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494A -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494A
KR20140016494A KR1020120083038A KR20120083038A KR20140016494A KR 20140016494 A KR20140016494 A KR 20140016494A KR 1020120083038 A KR1020120083038 A KR 1020120083038A KR 20120083038 A KR20120083038 A KR 20120083038A KR 20140016494 A KR20140016494 A KR 2014001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ospital
information
medical
pharm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김덕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12008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6494A/ko
Publication of KR2014001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병원 진료와 약국 처방조제 등의 의료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스마트폰의 조작으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된 후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웹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에 웹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신규가입 등록한 다음에 로그인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병원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병원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병원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병원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병원이 선택되면 해당 병원의 단말기는 연결된 진료기록DB로부터 병원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현황에 따라 진료 예약 신청과 진료비용이 결제되면, 병원단말기는 진료 예약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진료 예약한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은 후에 스마트폰은 병원단말기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으로 처방전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약국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약국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에서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약국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약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약국이 선택되면, 해당 약국의 단말기는 약국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약국 정보로부터 약국 현황에 따라 해당 약국단말기로 처방전을 전송하면, 약국단말기는 처방전 접수정보와 함께 접수된 처방전에 관한 조제비용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결제시스템의 접속으로 조제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f) 상기 약국단말기는 해당 스마트폰의 결제정보 및 처방전에 따라 약사에 의하여 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병원단말기에 연결된 진료기록DB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본인의 의료정보를 필요에 따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과 약국의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해당 진료과목의 병원 검색과 더불어 사용자가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병원과 약국정보를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활용으로 진료를 위한 예약, 변경이나 취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진료예약 당일에 진료대기자의 수와 진료예상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어 진료시간 지연에 따른 불필요하게 대기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며,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내역서나 진단서 또는 X-레이나 초음파 사진 등을 열람하거나 발급 받을 수 있고, 병원에서 발급 받은 처방전을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병원, 약국 및 사용자 사이에 편의를 극대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Method for Practical Use Information Medical Care using Application of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의료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병원 진료와 약국 처방조제 등 본인의 의료서비스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진료는 병의원의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의사는 진료한 환자에 관한 진료기록을 남긴다. 환자의 진료기록과 관련된 각종 정보는 해당 병원의 관계자 이외에는 열람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에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위하여 진료예약을 하여야 하고, 예약된 시간에도 일정의 대기시간을 거쳐 의사의 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환자는 진료를 받기 위하여 대기자가 몇 명인지 얼마동안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지 알 수 없었다. 더욱이 환자는 예약한 날짜 및 시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 예약된 진료를 놓치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환자는 진료예약을 변경하거나 취소하기 위하여 직접 병원을 방문하거나 전화로 예약의 변경이나 취소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또한, 환자는 진료기록이나 진단서 등 각종서류를 쉽게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환자는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에 발급받은 처방전은 대부분 종이처방전으로 병원 근처에 위치한 약국을 방문하여 약값을 지불한 후에 약을 조제 받을 수 있었다. 더욱이 환자는 약국에 도착 후에도 많은 대기자에 의한 대기시간 및 약의 조제 등에 소요되는 상당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폰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병원과 약국의 지리적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병원과 약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료과목별 병원의 검색이나 진료의 예약, 변경, 취소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 받은 정보를 열람하거나 발급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이 보유한 환자 본인의 정보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병원 진료 및 처방 정보 등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서비스의 활용에 따른 비용 및 시간적인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스마트폰의 조작으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된 후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웹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에 웹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신규가입 등록한 다음에 로그인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병원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병원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병원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병원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병원이 선택되면 해당 병원의 단말기는 연결된 진료기록DB로부터 병원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현황에 따라 진료 예약 신청과 진료비용이 결제되면, 병원단말기는 진료 예약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진료 예약한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은 후에 스마트폰은 병원단말기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으로 처방전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약국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약국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에서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약국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약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약국이 선택되면, 해당 약국의 단말기는 약국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약국 정보로부터 약국 현황에 따라 해당 약국단말기로 처방전을 전송하면, 약국단말기는 처방전 접수정보와 함께 접수된 처방전에 관한 조제비용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결제시스템의 접속으로 조제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f) 상기 약국단말기는 해당 스마트폰의 결제정보 및 처방전에 따라 약사에 의하여 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병원단말기에 연결된 진료기록DB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본인의 의료정보를 필요에 따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는 병원 선택, 약국 선택, 결제시스템 제공, 신규등록, 예약 및 취소, 확인 및 전송, 건강 관리수첩, 산모수첩, 진료 상담 및 물리치료 예약 관련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병원단말기로부터 진료 대기 중인 환자 리스트 및 예상 소요시간을 제공받고, 변경 및 취소 신청, 진료내역서, 소견서, X-레이 사진 및 초음파 사진을 포함하는 각종 병원자료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은 병원단말기 및 약국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각종 정보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프린터를 통해 해당 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버로부터 병원정보DB와 약국정보DB에서 다운로드 받은 복수의 위치정보를 내장된 GPS시스템을 통해 실제 거리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과 약국의 지리적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해당 진료과목의 병원 검색과 더불어 사용자가 가장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병원과 약국정보를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활용으로 진료를 위한 예약, 변경이나 취소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예약된 진료 시간 이외에 불필요하게 대기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진료예약 당일에 진료대기자의 수와 진료예상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어 진료시간 지연에 따른 불필요하게 대기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며,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내역서나 진단서 또는 X-레이나 초음파 사진 등을 열람하거나 발급 받을 수 있고, 병원에서 발급 받은 처방전을 병원에서 지정한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병원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본인의 의료정보를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병원, 약국 및 사용자 사이에 편의를 극대화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GPS 위치기반으로 병원 검색에 따른 거리정보를 산출 및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 예약, 변경 및 취소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 진료를 위한 예약 및 실시간 대기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병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예약환자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GPS 위치기반으로 약국 검색에 따른 거리정보를 산출 및 제공, 예약, 결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약국에서 처방전의 전달 및 처방내역을 실시간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의 진료기록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의 각종 자료를 요청 및 발급받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하는 방법을 그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 또는 어플)이 설치된 스마트폰(10)과 인터넷(40) 및 웹서버(50)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웹서버(50)는 복수의 병원 및 약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넷(40)에 복수의 스마트폰(10)이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10)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40)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이 가능한 노트북이나 태블릿PC 등 모바일단말기는 모두 포함될 것이다.
병원단말기(20)는 인터넷(40)에 접속되어 해당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의 신규 등록, 예약, 변경, 취소 등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중인 대기자와 소요 예상 시간을 제공하며, X-레이 사진이나 초음파 사진 등을 포함하는 진료내역이나 소견서 또는 처방전 등의 각종 서류를 발급하고, 환자의 결제 요청이나 결제 취소를 위한 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병원단말기(20)에는 상기 병원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진료기록DB(21)가 포함되어 있다.
약국단말기(30)는 인터넷(40)에 접속되어 해당 약국에 처방전을 접수한 환자에게 약을 조제하여 제공하고, 환자의 결제 요청이나 결제 취소를 위한 연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약국단말기(30)에는 상기 약국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입출력하는 조제기록DB(31)가 포함되어 있다.
웹서버(50)는 접속된 스마트폰(10)으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병원정보와 약국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입출력하는 병원정보DB(51) 및 약국정보DB(52)의 데이터를 스마트폰(10)으로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50)는 병원단말기(20)와 약국단말기(3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콘텐츠는 병원 및 약국 선택, 병원 조회 및 예약과 관련된 병원현황, 병원에서 발급 받은 처방전의 선택 및 약국 접수, 진료비 및 조제비 등의 결제를 위한 연동시스템의 접속, 병원 및 약국에 신규 등록, 병원 진료를 위한 예약, 변경 및 취소, 확인과 전송을 포함하고, 개인의 건강 관리수첩, 산모수첩, 진료상담 및 물리 치료예약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폰(10)을 보유한 사용자(또는 환자)는 인터넷(40)에 접속하여 웹서버(50)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S11). 즉 사용자에 의하여 스마트폰(10)의 조작으로 인터넷(40)을 통해 웹서버(50)에 접속되면 사용자는 웹서버(50)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웹서버(50)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파일 데이터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폰(10)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10)에 설치하고,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S12). 스마트폰(10)에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웹서버(5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신규가입 등록한 후에 로그인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10)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병원 검색이 선택되면(S13), 웹서버(50)는 병원정보DB(51)로부터 사용자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병원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10)에서 수신된 복수의 병원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병원이 선택되면 해당 병원단말기(20)는 병원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S14).
도 3에서, 스마트폰(10)의 GPS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병원을 나열하고 해당 병원과의 거리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표시한다. 즉 스마트폰(10)의 현재 위치로부터 A내과-1.2km, A치과-980m, C내과-850m, B치과-600m, B내과-300m 등으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의 병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병원단말기(20)로부터 병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버(50)로부터 병원정보DB(51)와 약국정보DB(52)에서 다운로드 받은 복수의 위치정보를 내장된 GPS시스템을 통해 실제 거리로 표시한다.
스마트폰(10)으로 수신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현황에 따라 진료 예약 신청과 진료비용이 결제되면(S15), 병원단말기(20)는 진료 예약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고(S16), 스마트폰(10)에서 진료 예약한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진료 및/또는 치료를 받은 후(S17)에 스마트폰(10)은 병원단말기(20)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수신하게 된다(S18).
도 4에서, 스마트폰(10)으로 해당 병원에 미리 예약을 하거나 예약된 정보를 변경 또는 취소할 수 있고, 예약일 또는 설정된 알림시간에 미리 알려주어 예약만 해놓고 미리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병원의 진료예약은 성명, 주민등록번호, 예약일시 및 증상 등을 적시하여 전송하면 병원단말기(20)에서 예약 정보를 받은 후에 해당 병원의 예약시간과 예약의 변경 또는 취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예약현황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예약 진료 때에는 예약 일자 및 시간의 변경신청이 가능하다. 이때, 예약 일자를 변경할 때에 해당 병원에 요청한 후에 허가를 받아야 하고, 예약 시간의 변경은 이전 일자 또는 당일에 요청 및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는 병원의 사정에 따라 또는 예약 대기자의 수에 따라 예약 일시의 변경 가능을 요청 및 허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약 당일에 진료시간의 지연에 따른 대기시간 지연을 실시간으로 열람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원하는 병원을 선택하면, 해당 병원의 대기자 및 예상 대기 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며 병원에 예약한 경우에는 사용자 자신의 이름이 화면에 표현되며 진행 상황을 보여준다.
도 6에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병원을 예약하거나 변경 또는 취소할 경우에 병원단말기(20)에서 진료 예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서는 병원단말기(20) 이외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에서 진료 예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병원에서는 환자 예약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나 병원 전용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10)으로 처방전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약국 검색을 선택하면(S19), 웹서버(50)는 약국정보DB(52)로부터 사용자 위치에서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해당 병원의 전문 처방 약국으로 등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국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S20). 스마트폰(10)으로 수신된 복수의 약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약국이 선택되면, 해당 약국단말기(30)는 약국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10)으로 수신된 약국 정보로부터 약국 현황에 따라 해당 약국단말기(30)로 처방전을 전송하면(S21), 약국단말기(30)는 처방전 접수정보와 함께 접수된 처방전에 관한 조제비용을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하고(S22), 스마트폰(10)은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결제시스템의 접속으로 조제비용을 결제한다(S23). 그리고 약국단말기(30)는 해당 스마트폰(10)의 결제정보 및 처방전에 따라 약사에 의하여 약의 조제가 이루어지고(S24), 사용자는 약사가 조제한 약을 약국에서 수령할 수 있다(S25).
도 7에서,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에 병원에서는 해당 환자의 스마트폰(10)으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스마트폰(10)으로 처방전을 수신한 환자는 약국 검색 후에 선택된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한다. 즉 해당 병원의 처방전 및 진료기록에서 처방전을 선택하고 복수의 약국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에 처방전 보내기를 선택하면 처방전을 해당 약국단말기(30)로 전송된다. 그리고 약국단말기(30)를 통해 제공된 결제시스템을 통해 약값을 결제하면 약국단말기는 처방전과 함께 결제 상황을 표시한다. 따라서 약사는 수신된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게 된다. 이때, 환자는 약국에 처방전을 들고 가서 처방전을 접수한 후 약을 조제하는 시간동안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약국은 약국단말기에 처방전이 접수된 순서대로 약을 조제할 수 있어 환자와 약국 사이에 불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해당 환자가 스마트폰(10)으로 진료 받은 병원의 병원단말기(20)로부터 처방전을 받은 후에 검색 및 선택된 약국단말기(30)로 처방전의 전송 및 결제를 하면, 약국단말기(30)에서 처방전의 예약 정보를 환자의 스마트폰(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약국단말기(30)는 해당 환자의 처방전 내역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또한, 도 9에서, 환자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 진료기록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해당 병원에서 진료 받은 진료내역으로 진료기록 및 X-레이 사진이나 초음파 사진 또는 영상 등을 실시간으로 요청 및 전송받을 수 있다. 더욱이 치과 치료를 받은 환자의 진료기록으로 예를 들어, 진료일자와 함께 '18번 치아 발치하고 염증치료'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치아의 X-레이 사진 등을 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산부인과 진료를 받은 환자의 진료기록으로 예를 들어, 진료일자와 함께 '태아는 매우 건강하며 태아 박동 체크 결과 20주 현재 148회 양호'와 같은 기록을 수신할 수 있고, 태아의 초음파 영상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환자가 진료 받은 병원으로부터 진료기록이나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의 각종 자료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환자가 스마트폰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해당 콘텐츠의 선택을 한 후에 자료요청의 선택, 자료에 대한 무료 또는 유료에 의한 비용 결제, 요청내역, 메일전송 및 결제 등을 통해 발급 받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10)은 병원단말기(20) 및 약국단말기(30)에서 다운로드 받은 각종 정보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프린터 등을 통해 해당 정보를 인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스마트폰(10)의 블루투스 기능이나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프린터를 통해 각종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병원과 약국의 검색, 병원의 예약, 변경 및 취소, 병원으로부터 처방전, 진료기록 및 각종 의료정보를 발급 받을 수 있고, 약국으로 처방전의 전달 및 조제와 수령 등을 통하여 환자에게 의료서비스의 편의를 제공하고, 병원과 약국에서도 환자의 진료나 약의 조제를 위한 예약 등을 통해 효율적인 업무처리로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스마트폰 20: 병원단말기 21: 진료기록DB 30: 약국단말기 31: 조제기록DB 40: 인터넷 50: 웹서버 51: 병원정보DB 52: 약국정보DB

Claims (5)

  1. (a) 스마트폰의 조작으로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된 후에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선택되면, 웹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며,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에 웹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정보를 입력하고 신규가입 등록한 다음에 로그인하는 단계;
    (b)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병원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병원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병원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병원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병원이 선택되면 해당 병원의 단말기는 연결된 진료기록DB로부터 병원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현황에 따라 진료 예약 신청과 진료비용이 결제되면, 병원단말기는 진료 예약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진료 예약한 사용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은 후에 스마트폰은 병원단말기로부터 발행된 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스마트폰으로 처방전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약국 검색이 선택되면, 웹서버는 약국정보DB로부터 사용자 위치에서 일정 거리이내에 위치한 복수의 약국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복수의 약국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약국이 선택되면, 해당 약국의 단말기는 약국의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약국 정보로부터 약국 현황에 따라 해당 약국단말기로 처방전을 전송하면, 약국단말기는 처방전 접수정보와 함께 접수된 처방전에 관한 조제비용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해당 결제시스템의 접속으로 조제비용을 결제하는 단계; 및
    (f) 상기 약국단말기는 해당 스마트폰의 결제정보 및 처방전에 따라 약사에 의하여 약의 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병원단말기에 연결된 진료기록DB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본인의 의료정보를 필요에 따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는 병원 선택, 약국 선택, 결제시스템 제공, 신규등록, 예약 및 취소, 확인 및 전송, 건강 관리수첩, 산모수첩, 진료 상담 및 물리치료 예약 관련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병원단말기로부터 진료 대기 중인 환자 리스트 및 예상 소요시간을 제공받고, 변경 및 취소 신청, 진료내역서, 소견서, X-레이 사진 및 초음파 사진을 포함하는 각종 병원자료를 열람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병원단말기 및 약국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각종 정보를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프린터를 통해 해당 정보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은 웹서버로부터 병원정보DB와 약국정보DB에서 다운로드 받은 복수의 위치정보를 내장된 GPS시스템을 통해 실제 거리로 표시하는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1020120083038A 2012-07-30 2012-07-30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20140016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38A KR20140016494A (ko) 2012-07-30 2012-07-30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38A KR20140016494A (ko) 2012-07-30 2012-07-30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494A true KR20140016494A (ko) 2014-02-10

Family

ID=5026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38A KR20140016494A (ko) 2012-07-30 2012-07-30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6494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54377A (ko)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4742A (ko) * 2015-01-06 2016-07-14 성승주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208915A1 (ko) * 2015-06-22 2016-12-29 신익수 스마트 병원 원무 시스템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3755A (ko) * 2016-08-27 2018-03-07 이지나 병원 응급 및 대기환자 조회 애플리케이션
KR20190018102A (ko)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9584985A (zh) * 2019-01-08 2019-04-05 王梓豫 一种用于慢性病患者常用药取药的系统及方法
JP2019195555A (ja) * 2018-05-11 2019-11-14 日機装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血液浄化治療システム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CN113257396A (zh) * 2021-05-11 2021-08-13 广州中康数字科技有限公司 医疗管理及智能服务系统
KR20210114631A (ko) * 2020-03-11 2021-09-24 (주)링크올 온라인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102451369B1 (ko) * 2021-06-29 2022-10-06 강재원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51146B1 (ko) * 2021-05-20 2022-10-06 (주)아이케어닥터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송 중개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461870B1 (ko) * 2022-03-14 2022-11-0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014448A (ko)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574A (ko) 2021-12-28 2023-07-05 김학철 머신러닝 기반의 의료진료 통합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4377A (ko) 2014-11-06 2016-05-16 김웅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84742A (ko) * 2015-01-06 2016-07-14 성승주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208915A1 (ko) * 2015-06-22 2016-12-29 신익수 스마트 병원 원무 시스템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3755A (ko) * 2016-08-27 2018-03-07 이지나 병원 응급 및 대기환자 조회 애플리케이션
KR20190018102A (ko)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195555A (ja) * 2018-05-11 2019-11-14 日機装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血液浄化治療システム
CN109584985A (zh) * 2019-01-08 2019-04-05 王梓豫 一种用于慢性病患者常用药取药的系统及方法
KR20210052945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114631A (ko) * 2020-03-11 2021-09-24 (주)링크올 온라인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CN113257396A (zh) * 2021-05-11 2021-08-13 广州中康数字科技有限公司 医疗管理及智能服务系统
KR102451146B1 (ko) * 2021-05-20 2022-10-06 (주)아이케어닥터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송 중개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451369B1 (ko) * 2021-06-29 2022-10-06 강재원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14448A (ko)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질병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0574A (ko) 2021-12-28 2023-07-05 김학철 머신러닝 기반의 의료진료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2461870B1 (ko) * 2022-03-14 2022-11-01 솔닥 주식회사 비대면 진료를 이용한 환자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6494A (ko)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JP7465519B2 (ja) 価値ベースの支払いのために医師が質の基準を達成するのを支援する患者向けモバイル技術
US10255993B2 (en) Pet insurance system and method
US201302185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nsolidated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veterinary care data
CA2946608C (en) Pet insurance system and method
US20200364667A1 (en) Pet insurance system and method
JP2016110247A (ja) 診療の予約、診療料金及び医薬品料金の精算を行な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057171A (ja) 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対象者端末装置、医師端末装置、指導者端末装置及び支援方法
KR20160084742A (ko)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84896A (ja) 医業情報管理システム
JP5129670B2 (ja) 調剤システム
JP2012068838A (ja) 共通診察券管理システム
KR20160011033A (ko)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1328B1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치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113300A (ja) 病院手続きシステム
US20220277820A1 (en) Pharmacy matching method and pharmacy match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170006184A (ko) 스마트 의료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기관 이용방법
JP2012079002A (ja) 診察予約システム
JP3214767U (ja) 診療の予約、診療料金及び医薬品料金の精算を行なうためのシステム
JP2012053638A (ja) 診察予約システム
JP2003263499A (ja) 調剤薬局処方箋送信システム
JP7124028B2 (ja) クラウド総合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2012079001A (ja) 診察予約システム
JP6718004B1 (ja) 医療機関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機関支援サーバ
JP2006092147A (ja) 診療予約システムと装置及び患者氏名データの更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