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369B1 -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369B1
KR102451369B1 KR1020210084773A KR20210084773A KR102451369B1 KR 102451369 B1 KR102451369 B1 KR 102451369B1 KR 1020210084773 A KR1020210084773 A KR 1020210084773A KR 20210084773 A KR20210084773 A KR 20210084773A KR 102451369 B1 KR102451369 B1 KR 10245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ser terminal
hospital
pharmacy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원
Original Assignee
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원 filed Critical 강재원
Priority to KR102021008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병원 단말기(2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약국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약국 단말기(30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 스마트 앱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약국 단말기(300)에서 스마트 앱을 실행하여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 관련 데이터, 병원 관련 데이터, 및 약국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웹서버(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Contact-free Medical Service Offering System using Smart Web Application}
본 발명은 병원이나 약국을 이용하는 환자(사용자)가 간호사나 접수창구 업무 담당자, 또는 약사와의 접촉(대면)을 최소화거나 방지할 수 있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앱(Web Application)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활용하여 진료 예약, 대기표 발행, 처방전 수신 및 전송, 비용결제, 보험료 청구 등과 같은 행위를 온라인 상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어 병원 관계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사용자)들은 사전 예약을 한 경우에도 병원에 도착하면 접수창구에서 대기번호표를 발급받은 후 대기하다가 번호표의 순서에 따라 접수창구의 업무 담당자에게 예약 여부, 예약자명(예약을 한 경우) 및 예약시간을 통보하면 그에 따라 담당 의료진(의사)의 진료순서가 정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담당 의료진(의사)의 진료순서가 정하여 진 경우에도 해당 진료실 앞에서 본인의 이름이 호명되거나 전광판에 표시될 때까지 다시 한 번 대기 시간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아울러, 담당 의료진의 진료가 완료되면 그에 따라 처방전이 발행되는데, 통상적으로 인쇄물로 제공되는 처방전을 환자가 직접 약국으로 들고가서 처방 및 결제, 약품수령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환자(사용자)가 실비보험을 가입한 경우 해당 비용을 보험사에 청구하기 위해서는 처방전 및 결제내역을 포함한 증빙서류 일체를 별도로 준비하여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하게 되며, 관련 서류의 재발급이 필요한 경우 해당 의료기관을 다시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433720호가 창작되었는데, 그 내용을 보면, 의사, 약사, 환자 및 응급의료기관의 관계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상기 약사회원에 의해 관리되는 가상약국을 개설한 웹서버에서의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있어서, 의사회원으로부터 환자회원에 대한 진료 결과 및 처방전 입력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회원의 병력과 투약정보와 의료보험정보를 상기 의사회원에게 출력하고, 상기 의사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환자회원에 대한 진료결과와 처방전과 상기 의사회원의 신상정보를 상기 환자회원의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환자회원으로부터 상기 처방전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회원의 병력과 투약정보와 의료보험정보와 처리되지 않은 처방전 및 상기 처방전을 처방한 의사회원의 신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환자회원으로부터 상기 처리되지 않은 처방전에 대한 조제가 요청되면, 상기 환자회원으로부터 가격결재와 배송지와 배송시간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환자회원의 처방전을 상기 가상약국에 등록하는 제3 단계와; 약사회원으로부터 조제 요청된 처방전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회원으로부터 조제 요청된 처방전과 상기 처방전을 처방한 의사회원의 신상정보와 환자회원의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약사회원으로부터 입력된 조제약품에 대한 정보와 상기 약사회원의 신상정보를 상기 환자회원의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응급의료기관회원으로부터 응급환자회원의 정보 열람이 요청되면, 상기 응급환자회원의 병력과 상기 응급환자회원에게 처방된 처방전 및 의사회원정보와 투약 및 약사회원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응급의료기관회원의 신상정보를 상기 응급환자회원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병원을 방문한 환자와 병원 관계자(간호사 또는 접수창구 업무 담당자 등)와의 접촉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실비보험 가입자(환자)의 비용청구 절차의 간소화나 편리함과 관련된 내용은 제시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0433720호
등록특허 제10-0338321호
등록특허 제10-2190160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대면할 수 밖에 없는 담당 의료진(의사)를 제외한 나머지 병원 관련 인원(간호사나 접수창구 업무 담당자)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처방전을 직접 들고 약국을 찾아갈 필요가 없으며, 처방전에 따른 조제가능약국 및 조제약값을 미리 검색하여 선택하고, 사전결제를 할 경우 환자가 약국을 방문하기 전에 미리 조제가 이루어져 조제약 수령을 위한 대기시간 및 약사 등과의 접촉 횟수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실비보홈 가입자(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비용 청구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처방전, 진료비 결제내역, 조제내역, 조제약값의 결제내역, 보험금청구 및 지급내역에 관한 전자문서를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로 전송하여 보관처리하면서 수시로 재출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병원 단말기(2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약국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약국 단말기(300); 및,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 스마트 앱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약국 단말기(300)에서 스마트 앱을 실행하여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 관련 데이터, 병원 관련 데이터, 및 약국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웹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병원 예약을 신청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병원 관련 데이터에서 예약가능병원 및 예약가능시간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 예약신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예약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웹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병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대면할 수 밖에 없는 담당 의료진(의사)을 제외한 나머지 병원 관련 인원(간호사, 접수창구 또는 수납창구 업무 담당자)과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병원 각 구역에 설치된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위치관리서버(520)로 전송하게 되고, 위치관리서버(52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해당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0)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병원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고, 병원 단말기(2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기번호표를 자동 발급하고, 발급한 대기번호표를 웹서버(400)로 전송하면, 웹서버(400)는 이러한 대기번호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환자(사용자)가 별도로 접수창구를 방문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번호표를 자동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병원 관계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자(사용자)의 편익은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병원 단말기(200)는 대기번호표 자동 발급과 함께 예상되는 진료대기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진료대기시간을 웹서버(400)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환자(사용자)는 병원에 도착하는 즉시 진료 대기실로 이동할 필요는 없으며 웹서버(4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진료대기시간을 확인한 후 적절한 시점에 진료 대기실로 이동할 수도 있다.
아울러, 환자(사용자)에 대한 담당 의료진(의사)의 진료상담이 완료되어 담당 의료진(의사)의 처방전(일종의 전자처방전)이 병원 단말기(200)로 입력되면, 웹서버(4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처방전이 전송되고, 진료비의 자동결제를 위한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진료비의 자동결제가 가능한데, 이를 통하여 환자(사용자)는 진료 후 병원의 수납창구에서 대기표를 발급받아 대기하다가 그 순서에 따라 결제를 하는 과정(대면한 상태에서 카드를 주고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둘째, 처방전을 직접 들고 약국을 찾아갈 필요가 없으며, 처방전에 따른 조제가능약국 및 조제약값을 미리 검색하여 선택하고, 사전결제를 할 경우 환자가 약국을 방문하기 전에 미리 조제가 이루어져 조제약 수령을 위한 대기시간 및 약사 등과의 접촉 횟수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실비보험 가입자(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비용 청구가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보험사 단말기(600)는 웹서버(4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환자(사용자)는 의료비(진료비, 조제약값)를 지출한 후 실비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청구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할 수 있는데,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보험금청구 신청(진료비와 조제약값에 대한 결제내역이 포함되거나 첨부됨)이 전송되면, 진료비와 조제약값에 대한 결제내역을 보험사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보험금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처방전, 진료비 결제내역, 조제내역, 조제약값의 결제내역, 보험금청구 및 지급내역에 관한 전자문서를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로 전송하여 보관처리하면서 수시로 해당 자료를 재출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약국 단말기(300), 웹서버(400), 비콘(510), 보험사 단말기(600) 및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를 포함하며, 스마트 앱을 이용하여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및 이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환자(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으로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PC 등과 같은 각종 모바일 단말기가 선택될 수 있다.
병원 단말기(200)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로서,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게 된다.
약국 단말기(300)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로서, 약국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게 된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및 약국 단말기(3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인터넷으로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및 약국 단말기(300)로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을 제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또는 약국 단말기(300)에서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여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웹서버(400)에는 사용자 관련 데이터, 병원 관련 데이터, 및 약국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가 포함된다.
사용자 단말기(100), 병원 단말기(200) 또는 약국 단말기(300)를 통하여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하는 웹서버(40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서버(4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정보 입력, 회원가입 등의 절차가 요구되며, 회원가입 절차가 완료된 후 로그인을 수행한 후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회원가입 절차나 로그인과 같은 절차는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일반적인 과정과 유사하거나 동일하여 별도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여 병원 예약을 신청하면 웹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병원 관련 데이터에서 예약가능병원 및 예약가능시간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웹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DB)에는 회원으로 가입된 각 병원의 위치, 병상규모, 진료과목, 담당의료진, 실시간 예약현황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러한 정보에 따라 환자(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병원과 진료과목, 담당의료진 및 진료시간을 편리하게 선택하여 예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GPS기능을 활용하면 환자(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병원까지의 거리나 예상 이동시간을 웹서버(400)가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웹서버(400)는 병원 단말기(200)로 예약신청정보를 전송하고,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예약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웹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DB)에서 병원 관련 데이터 가운데 실시간 예약현황을 업데이트하여 중복 예약을 방지한다.
비콘(510)은 병원 부지 및 병원 내부에 구역 별로 나누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각기 범용고유식별자(UUID)가 부여되어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비콘(510)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비콘(510)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으며, 5 내지 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고 전력 소모가 적어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제품 가운데 적절한 규격의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위치관리서버(520)는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병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즉,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실행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한 환자(사용자)가 병원 부지 또는 병원 내부에 도착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비콘(510)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해당 비콘을 식별할 수 있는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위치관리서버(52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는 해당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회원 가입시 설정등록한 ID, 모바일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해당 단말기를 통하여 생성한 고유 인증값 등이 될 수 있다.
위치관리서버(52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해당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0)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병원의 어느 구역에 접근한 것인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병원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
병원 단말기(2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기번호표를 자동 발급하고, 발급한 대기번호표를 웹서버(400)로 전송하면, 웹서버(400)는 이러한 대기번호표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환자(사용자)가 별도로 접수창구를 방문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번호표를 자동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병원 관계자와의 접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자(사용자)의 편익은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환자는 예약 후 접수창구 방문 절차를 생략하고 곧 바로 진료 대기실로 직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병원 단말기(200)는 대기번호표 자동 발급과 함께 예상되는 진료대기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진료대기시간을 웹서버(400)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환자(사용자)는 병원에 도착하는 즉시 진료 대기실로 이동할 필요는 없으며 웹서버(4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진료대기시간을 확인한 후 적절한 시점에 진료 대기실로 이동할 수도 있다.
병원 단말기(200)는 자동 발급된 대기번호표의 순서에 따라 해당 순번이 도래하면 호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호출신호를 웹서버(400)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적시에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자동 발급된 대기번호표와 호출신호는 진료 대기실에 마련된 공용 모니터를 통하여 함께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간호사나 접수창구 업무 담당자와 같은 병원 관계자들과의 접촉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면서 담당 의료진(의사)에 의한 진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환자(사용자)에 대한 담당 의료진(의사)의 진료상담이 완료되어 담당 의료진(의사)의 처방전(일종의 전자처방전)이 병원 단말기(200)로 입력되면, 웹서버(4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처방전이 전송되고, 진료비의 자동결제를 위한 화면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진료비의 자동결제가 가능하다.
즉, 환자(사용자)는 진료 후 병원의 수납창구에서 대기표를 발급받아 대기하다가 그 순서에 따라 결제를 하는 과정(대면한 상태에서 카드를 주고받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본인이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화면을 통하여 처방전 확인 및 진료비의 자동결제가 가능하다.
자동결제는 현재 온라인 상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의 자동결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는데,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휴대폰 소액결제 방식을 차용할 수도 있고, 미리 등록한 사용자의 신용카드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자동결제 화면에서 제시하는 계좌로 텔레뱅킹이나 인터넷뱅킹 등을 통하여 송금(입금)하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처방전에 따른 약의 조제를 신청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처방전에 따른 약의 조제를 신청하면 웹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약국 관련 데이터에서 조제가능약국 및 조제약값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웹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는 약국 관련 데이터에는 회원으로 가입된 각 약국의 위치, 조제 가능한 약의 종류, 조제약값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처방전에 따른 약의 조제를 신청한 환자(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조제가능약국 가운데 특정 약국을 선택하여 약의 조제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수의 약국이 제시하는 조제약값이나 약국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약국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특정 약국이 선택되면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약국 단말기(300)로 처방전을 전송한다.
조제약값도 해당 약국에서 직접 결제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자동결제가 가능한데, 진료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100)로 조제약값의 자동결제를 위한 화면이 제공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조제약값의 자동결제가 가능하며, 결제가 완료되면,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약국 단말기(300)로 결제내역을 전송하여 해당 약국에서 결제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약국의 약국 단말기(300)는 웹서버(400)로부터 결제내역이 전송되면 예상되는 조제완료시간을 웹서버(400)로 전송하고, 조제가 완료되면 조제 완료사실 및 조제내역을 웹서버(400)로 전송한다.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약국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예상되는 조제완료시간이나 조제 완료사실 및 조제내역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되는데, 환자(사용자)는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약국을 방문하여 대기 시간 없이 바로 조제된 약을 수령할 수 있다.
보험사 단말기(600)는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며,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로서,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실비보험 계약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한다.
보험사 단말기(600)는 웹서버(4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환자(사용자)는 의료비(진료비, 조제약값)를 지출한 후 실비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청구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할 수 있는데, 웹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보험금청구 신청(진료비와 조제약값에 대한 결제내역이 포함되거나 첨부됨)이 전송되면, 진료비와 조제약값에 대한 결제내역을 보험사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보험금 지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100)는 처방전, 진료비 결제내역, 조제내역, 조제약값의 결제내역, 보험금청구 및 지급내역에 관한 전자문서를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로 전송하여 보관처리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수시로 재출력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즉, 의료 분쟁이 발생할 경우 의료기관을 통하여 처방전 등의 진료 관련 서류들을 발급받을 필요가 없으며, 중립적인 위치에 있는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를 통하여 편리하게 열람 및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사용자 단말기
200:병원 단말기
300:약국 단말기
400:웹서버
510:비콘
520:위치관리서버
600:보험사 단말기
700:전자문서센터

Claims (7)

  1.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Smart Web Application)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1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병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병원 단말기(200);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약국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약국 단말기(300);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인터넷으로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및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 스마트 앱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상기 병원 단말기(200) 또는 상기 약국 단말기(300)에서 스마트 앱을 실행하여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 관련 데이터, 병원 관련 데이터, 및 약국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는 웹서버(400);
    병원 부지 및 병원 내부에 구역 별로 나누어 설치되며, 각기 범용고유식별자(UUID)가 부여되는 다수의 비콘(510);
    상기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위치관리서버(520); 및,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앱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는 실비보험 계약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4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보험사 단말기(600);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병원 예약을 신청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병원 관련 데이터에서 예약가능병원 및 예약가능시간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예약신청을 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 예약신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부터 예약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웹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병원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실비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며, 상기 웹서버(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보험금청구 신청이 전송되면, 진료비와 조제약값에 대한 결제내역을 상기 보험사 단말기(600)로 전송하여 실비보험 계약에 따른 보험금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처방전, 진료비 결제내역, 조제내역, 조제약값의 결제내역, 보험금청구 및 지급내역에 관한 전자문서를 공인된 전자문서센터(700)로 전송하여 보관처리할 수 있고,
    상기 비콘(5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상기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관리서버(520)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관리서버(5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전송한 상기 비콘(510)의 범용고유식별자(UUID)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이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200)는,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라 대기번호표를 자동 발급하고, 대기번호표 자동 발급과 함께 예상되는 진료대기시간을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하고, 해당 순번이 도래하면 호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료대기시간 및 호출신호를 상기 웹서버(400)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자동 발급된 대기번호표와 호출신호를 진료 대기실에 마련된 공용 모니터를 통하여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서,
    환자(사용자)에 대한 의사의 진료상담이 완료되어 의사의 처방전이 상기 병원 단말기(200)로 입력되면, 상기 웹서버(400)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처방전이 전송되고, 진료비의 자동결제를 위한 화면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진료비의 자동결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처방전에 따른 약의 조제를 신청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약국 관련 데이터에서 조제가능약국 및 조제약값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조제가능약국 가운데 특정 약국을 선택하여 약의 조제를 신청하면, 상기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조제약값의 자동결제를 위한 화면이 제공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한 조제약값의 자동결제가 완료되면, 상기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 결제내역을 전송하고,
    해당 약국의 상기 약국 단말기(300)는 상기 웹서버(400)로부터 결제내역이 전송되면 예상되는 조제완료시간을 상기 웹서버(400)로 전송하고, 조제가 완료되면 조제 완료사실 및 조제내역을 상기 웹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웹서버(400)는 해당 약국의 상기 약국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예상되는 조제완료시간 및 조제내역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84773A 2021-06-29 2021-06-29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5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73A KR102451369B1 (ko) 2021-06-29 2021-06-29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73A KR102451369B1 (ko) 2021-06-29 2021-06-29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369B1 true KR102451369B1 (ko) 2022-10-06

Family

ID=8359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73A KR102451369B1 (ko) 2021-06-29 2021-06-29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91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40016494A (ko) * 2012-07-30 2014-02-10 김경수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20160140109A (ko) * 2015-05-29 2016-12-07 하기현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환자 정보 관리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20190031023A (ko) * 2017-09-15 2019-03-25 임영관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491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약국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40016494A (ko) * 2012-07-30 2014-02-10 김경수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20160140109A (ko) * 2015-05-29 2016-12-07 하기현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비콘 기반의 환자 정보 관리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20190031023A (ko) * 2017-09-15 2019-03-25 임영관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9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U2002331659B2 (en) Prescription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0914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cal items on an electronic prescription
US20120046970A1 (en) Controlled substance distribution system
KR20090110447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2165297A1 (en) Health information services using phone
JP2009541864A (ja) 健康に関係する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健康情報の配信
KR20210025819A (ko) 지역거점약국을 활용한 처방조제약품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68009A (ko)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KR20130114925A (ko) 스마트폰 단말기
KR20200032071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JP3474530B2 (ja) 患者案内システム
KR102451369B1 (ko)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6024663A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010725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KR100375430B1 (ko)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KR100441592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JP202315576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10053956A (ko) 의약 처방 및 약국 관리 방법
KR20040028017A (ko) 통합진료카드, 통합진료카드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20020088699A (ko) 전자건강보험 카드를 이용한 의료보험 인증 시스템 및 그방법
GB2310301A (en) Dispensing medicinal products
KR20010104050A (ko) 인터넷 가상 종합병원 시스템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