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91A -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91A
KR20230092491A KR1020210181926A KR20210181926A KR20230092491A KR 20230092491 A KR20230092491 A KR 20230092491A KR 1020210181926 A KR1020210181926 A KR 1020210181926A KR 20210181926 A KR20210181926 A KR 20210181926A KR 20230092491 A KR20230092491 A KR 20230092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server
pharmaceutical
user terminal
electronic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983B1 (ko
Inventor
홍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18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9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91A/ko
Priority to KR1020230161287A priority patent/KR20230163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하여 약 조제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고, 병원서버에서 조회된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환자가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와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수신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에서 조제약 자판기가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와, 조제약 자판기가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조제약 자판기 인근의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를 선택하여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pharmaceuticals through remote pharmaceutical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은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중계 서버 없이 환자단말기에서 조제약 자판기로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약국서버에서 조제 승인이 나면 조제약 자판기에서 약 조제가 진행되고 복약지도 컨텐츠에 대한 환자의 집중도를 판별하여 결과에 따라 환자에게 조제약을 제공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 진료 후 환자들은 병원 인근의 약국에 종이처방전을 제공한 후 처방조제약품 수령과 복약지도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자처방전이 도입되어 약국으로 직접 전자처방전을 전달하여 조제하는 방식이 최근 도입되고 있으나, 여전히 약국이 문을 닫는 심야나 공휴일에는 의약품을 살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원격 의료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지면 의약품 자판기 도입에 대한 니즈가 더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의약품 자판기 도입에 가장 큰 걸림돌은 전자처방전에 따른 조제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지 여부와, 약사의 복약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점이 꼽힌다.
종래기술로 국내등록특허 제10-1339393호(소비자 선택 기능이 삭제된 원격 제어 의약품 공급장치)가 있으나 단순히 약사와 상담 후 일반의약품을 공급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병원서버로부터 수신한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이 조제약 자판기에 전달하고, 약국서버에서 승인된 경우에만 조제약 자판기에서 약이 조제되며, 복약 지도를 위한 컨텐츠를 집중하여 확인한 환자에게만 조제약을 제공하도록 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하여 약 조제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고, 병원서버에서 조회된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환자가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와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수신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에서 조제약 자판기가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와, 조제약 자판기가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조제약 자판기 인근의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를 선택하여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은,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하여 약 조제를 선택하면,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고,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 및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수신하면 조제약 자판기를 선택하여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사용자단말과,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고, 병원서버에서 조회된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환자가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버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인접한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를 선택하여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약국서버로부터 조제가 승인되면 약 조제하는 조제약 자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국에 방문하지 않고 24시간 접근성이 높은 의약품 자판기에서 간편하게 조제약을 수령할 수 있다. 약사의 복약지도 컨텐츠를 자판기에서 재생하고 이에 대한 집중도를 판별하여 조제약을 제공함으로써 복약지도가 충실히 이루어져 의약품 자판기의 종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심야나 주말 공휴일에 경증 질환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를 줄여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은 먼저 사용자단말(300)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01),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한다(S103). 사용자단말(300)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을 선택하여 클라우드서버(100)에 약 조제를 요청한다(S105).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대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인증을 완료하면 병원서버(400)에 사용자단말에 대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요청한다(S109). 병원서버(400)가 사용자단말에 대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조회하여(S111),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S113).
클라우드서버(100)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이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한다(S115). 즉,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를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인접한 거리 순서대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가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와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300)에 전송한다(S117).
사용자단말(300)이 수신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에서 조제약 자판기를 선택하면(S119), 사용자단말(300)이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200)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S121). 상기 전자처방전은 병원서버에서 생성한 처방전 데이터, 종이로 출력되는 처방전 이미지 및 전자서명이 포함된다. 사용자단말에서 전자처방전은 전자적 방식으로 데이터 전달되어 약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약품 정보 클릭 시 약품제공하는 사이트가 연결되어 약품 정보 확인 가능하다.
조제약 자판기(200)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조제약 자판기 인근의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400)를 선택하여 약국서버(400)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
약국서버(500)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을 통해 해당 조제약 자판기에서 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127), 조제가 가능하면 조제약 자판기에 조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S133, S135), 조제가 가능하지 않으면 클라우드서버 조제 방법을 재안내한다(S129). 조제약 자판기 및 약국서버에 전달된 전자처방전은 별도의 공인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며, 법적 보관 기간이 도과하면 폐기된다. 약국서버에 전달된 전자처방전은 병원이 정한 전자처방전 유효일자만 저장하고 폐기된다.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국서버(500)로부터 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조제약을 확인하고(S137), 재고 여부를 판단하여(S139), 재고가 없으면 약품유통서버에 약품약품QR코드를 전송한다(S141). 이때, 약품유통서버는 약품QR코드 확인 및 약품 추출하고(S143), 약품배송서버에 약품 주문을 요청한다(S144), 재고가 있으면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국서버(500)에 약값계산을 요청한다(S145).
약국서버(500)가 약제비를 계산하고(S147), 계산된 약제비를 클라우드서버에 전달한다(S149).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약제비 결제를 요청하면(S151), 사용자단말(300)이 약제비를 결제하고(S153), 사용자단말(300)이 조제약 자판기(200)에 약제비 결제 완료를 알리면(S155),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 조제를 실행한다(S157). 실시예에 따라 약제비 결제를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기 원하는 경우 약국이나 조제약 자판기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 조제 완료를 약국서버에 알리면(S159), 약국서버(500)가 복약지도 컨텐츠를 생성한다(S161). 약국서버(500)가 조제 완료 알림 및 복약지도 컨텐츠를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S163). 클라우드 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는 조제약 수령을 요청하고(S165), 클라우드서버(100)가 조제약 자판기(200)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전송한다(S167).
조제약 자판기(200)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환자가 인식되면 표시부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재생한다(S169). 카메라부가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가 복약지도 컨텐츠에 대해 집중하여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71). 조제약 자판기(200)는 판별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으면 조제약을 환자에게 제공한다(S17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제약 수령 시스템(10)은 클라우드서버(100), 조제약 자판기(200), 사용자단말(300), 병원서버(400), 약국서버(500), 약품유통서버(600)로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인증부(110), 알림부(120), 리스트생성부(130), 복약지도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사용자인증부(1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약 조제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의 고유ID를 통해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알림부(120)는 약국서버에서 조제가 불가능한 경우 조제 방법을 재안내하기 위해 안내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재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리스트생성부(130)는 병원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이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약지도부(140)는 약국서버로부터 수신된 복약지도 컨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복약지도 컨텐츠를 조제약 자판기에 전송한다. 상기 복약지도 컨텐츠는 영상, 음성, 텍스트 등 형식을 제안하지 않는다.
저장부(150)는 수신된 전자처방전과 복약지도 컨텐츠를 저장한다. 저장부(150)는 클라우드서버가 조제약 자판기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제공하면 전자처방전은 삭제한다. 제어부(160)는 조제약 자판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동작한다.
조제약 자판기(200)는 조제약확인부(210), 약조제실행부(220), 재고관리부(230), 집중도판별부(240), 카메라부(250), 표시부(260), 제어부(270)로 구성된다.
조제약확인부(210)는 약국서버로부터 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자처방전에 기재된 조제할 약품들을 추출하여 확인한다.
약조제실행부(220)는 사용자단말(300)로부터 약제비 결제 완료 알림을 수신하면 조제약확인부에서 확인된 조제약을 이용하여 약 조제를 실행한다.
재고관리부(130)는 약국서버(500)로부터 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조제약확인부에서 확인된 조제약의 재고여부를 확인한다. 재고관리부(130)는 재고가 없으면 약품유통서버에 약품약품QR코드를 전송한다.
집중도판별부(240)는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가 복약지도 컨텐츠에 대해 집중하여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집중도판별부(240)가 촬영된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얼굴 영역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 상기 특징점은 눈의 수직 위치, 눈의 수평폭, 눈의 높이, 눈썹의 수직 위치, 눈의 이격 거리, 코의 수직 위치, 코의 수평폭, 입의 수직 위치, 입의 수평폭, 턱의 수평폭, 턱 처짐, 입술 오무림, 윗입술 올라감, 눈썹 내려감, 눈썹 올라감, 입꼬리 처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집중도판별부(240)는 얼굴 영역에서 환자의 머리움직임을 인식한다. 집중도판별부(240)는 환자의 머리움직임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머리움직임을 인식하여 머리 회전각도값을 추출한다. 집중도판별부(240)가 딥러닝모델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관심영역에서 얼굴표정값을 추출한다. 상기 딥러닝모델은 2차원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집중도판별부(240)가 촬영된 영상의 얼굴 영역에서 시선인식값을 추출한다. 이후에, 집중도판별부(240)가 추출된 얼굴표정값, 시선인식값, 머리회전각도값에 따라 집중도를 판별한다.
카메라부(250)는 조제약 자판기(2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조제약 자판기(2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약국서버에서 생성된 복약지도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표시부(260)는 실시간으로 약국서버와 영상통신을 하여 약사와 영상으로 복약지도를 안내받을 수 있다. 제어부(270)는 조제약 자판기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동작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은 먼저 사용자단말(300)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201),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한다(S203). 사용자단말(300)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을 선택하여 클라우드서버(100)에 약 조제를 요청한다(S205).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대한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S207), 사용자인증을 완료하면 병원서버(400)에 사용자단말에 대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요청한다(S209). 병원서버(400)가 사용자단말에 대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을 조회하여(S211),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S213).
클라우드서버(100)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이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한다(S215). 즉,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를 저장부로부터 검색하여 인접한 거리 순서대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가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와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300)에 전송한다(S217).
사용자단말(300)이 수신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에서 조제약 자판기를 선택하면(S219), 사용자단말(300)이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200)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S221). 또한, 사용자단말(300)은 동시에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한다(S223). 상기 전자처방전은 병원서버에서 생성한 처방전 데이터, 종이로 출력되는 처방전 이미지 및 전자서명이 포함된다. 사용자단말에서 전자처방전은 전자적 방식으로 데이터 전달되어 약품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즉, 약품 정보 클릭 시 약품제공하는 사이트가 연결되어 약품 정보 확인 가능하다.
약국서버(500)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을 통해 해당 조제약 자판기에서 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225), 조제가 가능하지 않으면 클라우드서버 조제 방법을 재안내한다(S227). 조제약 자판기 및 약국서버에 전달된 전자처방전은 별도의 공인전자문서보관소에 저장하며, 법적 보관 기간이 도과하면 폐기된다. 약국서버에 전달된 전자처방전은 병원이 정한 전자처방전 유효일자만 저장하고 폐기된다.
약국서버(500)는 조제가 가능하면 조제 승인을 하고(S231),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복약지도 컨텐츠를 생성한다(S233). 약국서버(500)는 생성된 복약지도 컨텐츠를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하고(S235), 클라우드서버(100)는 조제약자판기와 사용자단말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전송한다(S237, S239). 사용자단말(300)은 복약지도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확인을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조제약자판기에 약 조제를 요청하고(S243), 조제약 자판기는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조제약을 확인한다(S245). 조제약자판기(200)는 재고 여부를 판단하여(S247), 재고가 없으면 약품유통서버에 약품약품QR코드를 전송한다(S249). 이때, 약품유통서버(600)는 약품QR코드 확인 및 약품 추출하고(S251), 약품배송서버에 약품 주문을 요청한다(S253), 재고가 있으면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국서버(500)에 약값계산을 요청한다(S255).
약국서버(500)가 약제비를 계산하고(S257), 계산된 약제비를 클라우드서버에 전달한다(S259).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약제비 결제를 요청하면(S261), 사용자단말(300)이 약제비를 결제하고(S263), 사용자단말(300)이 조제약 자판기(200)에 약제비 결제 완료를 알리면(S265), 조제약 자판기(200)가 약 조제를 실행한다(S267). 실시예에 따라 약제비 결제를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기 원하는 경우 약국이나 조제약 자판기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조제약 자판기(200)가 조제약을 사용자단말을 통해 환자에게 제공한다(S269). 구체적으로, 조제약 자판기(200)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환자가 인식되면 표시부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재생하고, 카메라부가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가 복약지도 컨텐츠에 대해 집중하여 보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조제약 자판기(200)는 판별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으면 조제약을 환자에게 제공한다.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
100; 클라우드서버 110; 사용자인증부
120; 알림부 130; 리스트생성부
140; 복약지도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200; 조제약 자판기
210; 조제약확인부 220; 약조제실행부
230; 재고관리부 240; 집중도판별부
250; 카메라부 260; 표시부
270; 제어부 300; 사용자단말
400; 병원서버 500; 약국서버

Claims (5)

  1.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이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하여 약 조제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고, 병원서버에서 조회된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이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와 전자처방전을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이 수신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에서 조제약 자판기를 선택하면, 사용자단말이 선택된 조제약 자판기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
    조제약 자판기가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조제약 자판기 인근의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를 선택하여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약국서버가 수신된 전자처방전을 통해 해당 조제약 자판기에서 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제가 가능하면 조제약 자판기에 조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조제가 가능하지 않으면 클라우드서버 조제 방법을 재안내하도록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조제약 자판기가 약국서버로부터 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조제약을 확인하고, 재고 여부를 판단하여, 재고가 없으면 약품유통서버에 약품약품QR코드를 전송하고, 재고가 있으면 약국서버에 약값계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약국서버가 약제비를 계산하여, 계산된 약제비를 클라우드서버에 전달하고,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약제비 결제를 요청하면, 사용자단말이 약제비를 결제하고, 사용자단말이 조제약 자판기에 약제비 결제 완료를 알리면 조제약 자판기가 약 조제를 실행하는 단계;
    조제약 자판기가 약 조제 완료를 약국서버에 알리면, 약국서버가 복약지도 컨텐츠를 생성하고, 조제 완료 알림 및 복약지도 컨텐츠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사용자단말에는 조제약 수령을 요청하고, 클라우드서버가 조제약 자판기에는 복약지도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조제약 자판기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환자가 인식되면 표시부에 복약지도 컨텐츠를 재생하고, 카메라부가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가 복약지도 컨텐츠에 대해 집중 여부를 판별하여, 판별 결과에 따라 조제약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5.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약 조제를 위한 처방을 조회하여 약 조제를 선택하면, 클라우드서버에 약 조제를 요청하고, 클라우드서버로부터 전자처방전 및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조제약 자판기를 선택하면, 조제약 자판기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병원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요청하고, 병원서버에서 조회된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처방전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이 미리 입력한 위치와 인접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조제약 자판기 리스트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클라우드서버;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자처방전을 수신하면 인접한 미리 지정된 약국서버를 선택하여 약국서버에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약국서버로부터 조제가 승인되면 약 조제하는 조제약 자판기를 포함하는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시스템.








KR1020210181926A 2021-12-17 2021-12-17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10262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26A KR102621983B1 (ko) 2021-12-17 2021-12-17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61287A KR20230163975A (ko) 2021-12-17 2023-11-20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26A KR102621983B1 (ko) 2021-12-17 2021-12-17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287A Division KR20230163975A (ko) 2021-12-17 2023-11-20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91A true KR20230092491A (ko) 2023-06-26
KR102621983B1 KR102621983B1 (ko) 2024-01-10

Family

ID=869477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26A KR102621983B1 (ko) 2021-12-17 2021-12-17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1020230161287A KR20230163975A (ko) 2021-12-17 2023-11-20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1287A KR20230163975A (ko) 2021-12-17 2023-11-20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1983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09A (ko) * 2000-04-17 2001-07-13 김영태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KR20130114925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희망나눔센터 스마트폰 단말기
KR101339393B1 (ko) * 2011-12-30 2013-12-12 박인술 소비자 선택 기능이 삭제된 원격 제어 의약품 공급장치
KR20160068413A (ko) * 2014-12-05 2016-06-15 이정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KR20180047226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755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4035A (ko) * 2018-07-03 2020-01-13 육심길 처방전에 의한 의약품 자동 판매 장치
KR20200032071A (ko) * 2020-03-17 2020-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KR102193784B1 (ko) * 2020-10-06 2020-12-21 이상호 처방전 자판기
KR20210016713A (ko) * 2019-08-05 2021-0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진료를 위한 자판기형 이동 진료 장치 및 진료 방법
KR20210025819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지역거점약국을 활용한 처방조제약품 수령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8009A (ko) * 2000-04-17 2001-07-13 김영태 환자 중심의 처방전 전달시스템 및 처방전 전달방법
KR101339393B1 (ko) * 2011-12-30 2013-12-12 박인술 소비자 선택 기능이 삭제된 원격 제어 의약품 공급장치
KR20130114925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희망나눔센터 스마트폰 단말기
KR20160068413A (ko) * 2014-12-05 2016-06-15 이정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KR20180047226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원격 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755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04035A (ko) * 2018-07-03 2020-01-13 육심길 처방전에 의한 의약품 자동 판매 장치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6713A (ko) * 2019-08-05 2021-02-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진료를 위한 자판기형 이동 진료 장치 및 진료 방법
KR20210025819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지역거점약국을 활용한 처방조제약품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32071A (ko) * 2020-03-17 2020-03-25 주식회사 공간소프트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약국의 약 조제방법
KR102193784B1 (ko) * 2020-10-06 2020-12-21 이상호 처방전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975A (ko) 2023-12-01
KR102621983B1 (ko)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3466B (zh) 医患处方互联与智能药品仓储分发系统
EP1264260A1 (en) 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190006755A (ko)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81491B1 (ja) 遠隔での診療及び服薬指導を支援するサーバ
KR20040053269A (ko) 처방조치 시스템 및 방법
US10650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identification of a customer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US103730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cation identification
KR20210025819A (ko) 지역거점약국을 활용한 처방조제약품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99372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2664A (ko) 복약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복약 가이드 방법
WO2023029505A1 (zh) 处方审核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570942A (zh) 一种智能就医方法及相应的装置
KR102621983B1 (ko)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CN109192257A (zh) 基于电子处方的慢病管理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KR20200004035A (ko) 처방전에 의한 의약품 자동 판매 장치
JP2021136018A (ja) 支援装置、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216367A (zh) 药物安全配送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90931A (zh) 一种处方笺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EP2287768A1 (en) Management control of pharmaceutical substances
US20210241207A1 (en) Method for notifying of expiry date of medicine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13524328A5 (ko)
KR102297255B1 (ko) 개인 의료정보 기반 의약품 생애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KR102451146B1 (ko)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송 중개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