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877A - 플라스틱 앰플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877A
KR20170005877A KR1020167036973A KR20167036973A KR20170005877A KR 20170005877 A KR20170005877 A KR 20170005877A KR 1020167036973 A KR1020167036973 A KR 1020167036973A KR 20167036973 A KR20167036973 A KR 20167036973A KR 20170005877 A KR20170005877 A KR 20170005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lastic
hollow portion
plastic ampu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657B1 (ko
Inventor
히데시 나카노
히데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조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9Ampoules
    • B65D1/095Ampoules made of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두부 내의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한 경우여도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을 흔들어 잔존한 내용액을 본체부 내에 낙하시키는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가 용이하게 가능하고, 개봉시의 취급이 바람직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한다.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3)에 분리부(10)를 통해 연설된 두부(6)와, 상기 두부(6)에 연설된 손잡이부(9)를 구비하고, 손잡이부(9)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를 구부(3)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에 있어서, 두부(6) 내의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했다.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을 용이하게 배액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봉하기 쉽고 또한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비산되기 어려워진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앰플{PLASTIC AMPULE}
본 발명은 약액 등의 내용액을 충전한 후에 본체부의 구부(口部)로부터 두부(頭部)를 분리하여 개봉할 수 있도록 한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사용의 약액 등을 봉입하는 유리제나 플라스틱제 등의 다양한 앰플이 개발되어 실용에 제공되고 있지만, 취급시의 안전성이나 편리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앰플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앰플에 약액을 충전한 주사용 앰플제제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그 일 공정으로서 약액 등의 내용액을 충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의 성형 공정과 내용액의 충전 공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이른바 블로우 필 시일(blow fill seal)법이 채용되고 있다.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할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1a)을 소(小)분할용 박육부(13a)를 통해 연설(連設)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형태로 제조할 경우가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형태로 제조한 경우에는 플라스틱 앰플 블록에 형성한 소분할용 박육부(13a)의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1a)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1a)은 본체부(2a)의 구부(3a)에 분리부(10a)를 통해 두부(6a)를 연설함과 아울러, 두부(6a) 내를 중공으로 형성하여 구부(3a)[즉, 본체부(2a)]에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본체부(2a)의 구부(3a)를 확실하게 개구시키도록 두부(6a)와 본체부(2a)를 연통시키는 분리부(10a)는 잘록한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1a)은, 도 4(B)에 확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a)는 손잡이부(9a)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고, 두부(6a)의 내부에 동 형상의 중공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부(6a)의 하단부는 분리부(10a)를 통해 구부(3a)에 연설되어 있고, 두부(6a)와 일체의 손잡이부(9a)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a)를 구부(3a)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구부(3a)의 상단부에 개구부(4a)가 형성된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두부(6a)의 하단부에도 개구부(4a)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부(6a)의 하단부는 분리부(10a)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라스틱 앰플은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제조했을 때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10a)에 연설되는 두부(6a)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p)는 구부(3a)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q)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p<q).
또한,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로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b)의 형상을 손잡이부(9b)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을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두부(6b)의 내부에 동 형상의 중공부(8b)를 형성한 것이 있다. 이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두부(6b)의 하단부가 분리부(10b)를 통해 구부(3b)에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6b)와 일체의 손잡이부(9b)를 손가락으로 비틂으로써 두부(6b)를 구부(3b)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구부(3b)의 상단부에 개구부(4b)가 형성됨과 아울러 두부(6b)의 하단부에 개구부(4b)가 형성된다. 이 형태에서도, 두부(6b)의 하단부는 분리부(10b)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상기 도 6의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제조했을 때에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부(10b)에 연설되는 두부(6b)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p)는 구부(3b)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q)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p<q).
도 6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a)과 마찬가지의 플라스틱 앰플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접속부를 통해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은 구부와 두부(파지부) 사이에 융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접속부는 용기 본체부로부터 파지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융착부가 축경되어 있는 일은 없다. 또한, 두부는 파지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두부의 하단부는 융착부에 평행하는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융착부 부근의 벽두께에 관한 기재는 없다.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로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합성 수지제 앰플을 박육부를 통해 연설하여 합성 수지제 앰플 블록을 형성하고, 각각의 합성 수지제 앰플의 어깨부와 세경부(細頸部) 사이에 비틀어끊음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비틀어끊음부의 상하에 걸쳐 형성한 판 형상부에 비틀어끊음부 상을 통과하는 직선을 따라 박육부를 형성한 플라스틱 앰플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의 세경부는 판 형상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경부의 하부는 역원추 형상으로 축경되어 있다. 그 결과, 세경부 전체로서 주발형은 하고 있지 않고, 또한 동 문헌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틀어끊음부와 그 상부 부근의 벽두께는 거의 균일하다.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로서 특허문헌 3에는 토글을 구비한 헤드와 앰플 본체의 넥 사이에 파단 지점을 형성하고, 토글을 비틀거나 또는 절곡하여 헤드를 파단 지점을 따라 넥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한 플라스틱제의 앰플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3의 헤드는 토글의 평면을 따른 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문헌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헤드나 넥의 벽두께는 거의 균일하다.
일본 특허 재공표 2004-9377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4-374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18025호 공보
도 6 및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는,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중공부의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부의 하단부는 분리부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 조작(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흔들어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본체부 내에 낙하시키는 조작)을 행해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사용되지 않고 로스가 생기고,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비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에는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중공부에 들어간 내용액이 중공부의 내면에 부착되기 쉬워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도, 특허문헌 1이나 도 6[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과 마찬가지로, 두부는 그 중공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부의 하단부는 분리부에 평행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하고, 이것이 개봉시에 비산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합성 수지제 앰플은 세경부(본 발명의 중공부에 상당)는 그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오각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세경부의 하부는 역원추 형상으로 축경되어 있으므로 세경부의 내부에 잔존한 내용액의 배액성(排液性)은 상기 도 6[도 4(B)]의 플라스틱 앰플보다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히 용량이 5㎖~20㎖ 정도인 합성 수지제 앰플의 경우에는 세경부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허문헌 1이나 도 6[도 4(B),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과 마찬가지로, 세경부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세경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플라스틱제의 앰플은 헤드(본 발명의 중공부에 상당)는, 특허문헌 3의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그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 내에 잔존한 내용액의 배액성은 상기 도 6[도 4(B), 4(C)]의 플라스틱 앰플보다 양호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제의 앰플의 경우에는 헤드 내의 용적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합성 수지제 앰플과 마찬가지로, 헤드 내에 잔존하는 내용액이 헤드 내의 내면에 부착되어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다.
또한, 도 4(B), 4(C)의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이나, 특허문헌 1 및 2의 플라스틱 앰플은 분리부에 연설되는 두부의 하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가 구부의 상단부(분리부 부근)의 벽두께와 동등하거나 또는 이것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어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전해지기 어렵다. 그 때문에, 두부를 비틀어 끊는 것이 의외로 어려워서 의료 현장에 있어서 불편하고 불리하게 되어 있다. 특히, 비틀어 끊기의 최후에 플라스틱의 끈과 같은 것 1개로 두부와 본체부가 연결된 상태가 될 경우가 있고, 이것을 잡아떼기에 수고스러워지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변형된 두부의 하단부가 개봉 직후에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움직임에 의해 두부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비산될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을 흔드는 제거 조작을 행하여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으며, 그 때문에 내용액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품보다 개봉하기 쉽고, 또한 개봉시의 중공부의 변형이 적음으로써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되기 어려운 플라스틱 앰플 및 그러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이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 및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플라스틱 앰플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2 또는 실시 형태 3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2 내지 실시 형태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6)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상기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7)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8)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9)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10㎜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0)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5㎜~8.5㎜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1)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2)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6㎜~12㎜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3)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4) 실시 형태 8 내지 실시 형태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5) 실시 형태 14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상기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6)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7)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재질이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8)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19) 실시 형태 18에 있어서, 인접하는 각 플라스틱 앰플의 각 손잡이부 사이가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0) 실시 형태 1 내지 실시 형태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1) 실시 형태 20에 있어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2) 실시 형태 20 또는 실시 형태 21에 있어서, 두부 및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대략 같은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3)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4)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5)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상기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6) 실시 형태 23에 있어서, 실시 형태 2~6, 8~15 및 17~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7) 실시 형태 26에 있어서, 약액이 수성 주사용 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실시 형태 28) 실시 형태 26에 있어서, 약액이 현탁액 또는 유탁액의 주사용 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은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하게 하는 형상인 것이 특징이며, 주발형을 기본적인 형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 내의 중공부는 플라스틱 앰플에 충전되는 내용액의 배액 특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하게 하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의 플라스틱 앰플인 경우,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는 3㎜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며, 또한 개구부의 내경 치수는 4㎜ 이상의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개봉 가능하게 하는 형상인 것이 특징이고,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를 분리부(q)보다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p>q).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의 벽두께(q)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실시 형태 1)의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구부에 연설되는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으므로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내용액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될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 또는 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5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10㎜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0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5.5㎜~8.5㎜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1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0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6㎜~12㎜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보다 더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3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2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4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8~1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5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4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중공부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개구부의 내경 치수 이상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내용액이 중공부에서 물방울을 형성한 경우여도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6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매우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7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재질을 폴리에틸렌 수지로 했으므로 개봉이 용이함과 아울러 취급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8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했으므로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9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8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인접하는 각 플라스틱 앰프의 각 손잡이부 사이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 블록로부터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을 분리시키는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분리 작업이 용이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 형태 20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1~1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보다 두껍게 형성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개봉성이 보다 향상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1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0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했으므로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와 일체의 손잡이부를 비틀었을 때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개봉성이 더욱 향상된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2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0 또는 2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두부 및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거의 같은 두께로 형성했으므로 두부에 충분한 경도가 주어져 개봉시에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의해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두부의 하단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지고, 우수한 개봉성의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3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구부에 연설되는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으므로 두부 내의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을 제거 조작에 의해 본체부 내에 용이하게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에 잔존한 내용액이 개봉시에 비산되는 일이 없고, 상기 형성에 의해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4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3㎜~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4㎜~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8㎜~12㎜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4㎜~7㎜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5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두부 내의 중공부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공부의 치수는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를 4㎜~10㎜,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를 5㎜~13㎜,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를 9㎜~11㎜의 치수로 형성하며, 또한 두부를 구부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두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내경 치수를 5㎜~6㎜의 치수로 형성했으므로 배액성이 매우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6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실시 형태 2~6, 8~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을 이용했으므로 배액성이 더욱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7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6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약액이 수성 주사용 액이기 때문에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8에 기재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실시 형태 26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약액이 현탁액 또는 유탁액의 주사용 액이기 때문에 배액성이 양호하여 중공부에 내용액이 잔존할 일이 없고, 개봉성도 우수한 취급이 용이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저면도(A) 및 상면도(B)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을 복수 연설하여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 앰플 블록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A), 도 6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B) 및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C)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A), (B), (C)이다.
도 6은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을 복수 연설하여 일체 성형한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A), 도 4에 나타내는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B) 및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앰플의 분리부 부근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C)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배액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벽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을 도 1~도 4(A)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은 본체부(2)와, 본체부(2)의 상부를 구성하는 구부(3)와, 구부(3)에 분리부(10)를 통해 연설한 두부(6)와, 플라스틱 앰플(1)을 개봉할 때에 두부(6)에 비트는 힘을 작용시키는 손잡이부(9)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은 통상 폴리에틸렌 수지(PE)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성형되고, 그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개의 플라스틱 앰플이 동시에 성형된다.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플라스틱 앰플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부터 보통 실시되고 있는 제조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일본 특허 공고 소36-5985호 공보 등을 참조).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앰플(1)에 약액인 내용액(14)을 충전한 앰플제제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한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의 내용액(14)으로서는 수성 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의 주사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통상 약액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내용액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앰플은 다양한 용도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약액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형상의 화장품, 화학품(시약 등), 식품(조미료 등) 등을 내용액으로서 상기 플라스틱 앰플에 충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앰플(1)의 본체부(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내용액(14)이 충전된다. 본체부(2)의 하부는 저부(12)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또한 본체부(2)의 상부는 축경되어 본체부(2)보다 소경인 구부(3)가 연설되어 있다. 구부(3)의 상부는 구부(3)보다 더욱 축경되어 어깨부(5)가 형성되고, 어깨부(5)의 상단부는 분리부(10)를 통해 두부(6)의 하단부에 연설되어 있다. 본체부(2), 구부(3) 및 어깨부(5)는 연결부(11)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어 있다. 이 연결부(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5개의 플라스틱 앰플(1)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성형했을 때에 인접하는 플라스틱 앰플(1, 1) 사이에 형성되고, 그 후 소분할용 박육부(13)의 부분에 의해 분리되어 단독의 플라스틱 앰플(1)로 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완만하게 만곡하는 대략 반원구 형상의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부(6)의 하부는 분리부(10)를 통해 구부(3)의 상단부[어깨부(5)의 상단부]에 연설되어 있다. 두부(6)는 구부(3)와의 연설부[분리부(10)]를 제외하고 손잡이부(9)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손잡이부(9)와 두부(6) 사이는 연결부(11)와 마찬가지로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한 성형시에 일체로 융착되어 있다. 손잡이부(9)는 연결부(11)와 대략 같은 폭[도 1(A)의 좌우 방향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손잡이부(9)와 연결부(11) 사이[분리부(10)의 연장선 상의 부위]는 분리되어 있다. 플라스틱 앰플(1)을 직립 정치한 경우에 중심을 낮게 해서 안정화시키기 위해 손잡이부(9)의 내부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로우 필 시일법 등에 의해 두부(6)를 「주발형」으로 형성했을 때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의 분리부(10)에 연설되는 부위[분리부 부근, 예를 들면 분리부(10) 위 1㎜의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10)의 벽두께(q)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플라스틱 앰플(1)의 개봉시에 두부(6)와 일체의 손잡이부(9)를 손가락으로 비틀면 두부(6)의 분리부(10)에 인접하는 부위[두부(6)의 하부]가 변형되는 일 없이 비트는 힘이 분리부(10)에 효율적으로 전달되어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성이 향상된다. 양호한 개봉성을 위해서는 두부(6)의 분리부(10)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는 분리부(10)의 벽두께(q)보다 1.2~1.8배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부(6) 및 구부(3)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p) 및 벽두께(r)를 거의 같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자를 ±10% 내의 범위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앰플 블록으로 성형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플라스틱 앰플(1, 1)의 손잡이부(9, 9) 사이는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고, 사용시에 각각의 플라스틱 앰플(1)로 분리할 때에 소분할용 박육부(13)의 부분만을 분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부(6)의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부(8)의 하부가 개구부(4)를 통해 구부(5), 즉 본체부(2)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도 4(A)에 의거하여, 충전 가능한 용량이 5㎖~20㎖ 정도인 플라스틱 앰플(1)에 있어서의 두부(6)의 중공부(8)의 내부 형상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공부(8)는 두부(6)의 형상과 대체로 닮은꼴인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공부(8)의 하단부[두부(6)의 개구부(4)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상단부[도 4(A)에서는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W')의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 이하 최소 치수라고 함](H)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이 중공부(8)의 내면(7)에 부착되지 않고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되도록 3㎜~10㎜, 바람직하게는 4㎜~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8.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발형」이란 도 4(A)에 추가로도 5(A)~(C)로 나타내어지는 형상도 포함하고, 중공부(8)의 내면(7)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해서 개구부(4)에 도달하는 대략 활 형상의 내면(7)을 갖는 형상을 의미한다. 이 내면(7)은 반드시 전체가 만곡해서 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부분적으로 직선 부분을 가져도 된다.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지만, 가급적 중공부(8)의 용적을 크게 하고, 중공부(8)의 내면에 잔액이 부착되기 쉬운 예각인 코너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공부(8)의 하단부와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의 최상부(상부 내면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에 위치하는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하, 최대 치수라고 함)(H')는 4㎜~13㎜로 설정할 수 있고, 5㎜~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12㎜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은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인 편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최대 치수(H')는 상기 최소 치수(H) 이상의 치수로 설정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의 특징 중 하나는, 도 4(A) 및 도 5(A)~(C)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중공부(8)를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중공부(8)를 주발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용액(14)이 중공부(8) 내에 잔존한 경우여도 간편한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의 물방울이 중공부(8)의 내면(7)의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로 되돌려지는 것이다. 이 경우, 중공부(8)의 상부 내면이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인 편이 중공부(8)의 내면에 잔액이 부착되기 쉬운 예각인 코너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잔액의 배출에는 더욱 유리하다.
또한, 중공부(8) 내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로 되돌리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취하는 형상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는 특히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작으므로, 도 4(B) 및 도 4(C)의 중공부(8a, 8b)의 끝 개소에 내용액(14)이 부착되어 배액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H)를 5㎜ 이상의 치수로 설정했다. 중공부(8)를 형성하는 두부(6)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지나치게 크면 손잡이부(9)를 쥐고 비틀어 끊을 때에 방해되는 경우가 있어서 최소 치수(H)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H)는 3~10㎜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5㎜~8.5㎜인 것이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러한 최소 치수(H)로 설정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이 제거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배액 가능한 플라스틱 앰플(1)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형상을 주발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최소 치수(H)는 예를 들면 5㎜~10㎜의 치수이므로, 내용액(14)이 중공부(8) 내에 잔존한 경우여도 간편한 제거 조작[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1)의 두부(6)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1)을 흔들어 잔존한 내용액(14)을 본체부(2) 내에 낙하시켜 제거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의 물방울이 중공부(8)의 내면(7)의 형상을 따라 원활하게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되돌려진다. 또한, 중공부(8)의 용적이 큰 편이 배액성이 보다 확실해지기 때문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최대 치수(H')는 4㎜~13㎜로 할 수 있고, 5㎜~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12㎜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최대 치수(H')를 설정함으로써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제거 조작에 의해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확실하게 낙하시킨다.
또한,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의 부위](W')는 큰 편이 중공부(8)의 용적이 커져 배액성이 확실해지지만, 플라스틱 앰플(1)의 구부(3)의 수평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가 바람직하므로 8㎜~12㎜의 치수로 설정했지만, 9㎜~11㎜의 치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부(6)의 하단부의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도 4㎜ 이상의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를 4㎜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제거 조작을 행했을 때에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은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용이하게 낙하된다. 또한, 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의 최소 치수(H)를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보다 큰 치수[최소 치수(H)=내경 치수(W)를 포함함]로 형성한 경우에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본체부(2) 내에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는 큰 편이 좋다고도 생각되지만, 두부(6)를 비틀어 끊은 후 개구부(4)로부터 주사통의 선단을 플라스틱 앰플(1) 내에 삽입하여 내용액(14)을 빨아낼 때 7㎜보다 큰 치수에서는 옆 또는 하방으로 플라스틱 앰플(1)을 기울인 경우에 내용액(14)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개구부(4)의 내경 치수(W)는 4㎜~7㎜가 바람직하고, 5㎜~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8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배액성을 비교한 평가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배액성 시험)
(1) 실시품으로서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을, 또한 종래품으로서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을 각각 5개 준비했다. 또한, 실시품 및 종래품의 내용액은 물이고, 플라스틱 앰플의 재질은 동종의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2) 배액성 시험은 A~E의 5인의 시험자가 실시했다.
(3) 배액성 시험의 평가는 각 시험자가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아래로 하여 두부 내에 내용액을 충전시킨 후, 플라스틱 앰플의 두부측을 위로 하여 손으로 쥔 상태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한번 흔든 후에 두부 내에 잔존한 내용액의 잔액량을 계측함으로써 행했다.
(배액성 시험의 평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자 A~E 중 4인은 실시품의 잔액량이 종래품의 잔액량보다 적고, 실시품의 평균 잔액량은 0.016g이며, 또한 종래품의 평균 잔액량은 0.027g이었다.
도 8의 배액성 시험의 결과로부터 보아 실시품은 종래품과 비교하여 배액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과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성을 비교한 평가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개봉성 시험)
(1) 실시품(주발형)으로서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을, 또한 종래품(표준형)으로서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을 각각 5개 준비했다.
(2) 개봉성 시험은 6인의 시험자가 실시했다.
(3) 배액성 시험의 평가는 각 시험자의 감각에 의해 실시품과 종래품의 「개봉 용이함」을 비교함으로써 행했다.
(개봉성 시험의 평가)
6인의 시험자 중 3인은 실시품이 개봉 용이하다고 판정하고, 나머지 3인은 실시품도 종래품도 개봉 용이함은 다르지 않다고 판정했다.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의사, 간호사의 평가)
의료 기관 5시설에 있어서 16인의 의사, 간호사, 약제사에게 상기 실시품을 사용하게 하고, 사용감에 대해 의견 청취를 행했다.
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실시품의 개봉성은 모든 의료 기관으로부터 「개봉 용이하다」라는 의견이 얻어졌지만, 도 4(B)와 동 형상의 시판품(기존 제품)에 대해서는 개봉시에 수지를 끊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중공부에 액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시판품에서는 액의 비산에 대한 불만이 3시설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품에 대해서는 비산되기 어렵다라는 평가였다.
이상의 개봉성 시험의 결과 및 의료 기관에 있어서의 평가로부터 보아 실시품은 종래품과 비교하여 개봉성이 우수하고, 액이 비산되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도 종래의 플라스틱 앰플도 블로우 필 시일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지만, 본 발명 실시품쪽이 종래의 것보다 개봉성에 우수하다는 결과가 얻어졌으므로 그 이유에 대해 고찰했다.
(플라스틱 앰플의 벽두께의 비교)
도 4(A)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의 실시품(주발형)의 분리부(10), 및 그 상하 1㎜의 부위에서 플라스틱 앰플을 둥글게 절단하고, 각 절단 부위의 벽두께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종래품(표준형)의 플라스틱 앰플도 마찬가지로 절단하여 측정을 행했다. 측정은 각 6개씩 행하고, 평균값을 구했다.
(벽두께를 측정한 결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품은 개구부 위[분리부(10)의 1㎜ 위의 두부(6)의 부위]의 벽두께(p)와 개구부 아래[분리부(10)의 1㎜ 아래의 구부(5)의 부위]의 벽두께(r)는 거의 같았지만, 종래품에서는 개구부 위의 벽두께(p)는 개구부 아래의 벽두께(r)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종래품에서는 개구부[분리부(10)의 부위]의 벽두께(q)보다 개구부 위의 벽두께(p)는 얇았다. 실시품 및 종래품을 개봉한 후의 개구부(4 또는 4a)를 관찰하면, 실시품은 거의 원형과 동일한 개구부이지만, 종래품에서는 변형된 개구부로 되어 있었다. 벽두께의 측정 결과로부터는 플라스틱 앰플의 개봉시에 두부(6a)와 일체의 손잡이부(9a)를 비틀었을 때에 종래품에서는 벽두께가 얇기 때문에 두부가 변형되어 비트는 힘이 분리부에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개봉성이 나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종래품에서는 개봉시에 두부(6a)가 변형됨으로써 두부(6a)에 잔존한 내용액이 변형된 두부(6a)가 개봉 직후에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움직임에 의해 잔액이 비산되기 쉬운 것도 발견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품은 개구부 위의 두부가 개구부 아래와 거의 같은 충분한 벽두께를 가짐으로써 개봉시에 두부(6)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비트는 힘이 분리부(10)에 효율적으로 전해지기 때문에 개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잔액이 비산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갖는 것이 밝혀졌다.
참고로, 도 9의 본 발명 실시품은 10g의 폴리에틸렌 수지량, 종래품은 11g의 동 수지량으로 제작한 시작품(試作品)이다. 실시품 및 종래품은 다양한 수지량으로 시작하여 가장 개봉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 결과이다. 이렇게, 종래품보다 우수한 개봉성을 갖는 본 발명 실시품이 보다 적은 수지량으로 제조 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1)(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의 중공부(8)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도 4(A)를 참조].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의 치수](W'):10㎜,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부의 높이](H'):7㎜,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H):6㎜, 개구부(4)의 내경 치수(W):5.5㎜.
여기에서, 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 및 분리부(10)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상단부[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
이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에 내용액(14)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 전에 플라스틱 앰플(1)을 흔들어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본체부(2) 내에 낙하시키는 제거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내용액(14)은 중공부(8)의 내면(7)을 따라 낙하하여 개구부(4)로부터 본체부(2) 내에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어서 내용액(14)의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이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두부(6)의 중공부(8)를 상기 치수의 주발형으로 형성 함으로써 중공부(8)로부터의 내용액(14)의 배액성이 향상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이 플라스틱 앰플(1)에서는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배액할 수 있고,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14)이 비산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졌다. 또한, 실제로 개봉성을 시험한 결과, 하기 비교예 1의 종래품보다 우수한 개봉성을 갖는 것이 나타내어졌다(상기 배액성 시험 및 개봉성 시험 참조).
또한, 도 5(A)~(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도,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의 치수를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의 치수](W'):10㎜,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의 하단부와 상부 내면의 최상부 사이의 상하 방향 중심부의 높이](H'):7㎜, 중공부(8)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H):6㎜, 개구부(4)의 내경 치수(W):5.5㎜로 설정했다.
여기에서, 중공부(8)의 내면(7)의 높이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고, 또한 도 5(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부(8)의 하단부[개구부(4)의 부위에 상당]와 중공부(8)의 내면(7)의 변이 부위[내면(7)이 만곡면으로부터 원추면으로 변화되는 부위]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
그 결과, 도 5(A)~(C)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도,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로부터의 내용액(14)의 배액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고, 중공부(8)에 잔존한 내용액(14)을 확실하게 배액할 수 있어 개봉시에 중공부(8)에 잔존하는 내용액(14)이 비산되어 버리는 일이 없어졌다.
(비교예 1)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a)의 중공부(8a)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중공부(8a)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a)의 수평 방향의 최대 지름부](Wa'):10㎜, 중공부(8a)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연직 방향 중심부의 높이)(Ha'):5㎜, 중공부(8a)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a)의 내면(7a)의 높이](Ha):4㎜, 개구부(4a)의 내경 치수(Wa):5.5㎜.
도 4(B)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중공부(8a)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거 조작을 실시해도 중공부(8a)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중공부(8a)의 내면(7a)에 부착된 채로 중공부(8a)에 잔존해 버려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개봉성 시험에 있어서는 상기의 본 발명 실시품에 비해 개봉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내어졌다(상기 배액성 시험 및 개봉성 시험 참조).
*(비교예 2)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용량 5㎖, 내용액 용량 3㎖)에 있어서 두부(6b)의 중공부(8b)의 치수를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중공부(8b)의 수평 방향의 최대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하단 둘레 가장자리부](Wb'):10㎜, 중공부(8b)의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연직 방향 중심부의 높이)(Hb'):5㎜, 중공부(8b)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높이](Hb):4㎜, 개구부(4b)의 내경 치수(Wb):5.5㎜.
여기에서, 중공부(8b)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상하 방향의 최소 치수[중공부(8b)의 내면(7b)의 높이](Hb)는 개구부(4b)[분리부(10b)]의 내주 가장자리 단부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의 내면(7b)과의 교점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이다.
도 4(C)에 나타내는 플라스틱 앰플에서는 중공부(8b)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제거 조작을 실시해도,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중공부(8b)에 잔존한 내용액(14)은 중공부(8b)의 내면(7b)에 부착된 채로 중공부(8b)에 잔존해 버려 제거할 수 없었다.
1, 1a : 플라스틱 앰플 2, 2a : 본체부
3, 3a, 3b : 구부 4, 4a, 4b : 개구부
5 : 어깨부 6, 6a, 6b : 두부
7, 7a, 7b : 내면 8, 8a, 8b : 중공부
9, 9a, 9b : 손잡이부 10, 10a, 10b : 분리부
11, 11a : 연결부 12 : 저부
13, 13a : 소분할용 박육부 14 : 내용액
p : 두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
q : 분리부의 벽두께
r :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하여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전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해서 활 형상이 되는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부의 상부에 상기 구부보다 축경한 어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를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기 두부의 하단부에 연설하여, 상기 중공부를 상기 구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두부의 상기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상기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구부 및 상기 어깨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고,
    상기 두부는 상기 구부와의 상기 분리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두부 및 상기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의 차가 ±10%내의 범위에 있는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앰플.
  2.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구부에 분리부를 통해 연설된 두부, 상기 두부에 연설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비틂으로써 상기 두부를 상기 구부로부터 분리하여 개봉하는 플라스틱 앰플로서,
    상기 두부 내의 중공부를 전체가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만곡해서 활 형상이 되는 주발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부의 상부에 상기 구부보다 축경한 어깨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의 상단부를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기 두부의 하단부에 연설하여, 상기 중공부를 상기 구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두부의 상기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를 상기 분리부의 벽두께보다 1.2배~1.8배의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구부 및 상기 어깨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보강되고,
    상기 두부는 상기 구부와의 상기 분리부를 제외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두부 및 상기 구부의 분리부에 연설되는 부위의 벽두께의 차가 ±10%내의 범위에 있는 두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3. 소분할용 박육부를 통해 복수의 플라스틱 앰플을 연설하여 플라스틱 앰플 블록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플라스틱 앰플 또는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KR1020167036973A 2008-04-25 2009-04-23 플라스틱 앰플 KR101978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5401 2008-04-25
JP2008115401 2008-04-25
PCT/JP2009/058103 WO2009131192A1 (ja) 2008-04-25 2009-04-23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441A Division KR101978658B1 (ko) 2008-04-25 2009-04-23 플라스틱 앰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877A true KR20170005877A (ko) 2017-01-16
KR101978657B1 KR101978657B1 (ko) 2019-05-15

Family

ID=412169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441A KR101978658B1 (ko) 2008-04-25 2009-04-23 플라스틱 앰플
KR1020167036973A KR101978657B1 (ko) 2008-04-25 2009-04-23 플라스틱 앰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441A KR101978658B1 (ko) 2008-04-25 2009-04-23 플라스틱 앰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40873B2 (ko)
EP (1) EP2269558B1 (ko)
JP (2) JP5859201B2 (ko)
KR (2) KR101978658B1 (ko)
CN (1) CN102014845B (ko)
AU (1) AU2009238972B2 (ko)
CA (1) CA2722551C (ko)
HK (1) HK1150745A1 (ko)
TW (1) TWI471128B (ko)
WO (1) WO2009131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2131562A (ru) * 2009-12-24 2014-01-27 БиЭм ГОЛ ПТИ ЛТД Одноразовые контейнер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US20120310203A1 (en) * 2010-01-19 2012-12-06 Cambridge Enterpris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IT1401173B1 (it) * 2010-07-26 2013-07-12 Lameplast Spa Contenitore richiudibile per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medicali, farmaceutici e cosmetici
CN103458849A (zh) * 2011-04-06 2013-12-18 株式会社大塚制药工厂 塑料安瓿
US20130018329A1 (en) * 2011-07-14 2013-01-17 Mehta Ketan C Portable ampoule with a specialized tip and sealer
KR101949661B1 (ko) * 2011-09-06 2019-02-19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용기 제품의 지정된 특성들의 존재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WO2013034255A2 (de) * 2011-09-06 2013-03-1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s vorliegens von vorgegebenen eigenschaften eines behältererzeugniss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916067B2 (ja) * 2011-10-28 2016-05-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プラスチックアンプル
JP5904441B2 (ja) * 2012-04-27 2016-04-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アンプル容器
WO2013175254A1 (en) * 2012-05-21 2013-11-28 Sanofi Unitary packaging for one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pharmaceutical product
DE102012021525A1 (de) 2012-10-31 2014-04-30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Dichtungsanordnung sowie einer solchen zugeordneter Behälter
GB2508863A (en) * 2012-12-13 2014-06-18 Francis Michael Devoy Container for liquid antihistamine
DE102013012809A1 (de) 2013-08-01 2015-02-0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opfstück für einen mit einem Medium befüllbaren Behälter
CN105517909B (zh) * 2013-09-12 2019-03-19 费森尤斯卡比德国有限公司 用于医用液体的安瓿和制造安瓿的方法
ES2745082T3 (es) 2014-07-29 2020-02-27 Kocher Plastik Maschinenbau Gmbh Recipiente con una pieza de cabezal, el cual se puede rellenar o está relleno con un medio
USD776266S1 (en) 2014-10-24 2017-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USD776267S1 (en) 2014-10-24 2017-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WO2016064594A1 (en) 2014-10-24 2016-04-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comprising single-piece body
PL3212517T3 (pl) 2014-10-31 2019-03-2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Pojemnik z jednoczęściową częścią główkową
DE102014016192A1 (de) 2014-10-31 2016-05-04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er
JP6385285B2 (ja) * 2015-01-06 2018-09-05 常盤薬品工業株式会社 ラベル付きアンプル容器
USD777909S1 (en) 2015-07-10 2017-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applicator body
CN105668035A (zh) * 2016-02-03 2016-06-15 黄延庆 一种高密封性玻璃胶瓶
CN106214481A (zh) * 2016-08-25 2016-12-14 成都杰仕德科技有限公司 塑料安瓿瓶及其配药装置和方法
DE102017002401A1 (de) 2017-03-07 2018-09-13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Kunststoff-Behältererzeugnis
DE102017007443A1 (de) 2017-08-05 2019-02-07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lasform-, Füll- und Schließverfahren sowie danach hergestelltes Behältererzeugnis, insbesondere Ampullenerzeugnis
DE102017009012A1 (de) * 2017-09-26 2019-03-28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er sowie Verbindungs- und Herstellvorrichtung
WO2019092562A1 (en) 2017-11-09 2019-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er with applicator tip
CN111615409A (zh) 2017-11-17 2020-09-01 科斯卡家族有限公司 用于流体输送歧管的系统和方法
JP7374077B2 (ja) * 2018-03-23 2023-11-06 テルモ株式会社 薬物充填済み合成樹脂製アンプル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合成樹脂製アンプル本体
DE102018007993A1 (de) 2018-10-08 2020-04-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Dichtungsanordnung mit zugeordnetem Behälter und einem Dichtstoff
DE102018007991A1 (de) 2018-10-08 2020-04-09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Behälter
USD886283S1 (en) * 2019-03-23 2020-06-02 Lawrence Steven Kaye Disposable vial with twist off top
FR3101859A1 (fr) * 2019-10-15 2021-04-16 Seriplast Ampoule sécable permettant la rupture d’une ampoule sécable adjacente
CN114585565A (zh) 2019-10-21 2022-06-03 乐敦制药株式会社 树脂制容器及树脂制容器连结体
US20210121671A1 (en) * 2019-10-24 2021-04-29 Neil Hicks Softgel capsule for controlled delivery of topical and oral products
CN112976543B (zh) * 2021-02-05 2023-01-10 抚州市医宝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连排塑料安剖瓶的生产工艺、模具及产品
US20220387256A1 (en) * 2021-06-03 2022-12-08 Kent Byron Vial With Metered Dispenser
USD992110S1 (en) 2021-08-10 2023-07-11 Koska Family Limited Sealed fluid container
WO2023039126A1 (en) * 2021-09-09 2023-03-16 Koska Family Limited Blow-fill-seal (bfs) vials with modified fluid sea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thereof
KR102646529B1 (ko) * 2021-10-08 2024-03-13 서울대학교병원 현장 평가용 조직 염색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410U (ko) 1977-08-18 1979-03-12
JPH06218025A (ja) 1992-09-12 1994-08-09 Bernd Hansen アンプル
JP2004093775A (ja) 2002-08-30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5329958A (ja) *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03896A (ko) * 2003-04-23 2006-01-11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114118Y1 (ko) * 1964-02-09 1966-06-30
US3356244A (en) * 1966-03-28 1967-12-05 Leco Industries Ltd Container for convenient opening
US3917120A (en) * 1971-11-11 1975-11-04 Merck Patent Gmbh Single use container for liqui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3993223A (en) * 1974-07-25 1976-11-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Dispensing container
JPS5437410Y2 (ko) 1975-12-26 1979-11-09
JPS5437410A (en) 1977-08-29 1979-03-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urge invasion preventing circuit for coaxial repeating transmission line
DE3139084C2 (de) * 1981-10-01 1984-08-16 Gerhard 7166 Sulzbach-Laufen Hansen Verschluß für einen Behälter, insbesondere für eine Flasche
SE458986B (sv) * 1985-03-29 1989-05-29 Draco Ab Dosfoerpackning
US5009894A (en) * 1988-03-07 1991-04-23 Baker Cummins Pharmaceutical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JPH01238861A (ja) 1988-03-18 1989-09-25 Motoda Kea Kk 介助装置
US5409125A (en) * 1989-12-11 1995-04-25 Aktiebolaget Astra Unit dose container
NZ244796A (en) * 1992-08-18 1995-05-26 Scherer Corp R P Capsule shell of soft gelatin contains a medicament and has a removable tab
NL1004059C2 (nl) * 1996-09-18 1998-03-19 Plastic Moulding Appliances B Samenstel van houder en breeksluiting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US20040253039A1 (en) * 2003-06-13 2004-12-16 Stenton Richard J. Disposable applicator for topical composition
ITMO20030283A1 (it) * 2003-10-21 2005-04-22 Lameplast Spa Flacone per prodotti fluidi, particolarmente farmaceutici,
GB0513581D0 (en) * 2005-07-01 2005-08-10 Norton Healthcare Ltd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410U (ko) 1977-08-18 1979-03-12
JPH06218025A (ja) 1992-09-12 1994-08-09 Bernd Hansen アンプル
JP2004093775A (ja) 2002-08-30 2004-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60003896A (ko) * 2003-04-23 2006-01-11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약액 충전 플라스틱 앰플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329958A (ja) * 2004-05-18 2005-12-02 Pharmapack Kk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22551A1 (en) 2009-10-29
CN102014845B (zh) 2014-11-05
AU2009238972A1 (en) 2009-10-29
EP2269558B1 (en) 2015-03-04
TW200946102A (en) 2009-11-16
AU2009238972B2 (en) 2013-10-10
EP2269558A1 (en) 2011-01-05
US8640873B2 (en) 2014-02-04
EP2269558A4 (en) 2012-06-20
WO2009131192A1 (ja) 2009-10-29
KR101978657B1 (ko) 2019-05-15
TWI471128B (zh) 2015-02-01
JP5859201B2 (ja) 2016-02-10
CN102014845A (zh) 2011-04-13
US20110031157A1 (en) 2011-02-10
KR101978658B1 (ko) 2019-05-15
JP3151850U (ja) 2009-07-09
KR20100135732A (ko) 2010-12-27
CA2722551C (en) 2015-10-20
JPWO2009131192A1 (ja) 2011-08-25
HK1150745A1 (en) 201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58B1 (ko) 플라스틱 앰플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9421319B2 (en) Blood separation container for extracting self-platelet
FI120533B (fi) Muovipullo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P3134790U (ja) ボトル容器
AU2007323217B9 (en) Ampoules
EP0196288A2 (en) Dosage package
EP2066570B1 (en) Molded container with raised nipple and use
WO1998025829A1 (en) Single-use flexible container
EP3071489B1 (en) Child resistant blow-fill seal container
RU2720965C2 (ru) Пластиковый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тейнера такого типа
JP4871561B2 (ja) ブロー成形薄肉容器
KR101050516B1 (ko) 스틱이 포함된 커피믹스
WO2007094243A1 (ja) 容器
CN209332719U (zh) 一种透明pp安瓶
KR200197303Y1 (ko) 다기능 캡
CN210162516U (zh) 一种干细胞制剂包装瓶
EP4049939A1 (en) Resin container and linked resin container article
RU54783U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олненная пипет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Z15621U1 (cs) Obal
ITCO20110050A1 (it) &#34;tappo push pull per caramelle&#34;
CZ15643U1 (cs) Ob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622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28

Effective date: 201903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