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72A -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72A
KR20130099372A KR1020120020829A KR20120020829A KR20130099372A KR 20130099372 A KR20130099372 A KR 20130099372A KR 1020120020829 A KR1020120020829 A KR 1020120020829A KR 20120020829 A KR20120020829 A KR 20120020829A KR 20130099372 A KR20130099372 A KR 2013009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edical
hospital
smar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
Priority to KR102012002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372A/ko
Publication of KR2013009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진료 절차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원 내에 설치되어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 및 처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예약 신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쥴링하며, 상기 스케쥴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MART HOSPITAL SERVICE USING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 병원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진료 절차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내원 시에 받게 되는 의료 서비스의 단계는 크게 접수, 진료, 검사, 입원, 수술, 응급 및 수납 등의 여러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병원 내에서의 진료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병원에 도착하면 먼저 접수과로 이동(S101)하고, 접수 대기표를 발급(S102) 받는다. 그런 다음, 순번에 따라 대기(S103)하게 되며, 초진일 경우(S104), 안내에 비치된 진료 신청서를 작성(S111)한다. 이때, 개인 정보, 진료과, 진료 의사 등을 기재하게 된다. 그런 다음, 작성한 진료 신청서 및 의료 보험증을 제출함으로써 진료 신청을 접수하고 접수비를 수납(S112)한 후, 진료과로 이동(S113)한다. 진료과에 도착해서는 다시 해당 진료과에 수납 영수증을 제출(S114)하고, 간호사의 호명이 있기 전까지 대기(S115)한다. 순서가 되면 의사의 진료(S116)가 시작되고, 진료 완료 후 다시 수납과로 이동(도 1c의 B로 이동)한다.
한편, 초진이 아닐 경우(S104), 예약이 된 상태이면(S105), 진료과로 바로 이동(S106)하여, 예약을 확인(S107)하고, 간호사의 호명이 있기 전까지 대기(S108)한다. 의사의 진료가 완료(S109)되면, 진료 결과에 따라 입원 치료를 해야될 경우(S110), 도 1b의 A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도 1c의 B로 진행하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입원 치료를 하여야 하는 경우, 순번을 대기(S121)하고, 입원 수속 및 입원실 배정 안내(S122)를 받게 된다. 그런 다음, 입원실로 이동(S123)하여 입원 후 치료를 병행(S124)하고, 치료가 마무리 되면 퇴원 수속을 요청(S125)하여, 다시 도 1c의 B로 진행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에서 진료 또는 치료가 마무리되면 수납과로 이동(B)하고, 진료(또는 퇴원) 신청서를 제출(S131)한다. 그런 다음, 처방전을 발급 받고 진료비를 수납(S132)하며 다음 갈 곳을 안내받는다. 다음으로, 진단에 필요한 검사가 있을 경우(S133), 소변 검사, 혈액검사, X-Ray, N 등 각 검사 항목들을 안내(S134)받고, 해당 검사실로 이동(S135)하여 각 검사를 받게 된다(S136).
한편, 진단에 필요한 검사가 없을 경우(S133), 다음 진료 예약이 있다면(S137) 진료 일정을 예약(S138)한다. 다음으로, 주사 투약이 있을 경우(S139), 주사실로 이동(S140)하여 투약(S141)하고, 약국으로 이동(S142)한다. 약국에서는 처방전을 제출한 후 다시 대기(S143)하며, 약 처방 후 해당 약을 수령(S144)함으로써 병원에서의 서비스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병원 진료 절차에서는 각 단계들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존재하는 이동, 접수 및 대기의 횟수에 따라서 병원 의료 서비스의 이용 시간이 결정된다. 특히, 종합 병원, 대학 병원 등과 같은 대형 병원에서는 이용자가 많음으로 인해 상기 이동, 접수 및 대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려 실제 진료 시간에 비해 낭비되는 시간이 훨씬 많다. 이로 인하여 진료 시간은 짧으나 병원에서 하루를 다 허비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해져 있는 진료 시간과 의료진, 많은 환자의 환경에서 기존의 의료 시스템만으로는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기대할 수가 없다. 따라서,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진료 단계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동, 접수, 대기 등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진료의 반복적인 단계의 횟수를 줄임으로써 빠르고 질 높은 의료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진료 절차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동 및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 내에서 이동 시 다음 절차 진행 장소를 사용자 단말의 병원 네비게이션 제공 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진료를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원 내에서 대기 시 진료 대상자의 현재 위치와 진료 시간을 고려하여 진료 대상자에게 통보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원활한 진료 절차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병원 내에 설치되어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 및 처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예약 신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쥴링하며, 상기 스케쥴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원 내의 각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각각에 대한 고유 정보와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에 의해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의 병원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예약한 진료 예약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병원 내의 구조를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현재 위치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병원 내에 설치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진료 예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쥴링하며, 상기 스케쥴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병원 내의 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결과를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고유 정보와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된 통신 결과로부터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의 병원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예약한 진료 예약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병원 내의 구조를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현재 위치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 받을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진료 절차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동 및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내에서 이동 시 다음 절차 진행 장소를 사용자 단말의 병원 네비게이션 제공 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안내함으로써 건물 내 구조가 복잡한 대형 병원 등에서 진료 장소 등을 효과적으로 찾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내에서 대기 시 진료 대상자의 현재 위치와 진료 시간을 고려하여 진료 대상자에게 통보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원활한 진료 절차 진행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진료 시간 할애를 하게 될 경우 의사와 환자 간의 신뢰가 높아지고 오진의 확률이 낮아지게 되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병원에서 소비하게 되는 시간 또한 단축되어 환자의 흐름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병원 내에서의 진료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를 실제 적용한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진료 절차와 관련된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예컨대, 병원 이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병원에 비치된 전용 단말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동 및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진료 절차를 제외한 각종 접수, 정보 입력, 예약, 진료 의사 선택, 장소 안내, 예약 시간 안내, 수납 등의 모든 절차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진료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병원 내의 각 장소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각 병원 이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해당 이용자의 진료 시간과 연계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진료 안내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을 포함하여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항법 장치 등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TV 등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본 발명에 따른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단말기를 병원 내에 비치하여 서비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App)'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들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용으로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포함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 통신 네트워크(210), 복수의 사용자 단말(220)들 및 금융 기관 서버(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는 병원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연동하여 병원 진료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의 세부 기능은 도 3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 네트워크(2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55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s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병원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근거리 통신 모듈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근거리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220)과 통신하여 사용자 단말(220)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 단말(220)의 위치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210)(예컨대, 유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등)를 통해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상기 각 사용자 단말(220)의 병원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만약, 해당 사용자 단말(220)의 사용자가 현재 진료 받아야 될 위치를 이탈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20)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별도의 스마트폰 등으로 진료 예약 장소 및 시간 정보 등을 통보함으로써 진료 예약 사실을 환기시켜주게 된다.
사용자 단말(220)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210)를 통해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병원 진료 관련된 서비스(예컨대, 각종 접수, 정보 입력, 예약, 진료 의사 선택, 장소 안내, 예약 시간 안내, 수납 등)를 제공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20)은 사용자가 서버 접속, 정보 입력, 진료 관련 정보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210)를 통하여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2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장치의 세부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는 환자 등록 처리 모듈(311), 진료 절차 처리 모듈(312), 단말 위치 확인 모듈(313), 진료 위치 안내 모듈(314),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315) 등의 각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1), 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322),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3), 및 병원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324) 등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등록 처리 모듈(311)은 각종 기본적인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받아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하며, 진료를 위한 차트 작성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아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1)에 저장한다. 또한, 진료를 위해 증세를 온라인 문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환자의 증세 선택에 따라 단계적인 질의 과정을 통해 문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문진은 각 증세에 따라 트리 구조로 세분화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질의문을 통해 환자가 직접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문진을 수행하면 진료 절차 처리 모듈(312)에서는 상기 문진 결과를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분석하여 진료과를 자동으로 선정하게 된다. 예컨대, 문진 결과 감기 증상과 관련된 환자의 경우 내과를 자동 선정하게 되며, 병원 내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복수의 내과 중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진료 가능한 의사와 시간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직접 특정 의사 및 진료 시간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특정 의사 및 시간을 선택하여 진료를 예약하면, 진료 절차 처리 모듈(312)에서는 진료 완료까지의 예약, 대기, 이동, 투약, 수납 등 진료와 관련된 모든 절차를 스케쥴링하고 이를 프로그램화하여 처리하게 된다.
단말 위치 확인 모듈(3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의 통해 해당 사용자(즉, 진료 대상자 또는 환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2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환자의 병원 내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병원 등과 같은 건물 내에서는 GPS 모듈 등을 활용하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며, 건물 내에서의 방과 방 사이 같이 정확하고 정밀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병원 내의 각 방 출입구, 병실 입구, 기둥, 벽, 천정 등에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설치하고, 각 사용자 단말(220)과 실시간으로 통신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20)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사용자 단말(220)에는 식별 가능한 고유 번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각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도 식별 가능한 고유 번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특정 사용자 단말(220)이 근접하여 통신하게 될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220)은 상기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인접한 상태이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220)의 식별 번호 및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고유 번호를 맵핑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단말 위치 확인 모듈(313)에서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모든 각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사용자 단말(220)과의 통신 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위치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진료 위치 안내 모듈(3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220)을 통해 진료 위치 안내를 요청하게 되면, 진료 절차 처리 모듈(312)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20)에 대한 현재 진료 단계 및 진료받을 장소를 확인하고, 이를 네비게이션 수단을 통해 안내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220)에서는 진료 위치 안내 요청에 따라 상기 진료 위치 안내 모듈(314)로부터 현재 위치로부터 진료받을 장소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해당 병원 내부 구조를 2D 또는 3D 이미지로 도식화하여 저장하고, 건물 내에서의 현재 위치 및 진료받을 장소의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위치 안내 모듈(3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료 절차 처리 모듈(312)에서 각 사용자의 진료 시간을 확인하고, 해당 진료 시간이 임박할 경우(예컨대, 5분전, 10분전일 경우 등) 상기 단말 위치 확인 모듈(313)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해당 사용자가 상기 진료받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상 이격 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220) 또는 사용자의 별도의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등)로 진료가 임박하였으니 신속히 이동하라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진료 시간이 임박하더라도 해당 사용자가 진료받을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별도의 통보를 하지 않도록 구현하게 된다.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기능을 제공받기 위한 상기 각 사용자 단말(220)에서 회원 가입시 입력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322)에는 해당 환자의 진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며,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323)에는 해당 환자의 진료 예약시 예약과 관련된 시간, 장소, 위치 관리 정보 등의 정보들을 저장한다.
병원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324)에는 각 사용자 단말(220)로 병원 내의 네비게이션 기능 제공을 위해 병원 내부 구조를 2D 또는 3D로 모식화한 이미지 정보들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220)은 입력부(410), 표시부(420), 알림 처리부(430), 제어부(440), 무선 통신부(450), 스마트 병원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저장되는 메모리(4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되는 스마트 병원 응용 프로그램은 로그인 처리부(461), 정보 등록부(462), 위치 표시부(463) 및 진료 조회부(4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10)는 사용자의 환자 정보 입력, 문진 선택 정보 입력, 예약 정보 선택, 네비게이션 기능 조작 등과 같은 진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 입력 및 선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420)는 진료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면, 네비게이션 기능 등과 같이 이미지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알림 처리부(4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약 시간이 임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위치가 진료받을 위치에서 이격되어 있을 경우, 설정된 알림 모드에 따라 각종 알림 수단(예컨대, 소리, 진동, 멜로디, 알림창 등)을 통해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440)는 사용자 단말(220)의 각종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적인 처리 기능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450)는 통신 네트워크(210)를 통해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병원 내의 각 지역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병원 응용 프로그램의 로그인 처리부(461)는 환자 등록시 입력한 개인 정보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로그인 처리를 수행하며, 정보 등록부(462)는 진료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등록하여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표시부(46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에서 수집된 해당 사용자 단말(2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병원 내의 각 지역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의 통신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즉,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고유 번호와 맵핑된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특정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통신할 때,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맵핑된 위치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2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진료 조회부(464)는 입력부(410)를 통한 사용자의 현재 진료 상태 조회 요청에 따라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전체 진료 단계 중의 현재 진료 상태를 표시하며, 다음 진료 절차, 예약 시간, 예약된 장소, 남은 시간, 진료 결과 등의 각종 진료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환자 등록 및 로그인(501)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각종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챠트를 작성(S502)한다. 이때, 상기 입력할 각 항목들은 사용자 단말에서 탬플릿 형태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각 항목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정보를 입력하고 챠트를 작성함으로써 별도의 문진 절차 없이 챠트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수 및 문진에 따른 예약, 대기 등과 같은 복잡한 절차를 모두 생략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진료를 예약(S503)하고자 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챠트 작성 시 작성된 문진 결과를 통해 해당 병원 내의 진료 영역을 결정하고, 진료 가능한 시간 및 담당 의사를 추천하여 목록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추천 목록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예약(S504)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20)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병원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진료받을 위치를 안내(S505)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약 시간이 일정 시간 이내(S506)(예컨대, 진료 예약 5분 전, 10분 전 등)에 도달할 경우, 상기 예약자(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인하고, 현재 위치가 진료받을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을 경우(S507)에는 설정된 각종 알림 모드에 따라 진료 알림을 사용자에게 통보(S508)하게 된다.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병원 서비스를 실제 적용한 서비스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병원 내에 진입하여 스마트 병원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S601), 자신의 스마트폰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S602)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각종 서비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진료 서비스, 문병 서비스, 비즈니스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초진이 아닐 경우(S604), 예약 진료이면(S605)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대기 환자 수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확인(S066)할 수 있다. 또한, 진료할 위치로 네비게이션 수단을 통해 안내받은 후 예약한 담당 의사에게 진료를 받게 되며, 치료 또는 검사 결과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S607)하게 된다.
한편, 초진일 경우(S604), 초진 차트를 작성(S608)한다. 예컨대,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의료 보험의 종류를 체크한다. 그런 다음, 증세를 온라인 문진으로 체크(S609)한다. 이와 같이, 온라인 문진이 완료되면, 서버로부터 문진 결과를 제공받고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안내(S610)받게 된다.
다음으로, 문진 결과에 따라 진료과를 선정할 수 있으며, 의료진을 추천하여 선택(S611)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는 상기 문진 결과를 해당 진료과로 전송하며, 예약을 접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진료과 및 의료진 선택에 따라 병원 내의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대기 순번 및 대기 예상 시간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진료 시간에 해당 진료과로 이동(S612)하며, 진료를 받게 된다(S613). 진료가 완료되면 진료비를 스마트폰을 통해 온라인으로 결재(S614)하고, 온라인 처방전을 발급받은 후, 다음 서비스를 안내(S615)받게 된다. 이후에는,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고개 맞춤 스케줄링 서비스를 이용(S616)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 210 : 통신 네트워크
220 : 사용자 단말 230 : 금융 기관 서버
311 : 환자 등록 처리 모듈 312 : 진료 절차 처리 모듈
313 : 단말 위치 확인 모듈 314 : 진료 위치 안내 모듈
315 :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 321 : 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322 : 진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323 : 예약 정보 데이터베이스
324 : 병원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410 : 입력부 420 : 표시부
430 : 알림 처리부 440 : 제어부
450 : 무선 통신부
460 : 저장부 461 : 로그인 처리부
462 : 정보 등록부 463 : 위치 표시부
464 : 진료 조회부

Claims (8)

  1. 병원 내에 설치되어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 및 처리하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 예약 신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쥴링하며, 상기 스케쥴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내의 각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각각에 대한 고유 정보와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에 의해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의 병원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예약한 진료 예약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병원 내의 구조를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현재 위치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병원 내에 설치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진료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문진 정보로부터 진료과를 선정하고, 해당 진료과의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예약 가능한 시간 및 예약 가능한 의료진에 대한 추천 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및 특정 의료진을 선택함으로써 진료 예약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진료 예약에 따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진료 절차를 스케쥴링하며, 상기 스케쥴링에 따른 진료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내의 각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결과를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각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고유 정보와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된 통신 결과로부터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의 병원 내에서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병원 서비스 서버는,
    특정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예약한 진료 예약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해당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병원 내의 구조를 이미지로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확인된 현재 위치와 상기 예약한 진료에 대한 진료받을 위치를 상기 저장된 이미지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020829A 2012-02-29 2012-02-29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99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29A KR20130099372A (ko) 2012-02-29 2012-02-29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29A KR20130099372A (ko) 2012-02-29 2012-02-29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72A true KR20130099372A (ko) 2013-09-06

Family

ID=4945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29A KR20130099372A (ko) 2012-02-29 2012-02-29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9372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50132763A (ko) * 2014-05-16 2015-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원내 의료서비스 예약 자동화방법
KR20150134555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KR20180009884A (ko) * 2016-07-20 2018-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시스템, 치과 진료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90018102A (ko)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177425A (zh) * 2019-12-30 2020-05-19 杭州云端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用于协助公共资源向导的多媒体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09842B1 (ko) * 2020-03-19 2021-01-29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설문문진qr을 이용한 병원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2561757A (zh) * 2020-12-22 2021-03-26 武汉源启科技股份有限公司 住院就医流程图显示方法及装置
KR20220085207A (ko) 2020-12-15 2022-06-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네비게이션과 결재 기능을 갖는 거동 불편 환자의 병원 진료를 위한 자율 주행 휠체어 시스템, 병원 진료 시스템, 병원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자율 주행 휠체어
KR20220132973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951984B (zh) * 2020-08-14 2023-09-22 杭州朗通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辅诊系统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63A (ko) * 2014-05-16 2015-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료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원내 의료서비스 예약 자동화방법
KR20150134555A (ko)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유비케어 환자 진료 시스템 및 환자 진료 방법
KR101517411B1 (ko) * 2014-11-20 2015-05-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병원의 의료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09884A (ko) * 2016-07-20 2018-01-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시스템, 치과 진료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90018102A (ko)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177425A (zh) * 2019-12-30 2020-05-19 杭州云端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用于协助公共资源向导的多媒体系统及其工作方法
CN111177425B (zh) * 2019-12-30 2023-12-01 重庆久远银海软件有限公司 一种用于协助公共资源向导的多媒体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209842B1 (ko) * 2020-03-19 2021-01-29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설문문진qr을 이용한 병원출입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951984B (zh) * 2020-08-14 2023-09-22 杭州朗通信息技术有限公司 智能辅诊系统
KR20220085207A (ko) 2020-12-15 2022-06-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네비게이션과 결재 기능을 갖는 거동 불편 환자의 병원 진료를 위한 자율 주행 휠체어 시스템, 병원 진료 시스템, 병원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자율 주행 휠체어
CN112561757A (zh) * 2020-12-22 2021-03-26 武汉源启科技股份有限公司 住院就医流程图显示方法及装置
KR20220132973A (ko) * 2021-03-24 2022-10-04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372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7679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U2011288135B2 (en) An automated integrated system, method and platform for healthcare services.
US11664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US201000172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Healthcare Visits
US20180012244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prescription drug benefit eligibility from electronic prescription data streams
KR20130132806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0186905A1 (zh) 诊疗引导方法、装置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011971A (ja) ルート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285820B1 (ko) 유저의 의료 정보를 통한 의료용품 추천 및 판매 장치
US20170177802A1 (en) Allergy Service Management Portal
KR20210025819A (ko) 지역거점약국을 활용한 처방조제약품 수령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4740A (ko) 빅데이터 기반 의료정보 제공 플랫폼
KR20140066499A (ko) 임상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5025A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101818100B1 (ko)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8863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7182B1 (ko) 임상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van de Vrugt et al. Rapid diagnoses at the breast center of Jeroen Bosch Hospital: a case study invoking queueing theory and discrete event simulation
KR100441592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KR20170006184A (ko) 스마트 의료용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기관 이용방법
KR20150021418A (ko)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786148B (zh) 开具处方单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202307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online consultation
US20230062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e-Through Healthcare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