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680B1 -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680B1
KR102261680B1 KR1020190138601A KR20190138601A KR102261680B1 KR 102261680 B1 KR102261680 B1 KR 102261680B1 KR 1020190138601 A KR1020190138601 A KR 1020190138601A KR 20190138601 A KR20190138601 A KR 20190138601A KR 102261680 B1 KR102261680 B1 KR 10226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erminal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945A (ko
Inventor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소프트
최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소프트, 최재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3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6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제1병원의 의료 정보를 제2병원으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환자가 인증한 대리인에게 전송하고, 처방전을 약국으로 발송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제1병원의 의료 정보를 제2병원으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환자가 인증한 대리인에게 전송하고, 처방전을 환자 또는 약국으로 바로 발송하며,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병원 예약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타인(가족이나 대리인)이 환자의 병원비를 대신 결제할 수 있으며, 환자의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수술동의서를 환자 개인 또는 타인이 동의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정보 서비스의 질 향상하고 보안성을 향상하면서도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제1병원의 의료 정보를 제2병원으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환자가 인증한 대리인에게 전송하고, 처방전을 약국으로 바로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연구나 인공지능, 빅 데이터를 위한 의료 정보의 요구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소수에 불과하고, 특정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편향적인 데이터가 대부분이며,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어 통합을 위한 어려움이 있다.
국내 의료정보시스템은 의료기관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의료기관 밖으로의 공유를 차단하고 있으며, 환자 개인의 요청에 의해서만 공유가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국내 의료정보 관리 체계의 개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기관 중심의 의료정보 관리 체계는 진료를 진행한 개인의 의료데이터(의료 정보)가 여러 병원에 파편화되어 저장됨으로써 병원 간 의료 데이터의 공유가 어렵게 되고, 환자의 병력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한 의료서비스의 질을 저해하는 주역이 되었다.
개인의 의료기록은 진료를 위해 의료 기관이 보관을 하는 형태이어야 하며, 개인의 정보는 별도로 관리되는 것이 정보보호에 있어 더 안전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개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손쉽게 공유하고 이를 의료기관이 아닌 개인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를 요구하는 곳에 손쉽게 제공하고 활용하여야 개인의 정보보호는 물론 개인의 지속적 관리를 위한 양질의 데이터 생성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양질의 데이터를 통한 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견인해 갈 수 있다.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의료 정보 서비스 방법이 다수 제안되었다.
<특허문헌 1> 은 처방전 데이터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풀 메시지 타입으로 저장되고 처방전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약국의 약사에게 확인시켜줌으로써, 약품을 조제 받을 수 있다. 또한, 약국에 PC가 있는 경우 전자 메일 등의 형태로 해당 처방전 데이터를 약국의 PC에 전송하여 약품을 조제 받을 수도 있다.
<특허문헌 2> 는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의료 관련 정보 및 병/의원 정보를 지역적 특성에 따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해당 지역에 지명도가 높은 전문의를 오피니언 리더로 선정하여 오피니언 리더들의 인터뷰 내용과 의료 정보 및 광고를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오피니언 리더들의 사회적인 공신력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정보제공 및 광고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3> 은 인터넷에 기반을 둔 서버, 병원 단말기 및 스마트카드에 환자의 의료정보를 각각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환자의 의료정보를 관리하고, 사전에 환자에게 필요한 약품이 없을 경우, 약품청구정보를 약국단말기로 전송하여 환자가 지정한 약국에서 약품의 예약조제 및 수령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4> 는 개개인이 자신의 병력을 관리하고 진료 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하며, 필요한 경우 타 의료기관에 자신의 의무기록을 제공함으로써, 가족 병력 관리에 따른 개인별, 가계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정보를 축적 및 관리할 수 있다.
<특허문헌 5> 는 병원에서 진료받은 환자에 대한 진료데이터를 저장하여 환자와 병원들이 해당 진료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의료 투명성을 확보하고 환자에 대한 진료의 정확성을 높이는 의료 정보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6> 은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지능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 간의 쌍방향 통신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진료기록, 처방전 등의 의료정보를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이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허문헌 7> 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화 처리된 개인 의료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약국에 이메일을 전송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하고, 병원에서 약국에 처방전을 직접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병원 간에 환자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어렵고, 환자 의료정보를 가족이나 대리인에게 공유시켜 진료비 계산이나 처방전에 따른 조제약 수령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21524호(2002.03.21. 공개)(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13356호(2002.02.20. 공개)(지역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55478호(2002.07.09. 공개)(인터넷상에서 개인의료정보 관리 및 처방전 전달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51953호(2005.06.02. 공개)(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15107호(2007.12.05. 공개)(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2568호(2012.04.26. 등록)(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85901호(2019.07.19. 공개)(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의료기관에서 환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따르는 문제점과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제1병원의 의료 정보를 제2병원으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환자가 인증한 대리인에게 전송하고, 처방전을 환자 또는 약국으로 바로 발송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병원 예약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개인 인증으로 타인(가족이나 대리인)이 환자의 병원비를 대신 결제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의 응급 상황에서 수술동의서를 환자 개인 또는 타인이 동의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은, 환자의 의료 정보 등록시 의료 정보 공유 및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인증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요청 및 받거나 타인에게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단말기;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저장한 환자 정보를 공유시켜주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환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환자 의료 정보를 공유하며, 처방전의 전송을 제어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환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예약 및 결제를 처리해주는 병원 단말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인증정보를 공유한 타인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약국 단말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의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확인하거나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인증을 통해 환자의 병원비를 대신 결제하는 타인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타인 단말기는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술 동의서의 동의가 요청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인증정보인 키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개인인증을 대신하고,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수술 동의서에 동의한 수술 동의서를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원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 또는 약국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타인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를 통해 키값을 전송받고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개인인증이 완료됨을 통지하는 정보와 상기 병원 단말기에 전송한 서류의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원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의 처방전 전송 장소 선택에 따라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 또는 약국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인증을 위한 키값을 인증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인증정보 생성 및 전송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통해 개인 인증이 이루어지고,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의료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의료 정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 예약이 요청되면, 요청된 병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예약처리를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결제 또는 타인 단말기로부터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결제가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처방전 전송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처방전 전송 위치로 병원 단말기에서 획득한 처방전을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 처리부; 상기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병원과 병원 간에 또는 타인 단말기에 공유시켜주는 의료정보 공유부;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타인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수술 동의서 작성시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 인증을 통해 수술 동의서를 작성하고 이를 수술 동의서를 요구한 병원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수술 동의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환자의 개인인증으로 제1병원의 의료 정보를 제2병원으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의료 정보를 환자가 인증한 대리인에게 전송하고, 처방전을 약국으로 바로 발송해줌으로써, 환자의 의료 정보 공유로 최적의 의료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단말기 및 개인정보를 이용한 키값을 인증정보로 생성하고, 이를 통해 개인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의료 정보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인증정보인 키값을 타인(가족이나 대리인)에게 전달해주어, 환자 대신에 타인이 의료 정보를 확인하거나 병원 예약이나 약 조제비를 결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환자 단말기(10), 클라우드 서버(20), 의료정보 관리서버(30), 병원 단말기(41)(42), 약국 단말기(50), 타인 단말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단말기(10)는 환자의 의료 정보 등록시 의료 정보 공유 및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인증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거나 타인에게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환자 단말기(10)는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합 의료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의료 서비스를 받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구현하거나, 웹을 통해 의료 서비스를 받는 퍼스널컴퓨터(PC)로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20)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인증정보를 기초로 저장한 환자 정보를 공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20)는 AWS 등과 같은 웹 하드, 네이버와 같은 포털 사이트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의료정보 관리서버(30)는 상기 환자 단말기(10)와 연동을 통해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10)에 제공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환자 의료 정보를 공유하며, 처방전의 전송을 제어하여, 통합 의료정보를 서비스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료정보 관리서버(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10)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인증을 위한 키값을 인증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인증정보 생성 및 전송부(31), 상기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인증정보를 통해 개인 인증이 이루어지고,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41)(42)로부터 발생한 의료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에 등록하는 의료 정보 등록부(32), 상기 환자 단말기(10)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 예약이 요청되면, 요청된 병원 단말기(41)(42)와 연동을 통해 예약처리를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33), 상기 환자 단말기(10)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또는 약 조제비 결제 또는 타인 단말기(60)로부터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결제가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41)(42) 또는 약국 단말기(50)와 연동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는 상기 환자 단말기(10)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처방전 전송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처방전 전송 위치로 병원 단말기(41)(42)에서 획득한 처방전을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 처리부(35), 상기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병원과 병원 간에 또는 타인 단말기(60)에 공유시켜주는 의료정보 공유부(36), 상기 환자 단말기(10) 또는 타인 단말기(60)와 연동을 통해 수술 동의서 작성시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 인증을 통해 수술 동의서를 작성하고 이를 수술 동의서를 요구한 병원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수술 동의서 처리부(37), 환자 정보 및 인증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38)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단말기(41)(42)는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에 환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버(20)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예약 및 결제를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병원 단말기(41)는 제1병원의 단말기이고, 병원 단말기(41)는 상기 제1병원과 전혀 다른 제2병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병원 단말기(41)(42)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수의 병원 단말기 간의 의료 정보 공유가 가능함을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병원 단말기(41)(42)는 서버 급 컴퓨터나 퍼스널컴퓨터(PC)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병원 단말기(41)(42)는 상기 환자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 (10) 또는 약국 단말기(50)에 직접 전송해주며, 처방전은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처방전 전송 장소를 선택함으로써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10) 또는 약국 단말기(50)에 선택적으로 전송해줄 수 있다.
약국 단말기(50)는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와 연동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41)(42) 또는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인증정보를 공유한 타인 단말기(60)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약국 단말기(50)는 퍼스널컴퓨터(PC)로 구현할 수 있다.
타인 단말기(60)는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의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20)로부터 확인하거나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인증을 통해 환자의 병원비를 대신 결제하는 역할을 한다. 타인 단말기(60)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퍼스널컴퓨터(PC)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기기로 구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이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료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에 저장하고, 개인 인증을 통해 의료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등록 요청에 따라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인증정보 생성 및 전송부(31)는 개인인증을 위한 키값을 생성하고, 생성한 키값을 인증정보로 데이터베이스(38)에 등록함과 동시에 환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여기서 키값은 환자 단말기(10)의 고유정보(ID) 및 개인정보(연락처, 성명, 기타)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 암호화된 데이터로서, 환자마다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정보이다.
개인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등록한 상태에서, 환자가 특정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 정보(전자의무기록(EMR) 정보, 처방전, 영상기록관련 데이터(X-RAY, CT, MRI), 진료 데이터, 기타)가 생성되면,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인증정보를 통해 개인인증을 하고, 의료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의료정보 등록부(32)는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전송된 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38)를 통해 검증하여 정상적이면 인증을 하고, 의료 정보가 생성된 병원 단말기(41)와 접속하여, 환자 의료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20)에 등록해 놓는다. 여기서 병원 단말기(41)와의 접속시 환자의 개인인증을 통해 의료 정보를 전송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의료정보를 등록해 놓는 것 외에 키값을 이용한 인증정보를 이용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 예약, 결제, 처방전 전송, 의료정보 공유, 병원비 결제, 수술 동의서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먼저, 병원 예약에 대한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개인인증을 위한 인증정보(키값)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전송하고, 병원예약을 요청한다(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예약 처리부(33)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38)를 통해 검증하여 인증처리를 하고, 등록된 개인정보이면 병원 단말기(41)에 예약을 요청한다(2). 병원 단말기(41)는 예약 처리를 한 후 예약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전달한다(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예약 처리부(33)는 예약 정보를 환자 단말기(10)로 전송하여,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환자에게 알려준다(4).
다음으로, 결제 처리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병원 단말기(41)에서 환자의 병원비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면(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결제 처리부(34)는 이를 수신하고, 환자 단말기(10)에 병원비 정보를 전송한다(4).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개인인증을 위한 인증정보(키값)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전송하고, 병원비 결제를 요청한다(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결제 처리부(34)는 수신한 인증정보를 데이터베이스(38)를 통해 검증하여 인증처리를 하고, 등록된 개인정보이면 병원 단말기(41)에 결제 정보를 전송한다(2). 병원 단말기(41)는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한 후 결제 완료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전달한다(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결제 처리부(34)는 결제 정보를 환자 단말기(10)로 전송하여,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환자에게 알려준다(4).
다음으로, 처방전 전송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방전은 환자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약국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10)로 직접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병원 단말기(41)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처방전 정보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전송한다(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이를 수신하고, 환자 단말기(10)에 처방전 정보를 전송한다(4).
처방전을 약국에 전송할 경우,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전송할 약국을 선택한다(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약국이 선택되면 병원 단말기(41)로 처방전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2), 이를 수신한 병원 단말기(41)는 처방전을 생성하여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3). 처방전 정보를 수신한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수신한 처방전 정보를 환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기(50)로 전송한다(5). 약국의 약사는 처방전이 수신되면 처방전 수신에 대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6).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처방전 수신에 따른 응답 정보를 병원 단말기(41)로 전송하고, 처방전 중계에 따른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2).
다음으로, 환자의 의료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환자 의료 정보 공유 서비스는 환자가 진료를 한 병원에서 환자가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20)에 환자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병원 또는 약국에 의료 정보 또는 처방전을 전송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진료 정보 및 결제 정보는 필요에 따라 보험사에도 전송할 수 있다. 환자가 클라우드 서버(20)에 각 병원의 자료를 저장하고, 환자가 검색을 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처리해야 한다.
병원 단말기(41)의 진료 기록을 기준으로, 환자가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인증정보를 제공하면서 의료 정보 등록을 요청하면(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의료정보 공유부(36)에서 개인인증 검증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병원 단말기(41)와 접속을 통해 의료 정보를 요청한다(2). 병원 단말기(41)는 개인인증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해당 환자의 의료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3). 의료정보 등록부(32)는 수신한 환자의 의료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에 등록한다(7). 이어, 클라우드 서버(20)는 의료정보를 등록하면 등록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8). 의료정보 공유부(36)는 수신한 등록완료정보를 병원 단말기(41)로 전송한다(2).
다음으로, 다른 병원의 병원 단말기(42)에서 상기 환자의 진료 기록을 보기 위해서, 병원 단말기(42)에서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환자 의료 정보를 요청한다(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의료정보 공유부(36)는 의료정보 요청에 따른 인증을 하도록 환자 단말기(10)에 인증을 요청한다(4). 이러한 인증 요청에 따라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의료정보 공유부(36)는 수신한 인증정보인 키값을 기초로 개인인증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클라우드 서버(20)로 해당 환자의 의료 정보를 요청한다(7). 이어, 클라우드 서버(20)는 해당 환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8). 의료정보 공유부(36)는 수신한 환자의 의료 정보를 병원 단말기(2)로 전송하여, 의료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한편, 환자가 약국에 처방전을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환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면(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에서 이를 수신하고 개인인증을 수행한다. 이어, 개인인증 검증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약국 단말기(50)와 접속을 한다(5). 이어 약국 단말기(6)로부터 응답을 받으면(6),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약국과 접속이 이루어졌다는 정보를 환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환자는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약국과 접속을 하였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해당 수신에 대한 응답정보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에 한다(1).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환자 단말기(10)로부터 정상적으로 응답을 수신하면, 클라우드 서버(20)와 접속을 하여 처방전을 요청한다(7). 이러한 처방전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는 저장된 환자의 처방전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8).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처방전 전송 처리부(35)는 수신한 처방전을 약국 단말기(50)로 전송한다(5).
다음으로, 환자의 결제를 타인이 결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돈이 없거나 결제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타인이 대신 결제를 해주는 과정이다. 여기서 병원과 약국의 결제 프로세스를 동일하므로, 이하 약국을 기준으로 결제를 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약국 단말기(50)에서 결제 요청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면(6),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결제 처리부(34)에서 환자 단말기(10)로 인증정보를 요청한다. 이후 환가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인증정보를 전송하면(1), 결제 처리부(34)에서 이를 수신하고 개인인증을 수행한다. 이어, 개인인증 검증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약국 단말기(50)와 접속을 한다(5). 이어 약국 단말기(6)로부터 비용을 수신하면(6),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결제 처리부(34)는 결제를 대신할 타인이 사용하는 타인 단말기(60)로 결제 비용을 안내한다(9). 결제를 대신할 타인은 결제 정보를 안내받으면, 결제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10). 결제 처리부(34)는 결제 정보를 약국 단말기(50)로 전송하여, 타인이 결제를 대신하도록 한다(5). 이렇게 약 조제비에 대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환자는 해당 약국에서 처방약을 수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술 동의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는 환자가 사고 등에 의해 의식이 없거나 의식이 있는 경우라도 빠른 처리를 해야 하는 응급상황에서 수술동의서를 받아는 할 경우, 해당 환자의 보호자에게 동의서를 받기 위한 과정이다. 여기서 사전 전제 조건으로서 해당 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보호자 또는 보호자임을 식별할 수 있는 인증서 등이 있어야 하는 조건이 따른다. 이를 위해 환자가 사전에 개인 인증정보인 키값을 상기 보호자 또는 대리인에게 전달한 것으로 가정한다.
병원에 응급으로 들어온 환자의 정보와 보호자 정보를 알았을 경우, 시간지체를 피하고 긴급으로 수술 동의를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 처리할 수 있는 과정이다. 인프라가 구성되어 있어야 하는 상황이지만, 이미 인프라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을 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타인을 보호자로 설정하고, 제1병원에 환작 응급으로 들어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환자 단말기(10)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병원 단말기(41)를 이용하여 수술 동의서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면(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수술 동의서 처리부(37)에서 환자 단말기(10)와 접속을 하여 인증정보를 요청한다(4). 인증정보 요청을 수신한 환자 단말기(10)는 인증정보인 키값을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1).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수술 동의서 처리부(37)는 개인인증을 통해 정상적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면, 타인 단말기(60)로 수술 동의서를 전송한다(9). 타인은 타인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수술 동의서를 수신하면, 그에 대한 응답 정보(수술 동의서 작성)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10).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수술 동의서 처리부(37)는 수신한 수술 동의서를 병원 단말기(41)로 전송하여 환자의 직접적인 동의 없이도 대리인을 통한 수술 동의서를 통해 수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2).
여기서 환자 단말기(10)를 활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병원에서 병원 단말기(41)를 이용하여 수술 동의서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요청하면(3),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수술 동의서 처리부(37)에서 타인 단말기(60)와 접속을 하여 수술 동의서를 전달한다(9). 수술 동의서를 수신한 타인은 타인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수술 동의서를 수신하면, 그에 대한 응답 정보(수술 동의서 작성)를 생성하여 의료정보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10). 의료정보 관리서버(30)의 수술 동의서 처리부(37)는 수신한 수술 동의서를 병원 단말기(41)로 전송하여 환자의 직접적인 동의 없이도 대리인을 통한 수술 동의서를 통해 수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2). 여기서 보호자인 타인도 환자가 사전에 제공해준 인증정보인 키값을 사용하여 개인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응답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30)를 통해 병원에 전송한 상기 타인 단말기(60)는 상기 환자 단말기(10)를 통해 키값을 전송받고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개인인증이 완료됨을 통지하는 정보와 상기 병원 단말기(41)에 전송한 동의서 등의 서류의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10)에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추후에 환자 본인이 대리인 즉 타인에게 수술 동의를 위한 개인인증을 허락하고 수술 동의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환자 단말기
20: 클라우드 서버
30: 의료정보 관리서버
31: 인증정보 생성 및 전송부 32: 의료정보 등록부
33: 예약 처리부 34: 결제 처리부
35: 처방전 전송 처리부 36: 의료정보 공유부
37: 수술 동의서 처리부 38: 데이터베이스(DB)
41, 42: 병원 단말기
50: 약국 단말기
60: 타인 단말기

Claims (5)

  1. 환자의 의료 정보 등록시 의료 정보 공유 및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저장한 인증정보를 직접 사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요청 및 받거나 타인에게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환자 단말기;
    상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기초로 저장한 환자 정보를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버;
    상기 환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환자 의료 정보를 공유하며, 처방전의 전송을 제어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환자 의료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예약 및 결제를 처리해주는 병원 단말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상기 인증정보를 공유한 타인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약국 단말기; 및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 의료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확인하거나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인증정보의 인증을 통해 환자의 병원비를 대신 결제하는 타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타인 단말기는,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수술 동의서의 동의가 요청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인증정보인 키값을 이용하여 환자의 개인인증을 대신하고,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수술 동의서에 동의한 수술 동의서를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병원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의 처방전 전송 장소 선택에 따라 처방전을 환자 단말기 또는 약국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타인 단말기는,
    상기 환자 단말기를 통해 키값을 전송받고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개인인증이 완료됨을 통지하는 정보와 상기 병원 단말기에 전송한 서류의 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환자 단말기의 고유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인증을 위한 키값을 인증정보로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정보를 상기 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인증정보 생성 및 전송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통해 개인 인증이 이루어지고, 의료 정보 등록이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의료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의료 정보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4. 청구항 3에서,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 예약이 요청되면, 요청된 병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예약처리를 수행하는 예약 처리부;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결제 또는 타인 단말기로부터 개인 인증을 통해 병원비 결제가 요청되면 병원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서 개인 인증을 통해 처방전 전송 위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처방전 전송 위치로 병원 단말기에서 획득한 처방전을 전송하는 처방전 전송 처리부;
    상기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인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환자 의료 정보를 병원과 병원 간에 또는 타인 단말기에 공유시켜주는 의료정보 공유부;
    상기 환자 단말기 또는 타인 단말기와 연동을 통해 수술 동의서 작성시 인증정보를 통한 개인 인증을 통해 수술 동의서를 작성하고 이를 수술 동의서를 요구한 병원 단말기에 전송해주는 수술 동의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20190138601A 2019-11-01 2019-11-01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226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01A KR102261680B1 (ko) 2019-11-01 2019-11-01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01A KR102261680B1 (ko) 2019-11-01 2019-11-01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45A KR20210052945A (ko) 2021-05-11
KR102261680B1 true KR102261680B1 (ko) 2021-06-08

Family

ID=7591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601A KR102261680B1 (ko) 2019-11-01 2019-11-01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42A (ko) 2022-09-05 2024-03-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데이터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272A (ko) 2022-05-25 2023-12-04 한상용 의료기관 인증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664B1 (ko) * 2000-04-25 2004-09-21 조한익 환자와 의사간의 상호 인증을 통한 인터넷 기반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13356A (ko) 2000-08-09 2002-02-20 민병석 지역 의료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20021524A (ko) 2000-09-15 2002-03-21 남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0425370B1 (ko) 2000-12-28 2004-03-30 광주과학기술원 인터넷 상에서 개인의료정보 관리 및 처방전 전달 방법
KR100580661B1 (ko) 2003-11-28 2006-05-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15107A (ko)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실행되는 장치,시스템
KR100989798B1 (ko) * 2008-04-18 2010-10-29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34805B1 (ko) * 2011-06-27 2013-02-20 유디비 주식회사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42568B1 (ko)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16494A (ko) * 2012-07-30 2014-02-10 김경수 스마트폰의 의료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의료정보 활용방법
KR101631255B1 (ko) * 2014-07-21 2016-06-16 주식회사 지엠홀딩스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55762B1 (ko) * 2015-01-06 2016-09-22 성승주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3806B1 (ko) 2019-07-10 2020-05-21 (주) 프로큐라티오 개인의료정보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342A (ko) 2022-09-05 2024-03-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데이터 컴퓨팅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45A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0971B2 (en) Secure token identification and medical rule-based authorization system
US20230162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digital scripts
US77299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cal items on an electronic prescription
US11455597B2 (en) Remotely diagnosing conditions and providing prescriptions using a multi-access health care provider portal
US20210243185A1 (en) Tap and Go PHI System
KR102261680B1 (ko)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120036488A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처방전 전송 방법,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CN110010221B (zh) 电子处方流转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248763B2 (en) Healthcare prescription delivery techniques using a money transfer network
US20190267122A1 (en) Systematic patient information, records and appointment library system
KR102283370B1 (ko)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방문진료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
KR20220074009A (ko)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의약품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24643A (ko)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단말 및 서버
CA3173767A1 (en) Cloud-based medical record management system with patient control
KR20210052939A (ko)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2504515B1 (ko) 의약품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제공 방법
WO2022203013A1 (ja) 医療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100425070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 중계 방법 및 시스템
JP4460231B2 (ja) 保険療養支援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保険療養支援方法
JP2022061195A (ja) 電子医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20098965A (ko) 원격 진료 처방 및 의약품 배달 시스템
KR20010106736A (ko) 인터넷을 통한 의료 서비스 방법
JP3094840U (ja) 保険診療支援システム
KR20110083245A (ko)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 종합 병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