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447A -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447A
KR20090110447A KR1020080035955A KR20080035955A KR20090110447A KR 20090110447 A KR20090110447 A KR 20090110447A KR 1020080035955 A KR1020080035955 A KR 1020080035955A KR 20080035955 A KR20080035955 A KR 20080035955A KR 20090110447 A KR20090110447 A KR 20090110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atient
pharm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798B1 (ko
Inventor
김정호
홍기석
안시훈
Original Assignee
(주)인터랙티비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랙티비,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인터랙티비
Priority to KR102008003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79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3User authentication using a call-back technique via 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진료 후 각 의사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이 발행된 경우 이를 수신 받아 구축된 처방전 DB에 저장시켜 관리하는 병원 서버; 및 상기 병원 서버에서 발행한 처방전을 전송받고, 전송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과, 약사에 의해 조제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또 다른 처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중 중복 처방된 의약품이나 과다 처방된 의약품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중복/과다 감시모듈과, 상기 중복/과다 감시모듈로부터 환자정보와 중복 또는 과다하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수신 받아 경고 안내 메시지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경고모듈과, 상기 경고모듈의 경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전송 가능하도록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처방전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처방전, 의약품, 중복처방, 과다처방, 모니터링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Prescription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으로부터 발행되어 모바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처방정보를 확인하여, 의사의 처방이 적절한 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약분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병원에서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을 약국으로 전달, 이를 건강의료보험공단으로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몇 가지 형태의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실시되고 있는데, 그 예로는, 병원 측에서 환자가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면 병원 측에 설치된 처방전 중계 프로그램이 환자의 처방전을 원하는 약국으로 전송해 주는 방식, 환자가 미리 약국을 선택하지 않고 약국을 방문 했을 때 약국 측에서 환자의 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병원의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처방전을 인출해 오는 방식, 환자가 병원으로부터 발급 받은 처방전을 약국의 스캐너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과 병원에서 종이 처방전을 발행하고 약국에서는 환자가 가져온 처방전을 보고, 그대로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한편, 현재 병원 측에 설치 운영 중인 병원 정보 시스템 프로그램의 경우 환자의 보험정보를 처방전 내용에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약국에서 환자의 약제비를 계산할 때 약사가 별도로 환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심사평가원에 접속하여 환자의 보험정보를 확인한 다음 병원 측으로부터 전송된 처방전 데이터를 이용하여 약값을 계산하는 과정에 보험수가 적용여부를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환자 입장에서는 보험자격 확인에 따라 조제 대기시간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병원과 약국 간 일대일 방식의 서비스망 구축에 따른 고비용 소요 문제로 인하여 중소형 병원 및 의원의 경우에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 자체가 없거나 설치되어 있더라도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어 대부분의 약국에서는 환자가 가지고 온 종이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 업무가 한가해지는 시간에 틈틈이 수작업으로 입력을 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에, 보험자격 확인과 처방전 입력의 실시간 처리에 따른 약국의 업무 가중현상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소병원이나 의원에서는 비용 상의 문제로 인하여 처방전을 약국용으로 1부만 발행하고, 환자용을 발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진료비 영수증도 발행하지 않고 있어 환자의 알 권리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법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환자의 민원제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자 대부분이 정확한 의약품 복용을 위해 설명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약사의 82%가 말로만 복약(服藥) 지도를 하거나 아예 하지 않고 있어 환자 입장에서는 어떤 약을 자신에게 조제했는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환자가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어 동시에 여러 치료를 하게 되는 경우 각기 다른 의사가 자신이 진단한 결과에 따라 처방전을 작성하게 되므로, 소화제, 신경안정제 등과 같은 약품이 중복으로 처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환자는 조제된 약을 정해진 시간에 동시에 먹거나, 또는 시간차를 두고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중복된 약품의 경우 일일 복용용량을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다량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으로부터 발행되어 모바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처방전의 처방정보를 확인하여, 의사의 처방이 적절한 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국에 기존 바코드 입력 시스템이 있거나 없는 경우에도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유출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방전의 바코드 입력 또는 처방전 번호 입력을 통해 심사평가원의 보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환자의 최신 보험정보가 포함된 처방전 정보를 불러옴으로써, 약국 측에서 보험정보 수작업 확인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여 약국업무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하여 환자의 조제대기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환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며, 정율제 시행에 대비하여 약국의 수작업 입력에 따른 전산요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된 처방전 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같이 제공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추출된 처방전 정보와 환자의 보험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용 처방전과 진료비 영수증을 저렴한 비용으로 동시에 발행해 줌으로써, 병원의 비용 절감 및 법적/사회적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환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3자(광고주, 약국 등) 과금 방식을 통해 환자는 별도의 비용 없이 처방전의 발급 및 조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로 받은 처방전을 통해 환자 본인의 처방정보 및 의약품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사의 조제내역 및 복약지도 내역을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받아 볼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특정 다수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처방전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진료 후 각 의사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이 발행된 경우 이를 수신 받아 구축된 처방전 DB에 저장시켜 관리하는 병원 서버; 및 상기 병원 서버에서 발행한 처방전을 전송받고, 전송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과, 약사에 의해 조제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또 다른 처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중 중복 처방된 의약품이나 과다 처방된 의약품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중복/과다 감시모듈과, 상기 중복/과다 감시모듈로부터 환자정보와 중복 또는 과다하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수신 받아 경고 안내 메시지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경고모듈과, 상기 경고모듈의 경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전송 가능하도록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처방전 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방법에 있어서, (1) 병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 정보로부터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2) 추출된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용량을 추출하는 단계; (3) 추출된 용량이 표준 의약품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4) 초과한 경우 해당 병원 서버로 처방 용량 초과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 임의의 환자가 자신의 처방전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 약국정보 및 보험자격정보를 결합시켜 발송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d)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매칭 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송용 처방전 정보에 광고 정보를 결합시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정보를 생성시켜 전송정보 DB에 저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 처방전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의약품 정보와 처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의약품별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과 의약품별 표준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D) 비교결과,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한 경우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경고정보 DB에 저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전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Ⅱ)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처방약품 복용기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Ⅲ)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환자 정보가 포함된 기처방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 판단하는 단계; (Ⅳ) 판단 결과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복용기간과 겹쳐지는 복용기간을 갖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Ⅴ) 복용기간이 겹쳐지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 경우 기처방전에 후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Ⅵ) 의약품 용량이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Ⅶ)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의약품 일부 복용 금지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첫째, 병원 측에 처방중계 서버의 존재여부에 관계없이 병원서버를 접속하지 않고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병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처방전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 유출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할 때 처방전 DB에서 환자의 보험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그 결과를 처방전에 합성하여 환자의 최신 보험정보가 포함된 처방전 정보를 약국에 제공함으로써, 약국 측에서의 보험정보 수작업 확인에 따른 불 편함을 제거하여 약국업무의 자동화 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하여 환자의 조제대기 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약국의 수작업 전산입력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병원 측이나 약국 측에 고가의 중계서버 및 키오스크 등의 장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처방전달 사업자 입장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약국 측에서는 이전에 비해 저렴한 비용부담으로 전자처방전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설치되어 중소병원이나 의원이 손쉽게 도입하고 업무 자동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는 효과가 있다.
넷째, 누가나 가지고 있는 모바일을 활용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이 적고, 재발급/재조회가 쉬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 개인의 처방내역들을 모바일/온라인상에서 관리가 가능하다.
다섯째, 환자용 처방전과 진료비 영수증을 저렴한 비용으로 동시에 발행해 줌으로써, 병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법적/사회적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환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약사가 조제하는 내역에 대한 상세정보 및 복약정보 등을 포함하는 조제내역서를 발행해 줌으로써, 최근 요청되고 있는 환자의 알권리 충족 및 잘못된 의약지식으로 인한 환자의 건강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의사가 동일 환자에게 처방하는 처방내역에 대해서 일정 기준을 넘는 중복 또는 과다처방이 이루어질 경우, 처방이 이루진 후 감사관련 부문 및 해당 병원으로 관련 경고 메시지를 발송하고, 최종에는 처방전 발행 금지 및 병원감사를 통해 중복처방, 과다처방으로 인한 국민건강 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은 PC(110) 및 핸드폰,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20)로 통신모듈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기(100)와 인터넷(web), 왑(wap) 등으로 이루어진 무선 통신망인 데이터 통신망(200)과, 후술하는 병원서버(400)로부터 임의의 환자의 처방전이 발행되는 경우 상기 처방전을 추출하여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 및 처방내역을 추출하고 처방된 의약품의 용량을 체크한 후 체크된 의약품 용량과 표준용량을 비교하여 중복 또는 과다 처방된 의약품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병원서버(40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의약품의 오남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처방전 관리서버(300)와, 의사 단말기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수신 받아 관리하고,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로부터 오남용 관련 경고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의사 단말기로 경고정보가 전달되도록 하는 병원 서버(400)와, 상기 처방전 서버(300)로부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약국용 처방전에 따라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제내역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되도록 하는 약국서버(500)와,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 환자용 처방전 정보가 발송될 때 상기 환자용 처방전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광고정보를 상 기 처방전 관리 서버(300)로 제공하는 광고서버(600)와,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경보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하고 있다가 기준 조건을 이탈하는 처방전 정보에 대해 해당 의사의 진료행위를 금지시키기 위한 금지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병원 서버(400)로 전송하는 감시기관서버(700)와,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최신 보험자격정보를 제공하는 심사평가원 서버(800)로 구성된다.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300)에 등록된 처방전 정보들을 사용자는 PC(110) 또는 모바일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인터넷(웹, web) 또는 왑(wap)을 통해 조회해 볼 수 있다.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처방전 안내 메시지 및 콜백(Call Back)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이루어진 처방전 발송유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콜백 URL를 이용하여 처방전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후 환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처방전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환자 식별정보는 주민등록번호 또는 병원에서 처방할 때 발행하는 고유코드 또는 고유번호 등으로, 환자를 식별해 낼 수 있는 정보인 경우 어느 형태로 발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처방전 안내 메시지 및 콜백 URL로 이루어진 처방전 발송유도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 발송유 도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120)가 처방전 발송 뷰어를 실행시켜 환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콜백 URL을 이용하여 처방전 관리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청구서 데이터 및 환자 인증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환자 인증정보와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뷰어를 통해 처방전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상기 처방전을 발송할 때 수신확인정보를 추가시켜 상기 발송된 처방전을 임의의 약국 서버(500)에서 수신하게 되는 경우 수신확인정보가 변경되어, 하나의 처방전을 한번 이상 이용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처방전을 수신하는 약국에서 처방전 확인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상기 약국서버(500)는 약사에 의해 조제가 완료된 경우 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조제정보가 상기 병원서버 또는 해당 의사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전 정보를 환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처방전 DB(301)와,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약국용 처방전 정보 DB(303)와,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 또는 해당 약국 서버(500)로 전송된 전송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송정보 DB(305)와, 사용자(환자) 또는 약국 서버(500) 또는 감시기관 서버(700)를 통해 처방전 정보가 조회된 경우 조회한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그 조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조회정보 DB(307)와, 상기 처방전 정보가 발송될 약국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약국정보 DB(309)와, 상기 처방전 정보와 결합되어 환자(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광고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광고정보 DB(311)와,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되는 의약품에 대한 관련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의약품 정보 DB(313)와, 일반적인 의약품 정보 및 그 의약품의 표준 처방 용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표준 처방정보 DB(315)와,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처방 용량이 과다하거나 의약품이 중복 처방된 경우 이에 대한 처방전 정보와 함께 과다 또는 중복 처방된 의약품 정보가 포함된 경고정보들을 해당 병원 식별정보 및 의사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경고정보 DB(317)와, 상기 병원 서버(400)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병원에 구축된 처방전 DB로부터 신규로 발행된 처방전 정보만 추출하여 상기 처방전 DB(301)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처방전 추출모듈(319)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송출된 처방전 발송 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처방전 발송 요청신호를 입력한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병원 서버(400)에서 발행한 처방전을 전송받고, 전송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한편, 환자(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환자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1)과, 상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또 다른 처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중 중복 처방된 의약품이나 과다 처방된 의약품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중복/과다 감시모듈(323)과, 상기 중복/과다 감시모듈(323)로부터 환자정보와 중복 또는 과다하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수신 받아 경고 안내 메시지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경고모듈(325)과, 약사에 의해 조제정 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326)과, 상기 경고모듈(325)의 경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전송 가능하도록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하는 한편, 후술하는 보험정보 추출 모듈(329)의 요청에 응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해당 약국 서버(500)로 전송하고,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326)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수신 모듈(327)과, 상기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로부터 환자의 주민등록 번호를 활용하여 심사평가원 서버(800)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키로 하여 해당 환자의 최신 보험자격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여, 상기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3)에 의해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송수신모듈(327)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보험정보 추출 모듈(329)과, 상기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조제 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임의의 약국을 선택한 경우 해당 약국 서버(500)로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약국 선택 모듈(331)과, 환자의 처방정보 또는 조제정보 또는 환자의 현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광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광고생성모듈(333)과,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전송한 후 생성되는 전송정보를 기록하는 전송 로그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처방정보 또는 조제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모듈(335)로 구성된다.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의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 모듈(326)은 상기 의 사로부터 작성되는 처방전에 포함되는 의약품 및 주의사항 정보를 이용하여 조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조제정보가 일치하는지를 감시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의사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327)은 2D 바코드, 처방전 번호, 처방전 발급일시정보, 처방전 발급병원정보 및 담당 의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진 환자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327)은 상기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 약국정보 및 상기 보험정보를 결합하여 환자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327)은 병원 진료비 영수 내역 정보를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327)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로부터 의약품 안내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의약품의 상세 정보를 의약품 정보 DB(313)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바일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시루틴)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감시루틴은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병원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 정보로부터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추출(S100)하고, 추출된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용량을 추출(S110)한다. 이때 의약품 용량 추출은 동일한 의약품의 회수, 복용시간 당 의약품 용량, 복용 기간 당 의약품 용량 등을 포함한다. 즉, 1번 복용되는 의약품의 용량에는 이상이 없으나 장기로 복용할 경우 일정 기간 동안에 복용하는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으로 용량을 검출할 수도 있도록 구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추출된 용량이 표준 의약품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S120)하고, 판단 결과 초과한 경우 해당 병원 서버(400)로 처방 용량 초과 경고 메시지를 송출(S130)한다. 상기 처방 용량 초과 경고 메시지는 해당 의사에게 해야 하므로 의사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초과된 의약품 정보 및 초과 용량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처방전 발송루틴)
도 4는 처방전 루틴에 대한 것으로서,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1)은 송수신 모듈(327)을 통해 임의의 환자(사용자)가 자신의 처방전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판단(S200)한다. 판단 결과 처방전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1)은 병원 서버(400)로부터 추출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 약국정보 및 보험자격정보를 결합시켜 발송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S210)한다.
그리고 송수신 모듈(327)로 전송하면, 송수신 모듈(327)은 모바일 단말기(120)의 현재 위치를 파악(S220)하고,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광고생성모듈(333)로 전송하면 광고생성모듈(333)은 모바일 단말기(120)의 현재 위치에 매칭 되는 광고정보를 추출(S230)한다. 즉 모바일 단말기(120)의 현재 위치 주변에 존재하는 음식점이나 매장 정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광고생성모듈(333)은 처방전에 포함되어 있는 의약품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 보조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의료기기 등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상기 S220 단계의 판단 결과 모바일 단말기(120)의 현재 위치가 파악되지 않는 경우 서버 관리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광고정보를 발송용 처방전 정보에 결합시켜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한 후 후술하는 S250 단계를 수행하여 전송정보를 생성시켜 전송정보 DB(305)에 저장시킨다.
이때,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처방전을 수신하는 약국에서 처방전 확인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즉,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환자에게 발송되는 처방전에 포함되어 있는 광고정보의 광고주가 처방전을 확인하는 시간 동안에 소요되는 통신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환자가 제공되는 약국정보를 이용하여 약국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약국에 상기 통신요금이 지불되도록 한다. 물론 광고주와 약국이 서로 임의의 비율로 통신요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고생성모듈(333)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생성된 광고정보를 환자용 처방전 정보에 결합시켜 상기 송수신 모듈(327)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120)로 전송되도록 하고, 전송정보를 생성시켜 전송정보 DB(305)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1)은 상기 처방전 정보로부터 약국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고, 약국용 처방전 정보로부터 환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보험정보 추출모듈(329)로 출력하고, 보험정보 추출모듈(329)은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최신 보험자격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보험자격정보를 상기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321)로 출력하여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에 매칭시켜 송수신 모듈(327)을 통해 해당 약국 서버(5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300)는 상기 처방전을 발송할 때 수신확인정보를 추가시켜 상기 발송된 처방전을 임의의 약국 서버(500)에서 수신하게 되는 경우 수신확인정보가 변경되어, 하나의 처방전을 한번 이상 이용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수신확인정보는 약국 서버(500)에서 처방전을 수신하여 확인할 경우 수신회수 및 조제정보입력 회수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처방전에 대해 여러 번 조제정보가 입력될 경우 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경고루틴)
도 5는 경고루틴으로서,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병원 서버(400)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였는지를 판단(S300)한다. 판단 결과 처방전 정보를 추출한 경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의약품 정보와 처방정보를 추출(S310)한다.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의약품별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과 의약품별 표준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을 비교(S320)하고, 비교결과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S330)한다.
상기 S330 단계의 판단 결과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한 경우 초과 정보를 경고 모듈(325)로 출력하고, 경고 모듈(325)은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병원 서버(400)로 전송하는 한편 경고정보 DB(317)에 저장(S340)시킨다.
그리고 경고 모듈(325)은 해당 병원 서버(400)로 전송한 경고 회수가 기준 회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S350)하고, 판단 결과 경고 회수가 기준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처방전 발행 금지정보를 해당 병원 서버(400)로 전송하는 한편, 감사기관 서버(700)로 전송(S360)한다.
(복용안내루틴)
도 6은 복용안내루틴으로서,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병원 서버(400)로부터 처방전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S400)하고, 판단 결과 처방전 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처방약품 복용기간 정보를 추출(S410)한다.
중복/과다 감시모듈(323)은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환자 정보가 포함된 기처방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S420), 판단(S430)한다. 판단 결과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복용기간과 겹쳐지는 복용기간을 갖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지를 체크(S440)하고, 체크하고 판단한 결과 복용기간이 겹쳐지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 경우(S450의 예) 기처방전에 후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이 존재하는지를 체크(S460)한다.
상기 S460 단계의 체크 결과 의약품 용량이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체크(S480)하고, 체크하여 판단한 결과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S490의 예)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120)로 의약품 일부 복용 금지 안내 메시지가 전송(S495)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처방전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감시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처방전 발송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경고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복용 안내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단말기
110 : PC 120 : 모바일 단말기
200 : 데이터 통신망 300 : 처방전 관리서버
400 : 병원 서버 500 : 약국 서버
600 : 광고 서버 700 : 감시기관 서버

Claims (22)

  1. 불특정 다수가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처방전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진료 후 각 의사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이 발행된 경우 이를 수신 받아 구축된 처방전 DB에 저장시켜 관리하는 병원 서버; 및
    상기 병원 서버에서 발행한 처방전을 전송받고, 전송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 분석 및 생성모듈과, 약사에 의해 조제정보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과, 상기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또 다른 처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중 중복 처방된 의약품이나 과다 처방된 의약품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중복/과다 감시모듈과, 상기 중복/과다 감시모듈로부터 환자정보와 중복 또는 과다하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수신 받아 경고 안내 메시지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경고모듈과, 상기 경고모듈의 경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전송 가능하도록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제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처방전 관리서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2D 바코드, 처방전 번호, 처방전 발급일시정보, 처방전 발급병원정보 및 담당 의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로 이루어진 환자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 약국정보 및 상기 보험정보를 결합하여 환자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시켜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병원 진료비 영수 내역 정보를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처방전 안내 메시지 및 콜백 URL로 이루어진 처방전 발송유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콜백 URL를 이용하여 처방전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환자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처방전을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처방전 안내 메시지 및 콜백 URL로 이루어진 처방전 발송유도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 발송유도 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가 처방전 발송 뷰어를 실행시켜 환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콜백 URL을 이용하여 처방전 관리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처방전 데이터 및 환자 인증정보를 수신 받고, 상기 환자 인증정보와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뷰어를 통해 처방전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상기 처방전을 발송할 때 수신확인정보를 추가시켜 상기 발송된 처방전을 임의의 약국 서버에서 수신하게 되는 경우 수신확인정보가 변경되어, 하나의 처방전을 한번 이상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주 또는 처방전을 수신하는 약국에서 환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확인할 때 소요되는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의 상기 조제정보 생성/관리 모듈은, 상기 의사로부터 작성되는 처방전에 포함되는 의약품 및 주의사항 정보를 이용하여 조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조제정보가 일치하는지를 감시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의사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가 송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의약품 안내요청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의약품의 상세 정보를 의약품 정보 DB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서버는, 상기 생성된 약국용 처방전 정보로부터 환자의 주민등록 번호를 활용하여 심사평가원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식별정보를 검색키로 하여 해당 환자의 최신 보험자격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보험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는, 상기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처방전에 따른 의약 품을 조제 받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국 정보를 제공하고,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임의의 약국을 선택한 경우 해당 약국 서버로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약국 선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처방정보 또는 조제정보 또는 환자의 현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광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광고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전송한 후 생성되는 전송정보를 기록하는 전송 로그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처방정보 또는 조제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를 수신 받아 조제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조제 약품에 대한 투약정보 및 주의 사항 정보로 이루어진 조제정보 내역서가 발송되도록 하는 약국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17.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방법에 있어서,
    (1) 병원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전 정보로부터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2) 추출된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용량을 추출하는 단계;
    (3) 추출된 용량이 표준 의약품 용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4) 초과한 경우 해당 병원 서버로 처방 용량 초과 경고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5) 상기 처방전 정보로부터 약국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약국용 처방전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
    (6) 약국용 처방전 정보로부터 환자의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환자의 최신 보험자격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보험자격정보를 상기 약국용 처방전 정보에 매칭시켜 전송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19. (a) 임의의 환자가 자신의 처방전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약국용 처방전 정보, 약국정보 및 보험자격정보를 결합시켜 발송용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d) 파악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매칭 되는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환자용 처방전 정보에 광고 정보를 결합시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정보를 생성시켜 전송정보 DB에 저장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20. (A) 처방전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의약품 정보와 처방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의약품별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과 의약품별 표준 처방정보에 포함된 처방용량을 비교하는 단계;
    (D) 비교결과,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처방용량이 표준 처방용량을 초과한 경우 경고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경고정보 DB에 저장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F) 해당 병원 서버로 전송한 경고 회수가 기준 회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G) 경고 회수가 기준 회수를 초과하는 경우 처방전 발행 금지정보를 해당 병원 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감사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22. (Ⅰ)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전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Ⅱ)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처방약품 복용기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Ⅲ) 상기 처방전 정보에 포함된 환자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환자 정보가 포함된 기처방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체크, 판단하는 단계;
    (Ⅳ) 판단 결과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복용기간과 겹쳐지는 복용기간을 갖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Ⅴ) 복용기간이 겹쳐지는 기처방전이 존재하는 경우 기처방전에 후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Ⅵ) 의약품 용량이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Ⅶ) 표준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환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의약품 일부 복용 금지 안내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방법.
KR1020080035955A 2008-04-18 2008-04-1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55A KR100989798B1 (ko) 2008-04-18 2008-04-1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955A KR100989798B1 (ko) 2008-04-18 2008-04-1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447A true KR20090110447A (ko) 2009-10-22
KR100989798B1 KR100989798B1 (ko) 2010-10-29

Family

ID=4153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955A KR100989798B1 (ko) 2008-04-18 2008-04-18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79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3B1 (ko) * 2011-01-06 2012-03-21 박경애 약국 관리 시스템 및 약국 전표 출력 방법
KR101134504B1 (ko) * 2010-07-30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단말기,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 및 상기 복약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WO2014025215A2 (ko) * 2012-08-08 2014-02-1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KR20150129141A (ko) *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KR101602778B1 (ko) * 2015-07-20 2016-03-11 주식회사 티플러스 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전달 방법
KR20170003883A (ko) * 2016-12-15 2017-01-10 전대연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
KR101878159B1 (ko) * 2017-09-25 2018-08-17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식별 코드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및 전달 시스템
KR102156197B1 (ko) * 2019-05-09 2020-09-15 박회준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21883B1 (ko) * 2020-04-29 2021-03-0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65443A (ko) * 2019-11-27 2021-06-04 서울대학교병원 마약류 오남용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914B1 (ko) * 2015-05-20 2017-06-07 주식회사 유비케어 모바일 장치를 통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모바일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04B1 (ko) * 2010-07-30 2012-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임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단말기, 이를 이용한 복약 관리 방법, 및 상기 복약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KR101125283B1 (ko) * 2011-01-06 2012-03-21 박경애 약국 관리 시스템 및 약국 전표 출력 방법
WO2014025215A2 (ko) * 2012-08-08 2014-02-1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WO2014025215A3 (ko) * 2012-08-08 2014-04-03 주식회사 래디쉬 처방전 자동 복약지도 시스템
KR20150129141A (ko) *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환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장치
KR101602778B1 (ko) * 2015-07-20 2016-03-11 주식회사 티플러스 처방전 전달 시스템 및 전달 방법
KR20170003883A (ko) * 2016-12-15 2017-01-10 전대연 초진 및 초진비 선불 병원 구분과 의료비 부정 청구 방지앱 시스템
KR101878159B1 (ko) * 2017-09-25 2018-08-17 주식회사 아이라이즈 식별 코드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및 전달 시스템
KR102156197B1 (ko) * 2019-05-09 2020-09-15 박회준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0226456A1 (ko) * 2019-05-09 2020-11-12 박회준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65443A (ko) * 2019-11-27 2021-06-04 서울대학교병원 마약류 오남용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2221883B1 (ko) * 2020-04-29 2021-03-03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798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79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112141A1 (en) Multi-Path Electronic Prescription Processing System
US9076186B2 (en) Opt-in collector system and method
US804624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prescription dosages
US77299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cal items on an electronic prescription
US109848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ducement to purchase incident to a physician's prescription of medication
US83212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ing pharmacies of formulary alternatives
US20160140593A1 (en) Discou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AU2002331659B2 (en) Prescription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US20090287502A1 (en) E-PatientLink
CA28849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orrelation of diagnosis and medication as part of qualifying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KR2020005592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77927A1 (en) 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201203306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Healthcare Messag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0338321B1 (ko)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US201500580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n alternative to a prescription drug requiring prior authorization
CN111276225A (zh) 一种应用于社区医疗卫生的智能服务系统
WO2001067345A1 (en) Automated electronic encrypted prescription filling and record keeping and retrieval system
KR101853472B1 (ko) 의약품 유효기한 알림 방법
US20090254368A1 (en) Method of providing enhanced point of service care
JP2003196396A (ja) 医療情報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20190051756A (ko) 의약품 유효기한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265532B1 (ko) 전자처방전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