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394A - 차량용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394A
KR20170007394A KR1020167034722A KR20167034722A KR20170007394A KR 20170007394 A KR20170007394 A KR 20170007394A KR 1020167034722 A KR1020167034722 A KR 1020167034722A KR 20167034722 A KR20167034722 A KR 20167034722A KR 20170007394 A KR20170007394 A KR 20170007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ing
vehicle information
image
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218B1 (ko
Inventor
쇼타 노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02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2562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0222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18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60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33185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00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3Virtu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4Variable gauge scales, e.g. scale enlargement to adapt to maximum driv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multiple visual outputs, e.g. combined instruments with analogue meters and addition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1Instrument output devices for configurable output
    • B60K2360/1515Reconfigurable 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67Vehicle dynamics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7Augmented re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1Virtual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7Optical elements for super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2Arrangements to cover or hide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8Frames or decora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8Pointers of combined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 F16H2019/0681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forming a closed loop
    • F16H2019/0686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flexible members, e.g. an endless flexible member the flexible member forming a closed loop the flexible member being directly driven by a pulley or chain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표시용 영역(110)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링부(144)와 이동 기구(190)를 구비한다. 링부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표시용 영역 내에 허상으로서 시인된다. 이동 기구는, 링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한다. 링부는, 표시용 영역 내에 있어서 허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동 기구에 의해 링부의 위치를 이동시켜도, 링부의 실체는, 표시용 영역 내에 있어서, 다른 부재와 직접 간섭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 {VEHICLE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2014년 8월 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4-160222호, 2014년 8월 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4-160223호 및 2014년 8월 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4-160224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것들의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차량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콤비네이션 미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차량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차량용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내에 제1 표시기 및 1쌍의 제2 표시기가 집약된 복합형 표시기로 되어 있다.
제1 표시기는, 예를 들어 화상에 의해 정보가 표시되는 디지털식 표시기로 되어 있고, 표시 영역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1쌍의 제2 표시기는, 지침이 회전함으로써 정보가 표시되는 아날로그식 표시기로 되어 있고, 제1 표시기의 시인자측이며, 또한 제1 표시기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2 표시기 각각에는, 모터, 기어 등으로 형성되는 이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표시기는, 제1 표시기에 대해, 각각 일부분이 제1 표시기와 겹쳐지지만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표시기와는 겹쳐지지 않고 서로가 이격된 위치로 되는 제2 위치까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2 표시기는, 제1 표시기에 대해 각각 일부분이 겹쳐지는 위치로부터, 서로 이격되도록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혹은, 각 제2 표시기는, 제1 표시기에 대해 겹쳐지지 않는 좌측 및 우측의 위치로부터, 제1 표시기에 대해 각각 일부분이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우선하여 표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표시기는 제2 위치까지 이동되고, 또한 제2 표시기의 표시 내용을 우선하여 표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표시기는 제1 위치까지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41829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차량용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1쌍의 제2 표시기는, 모두 실체를 갖는 실물의 표시기이며, 각 제2 표시기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범위로 제약된다.
또한, 1쌍의 제2 표시기는, 서로 겹쳐지지 않는 범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불과하다. 1쌍의 제2 표시기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을 뿐이며, 항상 시인자에게는 2개의 표시기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전체의 표시 내용을 크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본 개시의 목적은, 표시기를 이동시킬 때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표시용 영역 내에 있어서, 복수의 지침을 보는 방법,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체의 표시 내용을 크게 변경할 수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실상과 허상에 의해 시인되는 링부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실질적인 어긋남이 있어도 그 어긋남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억제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표시용 영역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표시용 영역 내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링부와, 링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링부는, 표시용 영역 내에 있어서 허상으로서 시인자에게 시인된다. 따라서, 이동 기구에 의해 링부의 위치를 이동시켜도, 링부의 실체는, 표시용 영역 내에 있어서, 다른 부재와 직접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동에 수반되는 링부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표시용 영역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지침과,
각종 차량 정보 중,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지침과,
제1 지침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1 광원과, 제2 지침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2 광원과, 제1 지침 및 제2 지침 중, 적어도 제1 지침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모두 점등시켜, 제1 지침 및 제2 지침을 발광 상태로 함으로써, 2개의 지침에 의한 제1, 제2 차량 정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광원을 점등시켜 제1 지침을 발광 상태로 하고, 제2 광원을 소등시켜 제2 지침을 비발광 상태로 하고, 또한 제1 지침의 위치를 이동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지침에 의한 제1 차량 정보만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2침식 표시 형태와, 1침식 표시 상태의 양자의 전환이 가능해져, 전체의 표시 내용을 크게 변경시킬 수 있어,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서는, 표시용 영역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표시용 영역 내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제1 링부와, 각종 차량 정보 중,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표시용 영역 내에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제2 링부와, 제1 링부 및 제2 링부 중, 어느 한쪽의 링부를 발광시키는 발광용 광원과, 제1 링부 및 제2 링부 중, 적어도 한쪽의 링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와, 이동 기구에 의해, 제1 링부와 제2 링부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제1 링부의 허상과 제2 링부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발광용 광원을 점등 상태로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링부의 허상과 제2 링부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제어부에 의해, 광원이 점등 상태로 된다. 즉, 어느 한쪽의 링부가 발광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링부의 허상과 제2 링부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양자의 실질적인 어긋남이 있어도, 시인자에게는, 어느 한쪽의 링부의 발광 상태가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어, 다소의 어긋남을 눈에 띄게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긋남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II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IV-IV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표시용 영역 내에 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이그니션 스위치 오프 시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이그니션 스위치 온 시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오프닝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2개의 링부가 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통상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2개의 링부가 중앙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스포츠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2개의 링이 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내비게이션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접근 차량 주의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엔딩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2개의 링부가 좌우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변형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에 있어서의 II-II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있어서의 XXV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표시용 영역 내에 표시되는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오프닝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스포츠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2는 접근 차량 주의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엔딩 모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끼리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형태의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이하, 표시 장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콤비네이션 미터에 적용된 것이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시인자(이하, 운전자)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100)는, 운전자에 대해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표시용 영역(110) 내에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 되어 있다. 표시용 영역(110)은, 미터 후드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의 영역이며, 여기서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본 형상이, 가로로 긴 타원형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는, 이그니션 스위치(10), 자동 변속기의 셀렉트 레버(11) 및 자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타차량(4륜차, 2륜차) 혹은 보행자 등의 상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2) 등이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12)는, 예를 들어 차량의 외부 주위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밀리미터파 레이더, 레이저 레이더, 소나 등이다.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온, 오프에 의한 온 신호, 오프 신호, 셀렉트 레버(11)에 의한 미션 기어의 조합을 나타내는 셀렉트 신호(P, R, N, D, L 등), 및 검출부(12)에 의한 검출 신호(예를 들어, 타차량의 위치, 거리 등) 등은, 후술하는 제어부(210)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 1∼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 하프 미러부(130), 제1 표시부(140), 제2 표시부(150), 수온 표시부(170), 연료 잔량 표시부(180), 이동부(190), 선택 스위치(200) 및 제어부(2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1 표시부(140)의 제1 링부(144)와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에 의해, 표시용 영역(110)의 중심부에 제3 표시부(16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차량 정보 등을 디지털 화상(121a∼121n 등)으로서 형성하여 자신의 표시면(121)에 표시하는 것이며, 복수의 표시해야 할 내용 및 표시 위치(상세 후술)가 후술하는 제어부(210)에 의해 전환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형성되는 디지털 화상(121a∼121n 등)은, 미리 정해진 색에 의한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 디지털 화상(121a∼121n 등)은, 후술하는 하프 미러부(130)를 투과하여 운전자에게는 실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지 않을 때에는, 표시면(121)은 흑색 일색이 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1 표시부(140(제1 지침(145))) 및 제2 표시부(150(제2 지침(154)))에 의해 표시되는 차량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차량 정보를 디지털 화상(121a∼121n 등)으로서 형성하여 자신의 표시면(121)에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예를 들어 편평한 가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표시면(121)이 운전자와 대향하도록, 즉, 표시면(121)이 대략 수직 방향을 따르도록, 표시용 영역(1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하프 미러부(130)는,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투과시키는 투과 기능과, 입사하는 광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반사 기능을 구비하고, 투과광과 반사광의 강도가 동등하게 얻어지는 미러로 되어 있다. 하프 미러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운전자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프 미러부(130)는, 판상의 미러이며, 정면 형상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하프 미러부(130)의 상변측은, 디스플레이부(120)의 상변과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하프 미러부(130)의 하변측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하변으로부터 운전자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하프 미러부(130)는, 표시면(121)에 대해 하변측이 운전자측으로 쓰러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경사의 각도는, 45도 정도를 이루고 있다.
제1 표시부(140)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주로 제1 차량 정보(차속)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40)는, 기판(141), 광원(142)(제1 광원(142)), 문자판(143), 제1 링부(144), 지침(145)(제1 지침(145)), 모터(146) 및 아암부(147) 등을 갖고 있다.
제1 표시부(14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 영역, 구체적으로는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 중, 상측이며, 또한 표시면(121)보다 운전자측(이하, 표시용 영역(110)의 천장측)에, 기판(141) 및 문자판(143)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140)(문자판(143), 제1 링부(144), 지침(14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2, 도 6의 (d), 도 6의 (e), 도 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기판(141)은, 예를 들어 유리 에폭시 기판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1 표시부(140)의 전기 회로부를 형성하고 있다. 기판(141)은, 원 형상을 이루어 표시용 영역(110)의 천장측에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원(142)은, 점등됨으로써 문자판(143) 및 지침(145)을 비추는 것이며, 기판(141)의 하측의 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광원(142)은, 점등됨으로써 문자판(143) 및 지침(145)을 발광 상태로 함과 함께, 소등됨으로써 문자판(143) 및 지침(145)을 비발광 상태로 하는 것이다. 광원(142)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어 있다.
문자판(143)은, 예를 들어 투광성재(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등)로 형성된 원 형상의 얇은 판 부재이며, 기판(141)의 하측(하프 미러부(130)측)에서, 판면이 기판(141)의 판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기판(141)에 고정되어 있다. 문자판(143)의 하측(하프 미러부(130)측)의 면의 외주측에는, 차속값을 나타내는 숫자부 및 눈금부(제1 차량 정보의 내용)가 주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문자판(143)의 숫자부 및 눈금부를 제외한 영역에는, 차광성 인쇄 도장(예를 들어, 흑색 도장)이 실시되어 있다.
제1 링부(144)는 링 형상을 이루고 있고, 운전자에 대해, 문자판(143)의 외주측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로 되어 있다. 제1 링부(144)는, 문자판(143)의 하측(하프 미러부(130)측)으로 되는 면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링부(144)는, 예를 들어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금속성(은색)의 도장, 혹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부(144)는, 외부로부터의 광의 반사에 의해, 제1 링부(144) 자신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지침(145)은, 투광성재(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로 형성되어 있다. 지침(145)은, 문자판(143)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부(145a)가 회전함으로써, 축부(145a)로부터 문자판(143)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바늘부가 회전하여, 차속값(제1 차량 정보)을 지시하는(표시하는) 아날로그식 바늘로 되어 있다.
모터(146)는, 지침(145)의 회전용 구동부이며, 기판(141)의 상측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146)의 샤프트(146a)는, 기판(141)을 관통하여 지침(145)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부(145a)에 접속되어 있다.
아암부(147)는, 제1 표시부(140)를, 후술하는 이동부(190)에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며, 블록 형상을 이루어, 일단부측이 예를 들어 기판(14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벨트(194)(진행측의 벨트(194a))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부(190)의 작동에 의해 벨트(194)가 이동되면, 이 벨트(194)와 함께 제1 표시부(140), 즉, 제1 지침(145)은 수평 방향이며,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아암부(147)의 벨트(194)에의 접속 형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표시부(150)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상기 제1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정보(차속)와는 상이한 정보(주행 모드, 엔진 회전수, 지도 등)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3,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50)는, 기판(151), 광원(152)(제2 광원(152)), 제2 링부(153), 제2 지침(154)(축부(154a)), 모터(155(샤프트(155a))) 및 아암부(156) 등을 갖고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는 상기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의 문자판(143)에 상당하는 부재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2 표시부(150)의 구성 부재 중, 기판(151), 광원(152), 지침(154) 및 모터(155)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천장측이며, 또한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151)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지침(154)은,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3,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구성 부재 중, 제2 링부(153) 및 아암부(156)는, 표시면(121)의 운전자측이며, 또한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링부(153)는, 표시면(121)측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투과하여, 도 3,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링부(153)의 내측 영역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의 표시면(121)에는, 제2 표시부(150)용의 각종 화상(121d, 121f, 121l)이 형성된다. 이들 화상(121d, 121f, 121l)은, 하프 미러부(130)를 투과하여 운전자에 대해 실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기판(151), 광원(152), 지침(154) 및 모터(155)의 구조는, 상기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의 기판(141), 광원(142), 지침(145) 및 모터(146)의 구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광원(152)은 점등됨으로써 제2 지침(154)을 발광 상태로 함과 함께, 소등됨으로써 제2 지침(154)을 비발광 상태로 하는 것이다. 제2 광원(152)은, 기판(151)의 하측의 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2 광원(152)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어 있다.
제2 링부(153)는, 링 형상을 이루고 있고, 운전자에 대해, 제2 표시부(150)의 영역의 외주측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로 되어 있다. 제2 링부(153)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운전자측이며, 표시면(121)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링부(153)는, 예를 들어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금속성(은색)의 도장, 혹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링부(153)는, 외부로부터의 광의 반사에 의해, 제2 링부(153) 자신이 발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지침(154)은, 투광성재(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등)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침(154)은, 기판(15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축부(154a)가 회전함으로써, 축부(154a)로부터 기판(151)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바늘부가 회전하여, 주행 모드(제2 차량 정보)를 지시하는(표시하는) 아날로그식 바늘로 되어 있다. 축부(154a)는, 모터(155)의 샤프트(155a)에 접속되어 있다.
아암부(156)는, 제2 링부(153)를 후술하는 이동부(190)에 접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아암부(156)는, 판상을 이루어, 일단부측이, 제2 링부(153)의 외주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벨트(194)(복귀측의 벨트(194b))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부(190)의 작동에 의해 벨트(194)가 이동되면, 이 벨트(194)와 함께 제2 링부(153)는 수평 방향이며,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아암부(156)의 벨트(194)에의 접속 형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온 표시부(170)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엔진 냉각수의 수온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온 표시부(170)는, 기판(171), 광원(172), 문자판(173), 링부(174), 지침(175)(축부(175a)) 및 모터(176)(샤프트(176a)) 등을 갖고 있다.
수온 표시부(17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으로 되는 천장측에, 기판(171) 및 문자판(173)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온 표시부(170)(문자판(173), 링부(174), 지침(17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4, 도 6의 (d), 도 6의 (e), 도 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기판(171), 광원(172), 문자판(173), 지침(175) 및 모터(176)의 구조는, 상기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의 기판(141), 광원(142), 문자판(143), 지침(145) 및 모터(146)의 구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되어 있다.
단, 문자판(173)에는, 수온을 지시하기 위한 수온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부(174)는, 주위 방향의 일부분이 삭제된 링으로 되어 있고, 문자판(173)에 고정되어 있다. 링부(174)는, 상기 제1 링부(144), 제2 링부(153)와는 달리, 투광성재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고, 금속성의 표면 처리는 이루어져 있지 않고, 광원(172)의 점등에 의해 발광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료 잔량 표시부(180)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연료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 잔량 표시부(180)는, 기판(181), 광원(182), 문자판(183), 링부(184), 지침(185(축부(185a))) 및 모터(186(샤프트(186a))) 등을 갖고 있다.
연료 잔량 표시부(18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좌측으로 되는 천장측에, 기판 및 문자판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잔량 표시부(180(문자판(183), 링부(184), 지침(18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6의 (d), 도 6의 (e), 도 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의 기판(181), 광원(182), 문자판(183), 링부(184), 지침(185) 및 모터(186)의 구조는, 상기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의 기판(171), 광원(172), 문자판(173), 링부(174), 지침(175) 및 모터(176)의 구조와 마찬가지인 것으로 되어 있다. 단, 문자판에는, 연료 잔량을 지시하기 위한 연료 잔량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190)는, 제1 표시부(140(제1 링부(144), 제1 지침(145))) 및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이동부(19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모터(191), 제1 풀리(192), 제2 풀리(193) 및 벨트(194) 등을 갖고 있다.
모터(191)는, 제1 풀리(192)를 구동(회전)시키는 구동부이며, 디스플레이부(120)의 상측의 긴 변의 일단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191)의 샤프트(회전축)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표시면(121)에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풀리(192)는, 모터(191)의 샤프트(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다. 제2 풀리(193)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상측의 긴 변의 타단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이간 배치되어 있다.
벨트(194)는, 제1 풀리(192)와 제2 풀리(193)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따라서, 벨트(194)에 있어서의 각 풀리(192, 193) 사이의 부분은, 디스플레이부(120)의 상측의 긴 변과 평행하게 되어, 상하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194)에 있어서, 상측의 벨트는 진행측의 벨트(194a)로 되어 있고, 하측의 벨트는 복귀측의 벨트(194b)로 되어 있다.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진행측의 벨트(194a)는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도 5 중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복귀측의 벨트(194b)는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도 5중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진행측의 벨트(194a) 및 복귀측의 벨트(194b)의 이동 방향은, 상기의 반대(도 5 중의 파선 화살표의 방향)가 된다.
제1 표시부(140(제1 링부(144), 제1 지침(145)))는, 아암부(147)를 통해, 진행측의 벨트(194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링부(153)는, 아암부(156)를 통해, 복귀측의 벨트(194b)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제1 표시부(140)의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에 의한 허상은,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의 소정 위치에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좌측의 소정 위치에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 표시부(150)의 지침(154)은, 광원(152)이 점등되면, 제2 링부(153)의 실상의 내측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예를 들어, 도 5 중의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제1 표시부(140)의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에 의한 허상은, 도 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디스플레이부(120)의 중앙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양자가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겹침에 의해, 도 6의 (c), 도 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제3 표시부(16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동부(190)에 의해, 제1 지침(145)의 허상은, 표시용 영역(110) 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부(190)에 의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표시용 영역(110) 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와, 중앙에서 양자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양자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위치 관계를, 「2개 링」이라고 칭하고, 양자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 관계를, 「1개 링」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선택 스위치(200)는, 운전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표시 장치(100)의 표시 모드를 기호에 따라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로 되어 있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의 전환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210)에 출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시 모드는, 예를 들어 통상 모드,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 스포츠 모드 및 내비게이션 모드 등이 있다. 각 모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온 신호, 오프 신호, 셀렉트 레버(11)의 셀렉트 신호, 검출부(12)의 검출 신호, 선택 스위치의 전환 신호, 나아가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에 의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의 제어, 각 광원(142, 152, 172, 182)의 점등 제어, 각 지침(145, 154, 175, 185)의 회전 제어, 이동부(190)의 작동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상세 후술).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기초하는 표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표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도 9, 및 각종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0∼도 23을 덧붙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오프인 상태에서, 이동부(190)에 의해,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오프인 상태(화상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하고, 각 광원(142, 152, 172, 182)은 소등 상태로 하고, 각 지침(145, 154, 175, 185)은 정지 상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표시면(121)은, 흑색 일색의 상태로 되어 있고, 운전자에게는 표시용 영역(110) 내에, 금속성의 표면 처리에 의해 발광하는 제1 링부(144)의 허상 및 제2 링부(153)의 실상의 2개가 좌우로 배열되도록 시인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스텝 S100에서,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온 신호를 검출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온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110에서, 제어부(210)는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중의 파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벨트(194(194a, 194b))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과,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을 표시용 영역(110) 내의 중앙으로 이동시켜(도 11), 양자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부에 제3 표시부(1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텝 S120에서, 제어부(21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프닝 모드 표시를 행한다. 오프닝 모드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a)을, 또한 제3 표시부(160)의 좌우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b, 121c)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각 화상(121a, 121b, 121c)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시인된다.
인포메이션 화상(121a)은, 예를 들어 외기 온도(25℃), 셀렉트 위치(P), 차속(0km/h) 및 주행 거리(12345km)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인포메이션 화상(121b)은, 예를 들어 당일의 각지의 일기 예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인포메이션 화상(121c)은,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DVD, CD 등)의 작동 상태에 관련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텝 S130에서, 제어부(210)는, 셀렉트 레버(11)에 의해 시프트가 이루어져, 셀렉트 신호가 P(파킹)로부터 D(드라이브)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하면,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40에서는, 제어부(21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중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벨트(194(194a, 194b))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과,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을 표시용 영역(110) 내의 좌우로 이동시켜, 양자가 좌우의 소정 위치로 되도록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각 화상(121a, 121b, 121c)의 형성은 정지되고, 또한 각 광원(142, 152, 172, 182)은 소등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각 지침(145, 154, 175, 185)도 정지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검은 바탕으로 되는 표시면(121)에 2개의 링부(144, 153)만이 시인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스텝 S150에서, 제어부(210)는 통상 모드 표시를 행한다. 통상 모드라 함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주행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주행 모드라 함은, 현재 주행하고 있는 상태가, 연비 중시의 ECO 모드에 대응하는 것인지, 주행을 중시한 POWER 모드에 대응하는 것인지, 혹은 감속 시의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는 CHARGE(충전)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 광원(14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4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 표시부(150)에 있어서는, 광원(15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54)을 작동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링부(153)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주행 모드용 화상(121d)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제2 표시부(150)는, 제2 링부(153)의 실상, 지침(154)의 허상, 또한 주행 모드용 화상(121d)의 실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제어부(210)는,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인포메이션 화상(121e)을 형성시킨다. 인포메이션 화상(121e)은, 예를 들어 외기 온도(25℃), 셀렉트 위치(D) 및 주행 거리(12345km)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인포메이션 화상(121e)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160에서, 제어부(210)는, 운전자에 의한 선택 스위치(200)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10)는, 이 판정을 선택 스위치(200)로부터의 전환 신호의 유무에 의해 판정한다. 스텝 S16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70에서는, 선택 스위치(200)로부터의 전환 신호가, 통상 모드,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 스포츠 모드, 내비게이션 모드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통상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1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1A에서, 상기 스텝 S150에서 설명한 통상 모드 표시(도 14)를 행한다. 또한, 스텝 S171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1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이동부(19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171A를 실시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2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2A에서,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 표시를 행한다.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 광원(14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4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 표시부(150)에 있어서는, 광원(15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54)을 작동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링부(153)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타코미터용 화상(121f)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제2 표시부(150)는, 제2 링부(153)의 실상, 지침(154)의 허상, 또한 타코미터용 화상(121f)의 실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인포메이션 화상(121e)을 형성시킨다. 인포메이션 화상(121e)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72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2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72A를 실시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스포츠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3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3A에서, 스포츠 모드 표시를 행한다. 스텝 S173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3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73A를 실시한다. 스텝 S173B에서의 표시 상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그 제어 요령은, 스텝 S110과 동일하다.
스텝 S173A에 있어서의 스포츠 모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에 엔진 회전수(지침) 및 차속(디지털)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 광원(14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4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2 표시부(150)에 있어서, 광원(15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54)을 정지시킨다. 또한,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스포츠 미터용 화상(121g)을 형성시킨다. 스포츠 미터용 화상(121g)은, 타코미터용 눈금부, 숫자부, 타코미터용 지침 및 속도값이 모두 화상에 의해 표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스포츠 미터용 화상(121g)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스포츠 모드에서는, 제어부(210)는,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의 좌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부스트압 표시용 화상(121h) 및 배터리 전압 표시용 화상(121i)을 형성시킨다. 또한, 제어부(210)는,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의 우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오일압 표시용 화상(121j) 및 오일 온도 표시용 화상(121k)을 형성시킨다. 각 화상(121h, 121i, 121j, 121k)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내비게이션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4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4A에서, 내비게이션 모드 표시를 행한다.
내비게이션 모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 광원(14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4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제2 표시부(150)에 있어서는, 광원(15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54)을 정지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링부(153)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내비게이션용 화상(121l)을 형성시킨다. 내비게이션용 화상(121l)은, 예를 들어 지도 상의 자차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것, 혹은 목적지 안내를 위한 안내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표시부(150)는 제2 링부(153)의 실상 및 내비게이션용 화상(121l)의 실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인포메이션 화상(121e)을 형성시킨다. 인포메이션 화상(121e)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74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4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74A를 실시한다. 스텝 S174B에서의 표시 상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그 제어 요령은, 스텝 S140과 동일하다.
선택 스위치(200)의 조작에 기초하는 표시의 전환 제어는, 상기 스텝 S160과, 후술하는 스텝 S190 사이에서 반복하여 행해진다.
한편, 스텝 S160에서 부정 판정하면, 스텝 S18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80에서는, 제어부(210)는, 검출부(1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차량에 대해 접근하는 타차량, 보행자 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자차량에 대해 미리 정한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타차량을 검출한 경우에, 접근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80에서 긍정 판정하면, 제어부(210)는 스텝 S181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81A에서, 접근차 주의 표시를 행한다. 스텝 S181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81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81A를 실시한다.
스텝 S181A에 있어서의 접근차 주의 표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 내에 자차량 및 타차량의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어부(210)는,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 광원(14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45)을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제2 표시부(150)에 있어서, 광원(15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54)을 정지 상태로 한다. 또한,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접근차용 화상(121m)을 형성시킨다. 접근차용 화상(121m)은, 자차량이 중심부에 표시되고, 자차량에 대한 타차량 위치가 표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차량의 하측에는 차속값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접근차용 화상(121m)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정지 상태로 하여, 수온 표시부(170)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소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정지 상태로 하여, 연료 잔량 표시부(180)가 표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181C에서, 제어부(210)는, 타차량의 접근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10)는, 타차량의 접근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정하면, 스텝 S181A를 계속하고, 또한 타차량의 접근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스텝 S181D로 진행하여, 접근차 주의 표시(스텝 S181A)를 행하기 1개 전의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검출부(1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접근 차량 주의 표시는, 상기 스텝 S180과, 후술하는 스텝 S190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스텝 S171A, S172A, S173A, S174A, S180(부정 판정), S181D의 이후에 스텝 S190으로 진행하고, 제어부(210)는, 차속값이 0㎞/h 및 셀렉트 신호가 「P」로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210)는 차량이 정지되어, 셀렉트 레버(11)에 의해 파킹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스텝 S190에서는, 제어부(210)는,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60으로 되돌아가고, 또한 긍정 판정을 하면 스텝 S2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0에서는, 상기 스텝 S11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 S210에서, 제어부(210)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딩 모드 표시를 행한다. 엔딩 모드라 함은, 상기 스텝 S120에 있어서의 오프닝 모드 표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a)을, 또한 제3 표시부(160)의 좌우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b, 121n)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각 화상(121a, 121b, 121n)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시인된다.
인포메이션 화상(121a, 121b)은, 상기 스텝 S120의 오프닝 모드에 있어서의 화상과 동일하다. 또한, 인포메이션 화상(121n)은, 현재 이후의 스케줄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220에서,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오프로 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230에서,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40)를 형성하는 제1 링부(144)를,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 영역(천장부)에 배치하여,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허상으로서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제1 링부(144)의 위치가, 이동부(190)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링부(144)는, 이동부(190)에 의해 그 위치가 이동되어도, 제1 링부(144)의 실체는, 표시용 영역(110) 내에 있어서, 다른 부재와 직접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동에 수반되는 제1 링부(144)(제1 표시부(140))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40)와는 상이한 제2 표시부(150)의 외주부를 형성하는 제2 링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링부(153)는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190)에 의한 제1 링부(144)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양자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1개 링의 위치 관계)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2개 링의 위치 관계)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이 서로 겹쳐지는 위치가 되면, 1개의 링부를 구비하는 표시부(제3 표시부(160))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 되면, 2개의 링부(144, 153)를 구비하는 2개의 표시부(140, 15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표시 내용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시인성, 판독성의 향상, 나아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부(190)는, 모터(191), 각 풀리(192, 193) 및 벨트(19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부(144)는, 벨트(194)의 진행측(진행측의 벨트(194a))에 연결되고, 제2 링부(153)는 벨트(194)의 복귀측(복귀측의 벨트(194b))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1개의 모터(191) 및 1개의 벨트(194)를 사용하여, 제1 링부(144)와 제2 링부(153)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지침(145)과, 각종 차량 정보 중,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지침(154)과, 제1 지침(145)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1 광원(142)과, 제2 지침(154)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2 광원(152)과, 제1 지침(145) 및 제2 지침(154) 중 적어도 제1 지침(145)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이동 수단)(19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지침(145), 제2 지침(154)은,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광원(142) 및 제2 광원(152)을 모두 점등시켜 제1 지침(145) 및 제2 지침(154)을 발광 상태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지침(145, 154)에 의한 제1, 제2 차량 정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1 지침(145)에는, 제1 차량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판(143)이 설치되어 있고, 문자판(143)은 이동부(190)에 의해 제1 지침(145)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판(143)을 수반하는 제1 지침(145)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차량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차량 정보를 화상 형성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1 광원(142) 및 제2 광원(152)을 모두 소등시켜 제1 지침(145), 문자판(143) 및 제2 지침(154)을 비발광 상태로 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표시면(121)의 중앙 위치에 다른 차량 정보를 화상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2(도 21), 도 17, 도 20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40) 및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차량 정보의 표시를 정지시켜, 전혀 다른 차량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원(142)을 점등시켜 제1 지침(145), 문자판(143)을 발광 상태로 하고, 제2 광원(152)을 소등시켜 제2 지침(154)을 비발광 상태로 하고, 제2 지침(154)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표시면(121)에 다른 차량 정보를 화상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5,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차량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침(145)과 제2 지침(154)의 2침식에 의한 2개의 차량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형태와, 제1 지침(145)의 1침식에 의한 1개의 차량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화상 형성을 행함으로써, 차량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표시 내용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어, 시인성, 판독성의 향상, 나아가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광원(142)을 점등시켜 제1 지침(145), 문자판(143)을 발광 상태로 하고, 제2 광원(152)을 소등시켜 제2 지침(154)을 비발광 상태로 하고, 또한 제1 지침(145), 문자판(143)의 위치를 이동부(190)에 의해, 소정의 위치(중앙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1 지침(145)에 의한 제1 차량 정보만의 표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2개의 표시부가, 시인자에 대해 허상과 실상에 의해 각각 시인되도록 하고, 양자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서로 겹쳐지는 경우도 포함하도록 하여, 전체의 표시 의장을 크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2개의 표시부의 외주부에 각각 장식용 링부를 형성한 경우, 각 링부가 겹쳐지는 위치로 되어도, 실제로는, 다소의 어긋남을 수반해 버려, 미관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대해, 도 24∼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표시부(140)는, 각종 차량 정보 중, 주로 차속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다. 도 24,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40)는, 기판(141), 광원(142), 문자판(143), 제1 링부(144), 지침(145), 모터(146), 아암부(147) 및 발광용 광원(148) 등을 갖고 있다.
제1 표시부(14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 영역, 구체적으로는,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 중, 상측이며, 또한 표시면(121)보다 운전자측(이하, 표시용 영역(110)의 천장측)에, 기판(141) 및 문자판(143)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140)(문자판(143), 제1 링부(144), 지침(14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26의 (d), 도 26의 (e),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링부(144)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공동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링부(144)의 문자판(143)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도 25 중 하단부)에는,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슬릿(144a)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44a)은, 제1 링부(144)의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주위 방향의 전체 주위에 걸쳐 연속하는 슬릿으로 되어 있다.
발광용 광원(148)은, 점등 상태로 됨으로써 제1 링부(144)를 발광시키는 광원으로 되어 있다. 발광용 광원(148)은, 제1 링부(144)의 공동 내부에서, 제1 링부(144)의 주위 방향을 따라, 문자판(143)의 하측의 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발광용 광원(148)은, 도 25 중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부(144)의 공동 내부로부터 슬릿(144a)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발광용 광원(148)은, 예를 들어 청색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어 있다.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 상태로 되면, 광이 슬릿(144a)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링부(144)의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청색 링 형상의 광이 형성되어, 이 광에 의해, 제1 링부(144)는 발광되도록 되어 있다.
제2 표시부(150)의 구성 부재 중, 기판(151), 광원(152), 지침(154) 및 모터(155)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천장측이며, 또한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151)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지침(154)은,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2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구성 부재 중, 제2 링부(153) 및 아암부(156)는, 표시면(121)의 운전자측이며, 또한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링부(153)는, 표시면(121)측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투과하여, 도 26의 (a), 도 26의 (b), 도 2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수온 표시부(17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으로 되는 천장측에, 기판(171) 및 문자판(173)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수온 표시부(170)(문자판(173), 링부(174), 지침(17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26의 (d), 도 26의 (e),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연료 잔량 표시부(180)는, 운전자측으로부터 보아, 표시용 영역(110)의 좌측으로 되는 천장측에, 기판 및 문자판의 판면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잔량 표시부(180)(문자판(183), 링부(184), 지침(185))는, 하프 미러부(130)의 상측에 위치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반사하여, 도 26의 (d), 도 26의 (e),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해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예를 들어, 도 5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제1 표시부(140)의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에 의한 허상은, 도 2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의 소정 위치에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은, 도 2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좌측의 소정 위치에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2 표시부(150)의 지침(154)은, 광원(152)이 점등되면, 제2 링부(153)의 실상 내측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모터(191)의 샤프트가 소정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예를 들어, 도 5 중의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회전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제1 표시부(140)의 문자판(143), 제1 링부(144) 및 지침(145)에 의한 허상은, 도 2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50)의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은, 도 2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용 영역(110)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2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 시인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디스플레이부(120)의 중앙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양자가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겹침에 의해, 도 26의 (c), 도 26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위치에 있어서의 제3 표시부(16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온 신호, 오프 신호, 셀렉트 레버(11)의 셀렉트 신호, 검출부(12)의 검출 신호, 선택 스위치의 전환 신호, 나아가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에 의한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의 제어, 각 광원(142, 152, 172, 182) 및 발광용 광원(148)의 점등 제어, 각 지침(145, 154, 175, 185)의 회전 제어, 이동부(190)의 작동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상세 후술).
다음으로, 상기 구성에 기초하는 표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표시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7∼도 29, 및 각종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0∼도 33을 덧붙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오프인 상태에서, 이동부(190)에 의해,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유지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오프 상태(화상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하고, 각 광원(142, 152, 172, 182) 및 발광용 광원(148)은 소등 상태로 하고, 각 지침(145, 154, 175, 185)은 정지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100에서,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온 신호를 검출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온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310에서, 제어부(210)는,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 중의 파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벨트(194(194a, 194b))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과,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을 표시용 영역(110) 내의 중앙으로 이동시켜(도 11), 양자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부에 제3 표시부(160)가 형성된다.
아울러, 스텝 S310에 있어서, 제어부(210)는,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과,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발광용 광원(148)을 점등 상태로 한다. 이때, 발광용 광원(148)에 의해 제1 링부(144)가 발광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는 링부에 있어서, 운전자에게는 청색 링 형상의 광(링 발광)이 시인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120에서, 제어부(210)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프닝 모드 표시를 행한다. 오프닝 모드라 함은,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a)을, 또한 제3 표시부(160)의 좌우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b, 121c)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각 화상(121a, 121b, 121c)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시인된다.
다음으로, 스텝 S130에서, 제어부(210)는, 셀렉트 레버(11)에 의해 시프트가 이루어져, 셀렉트 신호가 P(파킹)로부터 D(드라이브)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하면, 스텝 S3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40에서는, 제어부(21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10)는,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하고, 제1 링부(144)에 있어서의 링 발광의 형성을 정지한다.
그리고, 「2개 링」의 위치 관계의 형성에 있어서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는, 도면 중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벨트(194(194a, 194b))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과,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을 표시용 영역(110) 내의 좌우로 이동시켜, 양자가 좌우의 소정 위치로 되도록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각 화상(121a, 121b, 121c)의 형성은 정지되고, 또한 각 광원(142, 152, 172, 182)은 소등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각 지침(145, 154, 175, 185)도 정지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검은 바탕으로 되는 표시면(121)에 2개의 링부(144, 153)만이 시인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스텝 S150에서, 제어부(210)는, 통상 모드 표시를 행한다. 통상 모드라 함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주행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주행 모드라 함은, 현재 주행하고 있는 상태가, 연비 중시의 ECO 모드에 대응하는 것인지, 주행을 중시한 POWER 모드에 대응하는 것인지, 혹은 감속 시의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는 CHARGE(충전) 모드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텝 S160에서, 제어부(210)는, 운전자에 의한 선택 스위치(200)의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10)는, 이 판정을 선택 스위치(200)로부터의 전환 신호의 유무에 의해 판정한다. 스텝 S160에서 긍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70에서는, 선택 스위치(200)로부터의 전환 신호가, 통상 모드,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 스포츠 모드, 내비게이션 모드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통상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1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1A에서, 상기 스텝 S150에서 설명한 통상 모드 표시(도 14)를 행한다.
또한, 스텝 S171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다. 이 경우는, 스텝 S371B에서,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함과 함께,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이동부(19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S171A를 실시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2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2A에서,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 표시를 행한다.
타코미터+스피드 미터 모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엔진 회전수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또한, 스텝 S172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고, 스텝 S372B에서,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함과 함께,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72A를 실시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스포츠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3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3A에서, 스포츠 모드 표시를 행한다.
또한, 스텝 S173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고, 스텝 S373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함과 함께, 발광용 광원(148)을 점등 상태로 한다.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73A를 실시한다. 스텝 S373B에서의 표시 상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그 제어 요령은, 스텝 S310과 동일하다.
스텝 S173A에 있어서의 스포츠 모드는,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에 엔진 회전수(지침) 및 차속(디지털)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서로 겹쳐지는 링부에 있어서는, 발광용 광원(148)에 의한 청색의 링 발광이 시인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170에서, 제어부(210)는, 내비게이션 모드라고 판정하면, 스텝 S174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74A에서, 내비게이션 모드 표시를 행한다.
내비게이션 모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제1 표시부(140)에 의한 차속과, 제2 표시부(150)에 의한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또한,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수온 표시부(170)에 있어서, 광원(17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7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73), 링부(174) 및 지침(17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연료 잔량 표시부(180)에 있어서, 광원(182)을 점등 상태로 하고, 지침(185)을 작동 상태로 하고, 하프 미러부(130)에 의해, 문자판(183), 링부(184) 및 지침(185)의 허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제어부(210)는, 스텝 S171A와 마찬가지로,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한 인포메이션 화상(121e)을 형성시킨다. 인포메이션 화상(121e)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스텝 S174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다. 이 경우는, 스텝 S374B에서,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함과 함께,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한 후에, 스텝 S174A를 실시한다. 스텝 S374B에서의 표시 상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그 제어 요령은, 스텝 S340과 동일하다.
선택 스위치(200)의 조작에 기초하는 표시의 전환 제어는, 상기 스텝 S160과, 후술하는 스텝 S190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행해진다.
한편, 스텝 S160에서 부정 판정하면, 스텝 S18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80에서는, 제어부(210)는, 검출부(1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차량에 대해 접근하는 타차량, 보행자 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는, 자차량에 대해 미리 정한 소정의 거리 이내의 위치에 타차량을 검출한 경우에, 접근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스텝 S180에서 긍정 판정하면, 제어부(210)는, 스텝 S181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은,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면, 스텝 S181A에서, 접근차 주의 표시를 행한다.
스텝 S181에서 부정 판정을 하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은 「2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고, 스텝 S381B에서 제1 링부(144)의 허상, 제2 링부(153)의 실상을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함과 함께, 발광용 광원(148)을 점등 상태로 한다. 그리고, 그 후에, 스텝 S181A를 실시한다.
스텝 S181A에 있어서의 접근차 주의 표시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 링」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표시용 영역(110)의 중앙에서 겹쳐지는 링부(제3 표시부(160)) 내에 자차량 및 타차량의 위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서로 겹쳐지는 링부에 있어서는, 발광용 광원(148)에 의한 청색의 링 발광이 시인된다.
그리고, 스텝 S181C에서, 제어부(210)는, 타차량의 접근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210)는, 타차량의 접근이 계속되고 있다고 판정하면, 스텝 S181A를 계속하고, 또한 타차량의 접근이 없어졌다고 판정하면, 스텝 S181D로 진행하여, 접근차 주의 표시(스텝 S181A)를 행하기 1개 전의 표시 모드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1개 전의 표시 모드가 「2개 링」의 위치 관계의 모드이면,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하고, 또한 1개 전의 표시 모드가 「1개 링」의 위치 관계의 모드이면, 발광용 광원(148)의 점등 상태를 계속한다.
검출부(12)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는 접근 차량 주의 표시는, 상기 스텝 S180과, 후술하는 스텝 S190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스텝 S171A, S172A, S173A, S174A, S180(부정 판정), S181D의 이후에 스텝 S190으로 진행하고, 제어부(210)는 차속값이 0㎞/h 및 셀렉트 신호가 「P」로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210)는 차량이 정지되어, 셀렉트 레버(11)에 의해 파킹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스텝 S190에서는, 제어부(210)는, 부정 판정을 하면 스텝 S160으로 되돌아가고, 또한 긍정 판정을 하면 스텝 S4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0에서는, 상기 스텝 S310과 마찬가지로, 제어부(210)는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1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함과 함께, 발광용 광원(148)을 점등 상태로 한다.
그리고, 스텝 S210에서, 제어부(210)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딩 모드 표시를 행한다. 엔딩 모드라 함은, 상기 스텝 S120에 있어서의 오프닝 모드 표시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제3 표시부(160) 내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a)을, 또한 제3 표시부(160)의 좌우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포메이션 화상(121b, 121n)을 형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각 화상(121a, 121b, 121n)은, 표시면(121)으로부터 하프 미러부(130)를 통해 실상으로서 시인된다. 서로 겹쳐지는 링부에 있어서는, 발광용 광원(148)에 의한 청색의 링 발광이 시인된다.
인포메이션 화상(121a, 121b)은, 상기 스텝 S120의 오프닝 모드에 있어서의 화상과 동일하다. 또한, 인포메이션 화상(121n)은, 현재 이후의 스케줄 정보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텝 S220에서, 제어부(210)는, 이그니션 스위치(10)가 오프로 되었다고 판정하면, 스텝 S430에서, 발광용 광원(148)을 소등 상태로 함과 함께, 도 22,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190)의 모터(191)를 작동시켜, 제1 링부(144)에 의한 허상 및 제2 링부(153)에 의한 실상이 「2개 링」의 위치 관계로 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제1 링부(144)와,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제2 링부(153)를 구비하고, 이동부(190)에 의해, 제1 링부(144)와 제2 링부(153)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제어부(210)에 의해 제1 링부(144)의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발광용 광원(148)에 의해 제1 링부(144)가 발광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링부(144)의 허상과 제2 링부(153)의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양자의 실질적인 어긋남이 있어도, 운전자에게는, 제1 링부(144)의 발광 상태가 두드러지게 보이게 되어, 다소의 어긋남을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긋남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링부(144)에는,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슬릿(144a)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 상태로 되면, 슬릿(144a)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에 의해, 제1 링부(144)가 발광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발광에 의해, 운전자에게는 제1 링부(144)의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가 두드러지게 시인되어, 어긋남의 대상이 되는 링 폭 방향의 단부로는 눈이 가지 않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어긋남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40), 제2 표시부(150)의 지침(154), 수온 표시부(170), 연료 잔량 표시부(180)를 표시용 영역(110)의 외측에 배치함에 있어서, 상측(천장측)에 배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표시용 영역(110)의 하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하프 미러부(130)의 경사 방향을 반대로(상변측이 운전자측으로 쓰러지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제1 링부(144)와, 제2 링부(153)의 양자가 이동부(190)에 연결되어, 양 링부(144, 153)가 이동 가능해지도록 하였지만, 제2 링부(153)는, 이동부(190)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는, 제1 링부(144)의 이동에 수반하여, 양 링부(144, 153)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1개 링」, 혹은 「2개 링」의 위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2 링부(153)는, 실체 형성된 실체 링부로서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20)의 화상에 의해 형성된 화상 링부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표시부(140(제1 지침(145)))는, 이동부(190)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해지도록 하고, 제2 표시부(150)의 제2 지침(154)은 이동부(190)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지침(154)도 이동부(190)에 연결되고, 이동 가능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표시부(140)에는, 문자판(143)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을 폐지한 것으로 해도 된다. 문자판(143)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의 내용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화상에 의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0)의 제1 지침(145) 및 문자판(143)은, 제1 광원(142)에 의해 모두 발광 상태, 혹은 비발광 상태로 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문자판(143)은, 제1 광원(142)과는 상이한 다른 광원에 의해, 제1 지침(145)과는 독립적으로, 발광 상태, 혹은 비발광 상태로 되도록 하고, 제1 지침(145)이 발광 상태로 되고, 문자판(143)이 비발광 상태로 될 때, 다른 차량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형성되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지침(145)을 유용하면서, 제1 표시부(140)에 있어서의 차량 정보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링부(144)에 슬릿(144a)을 형성하여, 발광용 광원(148)에 의해 제1 링부(144)에 링 형상의 발광을 형성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링부(144)를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링부(144)의 표면에 차광용 처리(도장, 증착, 도금 등)를 실시함과 함께,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차광용 처리가 제거된 제거부가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되면, 제거부로부터 누설되는 광에 의해 제1 링부(144)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링부(144)를 투광성 재료로 형성하여, 표면의 도장, 도금 및 슬릿(144a)을 폐지하여, 제1 링부(144)를 전체적으로 발광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발광용 광원(148)의 색은, 청색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색으로 해도 된다.
또한, 발광용 광원(148)은, 제1 링부(144)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링부(153)에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링부(144)와, 제2 링부(153)의 양자가 이동부(190)에 연결되어, 양 링부(144, 153)가 이동 가능해지도록 하였지만, 어느 한쪽만이 이동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는, 어느 한쪽의 링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양 링부(144, 153)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1개 링」, 혹은 「2개 링」의 위치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Claims (11)

  1. 표시용 영역(110)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상기 각종 차량 정보 중, 적어도 1개의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140)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제1 링부(144)와,
    상기 제1 링부(144)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190)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140)와는 상이한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150)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제2 링부(15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190)에 의한 상기 제1 링부(144)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1 링부(144)의 상기 허상과 상기 제2 링부(153)의 상기 실상은, 양자가 서로 겹쳐지는 위치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190)는,
    구동용 모터(191)와,
    상기 모터(191)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1 풀리(192)와,
    상기 제1 풀리(192)와 이간 배치되는 제2 풀리(193)와,
    상기 제1 풀리(192) 및 상기 제2 풀리(193)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194)를 갖고,
    상기 제1 링부(144)는, 상기 벨트(194)의 진행측(194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링부(153)는 상기 벨트(194)의 복귀측(194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링부(144)의 상기 허상과 상기 제2 링부(153)의 상기 실상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부(153)는, 실체 형성된 실체 링부, 혹은 화상 형성된 화상 링부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표시 장치.
  5. 표시용 영역(110)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상기 각종 차량 정보 중,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지침(145)과,
    상기 각종 차량 정보 중,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지침(154)과,
    상기 제1 지침(145)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1 광원(142)과,
    상기 제2 지침(154)에 대해, 점등함으로써 발광 상태로 하고, 소등함으로써 비발광 상태로 하는 제2 광원(152)과,
    상기 제1 지침(145) 및 상기 제2 지침(154) 중, 적어도 상기 제1 지침(145)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190)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침(145)에는, 상기 제1 차량 정보의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판(14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문자판(143)은, 상기 이동 기구(190)에 의해, 상기 제1 지침(145)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설치되어, 자신의 표시면(121)에 형성되는 화상에 의해, 상기 제1 차량 정보 및 상기 제2 차량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차량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판(143)은, 상기 제1 광원(142)에 의해, 상기 제1 지침(145)과 함께 발광 상태, 혹은 비발광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침(145) 및 상기 문자판(143)이 비발광 상태로 될 때, 상기 다른 차량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형성되어 표시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설치되어, 자신의 표시면(121)에 형성되는 화상에 의해, 상기 제1 차량 정보 및 상기 제2 차량 정보와는 상이한 다른 차량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문자판(143)은, 상기 제1 광원(142)과는 상이한 다른 광원에 의해, 상기 제1 지침(145)과는 독립적으로, 발광 상태, 혹은 비발광 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지침(145)이 발광 상태로 되고, 상기 문자판(143)이 비발광 상태로 될 때, 상기 다른 차량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의해 형성되어 표시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
  9. 표시용 영역(110) 내에, 차량 주행에 관련하는 각종 차량 정보를 시인자에 대해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상기 각종 차량 정보 중, 제1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140)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허상으로서 시인되는 제1 링부(144)와,
    상기 각종 차량 정보 중, 제2 차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150)의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표시용 영역(110) 내에 실상으로서 시인되는 제2 링부(153)와,
    상기 제1 링부(144) 및 상기 제2 링부(153) 중, 어느 한쪽의 링부(144)를 발광시키는 발광용 광원(148)과,
    상기 제1 링부(144) 및 상기 제2 링부(153) 중, 적어도 한쪽의 링부(144)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 기구(190)와,
    상기 이동 기구(190)에 의해, 상기 제1 링부(144)와 상기 제2 링부(153)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링부(144)의 상기 허상과 상기 제2 링부(153)의 상기 실상이 서로 겹쳐질 때, 상기 발광용 광원(148)을 점등 상태로 하는 제어부(210)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쪽의 링부(144)에는,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슬릿(14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 상태로 되면, 상기 슬릿(144a)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에 의해, 상기 어느 한쪽의 링부(144)가 발광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쪽의 링부(144)는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링부(144)의 표면에는 차광용 처리가 되어 있음과 함께, 링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차광용 처리가 제거된 제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용 광원(148)이 점등 상태로 되면, 상기 제거부로부터 누설되는 광에 의해, 상기 어느 한쪽의 링부(144)가 발광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
KR1020167034722A 2014-08-06 2015-06-23 차량용 표시 장치 KR101919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0224 2014-08-06
JPJP-P-2014-160222 2014-08-06
JPJP-P-2014-160223 2014-08-06
JP2014160224A JP6256248B2 (ja) 2014-08-06 2014-08-06 車両用表示装置
JP2014160222A JP6331854B2 (ja) 2014-08-06 2014-08-06 車両用表示装置
JP2014160223A JP6331855B2 (ja) 2014-08-06 2014-08-06 車両用表示装置
PCT/JP2015/003124 WO2016021102A1 (ja) 2014-08-06 2015-06-23 車両用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394A true KR20170007394A (ko) 2017-01-18
KR101919218B1 KR101919218B1 (ko) 2018-11-15

Family

ID=5526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722A KR101919218B1 (ko) 2014-08-06 2015-06-23 차량용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2268B2 (ko)
KR (1) KR101919218B1 (ko)
CN (1) CN106461426B (ko)
DE (1) DE112015003634B4 (ko)
WO (1) WO2016021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8172B2 (ja) * 2015-06-11 2018-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USD820753S1 (en) * 2016-03-01 2018-06-19 Bentley Motors Ltd. Automobile dashboard assembly
JP6467386B2 (ja) * 2016-09-14 2019-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KR20180032109A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계기판 디스플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JP6630698B2 (ja) * 2017-03-24 2020-01-1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US10259385B2 (en) * 2017-05-25 2019-04-16 Denso Corporation Vehicular display device
JP6613274B2 (ja) * 2017-09-01 2019-11-2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760903B2 (ja) 2017-09-01 2020-09-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KR101978965B1 (ko) 2017-11-13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JP6745316B2 (ja) * 2018-09-28 2020-08-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DE102018218099A1 (de) 2018-10-23 2020-04-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assisten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ahrassistenzsystem oder Kraftfahrzeugs
US10604014B1 (en) * 2019-03-05 2020-03-31 Honda Motors Co., Ltd. Tachometer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JP7177413B2 (ja) * 2019-03-25 2022-11-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表示装置
CN113306391B (zh) * 2021-06-17 2023-02-17 一汽解放青岛汽车有限公司 一种指针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13771621B (zh) * 2021-09-15 2022-09-27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立体式组合仪表盘
CN113895229B (zh) * 2021-10-11 2022-05-13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仪表信息的显示方法
CN113954635A (zh) * 2021-10-27 2022-01-21 黑龙江天有为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仪表信息的显示方法
DE102022112871A1 (de) * 2022-05-23 2023-11-2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zeige- und Bediensystem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296B2 (ja) 2004-05-19 2010-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0465A1 (de) 1992-12-02 1994-06-09 Vdo Schindling Kombinationsinstrument
JP4637546B2 (ja) * 2004-11-02 2011-02-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04054769B4 (de) 2004-11-12 2016-12-22 Volkswagen Ag Einbau-Kombinationsinstrument für ein Kraftfahrzeug
JP4577500B2 (ja) 2004-11-29 2010-11-1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4466581B2 (ja) * 2005-10-13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4611870B2 (ja) 2005-11-18 2011-01-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082911B2 (ja) * 2008-02-15 2012-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JP5456899B2 (ja) * 2010-08-26 2014-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JP5720494B2 (ja) * 2011-08-23 2015-05-2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3137283A (ja) * 2011-12-28 2013-07-11 Nippon Seiki Co Ltd 計器装置
JP5959208B2 (ja) 2012-01-20 2016-08-0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6074295B2 (ja) 2012-08-30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ならびに、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6390072B2 (ja) 2013-01-23 2018-09-19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904137B2 (ja) * 2013-02-12 2016-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2014160222A (ja) 2013-02-21 2014-09-04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296B2 (ja) 2004-05-19 2010-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218B1 (ko) 2018-11-15
WO2016021102A1 (ja) 2016-02-11
US20170174081A1 (en) 2017-06-22
DE112015003634B4 (de) 2021-12-09
US9902268B2 (en) 2018-02-27
CN106461426A (zh) 2017-02-22
DE112015003634T5 (de) 2017-04-20
CN106461426B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218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KR101939506B1 (ko) 표시 장치
US7874689B2 (en) Display device
JP4853212B2 (ja) 表示装置
WO2015040851A1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6009598A1 (ja) 表示装置
JP2009128242A (ja) 指針計器
JP6455393B2 (ja) 表示装置
JP2019207259A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6035304A1 (ja) 表示装置
JP6256248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6331854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3095394A (ja) 車両のシフト操作装置
JP497740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835380B2 (ja) 表示装置
JP201816297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6331855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7309837A (ja) 表示装置
JP2009198465A (ja) 指針計器
JP2007033268A (ja) 車両用指針計器
JP2007309836A (ja) 表示装置
JP2007304066A (ja) 車両用指針計器
JP6264360B2 (ja) 表示装置
JP6179380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6644349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