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418A -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418A
KR20150021418A KR20130098747A KR20130098747A KR20150021418A KR 20150021418 A KR20150021418 A KR 20150021418A KR 20130098747 A KR20130098747 A KR 20130098747A KR 20130098747 A KR20130098747 A KR 20130098747A KR 20150021418 A KR20150021418 A KR 2015002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waiting
advertisement
advertis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록
윤영식
Original Assignee
김홍록
윤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록, 윤영식 filed Critical 김홍록
Priority to KR2013009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418A/ko
Publication of KR2015002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되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접수 단말로부터 환자 접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 접수 정보를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정보 시스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병원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분과에 대한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MART PATIENT SEQUENCE}
본 발명은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통합 의료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된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판단된 분과에 대한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한 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광고 데이터와 함께 제공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정 규모 이상의 병원에서는 진료 및 검사를 대기하는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PDP,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혹은 대기환자 안내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환자 관리시스템은 방문환자, 예약환자, 검사환자가 접수되면 담당 직원이 대기환자 관리시스템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에 방문환자, 예약환자, 검사환자 등에 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기환자의 순서를 포함한 대기환자 안내정보를 병원 로비, 진료과별, 의사별, 검사실별 외래 스테이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은, 통상 병원에서 방문환자, 예약환자,검사환자의 접수 후 병원에 설치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또는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을 포함하는 병원 정보 시스템에 의해 관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병원정보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방문환자, 예약환자 또는 검사환자에 관한 정보를 병원 정보 시스템과 중복해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병원 정보 시스템과 사이에서 방문환자, 예약환자 또는 검사환자에 관한 정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기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기관에 접수한 환자가 본인의 대기 순서를 알기 위해서는 해당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00929호: 의료기관에서 대기중인 진료대기자 호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가 의료기관별/진료과별/진료의사별/검사실별로 진료 또는 검사를 기다리는 환자들의 대기순번 현황을 관리함으로써, 대기순번현황을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실/검사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을 이용하여 의료기관 외의 장소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고를 원하는 기관과 의료기관을 연계하여 대기순번현황과 함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에 구비되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접수 단말로부터 환자 접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 접수 정보를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정보 시스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병원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분과에 대한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대기환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의 대기 순서를 포함하는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도록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광고 개시가 요청된 경우,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 데이터를 제작 또는 해당 외부기관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작 또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기순번 현황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 포탈 사이트인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가 인증된 정보인 경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의료기관별 대기환자정보가 저장된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분과의 대기환자 리스트에 접수 환자의 대기 정보를 추가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접수 처리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대기순번현황 제공부를 포함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광고 데이터베이스, 외부 기관 또는 의료기관별로 광고 데이터를 제작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작 또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필요 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광고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순번현황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기순번현황정보 제공 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함께 제공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는 해당 분과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광고 데이터, 해당 사용자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 데이터, 지역을 지역, 공공기관, 기업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광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광고 처리부는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가 환자 대기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통합의료 정보 서버로부터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분과의 대기환자 리스트에 접수 환자의 대기 정보를 추가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기순번현황정보 전송 시, 해당 분과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광고 데이터, 해당 사용자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 데이터, 지역, 공공기관, 기업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광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은 상기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 순번 현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은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가 의료기관별/진료과별/진료의사별/검사실별로 진료 또는 검사를 기다리는 환자들의 대기순번 현황을 관리함으로써, 대기순번현황을 의료기관 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사용자가 구비한 단말을 이용하여 조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료기관 원내가 아닌 곳에서도 환자 대기현황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대기순번현황을 관리하는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가 포털 웹 사이트형식으로 운영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로 언제 어디서나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순번현황 조회는 물론 진료(검사) 예약을 할 수 있는 양방향 커뮤니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를 원하는 기관과 의료기관을 연계하여 대기순번현황과 함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의료기관과 사업단들이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은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복수의 접수 단말(100a, 100b, .., 100n, 이하 100이라 칭함)로부터 환자접수 정보를 수신하는 병원 정보 시스템(200a, 200b, .., 200n, 이하 200이라 칭함),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병원 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환자접수정보를 근거로 대기순번현황정보를 생성하는 대기환자통합관리서버(300), 통신망을 통해 대기환자 통합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대기순번현황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접수 단말(100)은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들을 접수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접수 단말(100)은 의료기관의 접수창구에 설치되고, 환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키보드 등의 데이터 입력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다. 환자가 병원 등을 방문하여 진료를 위한 접수를 하면, 접수자는 접수 단말(100)을 통하여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환자접수정보를 그 의료기관에 구비된 통합의료 정보 서버(200)로 전송한다.
접수 단말(100)은 고객이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들어오면, 이를 통해 접수를 하게 되는데, 이때 접수번호 및 고객을 인식하는 인식 식별정보 등이 입력되어 대기자 정보가 발생한다.
접수 단말(100)은 환자의 진료, 수납(외래, 입원), 검사, 약수령 등을 모두 처리하는 단말로, 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병원 정보 시스템(200)은 각 의료기관에 구비되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접수 단말(100)로부터 환자 접수 정보가 수신된 경우, 환자 접수 정보를 대기환자통합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병원정보 시스템(200)은 환자 접수 정보를 근거로 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별 환자 대기순번현황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해당 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진료 대기 장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 접수정보는 병원 정보 시스템 식별정보, 의료기관 식별정보, 진료과 식별정보, 진료의사 식별정보, 검사실 식별정보, 환자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시스템(200)은 병원에서 환자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과정을 전산화하는 것으로,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 정보 시스템(200)은 원무 업무, 진료 업무, 진료지원 업무, 병원관리 업무 등을 전산화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는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병원 정보 시스템 (20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병원 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의 분과를 판단하고, 해당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여기서, 대기순번 현황 정보는 대기환자의 순서를 포함한 정보이다. 대기순번 현황 정보는 진료과, 진료실 번호, 진료의사 성명, 검사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는 의료 기관 원내망이 아닌 의료기관의 인터페이스로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웹 포털에서 환자의 진료, 수납, 검사, 약수령 등의 대기순번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한다. 또한,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는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정보를 저장하거나 해당 의료기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대기환자통합 관리 서버(300)는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병원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물론 대기환자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함으로써, 진료 대기 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환자도 병원에서 제공하는 대기순번 현황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기환자 입장에서는 예상 대기 시간 등을 확인하여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본인의 순서를 놓치는 등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고, 병원 입장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대기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는 외부 사업자 또는 각 의료기관별로 광고를 제작하고, 제작된 광고 데이터를 대기순번현황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는 대기 환자들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대기환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대기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400)은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므로, 더욱 커스터마이징된 광고를 대기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는 포털 웹(web) 서버로, 포털 웹 사이트 형식으로 양방향 커뮤니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의료기관 내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에서도 대기순번현황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400)을 이용하여 포털 웹 사이트인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면, 인증정보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인증정보 입력 화면에서 접수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대기순번 조회 메뉴, 예약 메뉴 등이 표시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대기순번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접수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예약 메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예약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환자, 환자 보호자 등 병원 진료를 원하는 환자와 관련된 모든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의료기관 원내망에는 대기환자의 순서를 포함하는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되는 수단으로, 병원 내에서 대기환자들이 진료를 대기하는 장소(예컨대, 병원 로비나 각 진료과별, 진료의사별, 검사실별 외래 스테이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진료과가 있는 대형 병원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진료과별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는 정형외과 외래 스테이션에 3개가 설치되고, 이비인후과 외래 스테이션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진료과에서 진료실 및 진료의사별로 하나씩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상적으로 PDP(Plasma Display Panel)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대기환자 통합관리서버(300) 또는 병원 정보 시스템(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대기환자 관리 시스템은 은행, 관공서 등 사람들이 본인의 순서를 기다리면서 대기하는 장소에 응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는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 환자기록 데이터베이스(320), 광고 데이터베이스(330), 접수 처리부(340), 대기순번현황 제공부(350), 광고 처리부(360)를 포함한다.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는 의료기관별 대기환자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는 의료기관, 각 진료과의 진료실(진료의사)별, 검사실별로 환자들의 대기 순번 현황이 저장되어 있다.
환자기록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등록된 다수의 환자들에 대한 병력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환자 기록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기록은 병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정렬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는 광고 내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광고는 동영상, 문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광고일 수 있다.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광고는 환자 기록 데이터베이스(320)에 구성된 병의 종류와 매칭되는 내용을 가지는 광고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알레르기질환 환자군, 감기질환 환자군 등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의 광고 내용도 환자 기록 데이터베이스(320)의 분류와 매칭되게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에 따라 광고 내용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A의료기관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B의료기관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등으로 의료기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지역을 기반으로 광고 내용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A지역에 위치하는 의료기관들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B지역에 위치하는 의료기관들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등으로 지역을 기반으로 광고 데이터가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는 광고를 의뢰한 외부기관명, 외부기관 연락처(예컨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SNS 등임), 광고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광고 데이터베이스(330)가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내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고 데이터베이스(330)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3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외부 사업자의 서버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광고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접수 처리부(340)는 통신망을 통해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의 분과를 판단하고,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의 해당 분과에 환자의 대기 정보를 저장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환자 접수정보는 병원정보 시스템 식별정보, 의료기관 식별정보, 진료과 식별정보, 진료의사 식별정보, 검사실 식별정보, 환자 데이터 등을 포함하므로, 접수 처리부(340)는 의료기관 식별정보 또는 병원정보 시스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을 판단, 진료과 식별정보 또는 진료의사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진료과 판단, 검사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검사실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접수 처리부(340)는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환자 리스트에 접수 환자의 대기 정보를 추가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대기순번 현황 정보는 각 대기환자에 대응하는 예상 대기시간에 관한 정보, 순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수 처리부(340)는 통신망을 통해 의료기관식별정보, 병원 정보 시스템 식별정보, 진료과 식별정보, 진료의사 식별정보, 검사실 식별정보, 환자 진료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진료완료정보가 수신되면,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대기환자 리스트에서 해당 환자를 삭제하고, 환자 진료 데이터를 환자 기록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한다.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 저장된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한다. 이때,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해당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포털 웹 사이트인 대기환자통합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면, 대기순번현황 제공부(350)는 인증정보 입력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대기환자통합관리 애플리케이션 또는 대기환자통합관리서버의 주소 입력 등의 방법을 통해 대기환자통합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정보 입력 화면에서 접수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입력된 인증정보가 등록된 정보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인증정보가 등록된 정보인 경우,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대기순번 조회 메뉴, 예약 메뉴 등이 표시된 메뉴 화면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에서 대기순번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데이터는 해당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의 분과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광고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광고 데이터, 해당 사용자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 데이터, 해당 지역을 기반으로 설정된 광고 데이터, 공공기관 또는 기타 기업의 광고 데이터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인증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인증정보가 등록된 정보인 경우, 메뉴 화면을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가 접수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대기순번 현황 제공부(350)는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로부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대기환자 현황 제공부(350)는 기 설정된 광고 데이터를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 또는 각 의료기관별로 광고를 제작하고, 제작된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후, 필요 시 각 의료기관/진료실/검사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기관은 광고를 원하는 기업, 공익 단체, 공공기관, 정부기관, 학원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한다. 여기서, 광고 노출 횟수는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된 횟수, 사용자 단말에 노출된(또는 제공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처리부(360)는 광고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해당 외부 기관에 설정된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SNS 등의 연락처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락처로 광고비 지불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비 지불 요청 메시지는 의료기관명, 의료기관의 계좌번호, 광고비, 광고비 산출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기관은 광고비를 해당 의료기관에 지불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광고비를 책정하고, 그 책정된 광고비의 수납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 처리부(360)는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300)에 설정된 계좌번호, 광고비, 광고비 산출 내역 등을 포함하는 광고비 지불 요청 메시지를 외부 기관의 연락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외부 기관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인터넷 뱅킹 등의 다양한 결제 방법을 이용하여 광고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의 광고비 수납이 완료되면, 그 외부 기관의 광고를 노출한 의료기관에 광고에 대한 수익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를 카운트하고, 그 환자 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여 해당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A미용실이 A병원에 광고하기를 원하여 광고 개시를 요청하면, 광고 처리부(360)는 A미용실의 광고를 제작하고, 제작된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 이때, A미용실은 광고 제작에 대한 제작비를 주고, 광고에 대한 수익은 당일 내원한 환자 수를 기준으로 광고비를 책정하여 A병원에 지불한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통신망을 통해 광고 회사 서버(또는 외부 사업자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대해 미리 스케줄되어 있는 광고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광고회사 서버에는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고,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대해 전송할 광고 데이터가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과 매칭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광고 개시가 요청된 경우, 직접 광고를 제작하지 않고 그 외부 기관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광고의 노출을 원하는 의료기관, 지역 등이 선택되면,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 데이터를 선택된 의료기관, 지역 등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의료기관 또는 해당 지역의 의료기관에 접수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관은 광고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거나, 광고 제작을 의뢰할 수도 있다.
예컨대, A회사가 A병원의 소아과에 광고 개시를 요청한 경우, 광고 처리부(360)는 A회사의 광고 데이터를 A병원의 소아과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A병원의 소아과에 접수한 사용자 단말에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 처리부(360)는 공공기관(예컨대, 보건복지부, 보험심사평가원 등임)의 공공 광고 데이터를 제작 또는 수신하여, 광고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 후, 필요 시 각 의료기관/진료실/검사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공공기관의 광고 데이터는 이익추구라기 보다는 정부의 의료정책을 실제 의료기관에 방문한 고객에게 직접적이고 효과적으로 광고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처럼 광고 처리부(360)에 의해 광고를 원하는 기관(예컨대, 기업, 공익 단체, 정부기관, 학원 등임)과 의료기관을 연계하고, 광고를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의료기관이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하고, 그 외부기관은 광고비를 의료기관에 제공함으로써, 의료기관이 직접 이익을 창출할 수 있고, 주변 상권과 커뮤니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병원 정보 시스템은 접수 단말로부터 환자 접수 정보가 수신되면(S302), 환자 접수 정보를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304).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등의 분과를 판단하고(S306), 해당 분과에 대기환자 데이터를 저장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S308). 이때,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는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 단말이 포탈 웹 사이트인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S310), 인증정보를 입력하면(S312),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인증정보의 등록 여부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한다(S314).
S314 단계의 판단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메뉴 화면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316).
메뉴 화면에는 대기순번 조회 메뉴, 예약 메뉴 등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대기순번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S318), 사용자 단말은 대기순번 현황 요청 신호를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에 요청한다(S320). 여기서, 대기순번 현황 요청 신호를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는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322). 이때,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광고 데이터를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만약, S314 단계의 판단결과 인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인증정보 재전송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324). 그러면, 사용자는 인증정보를 재입력하고,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S314를 다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02부터 S414는 도 3에 도시된 S302부터 S314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414 단계의 판단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는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고(S416), 획득된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418). 이때, 대기환자 통합 관리 서버는 기 설정된 광고 데이터를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접수 단말 200 : 병원정보 시스템
300 :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310 : 대기환자정보 DB
320 : 환자 기록 DB 330 : 광고 DB
340 : 접수 처리부 350 : 대기순번현황 제공부
360 : 광고 처리부 400 :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각 의료기관에 구비되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접수 단말로부터 환자 접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 접수 정보를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정보 시스템; 및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병원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분과에 대한 대기순번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부터 환자의 대기 순서를 포함하는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수신 및 표시하도록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광고 개시가 요청된 경우,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 데이터를 제작 또는 해당 외부기관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작 또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에 대기순번 현황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웹 포탈 사이트인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정보가 인증된 정보인 경우,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5. 의료기관별 대기환자정보가 저장된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중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분과의 대기환자 리스트에 접수 환자의 대기 정보를 추가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접수 처리부; 및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분과의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대기순번현황 제공부;
    를 포함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베이스;
    외부 기관 또는 의료기관별로 광고 데이터를 제작 또는 수신하고, 상기 제작 또는 수신된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필요 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광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순번현황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기순번현황정보 제공 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함께 제공하되,
    상기 광고 데이터는 해당 분과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광고 데이터, 해당 사용자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 데이터, 지역, 공공기관, 기업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광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처리부는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
  9. 대기환자 통합관리 서버가 환자 대기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통합의료 정보 서버로부터 환자접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환자접수정보를 분석하여 의료기관, 진료과, 진료의사, 검사실 적어도 하나의 분과를 판단하고,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분과의 대기환자 리스트에 접수 환자의 대기 정보를 추가하여 대기순번 현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대기순번현황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대기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대기순번현황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대기순번현황정보 전송 시, 해당 분과에 설정된 광고 데이터,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랜덤하게 추출된 광고 데이터, 해당 사용자의 병력과 매칭되는 광고 데이터, 지역, 공공기관, 기업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된 광고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의 대기 순번 현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광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대기순번 현황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일정 주기로 해당 외부 기관의 광고를 출력한 의료기관/진료과/진료의사/검사실 별로 당일 내원한 환자 수 또는 광고 노출 횟수를 근거로 광고비를 책정하고, 해당 외부 기관에 광고비 지불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방법.







KR20130098747A 2013-08-20 2013-08-20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1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747A KR20150021418A (ko) 2013-08-20 2013-08-20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747A KR20150021418A (ko) 2013-08-20 2013-08-20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18A true KR20150021418A (ko) 2015-03-02

Family

ID=5301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747A KR20150021418A (ko) 2013-08-20 2013-08-20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14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70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성진에이치디에스 병원 고객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627543A (zh) * 2020-05-30 2020-09-04 武汉双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公众号的医院智慧管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042A (ja) * 2000-09-08 2002-03-22 Takashi Doi 病院等の医療機関での順番待ち情報確認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132931A (ja) * 2000-10-26 2002-05-10 Nec Corp 診察予約順番待ち情報閲覧システム
JP2005135213A (ja) * 2003-10-31 2005-05-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診察順番確認システム
KR100696286B1 (ko) * 2006-07-06 2007-03-19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광고료 수익분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033619B1 (ko) * 2010-08-23 2011-05-1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8492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042A (ja) * 2000-09-08 2002-03-22 Takashi Doi 病院等の医療機関での順番待ち情報確認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2132931A (ja) * 2000-10-26 2002-05-10 Nec Corp 診察予約順番待ち情報閲覧システム
JP2005135213A (ja) * 2003-10-31 2005-05-2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診察順番確認システム
KR100696286B1 (ko) * 2006-07-06 2007-03-19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광고료 수익분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10128492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방법
KR101033619B1 (ko) * 2010-08-23 2011-05-11 (주)중외정보기술 병원의 대기환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970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성진에이치디에스 병원 고객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627543A (zh) * 2020-05-30 2020-09-04 武汉双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公众号的医院智慧管理系统
CN111627543B (zh) * 2020-05-30 2023-06-13 武汉双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公众号的医院智慧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wamm Telehealth: seven strategies to successfully implement disruptive technology and transform health care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DiGaetano Sample frame and related sample design issues for surveys of physicians and physician practices
Lehman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a reformed health system
US2012019765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medical services
KR102143549B1 (ko) 헬스 파일럿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08029A1 (en) Matching Mobile Device Enabled Electronic Medical Consultations with Relevant Advertisements and Messages
Jain et al. Availability of telemedicine services across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in 2018: a cross-sectional study
US201503397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verse auctioning or bidding on healthcare services
West et al. Telemedicine in cancer care beyond the COVID-19 pandemic: oncology 2.0?
Norden et al. Utilizing a novel unified healthcare model to compare practice patterns between telemedicine and in-person visits
JP6966155B2 (ja) 診療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61045B1 (ja) 医療関係者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50021418A (ko) 스마트 환자 대기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0604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818100B1 (ko)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101506A1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Provisioning of an Emergency Health Service
KR101969907B1 (ko) 외국인을 위한 의료 지원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외국인 의료지원용 컴퓨터 어플리케이션
WO20230317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to-end hospital management
US20140257840A1 (en) Precise engagment in a medical information handling system
JP201617763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広告代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Oyama et al. Desktop and mobile software development for surgical practice
Hasibuan et al. Development Of Payment Gateway Digitalization Using Midtrans In The Use Of Halodoc
KR20060003795A (ko) 온라인, 오프라인을 이용한 의료 관련 포탈 시스템에 대한콘텐츠 서비스방법-유선 및 무선 통합 시스템
Fullam et al. Listening to the voice of all patients to help heal health disparities in a post-COVID-19 wor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