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010A -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010A
KR20050101010A KR1020040026271A KR20040026271A KR20050101010A KR 20050101010 A KR20050101010 A KR 20050101010A KR 1020040026271 A KR1020040026271 A KR 1020040026271A KR 20040026271 A KR20040026271 A KR 20040026271A KR 20050101010 A KR20050101010 A KR 2005010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ustomer
medical
treat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028B1 (ko
Inventor
이노범
Original Assignee
이노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범 filed Critical 이노범
Priority to KR102004002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02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0Metal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병원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고객등록, 예약, 접수, 진료, 진료사진, 수납, 처방전, 영수증 발행 등의 진료관련업무와 진료관련 업무를 행하는 직원(의사, 간호사, 일반 사무직 직원 등)에게서 발생되는 보험, 회계, 자금, 인사, 고객관리, 통계관리 등의 관리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넷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개인유저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개인유저가 원하는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개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유저 컴퓨터와, 상기 개인유저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지 않고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통신 단말기(유선전화, 이동통신 단말기 포함)와, 상기 인터넷망 또는 개인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망(유선전화, 이동통신망을 포함)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번호 또는 씨아이디(CID: Caller id)에 따라 데이터를 상담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인가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통해 인가된 전화와 인터넷망을 거쳐 접속하는 개인유저의 치과병원 진료기록과 개인유저의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들의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하는 각각의 원장실, 접수실, 촬영실, 진료실, 자료실, 원무과 등과 연결된 사내유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객이 병원에 내방하거나 또는 전화를 통해 상담할 하고자 하는 경우 그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바로 디스플레이 하여 고객에 대한 사항을 확인하고, 고객의 사항을 확인하면서 이루어지는 진료상담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면서 상담하므로 추후에 다시 고객이 내방하더라도 전에 내방한 기록이 남아 있어 바로 어떤 곳을 치료해야 하는 지에 대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A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clinic and the way thereof}
본 발명은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치과병원에서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고객등록, 예약, 접수, 진료, 진료사진, 수납, 처방전, 영수증 발행 등의 진료관련업무와 진료관련 업무를 행하는 직원(의사, 간호사, 일반 사무직 직원 등)에게서 발생되는 보험, 회계, 자금, 인사, 고객관리, 통계관리 등의 관리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치과 관련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이 한가지 업무만 집중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의료보험 청구만 있는 경우, 환자관리만 있는 경우, 예약관리라는 제목아래 단순히 SMS 문자 메시지만 발송하는 경우, 회계관리만 하는 경우, X-Ray 관리만 전문으로 하는 경우, 이렇게 예를 언급한 하나의 업무만을 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편적인 프로그램의 사용으로는 모든 것이 디지털화되어 가면서 급변하는 현재 추세에 신속하게 대응이 안되고, 병원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원장 입장에서는 병원상태를 한 눈에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등록, 예약 접수, 진료 진료사진, 수납 처방전 및 영수증 발행 등 진료관련업무와 보험청구, 회계관리, 자금관리, 인사관리, 고객관리, 통계관리 등 관리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치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전, 사후 고객 서비스로 고개만족을 최대화하고, 체계적인 관리로 업무를 간소화함으로써 병원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있도록 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씨아이디(CID: Caller ID)를 이용하여 고객으로부터 전화가 오면 자동으로 고객정보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SMS와 e-mail을 통하여 사전, 사후 고객 서비스로 고객만족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예약 미결을 최소화함으로써 병원의 운영상태를 향상하고, 고객정보, 진료내역, 진료사진, 인사 회계 자금내역 등 병원의 모든 자료를 보관할 수 있어 향후 디지털 관리가 가능하고, 랜(Lan)을 통한 네트워크 구성으로 사용자간 언제든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업무능률을 향상시키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개인유저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개인유저가 원하는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개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유저 컴퓨터와, 상기 개인유저 컴퓨터를 통해 접속하지 않고 일반 유선전화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통신단말기(유선전화, 이동통신 단말기(셀룰러폰, PCS폰) 포함)와, 상기 인터넷망 또는 개인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망(유선전화, 이동통신망을 포함)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번호 또는 씨아이디(CID: Caller id)에 따라 데이터를 상담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인가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를 통해 인가된 전화와 인터넷망을 거쳐 접속하는 개인유저의 치과병원 진료기록과 개인유저의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들의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하는 각각의 원장실, 접수실, 촬영실, 진료실, 자료실, 원무과 등과 연결된 사내유저(원장, 의사, 직원 등)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접속된 개인유저로부터 상담문의가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전화를 통해 접속된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것인지를 파악하여 전화를 통해 접속하였을 경우 그 전화의 씨아이디(CID: Caller ID)를 파악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씨아이디가 추출되지 않으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1, 제2단계(S10, S20)를 통해 인가되는 개인유저의 전화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S30)를 통해 회원이면 신규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0); 상기 개인유저가 신규회원이 아니고 기존 고객이면 고객D/B에 고객D/B와, 예약D/B와, 진료D/B와 연동하여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S50); 상기 개인유저로부터 걸려온 전화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의 데이터를 최초 상담을 하는 직원의 컴퓨터에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6단계(S60); 상기 전화 상담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담하는 직원을 통해 상담하는 개인유저가 의료상담인지 아니면 일반 개인적인 접속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인계할 수 있도록 판단하는 제7단계(S70);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의료상담이 아닌 일반 개인적인 전화 또는 접속이면 그에 상응하는 담당에게 연결하는 제8단계(S80);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판단된 전호 또는 인터넷 접속이 의료상담이면 해당의사에게 전화 또는 인터넷 상담이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제5단계와 제6단계를 통해 전화 또는 인터넷 접속한 개인유저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제9단계(S90); 상기 제9단계(S90)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10단계(S100); 상기 10단계를 통해 담당의사에게 인턴페이스 된 데이터를 담당의사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의료상담을 진행하고, 의료상담 중 발생되는 사항에 대하여 담당의사가 직접 개인유저의 데이터에 기록하여 차후 병원에 내방하였을 때 그 기록을 살펴 바로 진료가 행하여질 수 있도록 상담기록을 저장하는 제11단계(S110); 상기 제11단계(S110)를 통해 상담내용을 기록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서버에서는 계속적으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담당의사와 상담 중인지를 전화와 인터넷의 TCP/IP를 추적하여 접속된 게이트가 계속적으로 오픈상태인지를 파악하여 접속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12단계(S120); 상기 제12단계에서 상담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담내용을 계속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구조창을 계속적으로 오픈 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담이 끝나면 간호사 또는 원무과에서 근무하는 직원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담한 개인유저가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예약날짜 및 시간이 기록되어 예약을 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3단계(S130); 상기 상담이 끝나고, 예약을 마친 상태에서 고객D/B에 기록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데이터에 업데이트를 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고객D/B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14단계(S140); 상기 제13단계(S130)를 통해 개인유저가 치과진료를 받기 위하여 예약을 하였다면 그 내용이 예약D/B에 등재되어 차후 예약한 날짜에 개인유저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날짜와 시간 등의 예약현황을 등재하는 제15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병원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2s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을 통해 표현되는 구조창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개인유저(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개인유저(10)가 원하는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개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컴퓨터(11)와, 상기 개인컴퓨터(11)를 통해 접속하지 않고 일반 유선전화(12)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3)를 통해 접속하여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통신단말기(유선전화(12), 이동통신 단말기 포함)와, 상기 인터넷망 또는 개인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국(유선전화(12), 이동통신망을 포함)(20)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번호 또는 씨아이디(CID: Caller id)에 따라 데이터를 상담자의 컴퓨터에 진료기록, 예약현황, 환자의 현황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인가하는 서버(30)와, 상기 서버(30)를 통해 인가된 전화와 인터넷망을 거쳐 접속하는 개인유저(10)의 치과병원 진료기록과 개인유저(10)의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1)와, 상기 전화국(20)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10)들의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하는 각각의 원장실, 접수실, 촬영실, 진료실, 자료실, 원무과 등과 연결된 사내유저(원장, 의사, 직원 등 이하 사내유저, 원장, 의사, 직원 등으로 표현함)(32)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치과 병원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의 이름, 주소, 나이, 성별, 유선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 일반적인 정보가 저장된 고객D/B(31a)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서버(30)에서 업데이트가 되도록 예약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약D/B(31b)와, 상기 고객D/B(31a)에 저장된 개인유저(10)의 아이디별 또는 CID별로 저장된 개인정보와 연동되어 개인유저(10)의 진료내역(보철, 교정, 치주, 임플란트, 스케일링, 충치치료 등), 진료사진, 상담내용 등 진료에 관계된 다양한 내용이 저장된 진료D/B(31c)와, 상기 고객D/B(31a)와 진료D/B(31c)와 연동하여 고객이 진료상담을 통해 치료에 대한 예비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치료에 따른 예비수가가 저장되어 있고, 이를 연산에 의해 치료시 어는 정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지를 미리 산정하며, 산정 된 비용에 대하여 고객이 대비할 수 있도록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갖는 견적D/B(31d)와, 상기 고객D/B(31a)와 연동하여 고객의 생일, 결혼기념일 등과 같이 그 고객의 일반정보에 수록된 기념일과 예약D/B(31b)와 연동하여 치과 치료와 연관된 상담날짜, 치료날짜 등에 대하여 고객이 이를 잊어버리지 않고 제때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SMS서버를 통해 SMS문자를 통해 알려주는 발송D/B(31e)와, 상기 고객D/B(31a)와 진료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일자(익월 초)가 되면 서버(30)에서 전월 자료를 파악한 상태에서 환자내역과 진료내역 및 진료비내역에 대한 자료를 리스트 화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청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가 저장되는 보험D/B(31f)와, 상기 치과병원에서 발생되는 비용에 대하여 지출과 수입으로 구분을 지어 매일 발생되는 지출과 수입을 볼 수 있도록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고, 이를 제목별, 날짜별, 월별에 대한 통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치과 병원에서 발생되는 자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회계D/B(31g)와,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 진료D/B(31c), 발송D/B(31e), 보험D/B(31f), 회계D/B(31g)를 통해 예약률, 예약에 따른 진료률, 견적 대비 고객이 치료를 하는 통계, SMS관리서버(33)를 통해 SMS발송의 이후의 진료건수의 비교 등 치과병원에서 발생되는 모든 통계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통계D/B(31h)(31h)와, 상기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인사에 대한 자료를 일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원번호, 사원명, 직위, 생일, 주민번호, 전화번호, 핸드폰, 주소 현재 근무처 등 직원의 전반적인 데이터를 갖는 인사D/B(31i)와, 치과병원의 전반적인 운영 및 그에 대한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대표(원장 등)를 포함하고, 대표가 인정한 몇 사람만이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설정(보험수가의 조정, 직원급여인상, 직원의 근무상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D/B에서 필요로 하는 처방전약품, 기본수가, 초, 재진수가, 행위수가, 재료수가, 약품수가, 비보험수가, 상병코드, 묶음 코드, 메시지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설정D/B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망, 유선전화(12), 이동통신전화를 통해 서버(30)와 접속하면, 접속한 개인유저(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씨아이디에 의한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31)에서 접속한 개인유저(10)의 고객D/B(31a)와, 예약D/B(31b)와, 진료D/B(31c)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주치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로밍하여 개인유저(10)의 진료기록, 치료상태, 예약상황, 진료사진 등의 대한 모든 자료를 보면서 상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인가하여 구조창을 통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상기 서버(30)에서는 각각의 D/B와 연동하여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서버(30)는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컴퓨터와 랜(Lan)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 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전화 중 혹은 자료검색 중에 해당 고객의 정보와 메시지 내용을 보내고자 하는 직원에게 발송하여 이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여 병원업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30)에서는 예약D/B(31b)와 연동하여 병원의 전체적인 스케줄에 따라 예약상황판이 자동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에 상황판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이를 통해 일일, 주간, 월간, 예약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진료D/B(31c)는 진료내역, 진료내역SUM, 사진정보, 접수정보, 상세내역(행위에 대한 것), 처방전 내역으로 제공한다.
상기 견적D/B(31d)는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며, 상기 발송정보는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와 연동하여 SMS관리서버(33)를 통해 SMS문자가 발송될 수 있도록 SMS대상자 정보를 서버(30)로부터 인터페이스 되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보험D/B(31f)는 상기 고객D/B(31a), 진료D/B(31c), 견적D/B(31d), 등과 연계하고, 보험신고 키파일(Key File), 신고내역 SUM File, 심사청구서, 명세서일반내역, 상병내역, 진료내역, 메모내역 등의 서버(30)로부터 인터페이스 하여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사D/B(31i)는 인사 기본사항(직원의 기본 정보), 학력사항, 가족정보, 급여지급내역, 전 근무처에 대한 이력사항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직원의 근태에 따란 상벌, 근무연수에 따른 연봉책정, 직원책정 등을 할 수 있도록 변동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만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환경설정D/B(31j)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 진료D/B(31c), 견적D/B(31d), 발송D/B(31e), 보험D/B(31f), 회계D/B(31g), 통계D/B(31h)(31h), 인사D/B(31i)와 연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D/B의 기초자료가 저장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병원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적용하도록 하여 빠른 업무가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D/B를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원장, 의사, 직원 등)가 편리하게 수정, 첨가, 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구조창으로 표시되는데 상기 각각의 구조창 구조는 하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예약D/B(31b)는 일일, 주간, 월별에 대한 예약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창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일은 선택한 날짜의 오전과 오후에 대한 스케줄을 표시하고, 주간의 경우에는 진료하는 날짜와 동일한 현황용 창이 오픈 되어 하루의 예약현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제1구조창(40)이 형성된다.
상기 예약D/B(31b)는 상기 일일, 주간, 월별 중에서 주치의 또는 병원의 직원이 예약자를 선택하면, 그 예약자의 일반정보와 차트번호, 예약시간, 담당의사, 치료구분, 예약한 날짜와 일측에는 예약날짜에 근무시간이 설정된 의사의 이름과 시간이 표시되며, 하단부에는 예약자의 진료내역을 기록한 제2구조창(41)이 형성된다.
상기 고객D/B(31a)는 담당 주의치 또는 그 외의 의사가 신규고객에 대한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신규고객등록일자, 고객명, 차트번호, 생년월일, 담당의사, 치료구분, 고객구분 등에 대한 자료를 일률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3구조창(42)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넷망, 유선, 무선 전화를 통해 치과병원의 서버(30) 또는 전화와 연결되어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CID를 확인 및 병원에 내방한 고객을 치과병원 직원이 고객의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고객명, 주민번호, 생년월일, 핸드폰, 담당의사, 주 치료상태, 장애구분, 처음 내원, 최종 내원, 차트 번호, 고객구분, SMS발송구분, 수신상태, 환자구분, 의료보험정보(피보험자, 조합기호, 증번호, 조합명), 자택주소, 사무실주소, 및 특기사항이 입력되면 서버(30)에서는 고객D/B(31a)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4구조창(43)에 표시된다.
상기 고객D/B(31a)는 인터넷망, 유선, 무선 전화를 통해 치과병원의 서버(30) 또는 전화와 연결되어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CID를 확인한 상태에서 고객D/B(31a)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CID를 갖는 회원의 정보를 오픈하고, 오픈된 창에서 고개의 사진을 포함한 기본정보, 진료내역, 예약내역, 견적내역, 사진내역 등을 순차적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오픈하여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에는 CID의 연결상태와 현재 연결중인 고객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시간이 표시되는 제5구조창(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료D/B(31c)는 행위묶음, 묶음내역관리, 처방전약품등록을 선택할 수 있는 목차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목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목차에 대한 내용이 일측에 묶음 형태로 표기되고, 상기 묶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그 묶음의 내용이 일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6구조창(45)이 형성된다.
상기 진료D/B(31c)에서 주치의 또는 병원 직원이 고객의 이름 또는 차트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30)에서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와 연동하여 고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료내역, 사진등록, 처방전발행, 접수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때 표시되는 것은 주치의와 상담할 시에 그 내용이 기재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의 치료 등에 관계되는 내용과 주치의가 직접 어느 치아를 진료하였는지 고객과의 상담한 내용에 대하여 기재하는 기재란이 포함된 진료내역등록란이 표시되고, 상기 등록란에는 진료일자, 담당의사, 핸드폰, 나이 차트번호, 환자구분, 치료구분, 진료구분, 보험총액, 본인부담금, 비급여액, 비보험료, 본인부담액과 상담한 다른 고객의 이름이 일측에 표시하여 주치의가 필요시 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제7구조창(46)이 표시된다.
상기 견적D/B(31d)는 주치의가 고객과 상담 중에 특정 진료과목에서 금액의 비중이 높을 경우 이를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모되는 지를 파악하도록 하여 그 치료를 행할 것인지 아니면 다음 기회에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주치의 또는 병원직원이 치료비에 대한 견적을 미리 알아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치료비의 견적을 산출할 시에 그 치료에 대하여 행할 시에 이를 서버(30)를 통해 견적D/B(31d)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고객D/B(31a)와 연계하여 고객명, 차트번호, 관리번호, 견적일시, 담당의사, 치료기간, 치료구분, 총금액, 할인금액, 계약금액 및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는 란이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제9구조창(4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견적D/B(31d)는 상기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고객이 치료비용을 지급할 수 있도록 치료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치료금액을 산출할 시에 보험급여(진찰료, 투약 및 주사료, 방사선료, 검사료, 처치 및 수술료, 기타), 비 보험급여, 기타잔액 고객부담금, 본인부담액, 진료과목, 진료금액, 미수금액, 수납금액, 현금 또는 카드에 따른 입금금액 및 현재의 미수금액과 접수자료가 디스플레이 되어 고객이 치료비에 대하여 입금할 수 있도록 제10구조창(49)이 형성된다.
상기 발송D/B(31e)는 상기 고객D/B(31a)와 연동하여 서버(30)에서는 고객명, 핸드폰, 이메일, 차트번호, 발송유형, 발송구분 및 발송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창과 발송대상자가 표시되는 창이 일체로 형성되어 관리자, 주치의 및 병원직원 등이 SMS관리서버(33)를 통해 SMS문자를 발송할 시에 발송대상자를 발송유형(생일, 결혼, 진료 등)에 따라 발송대상자가 정리되어 통합적으로 단문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11구조창(50)을 표시한다.
상기 보험D/B(31f)는 주치의 또는 병원의 직원이 요청하는 신호가 서버(30)에 인가되면, 상기 서버(30)에서는 상기 고객D/B(31a), 진료D/B(31c)와 연동하여 보험청구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종류, 총진료비, 청구액, 본인부담금, 건수, 건당진료비, 차등수가사항(총진료건수, 원근무일수, 의사수, 일평균진료환자수, 차등치수), 청구자료작성 선택, 용양기관명칭, 용양기관기호, 보험자종별, 진료실, 파일명, 파일일련번호를 파악한 후에 이를 자동으로 의료보험공단에 신호하여 이를 심사 후에 해당비용을 받을 수 있도록 제13구조창(52)을 표시한다.
상기 회계D/B(31g)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회계자료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버(30)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서버(30)에서는 고객D/B(31a), 진료D/B(31c), 보험D/B(31f)와 연동하여 병원의 총수입, 총지출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처리일자, 관리번호, 계정과목, 계정과목명, 구분, 적요, 수량, 단가, 금액, 거래처 순으로 표시되고, 그 상방향으로 계정과목, 적요, 수량, 단가, 금액, 거래처, 입금구분, 미수입금액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란이 형성되며, 란의 하방향으로 현금입금, 차트번호, 카드입금, 월비해당월, 카드구분, 치료구분, 비고를 입력하는 란이 형성되고, 란의 일측에는 일계보기를 하여 입급합계, 출금합계, 현금입금과 카드입금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입출금정보등록과 미수금이 어느 고객에 어는 정도 발생하여는지 총미수금금액, 일별 미수금액, 월별미수금액, 주별미수금액이 표시되는 미수금현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4구조창(53)이 형성된다.
상기 회계D/B(31g)는 자금관리, 자금현황, 월 자금현황, 매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표시하여 원장이 현재 병원의 재정상태가 적자인지 아니면 흑자 운영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직원의 월급날, 약품대금지급, 임대료 등과 같이 지급액이 큰 것을 지급하는 날짜에 맞춰 자금이 유통되도록 자금현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5구조창(54)이 표시된다.
상기 인사D/B(31i)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 할 수 있는 직원이 서버(30)에 인사관리 데이터를 오픈하기 위하여 신호를 인가하면, 서버(30)에서는 인사D/B(31i)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창에 인사기본사항, 경력사항, 학력사항, 가족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6구조창(55)이 형성된다.
상기 인사D/B(31i)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할 수 있는 직원이 직원들의 급여내역 급여지급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서버(30)에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서버(30)에서는 인사관리데이터와 회계관리D/B와 연동하여 각각의 직원에 지급한 월급과 월급에 대한 세부사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17구조창(56)을 통해 표시된다.
상기 환경설정D/B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할 수 있는 직원이 서버(30)의 병원에서 발생되는 진료, 수입, 지출, 인사, 회계, SMS관리 등을 설정하여 이를 통해 각각의 의사, 직원들이 상담 등을 할 시에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각각의 D/B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고, 서버(30)에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프로그램, 사용자업무, 서버(30)의 데이터를 오픈하기 위한 비밀번호, 병원기존정보 등을 수록 및 변경 할 수 있도록 제18구조창(57)이 표시된다.
상기 환경설정D/B(30j)는 상담, 치료 등에 통해 발생되는 병명 및 그 병명에 따라 치료하기 위한 치료비용(수가), 병원에 내방한 고객 및 전화를 통해 상담하는 고객이 초진인지 아니면 재진에 따른 수가, 행위(치아 치료 등) 수가, 치료에 따른 재료의 수가, 치료에 따른 약품 수가, 비급여 수가 등에 대한 자료가 보관되고, 이는 서버(30)에 저장된 각각의 D/B에 제공되어 의사 또는 직원이 고객과의 상담시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가를 조정하는 제 19구조창을 형성한다.
상기 진료D/B(31c)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제7구조창(46)의 소정위치에는 주치의 상담하면서 고객의 치아 중 어느 치아를 치료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치아모양이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7구조창(46)을 오픈 한 상태에서 고객에게 필요한 진료과목이 어는 과목이며, 그 과목에서 어떠한 치료를 할 것인가를 주치의가 선택할 시에 별도의 팝업창이 오픈되어 진료과목, 진료에 대한 추가사항 등에 대한 내용이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상기 제7구조창(46)에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제8구조창(47)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 또는 전화를 통해 병원의 직원 또는 담당의사와 상담을 하는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면, 서버(30)에 접속된 개인유저(10)로부터 상담문의가 들어오면 서버(30)에서는 전화를 통해 접속된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것인지를 파악하여 전화를 통해 접속하였을 경우 그 전화의 씨아이디(CID: Caller ID)를 파악하는 제1단계(S10)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씨아이디가 추출되지 않으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0)와, 상기 제1, 제2단계(S10, S20)를 통해 인가되는 개인유저(10)의 전화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10)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제3단계(S30)와, 상기 제3단계(S30)를 통해 회원이면 신규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0)와, 상기 개인유저(10)가 신규회원이 아니고 기존 고객이면 고객D/B(31a)에 고객D/B(31a)와, 예약D/B(31b)와, 진료D/B(31c)와 연동하여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S50)와, 상기 개인유저(10)로부터 걸려온 전화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최초 상담을 하는 직원의 컴퓨터에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6단계(S60)와, 상기 전화 상담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담하는 직원을 통해 상담하는 개인유저(10)가 의료상담인지 아니면 일반 개인적인 접속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인계할 수 있도록 판단하는 제7단계(S70)와,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의료상담이 아닌 일반 개인적인 전화 또는 접속이면 그에 상응하는 담당에게 연결하는 제8단계(S80)와,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판단된 전호 또는 인터넷 접속이 의료상담이면 해당의사에게 전화 또는 인터넷 상담이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제5단계와 제6단계를 통해 전화 또는 인터넷 접속한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제9단계(S90)와, 상기 제9단계(S90)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10단계(S100)와, 상기 10단계를 통해 담당의사에게 인터페이스 된 데이터를 담당의사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의료상담을 진행하고, 의료상담 중 발생되는 사항에 대하여 담당의사가 직접 개인유저(10)의 데이터에 기록하여 차후 병원에 내방하였을 때 그 기록을 살펴 바로 진료가 행하여질 수 있도록 상담기록을 저장하는 제11단계(S110)와, 상기 제11단계(S110)을 통해 상담내용을 기록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서버(30)에서는 계속적으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담당의사와 상담 중인지를 전화CIP와 인터넷의 TCP/IP를 추적하여 접속된 게이트가 계속적으로 오픈상태인지를 파악하여 접속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12단계(S120)와, 상기 제12단계(S120)에서 상담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담내용을 계속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구조창을 계속적으로 오픈 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담이 끝나면 간호사 또는 원무과에서 근무하는 직원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담한 개인유저(10)가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예약날짜 및 시간이 기록되어 예약을 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3단계(S130)와, 상기 상담이 끝나고, 예약을 마친 상태에서 고객D/B(31a)에 기록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데이터에 업데이트를 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고객D/B(31a)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14단계(S140)와, 상기 제13단계(S130)를 통해 개인유저(10)가 치과진료를 받기 위하여 예약을 하였다면 그 내용이 예약D/B(31b)에 등재되어 차후 예약한 날짜에 개인유저(10)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날짜와 시간 등의 예약현황을 등재하는 제15단계(S150)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개인유저(10)와 담당의사(주치의)가 상담하고, 그 상담에 의해 치과 진료를 받기 위하여 예약을 하였다면 고객D/B(31a)와 예약D/B(31b)F와 연동하여 서버(30)는 개인유전의 이동통신 단말기(13)를 통해 SMS문자를 통보하여 예약한 날짜에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개인유저(10) 또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데이터를 각각 고객D/B(31a)와 시스템설정D/B에 저장하여 병원에서 변동사항이 발생하였을 시에 그에 해당하는 구조창이 오픈되어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해당 데이터를 열람하여 변동사항을 기록, 저장한다.
상기 개인유저(1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고객정보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서버(30)에서는 개인유전의 전화 씨아이디를 추적하여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최초 상담자와 담당의사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씨아이디를 통해 고객의 정보가 최초 상담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되고, 걸려온 전화를 담당의사에게 인터페이스 하면 최초 상담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담당의사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최초상담자가 담당의사에게 전화를 인터페이스 하면 랜을 통해 사용자간 메시지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유저(10)가 물어오는 질문에 대하여 바로 대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양방향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개인유저(10)와 상담하는 최초 상담자와 담당의사 중에서 원장이 지정한 사람 외에는 관리업무 데이터가 수록된 보험청구, 회계, 통계, 인사, 환경설정에 대한 D/B를 열람할 수 없고, 원장이 지정한 직원 및 담당의사 만이 한정적으로 각각의 D/B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버(30)는 고객D/B(31a), 예약D/B(31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일, 결혼기념일, 진료날짜, 진료시간 등을 발송D/B를 통해 SMS관리서버(33)에 의해 SMS문자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3)에 인가하여 특정일에 대하여 개인유저(10)가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발송된 데이터를 발송D/B(31e)에 저장한다.
상기 서버(30)는 미리 등록된 전체휴진, 오전휴진, 오후휴진 등 병원스케줄에 따라 예약상황판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치과병원의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객이 유전전화, 이동통신 단말기(13) 또는 개인컴퓨터(11)를 이용하여 치과상담이나 예약을 하기 위하여 접속하면, 서버(30)에서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였는지 아니면 전화를 통해 접속하였는지를 파악한다.
상기 고객이 이동통신 단말기(13) 또는 유선전화(12)를 이용하여 상담을 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30)에서는 고객의 전화번호를 토대로 하여 CID를 추적한다.
상기 CID는 고객D/B(31a)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지를 파악하여 기존의 고객이지 아니면 새로운 고객인지를 파악하여 최초 상담자에게 고객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구조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구조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데이터는 최초 상담자의 컴퓨터에 오픈되는데, 이때 최초 상담자가 어는 위치에 있는지는 구내 내선 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그에 해당하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오픈 한다.
상기 사내 유저인 최초 상담자에게 데이터가 오픈되면, 상담자는 고객과 통화를 하면서 담당 주치의를 바꾸어 줄기 아니면 상담전화가 아닌 개인적인 용무에 의해 전화가 걸려온 것인지를 파악한 상태에서 일반적인 용무에 의한 것이면 그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전화를 돌려주고, 이때 고객D/B(31a)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된 구조창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해당 담당자에게 전화를 연결하여 주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시에는 바로 전화를 연결하여 된다.
그리고 고객이 상담 또는 예약의 변경 및 새로운 예약을 하고자 전화를 하는 경우, 상담의 경우에는 담당 주치의가 진료시간인지 아니지를 체크한 상태에서 현재 주치의가 진료중인지 아니면 진료중이 아닌지를 파악하여 고객과 통화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준다.
이때 최초 상담자에게 표시된 데이터를 담당주치의에게 인터페이스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것은, 최초 상담자가 구조창을 통해 주치의를 선태하고, 선택된 주치의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서버(30)에서는 현재 표시된 데이터를 선택된 주치의 쪽으로 인터페이스 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데이터를 주치의 컴퓨터에 인터페이스하며, 이때에는 최초 상담자와 주치의 컴퓨터에 전화를 건 고객의 정보가 제5구조창(44)을 통해 오픈된다.
상기 제5구조창(44)을 통해 오픈 된 데이터에 의해 주치의는 고객이 어는 정도 치과치료를 하였는지 그리고 전화를 걸기 전에 내방하여 어떠한 치료를 하였는지, 전화를 걸기 전에 병원에 내방하지는 않고 전화상담 만을 하였다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상담하였는지를 먼저 파악한다.
상기 고객D/B(31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전화상담자의 치과 진료 및 상담기록을 체크한 상태에서 주치의는 전화를 건 상담자와 전화통화를 하면서 고객에게 필요한 사항에 대한 내용을 제5구조창(44)을 통해 상담을 진행하고 진행되는 상담내용 중에서 중요한 사항을 비고란에 기재하여 다른 사람이 보더라도 현재 고객은 치료, 보철 등 어는 쪽으로 치료를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화진료 중에 고객의 치아 중에서 어느 치아를 치료하여야 하는지 그리고 예전에 치료한 치아 중에서 어느 것이 안 좋아 졌는지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기 위해서는 제7구조창(46)을 오픈한 상태에서 치아를 선택한다.
상기 제7구조창(46)을 통해 치아를 선택하면, 선택된 치아가 어느 종류이고, 그 종류에 따라 어떤 치료를 할 것인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의 창(제8구조창(47))이 오픈되어 선택된 치아의 데이터를 입력 완료하면, 별도의 창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7구조창(46)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표시된다.
상기 고객과 전화상담을 하면서 데이터 입력을 한 내용은 진료D/B(31c)에 저장하고, 추후에 고객이 병원에 내방하였다면 내방하기 전에 어떠한 내용을 상담하였는지 진료D/B(31c)를 의해 제7구조창(46)을 통해 상담내용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이 전화상담을 하고 병원에 내방하여 진료를 하기를 원할 경우 고객의 시간이 어느 시간대에 좋은지를 먼저 파악한 상태에서 담당주치의 또는 전문의의 시간을 알아보고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예약을 할 수 있도록 진행하는데, 이때 제1구조창(40)을 통해 고객이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선택한 날짜를 포함하여 그 주에 다른 날짜의 예약현황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고객이 원하는 날짜를 선택한 상태에서 그 날짜가 포함된 그 주의 날짜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은 고객이 원하는 날짜에 예약아 꽉 찬 상태이면 다른 날짜를 권유하여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날짜에 시간이 비워있을 경우에 그 날짜를 선택하면, 제2구조창(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날짜에 해당한 예약날짜에 예약을 할 수 있도록 란이 표시되고, 그와 동시에 예약에 대한 내용을 기재할 수 있는 란이 표시된 일측에 그 날 근무하는 의사의 이름과 시간이 표시되어 고객이 원하는 날짜와 원하는 시간에 어는 고객이 예약을 한다는 내용을 입력하여 예약에 대한 사항을 기재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이 기존 고객인지 아니면 신규고객인지에 대해 예약하는 것에 대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기존의 고객일 경우에는 고객이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맞춰 예약을 진행하나 신규고객일 경우에는 전화로 예약하는 고객인지 아니면 병원에 내방하여 예약을 하는 고객에 따라 구분되어 진다.
먼저 신규고객 중에서 예약만을 하는 경우에는 일단 예약명단에 고객의 명과 시간을 기재하여 예약상황란에 기재하고 고객의 기본 데이터를 작성하는데, 이때 작성되는 것은 고객의 이름과 예약날짜가 고객D/B(31a)에 일차적으로 저장되고, 추후 병원에 내방하였을 시에 상세한 신상명세를 작성하여 그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이 병원에 내방하여 예약을 한 경우에는 고객D/B(31a)에 예약하는 신규고객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이때 고객의 상세 내용은 제5구조창(44)에 표시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고객의 신상명세를 입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1구조창(40)과 제2구조창(41)에 표시되는 예약현황에 따라 고객의 예약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에서 예약에 대한 것을 언급한 것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고객D/B(31a)에서 상기와 같이 신규고객이 접수되면, 그 고객이 어느 날짜에 신규 접수하였는지를 고객D/B(31a)와 연동하여 서버(30)에서 제3구조창(42)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병원의 사내유저(32)(직원, 의사 및 원장 등)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객이 예약을 하고, 예약한 날짜에 병원에 내방하여 진료 상담한 후에 어느 쪽으로 진료를 할 지에 대하여 제5구조창(44)에 표시하는데, 이때 표시되는 진료항목은 미리 진료D/B(31c)에 저장된 내용에 따라 주치의가 선택하는 것만으로 바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미리 진료묶음을 통해 각각의 진료내역 및 진료에 따른 약품 등에 대한 품목을 설정하여 주치의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내용은 제6구조창(45)을 통해 표시된다.
상기 제6, 제7, 제8 구조창을 통해 고객의 진료 및 그에 해당하는 행위에 대하여 선택한 상태에서 고객의 치아를 치료하면, 비용이 어는 정도 드는 지를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이 미리 치료비에 대하여 대처하게 하는데, 이때 견적은 해당치료 과목 및 치료치아, 치료치아에 대한 행위 등에 대한 것을 선택하여 고객이 이를 바로 알 수 있도록 제9구조창(48)을 통해 표시하고, 이를 통해 비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용에 대하여 미리 견적을 산정 한 상태에서 고객이 대금을 선 지급한 상태에서 치료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 미래에 발생될 비용에 대하여 수납하고, 수납된 내용은 고객D/B(31a)에 저장하여 추후에 그 고객이 대금에 대하여 미납상태인지 아니면 완납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수납하는 것 또한 제10구조창(49)을 통해 치료비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여 고객D/B(31a)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D/B(31a)와 예약D/B(31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고객의 생일, 결혼기념일 등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소정의 날짜에 생일, 결혼기념일을 축하한다는 문자를 고객 이동통신 단말기(13)로 보내거나, 고객이 어느 날짜 어느 시간대에 예약이 되어 있으니 병원에 내방하여 치료를 받는 날이라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고객에 대하여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미리 예약에 대한 내용을 알려주어 그 날짜에 병원에 내방하지 못하고 다른 날짜로 미루는 고객을 미리 체크하여 비는 진료시간을 병원에 내방한 다른 고객을 바로 진료상담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함으로 병원에 내방한 고객이 예약고객에 의해 치료시간 및 상담시간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병원에 내방한 고객이 예약한 고객에 의해 어는 정도의 시간이 지나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한 소요시간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 내방한 일반고객이 지루하게 오래 기다리는 불편함 또한 해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MS관리서버(33)를 의해 SMS문자를 고객의 예약 및 기념일 등을 알려줌으로 고객으로부터 한 차원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에 대하여 인식을 시켜줌과 동시에 진료예약을 취소하는 경우를 사전이 미리 파악하므로 병원을 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SMS문자는 도 2k에 도시된 제11구조창(50)과 도 2l에 도시된 제12구조창(51)을 통해 문자를 서버(30)에서 자동으로 발송하고, 문자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것은 고객D/B(31a)와 예약D/B(31b)의 데이터와 연동하여 문자를 발송한다.
상기와 같이 병원에서 발생하는 진료, 치료, 수납 등에 대한 자료는 별도로 관리하는데 이는 일반 직원이나 의사가 직접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수정, 첨가 및 삭제를 금지하므로 동일한 내용을 병원전체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진료상담, 치료 등의 행위에 대하여 청구되는 수가 중에서 고객이 부담하는 비용과 의료보험관리공단에 청구하여 받는 비용이 양분되므로 이러한 양분되는 비용 중에서 의료보험공단에 청구하여 비용을 받는 품목 및 목록을 별도로 첨가, 수정, 삭제를 할 수 있도록 도 2m에 도시되 제13구조창(52)을 통해 보험자료를 관리한다.
상기 제13구조창(5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험신고자료, 보험신고자료현황, 보험청구 이 세부분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보험신고자료와 보험신고자료 현황은 의료보험공단에서 정한 특정 품목 및 행위에 대한 것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언급을 하지 않고, 상기 보험신고자료와 보험신고자료현황을 통해 보험청구하는 것을 설명하면, 각각의 고객에 따라 그 청구되는 비용은 상이하므로 각각의 고객에게서 발생되는 비용과 그 비용에 따라 의료보험공단에 청구하는 비용, 본인(고객)부담금, 발생 건수, 건당 진료비를 산출하여 이를 통해 의료보험공단에 신고할 자료를 생성하는데, 이는 의료보험공단에서 요구하는 소정의 양식을 통해 비용을 청구한다.
그리고 상기 의료보험공단에 신고한 비용에 대해서는 별도로 내역을 출고하여 신고한 내역을 서면 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였을 시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신고비용에 대한 내역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계표, 자료, 라벨, 청구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서면상으로 관리할 때 개인의 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모두 출력되고, 또한 새로이 발생된 데이터만 출력하여 서면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서면파일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한다.
또한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열람 할 수 있는 직원 중에서 병원에서 발생한 수입 및 지출에 대하여 관리를 하는데, 이때 회계는 병원전체에서 발생하는 지출, 예를 들어 건물이 자가 건물일 경우에는 건물세, 토지세 등 또는 건물을 임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임대료, 전기료, 수도세, 오물세 및 기타 잡비와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약품과 치료 도구, 직원 월급 등에 대한 지출 등 병원에서 발생되는 모든 지출내용과 병원을 통해 발생되는 모든 수입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입출금 정보와 미수금 현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도 2n에 도시된 제14구조창(53)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14구조창(53)은 일별 또는 월별로 발생되는 지출, 수입에 대한 비용을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매일 또는 매월 발생되는 비용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수금현황은 대부분이 치과 진료에서 발생되는 부분이고, 치고 진료 시 소정의 치료를 행할 때 발생되는 비용에 대하여 치료시 소정의 비용이 입금이 되어야 하는데, 소정의 비용이 입금이 되지 않은 경우에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미수금으로 발생시키고, 그 비용이 완납이 되면 그 비용에 대한 항목은 미수금 현황에서 제외된다.
상기 원장이나 병원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관리자가 회계D/B(31g)의 자금관리에 대한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데, 병원에서 발생되는 지출 중에서 불필요한 자금이 지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병원의 운영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o에 도시된 제15구조창(54)을 통해 확인한다.
상기 제15구조창(54)은 도 2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금관리, 자금현황, 월 자금현황, 매출현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중에서 자금관리를 선택하면, 일자, 입출금 구분, 계정과목, 적요, 금액, 거래처, 차트번호 및 자금관리에 대하여 열람하는 자가 일정기간을 설정하여 그 기간에서 발생된 입출금 현황을 확인할 수 있고, 일괄적으로 표시되는 내용은 예정일자, 관리번호 입출금구분, 계정과목, 계정과목명, 적요, 금액, 거래처, 거래소 등에 대한 내역이 일괄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일괄적으로 표시되는 내용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내용에 대하여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표시되어 내용에 대하여 수정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상기 자금현황, 월 자금현황, 매출현황도 상기 자금관리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 중에서 데이터를 열람하면 상기와 같이 각각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 중(사내유저(32))에서 인사D/B(31i)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데, 이때 열람하는 사항은 의사, 각각의 직원들에 대한 상벌 및 그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데이터는 병원에서 특정 인원만이 열람할 수 있고, 열람하는 데이터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환경설정D/B(31j)에 저장되는 각각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열람의 가부를 결정한다.
상기 원장과 원장이 지정한 직원(사내유저(32))중에서 특정 사원에 대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직원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와 병원에서 퇴사한 직원 및 의사의 데이터를 삭제할 시에 도 2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6구조창(55)을 통해 그에 해당되는 행위를 행한다.
이때 제16구조창(55)을 통해 표시되는 사항들은 의사 및 직원의 기본사항, 경력사항, 학력사항, 가족사항이 기재되어 있고, 상기 사항에서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열람을 하고자 제16구조창(55)의 상부에 형성된 메뉴에서 선택하면, 도 2p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되어 인사기본사항을 선택하면, 그에 대한 데이터가 오픈된다.
상기 데이터는 의사 또는 직원에 대한 내용이 오픈되는데, 이때의 데이터는 의사 또는 직원의 기본적인 사항만이 열람된다.
이때 열람되는 데이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원코드, 성명, 직원구분, 입사일, 주민번호, 생년월일, 담당체어, 퇴사일, 전화번호, 핸드폰, 내선번호, 복직일, e-mail, 컴퓨터명, 의사의 경우 면허번호, 유직일, 어드레스, 진료과, 직원구분(또는 파트타임) 관리등급, 우편번호, 주소, 번지에 대한 내용이 표시되는데, 이는 그 하단에부에 형성된 전체적인 직원의 명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포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의사 또는 직원을 선택한 상태에서 경력사항, 학력사항, 직원사항을 선택하면, 선택된 의사 또는 직원이 근무하였던 병원명, 연수 등에 대한 세부사항이 표시되고, 학력사항은 이력서에 기재된 내용이 동일하게 표시되며, 또한 가족사항도 자세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가족사항은 어머님, 아버님, 동생, 형 및 할아버님 등에 대한 내용이 자세하게 표시되어 선택된 의사 또는 직원의 가족환경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한 직원의 급여를 보고자 할 경우 도 2q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7구조창(56)을 통해 표시되는데, 이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장 또는 원장이 선택한 직원에게만 데이터가 오픈되고, 오픈된 데이터는 제17구조창(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급여내역이 표시되고, 지급된 급여의 세부항목은 급여지급현황을 선택하였을 시에 표시된다.
상기 급여내역등록을 선택하였다면 제17구조창(56)을 통해 새로이 입사한 사원이나 또는 기존의 사원의 사원코드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내역이 표시되는데, 그 내용은 기본급, 연장수당, 식대보조, 직책수당, 기타수당, 전월미지급금, 소득세, 주민세, 국민연금, 의료보험, 고용보험, 기타공제에 대한 금액이 표시되며, 이때 표시되는 내용은 지급내용과 공제내용이 선별되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조창(제1구조창(40) 내지 제17구조창(56))을 통해 표시되는 예약관리, 고객관리, 진료관리, 견적관리, 발송관리, 의료보험, 회계관리, 통계관리, 인사관리 등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각각의 구조창(재1구조창 내지 제17구조창(56))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 비교, 판단을 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에 대하여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또는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부분 삭제와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시에 프로그램 등록을 통해 서버(30)에서 운영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정리한다.
그리고 사용자 업무 등록을 제18구조창(57)을 통해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 업무 등록이 도 2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원번호, 성명, 등급, 프로그램, 사용권한, 비고 등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되고, 우측의 별도의 란에는 사원번호, 성명, 등급, 프로그램코드, 프로그램 명이 디스플레이 되어 의사 또는 직원 각자에게 열람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고, 제공된 영역에 대하여 관리하는 의사 또는 직원의 이름이 표시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병원에 내방하여 진료를 받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치료에 대한 일정 금액에 대하여 미리 산정한 상태에서 미리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는 지를 제9구조창(48)을 통해 비용견적을 하는 경우와 의료보험공단에 신고하는 비용 및 의료보험공단에 신고하는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비용에 대하여 산출하는 경우에는 도 2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9구조창(58)을 통해 표시되고, 제19구조창(58)을 통해 표시되는 것은 상병코드, 기본수가, 초재진 수가, 행위 수가, 재료수가, 약품수가, 비급여수가로 나뉘어 표시된다.
상기 상병코드는 도 2s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골의 약성신생물, 구강양성신생물, 아악골의 양성식생물, 편도주의노양, 무치증, 과잉치, 치아크기 형태이상 등에 대한 진료 상담에 따라 발생되는 치료항목에 코드를 부여하여 항목 또는 군을 통해 데이터를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를 환결설정D/B에 저장되어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열람을 원할 경우 서버(30)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19구조창(58)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본수가, 초재진수가, 행위수가, 재료수가, 약품수가, 비급여수가로 나뉘고, 이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본수가는 의료보험이 적용되는 것과 적용되지 않는 것을 구분하여 표시되고, 또한 초재진수가는 그에 대한 금액과 금액의 변동 시 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인 한다.
상기 행위수가는 진료상담을 통해 어느 부분을 어떻게 치료할 부분에 대하여 정해지면, 치료행위에 대하여 각각을 항목을 설정하고, 설정된 항목을 통해 그 의사의 치료에 따른 행위에 대하여 비용을 산정하여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예를 들어 고객이 충치치료와 신경치료를 함께 받는다고 가정할 경우 충치치료에 대한 행위와 신경치료에 대한 행위에 대하여 각각의 비용을 정하고, 이를 통해 치료행위에 대한 비용과 치료시 사용된 재료 및 약품에 대한 비용을 포함하여 고객에게 지불요구를 하는데, 고객에게 지불요구를 할 때에 고객이 부담하는 부분이 얼마이고, 의료보험공단에서 지급하는 금액이 어는 정도인지 미리 파악한 상태에서 고객에게 비용에 대하여 지불요구를 한다.
그러면 고객은 의료보험공단에서 지급하는 비용을 제외한 순수하게 고객이 부담하여야 할 비용만을 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재료수가의 경우에는 상기 의사를 통해 치료를 행하면서 소모되는 치료재료(치료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물품) 및 보조 치료재료(치료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물품) 등에 대한 수가를 미리 산정하여 고객의 치료완료시 비용을 청구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치료행위 시에 치료재료와 별도로 약품이 사용되는데, 이때 약품은 치료에 따를 것과 치료 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양분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양분된 자료를 통해 고객이 지불할 비용이 어는 정도 되는지에 대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약품의 수가가 변동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변동된 약품을 선택하여 그 비용을 수정, 삭제 및 첨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별도의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는 않는다.
상기 치료행위를 통해 고객의 치아를 치료할 시에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것에 별도로 관리하고, 별도로 관리되는 비급여 수가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객이 부담해야할 치료비용이 어느 정도인지를 산정 할 시에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어 고객이 부담해야할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이 부담해할 비용 중에서 비급여가 되는 부분에 대하여 별도로 관리하므로 의사가 고객을 상대로 상담을 할 때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부분과 보험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고객에게 설명할 때 이를 보고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초자료로 활용할 시에 비급여 대상 품목이 어떤 것인지를 의사 또는 담당직원이 데이터를 보면서 고객에게 설명하여 주기 위한 데이터의 기준이 되어 의사마다 각기 다른 비용이 청구되지 않으므로 고객으로부터 신뢰성을 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의 효과를 살펴보면, 고객이 병원에 내방하거나 또는 전화를 통해 상담할 하고자 하는 경우 그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바로 디스플레이 하여 고객에 대한 사항을 확인하고, 고객의 사항을 확인하면서 이루어지는 진료상담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면서 상담하므로 추후에 다시 고객이 내방하더라도 전에 내방한 기록이 남아 있어 바로 어떤 곳을 치료해야 하는 지에 대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화를 통해 상담을 하거나 또는 예약(예약의 변동사항 포함)을 할 시에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CID를 통해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 자동으로 표시되어 전화를 통해 상담하는 고객의 내용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오랜 시간을 기다리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원에서 발생되는 지출 및 수입에 대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이 아닌 상기 진료에 대한 프로그램과 같이 운영되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관리, 병원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을 바로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병원에 예약한 고객에 대하여 SMS문자를 통해 기념일 및 예약상황에 대하여 미리 알려줌으로 고객의 본인에 대하여 세심한 부분까지 관리하여 주고 있다는 생각을 고객으로부터 가지도록 함으로 고객이 병원에 대한 신뢰를 한 층 높일 수 있고, SMS문자를 받은 고객이 자신이 예약한 날짜에 병원에 내방하지 못하는 경우에 이를 미리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 예약이 빈 시간에 병원에 내방한 예약 고객 또는 예약 없이 내방한 고객을 바로 진료상담 및 치료를 행하므로 병원의 의사 및 직원의 근무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 내지 2s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시스템을 통해 표현되는 구조창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병원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인유저 11 : 개인컴퓨터
12 : 유선전화 13 : 이동통신 단말기
20 : 전화국 30 : 서버
31 : 데이터베이스 31a : 고객D/B
31b : 예약D/B 31c : 진료D/B
31d : 견적D/B 31e : 발송D/B
31f : 보험D/B 31g : 회계D/B
31h : 통계D/B 31i : 인사D/B
31j : 환경설정D/B 32 : 사내유저
33 : SMS관리서버 40 : 제1구조창
41 : 제2구조창 42 : 제3구조창
43 : 제4구조창 44 : 제5구조창
45 : 제6구조창 46 : 제7구조창
47 : 제8구조창 48 : 제9구조창
49 : 제10구조창 50 : 제11구조창
51 : 제12구조창 52 : 제13구조창
53 : 제14구조창 54 : 제15구조창
55 : 제16구조창 56 : 제17구조창
57 : 제18구조창 58 : 제19구조창

Claims (40)

  1. 인터넷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개인유저(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개인유저(10)가 원하는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개인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컴퓨터(11)와,
    상기 개인컴퓨터(11)를 통해 접속하지 않고 일반 유선전화(12) 또는 이동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치과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개인통신단말기(유선전화(12), 이동통신 단말기(셀룰러폰, PCS폰)(13) 포함)와,
    상기 인터넷망 또는 개인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국(유선전화(12), 이동통신망을 포함)(20)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번호 또는 씨아이디(CID: Caller id)에 따라 데이터를 상담자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인가하는 서버(30)와,
    상기 서버(30)를 통해 인가된 전화와 인터넷망을 거쳐 접속하는 개인유저(10)의 치과병원 진료기록과 개인유저(10)의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1)와,
    상기 전화국(20)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10)들의 진료기록을 열람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하는 각각의 원장실, 접수실, 촬영실, 진료실, 자료실, 원무과 등과 연결된 사내유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치과 병원을 이용하는 모든 고객의 이름, 주소, 나이, 성별, 유선 또는 이동통신 전화번호,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등 일반적인 정보가 저장된 고객D/B(31a);
    새로운 데이터에 대하여 자동으로 서버(30)에서 업데이트가 되도록 예약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약D/B(31b);
    상기 고객D/B(31a)에 저장된 개인유저(10)의 아이디별 또는 CID별로 저장된 개인정보와 연동되어 개인유저(10)의 진료내역(보철, 교정, 치주, 임플란트, 스케일링, 충치치료 등), 진료사진, 상담내용 등 진료에 관계된 다양한 내용이 저장된 진료D/B(31c);
    상기 고객D/B(31a)와 진료D/B(31c)와 연동하여 고객이 진료상담을 통해 치료에 대한 예비견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치료에 따른 예비수가가 저장되어 있고, 이를 연산에 의해 치료시 어는 정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지를 미리 산정하며, 산정된 비용에 대하여 고객이 대비할 수 있도록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갖는 견적D/B(31d);
    상기 고객D/B(31a)와 연동하여 고객의 생일, 결혼기념일 등과 같이 그 고객의 일반정보에 수록된 기념일과 예약D/B(31b)와 연동하여 치과 치료와 연관된 상담날짜, 치료날짜 등에 대하여 고객이 이를 잊어버리지 않고 제때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SMS관리서버(33)를 거쳐 SMS문자로 알려주는 발송D/B(31e);
    상기 고객D/B(31a)와 진료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일자(익월 초)가 되면 서버(30)에서 전월 자료를 파악한 상태에서 환자내역과 진료내역 및 진료비내역에 대한 자료를 리스트화하여 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신고하여 청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료가 저장되는 보험D/B(31f);
    상기 치과병원에서 발생되는 비용에 대하여 지출과 수입으로 구분을 지어 매일 발생되는 지출과 수입을 볼 수 있도록 일목 요연하게 정리하고, 이를 제목별, 날짜별, 월별에 대한 통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치과 병원에서 발생되는 자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회계D/B(31g);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 진료D/B(31c), 발송D/B(31e), 보험D/B(31f), 회계D/B(31g)를 통해 예약률, 예약에 따른 진료률, 견적 대비 고객이 치료를 하는 통계, SMS발송의 이후의 진료건수의 비교 등 치과병원에서 발생되는 모든 통계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통계D/B(31h)(31h);
    상기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인사에 대한 자료를 일률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사원번호, 사원명, 직위, 생일, 주민번호, 전화번호, 핸드폰, 주소 현재 근무처 등 직원의 전반적인 데이터를 갖는 인사D/B(31i); 및
    치과병원의 전반적인 운영 및 그에 대한 운영방향을 결정하는 대표(원장 등)를 포함하고, 대표가 인정한 몇 사람만이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설정(보험수가의 조정, 직원급여인상, 직원의 근무상태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D/B에서 필요로 하는 처방전약품, 기본수가, 초, 재진수가, 행위수가, 재료수가, 약품수가, 비보험수가, 상병코드, 묶음 코드, 메시지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설정D/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 유선전화(12), 이동통신전화를 통해 서버(30)와 접속하면, 접속한 개인유저(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씨아이디에 의한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31)에서 접속한 개인유저(10)의 고객D/B(31a)와, 예약D/B(31b)와, 진료D/B(31c)와 연계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료를 주치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로밍하여 개인유저(10)의 진료기록, 치료상태, 예약상황, 진료사진 등의 대한 모든 자료를 보면서 상담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인가하여 구조창을 통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에서는 각각의 D/B와 연동하여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따라 단계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의 컴퓨터와 랜(Lan)을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네트워크 환경이 설정된 상태에서 전화 중 혹은 자료검색 중에 해당 고객의 정보와 메시지 내용을 보내고자 하는 직원에게 발송하여 이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에서는 예약D/B(31b)와 연동하여 병원의 전체적인 스케줄에 따라 예약상황판이 자동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에 상황판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하여 이를 통해 일일, 주간, 월간, 예약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D/B(31c)는 진료내역, 진료내역SUM, 사진정보, 접수정보, 상세내역(행위에 대한 것), 처방전 내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D/B(31d)는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정보는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와 연동하여 SMS문자가 발송될 수 있도록 SMS대상자 정보를 서버(30)로부터 인터페이스 되어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D/B(31f)는 상기 고객D/B(31a), 진료D/B(31c), 견적D/B(31d), 등과 연계하고, 보험신고 키파일(Key File), 신고내역 SUM File, 심사청구서, 명세서일반내역, 상병내역, 진료내역, 메모내역 등의 서버(30)로부터 인터페이스 하여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D/B(31i)는 인사 기본사항(직원의 기본 정보), 학력사항, 가족정보, 급여지급내역, 전 근무처에 대한 이력사항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여 직원의 근태에 따란 상벌, 근무연수에 따른 연봉책정, 직원책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D/B(31j)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 진료D/B(31c), 견적D/B(31d), 발송D/B(31e), 보험D/B(31f), 회계D/B(31g), 통계D/B(31h)(31h), 인사D/B(31i)와 연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D/B의 기초자료가 저장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D/B(31b)는 일일, 주간, 월별에 대한 예약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창으로 구분되고, 상기 일일은 선택한 날짜의 오전과 오후에 대한 스케줄을 표시하고, 주간의 경우에는 진료하는 날짜와 동일한 현황용 창이 오픈되어 하루의 예약현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제1구조창(40)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D/B(31b)는 상기 일일, 주간, 월별 중에서 주치의 또는 병원의 직원이 예약자를 선택하면, 그 예약자의 일반정보와 차트번호, 예약시간, 담당의사, 치료구분, 예약한 날짜와 일측에는 예약날짜에 근무시간이 설정된 의사의 이름과 시간이 표시되며, 하단부에는 예약자의 진료내역을 기록되는 제2구조창(41)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D/B(31a)는 담당 주의치 또는 그 외의 의사가 신규고객에 대한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신규고객등록일자, 고객명, 차트번호, 생년월일, 담당의사, 치료구분, 고객구분 등에 대한 자료를 일률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3구조창(42)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 유선, 무선 전화를 통해 치과병원의 서버(30) 또는 전화와 연결되어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CID를 확인 및 병원에 내방한 고객을 치과병원 직원이 고객의 데이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고객명, 주민번호, 생년월일, 핸드폰, 담당의사, 주 치료상태, 장애구분, 처음 내원, 최종 내원, 차트번호, 고객구분, SMS발송구분, 수신상태, 환자구분, 의료보험정보(피보험자, 조합기호, 증번호, 조합명), 자택주소, 사무실주소, 및 특기사항이 입력되면 서버(30)에서는 고객D/B(31a)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제4구조창(43)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D/B(31a)는 인터넷망, 유선, 무선 전화를 통해 치과병원의 서버(30) 또는 전화와 연결되어 고객의 아이디와 패스워드 또는 CID를 확인한 상태에서 고객D/B(31a)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및 CID를 갖는 회원의 정보를 오픈하고, 오픈된 창에서 고개의 사진을 포함한 기본정보, 진료내역, 예약내역, 견적내역, 사진내역 등을 순차적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오픈하여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에는 CID의 연결상태와 현재 연결중인 고객의 이름과 전화번호 및 시간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5구조창(44)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D/B(31c)는 행위묶음, 묶음내역관리, 처방전약품등록을 선택할 수 있는 목차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목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 목차에 대한 내용이 일측에 묶음 형태로 표기되고, 상기 묶음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그 묶음의 내용이 일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제6구조창(45)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D/B(31c)에서 주치의 또는 병원 직원이 고객의 이름 또는 차트번호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30)에서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고객D/B(31a), 예약D/B(31b)와 연동하여 고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료내역, 사진등록, 처방전발행, 접수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이때 표시되는 것은 주치의와 상담할 시에 그 내용이 기재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의 치료 등에 관계되는 내용과 주치의가 직접 어느 치아를 진료하였는지 고객과의 상담한 내용에 대하여 기재하는 기재란이 포함된 진료내역등록란이 표시되고, 상기 등록란에는 진료일자, 담당의사, 핸드폰, 나이 차트번호, 환자구분, 치료구분, 진료구분, 보험총액, 본인부담금, 비급여액, 비보험료, 본인부담액과 상담한 다른 고객의 이름이 일측에 표시하여 주치의가 필요시 그 내용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제7구조창(46)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D/B(31d)는 주치의가 고객과 상담 중에 특정 진료과목에서 금액의 비중이 높을 경우 이를 고객에게 어느 정도의 비용이 소모되는 지를 파악하도록 하여 그 치료를 행할 것인지 아니면 다음 기회에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주치의 또는 병원직원이 치료비에 대한 견적을 미리 알아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치료비의 견적을 산출할 시에 그 치료에 대하여 행할 시에 이를 서버(30)를 통해 견적D/B(31d)에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고객D/B(31a)와 연계하여 고객명, 차트번호, 관리번호, 견적일시, 담당의사, 치료기간, 치료구분, 총금액, 할인금액, 계약금액 및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는 란이 창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제9구조창(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적D/B(31d)는 상기 견적정보, 견적정보TRX, 원장정보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고객이 치료비용을 지급할 수 있도록 치료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치료금액을 산출할 시에 보험급여(진찰료, 투약 및 주사료, 방사선료, 검사료, 처치 및 수술료, 기타), 비 보험급여, 기타잔액 고객부담금, 본인부담액, 진료과목, 진료금액, 미수금액, 수납금액, 현금 또는 카드에 따른 입금금액 및 현재의 미수금액과 접수자료가 디스플레이 되어 고객이 치료비에 대하여 입금할 수 있도록 제10구조창(49)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D/B(31e)는 상기 고객D/B(31a)와 연동하여 서버(30)에서는 고객명, 핸드폰, 이메일, 차트번호, 발송유형, 발송구분 및 발송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창과 발송대상자가 표시되는 창이 일체로 형성되어 관리자, 주치의 및 병원직원 등이 SMS문자를 발송할 시에 발송대상자를 발송유형(생일, 결혼, 진료 등)에 따라 발송대상자가 정리되어 통합적으로 단문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11구조창(50)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D/B(31f)는 주치의 또는 병원의 직원이 요청하는 신호가 서버(30)에 인가되면, 상기 서버(30)에서는 상기 고객D/B(31a), 진료D/B(31c)와 연동하여 보험청구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종류, 총진료비, 청구액, 본인부담금, 건수, 건당진료비, 차등수가사항(총진료건수, 원근무일수, 의사수, 일평균진료환자수, 차등치수), 청구자료작성 선택, 용양기관명칭, 용양기관기호, 보험자종별, 진료실, 파일명, 파일일련번호를 파악한 후에 이를 자동으로 의료보험공단에 신호하여 이를 심사 후에 해당비용을 받을 수 있도록 제13구조창(52)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D/B(31g)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회계자료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버(30)에 인가되면, 상기 신호에 의해 서버(30)에서는 고객D/B(31a), 진료D/B(31c), 보험D/B(31f)와 연동하여 병원의 총수입, 총지출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처리일자, 관리번호, 계정과목, 계정과목명, 구분, 적요, 수량, 단가, 금액, 거래처 순으로 표시되고, 그 상방향으로 계정과목, 적요, 수량, 단가, 금액, 거래처, 입금구분, 미수입금액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란이 형성되며, 란의 하방향으로 현금입금, 차트번호, 카드입금, 월비해당월, 카드구분, 치료구분, 비고를 입력하는 란이 형성되고, 란의 일측에는 일계보기를 하여 입급합계, 출금합계, 현금입금과 카드입금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는 입출금정보등록과 미수금이 어느 고객에 어는 정도 발생하여는지 총미수금금액, 일별 미수금액, 월별미수금액, 주별미수금액이 표시되는 미수금현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4구조창(53)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계D/B(31g)는 자금관리, 자금현황, 월 자금현황, 매출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 표시하여 원장이 현재 병원의 재정상태가 적자인지 아니면 흑자 운영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직원의 월급날, 약품대금지급, 임대료 등과 같이 지급액이 큰 것을 지급하는 날짜에 맞춰 자금이 유통되도록 자금현황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5구조창(54)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D/B(31i)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 할 수 있는 직원이 서버(30)에 인사관리 데이터를 오픈하기 위하여 신호를 인가하면, 서버(30)에서는 인사D/B(31i)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창에 인사기본사항, 경력사항, 학력사항, 가족사항에 대한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6구조창(55)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D/B(31i)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할 수 있는 직원이 직원들의 급역내역 급여지급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서버(30)에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서버(30)에서는 인사관리데이터와 회계관리D/B와 연동하여 각각의 직원에 지급한 월급과 월급에 대한 세부사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17구조창(56)을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D/B(30j)는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하여 데이터를 오픈할 수 있는 직원이 서버(30)의 병원에서 발생되는 진료, 수입, 지출, 인사, 회계, SMS관리 등을 설정하여 이를 통해 각각의 의사, 직원들이 상담등을 할 시에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각각의 D/B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고, 서버(30)에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프로그램, 사용자업무, 서버(30)의 데이터를 오픈하기 위한 비밀번호, 병원기존정보 등을 수록 및 변경 할 수 있도록 제18구조창(57)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D/B(30j)는 상담, 치료 등에 통해 발생되는 병명 및 그 병명에 따라 치료하기 위한 치료비용(수가), 병원에 내방한 고객 및 전화를 통해 상담하는 고객이 초진인지 아니면 재진에 따른 수가, 행위(치아 치료 등) 수가, 치료에 따른 재료의 수가, 치료에 따른 약품 수가, 비급여 수가 등에 대한 자료가 보관되고, 이는 서버(30)에 저장된 각각의 D/B에 제공되어 의사 또는 직원이 고객과의 상담시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가를 조정하는 제 19구조창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D/B(31c)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제7구조창(46)의 소정위치에는 주치의 상담하면서 고객의 치아 중 어느 치아를 치료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치아모양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7구조창(46)을 오픈 한 상태에서 고객에게 필요한 진료과목이 어는 과목이며, 그 과목에서 어떠한 치료를 할 것인가를 주치의가 선택할 시에 별도의 팝업창이 오픈되어 진료과목, 진료에 대한 추가사항 등에 대한 내용이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상기 제7구조창(46)에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제8구조창(47)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32. 치과병원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서버(30)에 접속된 개인유저(10)로부터 상담문의가 들어오면 서버(30)에서는 전화를 통해 접속된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것인지를 파악하여 전화를 통해 접속하였을 경우 그 전화의 씨아이디(CID: Caller ID)를 파악하는 제1단계(S10);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씨아이디가 추출되지 않으면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S20);
    상기 제1, 제2단계(S10, S20)를 통해 인가되는 개인유저(10)의 전화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10)가 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거치는 제3단계(S30);
    상기 제3단계(S30)를 통해 회원이면 신규회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4단계(S40);
    상기 개인유저(10)가 신규회원이 아니고 기존 고객이면 고객D/B(31a)에 고객D/B(31a)와, 예약D/B(31b)와, 진료D/B(31c)와 연동하여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S50);
    상기 개인유저(10)로부터 걸려온 전화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최초 상담을 하는 직원의 컴퓨터에 각각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6단계(S60);
    상기 전화 상담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담하는 직원을 통해 상담하는 개인유저(10)가 의료상담인지 아니면 일반 개인적인 접속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인계할 수 있도록 판단하는 제7단계(S70);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의료상담이 아닌 일반 개인적인 전화 또는 접속이면 그에 상응하는 담당에게 연결하는 제8단계(S80);
    상기 제7단계(S70)를 통해 판단된 전호 또는 인터넷 접속이 의료상담이면 해당의사에게 전화 또는 인터넷 상담이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제5단계와 제6단계를 통해 전화 또는 인터넷 접속한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제9단계(S90);
    상기 제9단계(S90)를 통해 인터페이스 되는 개인유저(10)의 데이터를 담당의사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10단계(S100);
    상기 10단계를 통해 담당의사에게 인턴페이스된 데이터를 담당의사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의료상담을 진행하고, 의료상담 중 발생되는 사항에 대하여 담당의사가 직접 개인유저(10)의 데이터에 기록하여 차후 병원에 내방하였을 때 그 기록을 살펴 바로 진료가 행하여질 수 있도록 상담기록을 저장하는 제11단계(S110);
    상기 제11단계(S110)을 통해 상담내용을 기록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서버(30)에서는 계속적으로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담당의사와 상담 중인지를 전화CIP와 인터넷의 TCP/IP를 추적하여 접속된 게이트가 계속적으로 오픈상태인지를 파악하여 접속 중인지를 판단하는 제12단계(S120);
    상기 제12단계에서 상담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담내용을 계속적으로 기재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된 구조창을 계속적으로 오픈 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담이 끝나면 간호사 또는 원무과에서 근무하는 직원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담한 개인유저(10)가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예약날짜 및 시간이 기록되어 예약을 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3단계(S130);
    상기 상담이 끝나고, 예약을 마친 상태에서 고객D/B(31a)에 기록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데이터에 업데이트를 하여 새로운 데이터가 고객D/B(31a)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14단계(S140);
    상기 제13단계(S130)를 통해 개인유저(10)가 치과진료를 받기 위하여 예약을 하였다면 그 내용이 예약D/B(31b)에 등재되어 차후 예약한 날짜에 개인유저(10)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날짜와 시간 등의 예약현황을 등재하는 제15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병원 운영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유저(10)와 담당의사(주치의)가 상담하고, 그 상담에 의해 치과 진료를 받기 위하여 예약을 하였다면 고객D/B(31a)와 예약D/B(31b)F와 연동하여 서버(30)는 개인유전의 이동통신 단말기(13)를 통해 SMS문자를 통보하여 예약한 날짜에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유저(10) 또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데이터를 각각 고객D/B(31a)와 시스템설정D/B에 저장하여 병원에서 변동사항이 발생하였을 시에 그에 해당하는 구조창이 오픈되어 원장 또는 원장이 지정한 직원이 해당 데이터를 열람하여 변동사항을 기록,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유저(10)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고객정보를 파악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서버(30)에서는 개인유전의 전화 씨아이디를 추적하여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최초상담자와 담당의사의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씨아이디를 통해 고객의 정보가 최초 상담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되고, 걸려온 전화를 담당의사에게 인터페이스 하면 최초 상담자의 컴퓨터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담당의사의 컴퓨터에 자동으로 로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상담자가 담당의사에게 전화를 인터페이스 하면 랜을 통해 사용자간 메시지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유저(10)가 물어오는 질문에 대하여 바로 대답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양방향 인터페이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유저(10)와 상담하는 최초 상담자와 담당의사 중에서 원장이 지정한 사람 외에는 관리업무 데이터가 수록된 보험청구, 회계, 통계, 인사, 환경설정에 대한 D/B를 열람할 수 없고, 원장이 지정한 직원 및 담당의사 만이 한정적으로 각각의 D/B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고객D/B(31a), 예약D/B(31b)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생일, 결혼기념일, 진료날짜, 진료시간 등을 방송D/B를 통해 SMS문자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3)에 인가하여 특정일에 대하여 개인유저(10)가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발송된 데이터를 발송D/B(31e)에 저장하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30)는 미리 등록된 전체휴진, 오전휴진, 오후휴진 등 병원스케줄에 따라 예약상황판을 자동으로 변환하여 치과병원의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병원 운영방법.
KR1020040026271A 2004-04-16 2004-04-16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060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71A KR100603028B1 (ko) 2004-04-16 2004-04-16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271A KR100603028B1 (ko) 2004-04-16 2004-04-16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010A true KR20050101010A (ko) 2005-10-20
KR100603028B1 KR100603028B1 (ko) 2006-07-24

Family

ID=3727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271A KR100603028B1 (ko) 2004-04-16 2004-04-16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028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462B1 (ko) * 2011-09-26 2013-04-08 배희철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353973B1 (ko) * 2012-03-22 2014-0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리-덴탈 스마트 케어 서비스 방법
KR101423985B1 (ko) * 2012-03-22 2014-08-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KR101480429B1 (ko) * 2013-04-16 2015-01-1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US8971999B2 (en) 2009-12-15 2015-03-03 Jin Hwan Kim Intra-oral scanner
KR20180125790A (ko) *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KR20200053338A (ko) * 2018-11-08 2020-05-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투데이 업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77368A (ko) * 2019-12-17 2021-06-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48632B1 (ko) * 2020-10-26 2022-01-06 박라미 임플란트 추적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20220036005A (ko) * 2020-09-15 2022-03-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미수금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220036389A (ko) * 2020-09-14 2022-03-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보험 청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102387293B1 (ko) * 2021-11-11 2022-04-15 주식회사 광덕안정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KR102429336B1 (ko) * 2022-05-11 2022-08-08 주식회사 닥터봄 병원 종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548B1 (ko) * 2012-07-31 2013-08-22 박경섭 개인용 치아 병력 관리 시스템 및 치아 병력 관리 방법
KR20160142142A (ko) 2015-06-02 2016-12-12 와이메디칼네트워크 주식회사 치아 3d 스캐닝 데이터를 이용한 치과 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9009B1 (ko) 2019-06-07 2020-02-19 주식회사 플래닛투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치과 및 기공소 전용 업무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92A (ko) * 2001-01-09 2002-07-16 윤기수 치과의료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20020071546A (ko) * 2001-03-07 2002-09-13 (주)메디코텍 치과용 통합 진단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1999B2 (en) 2009-12-15 2015-03-03 Jin Hwan Kim Intra-oral scanner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0462B1 (ko) * 2011-09-26 2013-04-08 배희철 병원 고객관리를 위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353973B1 (ko) * 2012-03-22 2014-0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텔리-덴탈 스마트 케어 서비스 방법
KR101423985B1 (ko) * 2012-03-22 2014-08-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KR101480429B1 (ko) * 2013-04-16 2015-01-1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오브젝트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80125790A (ko) * 2017-05-16 2018-11-26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 시술 통합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치아 시술 서비스 방법
KR20200053338A (ko) * 2018-11-08 2020-05-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투데이 업무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77368A (ko) * 2019-12-17 2021-06-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20036389A (ko) * 2020-09-14 2022-03-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보험 청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관리장치
KR20220036005A (ko) * 2020-09-15 2022-03-2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미수금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348632B1 (ko) * 2020-10-26 2022-01-06 박라미 임플란트 추적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87293B1 (ko) * 2021-11-11 2022-04-15 주식회사 광덕안정 통합 고객관리 시스템
KR102429336B1 (ko) * 2022-05-11 2022-08-08 주식회사 닥터봄 병원 종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028B1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25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the relative value of medical services
KR100603028B1 (ko)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A2309052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US7716072B1 (en) Integrated medical software system
US8738402B2 (en) Medical of increasing efficiency in a medical claim transaction, and computer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same
US77474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tient encounters
US77520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ccount receivables
US20090138283A1 (en) Appointment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US20040153336A1 (en) Prescription creation and adjudication method
US20090234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ministering anticoagulation therapy
US20040103062A1 (en) Method for accelerated provision of funds for medical insurance using a smart card
US20070198407A1 (en) Self-pay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for the healthcare industry
US200201739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actions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pharma companies
JP684197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20013716A1 (en) Network based integrated system of care
US20050065816A1 (en) Healthca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20210249122A1 (en) Value-based scheduling system
KR20220041668A (ko) 치과병원의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한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및 방법
JP2005523504A (ja) ヘルスケア関連情報に消費者がアクセスできるようにするシステム
US20240079118A1 (en) eNursing
Sims Valuing investments in clinical information systems
Vipulakorn Clinic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a specialist clinic
Smith A family practice center experience with an HMO
JP2002092174A (ja) 介護サービス事業者用会計管理方法及び介護情報サーバ装置
WO2004097578A2 (en) Integrated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