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83A -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83A
KR20170003883A KR1020160171791A KR20160171791A KR20170003883A KR 20170003883 A KR20170003883 A KR 20170003883A KR 1020160171791 A KR1020160171791 A KR 1020160171791A KR 20160171791 A KR20160171791 A KR 20160171791A KR 20170003883 A KR20170003883 A KR 2017000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medical
patient
pharmacy
stat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083B1 (ko
Inventor
전대연
Original Assignee
전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연 filed Critical 전대연
Priority to KR102016017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F19/345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초진인지 확인하고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인지 확인한다
진료를 받은 다음 병원으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받고 결제한 후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받는다.
약국에서 처방전에 따른 약제비명세서를 받고 결제한 후 약제비명세서를 받는다.
진료비세부내역서와 약제비명세서를 환자와 병원 또는 약국으로부터 심사평가원이 받는다
두개의 내역서와 두개의 명세서를 심사평가원이 비교하여 부정청구여부를 가리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The method for knowing the first medical exam. and for classification of hospital with the prepayment of the first medical exam. and the medical expenses-unjust-bill-prevention app system}
본 발명은 진료를 받고 병원으로부터 수신한 진료비세부내역서에 따른 비용을 지불한 다음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 받아 본 다음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병원에서 처방전을 수신받아 약국에서 약제비시스템에 의해 작성된 약제비명세서를 작성하고 약값지불 후 약국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약제비명세서를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 받아본 다음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병원을 방문하면 초진비를 선불로 받는 병원이 있다.
이 경우 초진을 구분하고 초진비 선불인 병원을 구분한다.
선불로 지급된 진찰료를 진료비세부내역서에 반영하여 의료비 부정청구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노령층이던 청소년층이던 병원을 이용하는 인구가 연간 수천만명이 넘는다. 의료비가 기하학적으로 증가한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는 의료보험제도가 있어 환자의 부담을 많이 줄여주고 있다. 그러나 정직하지 못한 의료기관이 환자진료를 허위로 기록하거나 진료횟수를 뻥튀겨서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의료비를 부정수급해가는 경우가 종종있다.
약국도 예외는 아니다. 병원과 약국이 공모하여 부정수급하여 적발되는 경우가 연중행사이다.
이는 건강공단의 부실로 이어져 국민에게 부담을 안겨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노년층인 경우 스마트폰사용이 쉽지 않아 부정청구방지앱을 거의 전자동으로 작동케하고 또는 전용앱을 설치하는 전용단말기로 부정청구를 원천 봉쇄하도록 하는 방안이 제기된 점이다.
등록번호 10-1600934 :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초진을 구분하고 초진비를 선불로 받는 병원을 구분한다.
진료를 받으려면 초진비를 내야하기 때문에 위의 구분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병원에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받고 청구금액을 지불하고 다시 병원에서 받은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을 약국으로 가져가서 (또는 약국으로 전송해서) 약값을 지불한 다음 약국으로부터 받은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심사평가원은 병원 또는 약국으로부터 받은 자료와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비교하여 심사평가한다.
초진은 병원을 처음 방문한 경우 또는 같은 병원을 방문 했는데 진료과목이 다른 경우 또는 최근 진료 후 3개월이 지난 경우이다
병원을 방문하면 병원정보와 환자정보를 획득한다
앱내에 병원정보데이타테이블 및 환자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각각의 테이블에 획득한 병원정보데이타와 환자정보데이타를 저장한다
여기서 병원을 처음 방문했다는 뜻은 병원을 그냥 방문한 것이 아니라 진료를 한번이라도 받은 적이 있는 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처음 진료를 받은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방문한 병원에 해당하는 환자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앱내 환자정보데이타를 확인한다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처음 방문하는 병원이다 같은 병원을 방문했지만 진료과목이 달라도 초진이다
진료기록데이타를 획득하여 앱내 진료기록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진료과목을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여 환자가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환자 본인이 처음 진료받는 과목이라면 NO 버튼을 누르고 진료과목 신청한다. 초진이다.
최근 진료 받은 후 3개월이 지나도 초진이다
방문했을 당시 진료과목이 맞는 경우 Yes 버튼을 누른 시각은 방문시각이다. 앱내 진료기록데이타테이블의 값중에 최근 진료일시가 저장되어 있다
방문시각과 최근진료일시를 비교하여 3개월이 지났으면 초진이다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은 앱내 초진비 선불 병원 데이타테이블 만든다 선불인 병원데이타를 입력한다. 병원정보를 획득한 병원고유번호와 초진비 선불 병원 데이타테이블 값의 병원고유번호가 맞는지 확인한다 또는 획득한 병원정보데이타에 선불병원 식별코드가 있어 병원정보데이타에 선불병원식별코드값이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진료를 받고 병원에서 받은 모바일진료비세부내역서의 청구금액을 지불하고 병원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모바일진료비세부내역서를 받아 본 다음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병원으로부터 받은 모바일처방전을 약국을 방문해서 (또는 약국으로 전송해서) 약국의 약제비시스템에 의해 약제비명세서의 비용을 지불하고 약국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모바일 약제비명세서를 받아본 다음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한다.
심사평가원은 병원에서 받은 진료비세부내역서와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부터 받은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비교 또는 병원으로부터 받은 진료비세부내역서내의 처방전번호와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부터 받은 약제비명세서와 약국으로부터 받은 약제비명세서를 비교하여 심사평가시 부정청구를 방지하도록 한다.
1. 환자가 보낸 자료와 병원 또는 약국에서 보낸 자료를 심사평가원이 상호비교하여 부당청구를 방지 한다.
2. 의료비 부당청구를 방지하여 건강보험공단의 재정건정성을 튼튼히 한다.
3. 전용앱이 설치된 전용단말기의 의무사용과 남녀노소 사용하기 쉬워 부정청구를 원천봉쇄하는데 도움을 준다.
4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방문시 자동으로 초진 및 초진비 선불병원을 구분하여 환자가 신경쓰지 않게 한다
5 환자등록을 온라인상으로 환자 또는 보호자가 하여 병원업무를 경감시킨다
6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하여 미리 약을 조제케하여 약국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없앤다
도 1a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
도 1b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 (진료비)
도 1c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 (약제비)
도 2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단계도
도 2-1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단계도
도 3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흐름도
도 3-1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흐름도
도 4 심사평가원 시스템 흐름도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진료비세부내역서 또는 약제비명세서의 데이타는 병원에서 심사평가원으로 보내는 진료비세부내역서데이타와 약국에서 심사평가원으로 보내는 약제비명세서데이타와 같다.
만일 다를 경우 환자스마트폰에서 또는 환자전용폰에서 진료비세부내역서 또는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보내는 진료비세부내역서 또는 약제비명세서에 맞추는 기능을 포함한다.
약제비시스템은 약제비소프트웨어와 약제비단말기 및 스캐너를 포함한다.
의료비는 급여부분, 비급여부분이 있으며 비급여부분은 본인이 100% 부담하고, 급여부분은 공단부담금과 본인부담금이 있다.
영수금액은 본인부담금과 공단부담금이 있는데 본인부담금은 비급여부분과 급여부분이 있어 이를 구분하여
본인부담금은 비급여부분은 본인부담금1로 급여부분은 본인부담금2로 세분한다. 환자전용폰은 스마트폰기능중 통화기능과 본 앱이 실행될 수 있는 최적화된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다.
도 1a는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b는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진료비)
도 1c는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구성도이다 (약제비)
도 2는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단계도이다
도 2-1은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단계도이다
도 3은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3-1은 의료비 부정청구방지앱 시스템 흐름도이다
도 4는 심사평가원 시스템 흐름도이다
요즈음은 대형병원은 비콘을 활용하여 환자서비스를 강화한 곳이 있다. 중소규모의 병원 또는 의원급은 아직은 시기가 무르익지 않았다. 그래서 위치기반한 비콘을 활용하는 방법과 비콘을 활용하지 않는 방법을 병행하여 기술한다.
병원입구에 도착하면 본 발명의 앱이 구동되거나 구동한다.
S1은 병원명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병원명을 획득하는 방법은 3가지로 기술한다.
첫번째는 GPS 이용이다
앱내에 병원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병원정보데이타는 병원고유번호, 병원이름, 병원주소, 원장명, 사업자 번호, 병원 id, 초진비 선불표시이다.
병원 id는 e-mail 주소 또는 ip 주소 또는 웹발신번호 또는 전송번호이다.
병원입구에 도착하면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의 GPS값과 병원정보데이타중 GPS값으로 변환된 병원주소와 매치되는 병원이름을 찾아낸다.
두번째는 비콘이용이다.
앱에 비콘기능을 부여하여
병원입구에 들어서면 모든 사람에게 병원명을 알려준다 병원시스템내의 병원정보데이타를 수신 또는 획득하여 앱내 병원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세번째는 NFC태그로부터 병원명을 획득한다.
NFC태그데이타는 병원정보데이타이다.
병원입구에 NFC태그를 부착한다.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여 병원입구에서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으로 NFC태그를 태깅하여 병원명을 획득한다.
S2는 예약확인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예약은 초진을 하고 재진시의 진료예약을 뜻한다
앱내에 예약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예약정보데이타를 획득하거나 앱내에 예약정보데이타 (수동으로 입력한)가 있는지 확인한다
예약정보데이타는 병원고유번호, 병원명, 의사명, 환자고유번호, 환자명, 진료과목, 예약시각, 예약코드이다. 예약시각은 년월일시분이고 예약코드값은 예약은 "1"값이고 미예약은 "0"값이다.
먼저 예약정보데이타 중 병원고유번호와 예약코드를 비교한다
예약이 안되었다면 S3 단계로 간다. 비교값이 같다면, 예약이 되어있다면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지났는지를 확인한 다음 진료과목이 맞나 확인한다. 진료과목을 화면에 표시한다.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지났는지, 안지났는지 확인방법은 예약확인 하는 날짜인 방문날짜와 예약정보데이타 중 예약시각을 비교한다. 방문날짜는 병원고유번호와 예약코드를 확인하는 날짜이다.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지났으면 예약정보데이타테이블의 데이타를 리셋한다.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안지났으면 진료과목이 맞나 확인한다. 진료과목이 맞지 않으면 NO 버튼을 눌러 S5 단계로 간다 진료과목이 맞으면 Yes 버튼을 누르고 방문시각과 예약시각을 비교한다. 방문시각은 Yes 버튼을 누른 시각이다. 방문시각과 예약시각을 화면에 표시한다. 비교값이 같으면 S10 단계 또는 S40 단계로 간다. 앱내에 Yes 버튼, NO 버튼을 만든다.
비교값이 다르면 간호사와 시간조정하여 진료받도록 한다. 간호사와 시간조정한 후 S10 단계 또는 S40 단계로 간다 진료과목이 맞나 안맞나하는 확인방법은 앱내에 예약정보데이타 중 진료과목을 화면에 표시한다.
진료과목이 맞으면 Yes 버튼을 누르고 맞지 않으면 NO 버튼을 누른다.
방문날짜와 예약날짜는 년월일을 포함하고 방문시각과 예약시각은 년월일시분을 포함한다
S3는 초진여부 확인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초진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처음 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를 받는 경우 또는 같은 병원을 방문했는데 진료과목이 다른 진료를 받는 경우 또는 진료 받은 후 3개월이 지난 후 같은 진료를 받는 경우이다.
첫번째는 처음병원을 방문해서 진료받는 경우이다.
이 경우 병원을 처음 방문해서 초진확인방법은 환자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앱내에 환자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환자정보데이타는 병원고유번호, 병원명, 환자고유번호, 환자명, 환자주민번호, 환자스마트폰번호, 보호자스마트폰번호, 환자전용폰번호이다.
병원을 방문하여 병원명을 획득한 후 환자정보를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수신받아 (또는 획득하여) 앱내 환자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처음 방문인 경우 환자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 앱내 환자정보데이타테이블의 데이타는 값이 없다.
등록이 안되어 있다면 S4 단계로 간다.
등록이 되어 있다면 처음 방문이 아니어서 두번째 경우인 같은 병원을 방문했는데 진료과목이 맞는지 확인한다.
확인방법은 앱내에 진료기록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진료기록데이타를 획득하여 앱내 진료기록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진료기록데이타 중 진료과목을 화면에 표시한다. 진료과목이 맞으면 Yes 버튼을 눌러 세번째 경우인 진료받은 후 3개월이 지났는지 확인한다.
진료과목이 다르면 NO 버튼을 누르고 S5 단계로 간다.
앱내에 Yes 버튼, NO 버튼을 만든다
세번째를 확인하는 방법은 진료기록데이타 중 마지막 진료일시와 Yes 버튼을 누르 시각을 비교한다. 3개월이 지났으면 초진이다.
S6 단계로 간다. 3개월 이내이면 S10 단계 또는 S40 단계로 간다
S4는 환자정보데이타 등록단계이다.
환자정보등록은 두가지로 한다.
첫번째 방법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환자정보등록하는 곳에 가서 직원이 환자정보를 입력하여 병원시스템에 등록한다
두번째는 병원시스템으로부터 환자고유번가 있는 환자정보등록신청서를 수신하고 환자정보입력창에 입력하여 환자정보데이타를 등록한다. (환자정보DB에)
S5는 진료과목 선택단계이다.
S4 단계의 첫번째 방법같이 직원이 진료과목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S4 두번째 방법같이 스마트폰의 진료과목입력창에서 진료과목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병원시스템으로 전송한다.
S6는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S1의 병원명을 획득하는 단계에서 병원정보데이타를 획득했다. 병원정보데이타 중 선불표시가 있다. 선불표시에서 "1" 값은 선불병원이고 그외의 값은 선불병원이 아닌다.
병원정보데이타 중 선불표시값이 어떤 값을 갖는지 확인한다.
S7은 진찰료만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병원시스템에서 초진 진찰료만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보내면 환자스마트폰에서 수신하고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결제창도 같이 보내준다.
S8은 진찰료 결제단계이다.
수신한 결제창에 진찰료를 결제한다.
오프라인상으로는 병원내의 ATM기로 결제한다.
S9는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초진 진찰료를 결제하면 진찰료를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화면에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표시한다.
S10은 진료실 진입시각 및 진료의사정보 획득단계 진료실입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거나 비콘을 설치한다.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폰으로 태킹하여 NFC 태그데이타를 수신한다.
앱내에 진료시작시각테이블과 진료의사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진료시작시각은 스마트폰으로 NFC 태그를 태킹한 시각 또는 NFC 태그데이타를 진료의사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 시각이며 년월일시분을 포함한다.
NFC 태그데이타는 진료의사정보데이타이며 진료의사명, 의사면허번호, 진료과목이다.
비콘을 진료실입구에 설치한 경우 진료실에 들어가면서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진료의사정보데이타를 수신 또는 획득하여 앱내 진료의사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비콘을 인식한 시각 또는 병원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진료의사정보데이타를 앱내 진료의사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 시각이 진료시작시각이다. 진료시작시각을 진료시작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20은 다음 진료시간을 예약하는 단계이다.
이는 선택사항이다.
예약하는 방법은 앱내 예약정보입력창에 예약정보데이타를 입력하여 예약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병원명, 의사명, 진료과목은 진료의사정보데이타테이블에서 가져오고 예약시각만 입력창에 입력한다. 예약시각은 년월일시분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은 진료의사가 병원시스템에 예약정보데이타를 입력한다. 병원시스템 APi 이용하여 앱내 예약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된다.
이 두 방법은 S2의 예약확인하는 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S30은 진료실을 나오는 시각을 획득하는 단계이다.
진료종료시각은 년월일시분을 포함한다
진료가 끝나면 진료실을 나오면서 진료실문에 부착된 NFC 태그를 스마트폰으로 태킹한다 NFC 태그를 태킹한 시각이 진료종료시각이다.
비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비콘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시각을 진료종료시각으로 본다. 비콘이 진료실문앞에 설치되어 있고 인식거리를 짧게 잡으면 진료실을 나서자 마자 비콘신호가 끊어진다. 또는 진료의사가 병원진료시스템에서 진료종료버튼을 클릭한다. 병원진료시스템내의 종료시각은 병원시스템 APi를 이용하여 앱내 진료종료시각테이블에 저장한다.
S40 병원으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스마트폰화면에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표시하는 단계 진료가 끝나면 병원으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받는다.
이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에서 수신하고 폰화면에 나타낸다.
S50은 진료비 결제단계이다.
진료비는 진찰료 포함 각종 검사비용을 포함한다
진료비결제는 병원의 ATM 기기로 또는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면 스마트폰 화면에 결제창이 나타난다.
모바일간편결제서비스이다
S60은 병원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진료비를 결제하면 병원시스템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수신한 진료비세부내역서데이타를 앱내 진료비세부내역서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환자 또는 보호자 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화면에 진료비내역서를 표시한다
S70은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환자 또는 보호자는 건강보험공단심사평가원에 Edi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폰화면에 표시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3~5분간 폰화면에 보였다가 자동으로 전송하거나 폰화면에 전송버튼을 만들어 폰화면의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확인하고 전송버튼을 눌러 심사평가원으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전송한다.
전송버튼은 심사평가원 id를 포함한다.
앱내에 심사평가원 id 테이블을 만든다.
S80은 진료비세부내역서의 처방전번호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진료가 끝나면 의사는 환자가 약복용이 필요할 시 처방전을 제공한다. 처방이 되면 진료비세부내역서에 처방전번호가 기재되어 있다. 앱내 진료비세부내역서데이타테이블의 처방전번호를 확인한다. 처방전번호가 있다면 S90 단계로 간다
S90은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의사가 처방한 경우 병원시스템으로부터 QR코드가 인쇄된 처방전을 수신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화면에 처방전을 표시한다.
또는 처방전을 수신하여 앱내 처방전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처방전데이타는 현재 병원에서 발행하는 처방전데이타와 함께 약국명과 약국 id 또는 약사 id가 포함된다.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처방전을 표시한다. (QR코드내에 약국명과 약국id 또는 약사 id가 포함된다)
이때의 약국은 병원이 지정하는 약국이다. 지정약국은 병원근처에 있다
S100 약제비명세서를 약제비시스템의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단계이다
약국을 방문하면 약제비시스템의 스캐너로 스마트폰화면의 처방전내 QR코드를 읽고 약제비명세서를 약국단말기 화면에 나타낸다. 약국단말기는 약제비시스템의 단말기이다.
S110 약값 결제단계이다
오프라인에서 일어나는 단계이다. 약값을 지불한다
카드지불은 약제비시스템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현금은 오프라인이다
S120 약제비명세서에 영수금액기재 또는 입금표시 단계이다
약값을 결제하면 약제비명세서의 영수금액란액에 영수금액기재하거나 입금표시한다.
카드지불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현금은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진다.
S130 약제비시스템에서 약제비명세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약값을 확인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전송한다.
처방전 내 QR코드에는 환자정보데이타가 있다.
환자정보데이타 중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번호 또는 환자전용폰번호로 전송한다.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진다.
S140 약국으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고 약제비명세서를 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약제비시스템으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고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화면에 약제비명세서를 나타낸다. 폰화면에 3~5분 정도 약제비명세서를 나타내고 S150 단계로 간다.
S150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40 단계에서 자동으로 S150 단계를 거치거나 S140 단계에서 폰화면에 전송버튼을 만들어 약제비명세서를 확인한 다음 전송버튼을 누르면 심사평가원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앱내에 전송버튼을 만든다. 전송버튼은 심사평가원 id를 포함한다. 환자 또는 보호자는 심사평가원 Edi 회원으로 등록한다. 앱내에 심사평가원 id 테이블을 만든다.
S100 ~ S130 단계는 본 앱과는 별도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다 (약제비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단계) 이를 온라인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S90 단계 이후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는다.
S101 해당병원근처 약국을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약국메뉴에서 약국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앱내에 병원당 약국정보데이타테이블을 만든다.
병원당 약국정보데이타는 병원고유번호, 병원명, 약국고유번호, 약국명, 약국 id, 약사 id 이다
전국 약국정보데이타는 도별, 구별, 동별, 약국고유번호, 약국명, 약국 id, 약사 id 이다.
약국 id는 e-mail 주소, 또는 웹발신번호 또는 전송코드이다.
약사 id는 e-mail 주소 또는 스마트폰번호 또는 SNS계정이다
병원에 해당하는 약국 List가 폰화면에 표시된다.
약국메뉴에서 원하는 약국을 선택한다.
또는 병원시스템에서 약국정보를 수신받아 스마트폰 앱내 병원당 약국정보데이타테이블에 저장한다.
S102 선택한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1 단계에서 선택한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한다.
선택하는 약국에는 병원근처의 병원지정 약국도 포함된다.
또는 약국메뉴에는 전국적인 약국들이 나열되어 있어 전국에 있는 약국 중에 1곳을 선택한다 전송대상은 병원당 약국정보데이타 또는 전국약국정보데이타에서의 약국 id 또는 약사 id 이다.
선택한 약국이란 약국 id 또는 약사 id를 포함한다.
처방전내에 병원이 지정한 약국이 있다면 S101 단계에서 처방전과 약국명을 환자스마트폰화면에 보여주고 S102 단계에서 지정한 약국으로 바로 처방전을 전송한다. S101 단계에서 약국명을 보여주는 동시에 약국을 찾아가는 지도를 제공한다
S105 선택한 약국에서 수신하고 약제비시스템에서 처방전 내 QR코드를 스캐너로 읽고, 약제비명세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2 단계에서 전송한 처방전을 선택한 약국에서 수신하고 약제비시스템에서 처방전내 QR코드를 스캐너로 읽는다. 약제비명세서가 약국단말기에 표시된다
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가 자동전송하거나 약국단말기에서 전송버튼을 눌러 약제비명세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약제비명세서 전송방법은 약국단말기에 전송버튼을 만든다.
전송버튼은 QR코드내 환자정보데이타 중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번호 또는 환자전용폰번호를 포함한다.
S115 약제비 결제 단계이다
약제비시스템에서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면 스마트폰화면에 결제창이 나타난다.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이다
S125 결제확인과 영수금액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약제비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약제비시스템 내에 결제코드테이블을 만든다
결제코드값 "1"은 결제가 이루어졌다는 뜻이고 그 이외값은 미결제라는 의미이다.
결제가 이루어지면 결제코드테이블값은 "1"이다.
결제확인 후 약제비시스템 내 청구금액란의 청구금액과 영수금액란의 영수금액을 비교한다. 비교값이 맞으면 영수금액이 정확하게 결제됐음을 의미한다. 비교값이 맞으면 S135 단계로 간다.
비교값이 다르면 환자스마트폰 또는 환자전용폰으로 결제금액이 맞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재결제요청을 한다.
미결제시에는 7일간 기다린다. 처방전 유효기간이 7일이다. 7일 이후에도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수신한 처방전을 삭제한다.
S135 약제비명세서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25에서 약제비명세서의 청구금액과 영수금액이 맞으면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전송한다.
S140 약국으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고 약제비명세서를 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S150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105, S125, S135 단계는 약제비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도 4는 심사평가원시스템 흐름도이다
진료비부정청구를 방지하는 방법은 심사평가원은 병원으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고, 환자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수신하여, 비교값이 맞으면 정확하게 공단부담금을 청구한 것이고 다르면 부정하게 공단부담금을 청구한 것이다.
또는 공단부담은 같을 지라도 자기부담금의 차이로 비교값이 다르면 병원의 비리를 적발한다.
약제비 부당청구 방지하는 방법은 심사평가원은 병원으로부터 진료비세부내역서 내 처방전번호를 획득하고 처방전번호에 맞는 약국으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고, 환자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여, 비교값이 맞으면 정확하게 공단부담금을 청구한 것이고 다르면 부정하게 공단부담금을 청구한 것이다.
또는 공단부담금은 같을 지라도 자기부담금의 차이로 비교값이 다르면 약국의 비리를 적발한다
환자전용폰은 GPS기능, NFC기능, Ble 기능이 있고, 병원시스템, 약제비시스템, 심사평가원과 데이타전송이 가능한, 본앱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최소한의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이다.

Claims (26)

  1. 병원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진료비를 청구한다.
    병원의 진료비부정청구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료실에 들어가서 진료를 받고 난 후 병원으로부터 진료비가 청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환자스마트폰화면에 나타난 결제기능으로 또는 병원 내 설치된 ATM기기로 진료비를 결제하는 단계;
    병원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환자스마트폰으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2. 약국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약제비를 청구한다
    약국의 약제비 부정청구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처방전을 표시하는 단계;
    약국을 방문하면 약제비시스템의 스캐너로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한 처방전내 QR코드를 읽고, 약제비명세서를 약제비시스템의 단말기화면에 표시하고, 약값을 결제하면 영수금액을 확인 후 영수금액이 기재된 약제비명세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수신한 약제비명세서를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3. 약국에서 건강보험공단으로 약제비를 청구한다
    약국의 약제비 부정청구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처방전을 표시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에 나타난 병원근처에 있는 약국 또는 전국에 있는 약국중에서 약국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
    선택한 약국에서 처방전을 수신하여 약국단말기 또는 약사스마트폰화면에 처방전을 표시하고 약제비시스템의 스캐너로 처방전 내 QR코드를 읽고, 약제비시스템단말기에 약제비명세서를 나타내고 약제비시스템에서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전송하는 단계;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있는 결제기능으로 결제하는 단계;
    약제비시스템에서 결제확인과 영수금액을 확인하는 단계;
    약제비시스템에서 결제확인이 되고 약제비명세서의 청구금액과 영수금액이 같다면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전송하고 수신한 약제비명세서를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심사평가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진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을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는 단계;전에
    앱내 진료비세부내역데이타인 처방전번호가 있는 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병원을 방문하였는데 초진인 경우
    진료실에 들어가서 진료를 받고 난 후 병원으로부터 진료비가 청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전에
    병원명을 획득하는 단계;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
    초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처음 병원을 방문한 경우
    초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후에
    병원에 환자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진료과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인 경우
    진료과목을 선택하는 단계;후에
    병원정보데이타로부터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초진비가 선불인 병원인 경우
    병원으로부터 진찰료만 청구된 진료비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진료비내역서를 표시하는 단계;
    환자스마트폰화면에 나타난 결제기능으로 초진비를 결제하는 단계;
    병원으로부터 영수금액이 기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진료의사의 진찰시간을 알기 위해
    진료실에 들어가서 진료를 받고 난 후 병원으로부터 진료비가 청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표시하는 단계;전에
    진료실 진입시각 획득 및 진료의사정보 확인단계;
    진료실 나오는 시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진료실에 들어가서 진료를 마친 후 진료실을 나오기전에 다음 진료를 위해
    진료예약시간을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는
    앱내 예약정보데이타테이블에 예약코드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예약이 있는 경우 방문날짜와 예약날짜를 확인하는 단계;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지나지 않았다면
    진료받는 진료과목인지 확인하는 단계;
    진료과목이 맞으면 Yes 버튼을 누르고
    방문시각이 예약시각 내에 있는 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방문날짜가 예약날짜를 지나지 않았다면
    진료받는 진료과목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진료과목이 다르면 NO 버튼을 누르고
    진료과목을 선택하는 단계;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방문시각이 예약시각 내에 있다면
    진료실 진입시각 획득 및 진료의사 정보획득단계;로 가거나 또는 진료를 받고 난 후 병원으로부터 진료비가 청구된 진료비세부내역서를 환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초진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처음 방문하는 병원인지 확인하는 단계; 또는
    같은 병원을 방문했지만 진료과목을 확인하는 단계; 또는
    같은 병원, 같은 진료과목이지만 최초 진료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지났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환자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환자정보등록하는 곳에 가서 직원이 환자정보를 병원시스템에 입력하거나 또는 병원시스템으로부터 환자고유번호가 있는 환자정보등록신청서를 환자 또는 보호자스마트폰으로 수신하고 환자스마트폰화면의 환자정보입력창에 입력하여 병원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16. 병원으로부터 환자가 받는 진료비세부내역서는 모바일진료비세부내역서
  17. 병원으로부터 환자가 받는 처방전은 모바일처방전
  18. 약국으로부터 환자가 받는 약제비명세서는 모바일약제비명세서
  19. 환자전용폰은 GPS기능 또는 NFC기능 또는 BLE기능이 있는, 병원시스템 또는 약제비시스템 또는 심사평가원시스템과 데이타전송이 가능한,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앱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최소한의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
  20. 심사평가원시스템은 환자스마트폰에서 보낸 진료비세부내역서와 병원에서 보낸 진료비세부내역서를 비교하는 단계;를 거쳐 의료비 부정청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심사평가원시스템은 병원으로부터 처방전번호를 수신하고, 약국으로부터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고, 환자스마트폰으로 약제비명세서를 수신하여 처방전번호와 일치하는 수신한 두개의 약제비명세서를 비교하는 단계;를 거쳐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를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3항에 있어서
    처방전에 병원이 지정하는 약국정보데이타를 포함시켜 약국을 선택하고 선택한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를 병원으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여 환자스마트폰화면에 처방전과 약국명을 표시하고 지정한 약국으로 실시간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가 대신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지정약국은 병원근처에 있으나 여러약국들이 자리잡고 있어 지정약국을 찾아가는 지도기능있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24. 제11항에 있어서
    방문시각이 예약시각내에 있는 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환자 또는 간호사가 방문시각과 예약시각을 알게 하기 위해 환자스마트폰화면에 방문시각과 예약시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25. 제2항에 또는 제3항에서
    환자스마트폰화면 또는 약국단말기화면 또는 약사스마트폰화면에 있는 모바일처방전을 스캔하여 약제비시스템의 화면에 약제비명세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26. 제3항에 있어서
    약제비시스템에서 영수금액 확인단계;에서
    청구금액과 영수금액이 다르면 약제비시스템에서 환자스마트폰으로 결제금액이 맞지 않다는 메시지와 결제 재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구분과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방법
KR1020160171791A 2016-12-15 2016-12-15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시스템 KR102400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91A KR102400083B1 (ko) 2016-12-15 2016-12-15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91A KR102400083B1 (ko) 2016-12-15 2016-12-15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83A true KR20170003883A (ko) 2017-01-10
KR102400083B1 KR102400083B1 (ko) 2022-05-20

Family

ID=5781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91A KR102400083B1 (ko) 2016-12-15 2016-12-15 의료비 부정청구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0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447A (ko) * 2008-04-18 2009-10-22 (주)인터랙티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7480A (ko) * 2013-04-25 2014-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의료비용 수납처리 장치
KR101600934B1 (ko)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0447A (ko) * 2008-04-18 2009-10-22 (주)인터랙티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7480A (ko) * 2013-04-25 2014-1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의료비용 수납처리 장치
KR101600934B1 (ko) 2015-08-31 2016-03-09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스마트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083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4679A1 (en) System for processing retail clinic claims
US2021022549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06004404A (ja) 医療費会計処理方法、医療費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スキップ端末
KR20180003064A (ko)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06912A (ja) 予約手続支援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5796782A (zh) 导诊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09273068A (zh) Dtp药房管理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JP2012068838A (ja) 共通診察券管理システム
CN111081363B (zh) 急诊留观管理系统及方法
JP2023181380A (ja) 管理サーバ、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689912B2 (ja) 精算処理装置、精算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精算処理システム
KR20170003883A (ko)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
US20140288949A1 (en) Telephonic Device Payment Processing
US201801141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atient of Medical Practice
KR20180085372A (ko) 처방정보 약국 전송방법
JP2003067484A (ja) 診療費用等支払システム
EP1736926A1 (en) Electronic health book
KR100452793B1 (ko) 전자건강보험 카드를 이용한 건강보험 인증 시스템
CA3103533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ociating a user of an application with an order made at a retail location
US6873959B2 (en) Method for accelerated provision of funds for social services directly to an individual using a smart card
JP2002297911A (ja) 保険金支払システム、保険金支払方法、並びに保険金支払用サーバ
JP2006107218A (ja) 医療施設における医療費支払い方法
JP2023087850A (ja) 患者情報管理システム、受付装置、支払装置、患者情報記録装置、患者情報管理方法、及び患者情報記録方法
JP3094840U (ja) 保険診療支援システム
US2013014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jury attendance verification and service pay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