨드 붐(22)이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세컨드 붐(22)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도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에 봉상 서포트 부재 기단측 지지부(16)를 거쳐 걸쳐져 있는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는, 양단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을 거쳐 베이스 붐(21)의 선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는, 서드 붐 축소용 시브(81, (81))가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양단이 베이스 붐(21)의 선단측에 고정된 채이므로, 중간 부분에서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기단측으로 끌어 당긴다. 이에 의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고정되어 있는 서드 붐(23)이 기단측으로 이동하여 축소될 수 있다.
(3) 탑 붐(24)의 축소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기단측으로 이동하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도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에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를 거쳐 걸쳐져 있는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는, 양단이 탑 붐(24)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탑 붐(24)을 기단측으로 끌어 당긴다. 이에 의해 탑 붐(24)이 기단측으로 이동하여 축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신축 붐(1)의 신축 장치(3)는, 1개의 신축 실린더(4)와 신축 기구(5)를 사용하여 신축 붐(1)을 신축하도록 했다.
종래의 신축 장치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4단식의 신축 붐에 있어서 세컨드 붐과 서드 붐을 신축하기 위해서 2개의 신축 실린더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서드 붐(23)을 신축하기 위해서 신축 실린더 대신에 신축 기구(5)를 사용하였다. 이에 의해 신축 실린더의 사용 개수가 종래보다도 1개 감소하여 1개가 되므로, 신축 실린더의 신축 동작의 제어를 종래보다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신축 기구(5)를 사용함으로써 신축 실린더의 사용 개수가 종래보다도 1개 감소하여 1개가 되므로 각 붐의 동시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붐의 단 바뀜 시의 쇼크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붐(1)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사용하여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를 탑 붐(24)에 내장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삽입 작업 시에는,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가 장애물에 간섭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삽입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를 배치하고 탑 붐(24)에 내장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삽입 작업 시에는,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도 장애물에 간섭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삽입 작업의 효율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의 배치 위치를, 회전 중심(71s)을 통과하는 수평선(71t)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중립축(10t)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였다. 이 때문에, 신축 장치(3)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단면을 가능한 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내장되는 탑 붐(24)의 단면도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붐(1) 전체의 단면(크기)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서, 경량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선단측에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를 배치하고, 그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탑 붐(24)에 내장하도록 형성하고, 그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를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신축 붐(1)의 조립 전, 혹은 신축 붐(1)의 조립과는 별도로, 또는 신축 붐(1)의 조립과 동시가 아니어도, 쌍방의 시브에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와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를 각각 걸어서 텐션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신축 붐(1)의 조립 시에 쌍방의 와이어(72, 92)를 배치(配索)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쌍방의 와이어(72, 92)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조립을 행할 필요가 없고, 신축 붐(1)의 조립 후에 쌍방의 와이어(72, 92)의 텐션을 조정할 필요도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조립공수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는, 탑 붐 신장용 시브(71, (71))에 신축 실린더(4)의 선단측을 거쳐 걸쳐져서, 그 양단이 탑 붐(24)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의 고정 작업은 같은 장소에서 행하게 되므로,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의 고정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는,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에 신축 실린더(4)의 선단측을 거쳐서 결려져서, 그 양단이 탑 붐(24)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의 고정 작업은 같은 장소에서 행하게 되므로,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의 고정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는, 신축 실린더(4)의 선단측에 배치된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에 걸쳐져서, 그 양단이, 신축 실린더(4)의 기단측과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신축 붐(1)의 조립 전, 혹은 신축 붐(1)의 조립과는 별도로, 또는 신축 붐(1)의 조립과 동시가 아니어도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축 붐(1)의 조립 후에 탑 붐 신장용 와이어(72), 탑 붐 축소용 와이어(92)의 텐션의 조정이 불필요하게 됨과 함께,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의 조정도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조립공수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신축 실린더(4)의 선단측(실린더 튜브 선단측 지지부(11))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를 탑 붐(24)에 내장하도록 배치하고,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신축 실린더(4)와 평행으로 배치하고, 내측(10s)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일부(상부(61a))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탑 붐(24) 내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41)의 저부(도 1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상벽부(10a)까지의 높이가 억제되고, 탑 붐(24) 내의 공간절약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신축 붐(1) 내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되는 탑 붐(24)은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외의 붐(21~23)도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붐(1) 전체의 단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신축 붐(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어, 신축 붐(1)의 제조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단면 형상이 역 U자 형상인 봉상으로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내측(10s)을 이용하여 신축 실린더(4)가 신축할 때의 선단부의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의 덜컥거림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실린더(4)의 선단부의 덜컥거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도 8~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서포트 부재(10)는, 일단측이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에 있어서, 좌우로 연장하는 연결축(고정 핀(101)과 서드 붐 연결 핀(110)이 일체로 된 것)을 거쳐 고정되어 있고,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은,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를 거쳐서 연결축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는,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 핀(101)을 좌우로 삽통(揷通)시키는 삽통 구멍(13a)을 갖고 있다.
또한, 봉상 서포트 부재 기단측 지지부(16)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좌우로 떨어져 기립하여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161, 161)과, 지지판(161, 161) 사이에 걸쳐 놓여진 연결판(162)과, 연결판(162)의 하면에 설치되어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를 되접어 꺽기 위한 절첩부(16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161, 161)은,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있어서 좌우의 측벽부(10b, 10b)로부터 더 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판(161, 161)에는, 원형의 핀 구멍(161a, 161a)이 형성되어 있다. 절첩부(163)의 좌우측에는, 서드 붐 축소용 와이어(82)가 되접혀 꺽여진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홈(163a, 163a)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핀(10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핀(101)은, 복수의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를 좌우로 배열하여 지지판(161, 161)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의 삽통 구멍(13a)에 삽통하여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고정 핀(101)의 양단부가 핀 구멍(161a, 161a)에 삽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은,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를 거쳐 고정 핀(10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핀 구멍(161a, 161a)에 장착된 고정 핀(101)의 양단부에는, 도 8,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스페이서(S1, S1)를 거쳐서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의 축 구멍(91a, 91a)이 통과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는, 고정 핀(10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드 붐(23)의 측벽부(23a, 23a)의 기단부에는 보스부(102, (1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102, (102))에는 보스 구멍(102a, (10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 구멍(102a, (102a))에는, 서드 붐 연결 핀(110, 110)이 삽입되어 있다.
서드 붐 연결 핀(110, 110)은, 고정 핀(101)의 구멍(101a)(도 8 참조)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핀(101)은, 서드 붐 연결 핀(110, 110)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서드 붐 연결 핀(110, 110)과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일단측은, 도 8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고정 핀(101) 및 서드 붐 연결 핀(110, 110)을 거쳐서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측벽부(23a, 23a)의 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핀(101)과 서드 붐 연결 핀(110, 110)을 동일 축선 상에 배치하였지만, 반드시 동일 축선 상이 아니어도 좋으며, 고정 핀(101)의 축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연결 핀(110, 110)을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신축 붐(1)의 신축 장치(3)에서는,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에 연결축(고정 핀(101) 및 서드 붐 연결 핀(110, 110)을 거쳐서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일단측을 고정하고, 또한 이 연결축에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을 고정하였다. 이에 의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일단측과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고정 부재를 연결축으로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드 붐(23) 내의 공간절약 설계가 가능하게 되므로, 서드 붐(23)은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그 외의 붐도 단면적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붐(1) 전체의 단면적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 신축 붐(1)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신축 붐(1)의 제조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의 공용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신축 장치(3)의 부품 갯수의 삭감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축 장치(3)의 제조 비용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에, 연결축을 삽통시켜 당해 타단을 연결축에 고정하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타단측 고정부(13)를 마련하였다. 이 때문에, 신축 붐(1)의 제조에 있어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타단을 용이하게 연결축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신축 붐(1)의 제조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축 붐(1)의 신축 장치(3)에서는,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를 연결축에 마련하였다. 이에 의해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의 고정 부재도 연결축으로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축 장치(3)의 부품 갯수를 보다 더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은, 제조 비용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일단은,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의 하측에 설치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일단측 고정부(12)에 고정되고 있다. 이 고정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 일단측 고정부(12)는,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일단에 설치된 일단측 고정 부재(121)와,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를 고정하는 기단측 고정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신축 붐(1)의 길이 방향 A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의 전단에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일단은, 이 개구부로부터 일단측 고정 부재(121)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의 외면에는 나사부(121a)가 설치되어 있다.
기단측 고정부(122)는, 실린더 로드(42)의 기단부(42a)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판(123)과, 복수의 너트(12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123)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좌우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에는 일단측 고정 부재(121)가 삽통한 상태로 끼워 넣어져 있다.
각 너트(124)는, 고정판(123)보다도 후방측에 있어서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에 통과되어 나사부(121a)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판(123)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다. 각 너트(124)의 죄어짐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에서는, 각 일단측 고정 부재(121)와 기단측 고정부(122)를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이 조정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하였다. 이 때문에,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의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신축 장치(3)는,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의 조정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도 14를 이용하여 베이스 붐(2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 붐(21)은, 기단부의 저부(21a)에 점검용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점검용 구멍(211)은,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텐션을 재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 점검용 구멍(211)은 폐색 부재(20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막혀 있다. 이 폐색 부재(200)는, 점검용 구멍(211)을 막는 폐색판(201)과, 폐색판(201)의 상면의 앞 부분에 설치된 좌굴 방지 부재(202)와, 좌굴 방지 부재(202)의 후면에 설치된 보강 부재(203)를 구비하고 있다.
좌굴 방지 부재(202)는, 폐색판(201)이 점검용 구멍(211)을 폐색한 상태에서, 고정판(123)의 전면과, 고정판(123)의 전면의 전방에 배치된 기립벽(212)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립벽(212)은, 베이스 붐(21)의 기단부의 저부(21a)에 있어서 고정판(123)의 전면의 전방으로 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203)는 좌굴 방지 부재(202)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 보강 부재(203)는, 좌굴 방지 부재(20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폐색판(201)이 점검용 구멍(211)을 폐색한 상태에서 고정판(123)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폐색 부재(200)는, 점검용 구멍(211)을 폐색판(201)으로 폐색하면, 좌굴 방지 부재(202)가 고정판(123)의 전면과 기립벽(212)의 후면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튜브(41)가 신장하였을 때에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가 전방으로 끌어 당겨져도, 좌굴 방지 부재(202)가 고정판(123)을 눌러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장력을 흡수하므로, 실린더 로드(42)의 좌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굴 방지 부재(202)는 보강 부재(203)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고정판(123)을 확실하게 눌러서 서드 붐 신장용 와이어(62)의 장력을 확실히 흡수하여, 실린더 로드(42)의 좌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각종의 변경 등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탑 붐 축소용 시브(91, (91))를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기단측에 배치하였지만, 봉상 서포트 부재(10)가 고정되어 있는 서드 붐(23) 내의 기단측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탑 붐 신장용 시브(71)의 배치 위치를, 회전 중심(71s)을 통과하는 수평선(71t)이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중립축(10t)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였지만,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중립축(10t)과 일치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4단식의 신축 붐에 본 발명의 신축 장치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신축 장치는, 4단식 이상의 신축 붐이라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장치를 구성하는 신축 실린더는, 탑 붐의 2단 아래 이후의 붐을 신축하기 위해 사용하며, 신축 장치를 구성하는 신축 기구는, 탑 붐 및 그 1단 아래의 붐을 신축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축 장치를 4단식 이상의 신축 붐에 적용하는 경우에, 탑 붐의 1단 아래의 붐을 신장하기 위한 신장용 시브는, 탑 붐 측에 위치하는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에 탑 붐에 내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탑 붐 축소용 시브는 탑 붐의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예를 들면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배치되고, 탑 붐의 1단 아래의 붐을 축소하기 위한 축소용 시브는 탑 붐의 2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실린더(4)의 상방에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배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반대로 신축 실린더(4)의 하방에 봉상 서포트 부재(10)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봉상 서포트 부재(10)의 단면 형상을 U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측(10s)에 서드 붐 신장용 시브(61)의 하부(61b)(도 8, 도 9 참조)를 배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상 서포트 부재(10)로서 바닥을 갖는 형상의 것을 사용하였지만, 봉상 서포트 부재가 바닥을 갖지 않는 형상, 예를 들면 봉상 서포트 부재가 좌우에 분할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구성에서도,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고 말해도 좋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6월 17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14-124211호, 2014년 9월 1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14-185635호, 2014년 10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14-213904호, 2014년 10월 20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14-21390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모든 개시는 완전하게 본 명세서에서 참조에 의해 포함되어진다.

Claims (9)

  1. 작업기에 설치되는 4단식 이상의 신축 붐(boom)의 신축에 사용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이며,
    전축(全縮) 시에 탑(top) 붐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탑 붐의 2단 아래 이후의 붐을 신축하는 적어도 1개의 신축 실린더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신축 실린더 내에서 상기 탑 붐 측에 위치하는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탑 붐 및 그 1단 아래의 붐을 동시에 신축하는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기구는,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 일단측이 고정되고 상기 탑 붐 내에 배치되는 봉상(棒狀) 서포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는, 그 선단측에 상기 탑 붐을 신장하기 위한 탑 붐 신장용 시브(sheave)를 배치하고 상기 탑 붐에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에, 상기 1단 아래의 붐을 신장하기 위한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를 상기 탑 붐에 내장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 붐을 축소하기 위한 탑 붐 축소용 시브를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단 아래의 붐 내의 기단측에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상기 탑 붐 축소용 시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의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에 대한 배치 위치는,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의 회전 중심을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는 수평선이,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중립축(中立軸)과 일치 또는 상기 중립축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신장용 시브는,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선단측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이며, 당해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와 함께 상기 탑 붐을 신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탑 붐 신장용 와이어는, 당해 한 쌍의 탑 붐 신장용 시브에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을 거쳐 걸쳐지고, 그 양단이 상기 탑 붐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 붐 축소용 시브는,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기단측에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된 것이며, 당해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와 함께 상기 탑 붐을 축소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탑 붐 축소용 와이어는, 당해 한 쌍의 탑 붐 축소용 시브에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선단측을 거쳐 걸쳐지고, 그 양단이 상기 탑 붐 내의 기단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는, 그 내측에 상기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는, 상기 탑 붐 측 신축 실린더의 상방에 배치되고, 단면 형상이 역 U자 형상인 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상 서포트 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1단 아래의 붐 신장용 시브의 상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붐의 신축 장치.
KR1020167035073A 2014-06-17 2015-04-30 신축 붐의 신축 장치 KR101891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4211 2014-06-17
JP2014124211A JP6390058B2 (ja) 2014-06-17 2014-06-17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JP2014185635A JP6390059B2 (ja) 2014-09-11 2014-09-11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JPJP-P-2014-185635 2014-09-11
JPJP-P-2014-213905 2014-10-20
JP2014213905A JP6405880B2 (ja) 2014-10-20 2014-10-20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JPJP-P-2014-213904 2014-10-20
JP2014213904A JP6405879B2 (ja) 2014-10-20 2014-10-20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PCT/JP2015/062972 WO2015194268A1 (ja) 2014-06-17 2015-04-30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269A true KR20170008269A (ko) 2017-01-23
KR101891909B1 KR101891909B1 (ko) 2018-08-24

Family

ID=5493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073A KR101891909B1 (ko) 2014-06-17 2015-04-30 신축 붐의 신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91909B1 (ko)
CN (2) CN108439234B (ko)
WO (1) WO2015194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9013B (zh) * 2018-07-31 2023-10-03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伸缩臂架系统及工程机械
CN109319700A (zh) * 2018-11-01 2019-02-12 尹宏 一种伸缩装置及升降设备
CN110181553B (zh) * 2019-05-20 2021-11-02 广东博鼎建筑科技有限公司 伸缩臂组件及造楼装置
US11614199B2 (en) 2019-05-28 2023-03-28 Brunswick Corporation Vertically adjustable pedestal for boat accessory
CN110775858B (zh) * 2019-11-07 2020-05-12 成都理工大学 一种单缸齿轮齿条多级伸缩机构
CN113729743B (zh) * 2021-09-13 2024-03-08 威海威高瑞影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dr的水平伸缩臂
CN116040508B (zh) * 2022-12-02 2023-11-03 河南骏通车辆有限公司 一种绳排伸缩结构、伸缩臂起重机及其起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219A (ja) 1986-08-02 1988-02-18 Yoshiji Kondo 磁導線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987A (en) * 1978-12-01 1980-08-19 Harnischfeger Corporation Actuator for telescopic boom
JP2508108Y2 (ja) * 1990-06-02 1996-08-21 株式会社タダノ 同時伸縮式ブ―ム
JP4049853B2 (ja) * 1997-09-11 2008-02-20 株式会社タダノ 伸縮ブームの同時伸縮機構
JP2006264797A (ja) * 2005-03-22 2006-10-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伸縮ブーム装置
CN201214601Y (zh) * 2008-05-07 2009-04-01 长沙中联重工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起重机用主臂伸缩机构
DE202008008173U1 (de) * 2008-06-18 2009-11-05 Liebherr-Werk Ehingen Gmbh Teleskopierbarer Kranausleger
DE102008034676B4 (de) * 2008-07-25 2016-11-24 Liebherr-Werk Ehingen Gmbh Verfahren zur Montage eines teleskopierbaren Kranausleger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S2459719T3 (es) * 2010-12-17 2014-05-12 Manitowoc Crane Group France Sas Sistema telescópico para pluma de grúa y pluma adicional
AT12645U1 (de) * 2011-03-10 2012-09-15 Palfinger Ag Ladekran-ausleger
CN102381642B (zh) * 2011-11-29 2013-04-24 徐州天地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同步伸缩装置
CN202465131U (zh) * 2011-11-30 2012-10-03 徐州天地重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同步伸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219A (ja) 1986-08-02 1988-02-18 Yoshiji Kondo 磁導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268A1 (ja) 2015-12-23
CN106536398B (zh) 2019-07-12
CN108439234B (zh) 2019-09-27
KR101891909B1 (ko) 2018-08-24
CN108439234A (zh) 2018-08-24
CN106536398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909B1 (ko) 신축 붐의 신축 장치
CN108290724B (zh) 移动式起重机和相对其主悬臂弯折主悬臂延长部的方法
US7752932B2 (en) Linear actuator
EP3199485B1 (en) A telescopic arm for self-propelled operating machines
JP6405880B2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CN104955763A (zh) 伸缩式吊杆
US20240359962A1 (en) Aerial work platform
JP6235854B2 (ja) クレーンの組立方法
JP5154920B2 (ja) 伸縮ブーム装置
KR20150076462A (ko)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승강 장치
JP6390058B2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CN209890123U (zh) 随车起重机伸缩臂伸缩装置
CN115196515A (zh) 一种多倍率伸缩装置及起重机
EP2096075A1 (en) Telescopic boom
JP6405879B2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EP3753897A1 (en) Telescopic boom and hydraulic crane comprising a telescopic boom
JP6390059B2 (ja) 伸縮ブームの伸縮装置
CN202320241U (zh) 工程机械及其伸缩机构
JP2508108Y2 (ja) 同時伸縮式ブ―ム
JP5154919B2 (ja) 伸縮ブーム装置用コードリール装置
JP2010037045A (ja) 筒型構造体
JP4297230B2 (ja) アウトリガ張出幅検出装置
KR20170124312A (ko) 독립형 신축 붐대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
KR20070006985A (ko) 고소작업차의 신축식 다단붐
JPS63382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