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12A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12A
KR20170004012A KR1020167035984A KR20167035984A KR20170004012A KR 20170004012 A KR20170004012 A KR 20170004012A KR 1020167035984 A KR1020167035984 A KR 1020167035984A KR 20167035984 A KR20167035984 A KR 20167035984A KR 20170004012 A KR20170004012 A KR 20170004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diaper
convex
shee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623B1 (ko
Inventor
료타 구라마에
요우이치 스즈키
노부야 사토
유코 후쿠다
야스유키 오쿠다
유마 나카오
교코 이시바시
아키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8782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11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0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29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7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2181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A) 는, 표면 시트 (2) 가,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 양측 가장자리 (4e) 및 양 측부 (4S)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방루 커프 (6, 6) 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흡수성 본체 (5) 는, 흡수체 (4) 의 측가장자리 (4e) 로부터 내방으로 이간된 부위에 방루 커프 (6) 에 대한 고정부 (67) 를 갖는다.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 (2a) 을 가지며, 흡수체 (4) 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PANTS-TYPE 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앞길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양 측부와, 뒷길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양 측부가 접합되어,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또, 그러한 일회용 기저귀의 방루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탄성 부재에 의해 기립하는 방루 커프를 형성하고, 흡수체의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시트와 방루 커프의 사이에 뇨 등을 저류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웨트 백의 억제나 장착감의 향상을 위해서,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의 표면 시트로서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를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고 (특허문헌 2, 3 참조), 특허문헌 2 에는,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요철 시트를,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방루 커프를 형성하는 경우, 그 방루 커프는,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 가능하도록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하는 한편, 복측부 및 배측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가지며, 복측부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양 측부와 배측부에 있어서의 외장체의 양 측부가 접합되어,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기 위해서,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외장체에,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신축하는 허리 둘레 개더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 5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29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484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189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848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85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5561호
본 발명 (제 1 발명) 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및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루 커프는, 각각,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그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흡수체의 폭방향 내방으로 이간한 부위에,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부재에 대한 고정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散点狀)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 (제 2 발명) 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가지며,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루 커프는, 각각,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한편,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그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방루 커프는,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된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사이에 두어,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기저귀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허리 둘레 개더를 가지며,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상기 흡수체와 겹치는 내측 신축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방루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접합부 및 상기 비접합 영역이, 상기 내측 신축부와 기저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져 있다. 제 1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제 2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구성 요건, 또는 후술하는 그 실시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구성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 3 발명) 은,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가지며,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박육 부분을 갖는다.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보다 가랑이측의 영역에,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1 개는, 흡수체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육 부분과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박육 부분이 존재하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그 표면 시트의 그 단가장자리의 피부 맞닿음면측이, 단부 커버 부직포에 의해 덮여 있다. 제 1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제 3 발명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구성 요건, 또는 후술하는 그 실시 형태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부 혹은 일부의 구성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 (제 1 발명) 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 또한 신장 상태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전개 또한 신장 상태는, 사이드 시일부에서 떼어내어 전개하고,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상으로 펼친 상태이다.
도 3 은,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선 CL 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표면 시트의 요철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 의 (a) ∼ 도 8 의 (c) 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확대 평면도이다.
도 9 의 (a) ∼ 도 9 의 (d) 는,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 시트의 설명도이며, 도 9 의 (a) 는, 도 1 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사용한 표면 시트, 도 9 의 (b) ∼ 도 9 의 (d) 는, 표면 시트로서 채용 가능한 표면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 (제 1 발명) 의 다른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가랑이부의 폭방향을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의 (a) 및 도 11 의 (b) 는, 도 10 에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더욱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가랑이부의 폭방향을 따른 주요부 확대 단면도) 이다.
도 12 는, 본 발명 (제 2 발명) 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 또한 신장 상태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전개 또한 신장 상태는, 사이드 시일부에서 떼어내어 전개하고,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상으로 펼친 상태이다.
도 14 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폭방향 중앙선 CL 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3 의 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표면 시트의 요철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으로 늘어서는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 의 (a) 는,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의 배치, 도 18 의 (b) 및 도 18 의 (c) 는, 채용할 수 있는 다른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 또한 신장 상태를, 비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20 의 (a) ∼ 도 20 의 (c) 는,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영역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 확대 평면도이다.
도 21 의 (a) ∼ 도 21 의 (d) 는, 본 발명 (제 2 발명) 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 시트의 설명도이며, 도 21 의 (a) 는, 도 12 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사용한 표면 시트, 도 21 의 (b) ∼ 도 21 의 (d) 는, 표면 시트로서 채용 가능한 표면 시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 (제 3 발명) 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전개 또한 신장 상태를, 피부 맞닿음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전개 또한 신장 상태는, 사이드 시일부에서 떼어내어 전개하고,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평면상으로 펼친 상태이다.
도 24 는, 도 23 의 III-III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는, 도 23 의 IV-IV 선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 의 (a) 는, 수축 상태를 나타내는 도 25 상당도이며, 도 26 의 (b) 는, 평탄한 표면 시트를 사용한 종래품의 경우의 도 26 의 (a) 상당도이다.
도 27 은, 도 22 에 나타내는 기저귀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한 입체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8 은, 도 27 에 나타내는 입체 시트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 (제 3 발명) 에 있어서 표면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요철 부직포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0 은, 도 29 에 나타내는 요철 부직포의 두께 방향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1 은, 도 29 에 나타내는 요철 부직포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2 는, 도 31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은, 도 31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의해 웨브를 부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4 는, 도 31 에 나타내는 장치에 의해 웨브의 섬유를 열융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 (제 3 발명) 에 있어서 표면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요철 부직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6 은, 벌크 소프트니스의 측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특허문헌 1 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의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액을 흡수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어, 장착감이나 흡수 성능의 향상의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또, 본 발명자들은, 표면 시트로서 요철 형상을 갖는 시트를 이용하여, 방루 커프를, 그 표면 시트 상에 접합하면, 접합한 방루 커프가, 제조 시나, 포장용의 봉투에 압축 충전할 때, 혹은 착용 중 등에, 벗겨지기 쉬워지는 것을 지견했다.
또, 허리 둘레 개더를 형성한 외장체에 흡수성 본체를 접합하면, 허리 둘레 개더와 겹친 부분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가 기저귀 폭방향으로 과도하게 줄어들어 위화감이나 흡수면 부족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허리 둘레 개더 형성용의 탄성 부재를,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절단하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허리 둘레 개더 형성용의 탄성 부재를,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모두 절단한 경우에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이 저하되기 쉬워져, 누출 방지성의 저하 등의 폐해가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6 에는,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중 일부를, 흡수체의 단부와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6 에 있어서는, 흡수체로서 특수한 흡수성 코어를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고, 통상적인 흡수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흡수체의 단부에 주름이나 꼬임이 생겨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흡수체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과 위화감의 없음을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갖는 해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A) (이하 「기저귀 (1A)」 라고도 한다) 및 제 2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B) (이하 「기저귀 (1B)」 라고도 한다) 는, 도 1 ∼ 도 3, 또는 도 12 ∼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와 그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 (5) 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 (10)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기저귀 (1A, 1B) 는, 도 2 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 (X) 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 (Y) 을 가지고 있고, 착용 시에 착용자의 복측에 배치되는 복측부 (A) 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 (B) 와 복측부 (A) 와 배측부 (B) 의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 (C)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복측부 (A)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측가장자리부 (A1, A1) 와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측가장자리부 (B1, B1) 가,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S), 웨스트 개구부 (7)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 (8, 8) 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1A, 1B) 의 외장체 (10) 는, 기저귀 (1A, 1B) 의 외면을 형성하고 있다.
복측부 (A), 배측부 (B) 및 가랑이부 (C) 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 (도 2 또는 도 13 참조) 의 기저귀 (1A, 1B) 를, 길이 방향 (X) 의 전체 길이를 3 등분하도록 3 영역으로 구분했을 때의 각 영역이다. 전개 또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시일부를 떼어, 기저귀를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기저귀를,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설계 치수 (탄성 부재의 영향을 일체 배제한 상태로 평면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 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또, 기저귀 (1A, 1B) 의 폭방향 중앙선 (CL) 은, 기저귀 (1A, 1B) 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를 2 등분하여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그 구성 부재 (예를 들어 흡수성 본체) 에 있어서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에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 맞닿음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 (착의측) 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흡수성 본체 (5) 는, 도 2 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A, 1B) 의 길이 방향 (X) 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도 3 ∼ 도 5, 또는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2)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 (4) 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 (5) 는, 그 길이 방향을, 전개 또한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 (1A, 1B) 의 길이 방향 (X) 에 일치시켜, 외장체 (10) 의 중앙부에 공지된 접합 수단 (접착제 등)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 (4) 는, 흡수성 본체 (5) 와 마찬가지로, 기저귀 (1A, 1B) 의 길이 방향 (X) 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는, 도 2 및 도 3, 또는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 와, 그 흡수성 코어 (40) 의 피부 맞닿음면측 및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로 이루어지고, 흡수성 코어 (40) 는, 직사각형상의 하부 흡수 코어 (412) 와 하부 흡수 코어 (412) 의 일부에 적층된 상부 흡수 코어 (411) 로 이루어진다. 흡수성 코어 (40)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부에, 하부 흡수 코어 (412) 상에 상부 흡수 코어 (411) 가 적층되어 있음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져 있는 중앙 영역 (42) 을 가지며, 그 중앙 영역 (42) 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각각에, 하부 흡수 코어 (412) 상에 상부 흡수 코어 (411) 가 적층되어 있지 않고, 중앙 영역 (42) 보다 두께가 얇은 1 쌍의 측부 영역 (43, 43) 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저귀 (1A) 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 (42) 과 측부 영역 (43, 43) 각각과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단차 (d) 를 가지고 있다.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에 있어서는, 상부 흡수 코어 (411) 및 하부 흡수 코어 (412) 는, 모두 섬유 집합체 또는 이것에 흡수성 폴리머를 유지시킨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코어 랩 시트 (41) 는,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흡수성 코어 (40) 의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또, 하부 흡수 코어 (412)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상부 흡수 코어 (411) 를 겹친 부위의 양측에, 하부 흡수 코어 (412) 를 관통하는 절리부 (44, 44) 를 가지고 있다. 또, 그들의 절리부 (44, 44) 에 있어서는, 도 3 또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와 흡수성 코어 (40)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가, 접착제 (46)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도 3 ∼ 도 5, 또는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볼록부 (21) 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 (2a) 을 가지고 있고, 그 요철 영역 (2a) 을 사이에 두는 양측 각각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2b) 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 (2) 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요철 영역 (2a) 은, 표면 시트 (2) 의 폭방향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양측에 비요철 영역 (2b, 2b) 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 영역 (2a) 및 1 쌍의 비요철 영역 (2b, 2b) 은, 모두, 직사각형상을 가지며, 표면 시트 (2) 의 전체 길이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요철 영역에 관하여,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란, 표면 시트의 평면에서 보아 임의의 일방향 및 그 교차 방향 (바람직하게는 직교 방향) 의 각각에, 복수의 볼록부가, 볼록부간에 오목부를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일방향은,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과 동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도 6 또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A, 1B) 의 길이 방향 (X) 에 상당하는 일방향으로, 복수의 볼록부 (21) 가, 볼록부간에 오목부 (22a) 를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기저귀 (1A, 1B) 의 폭방향 (Y) 에 상당하는 교차 방향으로도, 복수의 볼록부 (21) 가, 볼록부간에 오목부 (22a) 를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8 의 (a) ∼ 도 8 의 (c), 또는 도 20 의 (a) ∼ 도 20 의 (c) 에는,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철 영역 (2a) 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볼록부 (21, 21) 간의 오목부는, 그 주위를 전체 둘레에 걸쳐 볼록부로 둘러싸인 것에 제한되지 않고, 도 8 의 (a) ∼ 도 8 의 (c), 또는 도 20 의 (a) ∼ 도 20 의 (c) 에 나타내는 오목부 (22b) 와 같이, 볼록부 (21, 21) 간의 오목부는, 모든 볼록부간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시트 (2) 에 있어서의 요철 영역 (2a) 은, 도 6 또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 (22) 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 (23) 가, 상층 시트 (22) 의 오목부 (22a)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하층 시트 (23) 에 관하여,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는, 하층 시트 자체에 요철을 부여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요철 부형한 상층 시트 (22) 에 접합되어 있는 결과, 하층 시트 (23) 에 다소의 기복이 생기고 있는 경우도 「요철 형상에 부형되어 있지 않다」 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층 시트 (22) 에는, 볼록부 (21) 가,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록부 (21) 와 오목부 (22a) 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에 교대로 또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러한 열이, 기저귀 폭방향 (Y) 으로 다열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폭방향 (Y) 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끼리는, 볼록부 (21) 의 위치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반피치분 어긋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열에 있어서의 임의의 하나의 오목부 (22a) 에 착안했을 때에, 그 하나의 오목부 (22a) 는 그 전후 및 좌우가 볼록부 (21)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닫친 오목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시트 (2) 에 있어서는, 오목부 (22a) 도, 볼록부 (21) 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층 시트 (22) 는, 오목부 (22a) 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다. 상층 시트 (22) 가 오목부 (22a) 의 일부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는 형태로서는, 상층 시트 (22) 가, 오목부 (22a) 내의 1 지점 또는 복수 지점 (예를 들어 2 지점, 3 지점 또는 4 지점 이상) 에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층 시트 (22) 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의 오목부 (22a) 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볼록부 (21) 는, 내부가 공동이다.
요철 영역 (2a) 은, 촉감을 좋게 하거나 쿠션성을 높이는 관점이나, 흡수체 (4) 로 이행한 액이, 피부에 접하는 표면으로 퇴보 (웨트 백) 하는 것을 억제하는 관점 등에서,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21) 는, 높이 (T1) (도 6 또는 도 17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3 mm 이하이다.
또, 볼록부 (21) 를 갖는 부분의 표면 시트 (2) 의 두께 (T2) (도 6 또는 도 17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6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4 mm 이하이다.
또, 요철 영역 (2a) 의 면적 10 ㎠ 당 볼록부 (21) 의 개수는 20 ∼ 200 개, 특히 50 ∼ 150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볼록부 (21) 의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저부 치수 (E) (도 6 또는 도 17 참조) 는 1.0 ∼ 10 mm, 특히 2.0 ∼ 7.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21) 의 기저귀 폭방향 (Y) 의 저부 치수 (F) (도 6 또는 도 17 참조) 는 0.5 ∼ 5.0 mm, 특히 1.0 ∼ 4.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22a) 는,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치수 (G) (도 6 또는 도 17 참조) 가 0.2 ∼ 5.0 mm, 특히 0.5 ∼ 3.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저귀 폭방향 (Y) 의 치수 (H) (도 6 또는 도 17 참조) 가 0.1 ∼ 2 mm, 특히 0.2 ∼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및 하층 시트 (22, 23) 를 구성하는 시트 재료로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형성 재료로서 공지된 각종의 시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액 투과성의 향상이나 촉감의 관점에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카드법 또는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얻은 섬유 웨브에 에어스루법으로 섬유끼리의 열융착점을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 카드법에 의해 얻은 섬유 웨브에 히트 롤법으로 섬유끼리의 열융착점을 형성한 히트 롤 부직포, 히트 엠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 멜트브론 부직포 (M), 스펀본드 - 멜트브론 복합 부직포 (SM, SMS, SMMS 등), 스펀레이스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등의 여러 가지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열융착성 섬유,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심초 (core) 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는, 열융착성 섬유 이외에 열융착성을 가지지 않는 섬유 (예를 들어 코튼 섬유 등) 를 구성 섬유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층 시트 (22) 를 구성하는 부직포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는, 부드럽고 쿠션성이 풍부한 볼록부 (21) 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구성 섬유의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 0.1 ∼ 3.3 dtex 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층 시트 (22) 를 구성하는 부직포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는, 권축된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2) 에 있어서의 비요철 영역 (2b) 은, 도 9 의 (a) 또는 도 2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영역 (2a) 으로부터 연장된 하층 시트 (23) 만으로 이루어진다. 하층 시트 (23) 는, 비요철 영역 (2b) 을,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 감아 내리기 쉬움이나, 흡수성 본체 (5) 의 측부에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그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5 ∼ 50 g/㎡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g/㎡ 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하층 시트 (23) 를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 ∼ 2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6 dtex 이다. 한편, 요철 영역 (2a)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10 ∼ 100 g/㎡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0 g/㎡ 이다.
기저귀 (1A, 1B) 에 사용한 표면 시트 (2) 는, 띠형상의 하층 시트 (23) 로서, 상층 시트 (22) 보다 폭이 넓은 것을 이용하고, 길이 방향의 양측에 비요철 영역 (2b, 2b) 을 갖는 시트가 얻어지도록 하는 것 이외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4234호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06420호에 기재된,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먼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시트 (22) 의 롤상 권회물 (22') 로부터 띠형상의 상층 시트 (22) 를 조출하고, 이것과는 다른 하층 시트 (23) 의 롤상 권회물 (23') 로부터 띠형상의 하층 시트 (23) 를 조출한다. 조출된 상층 시트 (22) 를, 둘레면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 1 롤 (211) 과, 그 제 1 롤 (211) 의 요철 형상과 맞물림 형상으로 되어 있는 요철 형상을 둘레면에 갖는 제 2 롤 (212) 과 맞물림부에 맞물려 넣어 상층 시트 (22) 를 요철 부형한다. 그리고, 요철 부형한 상층 시트 (22) 를, 흡인에 의해 제 1 롤 (211) 에 있어서의 둘레면에 요철 부형된 상태인 채 유지하면서, 그 상층 시트 (22) 에, 상층 시트 (22) 보다 폭이 넓은 하층 시트 (23) 를 중첩하고, 상층 시트 (22) 의 폭 내에 있어서만, 하층 시트 (23) 를, 제 1 롤 (211) 의 볼록부 상에 위치하는 그 상층 시트 (22) 와 접합한다. 이로써, 폭방향의 중앙부에 요철 영역 (2a) 을 가지며, 그 양측에, 요철 영역 (2a) 으로부터 연장된 하층 시트 (23) 만으로 이루어지는 비요철 영역 (2b, 2b) 을 갖는 띠형상의 표면 시트 (2) 가 얻어진다. 띠형상의 표면 시트 (2) 는, 권취한 후에, 기저귀 (1A, 1B) 의 제조 라인에 도입되거나, 권취하지 않고, 기저귀 (1A, 1B) 의 제조 라인에 도입된다.
상층 시트 (22) 및 하층 시트 (23) 는, 모두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신축성의 시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치수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전술한 제 1 및 제 2 롤의 요철 형상에 거의 맞는 요철을, 상층 시트 (22) 에 부형할 수 있고, 표면 시트 (2) 의 요철 영역 (2a) 에 원하는 형상의 요철을 안정적으로 또한 재현성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시트상물이란, 예를 들어 신장 한계가 105 % 이하이며, 그것을 초과하는 신장에서는 재료 파괴를 일으키거나 또는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롤 (211) 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히트 롤 (213) 의 사이에서, 상층 시트 (22) 및 하층 시트 (23) 를 부분적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상층 시트 (22) 의 오목부 (22a) 를 하층 시트 (23) 에 접합하고 있다. 또한, 표면 시트 (2) 의 제조 방향의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4234호에 기재된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06420호에 기재된,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기저귀 (1A)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전역,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4e, 4e), 및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 (4s, 4s) 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전술한 요철 영역 (2a) 을 가지고 있다. 한편,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 (4s, 4s) 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 (4r, 4r) 은,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시트 (2) 의 요철 영역 (2a) 은, 흡수체 (4) 의 폭방향 중앙부 상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측부 (A) 또는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방루 커프 (6,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6a) 간의 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폭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다. 또, 표면 시트 (2) 의 한 쌍의 비요철 영역 (2b) 은, 각각,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 감아 내려져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 (4e) 로부터 흡수체 (4) 의 폭방향 내방 (폭방향 중앙부 방향) 으로 이간된 부위에 형성된 고정부 (67) 에 있어서, 방루 커프 (6) 에 고정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복측부 (A), 배측부 (B) 및 가랑이부 (C)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그 일부가,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방루 커프 (6)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부재) 에, 표면 시트 (2)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감아 내려진 부분의 단부 부근 (2e) 이 접합되어 있고, 이 접합부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부재 (방루 커프 (6)) 에 대한 고정부 (67) 로 되어 있다. 즉, 고정부 (67)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 (4e) 로부터, 흡수체 (4) 의 폭방향 내방 (폭방향 중앙부 방향) 으로 이간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에는, 히트시일, 초음파 시일, 핫멜트형의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가랑이부 (C) 의 폭방향 (Y) 에 있어서, 흡수체 (4) 의 측가장자리 (4e) 로부터 고정부 (67) 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 c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cm 이상이다.
방루 커프 (6) 는, 도 2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각각,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와,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근방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방루 커프 기립용의 탄성 부재 (61) 와,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와 기립 기단 (6b) 의 중간부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중간부 탄성 부재 (62) 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부 (6a)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된 방루 커프 (6) 의 자유단을 형성한다.
또, 방루 커프 (6)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전술한 고정부 (67) 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5)에 고정되고,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접착제 (68, 69)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시트 (2) 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61) 가 수축함으로써, 방루 커프 (6)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개 또한 신장 상태에 있어서는, 방루 커프 (6) 는,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전술한 고정부 (67) 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5) 에 고정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가,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방루 커프 (6) 가, 높이 방향의 상측 부분이 내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기립하기 쉬워져, 방루 커프 (6) 에 의한 방루 효과가 향상된다. 또, 중간부 탄성 부재 (62) 의 존재에 의해,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사이의 간극에, 뇨 등의 액 (P) 이 흘러 들어가기 쉬워진다.
또한, 기저귀 (1A) 에 있어서는,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로서 소정폭의 띠형상의 발수성 시트 1 매를,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절곡선으로 둘로 접어, 서로 대향하는 층간을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부분적인 열 시일 혹은 초음파 시일 등으로 접합한 2 층 구조의 시트를 사용하고 있고, 방루 커프 기립용의 탄성 부재 (61) 는, 이 2 층 구조의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 (1A)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액 불투과성의 방루 시트 (3), 방루 커프 (6) 의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및 흡수성 본체 (5) 가 순차 접합되어 있다. 방루 시트 (3) 에 관하여 액 불투과성이란, 액 난투과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는, 도 3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와, 이들 2 매의 시트간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각 부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간에는,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周緣部)에 웨스트 개더를 형성하는 웨스트부 탄성 부재 (71), 레그 개구부 (8) 의 주연부에 레그 개더를 형성하는 레그부 탄성 부재 (81), 및 허리 둘레부 (D)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20 mm 이간된 위치로부터 레그 개구부 (8) 의 상단까지의 영역) 에 좌우로 분할된 상태의 허리 둘레 개더를 형성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가, 각각 신장 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는, 이들 2 매의 시트 중 일방 또는 쌍방은,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이고, 그 되접어 꺾인 부분이, 흡수성 본체 (5) 의 전후단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의하면, 표면 시트 (2) 가,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 (2a) 을 갖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 양호하고, 또, 표면 시트 (2) 로부터 흡수체 (4) 로 이행한 액이, 피부에 접하는 표면으로 퇴보하기 어려워, 액 복귀 방지성도 우수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의하면, 가랑이부 (C) 에 있어서 기립하는 방루 커프 (6) 를 가짐과 함께,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의 사이에, 뇨 등의 액 (P) 이 흘러 들어가는 간극 (S)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방루 시트 (3) 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 (4) 는,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도 흡액 가능하다.
게다가,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부분이 요철 영역 (2a) 인 경우에 비해, 표면 시트 (2) 를 개재한 흡수체 (4) 로의 액의 끌어들임성도 양호하고, 간극 (S) 내에 흘러 들어간 액도 순조롭게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는,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에 더하여,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이나 방루성도 우수하다.
간극 (S) 측으로부터의 액의 끌어들임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표면 시트 (2) 는, 비요철 영역 (2b) 에 있어서의 두께가, 요철 영역 (2a) 에 있어서의 두께 (T2) 의,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여기서 말하는 두께는, 겉보기 두께이며,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겉보기 두께의 측정 방법〕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상품명)) 를 사용했다. 측정 부위를 잘라, 측정 샘플로 했다. 측정 샘플에 0.05 kPa (0.5 g/㎠) 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조정한 플레이트를 올려놓고, 상기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했다. 3 지점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겉보기 두께로 했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 (40) 와 코어 랩 시트 (41) 의 사이, 및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2) 의 비요철 영역 (2b) 의 사이는, 흡수 성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접합되어 있지 않거나, 패턴 도공된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도공의 패턴으로서는, 산점상의 패턴이나 스파이럴 패턴, 오메가 글자형의 패턴, 세폭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4e) 의 근방에, 흡수체 (4) 의 측부 (4S) 를 기립하기 위한 측부 탄성 부재 (45) 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 탄성 부재 (45) 는,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2) 의 사이에,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신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2) 의 일방 또는 양방에, 접착제 등의 공지된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 (4e) 로부터 소정폭의 부분도 전술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고, 측부 탄성 부재 (45) 가 고정 또는 근접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의 일부분에 걸치는 범위가,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부 탄성 부재 (45) 가 고정 또는 근접하고 있는 부분이, 요철 영역 (2a) 인 경우에 비해, 측부 탄성 부재 (45) 의 수축이 방해되기 어렵고, 흡수체 (4) 의 측부 (4S) 의 기립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사이의 간극 (S) 의 액의 흡수체에 대한 포착성이 한층 우수하고, 액 누출 방지성이 한층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비요철 영역 (2b) 은, 흡수체 (4) 의 측가장자리 (4e) 로부터의 요철 영역 (2a) 까지의 폭이,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며, 또 흡수체 (4) 의 전체 폭의 1/3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 (4) 가, 중앙 영역 (42) 과 측부 영역 (43, 43) 의 사이에 단차 (d) 를 가지고 있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는, 요철 영역 (2a) 이 흡수체 (4) 의 단차 (d) 부분을 덮고 있다.
요철 영역 (2a) 은, 산점상으로 볼록부 (21) 를 가짐으로써 유연하게 변형되기 쉽고,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큰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또 흡수체 (4) 와의 밀착성도 유지되기 쉽다. 그 때문에, 단차 (d) 에 있어서,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21) 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 (제 1 발명)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1 매의 시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것이, 쿠션성이나 요철 형상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이 유지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 의 (a) 에는, 본 발명 (제 1 발명) 의 다른 실시 형태인 일회용 기저귀의 주요부가 나타나 있다.
도 10 에 주요부를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흡수체 (4) 가, 흡수성 코어 (40) 및 그것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도시 생략) 로 이루어지고, 그 흡수성 코어 (40) 가, 그 흡수성 코어 (40) 를 관통하는 절리부 (44) 를 구비하고 있다. 또, 표면 시트 (2) 는, 요철 영역 (2a) 이, 절리부 (44) 및 그 인접 부위 (44n, 44m) 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표면 시트 (2) 의 요철 영역 (2a) 은,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가, 절리부 (44) 에 인접하는 부위 (44n, 44m)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두께 (t4) 보다 크다.
절리부 (44) 의 인접 부위 (44n, 44m) 는, 기저귀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인접 부위이며, 예를 들어, 절리부 (44) 를 사이에 두는 양측 각각에 있어서, 절리부 (44)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5 mm 이내의 범위이다. 이 절리부 (44) 도, 기저귀 (1A) 와 마찬가지로, 하부 흡수 코어 (412) 및 그 하부 흡수 코어 (412)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겹친 상부 흡수 코어 (411) 를 구비한 흡수성 코어 (40) 에 있어서의, 상부 흡수 코어 (411) 및 하부 흡수 코어 (412) 의 어느 일방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상부 흡수 코어 (411) 를 겹친 부위의 양측 각각에, 하부 흡수 코어 (412) 를 관통하는 절리부 (44) 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 에 주요부를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상기 서술한 기저귀 (1A) 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절리부 (44) 의 인접 부위 (44n, 44m) 의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두께 (t4) 를,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보다 크게 하면, 볼록부 (21) 가, 절리부 (44) 의 측가장자리의 모퉁이에 대해 비스듬하게 닿고, 흡수체 (4) 가, 절리부 (44) 의 측가장자리의 위치에서 절곡되고자 하는 힘에 대한 저항이 되어, 흡수체 (4) 의 과도한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절리부 (44) 에 인접하는 부위 (44n, 44m) 의 일방 또는 양방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두께 (t4) 에 대한 비 (P/t4) 가,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2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10 mm 이하이며, 또, 흡수체 (4) 의 두께 (t4) 는,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7 mm 이하이다.
또한,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가장 근처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동일 부위 (정부(頂部)의 중심 위치) 끼리간의 거리이다 (도 8, 도 10 참조). 가장 근처에 위치하는 볼록부에는,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끼리는 포함하지 않는다.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표면 시트에 장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 (자연 상태) 로 측정한다. 또, 흡수체 (4) 의 두께는, 기저귀의 폭방향을 따른 절단면을, 하중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관찰하여 측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절리부 (44) 의 측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2 mm 이상 10 mm 이하의 부위의 두께를 측정한다. 흡수성 코어가 코어 랩 시트로 피복된 구성의 흡수체는, 코어 랩 시트 부분도 포함하여 측정한다.
또, 도 10 에 주요부를 나타내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갖는 기저귀에 있어서, 표면 시트 (2) 의 요철 영역 (2a) 은, 도 1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가, 절리부 (44) 의 폭 (W44) 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의 (b) 는,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가 절리부 (44) 의 폭 (W44) 의 1/2 미만의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피치 (P)가 상기 폭 (W44) 의 1/2 이상이면, 절리부 (44) 와 겹치는 부분에 생기는 표면 시트 (2) 의 절곡선 (K) 의 갯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 (40) 나 흡수성 코어 (40) 를 포함하는 흡수체 (4) 의 과도한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절리부 (44) 의 폭 (W44) 에 대한 비 (P/W44) 가,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또, 볼록부 (21, 21) 간의 피치 (P) 는,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10 mm 이하이며, 또, 절리부 (44) 의 폭 (W44) 은,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2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mm 이상 15 mm 이하이다. 절리부 (44) 의 폭 (W44) 이, 기저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지 않은 경우, 절리부 (44) 에 있어서 가장 폭넓은 부위의 폭을, 절리부 (44) 의 폭 (W44) 으로 한다.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중앙부에, 전술한 요철 영역 (2a) 을 가지며,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전술한 비요철 영역 (2b, 2b) 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시트 (2) 는, 도 14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의 전체 영역,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4e, 4e), 및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 (4s, 4s) 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전술한 요철 영역 (2a) 을 가지고 있다. 표면 시트 (2) 의 요철 영역 (2a) 은, 바람직하게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 방루 커프 (6,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6a) 간의 폭에 대해 100 % 초과의 폭을 가지고 있다.
또, 표면 시트 (2) 는,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 (2s, 2s) 에, 전술한 요철 영역 (2a)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의 한 쌍의 비요철 영역 (2b) 은, 각각,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감아 내려져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측가장자리 (4e) 를 피복하는 부분, 및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 (4s, 4s) 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 (4r, 4r) 도,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다.
기저귀 (1B) 는,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 (6, 6) 가 형성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도 13 ∼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각각,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와,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근방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방루 커프 기립용의 탄성 부재 (61) 와,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와 기립 기단 (6b) 의 중간부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중간부 탄성 부재 (62) 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부 (6a)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한 방루 커프 (6) 의 자유단을 형성한다.
또, 방루 커프 (6) 는,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고정부 (67) 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5) 에 고정되고,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접착제 (68)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형성하고 있는 표면 시트 (2) 에 고정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도 13,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된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루 커프 (6) 는, 그 길이 방향의 양단 각각의 근방에,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를 가지고 있다. 방루 커프 (6) 의 길이 방향의 단으로부터, 그 근방에 위치하는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각각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어 0 ∼ 20 mm 의 범위 내이다.
한편,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61) 가 수축함으로써, 방루 커프 (6)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방루 커프 (6) 의 상기 내측 접합부 (63) 는,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중앙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요철 영역 (2a) 상에 고정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4) 상에 위치하는 요철 영역 (2a) 상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 접합부 (63)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 자유단이 되는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6a) 로부터의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다.
한편, 방루 커프 (6) 의 상기 외측 접합부 (64) 는,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비요철 영역 (2b) 상에 고정되어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 (4) 상에 위치하는 비요철 영역 (2b)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는, 표면 시트 (2) 상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 (65) 을 사이에 두고,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Y) 으로 늘어서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는, 도 1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의 길이가 동일하고, 각각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가 늘어서 있지만,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가,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양태에는, 도 18 의 (b) 또는 도 18 의 (c) 에 나타내는 양태에서,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단, 접합 강도의 관점에서는, 도 1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접합부 (64) 와 비교해서 내측 접합부 (63) 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가 길고, 또,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가 병행하는 길이 (L6) 가, 내측 접합부 (63) 의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 (L3) 의 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는, 도 14 ∼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와 이들 2 매의 시트간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각 부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간에는,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에 웨스트 개더를 형성하는 웨스트부 탄성 부재 (71), 레그 개구부 (8) 의 주연부에 레그 개더를 형성하는 레그부 탄성 부재 (81), 및 허리 둘레부 (D)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단으로부터 하방으로 20 mm 이간된 위치로부터 레그 개구부 (8) 의 상단까지의 영역) 에 좌우로 분할된 상태의 허리 둘레 개더 (13, 13) 를 형성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가, 각각 신장 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는, 이들 2 매의 시트 중 일방 또는 쌍방은,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이고, 그 되접어 꺾인 부분이, 흡수성 본체 (5) 의 전후단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허리 둘레 개더 (13, 13) 는, 도 15, 도 16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각각, 좌우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의, 좌우의 허리 둘레 개더 (13, 13) 간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 (91) 가,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장 상태가 해제된 단편 (91n) 으로서 존재하고 있고, 허리 둘레 개더 (13, 13) 간은, 외장체 (10) 가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는 비신축 영역 (n) 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좌우의 허리 둘레 개더 (13, 13) 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에 의해 기저귀 (1B) 의 폭방향 (Y) 으로 신축성을 가짐과 함께, 도 15, 도 16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B) 의 폭방향 중앙측에, 흡수체 (4) 와 겹쳐 존재하는 내측 신축부 (13e)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방루 커프 (6) 에 있어서의 외측 접합부 (64) 및 비접합 영역 (65) 이, 그 내측 신축부 (13e) 와 기저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 있다. 본 발명 (제 2 발명) 에 있어서, 개더 (13) 의 내측 신축부 (13e)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또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 (1B)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흡수체 (4) 와 겹쳐 있으면 되고, 외측 접합부 (64) 및 비접합 영역 (65) 도, 전개 또한 신장시킨 상태의 기저귀 (1B)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신축부 (13e) 와 겹쳐 있으면 된다. 또, 외측 접합부 (64) 및 비접합 영역 (65) 은,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가, 흡수성 본체 (5) 의 횡방향으로 늘어서 있는 위치에 있어서, 내측 신축부 (13e) 와 겹쳐 있으면 된다. 내측 신축부 (13e) 에 배치된 복수개의 탄성 부재 (91) 와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의하면, 표면 시트 (2) 가,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 (2a) 을 갖기 때문에,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 양호하고, 또, 표면 시트 (2) 로부터 흡수체 (4) 로 이행한 액이, 피부에 접하는 표면으로 퇴보하기 어려워, 액 복귀 방지성도 우수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의하면, 가랑이부 (C) 에 있어서 기립하는 방루 커프 (6) 를 가짐과 함께,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 방루 커프 (6) 가, 양자간에 비접합 영역 (65) 을 형성한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에 있어서, 요철 영역 (2a) 상 및 비요철 영역 (2b) 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루 커프 (6, 6) 간의 폭에 대해 요철 영역 (2a) 의 폭이 너무 좁아지는 일이 없고, 또, 내측 신축부 (13e) 의 신축에 수반하여 흡수성 본체 (5) 가 신축되어도, 방루 커프 (6) 의 상기 비접합 영역 (65) 이 용이하게 확장 수축함으로써, 방루 커프 (6) 에 있어서의,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5) 에 대한 고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제조 시나, 포장용의 봉투에 압축 충전할 때, 혹은 착용 중 등에, 방루 커프 (6) 가,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벗겨져, 방루 커프 (6) 의 기능이 저해된다는 문제도 생기기 어렵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는, 표면 시트가 넓은 범위에 요철을 가지며,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이 우수한데다가, 방루 커프가 벗겨지는 것에 의한 방루성의 저하 등도 방지된다.
이와 같은 효과가 한층 확실하게 발휘되도록 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와 같이, 내측 접합부 (63) 가, 흡수체 (4) 상에 있어서 요철 영역 (2a) 상에 고정되고, 외측 접합부 (64) 는, 흡수체 (4) 상에 있어서 비요철 영역 (2b)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개더 (13) 는, 기저귀의 폭방향 (Y) 으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표면 시트 (2) 나 흡수체 (4) 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 같은, 큰 주름이나 꼬임을 생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개더 (13) 가 내측 신축부 (13e) 를 갖는 것은, 흡수체의 양측을 폭방향 외측으로 인장하고, 흡수체의 꼬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내측 신축부를 형성하는 것은 탄성 재료 (91) 를 안정적으로 절단을 실시한다는 관점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또, 방루 커프 (6) 의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를, 표면 시트 (2) 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모두 접착제에 의한 접착 외에, 히트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을 채용해도 되지만,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중 어느 고정에 대해서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방루 커프 (6) 의 유연성의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에서, 접합 방법은,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된다.
외측 접합부 (64) 의 비요철 영역 (2b) 에 대한 접합 강도를 높이는 관점, 또는 후술하는 흡수성 본체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흡액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표면 시트 (2) 는, 비요철 영역 (2b) 에 있어서의 두께가, 요철 영역 (2a) 에 있어서의 두께 (T2) 의,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여기서 말하는 두께는, 겉보기 두께이며, 하기 방법으로 측정한다.
〔겉보기 두께의 측정 방법〕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상품명)) 를 사용했다. 측정 부위를 잘라, 측정 샘플로 했다. 측정 샘플에 0.05 kPa (0.5 g/㎠) 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조정한 플레이트를 올려놓고, 상기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했다. 3 지점의 샘플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겉보기 두께로 했다.
또,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에 있어서의 고정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내측 접합부 (63)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을, 외측 접합부 (64)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방루 커프 (6) 를 한층 벗겨지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경우, 내측 접합부 (63)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은, 예를 들어, 3 ∼ 25 g/㎡ 로 하고, 외측 접합부 (64)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은, 1 ∼ 20 g/㎡ 로 한다. 양자의 평량차는, 예를 들어, 1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g/㎡ 이상 5 g/㎡ 이하이다.
또, 내측 접합부 (63) 및 외측 접합부 (64) 에 있어서의 고정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내측 접합부 (63)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폭 (W3)〔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도 18 의 (a) 참조〕 은, 외측 접합부 (64)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동폭 (W4)〔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도 18 의 (a) 참조〕 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방루 커프 (6) 를 한층 벗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경우, 내측 접합부 (63)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폭 (W3) 과 외측 접합부 (64) 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폭 (W4) 의 비 (W3/W4) 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2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8 이하이다.
또, 내측 접합부 (63) 와 외측 접합부 (64) 사이의 비접합 영역 (65) 의 폭 (W5)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도 18 의 (a) 참조〕 은, 방루 커프 (6) 를 한층 벗기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30 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25 mm 이하이다.
또,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방루 커프 (6) 는,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방루 커프 (6) 가, 높이 방향의 상측 부분이 내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기립하기 쉬워져, 방루 커프 (6) 에 의한 방루 효과가 향상된다. 또, 중간부 탄성 부재 (62) 의 존재에 의해,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사이의 간극에, 뇨 등의 액 (P) 이 흘러들기 쉬워진다.
또한, 기저귀 (1B) 에 있어서는,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로서, 소정폭의 띠형상의 발수성 시트 1 매를, 그 길이 방향을 따른 절곡선으로 둘로 접어, 서로 대향하는 층간을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부분적인 열 시일 혹은 초음파 시일 등으로 접합한 2 층 구조의 시트를 사용하고 있고, 방루 커프 기립용의 탄성 부재 (61) 는, 이 2 층 구조의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액 불투과성의 방루 시트 (3), 방루 커프 (6) 의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및 흡수성 본체 (5) 가 순차 접합되어 있다. 방루 시트 (3) 에 관하여 액 불투과성이란, 액 난투과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있어서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 기립하는 방루 커프 (6) 를 가짐과 함께,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의 사이에, 뇨 등의 액 (P) 이 흘러 들어가는 간극 (S)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방루 시트 (3) 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 (4) 는,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도 흡액 가능하다.
게다가, 표면 시트 (2) 는,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부분이 요철 영역 (2a) 인 경우에 비해, 표면 시트 (2) 를 개재한 흡수체 (4) 로의 액의 끌어들임성도 양호하고, 간극 (S) 내에 흘러들어간 액도 순조롭게 흡수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이나 방루성이 한층 우수하다.
또, 간극 (S) 측으로부터의 액의 끌어들임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 (40) 와 코어 랩 시트 (41) 의 사이, 및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2) 의 비요철 영역 (2b) 의 사이는, 흡수 성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접합되어 있지 않거나, 패턴 도공된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도공의 패턴으로서는, 산점상의 패턴이나 스파이럴 패턴, 오메가 글자형의 패턴, 세폭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4e) 의 근방에, 흡수체 (4) 의 측부 (4s) 를 기립하기 위한 측부 탄성 부재 (45) 가 배치되어 있다. 측부 탄성 부재 (45) 는, 흡수체 (4) 와 표면 시트 (2) 의 사이에,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신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 (4) 및 표면 시트 (2) 의 일방 또는 양방에, 접착제 등의 공지된 고정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B)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 (2)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있어서의 측가장자리 (4e) 로부터 소정폭의 부분도 전술한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고, 측부 탄성 부재 (45) 가 고정 또는 근접하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여, 흡수체 (4)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흡수체 (4)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의 일부분에 걸치는 범위가,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부 탄성 부재 (45) 가 고정 또는 근접하고 있는 부분이, 요철 영역 (2a) 인 경우에 비해, 측부 탄성 부재 (45) 의 수축이 방해되기 어렵고, 흡수체 (4) 의 측부 (4s) 의 기립성이 우수하다. 그 때문에, 흡수성 본체 (5) 의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방루 커프 (6) 사이의 간극 (S) 의 액의 흡수체에 대한 포착성이 한층 우수하고, 액 누출 방지성이 한층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 (제 2 발명) 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의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1 매의 시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것이, 쿠션성이나 요철 형상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이 유지되기 쉽고, 동일한 관점에서, 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A, 1B) 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루 시트 (3) 로서는, 액 불투과성의 재료나 발수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의 재료로서는,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 등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발수성의 재료로서는, 발수성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부 흡수 코어 (411) 및 하부 흡수 코어 (412) 로서는, 섬유 집합체, 또는 섬유 집합체와 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것 (흡수성 폴리머와 섬유 재료의 혼합 적섬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 폴리아스파라긴산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코어를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펄프 섬유, 레이온 섬유, 코튼 섬유,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축합계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 및 섬유는,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에 사용하는 시트 재료로서는, 단층 또는 다층의 발수성 부직포, 수지 필름과 부직포 등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연성, 내수성 등의 점에서, SM (스펀본드-멜트브론) 부직포, SMS (스펀본드-멜트브론-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스펀본드와 멜트브론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평량은 12 g/㎡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시트 재료는,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와 같이, 2 매 겹침으로서 사용해도 되고, 탄성 부재 (61) 를 배치하는 부분 등의 일부만을 2 층 구조로서 사용해도 된다.
탄성 부재 (61, 62, 71, 81, 91) 의 형성 재료로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각종 공지된 탄성 재료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네오프렌 등의 합성 고무, 천연 고무, 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탄성 부재의 형태로서는, 단면이 직사각형, 정방형, 원형, 다각 형상 등의 사상 (실고무 등) 혹은 끈 형상 (평 고무 등) 의 것, 또는 멀티 필라멘트 타입의 사상의 것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외장체 형성용 시트 (11, 12) 로서는, 이 종류의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시트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팬 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부직포 또는 2 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부직포와 필름을 일체화한 시트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 (제 3 발명) 을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제 3 발명) 의 일 실시 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C) (이하 「기저귀 (1C)」 라고도 한다) 는,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와, 그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 (5) 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 (10)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기저귀 (1C) 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상당하는 길이 방향 (X) 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방향 (Y) 을 가지고 있고, 착용 시에 착용자의 복측에 배치되는 복측부 (A) 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 (B) 와 복측부 (A) 와 배측부 (B) 의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고간부에 배치되는 가랑이부 (C)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복측부 (A)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측가장자리부 (A1, A1) 와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의 측가장자리부 (B1, B1) 가, 히트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S), 웨스트 개구부 (7)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 (8, 8) 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1C) 의 외장체 (10) 는, 기저귀 (1C) 의 외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맞닿음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그 구성 부재 (예를 들어, 표면 시트, 흡수성 본체, 흡수체) 에 있어서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면이며, 비피부 맞닿음면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또는 그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 (착의측) 으로 향해지는 면이다. 또, 기저귀의 길이 방향은,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에 있어서, 복측부 (A) 로부터 가랑이부 (C) 를 거쳐 배측부 (B) 에 이르는 방향 (도면 중 X 방향) 이며, 기저귀의 길이 방향과 흡수성 본체 및 흡수체의 길이 방향과는 동방향이다. 전개 또한 신장 상태란, 사이드 시일부를 떼어, 기저귀를 전개 상태로 하고, 그 전개 상태의 기저귀를, 각 부의 탄성 부재를 신장시켜, 설계 치수 (탄성 부재의 영향을 일체 배제한 상태로 평면상으로 펼쳤을 때의 치수와 동일) 가 될 때까지 펼친 상태를 말한다. 또, 기저귀 (1C) 의 폭방향 중앙선 (CL) 은, 기저귀 (1C) 의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를 2 등분하여 폭방향 (Y) 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이다.
흡수성 본체 (5)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2), 액 난투과성의 방루 시트 (3), 액 유지성의 흡수체 (4) 를 구비하고 있다. 방루 시트 (3) 에 관하여, 액 난투과성이란, 액 불투과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흡수성 본체 (5) 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 (1C) 의 길이 방향 (X) 으로 긴 세로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길이 방향을, 기저귀 (1C) 의 길이 방향 (X) 에 일치시켜, 외장체 (10) 의 중앙부에 공지된 접합 수단 (접착제 등) 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 (4) 는, 흡수성 본체 (5) 와 마찬가지로, 기저귀 (1C) 의 길이 방향 (X) 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있다.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는,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40) 와, 그 흡수성 코어 (40) 를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로 이루어지고,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 (40) 는, 섬유 집합체 또는 이것에 흡수성 폴리머를 유지시킨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코어 랩 시트 (41) 는, 티슈 페이퍼나 투수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흡수성 코어 (40) 의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흡수성 코어 (40) 는, 가랑이부 (C) 에, 그 흡수성 코어 (40)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리부 (44, 44) 를 가지고 있다 (도 22 참조). 그들의 절리부 (44, 44) 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 (40)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와 흡수성 코어 (40)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 (41) 가,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는,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 (4a) 에 박육 부분 (421) 을 가지며, 또, 배측부 (B) 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 (4b) 에도 박육 부분 (43) 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복측부 (A) 측의 박육 부분 (421) 과 배측부 (B) 측의 박육 부분 (43) 에서, 각각의 구성 및 각각에 대한 다른 부재의 적층 상태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복측부 (A) 측의 박육 부분 (421) 에 대해 주로 설명하지만, 그 설명은, 배측부 (B) 측의 박육 부분 (43) 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복측부 (A) 측의 박육 부분 (421) 은,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코어 랩 시트 (41, 41) 의, 흡수성 코어 (40) 의 복측 단가장자리 (40a) 로부터 연장된 부분으로 구성된 제 1 부 (42a) 와, 상하의 코어 랩 시트 (41, 41) 간에 흡수성 코어 (40) 의 형성 재료 (펄프 섬유 등) 가 존재하지만, 그들의 존재량이 미량인 제 2 부 (42b) 를 갖는다. 본 발명 (제 3 발명) 에 있어서의 박육 부분 (421) 은, 제 1 부 (42a) 와 같이, 흡수성 코어로부터 연장된 코어 랩 시트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어도 되고, 제 2 부 (42b) 와 같이, 코어 랩 시트간에, 흡수성 코어 (40) 의 형성 재료가 미량으로 존재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박육 부분 (421) 은, 코어 랩 시트간에 존재하는 흡수성 코어의 형성 재료의 합계 평량이, 바람직하게는 3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10 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g/㎡ 이하이다. 흡수성 코어의 형성 재료의 합계 평량이란,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 (40) 가, 펄프 섬유 등의 섬유 재료의 집합체 및 흡수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섬유 재료의 평량과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의 합계치이다.
또한, 흡수성 코어의 형성 재료 (섬유 재료, 흡수성 폴리머) 의 평량은, 복측부 (A) 또는 배측부 (B)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를,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4e) 의 위치로부터 가랑이부 방향으로 5 mm 간격으로 배치한 횡방향 평행 직선과,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20 mm 간격으로 배치한, 횡방향 평행 직선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 평행 직선으로 미소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개개의 미소 영역에 대해 평량을 구한다. 개개의 미소 영역의 평량은, 개개의 미소 영역 내에 존재하는, 흡수성 코어의 형성 재료의 중량을 개개의 미량 영역의 면적 100 ㎟ 로 나누고, 얻어진 값을 1 ㎡ 당의 값으로 환산한다.
기저귀의 제조 시나 착용 시의 변형에 의한 흡수체 단부로부터의 형성 재료나 폴리머 등의 비어져나옴 혹은 샘 방지의 관점, 흡수성 코어 (40) 의 복측 단가장자리 (40a) 를 착용 시에 몸에 피트시키는 관점에서, 박육 부분 (421) 은,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 (L) (도 24)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며, 또, 흡수성 코어 (40) 가 착용자의 배뇨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길이 방향 길이와 흡수성 코어 (40) 가 착용 시에 몸에 피트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mm 이하이다. 또,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박육 부분 (421) 은, 흡수체 (4) 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박육 부분 (421) 은, 흡수체 (4) 의 단부 (4a) 에 있어서, 흡수체 (4) 의 전체 폭에 걸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외장체 (10) 는,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와, 이들 2 매의 시트간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각 부의 탄성 부재 (71, 81, 91)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간에는,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를 형성하는 웨스트 영역 (U) 에, 웨스트 개더를 형성하는 웨스트부 탄성 부재 (71), 레그 개구부 (8) 의 주연부에 레그 개더를 형성하는 레그부 탄성 부재 (81), 및 허리 둘레 영역 (D) 에, 허리 둘레 개더 (9, 9) 를 형성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가, 각각 신장 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임의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웨스트 영역 (U) 은,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4e) 의 위치보다,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단 (7e) 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허리 둘레 영역 (D) 은,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4e) 의 위치보다 가랑이부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웨스트 영역 (U) 에는, 복수개의 웨스트부 탄성 부재 (71) 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그들의 웨스트부 탄성 부재 (71) 는, 각각, 기저귀 폭방향 (Y) 을 따라 신장 상태로 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허리 둘레 영역 (D) 에는,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그들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는, 각각, 기저귀 폭방향 (Y) 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는,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스트 영역 (U) 부근의 2 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가, 흡수체 (4) 를 기저귀 폭방향 (Y) 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박육 부분 (421) 과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2 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는, 모두 복측부 (A) 또는 배측부 (Bb) 의 사이드 시일부 (4, 4) 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일방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는, 박육 부분 (421) 의 제 1 부 (42a) 와 겹치고, 다른 일방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b) 는, 박육 부분 (421) 의 제 2 부 (42b) 와 겹쳐 있다. 그리고, 그 이외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c) 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각각, 좌우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각각에 있어서의, 좌우의 허리 둘레 개더 (9, 9) 간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c) 는, 신장 상태가 해제된 단편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또,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는, 이들 2 매의 시트 중 일방 또는 쌍방은, 웨스트 개구부 (7) 의 주연부에 있어서 되접어 꺾이고, 그 되접어 꺾인 부분 (17) 이, 흡수성 본체 (5) 의 전후단에 있어서의 그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의 되접어 꺾인 부분 (17) 이, 단부 커버 부직포 (17) 로 되어 있다.
단부 커버 부직포 (17) 가, 표면 시트 (2) 의 길이 방향 단가장자리 (2e) 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음으로써, 흡수성 본체 (5) 의 단부나 표면 시트 (2) 가, 기저귀 (1C) 를 찰 때에 말리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흡수체 (4) 의 박육 부분 (421) 에, 전술한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가 겹쳐 있음으로써, 도 2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4) 의 박육 부분 (421) 에, 기저귀 폭방향 (Y) 으로 줄어들게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표면 시트 (2) 가, 도 2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탄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인 경우에는, 흡수체 (4) 의 박육 부분 (421) 에, 꼬임이나 주름이 생긴다. 박육 부분 (421) 은,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것에 꼬임이나 주름이 생기면,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융기한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하게 닿아, 착용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원인으로도 된다.
또,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A) 측 및 배측부 (B) 측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표면 시트 (2)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2a) 의 위치와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4e) 의 위치를 일치시키고 있다. 표면 시트 (2) 의 단가장자리 (2a) 와 흡수체 (4) 의 단가장자리 (4e) 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배뇨된 뇨의 표면 시트에의 액 잔여물을 흡수체 (4) 의 단부에 있어서도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한편에서, 착용 시에, 양자의 단가장자리 (2a, 4e) 가, 위화감이 되어 지각되기 쉬워진다.
또, 방루 시트 (3)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3a) 의 위치도 일치시킴으로써, 배뇨된 뇨의 스며나옴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지만, 동일하게 착용 시에 표면 시트 (2), 흡수체 (4) 및 방루 시트 (3) 의 단가장자리 (2a, 4e, 3a) 가, 보다 위화감이 되어 지각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로서 요철 형상을 가지며, 기저귀 폭방향의 압축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고, 또한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해 양호한 두께 회복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2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 에 의해, 박육 부분 (421) 에 생기는 꼬임이나 주름의 정도가 경감되어,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융기한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것에 의한 위화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 시트 (2) 의 단가장자리 (2a) 자체도, 표면 시트의 두께 회복성에 의해 비교적 부드러운 상태로 되어 있어, 표면 시트 (2) 의 단가장자리 (2a) 에 의해 착용자가 위화감을 지각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 흡수체 (4) 의 단부 영역에, 허리 둘레부 탄성 부재 (91a, 91b) 를 겹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저귀 (1C) 에 있어서의,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 단부 근방이 착용자에게 양호하게 피트되어, 누출 방지성도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의하면,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흡수체 (4) 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과 위화감이 없음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제 3 발명) 에서 사용하는 표면 시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을 가지며, 기저귀 폭방향의 압축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고, 또한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해 양호한 두께 회복성을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기저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과 위화감이 없음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기저귀 폭방향의 압축에 대해 저항성에 관하여, 표면 시트는, 기저귀 폭방향 (Y) 의 벌크 소프트니스값이, 바람직하게는, 0.22 N 이상 0.60 N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N 이상 0.40 N 이하이다.
벌크 소프트니스값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로부터, 기저귀 폭방향 (Y) 의 치수가 30 mm, 기저귀 길이 방향 (Y) 의 치수가 150 mm 의 가로로 긴 장방 형상의 시험편 P 를 잘라, 그 시험편 P 를 사용하여, 직경 45 mm 의 원통상의 측정 샘플 S 를 제조한다. 시험편 P 의 길이 방향 양 단부의 겹친 폭은 8 mm 로 하고, 겹친 부분은, 상단과 하단을 초음파 실러로 접착한다. 그리고, 얻어진 측정 샘플 S 를,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원통의 축방향으로 압축 속도 10 mm/min 으로 압축했을 때에 나타내는 최대 하중치를 판독한다.
또,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한 두께 회복성에 관하여, 표면 시트는,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이,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100 % 이하이다.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주식회사 키엔스 제조의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계 (레이저 헤드 LK-G30, 변위계 LK-GD500 (상품명)) 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0.5 cN/㎠ 하중이 되도록 조정한 플레이트를, 표면 시트로부터 자른 5 cm × 5 cm 의 직사각형상의 샘플 위에 올려놓고, 상기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했다. 이 값을 초기 두께 T1 로 했다. 계속해서, 플레이트 상에 추를 올려놓고, 샘플을 20 cN/㎠ 로 1 분간 가압한 후, 압력으로부터 해방했다. 해방하고 5 초 후에, 재차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변위계로 0.5 cN/㎠ 하중하에서 두께를 측정했다. 이 값을, 회복 시 두께 T2 로 했다. 하기 식으로부터 두께 회복률을 구했다.
두께 회복률 (%) = (T1/T2) × 100
또, 본 발명 (제 3 발명) 에서 사용하는 표면 시트는, 두께 방향의 압축 회복성에 더하여, 변형할 수 있는 변형 절대량을 가짐으로써, 흡수체의 단부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7.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 5.0 mm 이하이다.
표면 시트의 두께는, 전술한 측정 방법에 있어서의 초기 두께 T1 을 그 표면 시트의 두께로 했다.
도 27 은,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 표면 시트 (2) 로서 사용한 입체 시트 (2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표면 시트 (20)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 (22) 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 (23) 가, 상층 시트 (22) 의 오목부 (221a)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하층 시트 (23) 에 관하여,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는, 하층 시트 자체에 요철을 부여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요철 부형한 상층 시트 (22) 에 접합되어 있는 결과, 하층 시트 (23) 에 다소의 기복이 생기고 있는 경우도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다」 에 해당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층 시트 (22) 에는, 볼록부 (211a) 가,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록부 (211a) 와 오목부 (221a) 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교대로 또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러한 열이, 기저귀 폭방향 (Y) 으로 다열로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폭방향 (Y) 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끼리는, 볼록부 (211a) 의 위치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으로 반피치분 어긋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열에 있어서의 임의의 하나의 오목부 (221a) 에 착안했을 때에, 그 하나의 오목부 (221a) 는 그 전후 및 좌우가 볼록부 (211a)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닫친 오목부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시트 (20) 에 있어서는, 오목부 (221a) 도, 볼록부 (211a) 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층 시트 (22) 는, 오목부 (221a) 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다. 상층 시트 (22) 가 오목부 (221a) 의 일부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는 형태로서는, 상층 시트 (22) 가, 오목부 (221a) 내의 1 지점 또는 복수 지점 (예를 들어 2 지점, 3 지점 또는 4 지점 이상) 에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층 시트 (22) 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의 오목부 (221a) 의 네 귀퉁이에 있어서 하층 시트 (23) 와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볼록부 (211a) 는, 내부가 공동이다.
표면 시트 (2) 의 요철을 갖는 영역 (이하, 요철 영역이라고도 한다) 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211a) 는, 높이 (T1) (도 27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3 mm 이하이다.
또, 볼록부 (211a) 를 갖는 부분의 표면 시트 (20) 의 두께 (T2) (도 27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 5 mm 이하이다.
또, 요철 영역의 면적 10 ㎠ 당 볼록부 (211a) 의 개수는 20 ∼ 200 개, 특히 50 ∼ 150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211a) 의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저부 치수 (E) (도 27 참조) 는 0.5 ∼ 5.0 mm, 특히 1.0 ∼ 4.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 (211a) 의 기저귀 폭방향 (Y) 의 저부 치수 (F) (도 27 참조) 는 0.5 ∼ 10 mm, 특히 1.0 ∼ 7.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221a) 는,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치수 (G) (도 27 참조) 가 0.1 ∼ 5.0 mm, 특히 0.2 ∼ 3.0 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저귀 폭방향 (Y) 의 치수 (H) (도 27 참조) 가 0.1 ∼ 5.0 mm, 특히 0.2 ∼ 3.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및 하층 시트 (22, 23) 를 구성하는 시트 재료로서는,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의 형성 재료로서 공지된 각종의 시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액 투과성의 향상이나 촉감의 관점에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카드법 또는 에어 레이드법에 의해 얻은 섬유 웨브에 에어스루법으로 섬유끼리의 열융착점을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 카드법에 의해 얻은 섬유 웨브에 히트 롤법으로 섬유끼리의 열융착점을 형성한 히트 롤 부직포, 히트 엠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 멜트브론 부직포 (M), 스펀본드-멜트브론 복합 부직포 (SM, SMS, SMMS 등), 스팬 레이스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등의 여러 가지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열융착성 섬유,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지는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는, 열융착성 섬유 이외에 열융착성을 가지지 않는 섬유 (예를 들어 코튼 섬유 등) 를 구성 섬유로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층 시트 (22) 를 구성하는 부직포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는, 부드럽고 쿠션성이 풍부한 볼록부 (211a) 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구성 섬유의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 0.1 ∼ 3.3 dtex 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층 시트 (22) 를 구성하는 부직포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는, 권축된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 (1C) 에 사용한 표면 시트 (20) 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시트 (22) 의 롤상 권회물 (22') 로부터 띠형상의 상층 시트 (22) 를 조출하고, 이것과는 다른 하층 시트 (23) 의 롤상 권회물 (23') 로부터 띠형상의 하층 시트 (23) 를 조출한다. 조출된 상층 시트 (22) 를, 둘레면이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 1 롤 (211) 과, 그 제 1 롤 (211) 의 요철 형상과 맞물림 형상으로 되어 있는 요철 형상을 둘레면에 갖는 제 2 롤 (212) 과 맞물림부에 맞물려 넣어 상층 시트 (22) 를 요철 부형한다. 그리고, 요철 부형한 상층 시트 (22) 를, 흡인에 의해 제 1 롤 (211) 에 있어서의 둘레면에 요철 부형된 상태인 채 유지하면서, 그 상층 시트 (22) 에 하층 시트 (23) 를 중첩하고, 하층 시트 (23) 를, 제 1 롤 (211) 의 볼록부 상에 위치하는 그 상층 시트 (22) 와 접합한다. 이로써, 띠형상의 표면 시트 (20) 가 얻어진다. 띠형상의 표면 시트 (20) 는, 권취한 후에, 기저귀 (1C) 의 제조 라인에 도입되거나, 권취하지 않고, 기저귀 (1C) 의 제조 라인에 도입된다.
상층 시트 (22) 및 하층 시트 (23) 는, 모두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신축성의 시트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치수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전술한 제 1 및 제 2 롤의 요철 형상에 거의 맞는 요철을, 상층 시트 (22) 에 부형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인 시트상물이란, 예를 들어 신장 한계가 105 % 이하이며, 그것을 초과하는 신장에서는 재료 파괴를 일으키거나 또는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도 28 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롤 (211) 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히트 롤 (213) 의 사이에서, 상층 시트 (22) 및 하층 시트 (23) 를 부분적으로 가열 및 가압하여, 상층 시트 (22) 의 오목부 (221a) 를 하층 시트 (23) 에 접합하고 있다.
표면 시트 (2) 에, 기저귀 폭방향의 압축에 대한 저항성, 및 두께 방향의 압축에 대한 우수한 두께 회복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층 시트 (22) 의 오목부 (221a) 와 하층 시트 (23) 의 접합부가 평면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기저귀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을 기저귀 횡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제 1 직선의 일정 길이당 접합부 (당해 제 1 직선 상에 있는 접합부) 의 합계 길이의 최대치인 제 1 최대치와, 기저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을 기저귀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제 2 직선의 일정 길이당 접합부 (당해 제 2 직선 상에 있는 접합부) 의 합계 길이의 최대치인 제 2 최대치를 비교했을 때에, 제 2 최대치가 제 1 최대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횡방향 이외에 생기는 모든 가상 직선상 (경사 방향, 모두) 으로 카운트할 수 있는 접합부의 합계 길이보다 기저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 상에 생기는 접합부의 합계 길이가 가장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 (20) 의 제조 방법을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4234호에 기재된 표면 시트의 제조 방법이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06420호에 기재된,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커버 부직포 (17) 는, 도 27 에 나타내는 입체 시트 (20) 로 이루어지는 표면 시트 (2) 의 요철 형상의 볼록부 (211a) 의 정부에, 접착제 (18) 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볼록부 (211a) 의 정부끼리간에, 표면 시트 (2) 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있다. 단부 커버 부직포 (17) 를, 이와 같은 양태로 접합하고, 표면 시트 (2) 의 볼록부 (211a) 를 하층 시트 (23) 와 단부 커버 부직포 (17) 로 사이에 두고 볼록부 (211a) 를 부분적으로 접합함으로써, 표면 시트 (2) 의 변형 저항성을 보조함과 함께, 볼록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복수의 볼록부에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볼록부의 압축 회복성을 향상시키고,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에 의한 기저귀 폭방향으로 줄어들게 하는 힘에 의한 수축에 의한 꼬임, 주름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대한 영향을 완화시킨다. 또, 잔존한 꼬임, 주름을 완화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커버 부직포 (17) 는, 접착제에 의해 표면 시트 (2) 에 접합된 가랑이부측 고정부 (17a) 와, 흡수체 (4) 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 (4e) 로부터 연장된 부재에 접착제 (19) 에 의해 접합된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 (17c) 를 가지고 있고, 가랑이부측 고정부 (17a) 와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 (17c) 의 사이에, 다른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 (17b) 를 가지고 있다. 비접합부 (17b) 를 형성함으로써, 웨스트 개구부 고정부 (17c) 의 개더에 의한 수축에 의한 단부 부직에 발생하는 요철을 완화시켜, 흡수체의 단가장자리 (4e) 부 상부의 단부 커버 부직포에 자유도를 형성할 수 있어 피부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기저귀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의 비접합부 (17b) 의 길이 (L1) (도 24 참조) 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5 mm 이하이다.
또, 단부 커버 부직포 (17) 와 표면 시트 (2) 의 사이를 접합하고 있는 접착제 (18) 는, 소정의 폭으로 연속 도공되어 있어도 되지만, 단부 커버 부직포 (17) 및 표면 시트 (2) 의 일방 또는 양방, 특히 단부 커버 부직포 (17) 에 패턴 도공한 것인 것이, 표면 시트 (2) 의 볼록부 (211a) 의 압축 회복성의 향상 및 그것에 의한 위화감의 경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2) 와 흡수체 (4) 의 사이도,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고, 흡수체 (4) 와 방루 시트 (3) 의 사이도,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 단부 커버 부직포 (17) 와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를 접합하고 있는 접착제 (19) 도, 단부 커버 부직포 (17) 및 표면 시트 (2) 의 일방 또는 양방, 특히 단부 커버 부직포 (17) 에 패턴 도공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 (1C) 의 구성 부재간의 접합에 사용하는 접착제 (예를 들어 접착제 (18, 19) 등) 로서는, 이 종류의 물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의 접착제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도공의 도공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파이럴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격자상 패턴, Ω 자가 문자의 옆에 다수 연속된 연속 Ω 자 패턴, 접착제의 도포부를 산점상으로 배치하는 도트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방루 시트 (3) 와 외장체 (10) 의 사이, 바꾸어 말하면 흡수성 본체 (5) 와 외장체 (10) 의 사이도, 부분적으로 도공된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부분적인 도공은, 전술한 패턴 도공이어도 되고, 복수 개소에 각각 연속 도공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에 있어서는, 흡수체 (4) 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박육 부분 (421) 과 겹치는 부분을 갖는 상기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는, 모두 흡수체 (4) 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각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를 사이에 두는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의 일방 또는 쌍방에 접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 (1C) 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단부 커버 부직포 (17) 로 이루어지는 피부 맞닿음 부분에 꼬임이나 주름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는, 흡수체 (4) 와 겹치지 않는 복측부 (A) 또는 배측부 (B) 의 양 측부에 있어서도,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의 일방 또는 쌍방에 접합되어 있다.
도 29 및 도 30 에는, 본 발명 (제 3 발명) 에 있어서 표면 시트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는 요철 부직포 (이하,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라고도 한다) 가 나타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면 (1a) 및 이것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 (1b) 을 가지고 있다. 부직포 (10B) 는,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에 사용할 때는, 제 1 면 (1a) 측을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이용하고, 제 2 면 (1b) 측을 흡수성 물품 내부의 흡수체측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부직포 (10B) 의 제 1 면 (1a) 측을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사용하는 실시 형태를 고려하여 설명하지만, 이로써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부직포 (10B) 는, 후술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그 부직포 (10B) 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그 부직포 (10B) 로서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한다. 부직포 (10B) 는, 단층 구조이거나, 또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이다. 에어스루 부직포란, 50 ℃ 이상의 유체, 예를 들어 기체나 수증기를, 웨브 또는 부직포에 분사하는 공정 (바람직하게는 관통시키는 공정) 을 거쳐 제조된 부직포를 말하며, 본 공정만으로 제조되는 부직포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제작된 부직포에 본 공정을 부가하여 제조한 부직포, 혹은 본 공정의 전이나 본 공정의 후에 어떠한 공정을 실시하여 제조한 부직포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10B) 는, 시트상의 부직포를 평면에서 본 측의 제 1 면 (1a) 측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볼록부 (11a) 를 가지고 있다. 제 1 볼록부 (11a) 는, 제 2 면 (1b) 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 (11K) 을 가지고 있다. 또 부직포 (10B) 는, 제 1 면 (1a) 측과는 반대측의 제 2 면 (1b) 측에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제 2 볼록부 (12a) 를 가지고 있다. 제 2 볼록부 (12a) 는, 제 1 면 (1a) 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 (12K) 을 가지고 있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는, 부직포 (10B) 의 예를 들어 전체면에 걸쳐서, 평면에서 보아 서로 교차하는 상이한 2 방향의 각각을 따라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이한 2 방향이란, 구체적 일례로서, 상이한 방향의 일방향인 X 방향과, 이 X 방향과 상이한 다른 일방향인 Y 방향이다.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제 1 면 (1a) 측에서 본 볼록부가 제 1 볼록부 (11a) 이며, 오목부가 제 2 볼록부 (12a) 가 된다. 반대로, 제 2 면 (1b) 측에서 본 볼록부가 제 2 볼록부 (12a) 이며, 오목부가 제 1 볼록부 (11a) 가 된다. 따라서, 제 1 볼록부 (11a) 와 제 2 볼록부 (12a) 는 일부가 공유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는 각각 정부 (11T, 12T) 를 가지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는 각각 정부 (11T, 12T) 와, 내부 공간의 개구부 (11H, 12H) 의 사이에 환상 구조의 벽부 (131, 141) 를 가지고 있다. 정부 (11T, 12T) 는, 둥근 부분을 가진 원뿔대 형상 내지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를 보다 상세하게 보면, 제 1 볼록부 (11a) 의 돌출 형상은 어느 쪽이냐면 반구상이며, 한편, 제 2 볼록부 (12a) 의 돌출 형상은 정부에 둥근 부분이 있는 원뿔 내지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는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돌출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뿔체 형상 (본 명세서에 있어서 뿔체 형상이란, 원뿔, 원뿔대, 각뿔, 각뿔대, 빗원뿔 등을 널리 포함하는 의미이다.) 인 것이 실제적이다.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는 그 외경과 상사(相似)하는 정부에 둥근 부분이 있는 원뿔대 형상 혹은 반구상의 내부 공간 (11K, 12K) 을 유지하고 있다.
제 1 볼록부 (11a) 의 정부 (이하, 제 1 볼록부 정부라고도 한다.) (11T) 와 그 개구부 (11H) 의 사이에 위치하는 벽부 (131) 는, 제 1 볼록부 (11a) 에 있어서 환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 제 2 볼록부 (12a) 의 정부 (이하, 제 2 볼록부 정부라고도 한다.) (12T) 와 그 개구부 (12H) 의 사이에 위치하는 벽부 (141) 는, 제 2 볼록부 (12a) 에 있어서 환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벽부 (141) 는, 상기의 벽부 (131) 의 일부분과 부위를 공유하고 있다. 「환상」 이란, 부직포 (10B) 의 평면에서 보아 무단의 일련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부직포 (10B) 의 평면에서 보아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부직포 (10B) 의 연속 상태를 바람직하게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을 입체 형상으로서 말하면, 원기둥상, 빗원기둥상, 타원기둥상, 절두 원뿔상, 절두 빗원뿔상, 절두 타원뿔상, 절두 사각뿔상, 절두 빗사각뿔상 등, 임의의 환 구조를 들 수 있고, 연속된 시트 상태를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원기둥상, 타원 기둥상, 절두 원뿔상, 절두 타원뿔상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볼록부 (11a, 12a) 를 갖는 부직포 (10B) 는, 굴곡부를 갖지 않고, 전체가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 (10B) 는, 면방향으로 연속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이란, 단속된 부분이나 작은 구멍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단, 섬유간의 간극과 같은 미세 구멍은 작은 구멍에 포함하지 않는다. 작은 구멍이란, 예를 들어, 그 구멍 직경이 원 상당의 직경으로 1 mm 이상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에 있어서는, 그 두께 방향에 관해서, 구성 섬유의 섬유 밀도가 상이하다. 상세하게는, 제 1 볼록부 정부 (11T) 로부터, 제 2 볼록부 정부 (12T) 를 향하여 섬유 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섬유 밀도란, 부직포 (10B) 의 단위 체적당 섬유의 질량이다. 섬유 밀도가 높다란, 부직포 (10B) 의 단위 체적당에 존재하는 섬유의 양이 많아, 섬유간 거리가 작은 것을 의미한다. 섬유 밀도가 낮다란, 부직포 (10B) 의 단위 체적당에 존재하는 섬유의 양이 적어, 섬유간 거리가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섬유 밀도가 높은 부위는 모관력이 높고, 섬유 밀도가 낮은 부위는 모관력이 낮아져 있다.
부직포 (10B) 의 두께 방향을 따라 섬유 밀도를 본 경우, 제 1 볼록부 정부 (11T) 의 섬유 밀도가 가장 낮고,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섬유 밀도가 가장 높아져 있다. 제 1 볼록부 정부 (11T) 와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사이에 위치하는 벽부 (131, 141) 의 섬유 밀도는, 제 1 볼록부 정부 (11T) 의 섬유 밀도와,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섬유 밀도의 중간의 값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 (10B) 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 정부 (11T) < 벽부 (131, 141) <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순서로 섬유 밀도가 높아져 있다. 따라서, 모관력에 관해서도, 제 1 볼록부 정부 (11T) < 벽부 (131, 141) <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순서로 모관력이 높아져 있다. 이 경우, 섬유 밀도 및 모관력은, 제 1 볼록부 정부 (11T) < 벽부 (131, 141) <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순서로 연속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스텝상으로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어도 된다. 부직포 (10B) 에 이와 같은 섬유 밀도의 구배를 부여하려면,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따라 부직포 (10B) 를 제조하면 된다.
부직포 (10B) 의 섬유 밀도의 구체적인 값은, 제 1 볼록부 (11a) 에 관해서는, 30 개/㎟ 이상, 특히 50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개/㎟ 이하, 특히 12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볼록부 (11a) 의 섬유 밀도는, 30 개/㎟ 이상 13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120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볼록부 (12a) 에 관해서는, 250 개/㎟ 이상, 특히 270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개/㎟ 이하, 특히 48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볼록부 (12a) 의 섬유 밀도는, 250 개/㎟ 이상 500 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70 개/㎟ 이상 480 개/㎟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볼록부 (11a) 의 섬유 밀도는, 제 1 볼록부 (11a) 에 있어서의 층두께 (TL1) 의 중앙 부근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제 2 볼록부 (12a) 의 섬유 밀도는, 제 2 볼록부 (12a) 에 있어서의 층두께 (TL2) 의 중앙 부근의 위치에서 측정된다. 섬유 밀도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섬유 밀도의 측정 방법〕
부직포 부분의 절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대 관찰 (섬유 단면이 30 ∼ 60 개 정도 계측할 수 있는 배율로 조정 ; 150 ∼ 500 배) 하고, 일정 면적당 (0.5 ㎟ 정도) 의 상기 절단면에 의해 절단되어 있는 섬유의 단면수를 세었다. 다음으로 1 ㎟ 당 섬유의 단면수로 환산하고, 이것을 섬유 밀도로 했다. 측정은 3 지점 실시하고, 평균하여 그 샘플의 섬유 밀도로 했다.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서는, 예를 들어, 닛폰 전자 (주) 사 제조의 JCM-5100 (상품명) 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에 있어서의 치수 제원에 대해 설명하면, 부직포 (10B) 의 두께에 대해서는, 부직포 (10B) 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전체의 두께 (겉보기 두께) 를 시트 두께 (TS) 로 하고, 그 요철로 만곡한 부직포 (10B) 의 국부적인 두께 (실질 두께) 를 층두께 (TL) 로 한다 (도 30 참조). 시트 두께 (TS) 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되지만, 부직포 (10B) 를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1 mm 이상 7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mm 이상 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시트 두께 (TS) 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사용 시의 체액 흡수 속도가 빠르고, 흡수체로부터의 액 복귀를 억제하고, 또한, 적당한 쿠션성을 실현할 수 있다.
층두께 (TL) 는, 부직포 (10B) 내의 각 부위에 있어서 상이해도 되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부직포 (10B) 를 기저귀나 생리용품 등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 1 볼록부 정부 (11T) 의 층두께 (TL1) 는 0.1 mm 이상 3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mm 이상 2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볼록부 정부 (12T) 의 층두께 (TL2) 및 벽부 (131, 141) 의 층두께 (TL3) 의 바람직한 범위는, 제 1 볼록부 정부 (11T) 의 층두께와 동일하다. 각 층두께 (TL1, TL2, TL3) 의 관계는, TL1 > TL3 > TL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볼록부 (11a) 에 있어서, 특히 피부면측에서는, 섬유 밀도가 낮고, 양호한 피부 감촉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제 2 볼록부 (12a) 는 섬유 밀도가 높아져, 잘 찌그러지지 않아, 형 붕괴되지 않고 양호한 쿠션성과 액체의 흡수 속도가 우수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시트 두께 (TS) 및 층두께 (TL) 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시트 두께 (TS) 의 측정 방법은, 측정 대상의 부직포에 0.05 kPa 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두께 측정기에는 오므론사 제조의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했다. 두께 측정은, 10 점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두께로 했다.
층두께 (TL) 의 측정법은 시트의 단면을 키엔스 제조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VHX-900 에 의해 약 20 배 정도로 확대함으로써,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부직포 (10B)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 1 볼록부 (11a) 와 제 2 볼록부 (12a) 의 간격은,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되고, 부직포 (10B) 를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1 mm 이상 15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3 mm 이상 10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 (10B) 의 평량은, 부직포 (10B) 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부직포 (10B) 전체의 평균치로 15 g/㎡ 이상 5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g/㎡ 이상 40 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B) 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 양태에 대해, 도 31 ∼ 도 3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 에는, 부직포 (10B) 를 제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0) 가 나타나 있다. 제조 장치 (100) 는, 에어스루 부직포의 제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제조 장치 (100) 는,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융착성 섬유를 함유하는 웨브 (105) 를 반송하는 지지체 (110) 를 갖는다. 웨브 (105) 는 송급부 (121) 로서의 송급 컨베이어에 의해 지지체 (110) 의 표면에 공급된다. 웨브 (105) 는, 지지체 (110) 에 의해 부형되고, 부형된 웨브 (105) 는 지지체 (110) 로부터 떨어져, 안내부 (122) 로서의 안내 롤러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송출된다. 지지체 (110) 는, 드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지지체 (110) 는, 회전축 (110C)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 (110C) 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지지체 (110) 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지지체 (110) 의 외면측에는, 웨브 (105) 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서로, 제 1 열풍 (W1) 을 분사하는 제 1 노즐 (111)과, 제 2 열풍 (W2) 을 분사하는 제 2 노즐 (11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노즐 (111) 은, 히터 (113) 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 (113) 에서 가열된 제 1 열풍 (W1) 은, 통기성을 갖는 통기 컨베이어 (123) 를 통해 지지체 (110) 의 표면에 대해, 예를 들어 거의 수직으로 분사된다.
제 1 노즐 (111) 에는 그 선단에 분사 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웨브 (105) 의 기계 방향 (MD) 에 있어서의 길이가 1 mm 이상 20 mm 이하이고, 웨브 (105) 의 폭방향 (CD) 에 있어서의 길이는 웨브 (105) 의 폭 이상, 또는 부형 가공을 실시하는 폭이다. 분사 구멍은, 일렬 또는 다열의 슬릿 형상, 일렬 또는 다열에 둥근 구멍, 긴 구멍, 각 구멍이 지그재그나 병렬로 배치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20 mm 이하의 일렬의 슬릿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 1 노즐 (111) 의 분사 구멍이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열풍 (W1) 이 웨브 (105) 의 표면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풍속으로 분사된다. 이 제 1 열풍 (W1) 에는, 히터 (113) 에 의해 소정 온도로 가열된 공기, 질소 또는 수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용 억제를 위해 공기를 사용한다.
제 1 노즐 (111) 로부터 분사되는 제 1 열풍 (W1) 은, 웨브 (105) 의 섬유끼리를 요철 형상이 유지되는 상태로 가융착시키는 온도로 히터 (113) 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웨브 (105) 의 구성 섬유가, 저융점 성분과 이 저융점 성분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성분을 갖는 심초형 복합 섬유인 경우, 제 1 열풍 (W1) 은, 웨브 (105) 의 섬유의 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60 ℃ 낮은 온도 이상이고, 또한 이 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15 ℃ 높은 온도 이하의 열풍으로 제어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50 ℃ 낮은 온도 이상이고, 또한 이 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10 ℃ 높은 온도 이하로 제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저융점 성분으로서 융점 132 ℃ 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82 ℃ 이상 14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2 ℃ 이상 142 ℃ 이하가 된다.
제 1 열풍 (W1) 의 풍속은 적절히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10 m/sec 이상 120 m/sec 이하의 풍속으로 제어되고 있다. 제 1 노즐 (111) 로부터 분사하는 제 1 열풍 (W1) 의 풍속이 너무 느리면 섬유가 충분히 지지체 (110) 를 따르기 어려워지고, 또 섬유의 융착이 약해지는 점에서 부형을 실시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풍속이 너무 빨라도, 웨브 (105) 에 부형을 실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열풍 (W1) 의 풍속은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m/sec 이상 80 m/sec 이하로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m/sec 이상 60 m/sec 이하로 한다.
통기 컨베이어 (123) 는, 지지체 (110) 와의 사이에서 웨브 (105) 를 사이에 두면서, 지지체 (110) 의 표면을 따라 웨브 (105) 를 이송측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기성을 갖는 벨트 (124) 와 이 벨트 (124) 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 (125) 와, 벨트 (124) 를 예를 들어 롤러 (125) 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구동 장치 (도시 생략) 를 구비한다. 이 복수의 롤러 (125) 중 적어도 두 개의 롤러 (125A, 125B) 는, 지지체 (110) 의 표면 상에 웨브 (105) 를 개재하여 벨트 (124) 가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통기 컨베이어 (123) 에 의해 제 1 노즐 (111) 의 제 1 열풍 (W1) 에 의한 웨브 (105) 의 흐트러짐,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노즐 (112) 은, 히터 (114) 를 구비하고 있다. 히터 (114) 에서 가열된 제 2 열풍 (W2) 은, 지지체 (110) 의 표면에 대해, 예를 들어 거의 수직으로 분사한다. 제 2 노즐 (112) 에는 그 선단에 분사 구멍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 구멍은, 폭방향, 흐름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개공되어 있는 펀칭 메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공률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40 % 이하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30 % 이하이다. 이와 같이, 제 2 노즐 (112) 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열풍 (W2) 이 웨브 (105) 의 표면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풍속으로 분사된다. 이 제 2 열풍 (W2) 에는, 히터 (114) 에 의해 가열된 공기, 질소 또는 수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스트가 들지 않는 공기를 사용한다.
제 2 열풍 (W2) 은, 히터 (114) 에 의해, 제 1 열풍 (W1) 으로 형성된 웨브 (105) 의 요철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웨브 (105) 의 섬유끼리를 융착시켜 그 요철 형상을 고정시키는 온도로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어, 웨브 (105) 의 구성 섬유가 저융점 성분과 이 저융점 성분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 성분을 갖는 심초형 복합 섬유인 경우, 제 2 열풍 (W2) 은, 웨브 (105) 의 섬유의 저융점 성분의 융점 이상이고, 또한 웨브 (105) 의 섬유의 고융점 성분의 융점 미만,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성분의 융점보다 40 ℃ 높은 온도 이하의 온도로 제어되고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융점 성분의 융점 이상이고, 또한 이 융점보다 20 ℃ 높은 온도 이하, 특히 바람직한 온도로서 저융점 성분의 융점 이상이고, 또한 이 융점보다 15 ℃ 높은 온도 이하로 제어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융점 성분으로서 융점 132 ℃ 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132 ℃ 이상 152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2 ℃ 이상 147 ℃ 이하가 된다.
제 2 노즐 (112) 로부터 분사되는 제 2 열풍 (W2) 의 풍속은, 그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해진다. 바람직하게는, 1 m/sec 이상 10 m/sec 이하의 풍속으로 제어된다. 제 2 노즐 (112) 로부터 분사하는 제 2 열풍 (W2) 의 풍속이 너무 느리면 섬유에 대한 열전달이 충분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섬유가 융착되기 어려워져 요철 형상의 고정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풍속이 너무 빠르면, 섬유에 열이 너무 쐬기 때문에, 질감이 나빠지는 경향이 된다. 따라서, 제 2 열풍 (W2) 의 풍속은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sec 이상 8 m/sec 이하로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sec 이상 4 m/sec 이하로 한다.
제 1 노즐 (111) 의 송풍 방향에는, 통기 컨베이어 (123), 웨브 (105), 지지체 (110) 를 통과해 온 제 1 열풍 (W1) 을 흡인하는 흡인부 (115) 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부 (115) 에는, 흡인된 제 1 열풍 (W1) 을 배기하는 배기 장치 (117) 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노즐 (112) 의 송풍 방향에는, 웨브 (105), 지지체 (110) 를 통과해 온 제 2 열풍 (W2) 을 흡인하는 흡인부 (116) 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부 (116) 에는, 흡인된 제 2 열풍 (W2) 을 배기하는 배기 장치 (118) 가 접속되어 있다. 어느 흡인부도 CD 방향의 길이가 적절히 조정 가능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인부 (115, 116) 를 배치함으로써, 분사하는 에어의 튀어서 되돌아옴 등에서 기인하여 웨브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원하는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부형할 수 있다. 또, 드럼 주위가 너무 고온이 되는 것이 방지되어, 이것과 접하는 웨브 (105) 가 과도하게 융착되어 단단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웨브 (105) 를 지지체 (110) 에 유지시키기 쉬워져, 반송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열풍 온도의 안정화, 유틸리티의 런닝 코스트를 생각하면 열풍은 순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 는, 도 31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의 지지체 (110) 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32 에 나타내는 지지체 (110) 는, 도 31 에 있어서 드럼의 둘레면의 형상을 하고 있는 지지체 (110) 를 평탄한 판상으로 한 상태에 상당한다. 지지체 (110) 는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기부 (110B) 를 가지고 있다. 기부 (110B) 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공이, 오목부인 통기부 (110H) 로 되어 있다. 또, 지지체 (110) 는, 기부 (110B) 의 일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복수의 돌기상부 (110T) 를 가지고 있다. 돌기상부 (110T) 는, 이웃하는 통기부 (110H)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돌기상부 (110T) 와 통기부 (110H) 는, 지지체 (110) 의 평면 내의 일방향인 A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돌기상부 (110T) 와 통기부 (110H) 는, 지지체 (110) 의 평면 내의 다른 일방향인 B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A 방향과 B 방향은 직교하고 있다. A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이웃하는 돌기상부 (110T) 와 통기부 (110H) 사이의 거리 (dA) 와 B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이웃하는 돌기상부 (110T) 와 통기부 (110H) 사이의 거리 (dB) 는 동일해도 되고, 혹은 상이해도 된다. A 방향은, 지지체 (110) 의 회전 방향으로 일치하고, B 방향은, 지지체 (110) 의 폭방향으로 일치한다. 이와 같이 지지체 (110) 는, 기부 (110B) 의 일면에 있어서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돌기상부 (110T) 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부에는 둥근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상부 (110T) 는, 예를 들어 판상이나 방추 형상 등을 이루고 있다. 돌기상부 (110T) 의 높이는 부직포 (10B) 의 용도, 규격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돌기상부 (110T) 의 높이 (H) (도 32 참조), 즉 기부 (110B) 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30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10 mm 이하이다. 돌기상부 (110T) 의 피치는 A 방향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6 mm 이상 1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mm 이상 10 mm 이하이며, B 방향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 8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 6 mm 이하이다.
지지체 (110) 의 통기부 (110H) 는, 지지체 (110) 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그 개구율이 지지체 (110) 의 표면적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4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40 %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35 %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개구율을 이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웨브 (105) 에 충분한 요철 형상을 부형할 수 있고, 또 부형 형상의 악화나 보풀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통기부 (110H) 의 형상은 평면에서 보아 예를 들어 원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통기부 (110H)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다각형 또는 그들의 조합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3 에는, 지지체 (110) 를 사용하여 웨브 (105) 를 부형하는 상태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33 에 있어서는, 통기 컨베이어 (123) 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지지체 (110) 에 웨브 (105) 가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 그 웨브 (105) 에 대해, 그 외면으로부터 제 1 열풍 (W1) 이 분사된다. 분사된 제 1 열풍 (W1) 은, 웨브 (105) 를 통과하고, 다시 지지체 (110) 의 통기부 (110H) 를 통과하여, 흡인부 (115) (도 29 참조) 에 의해 흡인된다. 이와 같이, 웨브 (105) 에 대해 에어스루 방식으로 제 1 열풍 (W1) 이 분사된다.
웨브 (105) 중, 이웃하는 2 이상의 돌기상부 (110T) 에 의해 걸쳐진 부위는, 제 1 열풍 (W1) 의 분사에 의해 압력을 받아 하방으로 향하여 변형된다. 이 변형에 의해 돌출부 (11A) 가 형성된다. 돌출부 (11A) 는,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10B) 에 있어서의 제 1 볼록부 (11a) 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돌출부 (11A) 에 있어서는, 그 최저부에 가까워질수록, 제 1 열풍 (W1) 의 분사에 의한 압력에서 기인하여 변형의 정도가 커지고, 그 결과, 섬유간 거리가, 제 2 돌출부 (12) 보다 커진다. 바꾸어 말하면, 섬유 밀도가 작아진다.
한편, 웨브 (105) 중, 돌기상부 (110T) 에 의해 지지된 부위는, 제 1 열풍 (W1) 의 분사에 의한 압력을 받아도, 돌기상부 (110T) 에 의한 규제로 하방으로 향한 변형이 억제된다. 이로써 돌기상부 (110T) 에 의해 지지된 부위는, 하방으로 향하여 저변이 연장된 볼록 형상이 된다. 이 볼록 형상의 부위는,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10B) 에 있어서의 제 2 볼록부 (12a) 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볼록 형상의 부위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서는, 섬유간 거리가 작아진다. 바꾸어 말하면, 섬유 밀도가 커진다. 한편, 볼록 형상의 부위의 저변의 위치에 있어서는, 웨브 (105) 의 변형이 생기고 있으므로, 섬유간 거리가, 제 1 볼록부 (11a) 보다 커진다. 바꾸어 말하면, 섬유 밀도가 작아진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돌출부 (11A) (도 33 참조) 의 섬유 밀도만큼은 작아지지 않는다.
도 34 는, 부형된 웨브 (105) 에 제 2 열풍 (W2) 을 분사하고, 구성 섬유의 교점을 융착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 (10B) 를 얻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열풍 (W2) 의 분사는 에어스루 방식으로 실시한다.
기저귀 (1C) 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면,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 (6, 6) 가 형성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5) 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각각, 기저귀의 길이 방향 (X)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루 커프 (6) 는, 각각,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 (60) 와, 방루 커프 (6) 의 상측 가장자리부 근방에 신장 상태로 고정된 방루 커프 기립용의 탄성 부재 (61) 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 가장자리부 (6a) 는, 가랑이부 (C) 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기립한 방루 커프 (6) 의 자유단을 형성한다. 방루 커프 (6) 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에 있어서는, 흡수성 본체 (5) 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단부 커버 부직포 (17) 와 접합되어 있다.
기저귀 (1C) 의 각 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루 시트 (3), 흡수성 코어 (40), 방루 커프 형성용 시트에 사용하는 시트 재료 및 탄성 부재 (61, 62, 71, 81, 91) 의 형성 재료로서는, 전술한 기저귀 (1A, 1B)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로서는, 이 종류의 물품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시트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유연성의 관점에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팬 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부직포 또는 2 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부직포와 필름을 일체화한 시트여도 된다. 단부 커버 부직포 (17) 로서는, 각종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팬 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부직포 또는 2 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1 발명,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을 그 바람직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제 1 발명,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수성 코어는, 상기 서술한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의 하층 흡수성 코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그 하층 흡수성 코어로부터 절리부 (44) 를 없애도 된다. 또, 절리부 (44) 를 없앤 하층 흡수성 코어 상에, 기저귀 (1A, 1B) 에 있어서의 상부 흡수 코어 (411) 와 같은 소형의 상층 흡수성 코어를 적층하여, 피부 맞닿음면측에 단차를 갖는 흡수체를 구성해도 된다. 또, 공지된 적섬 장치의 적섬용 오목부 내에 깊이가 깊은 부위와 얕은 부위를 형성하고, 그 적섬용 오목부에 펄프 섬유 등의 코어 형성 재료를 퇴적시켜, 두께가 두꺼운 중앙 영역과 그것보다 두께가 얇은 측부 영역을 갖는 흡수성 코어를 형성해도 된다.
또, 코어 랩 시트 (41) 는, 연속되는 1 매의 시트로, 흡수성 코어 (40) 의 피부 맞닿음면측과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해도 되고, 흡수성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측과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2 매의 코어 랩 시트를 조합하여 피복해도 된다.
또, 표면 시트 (2) 는, 측부 탄성 부재 (45) 의 배치부를 경계로 하여, 그것보다 상측의 전체 영역이 요철 영역 (2a), 그것보다 하측의 전체 영역이 비요철 영역 (2b) 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 표면 시트 (2) 에 있어서의 비요철 영역 (2b) 은, 도 9 의 (a) 또는 도 2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영역 (2a) 으로부터 연장되는 하층 시트 (23)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지만, 도 9 의 (b) 또는 도 2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영역 (2a) 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층 및 하층 시트 (22, 23) 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도 9 의 (c) 또는 도 21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영역 (2a) 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층 시트 (22)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도 9 의 (d) 또는 도 21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매의 시트 (22) 에, 입체 형상을 부형한 부분과 입체 형상을 부형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여, 요철 영역 (2a) 과 비요철 영역 (2b) 을 형성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방루 커프 (6) 는, 흡수성 본체 (5)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 방루 커프 (6) 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중 어느 일방에만, 내측 접합부 (63), 외측 접합부 (64) 및 그 사이의 비접합 영역 (65) 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방루 커프 (6) 는, 비접합 영역 (65) 의 전체 폭 (흡수성 본체 (5) 의 폭방향의 길이) 중, 외측 접합부 (64) 부근의 일부만이, 내측 신축부 (13e) 와 겹쳐 있어도 되고, 비접합 영역 (65) 의 전체 폭이 내측 신축부 (13e) 와 겹쳐 있어도 된다. 또, 외측 접합부 (64) 및 비접합 영역 (65) 에 더하여, 내측 접합부 (63) 도 내측 신축부 (13e) 와 겹쳐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흡수체 (4) 는,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중 어느 일방에만 박육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복측부 (A) 및 배측부 (B) 의 양방에 박육 부분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도, 일방의 박육 부분에만, 그 박육 부분과 겹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박육 부분 (421) 과 겹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는, 1 개만이어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단부 커버 부직포 (17) 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를 사이에 두는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중, 흡수성 본체 (5) 측에 위치하는 시트 (15) 를 되접어 형성한 부분이어도 되고, 또,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와는 별도의 시트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로서 도 35 에 나타내는 요철 부직포 (10C) (이하, 제 3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C) 라고 한다)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C) 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에, 엠보스 가공에 의해, 히트 엠보스 가공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열융착부 (32) 를 형성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복수의 열융착부 (32) 에 둘러싸인 볼록부 (31)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융기한 상태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 (31) 는, 요철 부직포 (10C) 의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위를 오목부 (33) 에 둘러싸여 있다. 열융착부 (32) 는 오목부 (33) 의 저부에 존재하고 있다.
요철 부직포 (10C) 를 구성하는 부직포로서는, 각종 공지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어스루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스팬 레이스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브론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부직포 또는 2 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의 부직포 (10C) 도,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을 0.22 N 이상 0.60 N 이하, 하중 20 cN/㎠ 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을 7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에 따라, 상기 서술한 기저귀 (1C) 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흡수성 코어는, 2 층 구조여도 되고, 절리부 (44) 를 갖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또, 코어 랩 시트 (41) 는, 연속되는 1 매의 시트로, 흡수성 코어 (40) 의 피부 맞닿음면측과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피복해도 되고, 흡수성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측과 흡수성 코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2 매의 코어 랩 시트를 조합하여 피복해도 된다.
또, 표면 시트로서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 면 및 그것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가지며, 적어도 제 1 면이, 제 1 면측에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그 볼록부간에 위치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요철을 갖는 요철 부직포로 구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열가소성 섬유끼리가, 그들의 교점에 있어서 열융착된 섬유 융착점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요철 부직포는, 제 1 면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 생략 부분 및 일 실시 형태만이 갖는 요건은, 각각 다른 실시 형태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고,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요건은, 적절히, 실시 형태간에서 서로 치환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추가로 이하의 부기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를 개시한다.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및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루 커프는, 각각,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그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흡수체의 폭방향 내방으로 이간된 부위에,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부재에 대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그 흡수체의 측부를 기립하기 위한 측부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그 흡수체의 측부를 기립하기 위한 측부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그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의 일부분에 걸치는 범위가, 상기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상기 가랑이부에 있어서 기립하는 방루 커프를 가짐과 함께,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과 상기 방루 커프의 사이에, 액이 흘러 들어가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상기 흡수성 본체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는, 방루 시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기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상기 흡수체는, 중앙 영역과 그 양측에 위치하고 그 중앙 영역보다 두께가 얇은 측부 영역을 가지며, 그 중앙 영역과 상기 측부 영역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단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철 영역이, 그 흡수체의 단차 부분을 덮고 있는, 상기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상기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상기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비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가, 상기 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 (T2) 의,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인, 상기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상기 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
상기 흡수체는,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도 흡액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상기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1>
상기 요철 영역은, 상기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부 상에 적어도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의 방루 커프의 상측 가장자리부간의 폭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폭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는, 상기 <1> ∼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2>
상기 상층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는, 구성 섬유의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 0.1 ∼ 3.3 dtex 인, 상기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3>
상기 요철 영역은,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를 가지며, 그 하층 시트를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 ∼ 2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6 dtex 인, 상기 <1> ∼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4>
상기 방루 커프가,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5>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고, 그 흡수성 코어는, 가랑이부에, 그 흡수성 코어를 관통하는 절리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6>
상기 흡수체는, 하부 흡수 코어 및 그 하부 흡수 코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겹친 상부 흡수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코어를 가지며, 상기 하부 흡수 코어는,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흡수 코어를 겹친 부위의 양측에, 상기 하부 흡수 코어를 관통하는 절리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1> ∼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7>
상기 볼록부간의 피치가, 상기 절리부에 인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두께보다 큰, 상기 <15> 또는 <16>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8>
상기 볼록부간의 피치가, 2 mm 이상 20 mm 이하인, 상기 <15> ∼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9>
상기 흡수체의 두께가 1 mm 이상 10 mm 이하인, 상기 <15> ∼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
상기 절리부의 폭이 2 ∼ 20 mm 인, 상기 <15> ∼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1>
상기 볼록부간의 피치가, 상기 절리부의 폭의 1/2 이상인, 상기 <15> ∼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2>
상기 요철 영역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또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열이, 기저귀 폭방향으로 다열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 <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3>
상기 요철 영역은,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를 가지며,
상기 상층 시트는, 오목부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에 있어서 하층 시트와 접합되어 있는, 상기 <1> ∼ <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4>
상기 볼록부는, 내부가 공동인, 상기 <1> ∼ <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5>
상기 볼록부는, 높이 (T1) 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3 mm 이하인, 상기 <1> ∼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6>
상기 볼록부를 갖는 부분의 표면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m 이하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6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4 mm 이하인, 상기 <1> ∼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7>
상기 요철 영역의 면적 10 ㎠ 당 상기 볼록부의 개수는, 20 ∼ 200 개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150 개인, 상기 <1> ∼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8>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가지며,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루 커프는, 각각,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한편,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그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평탄한 비요철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는,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된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기저귀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허리 둘레 개더를 가지며,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상기 흡수체와 겹치는 내측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접합부 및 상기 비접합 영역이, 상기 내측 신축부와 기저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9>
추가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그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는,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된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기저귀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허리 둘레 개더를 가지며,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상기 흡수체와 겹치는 내측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접합부 및 상기 비접합 영역이, 상기 내측 신축부와 기저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 있는, 상기 <1> 에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0>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체 상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체 상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28> 또는 <29>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1>
상기 내측 신축부를 갖는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28> ∼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2>
상기 내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28> ∼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3>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가, 모두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표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는,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보다 평량이 높은, 상기 <32>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4>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과,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의 평량차가, 1 g/㎡ 이상, 바람직하게는 2 g/㎡ 이상 5 g/㎡ 이하인, 상기 <33>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5>
상기 내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표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은, 3 ∼ 25 g/㎡ 인, 상기 <28> ∼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6>
상기 외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표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접착제의 평량은, 1 ∼ 20 g/㎡ 인, 상기 <28> ∼ <3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7>
상기 내측 접합부는, 가랑이부에 있어서 자유단이 되는 상기 방루 커프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의 거리가, 바람직하게는 8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인, 상기 <28> ∼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8>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기저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동일하고, 각각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그 내측 접합부와 그 외측 접합부가 늘어서 있는, 상기 <28> ∼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9>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외측 접합부와 비교해서 상기 내측 접합부가,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가 길고, 또한 그 내측 접합부와 그 외측 접합부가 병행하는 길이 (L6) 가, 그 내측 접합부의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 (L3) 의 반 이상인, 상기 <28> ∼ <3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0>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가, 모두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표면 시트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보다 넓은, 상기 <28> ∼ <3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1>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W3) 와,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W4) 의 비 (W3/W4) 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2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8 이하인, 상기 <28> ∼ <4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2>
상기 비접합 영역의,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 (W5) 는,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30 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 25 mm 이하인, 상기 <28> ∼ <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3>
상기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상기 <28> ∼ <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4>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측가장자리를 피복하는 부분, 및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도,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는, 상기 <28> ∼ <4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5>
상기 요철 영역은,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를 가지며,
상기 상층 시트에는, 상기 볼록부가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28> ∼ <4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6>
상기 볼록부는, 내부가 공동인, 상기 <28> ∼ <4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7>
상기 볼록부는, 높이 (T1) 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인, 상기 <28> ∼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8>
상기 볼록부를 갖는 부분의 표면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6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m 이하인, 상기 <28> ∼ <4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9>
상기 상층 시트를 구성하는 부직포 또는 상기 볼록부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는, 구성 섬유의 섬도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섬도 0.1 ∼ 3.3 dtex 인, 상기 <28> ∼ <4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0>
상기 요철 영역은, 상층 시트와 하층 시트를 가지며, 그 하층 시트를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1 ∼ 20 dtex,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6 dtex 인, 상기 <28> ∼ <4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1>
상기 요철 영역에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또한 일렬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열이, 기저귀 폭방향으로 다열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29> ∼ <5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2>
상기 요철 영역의 면적 10 ㎠ 당 상기 볼록부의 개수는, 20 ∼ 200 개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150 개인, 상기 <28> ∼ <5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3>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와, 그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가지며,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체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박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보다 가랑이측의 영역에,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1 개는, 흡수체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육 부분과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박육 부분이 존재하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그 표면 시트의 그 단가장자리의 피부 맞닿음면측이, 단부 커버 부직포에 의해 덮여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4>
추가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박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보다 가랑이측의 영역에,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1 개는, 흡수체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육 부분과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박육 부분이 존재하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그 표면 시트의 그 단가장자리의 피부 맞닿음면측이, 단부 커버 부직포에 의해 덮여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55>
상기 표면 시트는,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이 0.22 N 이상 0.60 N 이하이며,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이 80 % 이상인, 상기 <53> 또는 <5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6>
상기 표면 시트는,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이 0.25 N 이상 0.40 N 이하인, 상기 <53> ∼ <55>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7>
상기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이 90 % 이상 100 % 이하인, 상기 <53> ∼ <5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8>
상기 박육 부분은,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길이 (L) 가,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mm 이하인, 상기 <53> ∼ <5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9>
상기 박육 부분은, 상기 흡수체의 단부에 있어서, 그 흡수체의 전체 폭에 걸쳐 있는, 상기 <53> ∼ <5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0>
상기 흡수체는, 흡수성 코어 및 그 흡수성 코어를 싸는 코어 랩 시트를 가지며, 상기 박육 부분은, 상기 흡수성 코어로부터 연장된 상기 코어 랩 시트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인, 상기 <53> ∼ <5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1>
상기 표면 시트는, 두께가 0.7 mm 이상 7.0 mm 이하인, 상기 <54> ∼ <6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2>
상기 표면 시트는,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인, 상기 <53> ∼ <6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3>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의 입체 시트로 구성되고, 그 입체 시트는, 상기 상층 시트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그 상층 시트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53> ∼ <6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4>
상기 입체 시트는, 볼록부가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63>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5>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와 하층 시트의 접합부가 각각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기저귀 세로 방향·기저귀 폭방향의 일직선 상으로부터 접합부를 보았을 경우에, 일직선상의 일정 길이당 각각의 접합부의 합계 길이를 일방향의 합계 길이로 하고, 그 일방향의 합계 길이가 가장 긴 접합부가 기저귀 폭방향에 있는, 상기 <63> 또는 <64>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6>
상기 표면 시트는, 제 1 면측에 돌출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복수의 제 1 볼록부와, 제 2 면측에 돌출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갖는 요철 부직포로 구성되고, 그 요철 부직포는, 제 1 면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고,
제 1 볼록부는, 그 정부와 그 내부 공간의 개구부의 사이에 환상 구조의 벽부를 가지고 있고,
제 1 및 제 2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는 상이한 2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는, 상기 <53> ∼ <6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7>
제 1 볼록부의 정부로부터, 제 2 볼록부의 정부를 향하여 섬유 밀도가 높아져 있는, 상기 <66>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8>
상기 요철 부직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볼록부의 정부의 섬유 밀도가 가장 낮고, 제 2 볼록부의 정부의 섬유 밀도가 가장 높아져 있는, 상기 <66> 또는 <67>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9>
제 1 볼록부의 정부와 제 2 볼록부의 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벽부의 섬유 밀도는, 제 1 볼록부의 정부의 섬유 밀도와, 제 2 볼록부의 정부의 섬유 밀도의 중간의 값으로 되어 있는, 상기 <66> ∼ <6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0>
상기 단부 커버 부직포는,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요철 형상의 볼록부의 정부에 접합되어 있고, 볼록부의 정부끼리간에, 그 표면 시트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상기 <53> ∼ <6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1>
상기 단부 커버 부직포는,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된 가랑이부측 고정부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부재에 접합된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랑이부측 고정부와 상기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의 사이에, 다른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53> ∼ <7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2>
상기 비접합부는, 기저귀 길이 방향 (X) 에 있어서의 길이 (L1) 가,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인, 상기 <71> 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3>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 난투과성의 방루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박육 부분이 존재하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방루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상기 <53> ∼ <7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4>
상기 요철의 볼록부는, 높이 (T1) 가, 바람직하게는 0.1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하인, 상기 <53> ∼ <7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5>
상기 볼록부를 갖는 부분의 표면 시트의 두께 (T2) 는, 바람직하게는 0.7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mm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7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인, 상기 <53> ∼ <7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6>
상기 요철 영역의 면적 10 ㎠ 당 상기 볼록부의 개수는 20 ∼ 200 개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150 개인, 상기 <53> ∼ <7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7>
상기 볼록부의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저부 치수 (E) (도 27 참조) 는 0.5 ∼ 5.0 mm, 바람직하게는 1.0 ∼ 4.0 mm 인, 상기 <53> ∼ <7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8>
상기 볼록부의 기저귀 폭방향 (Y) 의 저부 치수 (F) (도 27 참조) 는 0.5 ∼ 10 mm, 바람직하게는 1.0 ∼ 7.0 mm 인, 상기 <53> ∼ <7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9>
상기 오목부는, 기저귀 길이 방향 (X) 의 치수 (G) (도 27 참조) 가, 바람직하게는 0.1 ∼ 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3.0 mm 이며, 기저귀 폭방향 (Y) 의 치수 (H) (도 27 참조) 가 0.1 ∼ 5.0 mm, 특히 0.2 ∼ 3.0 mm 인, 상기 <53> ∼ <7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0>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사이가,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기 <53> ∼ <7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1>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단부 커버 부직포의 사이가,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기 <53> ∼ <7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2>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 난투과성의 방루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방루 시트의 사이가,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기 <53> ∼ <7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3>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의 사이가, 패턴 도공된 접착제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는, 상기 <53> ∼ <2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4>
상기 흡수체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고 상기 박육 부분과 겹치는 부분을 갖는 상기 허리 둘레 탄성 부재는, 그 흡수체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그 허리 둘레 탄성 부재를 사이에 두는 2 매의 외장체 형성용 시트의 일방 또는 양방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53> ∼ <8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실시예
이하, 본 발명 (제 3 발명) 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 (제 3 발명) 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면 시트로서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의 입체 시트를 사용했다.
입체 시트는, 상층 시트에는, 심부가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PE (폴리에틸렌) 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3 dtex × 51 mm〕 로 구성된 에어스루 부직포, 하층 시트에는, 심부가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PE (폴리에틸렌) 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3 dtex × 51 mm〕 로 구성된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여, 도 28 에서 나타내는 장치로 제조했다. 그 입체 시트의,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 및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 표면 시트를 사용하여, 도 22 ∼ 도 25 에 나타내는 구성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했다. 흡수체에는, 펄프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의 혼합 적섬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성 코어의 전체를, 티슈 페이퍼로 이루어지는 코어 랩 시트로 싼 것을 사용했다. 또,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코어 랩 시트로 이루어지는 박육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외장체로서는, 외장체 형성용 시트 (15, 16) 중, 기저귀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시트 (16) (표 1 중 「외층재」) 에는, 평량 20 g/㎡ 의 에어스루 부직포를 이용하고, 기저귀의 내면측에 배치되는 시트 (15) (표 1 중 「내층재」) 에는, 평량 16 g/㎡ 의 스펀본드 부직포를 이용하고, 기저귀의 외면측에 배치되는 시트 (16) 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대한 되접어 꺾은 부분을 단부 커버 부직포 (17) 로 했다.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 로서는, 박육 부분과 겹치는 허리 둘레 탄성 부재 (91a, 91b) 를 포함하여,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굵기 780 dtex 의 사상 탄성체를 배치했다.
〔실시예 2〕
표면 시트로서 도 29 및 도 30 에 나타내는 형태의 요철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했다. 요철 부직포는, 심부가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PE (폴리에틸렌) 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 〔2.5 dtex × 51 mm〕 로 구성된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그 요철 부직포의,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 및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표면 시트로서 심부가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로 이루어지고, 초부가 PE (폴리에틸렌) 로 이루어지는 심초형 복합 섬유 〔3.0 dtex × 51 mm〕 로 구성된 평탄한 에어스루 부직포를, 평탄한 대로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했다.
Figure pct00001
〔평가〕
흡수체 (4) 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이나 위화감이 없음을 평가하기 위해서, 0.8 세 ∼ 2 세의 아이를 가진 모친 모니터 5 명에게, 기저귀의 흡수체 단부의 위화감과 피트감의 각각에 대해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시켜, 그들의 평가의 평균점을 각 기저귀의 평가점으로 했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기저귀의 흡수체 단부의 위화감의 평가 기준〕
5 : 위화감이 없다
4 : 위화감이 약간 없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위화감이 약간 있다
1 : 위화감이 있다
〔피트감의 평가 기준〕
5 : 피트감이 좋다
4 : 피트감이 약간 좋다
3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2 : 피트감이 약간 나쁘다
1 : 피트감이 나쁘다
표 1 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비교예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비해, 피트성을 유지하면서 흡수체 단부의 위화감이 없음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 (제 1 발명) 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이 우수한 데다가,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흡수 성능이나 방루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 (제 2 발명) 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는, 표면 시트가 넓은 범위에 요철을 가지며, 피부와 접촉하는 액 흡수면의 촉감이나 액 복귀 방지성이 우수한 데다가, 방루 커프가 벗겨지는 것에 의한 방루성의 저하 등도 방지된다.
본 발명 (제 3 발명) 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흡수체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피트성과 위화감이 없음을 양립시킬 수 있다.

Claims (21)

  1. 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액 유지성의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복측부, 배측부 및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웨스트 개구부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및 그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1 쌍의 방루 커프가 형성되고, 상기 방루 커프는, 각각,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 그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가랑이부에 있어서는, 기립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흡수체의 폭방향 내방으로 이간된 부위에, 비피부 맞닿음면측의 부재에 대한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 양 측부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이,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의 근방에, 그 흡수체의 측부를 기립하기 위한 측부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으로부터, 그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을 덮는 부분의 일부분에 걸치는 범위가, 상기 비요철 영역으로 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중앙 영역과 그 양측에 위치하여 그 중앙 영역보다 두께가 얇은 측부 영역을 가지며, 그 중앙 영역과 상기 측부 영역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그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단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요철 영역이, 그 흡수체의 단차 부분을 덮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길이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으로부터도 흡액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7.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볼록부가 산점상으로 형성된 요철 영역을 가지며, 그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 요철을 가지지 않는 비요철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는,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상기 흡수성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측에 접합된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 중앙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표면 시트 상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기저귀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허리 둘레 개더를 가지며, 복측부 및 배측부 중 어느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상기 흡수체와 겹치는 내측 신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방루 커프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 접합부 및 상기 비접합 영역이, 상기 내측 신축부와 기저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쳐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체 상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상기 흡수체 상에 있어서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신축부를 갖는 상기 허리 둘레 개더는, 기저귀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 접합부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비요철 영역 상에 고정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는,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보다 평량이 높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가, 상기 외측 접합부를 고정시키는 상기 접착제보다 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을 갖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 맞닿음면측에 위치하여 그 흡수성 본체를 고정하고 있는 외장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체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위치하는 길이 방향의 단부에 박육 부분을 가지며,
    상기 외장체는, 복측부 및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보다 가랑이측의 영역에,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가, 기저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기저귀 폭방향을 따라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허리 둘레 탄성 부재의 적어도 1 개는, 흡수체를 기저귀 폭방향으로 횡단하여 배치되어, 상기 박육 부분과 겹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박육 부분이 존재하는 복측부 또는 배측부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그 표면 시트의 그 단가장자리의 피부 맞닿음면측이, 단부 커버 부직포에 의해 덮여 있는, 일회용 기저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기저귀 폭방향의 벌크 소프트니스값이 0.22 N 이상 0.60 N 이하이며, 하중 20 cN/㎠ 하에서 1 분간 가압 후의 두께 회복률이 80 % 이상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두께가 0.7 mm 이상 7.0 mm 이하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요철 형상으로 부형된 상층 시트와, 요철 형상으로 부형되어 있지 않은 하층 시트가, 상기 상층 시트의 오목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된 구성의 입체 시트로 구성되고, 그 입체 시트는, 상기 상층 시트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그 상층 시트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시트는, 볼록부가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9.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제 1 면측에 돌출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복수의 제 1 볼록부와, 제 2 면측에 돌출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복수의 제 2 볼록부를 갖는 요철 부직포로 구성되고, 그 요철 부직포는, 제 1 면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향해지는 피부 맞닿음면을 형성하고 있고,
    제 1 볼록부는, 그 정부와 그 내부 공간의 개구부의 사이에 환상 구조의 벽부를 가지고 있고,
    제 1 및 제 2 볼록부는, 상기 부직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교차하는 상이한 2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0. 제 14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 부직포는,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요철 형상의 볼록부의 정부에 접합되어 있고, 볼록부의 정부끼리간에, 그 표면 시트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21. 제 14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 부직포는, 상기 표면 시트에 접합된 가랑이부측 고정부와,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단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부재에 접합된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랑이부측 고정부와 상기 웨스트 개구부측 고정부의 사이에, 다른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부를 가지고 있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0167035984A 2014-07-22 2015-07-14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1766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8782A JP6371152B2 (ja) 2014-07-22 2014-07-22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4-148782 2014-07-22
JPJP-P-2014-150259 2014-07-23
JP2014150259A JP5932910B2 (ja) 2014-07-23 2014-07-23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4157928A JP6442181B2 (ja) 2014-08-01 2014-08-01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4-157928 2014-08-01
PCT/JP2015/070124 WO2016013448A1 (ja) 2014-07-22 2015-07-14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12A true KR20170004012A (ko) 2017-01-10
KR101766623B1 KR101766623B1 (ko) 2017-08-08

Family

ID=5516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984A KR101766623B1 (ko) 2014-07-22 2015-07-14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766623B1 (ko)
CN (1) CN107205852B (ko)
BR (1) BR112017000890B1 (ko)
RU (1) RU2632379C1 (ko)
WO (1) WO20160134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40A (ko) * 2018-06-01 2020-10-3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0605B2 (ja) * 2015-11-20 2017-08-1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7086081A1 (ja) * 2015-11-20 2017-05-26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250719B2 (ja) * 2016-02-29 2017-12-2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6551758A (zh) * 2016-11-07 2017-04-05 邓攀 一种纸尿裤的悬浮芯体连接结构
EP3875067A4 (en) * 2018-10-29 2022-06-29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O2021149669A1 (ja) * 2020-01-23 2021-07-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05628B2 (ja) * 2020-01-23 2023-12-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3000880A (ja) * 2021-06-18 2023-01-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3000879A (ja) * 2021-06-18 2023-01-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CN114617712A (zh) * 2022-01-28 2022-06-14 广东康怡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快速吸收的夜用卫生巾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826A (ja) 1995-07-14 1997-03-3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2003038556A (ja) 2001-07-31 2003-02-12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7029482A (ja) 2005-07-28 2007-02-08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9118921A (ja) 2007-11-12 2009-06-04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445A (ja) 2007-12-21 2009-07-0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55561A (ja) 2012-06-11 2013-12-26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20625A1 (es) * 1998-08-06 2002-05-22 Kimberly Clark Co Articulo absorbente con elasticos mas ajustables
JP3989218B2 (ja) * 2001-10-12 2007-10-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245508B2 (ja) * 2004-04-27 2009-03-25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522308B2 (ja) * 2005-02-10 2010-08-1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8839B2 (en) * 2005-10-14 2011-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barrier leg cuff structure and an elastically stretchable side panel
JP4871095B2 (ja) * 2006-04-06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EP2189562B1 (en) * 2007-08-28 2014-11-12 Kao Corporation Shaped sheet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JP5394654B2 (ja) * 2007-12-28 2014-01-22 花王株式会社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566596B2 (ja) * 2008-11-17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EP2601922A1 (en) * 2010-08-03 2013-06-12 Kao Corporation Absorbent pants
JP6116809B2 (ja) * 2012-03-22 2017-04-1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5726120B2 (ja) * 2012-03-30 2015-05-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TWI504385B (zh) * 2012-07-18 2015-10-21 Kang Na Hsiung Entpr Co Ltd A guide sheet for an absorbent articl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molding di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826A (ja) 1995-07-14 1997-03-31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パンツ型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2003038556A (ja) 2001-07-31 2003-02-12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07029482A (ja) 2005-07-28 2007-02-08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9118921A (ja) 2007-11-12 2009-06-04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9148445A (ja) 2007-12-21 2009-07-09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13255561A (ja) 2012-06-11 2013-12-26 Kao Corp 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40A (ko) * 2018-06-01 2020-10-30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00890A2 (pt) 2017-11-21
BR112017000890B1 (pt) 2022-05-03
CN107205852B (zh) 2018-10-09
RU2632379C1 (ru) 2017-10-04
WO2016013448A1 (ja) 2016-01-28
KR101766623B1 (ko) 2017-08-08
CN107205852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623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TWI706773B (zh) 吸收性物品的伸縮結構及其製造方法
JP6029026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TWI705804B (zh) 內褲型拋棄式尿布
JP644218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170131423A (ko) 흡수성 물품의 신축 구조, 및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JP2008154606A (ja) 吸収性物品
TWI678194B (zh) 吸收性物品
JP6268475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2010148730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93291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757182B2 (ja) 吸収性物品
JP2015171503A5 (ko)
WO2007023965A1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体の製造方法
TWI717458B (zh) 吸收性物品的伸縮結構
JP637115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800795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JP2017108884A (ja) 吸収性物品
WO2017086327A1 (ja) 吸収性物品
JP2013111419A (ja)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WO2017208775A1 (ja) 吸収性物品
JP2023000879A (ja) 吸収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7164370B2 (ja) 吸収性物品
JP7382239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