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413A -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413A
KR20160068413A KR1020140174107A KR20140174107A KR20160068413A KR 20160068413 A KR20160068413 A KR 20160068413A KR 1020140174107 A KR1020140174107 A KR 1020140174107A KR 20140174107 A KR20140174107 A KR 20140174107A KR 20160068413 A KR20160068413 A KR 20160068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y
prescription
patient
information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4017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413A/ko
Publication of KR2016006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90Blood pressure rec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 디바이스의 검색 요청에 따라 약국 및 의약품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약국 및 상기 약국의 보유 의약품을 검색하는 병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디바이스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환자에게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상기 맞춤 약국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맞춤 약국 정보에 대응하는 약국에서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상기 검색 서버를 통해 검색하며, 검색 결과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모듈에 의한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 약국 및 처방약의 선택을 입력받아 처방전을 발급하는 처방전 발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이용하여 약국 및 의약품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의사가 처방을 할 때부터 환자가 방문할 약국을 고려하여 의약품을 선택하고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병원 근처의 약국을 이용하지 못하거나 원격진료로 처방을 받은 경우에도,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또는 주변 약국 등이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구성된 처방전을 이용해 처방된 의약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디바이스가 환자가 미리 선택한 외래 처방 약국에 처방전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함으로써, 환자가 자주 이용하는 약국이나 쉽게 이용 가능한 약국을 방문하여, 기다리는 시간 없이 조제된 약을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PATIENT SPECIFIC PHARMACY SEARCHING SYSTEM TO MAKE PRESCRIPTION}
본 발명은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약분업의 시행 이후 환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받아서 약국에 가서 조제약을 구입하는 체계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약국에서 모든 약품을 구비하고 있을 수는 없으므로, 대부분의 약국은 인접한 병의원에서 처방되는 약품을 주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환자들은 처방전을 받은 후, 병의원과 같은 건물을 사용하거나 바로 인접한 곳에 위치한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된 약을 구입하곤 한다.
그러나 병원 근처에서 약을 미처 구입하지 못하거나, 건강검진 전문 병원에서 처방받은 처방전으로서 건강검진 전문 병원 근처에 약국이 없는 경우, 원격진료로 처방을 받은 경우 등에는, 환자의 거주지역이나 환자가 위치한 지역 등에서 약을 구입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처방받은 약이 약국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환자가 약을 구입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는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을 조제할 수 있는 약국을 쉽게 찾을 수 있고, 또 미리 조제지시를 할 수 있어서 약을 타기 위해 약국에서 쓸데없이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처방전에 따른 환자의 약제를 구비한 약국 검색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공개특허 제10-2002-0006252호).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병원에 비치된 무인단말기를 이용하므로, 결국 병원에 인접한 약국에서 약을 구입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게 되며, 미처 병원에서 무인단말기를 이용하지 못한 환자는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약국을 이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특히, 원격진료로 처방을 받은 경우에는 환자가 이용하는 약국에 처방받은 약이 없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이용하여 약국 및 의약품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의사가 처방을 할 때부터 환자가 방문할 약국을 고려하여 의약품을 선택하고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병원 근처의 약국을 이용하지 못하거나 원격진료로 처방을 받은 경우에도,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또는 주변 약국 등이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구성된 처방전을 이용해 처방된 의약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 디바이스가 환자가 미리 선택한 외래 처방 약국에 처방전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함으로써, 환자가 자주 이용하는 약국이나 쉽게 이용 가능한 약국을 방문하여, 기다리는 시간 없이 조제된 약을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은, 검색 시스템으로서,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 디바이스의 검색 요청에 따라 약국 및 의약품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서버; 및
상기 검색 서버에 접속하여 약국 및 상기 약국의 보유 의약품을 검색하는 병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디바이스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환자에게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
상기 맞춤 약국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맞춤 약국 정보에 대응하는 약국에서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상기 검색 서버를 통해 검색하며, 검색 결과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검색 모듈; 및
상기 검색 모듈에 의한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 약국 및 처방약의 선택을 입력받아 처방전을 발급하는 처방전 발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는,
상기 약국의 재고관리 시스템, 처방전 관리 시스템, 건강심사평가원에 급여 청구를 하기 위한 청구관리 시스템, 건강보험관리공단의 약국 공급약 또는 청구 급여약 관리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수집,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춤 약국 정보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단골 약국의 약국 정보, 환자에 의해 선택된 지정 약국의 약국 정보, 및 환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는,
제품명, 성분명, 대체약, 기관별효능군약물 및 질병코드별 급여대상약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원 디바이스는,
환자의 진료 내역, 환자 특이 사항, 처방 내역 및 맞춤 약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환자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 모듈은,
환자 디바이스 또는 상기 환자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맞춤 약국 정보가 환자의 위치 정보이면,
상기 검색 모듈은,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모두 보유한 약국을 상기 검색 서버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전 발급 모듈에서 발급된 처방전을 상기 처방 약국에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하는 처방전 전송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이용하여 약국 및 의약품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전을 발급함으로써, 의사가 처방을 할 때부터 환자가 방문할 약국을 고려하여 의약품을 선택하고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병원 근처의 약국을 이용하지 못하거나 원격진료로 처방을 받은 경우에도,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또는 주변 약국 등이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구성된 처방전을 이용해 처방된 의약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디바이스가 환자가 미리 선택한 외래 처방 약국에 처방전을 자동으로 전송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함으로써, 환자가 자주 이용하는 약국이나 쉽게 이용 가능한 약국을 방문하여, 기다리는 시간 없이 조제된 약을 신속하게 구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병원 디바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서버에 검색을 요청하는 병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결과가 출력된 병원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은, 검색 서버(100) 및 병원 디바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 디바이스(300) 및 약국 디바이스(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환자가 맞춤 약국 정보를 미리 설정해 두면,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처방할 때 병원 디바이스(200)를 이용해 검색 서버(100)에 접속하고, 맞춤 약국 정보 및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검색 서버(100)에 입력하여 환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약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처방을 하여 환자에게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다. 환자는 발급된 처방전을 가지고 해당 약국에 방문하여 처방받은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병원 디바이스(200)가 처방전을 해당 약국의 약국 디바이스(400)에 전송하여 환자의 방문 전에 미리 조제를 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검색 서버(100), 병원 디바이스(200), 환자 디바이스(300) 및 약국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검색 서버(100)는,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 디바이스(2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약국 및 의약품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검색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한 병원 디바이스(200)의 접속을 허용하고 검색을 수행하여, 환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약국과 해당 약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이때, 검색 서버(100)가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약국은 병원 내에 있는 약국이 아닌 외래약국일 수 있다.
여기에서, 검색 서버(100)는 약국의 약국 정보 및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약국 정보는, 약국 이름, 연락처, 주소,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업시간이나 휴업일 등의 운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유 의약품 정보는, 각 약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의 정보일 수 있다.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는, 약국의 재고관리 시스템, 처방전 관리 시스템, 건강심사평가원에 급여 청구를 하기 위한 청구관리 시스템, 건강보험관리공단의 약국 공급약 또는 청구 급여약 관리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수집,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검색 서버(100)는, 병원 디바이스(200)의 용이한 접속 및 이용을 위하여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웹을 운영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병원 디바이스(200)는, 검색 서버(100)에 접속하여 약국 및 약국의 보유 의약품을 검색할 수 있다. 즉, 병원 디바이스(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 서버(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웹에 접속하거나, 병원 디바이스(20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하여 검색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병원 디바이스(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환자 디바이스(300)는,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약을 구매하는 환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환자는 환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해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환자 디바이스(300)는, 병원 디바이스(200)에 의해 처방전이 발급된 약국의 약국 정보를 병원 디바이스(200) 또는 검색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으며, 처방전에 따른 조제 상황 등을 약국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환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해 약국 검색 등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의 이용을 위하여, 환자는 환자 디바이스(30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구동할 수 있으며, 구동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약국 정보, 조제 상황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처방된 이력 등을 관리할 수도 있다.
약국 디바이스(400)는, 약국에서 의약품 재고 관리, 처방전 관리, 급여약 청구프로그램 또는 건강보험공단의 각 약국의 공급약 정보 등에서 추출한 각 약국 보유 의약품 정보 수집 등을 위해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약국에서는, 약국 재고 관리 시스템이나 처방전 관리 시스템을 약국 디바이스(400)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약국의 재고나 처방된 내용 등을 검색 서버(100)에 전달하여 검색 서버(100)에 저장된 보유 의약품 정보 등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약국 디바이스(400)는 병원 디바이스(200)로부터 처방전을 전달받아 조제할 수도 있다.
한편, 병원 디바이스(200),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약국 디바이스(400)는,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디바이스(200),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약국 디바이스(4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병원 디바이스(200),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약국 디바이스(4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환자가 이용을 원하는 약국에서 보유한 의약품을 검색하여 처방을 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병원 디바이스(200),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약국 디바이스(4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병원 디바이스(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의 병원 디바이스(200)는, 수신 모듈(210), 입력 모듈(220), 검색 모듈(230) 및 처방전 발급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 관리 모듈(250) 및 처방전 전송 모듈(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모듈(210)은,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210)은,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추수 상세히 설명할 환자 관리 모듈(250)로부터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 모듈(210)은, 환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환자 관리 모듈(250)에 해당 환자에 대해 맞춤 약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환자 관리 모듈(25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맞춤 약국 정보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단골 약국의 약국 정보, 환자에 의해 선택된 지정 약국의 약국 정보, 및 환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맞춤 약국 정보는,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또는 주변 약국 등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먼저, 환자는 환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거나 병원에 요청하여 환자가 자주 이용하는 약국을 단골 약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환자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환자가 직접 단골 약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병원 디바이스(200)가 환자의 요청을 받아 단골 약국을 지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주변 약국 중에서 환자가 미리 정해진 횟수 이상 이용한 약국을 단골 약국으로 자동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는 특별히 이용하고자 하는 약국을 지정 약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주 이용하는 약국이 아니더라도 특별히 원하는 약국이 있을 때에는, 환자가 환자 디바이스(300)를 이용하거나 병원에 요청하여 해당 약국을 지정 약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모듈(210)은 설정된 단골 약국 또는 지정 약국의 약국 이름, 연락처, 약국 주소 등의 약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단골 약국이나 지정 약국 이외에도, 환자 주변의 약국을 주변 약국으로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수신 모듈(210)이 환자의 거주지나 환자 디바이스(300)의 위치 등의 위치 정보를 맞춤 약국 정보로 수신하여, 환자 주변의 약국을 검색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원격 진료 등의 경우에는 환자 디바이스(300)의 위치 정보를 맞춤 약국 정보로 수신하여 활용함으로써, 환자가 주변에 있는 약국을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 모듈(220)은, 환자에게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처방을 할 때에 병원 디바이스(200)의 입력 모듈(220)을 이용해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처방 의약품 정보는, 제품명, 성분명, 대체약, 기관별효능군약물 및 질병코드별 급여대상약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전 작성 및 검색을 위해 입력 모듈(220)은 질병분류코드 등을 더 입력할 수 있으며, 수신 모듈(210)이 수신한 맞춤 약국 정보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약국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서버(100)에 검색을 요청하는 병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의 병원 디바이스(200)는, 입력 모듈(220)을 통해 의사가 처방하고자 하는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의사가 환자가 선택한 단골 약국, 지정 약국, 주변 약국 등의 보유 의약품 정보를 바탕으로, 처방할 의약품의 처방 의약품 정보를 확인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골 약국, 지정 약국, 주변 약국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을 변경하여 검색 서버(100)에 재검색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때, 환자가 설정한 지정 약국이 없는 경우에는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처방전 작성 시에는 환자의 기본 정보 등도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정보는 수신 모듈(210)이 환자 관리 모듈(250)로부터 수신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의사면허, 발행기관, 사용기관 등의 정보도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검색 모듈(230)은, 맞춤 약국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검색 서버(100)에 전달하고, 맞춤 약국 정보에 대응하는 약국에서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검색 서버(100)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즉, 검색 모듈(230)은, 맞춤 약국 정보가 단골 약국 또는 지정 약국의 약국 정보이면, 해당 약국의 약국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검색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검색 서버(100)는 단골 약국 또는 지정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와 처방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처방 의약품 정보에 해당하는 의약품의 보유 여부를 검색 결과로 검색 모듈(230)에 전송할 수 있다.
맞춤 약국 정보가 환자의 위치 정보이면, 검색 모듈(230)은 환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모두 보유한 약국을 검색 서버(100)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즉, 검색 모듈(230)은 위치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검색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검색 서버(100)는 위치 정보의 주변 약국을 먼저 검색하고, 검색된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와 전달받은 처방 의약품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검색 결과는, 주변 약국 중에서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되는 의약품을 모두 보유한 약국을 우선하여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결과가 출력된 병원 디바이스(200)의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골 약국 또는 지정 약국의 보유 의약품이 검색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 의약품을 보유한 주변 약국이 검색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의 병원 디바이스(200)의 검색 모듈(230)은, 검색 서버(100)로부터 단골 약국과 주변 약국 중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보유한 약국의 리스트를 검색 결과로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골 약국 또는 지정 약국이 있는 경우, 주변 약국에 우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검색 모듈(230)은, 처방 의약품 정보에 포함된 성분명, 대체약, 유사효능약 정보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의약품은 아니지만 대체가 가능한 의약품을 함께 검색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사가 입력한 처방 의약품 정보와 동일하지는 않으나, 대체약 또는 유사효능약 등을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단골 약국이나 지정 약국의 경우, 의사가 처방하고자 한 약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으나 동일한 성분과 효과를 갖고 있어 대체가 가능하다면, 검색 결과를 이용해 의사가 단골 약국이나 지정 약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으로 처방을 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처방하고자 한 약이, 검색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단골 약국, 지정 약국 또는 주변 약국에서 구하기 어려운 의약품인 경우에는,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하는 등으로 처방을 할 수 있어서, 환자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처방전 발급 모듈(240)은, 검색 모듈(230)에 의한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 약국 및 처방약의 선택을 입력받아 처방전을 발급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 결과 화면에서, 의사가 약국을 선택하고, 처방약을 확정하여 선택하면, 처방전 발급 모듈(240)이 입력된 정보들을 이용해 처방전을 생성 및 발급할 수 있다.
환자 관리 모듈(250)은, 환자의 진료 내역, 환자 특이 사항, 처방 내역 및 맞춤 약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환자 관리 모듈(250)은 환자의 정보를 관리하면서, 맞춤 약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의사가 처방전 작성을 위해 검색 서버(100)를 통해 검색을 할 때, 수신 모듈(210)을 통해 자동으로 맞춤 약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처방전 전송 모듈(260)은, 처방전 발급 모듈(240)에서 발급된 처방전을 처방 약국에 자동으로 전송하고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할 수 있다. 처방전 발급 모듈(240)에서 발급된 처방전은 프린트되어 환자에게 하드카피로 전달될 수 있으나, 처방전 전송 모듈(260)이 약국 디바이스(400)에 처방전을 전송하고 조제를 의뢰함으로써, 환자가 대기 시간 없이 미리 조제된 약을 바로 구매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처방전 전송 모듈(260)은 의사가 처방전 작성을 위해 선택한 해당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처방전 전송 모듈(260)이 환자 디바이스(300)에 처방전을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원격 진료의 경우 처방전은 하드카피로 전달될 수 없으므로, 환자 디바이스(300)에 연결된 프린터나 디스플레이 장치로 처방전이 출력되도록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검색 서버 200: 병원 디바이스
210: 수신 모듈 220: 입력 모듈
230: 검색 모듈 240: 처방전 발급 모듈
250: 환자 관리 모듈 260: 처방전 전송 모듈
300: 환자 디바이스 400: 약국 디바이스

Claims (8)

  1. 검색 시스템으로서,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를 저장하고, 병원 디바이스(20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약국 및 의약품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 서버(100); 및
    상기 검색 서버(100)에 접속하여 약국 및 상기 약국의 보유 의약품을 검색하는 병원 디바이스(200)를 포함하며,
    상기 병원 디바이스(200)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210);
    상기 환자에게 처방할 처방 의약품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모듈(220);
    상기 맞춤 약국 정보 및 처방 의약품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100)에 전달하고, 상기 맞춤 약국 정보에 대응하는 약국에서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상기 검색 서버(100)를 통해 검색하며, 검색 결과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검색 모듈(230); 및
    상기 검색 모듈(230)에 의한 검색 결과를 이용해, 처방 약국 및 처방약의 선택을 입력받아 처방전을 발급하는 처방전 발급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의 보유 의약품 정보는,
    상기 약국의 재고관리 시스템, 처방전 관리 시스템, 건강심사평가원에 급여 청구를 하기 위한 청구관리 시스템, 건강보험관리공단의 약국 공급약 또는 청구 급여약 관리 시스템에서 추출되어, 수집, 저장 및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약국 정보는,
    환자에 의해 설정된 단골 약국의 약국 정보, 환자에 의해 선택된 지정 약국의 약국 정보, 및 환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는,
    제품명, 성분명, 대체약, 기관별효능군약물 및 질병코드별 급여대상약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디바이스(200)는,
    환자의 진료 내역, 환자 특이 사항, 처방 내역 및 맞춤 약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환자 관리 모듈(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210)은,
    환자 디바이스(300) 또는 상기 환자 관리 모듈(250)로부터 상기 맞춤 약국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 약국 정보가 환자의 위치 정보이면,
    상기 검색 모듈(230)은,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에 상기 처방 의약품 정보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모두 보유한 약국을 상기 검색 서버(100)를 통해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발급 모듈(240)에서 발급된 처방전을 상기 처방 약국에 자동으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전에 따른 조제를 의뢰하는 처방전 전송 모듈(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KR1020140174107A 2014-12-05 2014-12-05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KR20160068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107A KR20160068413A (ko) 2014-12-05 2014-12-05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107A KR20160068413A (ko) 2014-12-05 2014-12-05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413A true KR20160068413A (ko) 2016-06-15

Family

ID=5613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107A KR20160068413A (ko) 2014-12-05 2014-12-05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4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197B1 (ko) * 2017-11-30 2018-03-30 허현 의약품 재고 관리 방법
KR101844196B1 (ko) * 2017-11-30 2018-03-30 허현 의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JP2020129198A (ja) * 2019-02-07 2020-08-27 株式会社Epark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9249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197B1 (ko) * 2017-11-30 2018-03-30 허현 의약품 재고 관리 방법
KR101844196B1 (ko) * 2017-11-30 2018-03-30 허현 의약품 재고 관리 시스템
JP2020129198A (ja) * 2019-02-07 2020-08-27 株式会社Epark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92491A (ko) *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원격 조제약 자판기를 통한 조제약 수령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8608B2 (en) Prescription drug discount and therapy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20030050802A1 (en) Medical service and prescription management system
US20090271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Records Registration
KR20140016494A (ko)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102363596B1 (ko) 환자 트랜스퍼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US20140038152A1 (en) Medical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KR20160068413A (ko) 처방전 작성을 위한 환자 맞춤 약국 검색 시스템
KR20160038661A (ko) 약국의 약품 보유 정보를 이용한 약국 검색 시스템
CN105426673A (zh) 基于微科室的dtp药品导购平台
JP2016110247A (ja) 診療の予約、診療料金及び医薬品料金の精算を行な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6166954A1 (ja) 服薬履歴管理方法、服薬履歴管理装置、および、服薬履歴管理プログラム
Polite et al. Oncology pathways—preventing a good idea from going bad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Turisco et al. Wireless and mobile computing
US20030130875A1 (en) Real-time prescription renewal transaction across a network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69682B1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환자 포탈 장치 및 환자 단말의 조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8190208A (ja) 在宅訪問支援システム
KR102504515B1 (ko)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Downing Inviting the pharmacist: a model for improved reproductive care access
KR102451369B1 (ko)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4019050A1 (en) Medical visualization method and system
Sayood et al. The challenge of outpatient antibiotic stewardship
US20150379207A1 (en) Universal medical access card system and process thereof
JP3214767U (ja) 診療の予約、診療料金及び医薬品料金の精算を行なうため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