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973A -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973A
KR20220132973A KR1020210038190A KR20210038190A KR20220132973A KR 20220132973 A KR20220132973 A KR 20220132973A KR 1020210038190 A KR1020210038190 A KR 1020210038190A KR 20210038190 A KR20210038190 A KR 20210038190A KR 20220132973 A KR20220132973 A KR 2022013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target
patient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042B1 (ko
Inventor
김동환
진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디정션
Priority to KR102021003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의 정보가 입력되는 대상 정보 입력부,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업무 단계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환자의 업무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이 소지한 단말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안내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A GUIDE SYSTEM FOR A HOSPITAL AND A GUIDE SERVICE METHOD FOR A HOSPITAL}
본 발명은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가 제공되는 단말을 소지한 대상을 고려하여 적합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기관에서는, 환자 접수, 검사, 진료, 치료, 수납, 처방전 발행 등의 다양한 업무가 이루어진다. 방문한 환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각의 단계를 수행해야므로, 이러한 절차에 대해 환자에게 안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대형 병원과 같은 대규모의 의료 기관의 경우, 환자가 수행해야하는 절차가 복잡하고, 각각의 검사실, 진료실 등을 찾아가는 경로가 복잡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단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환자가 동행자와 함께 원내를 방문하게 되면, 안내 단말은 동행자가 소지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원내에서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데, 종래의 원내 안내 서비스에 의할 경우 단말을 소지한 사람에게 환자의 개인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크다. 특히, 최근 들어 간병인 서비스 등이 보편화됨에 따라 법률적인 보호자가 아닌 동행자에게 환자의 개인 정보가 의도치 않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을 통해 원내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식의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내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대상을 고려하여 이에 최적화된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원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생성부, 환자의 원내 프로세스 수행 중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의 정보가 입력되는 대상 정보 입력부,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환자의 프로세스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이 소지한 단말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안내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대상 정보에 따라, 환자 정보에 대한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대상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대상 정보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상기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또는 정보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안내 정보 생성부는 각 프로세스에 따른 안내 정보가 저장된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안내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각 프로세스에 대한 안내 정보가 상기 대상의 분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대상 정보 입력부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접근 권한 정보 및 소지하는 단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대상이 복수인 경우,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 별도의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각 대상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대상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신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의 원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대상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대상이 복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의 위치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의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지한 단말로 이벤트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원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원내 프로세스를 안내하기 위한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각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프로세스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이 소지한 단말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대상 정보에 따라 환자 정보에 대한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또는 환자 정보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하고,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각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안내 단말을 소지한 대상의 지위에 따라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므로, 원내 안내를 통한 환자의 개인 정보 노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단말을 소지한 대상을 고려하여 맞춤형 안내 정보를 생성하므로 최적화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대상 정보 입력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내 정보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
도 4는 각 안내 프로세스에 따라 대상 단말로 전송되는 안내 정보의 예를 도시한 표,
도 5는 도 1의 원내 안내 시스템에 따른 원내 안내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도 5에서 안내 대상 설정 단계의 구체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도 5에서 안내 정보 제공 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도 7에서 단말 인계 안내 정보 제공 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는 환자 이탈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제공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업무', '업무 단계'라 함은 의료기관에서 진행되는 업무 절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업무는 접수 단계, 문진 단계, 진료 단계, 수납 단계, 처방전 발행 단계, 예약 단계 등 환자 방문시 의료 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원내 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예약 또는 의료진의 처방에 따라 스케줄된 검사 단계, 진료 단계, 시술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외래 진료 기준으로 원내 업무의 예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원 기간 중 이루어지는 업무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이벤트'라 함은,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발생되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원내 이탈, 환자의 도착 지연, 단말의 분실 등과 같이 기 설정된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다양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환자 측에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원내의 접수 시스템(20), 환자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30), PACS 시스템(40) 등의 다른 원내 관리 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환자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연산 모듈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통신 모듈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되는 원내 서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원내의 각종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클라우드 상에서 연산 및 저장이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내 안내 시스템(100), 접수 시스템(20), 환자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30), PACS 시스템(40) 등이 각각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구분되어 도시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시스템들 가운데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는 하위 구성요소를 공유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전술한 모든 시스템이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단말(200)은 원내 안내 시스템(100)부터 제공되는 안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단말(200)은 종래의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을 통해 원내 안내 시스템(100)과 직/간접적으로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원내 업무 수행 중 환자 또는 환자의 동행자는 상기 단말(200)을 소지하며, 단말(200)은 수신된 안내정보를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환자 또는 환자의 동행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단말(200)은 환자의 의료기관 방문시 의료기관에서 교부되는 안내 전용 단말일 수 있다. 또는, 단말(200)은 환자 또는 동행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한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개인 소유의 모바일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안내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존의 문자 전송 앱 또는 SMS 문자 발송을 통해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대상 정보 입력부(110),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 안내 정보 생성부(130), 안내 정보 전송부(140), 위치 정보 수집부(160), 정보 수신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은 안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프로세서 등의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프로세스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안내 정보의 안내 항목 및 순서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환자 정보로부터 환자가 원내에서 수행해야하는 업무를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필요한 안내 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의무기록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예약 정보, 접수 시스템에서 입력된 접수 정보 또는 진료시 입력된 처방 정보일 수 있다. 안내 항목은 원내 업무 수행에 대한 안내 이외에도, 경로 안내, 대기 정보 안내, 일반 건강 안내, 복약 안내, 원내 공지 안내 등 다양한 안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은 안내 항목이 결정되면 각각의 항목이 안내되는 순서 등을 포함하는 안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생성된 안내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안내 정보를 환자 측에 제공한다.
안내 정보 생성부(130)는,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시 각 업무 단계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프로세서 등의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에서 환자의 원내 업무에 근거하여 각각의 안내 항목을 생성하면,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각 안내 항목에 따른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각 업무 단계에 따른 안내 정보가 저장된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을 더 포함하며,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이러한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을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전송부(140)은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안내 대상이 소지한 단말(2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안내 정보 전송부(140)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환자 또는 동행자가 소지한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안내 정보를 전송한다. 안내 정보 전송부(140)과 단말(200) 사이의 네트워크는 종래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원내 자체 통신망 뿐 아니라 외부 통신망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후술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160) 및 정보 수신부를 통해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경과를 판단하고, 안내 정보 전송부(140)은 이러한 위치 정보 및 업무 진행 경과에 근거하여 필요한 안내 정보를 단말(200)로 전송한다.
한편, 위치 정보 수집부(160)는, 환자의 원내 업무 단계 수행 중, 단말(200)의 원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단말의 신호 정보에 근거하여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의료 시설 내 통신 인프라와 RFID, NFC,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이외에도 와이파이 시스템 또는 GPS 정보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60)는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직접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원내 인프라를 통해 수집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위치 또는 동행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상황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환자가 정해진 업무 플로우에 따라 각각의 업무 단계를 종료하면, 해당 업무 단계의 완료 기록 또는 결과물은 원내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접수를 완료하면 접수 시스템에 환자의 접수 완료 정보가 기록되고, 예약된 영상 촬영 검사가 완료되면 해당 영상 검사 결과 또는 검사 완료 사실이 환자의 의무기록시스템 또는 PACS 시스템에 기록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50)은 원내의 다른 시스템(예를 들어, 접수 시스템, 환자 의무기록 관리 시스템, PACS 시스템)으로부터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근거하여 업무 단계의 진행 경과를 모니터링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위치 정보 수집부(160)에서 수집된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정보 수신부(150)에서 수집된 각 업무 단계 수행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경과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단말의 위치 또는 업무 단계 진행 경과에 근거하여, 해당 시점 및 위치에 맞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안내 단말로 제공한다.
안내 단말(200)로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각 업무 단계에 대한 안내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 이외에도, 검사 정보, 검사 결과, 처방전 정보 등 환자의 개인 정보가 포함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발전으로 병원 서버와 환자 단말 사이에서 교환되는 환자 정보가 늘어남에 따라,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환자에게 안내되는 안내 정보 또한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다만, 환자가 동행자와 함께 원내 방문하여 동행자가 안내 단말을 소지하는 경우,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의도치 않게 동행자에게 노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환자가 본인 이외의 동행자와 함께 원내를 방문하는 경우에는, 안내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이 누구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근거하여 적합한 수준의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원내 안내 시스템은 대상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대상 정보 입력부(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이라 함은,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안내 단말(200)을 소지하고 안내 정보를 직접 제공받는 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직접 단말을 소지하고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환자 본인이 대상일 수 있고, 환자와 함께 방문한 동행자가 환자 대신 단말을 소지하고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 동행자가 대상일 수 있다. 대상 정보 입력부(110)은 이러한 안내 단말(200)을 소지하는 대상의 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이며,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대상 정보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로 제공한다.
도 2는 도 1의 대상 정보 입력부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대상 정보 입력부(110)은 원내에 구비되는 별도의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원내 근무자는, 안내 단말 교부시 또는 단말 등록시 입력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을 소지할 대상의 정보 및 단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정보 입력부(110)의 인터페이스는 대상의 지위를 선택하는 대상 지위 선택부(111)를 포함한다. 대상의 지위라 함은, 환자 본인인지 아니면 본인이 아닌 동행자인지와 같은, 환자와의 관계를 의미한다. 또한 동행자인 경우에도 성격에 따라 지위가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관계에 있는 보호자일 수 있고, 간병인 또는 도우미와 같이 특수한 관계가 없는 기타 동행자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정보 입력시 이러한 대상의 지위를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대상 정보 입력부(110)은 환자 본인, 보호자, 기타 동행자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는 일 예이며, 대상의 지위를 보다 세분화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 대상의 지위가 선택되면,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대상의 지위에 근거하여 환자 개인 정보에 대한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이면 환자 개인 정보에 대해 별도의 제한 없이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대상이 보호자인 경우 환자 개인 정보를 일부 공개하는 수준에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기타 동행자인 경우 환자 개인 정보를 최소 공개하는 수준에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미성년자이거나 고령자인 경우와 같이,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의 경우에도 환자의 개인 정보의 공개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정 보호자이거나 환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와 같이, 보호자이더라도 환자 개인 정보가 전부 공개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대상 정보 입력부(110)은 접근 권한 선택부(112)를 더 포함하여, 환자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선택 대상이 환자 본인인 경우 전부 공개, 보호자인 경우 일부 공개, 기타 동행자인 경우 최소 공개를 기본값으로 하고, 환자의 요청 또는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각 대상에 대한 개인 정보 접근 권한을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정보 입력부(110)은 각 대상에 대한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 정보 등록부(113)를 더 포함한다. 단말 정보 등록부(113)는 각 대상에 교부되는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구성으로, 단말을 교부하는 경우 단말의 고유 번호가 등록될 수 있고, 핸드폰과 같이 개인 소유의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단말을 특정할 수 있는 번호(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가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안내 정보는 등록된 안내 단말(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하나의 단말을 통해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대상이 선택되고, 복수개의 단말을 통해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복수의 대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서는, 환자 및 보호자가 각각 단말을 소지하고, 각각에 대해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대상 정보 입력부(110)는 해당 환자의 신원 정보 및 안내 대상의 신원 정보에 대한 내용 또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 정보 입력부가 입력 장치로 구비되어 근무자가 이를 입력하는 형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수 시스템에서 도 2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대상 정보를 수신하여 입력받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대상 정보 입력부(110)을 통해 대상 정보가 입력되면,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안내 프로세스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안내 정보 생성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내 정보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131)은 각각의 업무 프로세스 및 이벤트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되고, 하나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안내 대상의 분류에 따라 복수의 안내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인 경우와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이 아닌 경우에는, 안내 방식에서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이면, '환자는 검사를 위해 제1 검사실로 이동하세요'이고, 안내 대상이 보호자이면 '환자의 검사를 위해, 보호자는 환자와 함께 제1 검사실로 이동하세요'이다). 또한, 안내 대상의 지위 및 정보 접근 권한에 따라,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의 수준이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보호자인 경우에는 수납 완료 사실과 수납 금액을 모두 안내하고, 기타 동행자인 경우 수납 완료 사실만을 안내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31)는, 동일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안내 정보라 하더라도,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인지, 보호자인지, 기타 동행자인자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대상의 지위가 동일한 경우에도, 정보 접근 권한에 따라 레벨 1에서 레벨 3까지 구분하여 안내 정보를 저장될 수 있다(여기서, 레벨 1은 전부 공개, 레벨 2는 일부 공개, 레벨 3은 최소 공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는 하나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안내 대상의 조건별로 9개의 안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다만, 9개의 안내 정보는 모두 상이하게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안내 정보의 성격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안내 정보는 단말로 전송되는 안내 정보와 동일한 형태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나,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포맷 정보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안내 정보 생성부(130)는,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내 정보 포맷과, 대상 정보 입력부에서 입력된 환자의 신원 정보(예를 들어, 성명, 나이) 및 안내 대상의 신원 정보(예를 들어, 성명, 나이) 등을 이용하여 완성된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각 안내 프로세스에 따라 대상 단말로 전송되는 안내 정보의 예를 도시한 표이다. 여기서, 대상 1은 환자 본인인 경우, 대상 2는 보호자인 경우, 대상 3은 기타 동행자인 경우이며, 각 대상의 정보 접근 권한은 각 대상의 지위에 따른 기본값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원내 안내 시스템에서 안내 대상에 따라 제공되는 안내 정보의 내용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는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대상이 환자 본인인지 또는 동행자인지에 따라,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주체 및 안내 정보의 목적이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안내 프로세스 1 내지 3 참조).
그리고, 각 안내 프로세스에서 안내 정보가 환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대상의 개인 정보 접근 권한에 따라 안내 정보를 상이하게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받는 검사의 종류 및 검사의 결과는 환자의 개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검사 항목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되,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도록 생성된다. 그리고, 기타 동행자에게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검사 항목 및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 모두 포함하지 않도록 생성될 수 있다(안내 프로세스 2 및 4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100)은,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단말(200)을 통해 안내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단말을 소지하는 안내 대상을 고려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함으로서 대상에 최적화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항목(예를 들어, 검사 항목, 검사 결과, 수납 금액)에 대해서는 공개 등급을 부여하여 관리하고, 안내 대상의 지위 및 정보 접근 권한에 근거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환자 개인 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도 1의 원내 안내 시스템에 기반한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원내 안내 시스템에 따른 원내 안내 서비스의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환자가 원내에 도착하면, 환자를 접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 접수 단계는 원내 접수 시스템(2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환자 접수가 이루어지면, 환자가 원내에서 수행해야하는 업무 프로세스가 결정된다. 이러한 업무 프로세스는, 해당 의료시설의 정해진 업무 플로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환자 의무기록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의 의료 기록 또는 예약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으며, 진료에 따른 의사 처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중, 단말을 통해 원내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는 안내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20). 본 단계는 안내 단말을 소지할 대상을 결정하고, 이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환자 혼자 방문한 경우 안내 대상은 환자 본인으로 자동 설정될 것이나, 환자가 다른 동행자와 함께 방문하는 경우 환자의 의사와 상태 등을 고려하여 환자와 동행자 중 단말을 소지할 자를 결정한다.
도 6은 도 5에서 안내 대상 설정 단계의 구체적인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단계에서는, 안내 대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21). 입력되는 대상 정보는 대상의 지위(즉 환자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시적으로 환자 본인, 보호자 및 기타 동행자 중 택일하여 선택할 수 있다. 나아가, 안내 대상 입력시 대상의 신원 정보(예를 들어, 성명, 나이, 연락처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안내 대상이 환자 본인 인 경우, 환자의 신원 정보는 원내 의무기록 시스템에 저장된 환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입력된 안내 대상에 대한 정보 공개 범위를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S22). 환자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은 안내 대상의 지위에 따라 기본값으로 설정되나, 본 단계를 통해 환자 또는 보호자의 의사에 따라 접근 권한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안내 대상 및 정보 접근 권한이 결정되면, 안내 대상이 소지하는 단말 정보를 등록한다(S23).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말은 의료기관 소유의 단말로서 안내 대상 설정시 대상에게 각각 교부될 수 있고, 또는 안내 대상이 소유하고 있는 개인 단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안내 대상 설정 단계를 통해 선택되는 안내 대상은 2인 이상으로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안내 대상 별로 단말 정보를 별도로 등록한다.
도 5에서, 안내 대상 설정 단계는 접수 단계와 별도의 단계로 표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접수 단계에서 동행자 동반 방문 여부를 확인하고 접수 시스템을 통해 안내 대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안내 대상 설정 단계는 접수 단계에서 설정된 안내 대상 정보가 원내 안내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입력되는 단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내 안내 시스템은 안내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 본 단계는 원내 안내 시스템의 안내 프로세스 생성부(12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안내 프로세스는, 전술한 환자의 원내 업무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안내 항목 및 안내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생성되는 안내 항목은, 환자가 원내에서 수행해야하는 업무에 대해, 해당 장소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안내, 해당 업무 수행을 위한 대기 안내, 해당 업무 수행 종료 안내, 해당 업무 수행 결과 안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안내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생성된 각각의 안내 프로세스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S40). 안내 정보 생성부는 입력된 안내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안내 내용 및 환자 정보의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 정보 생성부는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안내 대상 조건에 따른 안내 정보 포맷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안내 정보 포맷과 안내 정보의 신원 정보를 이용하여 각 안내 프로세스에 따른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안내 대상이 2인 인 경우, 안내 정보 생성부(130)은 각각의 안내 대상에 대해 안내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정보가 생성되면, 위치 및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전술한, 위치 정보 수집부(160)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 수신부(150)은 환자의 업무 수행 중 단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가 수집된다. 따라서, 안내 정보 전송부(140)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환자의 업무 단계 수행 경과를 판단하여, 안내 프로세스에 따라 해당 위치 및 해당 시점에 필요한 안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도 5에서 안내 정보 제공 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서는, 환자가 원내에서 제1 업무 단계 및 제2 업무 단계를 수행하는 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안내 대상 정보가 입력되고, 안내 프로세스 및 이에 따른 안내 정보가 생성되면, 안내 대상이 소지한 안내 단말을 통해 안내 서비스를 시작한다(S51). 이때, 위치 정보 수집부는 안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S52), 이를 고려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우선 제1 업무 단계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S53). 제1 업무 단계에 대한 안내는, 제1 업무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제1 업무 단계에 대한 설명, 제1 업무 대기 정보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경로 안내는 위치 정보 수집부가 실시간으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안내 정보 생성부는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업무 단계 설명은, 해당 업무의 내용, 주의 사항 등에 대해 안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매뉴얼을 이용하여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정보는 별도의 원내 관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되는 대기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환자가 제1 업무 단계를 수행하면, 정보 수신부(150)는 별도의 원내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4). 다만, 이 이외에도,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안내 대상이 제1 업무 단계 완료 사실을 단말을 통해 원내 안내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업무 단계가 완료되면, 원내 안내 시스템은 제2 업무 단계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S55). 본 단계 또한, 경로 안내, 업무 설명 안내, 대기 정보 안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제2 업무 단계를 수행하면, 정보 수집부(15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업무 단계 사실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S56).
한편, 일부 업무 단계에서는, 단말을 소지한 안내 대상이 단말을 타인에게 인계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만이 입장 가능한 검사실에서 단말을 통해 환자를 식별하는 경우 안내 단말을 소지한 보호자는 환자에게 단말을 인계해야한다. 도 7의 제2 업무 단계가 이러한 단말 인계 절차가 필요한 경우, 원내 안내 시스템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업무 단계 안래를 통해 경로, 설명, 대기 정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진 후(S551), 환자가 제2 업무 단계를 수행하기에 앞서 단말 인계를 지시하는 안내 정보를 안내 대상에 제공할 수 있다(S552). 이 경우, 환자는 단말을 인수하여 소지한 상태로 제2 업무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2 업무 단계가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S553), 단말을 안내 대상에게 재인계하는 안내를 제공하고, 인수받은 안내 대상은 단말을 다시 인계받았음을 단말을 통해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S554).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환자가 수행하는 업무 단계에 기반한 안내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원내 안내 시스템은 정해진 업무 단계 이외에도 기 설정된 이벤트 발생시 이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서,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시, 원내 안내 시스템은 위치 정보 수집부를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때, 단말의 위치가 안내된 경로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탈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원내 안내 시스템은 이탈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로 경로 이탈 사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9는 환자 이탈 이벤트에 대한 알림 제공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안내 대상이 환자를 포함한 2인으로 설정된 경우로서, 제1 단말은 환자가 소지하고, 제2 단말은 보호자 또는 기타 동행자가 소지한 경우일 수 있다. 환자가 유아이거나 의사 능력이 온전하지 않은 고령자인 경우, 환자가 동행자의 관리범위에서 이탈하게 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원내 안내 시스템은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위치 정보 수집부를 통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위치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501).
그리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이탈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이탈 여부는 정해진 룰에 의해 판단하며, 일 예로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위치 정보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졌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환자가 소지한 제1 단말의 위치가 업무 단계를 수행하는 위치에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졌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동행자가 소지한 제2 단말의 위치는 안내된 정상적인 경로 상에 위치하는 동안, 환자가 소지한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졌는지 여부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판단 단계에 의해, 환자가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행자가 소지한 제2 단말로 환자의 이탈 사실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503). 또한, 도 9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와 동시에 환자가 소지한 제1 단말로 이탈 사실에 대한 경로 알림을 제공하거나, 인근에 위치한 직원이 이탈된 환자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이탈 상황이 해소되거나, 이탈 사실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단말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위치에 기반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504).
이상, 도 5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원내 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원내 안내 서비스의 일부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 단계가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S10 내지 S40 단계 중 일부는 순서를 변경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일부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30 및 S40 단계는 S50 단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업데이트되며 변경 생성될 수 있으며, 실시간 단말 위치 모니터링을 통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S30 및 S40 단계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고 변경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내 안내 시스템은 단말을 이용하여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안내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 정보에 따라 최적하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안내 대상의 지위 및 정보 접근 권한에 따라 환자의 개인 정보를 제한적으로 노출함으로써 환자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입력된 보호자 정보는, 환자 및 보호자의 동의 절차를 거쳐 원내 의무관리 시스템에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향후 환자의 예약, 복약 지도, 검사 결과 통보와 같은 원내 업무 수행에 있어 보호자 정보로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내 안내 시스템은, 원내 단말과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포함)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내려받기 가능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포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원내의 단말이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해, 원내 단말의 프로세서가 읽어들일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원내 단말의 연산장치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내 단말의 프로세서는 원내 안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여, 도 5 내지 도 9에 따른 안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웹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100 : 원내안내 시스템 110 : 대상정보 입력부
130 : 안내정보 생성부 140 : 안내정보 전송부
160 : 위치정보 수집부 200 : 단말

Claims (16)

  1.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의 정보가 입력되는 대상 정보 입력부;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 업무 단계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환자의 업무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이 소지한 단말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안내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대상 정보에 따라, 환자 정보에 대한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대상 정보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상기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또는 정보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각 업무 단계에 따른 안내 정보가 저장된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안내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각 업무 단계에 대한 안내 정보가 상기 대상의 분류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대상이 복수인 경우,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 별도의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각 대상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 입력부는, 상기 단말을 소지한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환자의 개인 정보 접근 권한 정보 및 소지하는 단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내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의 신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의 원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대상의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을 소지하고 있는 대상이 복수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의 위치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의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안내 정보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지한 단말로 이벤트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9. 환자의 원내 업무를 안내하기 위한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각 원내 업무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원내 업무 진행 경과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이 소지한 단말로 상기 생성된 안내 정보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대상 정보에 따라 환자 정보에 대한 공개 수준을 달리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원내 안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또는 환자 정보 접근 권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 정보를 입력하고,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환자의 각 원내 업무에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원내 업무에 대한 안내 정보가 저장된 안내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각 원내 업무에 대해 상기 대상 정보의 분류에 따른 각각의 안내 정보가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이 복수인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의 상이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대상에게 상응하는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의 환자와의 관계 정보, 환자 정보 접근 권한 정보 및 대상이 소지하는 단말 정보를 입력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환자의 원내 업무 수행 중, 상기 단말의 신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의 원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의 원내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로 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단말을 소지하는 대상이 복수인 것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대상의 원내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상의 위치를 각각 수집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 위치가 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떨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대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지한 단말로 이벤트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38190A 2021-03-24 2021-03-24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78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90A KR102578042B1 (ko) 2021-03-24 2021-03-24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90A KR102578042B1 (ko) 2021-03-24 2021-03-24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73A true KR20220132973A (ko) 2022-10-04
KR102578042B1 KR102578042B1 (ko) 2023-09-14

Family

ID=8360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90A KR102578042B1 (ko) 2021-03-24 2021-03-24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0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372A (ko) * 2012-02-29 2013-09-06 (주)에프에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163A (ko) *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1587924B1 (ko) * 2015-02-27 2016-01-25 권병수 안면인식을 이용한 병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70027522A (ko) * 2015-09-02 2017-03-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919236B1 (ko) * 2017-05-24 2018-11-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102A (ko) *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101834A (ja) * 2017-12-05 2019-06-24 エンブレース株式会社 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構築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9372A (ko) * 2012-02-29 2013-09-06 (주)에프에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3163A (ko) *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의료정보 공유방법
KR101587924B1 (ko) * 2015-02-27 2016-01-25 권병수 안면인식을 이용한 병원 관리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70027522A (ko) * 2015-09-02 2017-03-10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치매환자가 소지한 비콘의 위치를 추적하는 오픈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919236B1 (ko) * 2017-05-24 2018-11-1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요양간호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102A (ko) * 2017-08-11 2019-02-2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101834A (ja) * 2017-12-05 2019-06-24 エンブレース株式会社 医療・介護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構築支援方法及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042B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8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bject association using a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2549451B1 (ko) 의사가 가치-기반 지불을 위한 품질 측정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 환자-대향 모바일 기술
US20170024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ar-real or real-time contact tracing
JP2019067451A (ja) 透過的医療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037821B2 (en) System for integrated protocol and decision support
RU2678636C1 (ru) Монитор пациента и способ наблюдения за состоянием пациента
AU2009209375B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bject association based on interaction time using a location tracking system
EP1721280A2 (en) Patient record system
JP2007310759A (ja) 医療機器管理装置および医療機器管理方法
US20160051146A1 (en) Medical device with patient information reader
KR20190102482A (ko)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US20180157802A1 (en) Risk evaluation method, risk evalu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120086899A (ko)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4392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healthcare delivery processes
Vorakulpipat et al. A mobile-based patient-centric passive system for guiding patients through the hospital workflow: design and development
KR20220132973A (ko) 원내 안내 시스템 및 원내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59997B1 (ko) 의료시스템 및 방법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101678902B1 (ko)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JP4512338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210406793A1 (en) Harmonizing data
KR20160061015A (ko) 환자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401536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ommunications
US1165791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procedure management
Vorakulpipat et al. A Mobile-Based Patient-Centric Passive System for Checking Patient Status: Design and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