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568B1 -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568B1
KR101142568B1 KR1020110096769A KR20110096769A KR101142568B1 KR 101142568 B1 KR101142568 B1 KR 101142568B1 KR 1020110096769 A KR1020110096769 A KR 1020110096769A KR 20110096769 A KR20110096769 A KR 20110096769A KR 101142568 B1 KR101142568 B1 KR 10114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patient
integrated
custo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서윤
김종규
한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모지아
한정화
김종규
한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모지아, 한정화, 김종규, 한서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모지아
Priority to KR102011009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정보 통합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지능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 간의 쌍방향 통신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진료기록, 처방전 등의 의료정보를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이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의료정보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의료기관을 연결해주는 통합 매개체로서, 상기 고객 단말기와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 사이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와,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에 연결되어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지능형 문진구조와 자동완성기능 등의 스마트 컨설테이션 기능을 통해 보다 정확한 의료정보 제공으로 질병의 징후에 대해 사용자가 보다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사용자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도출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증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원하는 시각에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에 방문진료 예약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제공하며, 환자의 방문진료 후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상기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약국이나 제3 기관에 제공하여 활용하거나 직접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예약 요청이 있을시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쌍방향 통신을 통해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 전달과 함께 실시간으로 예약 서비스를 실행하고,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고, 환자의 방문진료 후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와 연결되어 의료기관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질병의 징후 단계에서 지능형 문진구조를 통해 환자가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적합하고 필요한 의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환자(또는 보호자)는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고, 잘못된 정보로 인한 부적절한 조치 혹은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질병의 악화와 부적절한 병원 진료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SNIG BI-DIRECTIONAL COMMUNICAION BASED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료정보 통합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지능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 간의 쌍방향 통신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진료기록, 처방전 등의 의료정보를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이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의료서비스 제공방식은 환자가 직접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한다. 하지만 환자가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 손실과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병원과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이 불편함이 가중된다. 더욱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환자수에 따라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망을 이용한 의료 관리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인테넷망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와 변혁을 가져옴에 따라 의료계 또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지속해 왔으며,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을 통해 예약을 하고 그 결과를 통보받는 인터넷 예약시스템이나 환자가 직접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원격진료시스템 등이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인터넷망을 이용한 예약시스템은 우수한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전화예약과 같은 전통적인 예약방식과 큰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보급이 제한적이다. 원격진료시스템은 환자와 의료진 간의 거리감 문제와, 문진만으로는 환자에게 질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상 진료에서는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장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의료 정보 및 헬스케어에 관련된 표준 정립을 서두르고 있으며, 의료 정보화를 위해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 :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시스템(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m), 전자의무기록(EMR :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연동하는 의료 관리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의료 관리시스템들은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있는 환자를 위한 정보이며 일상 생활에서 환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기존의 전자의무기록 등은 환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연계가 없어 의료기관이 환자를 위해 구축한 서비스라기 보다는 의료기관 업무의 효율화, 자동화에 많은 중점을 두어, 의료기관의 전산화가 직접적인 대(對) 환자 서비스의 향상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이에 따라 기 구축된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무선통신망, 유선통신망들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의료 관리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는 환자 중심의 관리 시스템으로 질병의 징후 인지 단계부터 예약, 진료, 사후관리에 이르는 의료 서비스의 전과정을 포괄해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환자 개인의 평생에 걸친 건강정보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또한 기존의 인터넷망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함으로써 투자 비용을 최소화해야 하는 등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의료정보 운용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
[문헌1] KR 10-2001-0088137 A, 2001. 09. 26. 3-6쪽 [문헌2] KR 10-2011-0050118 A, 2011. 05. 13. 5-7쪽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연동되는 지능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 간의 쌍방향 통신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진료기록, 처방전 등의 의료정보를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이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의료정보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고객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의료기관을 연결해주는 통합 매개체로서, 상기 고객 단말기와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 사이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와,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에 연결되어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지능형 문진구조와 자동완성기능 등의 스마트 컨설테이션 기능을 통해 보다 정확한 의료정보 제공으로 질병의 징후에 대해 사용자가 보다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사용자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도출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증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원하는 시각에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에 방문진료 예약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제공하며, 환자의 방문진료 후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상기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약국이나 제3 기관에 제공하여 활용하거나 직접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예약 요청이 있을시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쌍방향 통신을 통해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 전달과 함께 실시간으로 예약 서비스를 실행하고,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고, 환자의 방문진료 후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와 연결되어 의료기관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증상에 대한 "예/아니오"의 간단한 질문으로 이루어진 지능형 문진구조와 표준화된 증상입력을 돕는 자동완성기능을 통해 검색의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여주어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또는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진료 예약 요청시 편리한 원스텝 예약을 위해 기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환자가 정한 방문시간과 함께 의료기관에 전달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환자의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2차원 바코드 형태 혹은 문서 형태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부터 방문진료 예약접수 확인통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부터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는 의학백과 및 건강상식 검색서비스와, 저장된 환자의 증상 및 개인정보와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토대로 성장단계 정보와, 기 설정된 예방접종정보를 제공을 포함한 평생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몸에 이상 징후를 느끼고 고객 단말기의 지능형 문진구조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도출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증상 정보 및 개인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방문진료 예약시각을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전송하여 방문진료를 예약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예약요청을 완료하여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와, 환자의 방문진료가 완료된 후,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부터 전송된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열람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저장된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사용자가 약국이나 제3기관에 제공하여 활용하거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단계와,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능형 문진구조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필요한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지능형 문진구조를 통해 증상에 대한 "예/아니오"의 간단한 질문을 거쳐 관련 질병군을 보여주거나 자동완성 기능으로 표준화된 증상명을 입력하여 검색의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단계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또는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방문진료 예약시각을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전송하여 방문진료를 예약하는 단계는 편리한 원스텝 예약을 위해 기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환자가 정한 방문시간과 함께 의료기관에 전달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환자의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2차원 바코드 형태 혹은 문서 형태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질병의 징후 단계에서 지능형 문진구조를 통해 환자가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적합하고 필요한 의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환자(또는 보호자)는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고, 잘못된 정보로 인한 부적절한 조치 혹은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질병의 악화와 부적절한 병원 진료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원스텝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설테이션을 통해 입력된 증상과 예약에 필요한 환자의 개인정보를 함께 의료기관에 전송함으로써 환자가 주변 의료기관의 예약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자신의 계획에 따라 진료 예약을 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이는 환자에게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가능케 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예약 과정을 단 한 번에 실시할 수 있어 간편함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원스텝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 컨설테이션을 통해 입력된 증상과 예약에 필요한 환자의 개인정보를 함께 의료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의료기관은 간편하게 환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전달된 환자의 증상들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어 보다 심층적이고 집중적인 진료를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 이후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전송되는 개인 전자의무기록의 보관 및 관리 기능은 환자가 병원을 옮기더라도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이전의 진료 리스트를 이용하여 모든 병원을 통합적 의료서비스 환경처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 인해 환자는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으며 병원은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송된 전자의무기록에 포함되는 전자진료기록(진료 후 결과 및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을 환자(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료 이후 환자(또는 보호자)는 간편하게 이러한 정보를 자신의 건강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아 그리고 노약자의 경우 이러한 정보는 보호자에게 전달되어 환자의 건강관리를 도울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진료 후 고객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처방전을 간편하게 발행 및 열람하고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병원, 약국과 환자 모두 보다 간편한 구매 및 판매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약국은 2차원 바코드 인식을 통해 처방전 입력에 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병원은 종이 처방전에 사용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환자(또는 보호자)는 자신의 투약 과정을 평생 보관, 활용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진단서나 예방접종 기록 등의 의료증명서를 고객 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진단서나 예방접종 기록 등의 의료증명서를 타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 별도로 개별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고객 단말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원은 서류발급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는 각 병원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질병의 징후 단계부터, 예약, 진료, 진료기록 및 처방전 관리, 그리고 사후 관리의 과정을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원스텝으로 통합 관리 운용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운영 관리되는 것보다 각 영역별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구현 및 사회적 비용(의료)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환자의 의료정보를 환자와 의료기관이 상호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의료기관의 진료 연계성을 가질 수 있게 하고, 개인의 건강관리(사후 관리)와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집중적 심층적 진료)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운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문진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진료 예약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사후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지능형문진시 고객 단말기의 화면창에 표시된 지능형문진을 단계별로 나타낸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검색 및 예약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전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진료기록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학백과 및 건강상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장단계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접종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지능형 단말기(이하, 스마트폰이라 함)는 휴대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중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한다. 즉,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을 말한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것으로서, 수백에서 수십만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WiFi, 3G(또는 4G), WiBro 등 무선 통신망과, ADSL, VDSL 등과 같은 유선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스마트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스마트폰은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리정보장치(GIS)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 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은 개개인에 대한 평생에 걸친 건강정보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증상에 대한 정보제공에서부터 의료기록의 활용까지 개개인의 평생에 걸친 건강정보관리를 제공한다.
1. 몸의 이상을 감지하는 단계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환자의 증상에 따라 가능한 질병군을 제시해주어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방문할 것인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병원 방문 전 예약 단계
주변에 위치한 병원이나 미리 등록된 단골병원 등에 쉽게 예약하고 예약시 지능형문진구조 혹은 증상입력 시스템을 통해 저장된 환자의 증상과 예약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병원에 함께 전송하여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의료 서비스를 지원해준다.
3. 병원 진료 단계
미리 예약된 시간에 병원을 방문하여 대기시간을 줄이고 미리 의사에게 통보된 증상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진료를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와 의사 모두 만족도를 높인다.
4. 병원 진료 후 진료결과 통보 단계
진료 후 결과 및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 등의 전자진료기록과 전자처방전 등의 개인 전자 의무기록을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보받고 저장한다.
5. 통보받은 기록 활용 단계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받은 전자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에서 손쉽게 약을 구입할 수 있으며, 진료 후 결과 및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집으로 돌아간 후 알맞은 처치를 할 수 있다.
6. 개인 건강 기록 평생 활용 단계
개인 전자의무기록을 각자 보관하여 다음번 진료시 병원을 옮기더라도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의무기록을 타 기관에 제출하는 등의 경우에도 각각의 진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증명서를 발급받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각 단계별 주요 기능별 특징 및 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 컨설테이션 (m- consultation ) 기능
지능형문진구조 또는 자동완성 기능을 갖춘 증상입력 시스템을 통한 의료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두 가지 시스템은 환자가 보다 적합하고, 정확한 의료정보에 접근하도록 도와준다. 보다 적합하고 정확한 의료정보는 환자가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조치가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러한 과정은 환자의 치료와 건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진료를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절감시켜준다.
1) 지능형문진구조(IMELS)
소아과 등과 같이 해당 증상과 질병(환)을 특정할 수 있는 의료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으로서, 증상에 대한 몇 번의 간단한 질문(예/아니오)만으로도 해당 증상군과 연관된 보다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정 분야에 해당하는 전문 문진 알고리즘(rule out 방식)의 적용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2) 자동완성 기능을 갖춘 증상입력 시스템
증상에 대한 다양한 명칭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검색에서 정확도를 떨어뜨린다. 표준화된 증상 명을 자동완성기능으로 제공함으로써 통일된 명칭으로 의료정보를 검색하게 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해당 증상들과 연관된 질병군 검색을 제공한다.
기존에 존재하는 방식은 가장 흔하게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 존재하고,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에서는 단순한 질병을 검색하는 의학백과 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식들은 환자에게 다양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환자에게 필요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환자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컨설테이션 기능은 위와 같은 시스템을 적용하여 환자의 혼란을 줄이고 보다 빠르고 적합한 조치가 뒤따르도록 돕는다.
스마트 원스텝 예약 기능
시간과 공간, 그리고 선호성향 등 환자 자신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병원 검색을 이용하여 선택만으로 예약이 완료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각 병원의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어 선택된 병원의 예약 가능 시각이 표시되고, 자신의 시간과 맞추어 예약을 선택하면 스마트 컨설테이션에서 기 입력한 증상들과 예약에 필요한 개인정보(부작용 등 환자 개인의 특이 정보 포함)등이 함께 의료기관에 전송되어 바로 예약이 완료된다. 예약 정보는 알림 서비스와 길찾기 서비스와 연계되어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기존에 널리 알려진 예약방법은 전화 통화와 인터넷 창을 이용한 방법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들은 환자 자신의 여건에 맞는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즉, 일단 환자 스스로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후 예약을 위한 방법들이다. 예약에 있어서도 가능한 시각 선택, 개인정보 전달, 사전 확인 등의 과정을 거쳐야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원스텝 예약 기능은 이러한 과정을 단 한 번의 선택으로 가능케 하여 편리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현재 증상을 동시에 전송하여, 의료기관이 환자의 방문 이전에 환자에 적합한 진료 준비를 도와 집중적이고 심층적인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개인 전자의무기록 전송 보관 관리 기능
병원 방문진료 이후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개인 전자의무기록(전자진료기록, 전자처방전 등)이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된 전자의무기록들은 스마트폰에 바로 저장되어 보관된다. 환자는 이를 스마트 폰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전송, 공유, 인쇄 등 스스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환자의 성장과정에서 건강관리의 지표가 된다.
개인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의료기관에서 개인으로의 전송, 개인의 보관, 관리, 타 기관으로의 전송(공유)에 대한 접근은 외국에서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이의 실현은 환자 개인과 의료기관 모두에 많은 도움이 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완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거의 모든 의료정보를 담으려는 시도와 이에 따르는 표준화 미비 등의 문제를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외국의 경우 다양한 사보험 등의 존재로 매우 다양한 포맷으로 의료정보가 보관, 관리되고 있어, 이를 표준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개인 전자의무기록의 개인 보관 관리 및 공유를 통한 진료 연속성 확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경우 역시 영상정보를 포함한 거의 모든 의료 정보를 공유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종합병원별로 각기 자체 의료 전산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하는 작업은 좀처럼 여러 병원으로 넓혀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전자의무기록 전송 보관 관리 기능은 국민건강보험 보험심사원에 보고되는 일차적인 정보(기본 폼)를 기본으로 의사소견과 특이 성향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럴 경우 동일한 폼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표준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그러면서 특이 성향을 추가하여 최소한의 진료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의사 소견을 추가하여 환자 혹은 보호자가 진료 이후 환자의 건강관리를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자처방전 활용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전은 2차원 바코드 형태와 문서형태(데이터)로 모든 데이터가 직접 환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스마트폰에서 바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의약품의 정보도 확인 가능하다.
기존에 제공되는 전자처방전은 이메일 등을 이용한 약국으로의 직접 전달 형태, 그리고 단순 숫자코드 형태 두 가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모두 환자 개인에게 직접적으로 모든 데이터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 병원에서 약국으로 혹은 제3자를 거쳐서 전달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병원에서 약국으로 직접 전자처방전이 전달되는 방식은 환자의 자기 결정권(확인 및 선택)을 제약할 수 있고, 환자 개인 스스로 자기 정보를 보관 관리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단순 숫자코드 형태로 제공되는 전자 처방전은 제3자를 통해 약국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으로 개인의료정보의 제3자 제공이라는 위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역시 실제 처방전 데이터가 환자 개인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관 관리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전자처방전(기능)은 환자 개인의 정보를 개인 스스로가 자기의 선택으로 모두 보관,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자의료증명서 발급 기능
본 발명에 따른 운용 시스템에서는 진단서, 예방 접종 기록 등 의료증명서를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신청하고, 발급받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해당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운용 시스템을 통해 해당 의료기관에 직접 요청할 수 있고, 인터넷 결제 서비스와 연동하여 요금을 지불하고 전자 서명을 통해 인증, 발급받는다. 발급받은 전자 증명서는 직접 확인 및 인쇄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은 인터넷과 이동성이 우수한 지능형 단말기, 일명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 간의 쌍방향 통신(커뮤니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즉각적인 쌍방향 통신을 통해 환자(또는 보호자)와 의료기관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환자는 자신이 몸에 이상을 느껴서 애플리케이션의 지능형 문진구조를 이용한 기록, 증상 등에 대한 과정과 병원방문 기록, 투약기록 등 한 개인의 평생에 걸친 건강정보를 누적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며, 각 의료기관들이 이를 활용할 경우 의료시스템 전반에 거쳐 순기능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은 통신망(3)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고객 단말기(1)와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기(1)는 스마트폰으로서, 고객(환자 또는 보호자)이 소지한다. 고객 단말기(1)에는 통신망(3)을 통해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의료정보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의료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에서 제공되거나, 또는 기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마켓(예를 들면, 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제공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고객 단말기(1)는 환자(또는 보호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고, 환자(또는 보호자)가 고객 단말기(1)의 표시창(화면)에 표시되는 의료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터치식 또는 버튼식)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에 접속하게 된다.
고객 단말기(1)는 중계기(2)를 포함하는 통신망(3)을 통해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와 연결되며,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의료정보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고객 단말기(1)는 통신망(3)에 연결되어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고객 단말기(1)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와 연동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은 후 직접 서비스 이용에 대한 이용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1)에는 GPS 위성(또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기 위하여 GPS 수신장치(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다. GPS 수신장치는 GPS 위성을 통해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고객 단말기(1)는 의료 서비스 요청시 GPS 수신장치를 통해 추출된 위치정보와 기타 의료 서비스 요청을 위한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4)로 제공한다.
고객 단말기(1)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자신의 위치 및 의료기관의 위치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예를 들어 GIS로부터 제공되는 지리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즉, 고객 단말기(1)는 의료기관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위치좌표)를 데이터 형태로 제공받아 단말기에 저장된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 및 의료기관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통신망(3)을 통해 고객 단말기(1)와 상호 유무선 통신을 한다. 이러한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5)와 연결되어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의료정보 관리서버(5)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이 환자를 진료, 간호, 검사, 치료하는 진료업무와 관련한 업무를 처리하는 전자의무기록서버와, 전자의무기록를 지원하기 위하여 고객, 즉 환자들에 대한 등록, 진료예약, 입원 수속 등을 처리하거나 일반적인 병원 운영 업무를 처리하는 경영지원업무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의무기록서버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상대하며 진료하는 의사의 진료 업무, 간호사가 환자를 간호하는 업무 및 각종 검사실의 검사실 직원이 환자에 대해 검사 또는 치료를 수행하는 검사 업무 등을 처리하고, 각종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저장한다. 경영지원업무서버는 급식, 주사처치, 처방전 발급 등과 같은 진료지원 업무, 환자등록, 진료예약, 입원예약, 진료비 수납 등과 같은 원무 및 병원 내부의 인사관리, 각종 행정업무 등과 같은 일반관리업무를 처리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의료정보 관리서버(5)는 각각의 의료기관 내에 구축된 인트라넷(6)을 통해 의료인 단말기(7), 예를 들면,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행정업무 직원의 단말기와 각각 접속된다. 의료인 단말기(7)는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행정업무 직원들이 환자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5)로부터 제공받아 열람하고, 환자들에 대한 진료 결과를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 입력하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의료인 단말기(7)는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걸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의료정보 관리서버(5)와 의료인 단말기(7)는 인트라넷(6)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져 운영될 수도 있다.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는 고객의 각종 의료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래초진, 외래경과, 입원초진, 입원경과, 타과의뢰, 수술기록, 퇴원기록과 같은 일반 정보와, 진단서/의견서, 과별서식, 정신과 진단평가 등과 같은 특수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의료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의료정보 관리서버(5)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제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통신망(3, 3')은 동일 망(network)으로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며, 고객 단말기(1)와 통합의료시스템서버(4), 그리고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와 의료정보 관리서버(5)를 연결하는 망으로서, 중계기(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사에서 설치 운영하는 이동통신망(3G망, 4G망, WiBro망 포함), 인터넷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2)는 기지국이거나 무선접속장치(Acess Point, A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2)가 통신망(3)과 분리되어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중계기(2)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으며, 통신망(3)으로 언급된 경우 통신망(3)은 중계기(2)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을 이용한 의료정보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좌측 블럭은 고객 단말기(1)에서 수행되는 동작이고, 우측 블럭은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서 수행되는 동작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고객 단말기(1)에 설치된 의료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입력한다. 그런 다음, 고객 단말기(1)의 화면창에 표시되는 문진에 따라 환자(또는 보호자)가 느끼는 증상을 차례로 선택하여 환자 자신의 증상에 가장 적합한 질병군에 대한 의료정보(연령별, 상황별)를 취득하게 된다. 또한, 의료정보에는 건강 식단 등 일상적인 건강을 위한 식단을 포함하며, 이러한 의료정보는 환자가 진료의 선택부터 어떻게 조치 및 대처를 해야 하는지 판단을 돕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문진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객 단말기(1)는 다양한 증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대상이 되는 모든 증상 중에서 가장 심하게 느끼는 한가지 증상을 선택한다(S31). 예를 들어, 환자(또는 보호자)가 "피부증상", "가려움", "발열"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수두"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한다(S32, S33, S34). 한편, "가려움", "발열"을 선택한 후 "통증"이 있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대상포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한다(S32, S33, S35, S36). 반면, "가려움", "발열"을 선택한 후 "통증"이 없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아토피피부염", "칸디다증", "영아습진", "농가진" 등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한다(S32, S33, S35, S37).
도 6은 지능형문진시 고객 단말기의 화면창에 표시된 지능형문진을 단계별로 나타낸 화면이다. 여기서 소개되는 분야는 소아과로 모든 과에 지능형 문진구조가 적용되지는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는 다양한 증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즉, 대상이 되는 모든 증상 중에서 가장 심하게 느끼는 한가지 증상을 선택한다. 제공되는 증상으로는 예를 들어, 발열, 피부증상, 식욕부진, 기침, 복통, 구역, 콧물, 두통, 보챔, 눈꼽, 경련, 설사, 입병, 호흡곤란, 멍어리, 부종, 변이상, 현기, 가래, 하지통증, 쉰목소리, 배뇨이상, 목소리변형, 총창, 안면통, 코피, 질분비물, 변비, 귀분비물, 배꼽분비물, 황달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환자(또는 보호자)가 제공되는 증상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5~7단계에 걸친 단순 질문(문진, 예/아니오 답변)에 따라 답변한다. 그런 다음, 문진구조를 거치면, 해당 증상들과 연관된 질병(환)들이 화면창에 표시된다. 표시된 질병들 중 해당 질병을 선택하면 해당 질병에 대한 의료정보가 환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문진구조는 직관적 인터페이스를 채용하여 환자(또는 보호자)가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적합한 의료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도와준다. 증상에 따른 문진구조를 따라가다 보면 자신에 적합한 의료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필요한 응급조치와 대처를 바로 취할 수 있어 환자의 치료와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질병의 징후 단계에서 지능형 문진구조는 환자가 빠른 시간 내에 최적의 의료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환자는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또한, 이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부적절한 조치 혹은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질병의 악화와 부적절한 병원 진료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능형문진을 통해 환자 증상에 대한 의료정보가 제공된 후, 환자(또는 보호자)는 증상과 제공되는 의료정보를 고려하여 병원진료 여부를 결정한다.
병원진료 여부가 결정되면 병원을 검색한다. 병원검색방법은 자신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병원이 결정되면, 결정된 병원에 예약요청을 한다.
병원진료 예약요청과 접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예약할 병원을 선택하면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의료정보 관리서버(5)와의 통신을 통해 예약 가능 여부와 가능 시각을 파악하여 고객 단말기(1)로 전송하고, 고객 단말기(1)는 원하는 예약시간을 선택하여 개인정보나 주증상 등과 함께 의료시스템서버(4)에 전송하고, 의료시스템서버(4)는 고객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예약정보를 토대로 의료정보 관리서버(5)와의 통신을 통해 예약을 확정지어서 고객 단말기(1)로 예약접수 확인을 통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진료 예약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진료를 받을 병원을 검색한다(S41). 병원검색방법은 자신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병원검색방법은 고객 단말기(1)를 통해 이루어진다.
병원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병원들 중 해당 병원의 개별 의료정보 관리서버로 예약 가능 시각을 통보하고, 원하시는 시간에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선택한다(S42, S43).
병원이 결정되면, 결정된 병원에 진료 예약을 요청한다(S44). 이때, 예약요청은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객 단말기(1)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를 통해 의료정보 관리서버(5)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증상 정보는 지능형문진 과정을 통해 고객 단말기(1)에 저장되게 되며, 예약요청시 환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를 통해 의료정보 관리서버(5)로 제공된다.
예약요청이 완료되면, 의료정보 관리서버(5)는 고객 단말기(1)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제공받아 예약접수를 한 후 접수완료를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를 통해 고객 단말기(1)로 통보한다(S45). 이때, 의료정보 관리서버(5)는 예약접수완료 통보를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를 통해 고객 단말기(1)로 전송한다. 고객 단말기(1)는 예약접수완료를 확인한 후, 병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예약시각을 알람 설정한다(S46, S4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검색 및 예약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원검색 및 예약은 고객 단말기(1)를 통해 원 스텝(one step)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지능형 문진 과정을 통해 입력된 증상정보와 예약에 필요한 환자의 개인정보(환자의 부작용 등 특이사항 포함)를 함께 의료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원하는 시각, 원하는 병원에 바로 예약할 수 있다.
먼저,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현위치, 지정위치, 특정검색, 이전기록 등과 같은 방식으로 병원을 검색한다. 병원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결과가 화면에 나타난다. 이때, 검색된 병원은 지정된 위치(또는 환자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도 함께 출력된다. 검색된 병원 중 어느 하나의 병원을 선택하면 병원의 상세한 정보와 예약 가능시간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병원의 상세한 정보는 위치, 전화번호, 병상규모, 진료과목, 진료시간, 예약가능시간 등을 포함한다. 원하는 진료 예약시간을 선택하면 기 입력된 주증상 정보와 개인정보가 동시에 전송되어 예약 신청을 완료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진료 예약 후, 방문진료가 완료되면, 전자처방전을 포함한 진료기록(경우에 따라 예방접종 등 포함)은 해당병원으로부터 환자(또는 보호자)에게 전송된다. 이와 더불어 사후조처(관리)에 대한 조언과 재방문일(진료일) 등이 함께 제공되며, 전송된 자료는 개인이 보관, 관리,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정보 사후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자의 방문진료 후, 의사, 간호사, 검사실 직원, 일반 행정부서 직원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병원 전자처방전 및 진료기록을 의료정보 관리서버(5)에 저장한다.
고객 단말기(1)로부터 요청이 있거나 사용자의 의료기관 방문 후 의료정보 관리서버(5)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에 상기 병원 전자처방전 및 진료기록을 제공하고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는 즉시 고객 단말기(1)로 이러한 정보들을 제공한다(S51).
고객 단말기(1)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전자처방전 및 진료기록이 수신된 것을 환자(또는 보호자)에게 알리고, 환자(또는 보호자)는 고객 단말기(1)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처방전 및 진료기록을 확인한다(S52, S53). 이때, 고객 단말기(1)는 간편보기 및 상세보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를 환자(또는 보호자)에게 제공한다.
전자처방전과 진료기록의 형태는 원본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간단한 장치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 역시 선택 가능하다. 특히, 전자처방전은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2차원 바코드, 예를 들면 QR 코드 형식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인이 허락하는 경우에 한해 제3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전차처방전 및 진료기록을 고객 단말기(1)에 저장하고, 이렇게 고객 단말기(1)에 저장된 전자처방전을 이용하여 약국에 방문하여 약을 구입하게 된다(S54, S55).
이후, 재진료일, 예방접종일 등은 알람기능으로 설정되게 되며, 이 경우 일정표에 저장되어 사전 고지하게 할 수 있다(S56). 전자의무기록 등은 추후 환자가 수시로 열람하여 건강을 체크하거나 제3자에게 전송 및 백업되어 활용될 수 있다(S57, S58, S59).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전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전 제공방법은 병원 방문진료 후 병원, 즉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이 통신망(3)을 통해 고객 단말기(1)로 전송된다. 고객 단말기(1)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이 전송되고, 이렇게 전송된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은 고객 단말기(1)에 저장된다. 고객 단말기(1)는 화면창에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이 전송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띄운다.
고객 단말기(1)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4)에서 제공되는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간편보기 또는 상세보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간편보기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자(또는 보호자)가 고객 단말기(1)의 화면창으로 제공되는 '처방전 바로보기'를 클릭하면 처방전이 2차원 바코드 중 하나인 QR 코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된다. 이처럼 처방전이 QR 코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개인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QR 코드 리더기를 통해 많은 정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약국(8)이나 제3 기관(9)에서 처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처방전 상세내역이 화면창에 표시된다. 처방전 상세내역에는 보험종류, 교부번호, 환자정보, 의료기관, 질병기호, 처방의약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창 하단에 '리스트'를 클릭하면 환자의 전체 진료기록을 모두 날짜 순으로 정렬된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진료기록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진료기록 관리방법은 직접 환자(또는 보호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통합의료시스템서버(4)로부터 고객 단말기(1)로 제공된 진료기록은 즉시 고객 단말기(1)에 저장되고, 진료기록 메뉴에서 각각 확인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진료기록은 일반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상세한 의사소견이 첨부되어 있다. 전자진료기록 관리를 통해 저장된 기록들은 백업, 전송 또는 문서 형태로 출력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문서는 유비쿼터스 프린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스마트폰) 교체 등 해당 어플리케이션 교체의 경우 특정 서버에 일정 기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전송은 인터넷망을 통해 문서 형태 혹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학백과 및 건강상식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단말기(1)는 전술한 기능들 외에 의학백과 및 건강상식 등을 제공하는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되는 의학백과는 해당 범위가 전분야로 확대시 해당 분야별로 색인 검색할 수 있다. 질병 검색에서 증상에 따른 검색도 고려될 수 있다. 단순한 해당 질병 혹은 상식의 요약이 아니라 전문가가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직접 모든 내용을 집필할 수도 있다.
고객 단말기(1)는 환자(또는 보호자)가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즉, 질병(환)명 혹은 색인을 통해 검색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해당 질병(환)의 설명은 단순한 설명보다는 환자의 이해를 위해 상세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상식은 시기별(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또는 신체 부위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건강상식은 우리가 흔히 오해하고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성장단계 정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단말기(1)는 성장단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장단계 보기'를 선택하면 고객 단말기(1)의 화면창에서 현재 날짜, 몸무게, 키를 입력하는 입력창과 함께 가장 최근에 입력된 정보(날짜, 몸무게, 키 등)가 화면창에 제공된다. 상기 입력창에 현재 날짜, 몸무게, 키를 입력한 후 '입력보기"를 클릭하면 먼저 연령별 몸무게 그래프와 산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는 기본적으로 줌 기능을 제공하며, 입력된 내용을 바탕으로 계산하여 정상범위 여부를 제공한다. 화면창에 표시된 클릭바 중 "키"를 클릭하면 연령별 키(신장) 그래프 및 산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리스트"를 클릭하면 그 간 입력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관리를 통해 수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예방접종 알림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단말기(1)는 환자(또는 보호자)가 잊지 않고 제때에 예방접종할 수 있도록 예방접종 알림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제 접종일은 병원에서 진료기록 수신시 자동으로 입력되어 보관 관리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어 보관 관리할 수 있으며, 알람설정은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먼저, 예방접종 스케줄 및 기록을 확인한 후, 각각의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예약하기"를 클릭하면 바로 병원검색을 통해 예방접종 예약이 가능하다. 예방접종 기록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으며, 예방접종 증명서를 신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의료정보 운영에 있어서 순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질병의 징후 단계에서 지능형 문진구조는 환자가 빠른 시간 내에, 가장 적합한 필요한 의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에 따라, 환자(또는 보호자)는 적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또한, 이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부적절한 조치 혹은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질병의 악화와 부적절한 병원 진료 증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둘째, 스마트 원스텝 예약 기능은 스마트 컨설테이션을 통해 입력된 증상과 예약에 필요한 환자의 개인정보(환자의 부작용 등 특이사항 포함)를 함께 의료기관에 전송한다. 이는 환자가 주변 의료기관의 예약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자신의 계획에 따라 진료 예약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이는 환자에게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가능케 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예약 과정을 단 한 번에 실시할 수 있어 간편함을 제공한다. 또한, 의료기관은 이 예약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환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께 전달된 환자의 증상들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어 보다 심층적이고 집중적인 진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순기능들은 단지 시간의 절약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셋째, 진료 이후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전송되는 개인 전자의무기록의 보관 및 관리 기능은 환자가 병원을 옮기더라도 자신이 보관하고 있는 이전의 진료 리스트를 이용하여 모든 병원을 통합적 의료서비스 환경처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 인해 환자는 진료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스스로 안전을 지키고 의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으며 병원은 보다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넷째, 전송된 전자의무기록에 포함되는 전자진료기록(진료 후 결과 및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은 진료 이후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소아 그리고 노약자의 경우 이러한 정보는 보호자에게 전달되어 환자의 건강관리를 돕는다.
다섯째, 병원 진료 후 고객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받은 전자처방전은 병원, 약국과 환자 모두 보다 간편한 구매 및 판매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약국은 처방전 입력에 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병원은 종이 처방전에 사용되는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환자는 자신의 투약 히스토리를 평생 보관, 활용할 수 있다.
여섯째, 진단서나 예방접종 기록 등의 의료증명서를 타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는 경우 개별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병원은 서류발급을 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는 각 병원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일곱째, 질병의 징후 발견에서 예약, 진료, 그리고 진료기록 및 처방전 관리를 포함하는 사후 관리의 과정은 환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연속적인 과정이며, 이런 연속 과정이 독립적으로 운영 관리되는 경우 환자, 의료기관 모두에게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증가시킨다. 연속된 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각 영역별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구현 및 사회적 비용(의료)을 절감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료정보를 환자와 의료기관 사이에 상호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은 환자를 중심으로 여러 의료기관의 진료 연계성을 갖게 하고, 개인의 건강관리(사후 관리)와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집중적 심층적 진료)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고객 단말기
2 : 중계기
3, 3' : 통신망
4 : 통합의료시스템서버
5 : 의료정보 관리서버
6 : 인트라넷
7 : 의료인 단말기
8 : 약국
9 : 제3 기관

Claims (13)

  1.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의료정보 서비스 요청이 실행되는 고객 단말기; 및
    사용자와 의료기관을 연결해주는 통합 매개체로서, 상기 고객 단말기와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 사이에서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 및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에 연결되어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과 경영지원업무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의료정보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지능형 문진구조와 자동완성기능의 스마트 컨설테이션 기능을 통해 보다 정확한 의료정보 제공으로 질병의 징후에 대해 사용자가 진료기관 방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사용자를 통해 입력되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도출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증상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원하는 시각에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에 방문진료 예약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저장된 정보를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제공하며, 환자의 방문진료 후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경우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약국이나 제3 기관에 제공하여 활용하거나 직접 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예약 요청이 있을시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와 쌍방향 통신을 통해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 전달과 함께 실시간으로 예약 서비스를 실행하고,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고, 환자의 방문진료 후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는 각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와 연결되어 의료기관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증상에 대한 "예/아니오"의 간단한 질문으로 이루어진 지능형 문진구조와 표준화된 증상입력을 돕는 자동완성기능을 통해 검색의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여주어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또는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진료 예약 요청시 편리한 원스텝 예약을 위해 기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환자가 정한 방문시간과 함께 의료기관에 전달해주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환자의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2차원 바코드 형태 혹은 문서 형태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 직접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부터 방문진료 예약접수 확인통보가 전송되거나,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부터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리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의학백과 및 건강상식 검색서비스와, 저장된 환자의 증상 및 개인정보와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토대로 성장단계 정보와, 기 설정된 예방접종정보를 제공을 포함한 평생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8. 사용자가 몸에 이상 징후를 느끼면 고객 단말기로 제공되는 통합의료시스템서버의 지능형 문진구조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지능형문진구조를 통해 도출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된 주증상 정보 및 개인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방문진료 예약시각을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전송하여 방문진료를 예약하는 단계;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예약요청을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예약을 완료하고 나서, 상기 의료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예약접수를 확인받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
    환자의 방문진료가 완료된 후, 의료기관의 의료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전자처방전 및 진료내역을 포함하는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전송된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열람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약국이나 제3기관의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하여 활용하거나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거쳐 상기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관리서버에 의료증명서 발급을 요청함으로서, 사용자가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필요한 의료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능형 문진구조나 자동완성 기능을 통해 필요한 의료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지능형 문진구조를 통해 증상에 대한 "예/아니오"의 간단한 질문을 거쳐 관련 질병군을 보여주거나 자동완성 기능으로 표준화된 증상명을 입력하여 검색의 정확도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의료기관을 검색하여 방문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단계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지정한 위치를 중심으로 검색, 특정병원을 검색 또는 단골병원을 검색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의료기관을 검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방문진료 예약시각을 통합의료시스템서버로 전송하여 방문진료를 예약하는 단계는,
    편리한 원스텝 예약을 위해 기 입력된 환자의 개인정보와 주증상 정보를 환자가 정한 방문시간과 함께 의료기관에 전달해주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환자의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2차원 바코드 형태 혹은 문서 형태로 상기 고객 단말기로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접수 확인을 상기 고객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 또는 상기 통합의료시스템서버를 통해 개인전자의무기록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는,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방법.
KR1020110096769A 2011-09-26 2011-09-26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69A KR101142568B1 (ko) 2011-09-26 2011-09-26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769A KR101142568B1 (ko) 2011-09-26 2011-09-26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568B1 true KR101142568B1 (ko) 2012-05-08

Family

ID=4627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769A KR101142568B1 (ko) 2011-09-26 2011-09-26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68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83B1 (ko)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60147753A (ko) * 2014-03-21 2016-12-23 레오나르드 진스버그 메디컬 서비스 추적 시스템 및 방법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18100B1 (ko) * 2015-04-14 2018-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20190102794A (ko) * 2018-02-27 2019-09-04 한국광기술원 진단결과 공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8674B1 (ko) * 2018-09-05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단말을 이용한 진료 예약, 접수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057760B1 (ko) * 2017-07-20 2019-12-18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6162A (ko) * 2018-10-16 2020-05-07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00066868A (ko) 2018-12-03 2020-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에 기반한 문진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CN111462891A (zh) * 2019-01-18 2020-07-28 上海世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妇幼智能辅助医疗健康系统及服务方法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WO2022039581A1 (ko) * 2020-08-21 2022-02-24 박용남 대규모 감염 질환의 비대면 선별 진료에 관한 개인의료기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7284A (ko) * 2020-11-17 2022-05-24 (주)미린트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1837334B2 (en) 2019-08-29 2023-12-05 Shrpro, Llc Whole-life, medication management, and ordering display system
WO2024101939A1 (ko) * 2022-11-10 2024-05-16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병원 고객 관계 관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325A (ja) * 2001-07-19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医療機関の予約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30036987A (ko) * 2001-11-01 2003-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70048816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캐시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325A (ja) * 2001-07-19 2003-01-31 Sanyo Electric Co Ltd 医療機関の予約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30036987A (ko) * 2001-11-01 2003-05-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70048816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캐시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전자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383B1 (ko) 2012-05-21 2014-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건강정보에 기반한 병원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60147753A (ko) * 2014-03-21 2016-12-23 레오나르드 진스버그 메디컬 서비스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498B1 (ko) 2014-03-21 2022-08-18 레오나르드 진스버그 메디컬 서비스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818100B1 (ko) * 2015-04-14 2018-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서비스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104873A1 (ko) * 2015-12-18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102194125B1 (ko) * 2017-07-11 2020-12-22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102057760B1 (ko) * 2017-07-20 2019-12-18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3863B1 (ko) * 2018-02-27 2020-05-29 한국광기술원 진단결과 공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02794A (ko) * 2018-02-27 2019-09-04 한국광기술원 진단결과 공유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28674B1 (ko) * 2018-09-05 2019-11-05 주식회사 케어랩스 단말을 이용한 진료 예약, 접수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102218752B1 (ko) * 2018-10-16 2021-02-23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00046162A (ko) * 2018-10-16 2020-05-07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KR20200066868A (ko) 2018-12-03 2020-06-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챗봇에 기반한 문진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CN111462891A (zh) * 2019-01-18 2020-07-28 上海世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妇幼智能辅助医疗健康系统及服务方法
US11837334B2 (en) 2019-08-29 2023-12-05 Shrpro, Llc Whole-life, medication management, and ordering display system
KR20210052939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2021005294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WO2022039581A1 (ko) * 2020-08-21 2022-02-24 박용남 대규모 감염 질환의 비대면 선별 진료에 관한 개인의료기록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7284A (ko) * 2020-11-17 2022-05-24 (주)미린트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2107902A1 (ko) * 2020-11-17 2022-05-27 (주)미린트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548726B1 (ko) * 2020-11-17 2023-06-28 (주)미린트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4101939A1 (ko) * 2022-11-10 2024-05-16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병원 고객 관계 관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568B1 (ko)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613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patriation of a patient from an out-of-network admitting hospital to an in-network destination hospital
Odendaal et al. Health work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mHealth technologies to deliver primary healthcare services: a qualitative evidence synthesis
US20200243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on-call data for health care locations and physicians
KR102122591B1 (ko) 질환 기반의 노인 돌봄 토탈 서비스 제공장치
CA278227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estination-based care services model
US20120010904A1 (en) Method for reverse physician - patient matching for in-person health care services and tele-consultations
US20100205005A1 (en) Patient orien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190392922A1 (en) Perioperative Education and Engagement of Surgical Patients
CN104820903A (zh) 一种医疗随访日程移动化管理方法及其管理系统
Barbour et al. Telehealth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delivering efficient and sustainable long-term care
US20100324922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ime spent for healthcare
JP2017079065A (ja) 医療機関マッチングシステム
Alepis et al. M-health: supporting automated diagnosis and electonic health records
WO2016156975A1 (en) Elder care assessment and interactive case management system
Kumar et al. A proposal of smart hospital management using hybrid cloud, IoT, ML, and AI
JP2016071569A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Hollingsworth Is There a Doctor in the House: How Dismantling Barriers to Telemedicine Practice Can Improve Healthcare Access for Rural Residents
KR20160011033A (ko) 통합 의료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052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Healthcare and Human Services
JP6819979B1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alston et al. Sexual history and contraception documentation in hospitalized adolescents: are technology-dependent patients overlooked?
KR100811311B1 (ko) 병의원 진료예약 및 방문예약 시스템
JP2002056104A (ja) オンラインを利用した医療データベース登録・検索・管理システム
JP2002123610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ライフサポー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