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4925A - 스마트폰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4925A
KR20130114925A KR1020120037353A KR20120037353A KR20130114925A KR 20130114925 A KR20130114925 A KR 20130114925A KR 1020120037353 A KR1020120037353 A KR 1020120037353A KR 20120037353 A KR20120037353 A KR 20120037353A KR 20130114925 A KR20130114925 A KR 2013011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y
prescription
user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망나눔센터
장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망나눔센터, 장정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망나눔센터
Priority to KR102012003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4925A/ko
Publication of KR2013011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의약품을 조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방전 수신부와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내의 약국을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추출하는 약국 검색부와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검색데이터 가공부와 정렬된 약국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표시부와 상기 약국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약국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약국에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비용결제 처리부와 상기 처방전을 상기 선택된 약국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부 및 상기 처방전에 의해 조제된 의약품을 수령 후 약국 서비스를 평가하는 서비스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단말기{SMART PHONE FOR MEDICAL PR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를 이용하여 병원으로 처방전을 수신 받아 처방전의 의약품을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에서 조제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 및 투약을 필요로 하는 자는 병원이라는 한 공간에서 진료 및 투약을 받았으나, 의약분업의 시행으로 환자는 병원의 의사에게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받아서 약국에 찾아가 처방전을 제공하고 조제약을 구입하는 체계로 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병원이라는 한 공간에서 환자에 대한 진료와 투약이 모두 이루어졌으나, 의약분업 시행후 병원 이외에 약국도 투약체계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에 환자 입장에서는 병원에서 처방전 수령을 위한 대기 및 약국에 방문하여 처방전 제출 및 의약품 조제에 따른 시간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병원과 약국간의 상호 연결이 적절하게 되지 않아 환자는 병원근처 또는 거주지 근처의 환자가 인지하고 있는 약국만은 찾아가 서비스를 제공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약국의 의약품 제조에 의한 견적을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에 대한 지식을 알 수 없고, 처방된 처방내용의 약제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는 약국을 환자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처방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약국리스트를 제공하는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15209호의 선행기술이 있으나, 환자 위치에서 일정거리 안에 위치한 약국을 분류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약국별 견적이나 환자에게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15209호(2002.02.2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내의 약국을 검색하여 검색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검색된 약국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된 약국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방전을 발송하여 의약품 제조에 따른 견적을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의약품을 제조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을 검색하여 의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방전 수신부와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내의 약국을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추출하는 약국 검색부와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검색데이터 가공부와 정렬된 약국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표시부와 상기 약국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약국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약국에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비용결제 처리부와 상기 처방전을 상기 선택된 약국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부 및 상기 처방전에 의해 조제된 의약품을 수령 후 약국 서비스를 평가하는 서비스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표시부에 표시된 약국중 적어도 하나의 약국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에 의해 조제한 의약품의 견적서를 받아보는 견적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표시부는, 상기 약국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에 대한 상호, 위치정보, 연락처,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견적서, 약사정보, 이메일, 종업원 수, 이메일, 선호도 점수, 매장크기 및 사업자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심야 또는 공휴일의 경우 영업 가능한 응급약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한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을 검색하여 의약품의 효능 및 복용시 주의사항을 표시하고,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과 유사한 약효를 가지는 의약품을 나열하여 가격을 비교하며, 사용자가 특이체질인 경우 특이체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처방전의 수정을 병원에 요청할 수 있는 처방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용결제 처리부는, 신용카드, 현금 및 사이버 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국 단말기는, 비용결제가 완료된 의약품의 조제 완료시 약국의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의약품 조제 완료를 알려주는 알림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원 단말기는, 기존의 처방전 발급방식,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발급하고, 발급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표시하고, 비밀번호 입력절차를 거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발급되는 처방전은,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위임한 사람이 대신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처방전 정보에 대신 수신 가능한 사람의 정보가 더 포함되고,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위임한 사람이 수신한 처방전 데이터를 사용하여 약국을 통해 의약품을 조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범위내의 약국을 검색하여 검색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검색된 약국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검색된 약국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방전을 전송하여 의약품 제조에 따른 견적을 단말기로 전송받아 사용자가 견적을 확인하고 원하는 약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을 검색하여 의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을 단말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의약품의 효능 및 복용시 주의사항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스마트폰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기의 동작 흐름을 보인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기본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약국정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의약품 정보 예시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약국단말기(400) 및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병원 단말기(100)가 마련된다. 상기 병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후 처방받는 처방전을 아래에서 설명될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즉, 병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처방전을 수령하기 위해 기다리지 않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처방전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병원 단말기(100)는, 기존의 처방전 발급방식과, 처방전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처방전을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가 비공개 상태로 전송되며, 비밀번호 입력절차를 거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즉, 비밀번호 입력절차가 이루어지지 않은 처방전 데이터는 타인이 수신 하더라도 의약품을 조제하거나, 개인정보를 확인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병원 단말기(100)에서 발급되는 처방전은,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위임한 대리인이 대신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처방전 정보에 사용자 이외의 수신 가능한 대리인 정보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병원 단말기(100)에서 발급되는 처방전은, 사용자, 보호자 및 사용자가 위임한 사람 중 적어도 한사람에게 전송되며,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방법을 통해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관리서버(200)가 마련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모든 DB를 저장, 수신 및 발송한다. 즉, 지도데이터, 의약품 정보, 약국상호, 약국위치정보, 약국연락처,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약사정보, 이메일정보, 종업원 수, 약국 평가점수, 약국매장크기, 약국사업자등록번호 등을 저장 또는 업데이트 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스마트폰 단말기(300)의 요청이 있으면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약국단말기(400)가 마련된다. 상기 약국단말기(4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발송된 처방전을 수신한다. 수신한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의약품을 조제 또는 의약품 조제에 따른 견적을 작성하여 다시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의약품 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본 발명인 스마트폰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단말기(300)가 마련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휴대하게 되고, 상기 병원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및 약국단말기(400)로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게 된다. 즉, 상기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한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관련되는 DB자료를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관련되는 DB자료를 수신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는, 수신한 DB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약국단말기(400)로 처방전을 발송하여 의약품을 조제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스마트폰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처방전 수신부(310)가 마련된다.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는, 상기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처방전의 수신 및 상기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DB를 수신한다. 즉,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는,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를 통해 처방전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약국을 찾아갈 수 있도록 약국을 검색하는, 약국 검색부(320)가 마련된다. 상기 약국 검색부(320)는,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의 약국을 검색한다. 상기 약국 검색부(320)에 의해 검색되는 약국의 범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그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처방정보 제공부(330)가 마련된다.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330)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DB를 검색하여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한다.
즉,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330)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DB를 기초로 하여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효능, 복용시 주의사항 및 의약품간의 복용금지 약품을 선별하며,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과 유사한 약효를 가지는 의약품 및 의약품 가격을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가 특이체질인 경우 특이체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여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330)를 통해 특이체질이 복용하면 안 되는 의약품이 포함된 처방전을 상기 병원 단말기(100)로 전송하여 특이체질에 맞는 의약품이 처방된 처방전의 수정을 병원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약국 검색부(320) 및 처방정보 제공부(330)에 의해 수신된 검색된 데이터는, 검색 데이터 가공부(340)에 의해 데이터가 정렬된다. 상기 검색 데이터 가공부(340)는, 상기 약국 검색부(320)에 의해 검색된 약국 데이터와 상기 관리서버(200)의 DB를 기초로 하여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330)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를 정렬하게 된다. 즉, 상기 데이터 가공부(340)는, 상기 처방전 수신부(3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정렬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 가공부(340)에 의해 정렬되는 데이터는, 약국 상호, 위치정보, 연락처,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견적서, 약사정보, 이메일, 종업원 수, 선호도 점수, 매장크기, 사업자등록번호 등으로 데이터를 정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처방정보 게공부(330)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도 정렬하게 된다.
상기 검색 데이터 가공부(340)에 의해 정렬된 데이터는, 사용자 표시부(350)에 의해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된다. 상기 사용자 표시부(350)는, 상기 약국 검색부(320)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에 대한 상호, 위치정보, 연락처,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견적서, 약사정보, 이메일, 종업원 수, 이메일, 선호도 점수, 매장크기 및 사업자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심야 또는 공휴일의 경우 영업 가능한 응급약국을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처방정보 제공부(330)에 의해 검색된 데이터도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처방전 전송부(360)가 마련된다.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는, 상기 검색 데이터 가공부(340)에 의해 검색된 약국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약국단말기(400)로 처방전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는,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제조비용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해 상기 약국단말기(400)로 처방전에 기입된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암호화 하여 발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는, 처방전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서버(200)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의해 전송되는 명령 및 데이터를 모두 처방전 전송부(360)에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견적서 처리부(370)가 마련된다. 상기 견적서 처리부(370)는, 약국에서 상기 약국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한 견적서를 가격순, 상호순 및 거리순 등으로 정렬한다. 즉,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에 의해 전송된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약국에서 의약품 조제비용을 작성한 견적서를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받아 기설정된 방식으로 견적서 데이터를 정렬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비용결제 처리부(380)가 마련된다. 상기 비용결제 처리부(380)는, 상기 검색 데이터 가공부(340)에 의해 검색된 약국 중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또는 상기 견적서 처리부(370)에 의해 정렬된 약국 중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가 수신받은 처방전을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를 통해 전송함과 동시에 의약품 제조비용을 상기 비용결제 처리부(380)에 의해 그 비용을 결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용결제 처리부(380)의 결제 방법으로는, 계좌이체를 이용한 현금결제, 신용카드결제, 사이버 머니결제 및 의약품 수령시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방법으로 의약품 조제비용을 결제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는, 서비스 평가부(390)가 마련된다. 상기 서비스 평가부(390)는, 사용자가 조제된 의약품을 수령후 의약품을 수령한 약국에 대한 서비스를 평가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의약품을 수령한 약국의 서비스, 친절도 및 약국의 정확한 정보 등을 사용자가 직접 평가항목을 통해 평가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평가부(390)를 통해 평가된 약국의 평가점수는 상기 처방전 전송부(360)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되어 약국의 DB로 활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기의 동작 흐름을 보인 예시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의 처방전 수신부(310)는, 상기 관리서버(200) 및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10).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휴대한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기준으로 하여 기설정된 범위내의 약국검색 및 상기 관리서버(200)에서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 정보를 검색한다(S11). 상기 검색된 약국 및 의약품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하며, 사용자는 검색된 정보를 휴대한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하여 확인한다(S12).
사용자는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조제시 발생되는 비용을 확인하기 위해 검색된 약국 중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약국을 선택하여 개인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견적용 처방전을 전송한다(S13).
상기 약국단말기(400)에 의해 수신된 견적용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재고 여부를 확인하고,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조제 가능여부 및 조제시 발생되는 비용견적서를 상기약국단말기(40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4).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는, 적어도 하나의 약국으로부터 전송된 견적내용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가격순, 상호순 및 거리순 등으로 표시한다(S15).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된 견적 내용을 확인 후 하나의 약국을 선택하여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처방전을 전송하여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의 조제를 요청한다(S16).
다만, 사용자는 견적용 처방전을 전송하여 견적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하나의 약국을 선택하여 개인정보가 공개되는 처방전을 전송하여 처방전에 처방된 의약품을 조제할 수도 있다(S17).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의해 개인정보가 공개된 처방전을 상기 약국단말기(400)로 발송하여 의약품의 조제를 요청한 후 조제되는 의약품의 비용을 결제하게 된다. 그 결제방법으로는 계좌이체를 이용한 현금결제, 신용카드결제, 사이버 머니 결제 및 의약품 수령시 결제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방법으로 비용을 결제한다. 다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의약품 제조를 원하지 않을 때는 비용결제를 하지 않을 수 있다(S18).
비용결제가 후 의약품 조제를 요청받은 약국은 처방전을 기초로 하여 처방된 의약품을 조제하고, 의약품 조제 완료시 상기 약국단말기(400)를 통해 의약품 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의약품 조제완료를 알려준다(S19).
상기 약국단말기(400)를 통해 전송된 의약품 조제 완료 메시지를 확인 후 약국에서 조제된 의약품을 수령하거나 사용자가 약국에 요청하여 배달서비스를 신청하여 의약품을 수령할 수도 있다(S20).
조제된 의약품 수령후 상기 스마트폰 단말기(300)의 서비스 평가부(390)를 이용하여 약국의 서비스, 친절도 및 약국의 정확한 정보 등을 사용자가 직접 평가항목을 통해 평가한다(S21).
상기 서비스 평가부(390)를 이용하여 평가된 점수는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하여 약국DB로 저장하여 상기 약국 검색부(320)에 의해 약국 검색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게 된다(S22).
아울러 상술한 사용자 표시부(350)에 의해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기본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약국정보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단말장치에 따른 의약품 정보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사용자 표시부(350)에 의해 표시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의 기본화면의 일시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먼저 기본화면에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 검색된 약국을 표시한다. 상기 검색된 약국은 간략한 정보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평점,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지도, 견적, 관심약국, 상세정보 등으로 표시된다. 도 4의 아래에 표시되는 탭 영역에는 검색된 약국을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변화하는 지도변환 탭(351)과 견적서를 수신 받아 수신되는 견적을 확인하는 견적서 변환 탭(352)과 사용자의 이용 빈도가 높은 약국을 등록하여 등록된 약국을 확인하는 관심약국 리스트 탭(353)이 구성된다. 도 4의 우측에는, 검색된 약국의 상세정보를 확인하는 상세정보 탭(354)이 마련된다.
도 5는 약국정보를 표시하는 일실시예이다. 상기 약국정보는, 상기 상세정보 탭(354)을 이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락처, 주소, 약사정보, 이메일, 매장크기,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종업원 수, 선호도 점수, 사업자등록번호, 약사면허 등록번호 등으로 표시된다. 또한, 약국정보에는 해당약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발송 탭(355)과 해당약국과 통화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전화걸기 탭(356) 및 해당약국을 사용자가 약국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관심약국 등록 탭(35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의약품 정보를 표시하는 일실시예이다. 상기 의약품 정보는, 의약품의 사진, 의약품 명(처방전에 명시되는 의약품명) 및 의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의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은 의약품 정보 리스트 상에 전부 서술하지 못함으로 의약품의 효능 및 주의사항을 상세히 보여주는 의약품 상세정보 탭(35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병원단말기
200 : 관리서버
300 : 스마트폰 단말기
310 : 처방전 수신부
320 : 약국 검색부
330 : 처방정보 제공부
340 : 검색 데이터 가공부
350 : 사용자 표시부
351 : 지도변환 탭
352 : 견적서 변환 탭
353 : 관심약국 리스트 탭
354 : 상세정보 탭
355 : 메시지 발송 탭
356 : 전화걸기 탭
357 : 관심약국 등록 탭
358 : 의약품 상세정보 탭
360 : 처방전 전송부
370 : 견적서 처리부
380 : 비용결제 처리부
390 : 서비스 평가부
400 : 약국단말기

Claims (8)

  1. 병원 서버로부터 처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방전 수신부;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내의 약국을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추출하는 약국 검색부;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 리스트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검색데이터 가공부;
    정렬된 약국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표시부;
    상기 약국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약국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약국에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비용결제 처리부;
    상기 처방전을 상기 선택된 약국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부; 및
    상기 처방전에 의해 조제된 의약품을 수령 후 약국 서비스를 평가하는 서비스 평가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부에 표시된 약국중 적어도 하나의 약국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에 의해 조제한 의약품의 견적서를 받아보는 견적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표시부는,
    상기 약국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하나 이상의 약국에 대한 상호, 위치정보, 연락처, 사용자와 약국과의 거리, 견적서, 약사정보, 이메일, 종업원 수, 이메일, 선호도 점수, 매장크기 및 사업자등록번호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하고, 심야 또는 공휴일의 경우 영업 가능한 응급약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을 검색하여 의약품의 효능 및 복용시 주의사항을 표시하고, 처방전에 포함된 의약품과 유사한 약효를 가지는 의약품을 나열하여 가격을 비교하며, 사용자가 특이체질인 경우 특이체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고 처방전의 수정을 병원에 요청할 수 있는 처방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결제 처리부는,
    신용카드, 현금 및 사이버 머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단말기는,
    비용결제가 완료된 의약품의 조제 완료시 약국의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의약품 조제 완료를 알려주는 알림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단말기는,
    기존의 처방전 발급방식, 바코드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발급하고, 발급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제외한 데이터만을 표시하고, 비밀번호 입력절차를 거친 처방전 데이터는, 개인정보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단말기에서 발급되는 처방전은,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위임한 사람이 대신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처방전 정보에 대신 수신 가능한 사람의 정보가 더 포함되고,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위임한 사람이 수신한 처방전 데이터를 사용하여 약국을 통해 의약품을 조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단말장치.
KR1020120037353A 2012-04-10 2012-04-10 스마트폰 단말기 KR20130114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53A KR20130114925A (ko) 2012-04-10 2012-04-10 스마트폰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53A KR20130114925A (ko) 2012-04-10 2012-04-10 스마트폰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925A true KR20130114925A (ko) 2013-10-21

Family

ID=4963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353A KR20130114925A (ko) 2012-04-10 2012-04-10 스마트폰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49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42A (ko) * 2015-01-06 2016-07-14 성승주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1244A (ko) *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0851B1 (ko) * 2020-07-24 2021-03-24 주식회사 소울메디 처방 의약품 보유 약국 리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9663B1 (ko) 2020-11-30 2021-08-18 현재향 인공지능 스마트 액자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KR2023009249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42A (ko) * 2015-01-06 2016-07-14 성승주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1244A (ko) * 2019-02-19 2020-08-27 이복기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0851B1 (ko) * 2020-07-24 2021-03-24 주식회사 소울메디 처방 의약품 보유 약국 리스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9663B1 (ko) 2020-11-30 2021-08-18 현재향 인공지능 스마트 액자
KR102327218B1 (ko) * 2021-02-19 2021-11-1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사용자단말과 약국단말 사이의 종단간 전자처방전 및 맞춤형 알림메시지 제공방법
KR2023009249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6186B2 (en) Opt-in collector system and method
KR20130114925A (ko) 스마트폰 단말기
KR102297333B1 (ko) 약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91103A1 (en) Health information services using phone
US20160188840A1 (en) Proper dispensing of items through proximity detected devices with users
US10762985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generating accounts for use in computer systems
US20180276611A1 (en) Secure Network Based Order Confirmation, Transportation, and Delivery Processes Utilizing Logistics Automation
US201302683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ffering services for sale over the internet
US20190378107A1 (en) Mobile-compatible offering of commercially identical items for post-retail sale
KR20120036488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처방전 전송 방법,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JP201815643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003996A (ja) 調剤薬局情報提供装置、調剤薬局情報提供方法、および、調剤薬局情報提供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176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service drug locator kiosk
WO2015106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urchasing medical prescriptions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119824A (ja) 推奨情報提供装置および推奨情報提供方法
KR102261680B1 (ko)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120087594A (ko) 위치기반 상품, 및 서비스 중개 시스템
KR101171549B1 (ko) 의약품 불용재고 해소를 위한 교품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180085372A (ko) 처방정보 약국 전송방법
KR20200010725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US20160364546A1 (en) System for merchandising at a sales facility
KR102139583B1 (ko) 약국매칭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약국매칭서비스 시스템
KR102504515B1 (ko)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JP2020129199A (ja)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