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977A -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977A
KR20170004977A KR1020167030383A KR20167030383A KR20170004977A KR 20170004977 A KR20170004977 A KR 20170004977A KR 1020167030383 A KR1020167030383 A KR 1020167030383A KR 20167030383 A KR20167030383 A KR 20167030383A KR 20170004977 A KR20170004977 A KR 2017000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arthworm
fermented
diabete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141B1 (ko
Inventor
모토니 가도와키
마사토시 구보타
다카시 곤도
도모코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토우 야소우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야토우 야소우 겐큐쇼 filed Critical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니이가타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7000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지렁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으로써, 당뇨병에 의해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과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지렁이를 혼입하여 상기 지렁이를 발효시키는 것으로 발효 지렁이를 얻고, 이 발효 지렁이에 삼칠인삼을 혼합하고 발효 건조시켜서 발효 혼합물을 얻고, 이 발효 혼합물에 개미와 은행나무잎을 혼합하여 얻은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Description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INHIBITING FATTY LIVER AND NEPHROMEGALY CAUSED BY DIABET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렁이는, 동아시아에서 옛날부터 해열 진통제 등의 생약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또한, 최근에는, 지렁이 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한 당뇨병 치료제(특허문헌 1), 항고지혈증(抗高脂血症)제(특허문헌 2), 혈압 조정제(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고특허공보 평07-080778호 일본 공고특허공보 평07-080777호 일본 공고특허공보 평07-039349호
상술한 바와 같이, 지렁이는 여러 가지 효능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본원 발명자 등은, 이 지렁이가 가지는 한층 더의 효능에 대한 연구를 행한 결과, 드디어, 지렁이 성분이 당뇨병에 의해서 일어나는 지방간 및 신장 비대의 발병을 억제하는 새로운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지렁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으로써, 당뇨병에 의해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지렁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청과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 지렁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줄지렁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줄지렁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 ~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삼칠인삼, 개미, 은행나무잎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1 ~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삼칠인삼, 개미 및 은행나무잎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5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개미는, 발효시킨 발효 개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6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개미는, 발효시킨 발효 개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5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6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7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8 기재된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과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지렁이를 혼입하여 상기 지렁이를 발효시키는 것으로 발효 지렁이를 얻고, 이 발효 지렁이에 삼칠인삼을 혼합하고 발효 건조시켜서 발효 혼합물을 얻고, 이 발효 혼합물에 개미와 은행나무잎을 혼합하여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섭취하는 것으로써, 당뇨병에 의해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방간 및 신장 비대의 발병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간장, 신장, 심장의 각 장기 중량 및 신장 주위 지방, 부고환 주위 지방의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체중 100 g당의 간장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신장 중량의 확대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간장에 포함되는 총지방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간장에 포함되는 총 콜레스테롤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요중 알부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 활성화 인자 억제제(activator inhibitor) 1(PAI-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유글로블린(euglobulin) 분획(分劃) 용해 시간(ECL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글리코헤모글로빈(HbA1c)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인슐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으로의 아밀라아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요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GO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ALP)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젖산 탈수소 산소(LD)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신장 절편의 조직적 관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조직 화상이다.
도 18은 도 17의 조직 화상으로부터 사구체에 있어서의 메산지움(mesangial) 기질의 점유 비율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의 시험 1에 있어서의 대동맥궁의 조직적 관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조직 화상이다.
도 20은 도 19의 조직 화상으로부터 대동맥궁의 혈관벽 두께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체중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글리코헤모글로빈(HbA1c)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인슐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아디포넥틴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GO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leucine aminopeptidase)(LAP)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혈중 요소 질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creatinine clearance)(Ccr)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요중 알부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간장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간장에 포함되는 총지방질의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4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간장에 포함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5는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간장에 포함되는 총 콜레스테롤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6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유글로블린 분획 용해 시간(ECL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억제제 1(PAI-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8은 본 실시예의 시험 2에 있어서의 사구체에 있어서의 메산지움 기질의 점유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예를 들면 경구 섭취하는 것으로써, 당뇨병에 의해서 저하된 지방질 대사 기능이 개선되고, 또한, 당뇨병에 의한 지방질 대사 기능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당뇨병에 의해서 생긴 세소(細小) 혈관 장해가 개선되고, 또한, 당뇨병에 의한 세소혈관 장해의 발병이 억제된다(II형 당뇨병 모델 래트인 ZDF 래트(Zucker Diabetic Fatty Rat)를 이용한 확인 시험 결과에서).
이것에 의해,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의 발병 혹은 진행이 억제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지렁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고, II형 당뇨병이 발병되었을 때에 합병증으로서 발병되기 쉬운 지방간 및 신장 비대의 발병을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지렁이, 발효액, 삼칠인삼(별명: 전칠인삼(田七人蔘), 학명: Panaxmoto ginseng Berk), 개미, 은행나무잎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이하, 본 조성물로 칭함)은, 청과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지렁이를 혼입하여 상기 지렁이를 발효시키는 것으로 발효 지렁이를 얻고, 이 발효 지렁이에 삼칠인삼을 혼합하고 발효 건조시켜서 발효 혼합물을 얻고, 이 발효 혼합물에 개미와 은행나무잎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조성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이용한 지렁이는, 줄지렁이(학명: Eisenia fetida)이다.
또한, 발효액은, 야채 및 과일 등의 청과로부터 추출한 청과 엑기스에 효모균(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종의 효모균, 예를 들면, 기회감염균(opportunistic pathogen)이나 칸디다(candida)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콩나물 5 kg, 양배추 1.8 kg, 배추 0.5 kg, 시금치 0.5 kg, 소송채(小松菜) 0.5 kg, 연근 0.6 kg, 파슬리 0.5 kg, 감자 10 kg, 오이 2 kg, 우엉 0.6 kg, 파파야 45 kg, 파인애플 15 kg, 바나나 2 kg, 사과 5 kg, 레몬 1 kg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이것들에 무수 포도당 81 kg, 함수 포도당 9 kg 및 효모 0.2 l를 더하여 교반 혼합하고, 실온 21℃에서 약 1주간 발효시키고, 이 발효시킨 발효물을 프레스기로 짜고, 이 짜낸 발효액을 여과(120눈 메쉬)한 것이다.
또한, 청과 엑기스를 얻기 위한 야채 및 과일은 상기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의 야채, 과일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삼칠인삼은, 분말 상태로 가공한 삼칠인삼이다.
또한, 개미는, 물개미(擬黑多刺蟻)(학명: Polyrhachis viva Roger)와 곰개미(학명: Formica japonica)의 2종류의 개미이며,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개미는, 발효시킨 발효 개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발효 개미는, 파파야 분말, 분말 상태로 한 물개미 (이하, 물개미 분말로 칭함.), 분말 상태로 한 곰개미(이하, 곰개미 분말로 칭함.), 물을 혼합하고, 이것에 효모(생이스트)를 접종하여 발효시키고, 이 발효시킨 것을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실온을 28℃로 설정한 작업실 내에서, 파파야 분말 38.2 kg, 물개미 분말 1.82 kg, 곰개미 분말 7.28 kg, 물(40℃) 44 l를 혼합하고, 이것에 효모(생이스트) 7.7 g을 접종하고, 24시간 정치(靜置)하여 발효시키고, 이 발효시킨 것을 25℃, 72시간, 건조하고, 또한, 21℃에서 수분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이 수분 10% 이하로 건조시킨 것을 2 mm 메쉬로 조분쇄(粗粉碎)한 후, 0.2 mm 메쉬로 본분쇄(本粉碎)하여 분말 상태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파파야 분말의 제법은, 파파야를 슬라이스 혹은 민스(mince)에 의해 세분화(細分化)하고, 이것에 당류를 더하여 파파야 엑기스를 추출하고, 이 파파야 추출액에 효모균을 더하고, 이 효모균 및 이 파파야에 원래 부착되어 있는 야생 효모균을 발효 증식시키고, 이것에 유산균을 더하여 상기 효모균, 야생 효모균 및 유산균을 공생 배양한 것으로부터 액분(液分)을 구분하고, 이 액분에 효모균 및 유산균을 더 더하여 발효 숙성하여 건조시킨 것이다(콘도(近藤) 등에 의한 일본특허공보 제3370302호 참조).
또한, 은행나무잎은,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은행나무잎 엑기스이며, 구체적으로는, 이 은행나무잎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는, 은행나무잎을 삶아서 엑기스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엑기스를 가열하여 농축하고, 이 농축 엑기스에 무수 포도당과 발효 칼슘을 혼합한 후,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키고, 이 발효시킨 것을 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은행나무잎 50 kg와 물 500 l를 니더(kneader)에 넣고, 가열하고 비등(沸騰)시켜서 1시간 하여, 엑기스를 추출하고, 이 추출한 엑기스를 #350 및 #500의 메쉬로 여과하고, 이 여과한 추출 엑기스를 가열하고, 60 l까지 농축하고, 이 농축 엑기스의 액체의 온도가 높을 때 무수 포도당 17.5 kg을 혼합하고, 또한, 액체의 온도를 30℃로 하여 발효 칼슘 5 kg을 혼합한 후, 효모를 접종하고, 실온을 28℃로 설정한 작업실 내에서 24시간 호기(好氣) 발효하고, 발효 후, 실온 23 ~ 24℃로 유지하여 건조시키고, 건조시는, 도중에, 분말 상태로 한 현미 5 kg와 전분(본 실시예에서는 타분(打粉, dusty agent) 전분을 사용) 22.5 kg을 2일에 나누어서 반량씩 혼합하고, 혼합 작업이 종료한 다음날부터 실온을 20℃로 낮추고, 수분량이 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이 건조시킨 것을 2 mm 메쉬로 조분쇄한 후, 0.2 mm 메쉬로 본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효 칼슘은, 상술한 발효액에 있어서, 발효 기간을 2주간으로 한 발효액을 이용하고, 이 발효액 1 l에 대해서, 0.3 kg의 비율로 칼슘 분말(호쿠리쿠(北陸) 조개 화석 70 wt%, 조개 칼슘 28 wt%, 물고기 칼슘 2 wt%로 이루어지는 것)을 더하고, 약 2주간 교반하고, 이것에 발효액 1 l에 대해서 5.5 ml의 비율로 다시마 엑기스, 발효액 1 l에 대해서 0.2 l의 비율로 물을 더하고(본 실시예에서는, 다시마 엑기스와 물을 혼합한 것을 발효액에 더하고 있다.), 이 다시마 엑기스와 물을 더한 다음날, 실온을 25℃로 높이고, 다음날, 다시, 실온을 21℃로 낮추어서 수분 8%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이 건조시킨 것을 2 mm 메쉬로 조분쇄한 후, 0.2 mm 메쉬로 본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한 것이다.
다음에, 본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줄지렁이 1 kg(건조 후 100 g, 배합 비율 15 wt%)을 사용했을 경우이다.
먼저, 줄지렁이를, 진흙을 빼고 세정하고, 그 후, 2 mm 이하의 입상(粒狀)으로 분쇄한다.
구체적으로는, 믹서 내에, 진흙을 빼고 세정한 줄지렁이와 물(줄지렁이 중량 1 kg에 대해서 물 3.5 l를 더한다)를 넣고, 40 ~ 80분간, 믹서로 분쇄 처리를 실시하고, 소위 곤죽 상태의 줄지렁이를 얻는다. 또한, 분쇄 처리 중은, 액체의 온도가 상승되고, 이 상승되는 액체의 온도가 30℃를 초과해 버리면 줄지렁이의 유효 성분이 변질되거나 파괴되거나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분쇄 처리 중의 온도가 30℃를 초과하지 않도록, 더하는 물의 온도를 15℃ 이하로 하면 좋다.
다음에, 이 분쇄해 곤죽 상태로 한 줄지렁이에, 발효액을 215 ml(배합 비율 20 wt%), 유산균을 125 ml 혼합하고, 25℃로 17 ~ 21시간 정치하고, 발효시켜서 발효 줄지렁이를 얻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산균에 제균효과가 양호한 K-1균 혹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균을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유산균의 종류는, 대장균, 대장균군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효·건조 과정에 있어서 이것들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이 발효 줄지렁이에 삼칠인삼 분말 180 g(배합 비율 27 wt%)을 혼합하고, 이 혼합한 제1 혼합물을 발효시키면서 물기가 없어질 때까지 건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온을 23℃로 유지하고, 제1 혼합물에 송풍하면서, 48 ~ 72시간, 발효 건조시키고(이 발효 건조의 단계에서, 발효 지렁이를 작성했을 때에 혼합한 유산균의 기능에 의해, 대장균·대장균군이 살균된다.), 또한, 이 발효 건조 종료 후, 실온을 20 ~ 28℃, 습도를 18% 이하로 유지하면서, 약 2주간, 송풍 건조하여 상기 제1 혼합물의 수분량이 5%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다음에, 이 건조시킨 제1 혼합물에, 분말 상태로 한 발효 개미 20 g(배합 비율 3 wt%)와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 233 g(배합 비율 35 wt%)을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이 제2 혼합물을, 2 mm 메쉬로 조분쇄한 후, 0.2 mm 메쉬로 본분쇄하여 분말 상태로 하고, 이 분말을 캅셀에 수용하여 완성된다. 또한, 최종 형태는, 캅셀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분말 그대로, 혹은 정제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성분(재료)을 상기의 배합 비율로 배합하고 있지만, 발효 줄지렁이 12 ~ 18 wt%, 삼칠인삼 분말 22 ~ 32 wt%, 발효 개미 2 ~ 4 wt%,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 28 ~ 42 wt%, 발효액 16 ~ 24 wt%의 범위이면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다음에, 본 조성물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험 1과 시험 2의 두 번의 효과 확인 시험을 행했다. 시험 1에서는, 단순하게 본 조성물의 효과의 확인을 행하고, 시험 2에서는, 시험 1에서 확인하지 못했었던 지렁이(줄지렁이) 성분과 그 이외의 성분의 효과나 조기의 증상에서의 효과의 확인을 행했다. 먼저, 시험 1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시험 1≫
본 시험은, II형 당뇨병 모델 래트인 ZDF 래트(Zucker Diabetic Fatty Rat)를 이용하여, 상술한 본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 사료를 준 ZDF 래트와 본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준 ZDF 래트와의 상태의 차이를 비교하고, 본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ZDF 래트는, 7주령의 수컷을 20 마리 준비하고, 이것들을 체중, 혈당치의 평균이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하여 10 마리씩 2군으로 나누고, 한쪽의 군을, 본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 사료(컨트롤 사료)를 주는 Control군(이하, C군으로 칭함.)으로 하고, 다른 한쪽의 군을, 본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주는 Eisenia fetida군(이하, EF군으로 칭함.)으로 했다.
이 C군에 주는 통상 사료는, AIN-93G에 준거하여, 카제인을 단백질원으로 하여 조정한 사료이며, 또한, EF군에 주는 사료는, C군에 주는 통상 사료에 포함되는 옥수수 전분의 5%(중량)를 본 조성물로 치환한 사료이다.
또한, 사료 지급 방법은, 각각의 군에 각각의 사료를 12주간(7주령에서 19주령), 페어 피딩(pair feeding)에 의해 섭취시켰다. 또한, 물은 자유 섭취로 하고, 또한, 1주에 한 번, 공복시 혈당치의 측정을 행하기 위해서, 측정 전은 18시간의 절식을 행했다.
상기 조건으로 사육한 C군, EF군의 각 ZDF 래트에 대해서, 혈당치, 글리코헤모글로빈(이하, HbA1c로 칭함.), 인슐린, 장기 중량(신장, 간장, 심장, 신장 주위 지방, 부고환 주위 지방), 유글로블린 분획 용해 시간(이하, ECLT로 칭함.), 혈중 성분을 측정함과 함께, 신장 절편 및 대동맥궁의 조직적 관찰을 행하고, C군과 EF군을 서로 비교하여 그 효과를 확인했다.
도 1 ~ 3은, 신장, 간장, 심장의 각 장기 중량 및 신장 주위 지방, 부고환 주위 지방의 각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장기 등의 중량의 측정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과 간장에 관해서 유의차(有意差)(t 검정(檢定), p < 0.01)가 있었다(심장, 신장 주위 지방 및 부고환 주위 지방에 관해서는,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 없음).
상세하게는, 도 2에 나타내는 간장 중량의 측정 결과 및 도 3에 나타내는 신장 중량의 측정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1)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간장 중량, 신장 중량이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또한, 도 4는, 간장에 포함되는 총지방질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는, 간장에 포함되는 총 콜레스테롤(T-cho)의 중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간장에 포함되는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중량의 측정에 있어서는, 총지방질, 총 콜레스테롤 모두,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1)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총지방질, 총 콜레스테롤의 값이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또한, 참고로서 통상의 래트(건강한 래트)는, 간장의 총중량에 대해서, 간장의 총지방질은 약 4%, 총 콜레스테롤은 약 0.4%이다.
이 도 2에 나타내는 간장 중량의 측정 결과, 도 4에 나타내는 간장의 총지방질 중량의 측정 결과 및 도 5에 나타내는 간장의 총 콜레스테롤 중량의 측정 결과로부터, C군과 EF군과의 각각의 간장 중량에 대한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산출하면, C군은, 통상의 래트에 비하여 간장 중량에 대한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모두 높은 값이었지만, EF군은, 간장 중량에 대한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이 통상의 래트와 동등한 값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EF군의 ZDF 래트의 간장 중량이 C군의 ZDF 래트의 간장 중량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아진 요인은, 이 간장의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의 차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EF군의 ZDF 래트는, 본 조성물을 섭취한 것으로 당뇨병에 의해서 저하된 지방질 대사 기능이 개선되어서 정상에 가까운 상태의 지방질 대사가 이루어진 것이며, 혹은, 본 조성물을 섭취한 것에 의해 당뇨병에 의한 지방질 대사 기능의 저하가 억제되어서 통상대로의 지방질 대사가 행해진 것으로, 간장에의 지방의 축적이 억제되어서, 간장의 총지방질 및 총 콜레스테롤이 증가하지 않고, 간장 중량이 통상 래트와 대략 거의 동등한 값을 나타내는 결과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6은, 요중 알부민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요중 알부민의 측정에 있어서는, 시험 개시 후(7주령)부터 6주째(13주령)까지는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시험 개시 후 8주째(15주령)에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5)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요중 알부민의 값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가 되고, 또한, 시험 개시 후 10주째(17주령) 이후는, 다시 유의한 차이가 없어졌다. 그러나, 시험 개시 4주째쯤으로부터 시험 종료까지, C군보다 EF군쪽이 요중 알부민의 값이 낮고, 알부민의 배설을 억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진행하면, 합병증으로서 당뇨병 신부전이 발병되는 일이 많고, 이 당뇨병성 신부전이 발병되면, 본래 요중에 거의 나오지 않는 알부민이 누출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초기의 당뇨병성 신부전의 판정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고, 또한, 이 알부민의 요중 누출은, 당뇨병에 의한 세소혈관 장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즉, EF군의 ZDF 래트는, 본 조성물을 섭취한 것으로, 선용능(線溶能)이 항진(亢進)하고, 세소혈관 장해의 개선 효과에 의해, C군보다 요중 알부민량이 낮아졌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조성물을 섭취한 EF군의 ZDF 래트의 신장 중량이, 본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았던 C군의 ZDF 래트의 신장 중량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요인은, 이 선용능의 항진에 의해 당뇨병에 의한 세소혈관 장해의 발병이 억제되어서 신장 기능이 저하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장 비대의 증상이 개선 혹은 억제된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도 7은, 혈중의 플라스미노겐 활성화 인자 억제제 1(이하, PAI-1로 칭함.)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PAI-1의 측정에 있어서는,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5)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PAI-1의 값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이 PAI-1은, 당뇨병에 의해 지방질 대사가 저하되고, 이 지방질 대사의 저하에 의한 내장 지방의 축적에 수반하여 지방세포가 비대화되고 방출량이 증가하는 것이며, 이 PAI-1의 방출량이 증가하면, 선용능이 저하되고 혈전이 형성되기 쉬워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 PAI-1의 측정 결과로부터도 본 조성물이 당뇨병에 의해서 저하된 지방질 대사를 개선하고, 당뇨병에 의해서 일어나는 선용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증명된다.
또한, 도 8은, ECL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이 ECLT 측정에 있어서는, C군과 EF군과의 ZDF 래트 이외에 당뇨병이 발병되지 않은 건강한 래트, 구체적으로는 SD 래트를 이용하고, 이 SD 래트의 ECLT치를 벤치마크로 하고, 이 SD 래트의 ECLT치와 C군과 EF군과의 각각의 ECLT치를 비교했다.
이 ECLT는, 유글로블린 분획에 혈액의 응고 인자인 트롬빈을 더하고, 인공적으로 혈전을 만들고, 이 응고가 용해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선용능을 평가하는 것이며, ECLT가 길수록 선용능이 저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시험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1)가 있고, C군보다 본 조성물을 준 EF군쪽이 ECLT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임과 함께, 이 본 조성물을 준 EF군의 ZDF 래트의 ECLT의 값은, 건강한 SD 래트의 ECLT의 값과 동등한 값을 나타내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ECLT의 측정 결과로부터, 본 조성물은, 당뇨병에 의해서 저하된 선용능을 개선하는 효과, 혹은, 당뇨병에 의한 선용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당뇨병이 발병되면, 합병증으로서 혈전증이 발병되는 것이 문제가 되지만, 본 조성물은, 이 당뇨병에 의한 혈전증의 발병을 억제하는 효과도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는, 공복시 혈당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0은, HbA1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HbA1c는, 일반적으로, 혈당치가 높을수록 형성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당뇨병이 발병되면 혈당치의 증가와 함께 현저하게 증가한다.
본 시험에서는, 혈당치, HbA1c 모두, C군과 EF군의 사이에서 유의차는 없고, 양군 모두 혈당치, HbA1c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또한, 통상의 ZDF 래트의 HbA1c의 값은, 18주령에서는 약 9.4%(일본 찰스·리버샤(Charles River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의 데이터를 참조)이며, 본 시험에서는, 이것과 비교하면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로 되어 있지만, 혈당치의 측정 결과로부터 고혈당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HbA1c치에 문제는 없다고 판단했다.
또한, 도 11은, 인슐린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ZDF 래트는, 당뇨병의 초기의 단계에서 인슐린의 과잉 분비가 일어나지만, 18주령경이 되면 분비능이 없어지고, 인슐린 농도가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섭취한 EF군쪽이 약간 인슐린의 분비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는 없는 결과였다.
이 혈당치, HbA1c, 인슐린의 측정 결과로부터, 본 조성물은, 혈당치의 개선 메카니즘에는 직접 작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조성물은, 고혈당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당뇨병에 의해서 발병되는 지방간이나 신장 비대의 발병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간장, 신장의 기능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당뇨병에 의해서 저하된 지방질 대사 기능이나 신장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 혹은, 당뇨병에 의한 간장의 지방질 대사 기능의 저하나 신장 기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시험에서는, 총단백(TP), 알부민(Alb), 황산아연 혼탁시험(ZTT), 티몰(thymol) 혼탁시험(TTT), 총빌리루빈(T-BIL),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GOT), 글루타민산 피루브산 전이효소(GPT),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 젖산 탈수소 산소(LD), 감마·글루타민산(γ-GT),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LAP), 콜린 에스타라아제(choline esterase)(CHE),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CK), 산성 포스파타아제(ACP), 아밀라아제(AMY), 요산(UA), 요소 질소(BUN), 크레아티닌(creatinine)(Cre), 혈청철(Fe), 총 콜레스테롤(T-cho), 중성 지방(TG), HDL 콜레스테롤(HDL), 동맥 경화 지수(AI), LDL 콜레스테롤(LDL)의 24항목에 대해서, 혈액검사에 의해, 측정, 분석을 행했다.
이 24항목에 있어서, 아밀라아제와 요산의 2항목에서,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1)가 있었다.
아밀라아제는, 당뇨병이나 신부전시에 높은 값이 되는 경향이 있는 항목인데, 본 시험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F군쪽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결과로부터도, 본 조성물이, 당뇨병성 신부전의 발병을 억제하는 혹은 진행을 지연하는 효과, 혹은, 당뇨병성 신부전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 유추될 수 있다.
또한, 요산치는,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 등으로 높은 값이 되는 항목인데, 본 시험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F군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이 결과는, 본 조성물이 요산의 대사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유의차가 없지만, 도 14 ~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GOT),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 젖산 탈수소 산소(LD)의 3항목에서 EF군쪽이 양호한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이것은, 본 조성물이 간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가능성, 혹은, 저하된 간기능을 개선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도 17은, 신장 절편의 조직적 관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조직 화상이며, 도 18은, 이 조직 화상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이 신장 절편의 조직적 관찰에 있어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섭취한 EF군에 있어서, 메산지움 기질 증가의 억제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 관찰한 조직 화상을 수치화한 것을 비교한 결과,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t 검정, p < 0.05)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사구체 면적에 차지하는 메산지움 기질의 비율이 적은, 즉, 메산지움 기질의 증가가 억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이 메산지움 기질은, 통상 신장으로 사구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당뇨병시에는 고혈당 등이 원인으로 메산지움 기질이 비대되고, 주위에 있는 사구체의 모세혈관을 압박해 버리는 것이 알려져 있고, 본 조성물을 섭취하지 않았던 C군에서는, 확실히 그 경향이 보였지만, 본 조성물을 섭취한 EF군에서는, 이 메산지움 기질의 증가가 억제되고 있고, 사구체의 모세혈관의 압박 증상을 볼 수 없었다.
또한, 메산지움 기질에 의해서 압박받은 모세혈관은, 내강(內腔)(혈액의 통로)이 좁아져서 혈류가 나빠지지만, 사구체에서는 흘러드는 혈액을 여과하고 있으므로 혈류의 악화에 의해서 여과 기능이 저하되고, 또한, 모세혈관의 벽에는 혈액을 여과하는 구멍이 있어서 필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 벽이 두꺼워져서 눈(메쉬)이 엉성해지고, 단백질이 대량으로 누출되어 버려서, 그 결과, 단백뇨가 나오게 된다.
본 시험에 있어서, EF군의 알부민뇨가 억제되고 있던 것은, 이 메산지움 기질의 비대가 억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 19는, 대동맥궁의 조직적 관찰을 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조직 화상이며, 도 20은, 이 조직 화상보다 동맥활 혈관벽 두께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이 대동맥궁의 조직적 관찰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을 섭취한 EF군에 있어서, 대동맥궁의 혈관벽의 비대의 억제가 유의한 경향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 관찰한 조직 화상을 수치화한 것을 비교한 결과, C군보다 EF군쪽의 혈관벽 두께가 얇고, 유의차는 없기는 하나, 수치적으로 유의한 경향으로 비대가 억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에, 시험 2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시험 2≫
본 시험은,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의 효과와 지렁이(줄지렁이) 이외의 성분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는 것, 또한, 시험 기간을 단기간으로 설정하여, 조기의 증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1과 마찬가지로, ZDF 래트를 이용하고, 본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 사료를 준 ZDF 래트와, 본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준 ZDF 래트와, 본 조성물에 있어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이 들어가 있지 않은 지렁이 비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준 ZDF 래트 상태의 차이를 비교하고,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지렁이 성분과 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의 효과를 명확하게 했다. 또한, 상기 지렁이 비함유 조성물은, 단순하게 본 조성물에 있어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다른 성분의 배합 비율은 본 조성물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ZDF 래트는, 시험 1과 마찬가지로, 7주령의 수컷을 준비하고, 이것들을 체중, 혈당치의 평균이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하고, 시험 1과 마찬가지의 본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 사료(컨트롤 사료)를 주는 C군과, 본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주는 EF군과, 지렁이 비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를 주는 Non-Eisenia fetida군(이하, NE군으로 칭함.)으로 군을 구분했다.
이 C군 및 EF군에 주는 사료는, 시험 1과 동일하고, 또한, NE군에 주는 사료는, C군에 주는 통상 사료에 포함되는 옥수수 전분의 4.25%(중량)를 지렁이 비함유 조성물로 치환한 사료이다.
또한, 사료 지급 방법은, 시험 기간을 10주간(7주령에서 17주령)으로 하는 것 외에는 모두 시험 1과 동일 조건으로 행했다.
상기 조건으로 사육한 C군, EF군, NE군의 각 ZDF 래트에 대해서, 체중 변화, HbA1c, 인슐린, 아디포넥틴, 간기능 마커(혈중), 혈중 총 콜레스테롤, 간장 지방질, ECLT, PAI-1, 메산지움 기질 비율을 측정하고, C군과 EF군과 NE군의 사이를 비교하여,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의 효과와 지렁이 이외의 성분의 효과를 명확하게 함과 함께, 조기의 증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했다.
도 21은, 체중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군은 5주째(12주령)쯤으로부터 체중의 증가가 거의 없고, 6주째(13주령) 이후, EF군, NE군과 체중에 유의차(LSD 검정, p < 0.01)가 있고, 성장의 저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결과가 되었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또한, 도 22는, HbA1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 1에서는,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지만, 본 시험에서는, C군과 EF군, C군과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 EF군과 NE군에서 유의하게 HbA1c의 값이 억제되는 결과였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이것은, 본 시험이 당뇨병의 조기 단계의 HbA1c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NE군에서도 HbA1c치가 억제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에 HbA1c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3은, 인슐린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 1과 마찬가지로,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는 없고, 또한, C군과 NE군의 사이, EF군과 NE군의 사이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유의차는 없는 결과였다.
또한, 도 24는, 아디포넥틴(시험 1에서는 측정하고 있지 않는 신규 항목)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 EF군과 NE군에서 유의하게 아디포넥틴의 값이 높은 결과였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이 아디포넥틴은, 당뇨병시에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좋은 아디포카인이며, 인슐린 저항성 등에 관계하여, 혈당치의 저하 작용을 가진다. 또한, 아디포넥틴의 저하는 동맥 경화를 일으킨다고도 알려져 있다.
또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NE군에서도 아디포넥틴의 값이 높은 것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에 아디포넥틴의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술한 HbA1c치를 억제하는 효과는, 이 아디포넥틴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생긴 결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도 25 ~ 27은, 간기능 마커(혈중)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25는,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GOT), 도 26은,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P), 도 27은,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LAP)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28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간기능 마커의 하나인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는, 간장 질환에서 값이 상승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지방간시에도 값이 상승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항목이며, 또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당뇨병의 진행에 의해서도 상승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 항목이다.
시험 1에서는, 각 항목 모두 유의차는 없는(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 알칼리 포스파타아제는 유의한 경향은 보여진) 결과였지만, 본 시험에서는, 도 25 ~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항목 모두,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었다.
즉, 본 시험에서는, EF군과 NE군과에 있어서, 간기능 마커의 글루타민산 옥살아세트산 전이효소,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류신 아미노펩티다아제의 상승이 유의하게 억제됨과 함께,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상승이 유의하게 억제되고, EF군과 NE군에서 유의하게 간기능의 저하 억제, 지방질 대사 개선이 시사되는 결과였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또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NE군에서도 각 항목에서 C군과 비교하여 유의차가 있던 것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에 간기능의 저하 억제 효과 및 지방질 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9, 30은, 신장 기능 마커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29는, 혈중 요소 질소(BUN), 도 30은,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Ccr)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신장 기능 마커인 혈중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는, 모두 당뇨병시에 신장 기능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는 항목이며, 혈중 요소 질소는, 신장의 여과 기능이 저하되면, 값이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는, 신장의 여과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당뇨병성 신부전의 진행에 의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항목이다.
시험 1에서는, 혈중 요소 질소의 측정 결과에 유의차는 없었지만, 본 시험에서는,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었다. 또한,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에 관해서는, 유의차는 없었지만,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한 경향이 있었다.
즉, 본 시험에서는, EF군과 NE군과에 있어서, 신장 기능 마커의 혈중 요소 질소의 상승이 유의하게 억제됨과 함께,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의 저하가 억제되는 경향이 있고, EF군과 NE군에서 신장 기능의 저하 억제 효과를 시사하는 결과가 되었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또한, 도 31은, 요중 알부민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 1에서는, 시험 개시 8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지만, 본 시험에서는, 시험 개시 후 6주째(13주령)부터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생기고, 최종적(시험 개시 10주 후)으로는, 각 군 사이에서 각각,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는 결과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C군보다 EF군쪽이 요중 알부민의 누출량이 유의하게 억제되고, 또한 EF군보다 NE군쪽이 요중 알부민의 누출량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결과가 되었다. 이것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에 요중 알부민의 누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2 ~ 35는, 간장 지방질에 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2는, 간장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 33은, 간장 총지방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또한, 도 34는, 간장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 35는, 간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의 중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간장 중량의 측정에서는, C군과 EF군,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간장 총지방질의 측정에서는, C군, NE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었다(C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또한, 간장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중량의 측정에서는, C군, NE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C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총 콜레스테롤 중량의 측정에서는, 각 군 사이에서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는 결과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C군보다 NE군쪽이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한 낮은 값을 나타내고, 또한 NE군보다 EF군쪽이 총 콜레스테롤이 유의한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가 되었다.
이것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에 간장에의 지방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6은, ECLT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7은, PAI-1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 1과 마찬가지로, 본 시험에 있어서도, ECLT의 측정 결과는,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ECLT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또한, NE군은, C군, EF군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유의차가 없는 결과였다.
또한, PAI-1에 관해서도, 시험 1과 마찬가지로,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1)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PAI-1이 낮은 값을 나타내고, 또한, NE군에 관해서도, EF군과 마찬가지로, C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1)가 있고, C군보다 PAI-1이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결과였다(EF군과 NE군은 유의차 없음).
이 ECLT와 PAI-1의 측정 결과로부터,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에 당뇨병시의 선용기능 저하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에 선용 저해 인자(PAI-1)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8은, 사구체에 있어서의 메산지움 기질의 점유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시험 1과 마찬가지로, C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 C군보다 EF군쪽이 사구체 면적에 차지하는 메산지움 기질의 비율이 적은, 즉, 메산지움 기질의 증가가 억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였다.
또한, 본 시험에서는, C군과 NE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고, 또한, 이 NE군과 EF군의 사이에 유의차(LSD 검정, p < 0.05)가 있었다. 즉, EF군이 가장 메산지움 기질의 증가가 억제되고 있고, 다음에, NE군이 메산지움 기질의 증가가 억제되고 있는 결과였다. 이것으로부터, 신장의 조직 구조 변화 억제에서는, 지렁이 성분의 기여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상술한 시험 1 및 시험 2의 결과로부터, 본 조성물은, 당뇨병의 합병증을 억제하는 작용(지방질 대사 개선, 당뇨병성 신부전의 진행 억제)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간장의 지방질 대사 개선 효과, 선용기능의 항진 효과, 신장의 조직 구조 변화의 억제 효과는, 본 조성물중의 지렁이(줄지렁이) 성분에 의한 작용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신장 기능 개선 효과는, 지렁이(줄지렁이) 성분 이외의 성분(삼칠인삼, 발효 개미,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 발효액)에 의한 작용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조성물은, 지렁이(줄지렁이), 삼칠인삼, 발효 개미,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 발효액의 각 성분의 작용에 의해, II형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할 수 있는, 종래에 없는 획기적인 것이 된다.
게다가, 본 조성물은, 상술한 효과 이외에, 발효 개미의 작용에 의해 항염증 효과나 진통 작용도 발휘하고, 당뇨병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의 질병을 완화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지렁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청과(靑果, vegetable and fruit)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의해 발효시킨 발효 지렁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줄지렁이(eisenia feti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는, 줄지렁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칠인삼, 개미, 은행나무잎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칠인삼, 개미 및 은행나무잎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미는, 발효시킨 발효 개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미는, 발효시킨 발효 개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나무잎은, 이 은행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발효시킨 발효 은행나무잎 엑기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
  13. 청과 엑기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액에, 지렁이를 혼입하여 상기 지렁이를 발효시키는 것으로 발효 지렁이를 얻고, 이 발효 지렁이에 삼칠인삼을 혼합하고 발효 건조시켜서 발효 혼합물을 얻고, 이 발효 혼합물에 개미와 은행나무잎을 혼합하여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 및 신장 비대를 억제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7030383A 2014-03-29 2015-03-27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당뇨병에 의한 신장 비대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KR101873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0644 2014-03-29
JP2014070644 2014-03-29
JPJP-P-2015-058547 2015-03-20
JP2015058547A JP6047609B2 (ja) 2014-03-29 2015-03-20 糖尿病による脂肪肝及び腎肥大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5/059604 WO2015152045A1 (ja) 2014-03-29 2015-03-27 糖尿病による脂肪肝及び腎肥大を抑制する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77A true KR20170004977A (ko) 2017-01-11
KR101873141B1 KR101873141B1 (ko) 2018-06-29

Family

ID=5424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383A KR101873141B1 (ko) 2014-03-29 2015-03-27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당뇨병에 의한 신장 비대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47609B2 (ko)
KR (1) KR101873141B1 (ko)
CN (1) CN106470692B (ko)
SG (2) SG10201707707XA (ko)
TW (2) TWI721407B (ko)
WO (1) WO20151520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939B1 (ko) * 2016-10-24 2018-08-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구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83127B1 (ko) * 2018-06-19 2021-07-29 주식회사 엠디헬스케어 류코노스톡속 균주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11208041A (zh) * 2020-01-10 2020-05-29 万邦德制药集团有限公司 一种银杏叶滴丸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49A (ja) 1993-07-30 1995-02-10 Nishihatsu Sangyo Kk 海苔原藻中の異物検出及び除去装置
JPH0780777A (ja) 1993-09-16 1995-03-28 Nisuko Kensetsu Kk 組立治具
JPH0780778A (ja) 1993-09-17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レール締結ボルトのトルク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4844A (en) * 1987-08-18 1991-06-18 Eimei Company,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ried earthworm powder and antihyperlipemic, antidiabetic, antihypertensive and antihypotensive preparations containing dried earthworm powder as active ingredient
JPH0780778B2 (ja) * 1987-08-18 1995-08-30 株式会社エイメイ 糖尿病治療剤
JPH02193929A (ja) * 1989-01-23 1990-07-31 Eimei:Kk 糖尿病治療剤
JPH02215726A (ja) * 1989-02-15 1990-08-28 Eimei:Kk 糖尿病治療剤
JP2003267878A (ja) * 2002-03-12 2003-09-25 Nihon Yamaninjin Kenkyusho:Kk 糖尿病性合併症の予防又は治療剤及び健康食品
CN1218032C (zh) * 2002-10-11 2005-09-07 王凯 蚂蚁发酵酒及其发酵工艺
JP3896338B2 (ja) * 2003-03-26 2007-03-22 暁酵素産業株式会社 甘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1087A (ja) * 2003-04-25 2004-11-18 Kinkado:Kk 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4952B2 (ja) * 2003-12-26 2007-10-03 堯 近藤 健康食品の製造方法
JP2006193489A (ja) * 2005-01-14 2006-07-27 Toyo Shinyaku:Kk 体脂肪蓄積抑制剤
WO2006093164A1 (ja) * 2005-02-28 2006-09-08 Osaka Prefecture ミミズ由来の成分を含むウイルス感染及び増殖阻害剤
JP4521447B2 (ja) * 2008-01-30 2010-08-11 株式会社 ミヤトウ野草研究所 酵素含有の健康食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
JP5390589B2 (ja) * 2011-12-27 2014-01-15 農業生産法人株式会社 熱帯資源植物研究所 血管新生阻害剤
CN115067419A (zh) * 2016-04-25 2022-09-20 中润丰禾饲料有限公司 一种饲料添加剂的应用和蚯蚓发酵液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49A (ja) 1993-07-30 1995-02-10 Nishihatsu Sangyo Kk 海苔原藻中の異物検出及び除去装置
JPH0780777A (ja) 1993-09-16 1995-03-28 Nisuko Kensetsu Kk 組立治具
JPH0780778A (ja) 1993-09-17 1995-03-2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レール締結ボルトのトルク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606837XA (en) 2016-09-29
JP2015199707A (ja) 2015-11-12
SG10201707707XA (en) 2017-10-30
TWI664970B (zh) 2019-07-11
WO2015152045A1 (ja) 2015-10-08
TWI721407B (zh) 2021-03-11
KR101873141B1 (ko) 2018-06-29
TW201625281A (zh) 2016-07-16
JP6047609B2 (ja) 2016-12-21
CN106470692B (zh) 2019-12-03
CN106470692A (zh) 2017-03-01
TW201932127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ng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erb extra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De Morais et al. Consumption of yerba mate (Ilex paraguariensis) improves serum lipid parameters in healthy dyslipidemic subjects and provides an additional LDL-cholesterol reduction in individuals on statin therapy
Ibrahim et al. Effect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leaf extract on diabetic nephropathy in rats
EP2178545B1 (en) Fraction of melissa leaf extract having angiogenesis and mmp inhibitory activiti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ochhar et al.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on blood glucose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A pilot study
Lee et al. In vivo investigation of anti-diabetic properties of ripe onion juice in normal and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Noce et al. Cardiovascular protection of nephropathic male patients by oral food supplements
KR101873141B1 (ko) 당뇨병에 의한 지방간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및 당뇨병에 의한 신장 비대를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CN109090597A (zh) 一种辅助降三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Benrahou et al. Inhibition of α‐Amylase, α‐Glucosidase, and Lipase, Intestinal Glucose Absorption, and Antidiabetic Properties by Extracts of Erodium guttatum
JP6701583B2 (ja) 糖尿疾患の1型治療用組成物
JP2006160710A (ja) 糖尿病の予防・治療用組成物およびその有効成分を含む健康食品
Elhassaneen et al. The Potential Effects of Psyllium Seeds and its Husks (Plantago ovata) on Diabetic Rats
KR101792875B1 (ko) 홍삼 및 유산균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30681B2 (ja) 糖尿病による脂肪肝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糖尿病による腎肥大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
JP2008074735A (ja) リパーゼ阻害作用を有する組成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吸収抑制剤
Nada et al. Evaluation of Moringa oleifera leaves extract effe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war et al. Antidiabetic Activities of Fenugreek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KR20200061218A (ko) 익지 추출물 및 알로퓨리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68456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omplications of diabetes containing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bigail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Effect of Crude Aqueous Extract of Nut, Leaf and Stem Parts of Vigna subterranae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R102174613B1 (ko) 밀랍으로 코팅된 봉독 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201728331A (zh) 麥角固醇之應用
OYEWO et al. Safety concerns of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yoyo bitters in male wistar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