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985B1 -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985B1
KR101423985B1 KR1020120029387A KR20120029387A KR101423985B1 KR 101423985 B1 KR101423985 B1 KR 101423985B1 KR 1020120029387 A KR1020120029387 A KR 1020120029387A KR 20120029387 A KR20120029387 A KR 20120029387A KR 101423985 B1 KR101423985 B1 KR 10142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information
dental caries
subject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525A (ko
Inventor
최연희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9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가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이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증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입력화면으로, 피검자의 전체 치아에 대해 26~32개의 분악을 표시하고, 선택되는 분악이 줌-인하여 확대하여 표시하고, 타 분악이 스크롤되며 상기 입력화면 하단에 도식화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입력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하고자 하는 치면을 소정 시간 터치토록 하여, 상기 피검자 전체 치아의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에 대해, 각 치면 위치에서의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로 구성되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가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관리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Method for recording, storing, and managing diagnostic information of dental caries at a smart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시스템에서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검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구강검진 기록 수단으로 휴대용 통신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즉각적인 전산화로 비용 및 시간 절감 효과를 구현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 관련 질환은 다른 질환보다도 생명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정도가 다소 낮다 보니 실제 치아에 문제가 발생하여 일상 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정도가 되어야 찾는 경우가 많고, 이는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만 받았어도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게 된다. 이러다 보니 치료시기가 늦어 적지 않은 치료비용을 부담하게 되어 가계 경제에 부담을 주거나 큰 질병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강건강관리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고, 구강검진을 정기적으로 하게 되면, 자신의 치아 상태를 제때 체크할 수 있어 치료시기에 적당히 치료를 받을 수 있고, 발생가능한 각종 치과질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사전 예방의 중요성을 파악하여, 우리나라는 국가 차원의 국민구강건강보건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구강보건법 제9조의 규정에 근거하여 보건복지부 주관 하에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를 시작으로 3년마다 정기적으로 구강건강상태조사 및 구강건강의식조사를 수행하고 있다(2000년, 2003년, 2006년, 2010년).
전술한 보건복지부 주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예산 5억원) 뿐만아니라 질병관리본부 주관 국민구강건강영양조사 (예산 50억원)의 구강검사 파트에서도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매년 국가 대표치 그리고 3년 주기의 16개 시도 대표치를 이용하여 면접조사 검진 및 영양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년) 8473에 대해 구강검사를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기관이 주관하는 National Survey에서 구강검사가 한 파트를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자하여 구강건강지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구강건강지표 검사는 주로 오프라인 상에서 기록지 배포와 방문 검사 위주로 이루어져서 많은 시간과 인원이 동원되고 시간 대비 효과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크다고 할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뛰어난 인터넷 이용환경과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구강검진 영역에 활용하여, 시간 및 비용 측면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보편화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통신 환경과 접목하여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서, 휴대용 통신환경 및 정보통신기술을 구강검진영역에 접목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즉각적인 전산화로 비용 및 시간 절감 효과를 구현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버가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이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인증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입력화면으로, 피검자의 전체 치아에 대해 26~32개의 분악을 표시하고, 선택되는 분악이 줌-인하여 확대하여 표시하고, 타 분악이 스크롤되며 상기 입력화면 하단에 도식화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입력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하고자 하는 치면을 소정 시간 터치토록 하여, 상기 피검자 전체 치아의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에 대해, 각 치면 위치에서의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로 구성되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가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통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치아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치아관리정보를 바탕으로 치아관리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치아관리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피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치아에 대해 상기 카메라로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검진보강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피검자 검색기능을 통해 상기 피검자의 나이를 확인하거나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입력된 상기 피검자의 나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나이에 따라, 6세 미만인 경우에는 유치 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6세 이상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치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14세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치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의 기본값은 건전치면으로 디폴트되고, 상기 피검자의 전체 치아가 모두 건전치면이면 기록하지 않고 최종 저장시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가 자동 0으로 기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입력 치면과 인접 치면의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인접치면에 상기 입력 치면이 드래그하여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이 모두 같은 값이면, 상기 분악을 더블 터치하여 일괄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피검자 치아의 브릿지가 있으면, 상기 전체 치아에서 상기 브릿지 해당 치아들을 드래그하고 팝업창에서 치아 상태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버가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 있어서, (e) 상기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이행하는 수단; (f) 상기 사용자 인증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입력화면으로, 피검자의 전체 치아에 대해 26~32개의 분악을 표시하고, 선택되는 분악이 줌-인하여 확대하여 표시하고, 타 분악이 스크롤되며 상기 입력화면 하단에 도식화된 표시하는 수단; (g) 상기 입력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하고자 하는 치면을 소정 시간 터치토록 하여, 상기 피검자 전체 치아의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에 대해, 각 치면 위치에서의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로 구성되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 (h)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된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가 상가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치아통계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용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환경을 이용하여 손쉽게 구강검사결과를 기록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기록된 결과를 체계적인 구강지표 생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개인별 치아 정보를 전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해 특정 연령, 특정지역 또는 국민 전체로 확대하면 국민구강검사가 가능하며, 실질적인 국민의료 예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개개인의 효과적인 구강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구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시스템은 국민건강관리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02)로 구성된다.
상기 국민건강관리서버(100)는 구강 검진 서비스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04)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단말기 사용자는 일반인으로 구강 검진 대상자(이하, 피검자)를 상대로 구강검진을 행하는 치과의사, 치위생사 등의 치과관련 전문가(이하, 검진자)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국민건강관리서버(100)는 국민구강관리검사를 수행하는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의 국가기관이 관리하거나 또는 그 산하의 공공단체가 관리하는 대용량 서버로서, 데이터베이스(102)와 연동되어 대용량의 국민구강 검진정보를 관리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강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국가 또는 그 산하기관의 서버를 지칭하는 국민건강관리서버로 통칭하여 기재하였으나, 별도의 구강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구성하고 국민건강관리서버는 피검자를 관리하고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로 축소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국민건강관리서버(100)로부터 구강검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거나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구강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건강관리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치아우식진단 정보, 치아관리정보 및 검진보강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 이때, 치아우식진단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가 피검자에 대해 구강검진을 행한 결과 정보이며, 검진보강정보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검자의 치아에 대한 이미지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치아관리정보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치아 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생성한 치아관리를 위한 자문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처럼, 피검자에 대해 특정 연령, 특정지역 또는 국민 전체로 확대하면 국민구강검사가 가능하며, 실질적인 국민의료 예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국민건강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02)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2)에는 각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한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 치아관리정보 및 검진보강정보와, 각 검진자 및 피검자의 인적정보와, 각 치아우식진단 정보에 대한 통계치를 생성하는 구강검진 통계정보와, 각 치아우식진단 정보에 맞게 생성되는 치아관리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인적정보에는, 다수의 전문가로서 검진자에 대한 기본정보와 피검자의 기본정보가 저장되는데, 검진자는 본 구강 검진 서비스를 위한 등록된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이 해당될 수 있고, 피검진자는 본 구강 검진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개인이 해당된다. 상기 기본정보에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위한 검진자 및 피검자의 식별정보, 인증정보, 및 분류 정보 등이 구비된다.
<구강검진 서비스 방법>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국민건강관리서버(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식별정보와 인증정보, 사용자 분류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인증을 이행한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 뿐만아니라, 피사용자인 피검자도 다수의 피검자 단말기(108)로 회원가입을 하고 사용자 인증을 이행할 수 있다.
상기 국민건강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104)로부터 상기한 식별정보와 인증정보, 사용자 분류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인증한 후에, 사용자 단말기(104)는 피검자를 상대로 검사한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하고 필요한 경우 카메라로 상기 피검자의 치아 이미지를 촬영하여 검진보강정보로 입력한다(S210). 이때,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에 따른 치아관리정보를 생성하며(S220), 상기 치아관리정보는 각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치아 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맞게 치아관리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포함한다.
이후, 입력된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 검진보강정보 및 치아관리정보를 국민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S230).
이후, 상기 국민건강 관리서버(100)는 전송된 치아우식진단 정보, 검진보강정보 및 치아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S240).
이후, 상기 국민건강 관리서버(100)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에서 각 피검자의 개인별, 지역별, 연령별 정보로 통계치를 형성하여 각 피검자의 치아에 대한 치아통계정보 및 각 피검자의 치아관리에 대한 치아관리통계정보를 생성한다(S250). 이때, 총 조사 인원, 총 조사 치아수 및 국민구강건강조사 또는 국민구강예방체계를 위한 각종 통계 지표들이 산출될 수 있다.
이후, 국민건강 관리서버(100)는 일정 주기별로 반복하여 피검자의 휴대폰(108)에 문자메시지 등으로는 또는 피검자의 이메일 주소로 치아관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S260), 이를 통해 국민구강예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스마트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특히,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최근 빠른 속도로 보편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사용자 단말기로 예시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각 사용자는 터치패널을 통해 국민건강 관리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치아검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거나 단말기에 이미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실행할 수 있다(S301).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는 검색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국민건강 관리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피검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가 이미 구강검진을 행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검진결과가 이미 저장되어 있어, 기존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 및 사진 이미지의 보강검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피검자 검색기능을 통해 피검자의 나이를 확인하거나 터치패널을 통해 피검자의 나이를 입력한다(S302).
이후, 사용자 단말기(104)는 입력된 나이에 따라, 6세 미만인 경우에는 유치 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6세 이상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치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14세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치열기 화면을 표시한다(S303). 이때, 표시되는 화면은 피검자의 나이에 맞게 캐릭터화된 치열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유아의 경우, 치과나 기타 병원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어 친근감있는 캐릭터 구현으로 검진에 대한 저항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입력화면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즉,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입력화면은 4악궁의 26~32개로 피검자의 전체 치아에 대해 상부의 13~16개의 치아 평면(치면)과, 하부면의 13~16개의 치면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질 수 있다. 또한, 4악궁의 치아 기록칸(이하, 분악이라 함)에서 중심사각형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치아의 윗면을 표시하고, 중심사각형 주위로 치면의 상하좌우의 4칸을 각 위치상태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치아 선택시 해당 분악이 줌-인되면서 도식화된 치열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크롤하면서 다른 분악도 손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전체 화면의 상단 1/3은 전반적인 차트 입력 진행 화면이 표시되어 입력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입력을 위한 치아 상태부분과 치료필요도 부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화면 비율은 사용자 편의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식화된 치열식의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치아 선택시 해당 분악을 줌-인하여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머지 인접한 치면들은 화면 하단에 표시된다.
또한, 모든 치면과 치료필요도의 값은, 표1의 [치아상태 차트 기록약어] 및 표2의 [치료필요도 차트 기록약어]와 같이, 기본값인 건전치면(H)으로 디폴트되는데, 사용자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시, 피검자의 전체 치아가 모두 건강하여 건전치면(H)이면 기록하지 않고 최종 저장하여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가 자동 0으로 기록된다(S304). 가령, 전체 26~32개의 치아에 대해 모두 건전치면, 바로 저장을 통해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가 자동 0으로 기록되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치아상태 국문 약어
0 건전치면 H
1 우식치면 C (빨간색)
3 우식경험처치치면 FC
4 우식경험상실치면 MC
5 우식비경험상실치면 MO
6 전색치면 SE
7 우식비경험처치치면 FO
8 미맹출치면 UE
9 기록불가치면 NR
치료필요 국문 약어
0 치료불필요 H
1 1치면 처치필요 1F
2 2치면이상 처치필요 2F
3 인조치관 수복필요 CF
5 치수치료 및 수복필요 PF
6 치아발거필요 EN
7 기타 치료필요 TO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치면을 0.5초 이상 터치하여 피검자의 전체 치아에 대해, 해당 분악의 5개의 치면에 대해, 각 치면 위치에서의 치아의 상태를 입력한다(S305). 도 4를 참조하면, 말풍선 창이 뜨면서 입력하고자 하는 값이 순차적으로 하면에서 자동으로 변경되며 사용자가 터치를 해제하면 입력값이 화면에 표 1 및 표2의 약어로 입력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하는 치면과 그 인접치면의 결과가 동일하여 같은 값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S306), 인접치면에 입력 치면을 드래그하여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S307).
또한, 피검자에게 입력해야할 해당 치아의 5개 치면이 모두 같은 값일 경우(S308),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치아를 더블 터치하여 일괄 입력하게 된다(S309).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검진 입력에 따른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우식치면(C) 값을 입력할 경우 해당 치면에서 C로 표시한 후 색변화하고, 사용자가 우식경험처치치면(FC) 값을 입력할 경우 해당 치면에 FC로 표시한 후 처치재료 종류에 따라 색변화한다. 이때 각각 항목에 따른 색은 임의설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피검자 치아의 브릿지 유무를 확인하고(S3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가 있으면 전체 치아에서 해당 치아들을 드래그하고 치아상태 입력판 팝업하여 상태를 입력한다(S311).
반면에 브릿지가 없으면 각 치아에 대한 입력값에 따라 치료필요도 칸을 표시하는데, 이때 표 2의 약어로 자동입력되게 설정되고 치료필요도 칸에 색으로 표시되며, 각각 항목에 따른 색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치아 관리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포함하는 치아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치아우식진단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S312). 가령, 치료필요도가 0인 경우 치아관리정보의 생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치료필요도가 있는 경우에만 그에 따른 처방 및 조치를 치아관리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진 촬영 유무에 따라(S313), 검진자의 치아에 대해 카메라로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검진보강정보로 저장한다(S314). 가령, 모두 건전 치아인 경우 사진 촬영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된 치아우식진단 정보, 치아관리정보 및 검진보강정보를 국민건강관리서버(10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되게 한다(S315). 이때, 이미 검진을 받은 피검자의 경우 기존의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해 피검자의 치아 정보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각 개인에 대해 구강검진기록을 서비스할 수 있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구강검진기록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및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4: 사용자 단말기
100: 국민건강관리서버
102: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서버가 터치패널과 카메라를 구비하여 피검자의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기록,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이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설치된 치아우식진단 정보 입력 프로그램에서, 피검자 검색기능을 통해 상기 피검자의 나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나이에 따라, 6세 미만인 경우에는 유치 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6세 이상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혼합치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14세 이상인 경우에는 영구치열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각 화면에서 상기 피검자의 전체 치아가 26~32개의 분악으로 표시되고, 상기 터치패널에서 선택된 해당 분악은 줌-인되면서 도식화된 치열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1차적으로,
    상기 피검자 전체 치아의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에 대해 상기 터치패널을 통해 소정 시간 터치토록 하여 각 치면 위치에서의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로 구성되는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입력받는데,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의 기본값은 건전치면으로 초기 설정되어 해당 치아가 모두 건전치면이면 기록하지 않고 최종 저장시 자동으로 0으로 기록하며 상기 전체 치아에 대한 입력값에 따라 치료필요도를 자동 계산하여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저장하고,
    2차적으로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치아에 대해 상기 카메라로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검진보강정보로 생성하고,
    3차적으로 상기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에 따라 치아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 및 검진보강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치아우식진단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피검자의 검색정보에 따라 치아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치아관리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피검자의 검색정보에 따라 치아관리통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치아관리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피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입력 치면과 인접 치면의 결과가 동일하면, 상기 인접치면에 상기 입력 치면이 드래그하여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분악의 5개 치면이 모두 같은 값이면, 상기 분악을 더블 터치하여 일괄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피검자 치아의 브릿지가 있으면, 상기 전체 치아에서 상기 브릿지 해당 치아들을 드래그하고 팝업창에서 치아 상태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20029387A 2012-03-22 2012-03-22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KR10142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87A KR101423985B1 (ko) 2012-03-22 2012-03-22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387A KR101423985B1 (ko) 2012-03-22 2012-03-22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25A KR20130107525A (ko) 2013-10-02
KR101423985B1 true KR101423985B1 (ko) 2014-08-01

Family

ID=4963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387A KR101423985B1 (ko) 2012-03-22 2012-03-22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2599A (zh) * 2021-02-04 2021-05-14 湖南大学 一种基于人工智能的龋病诊断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06113945A (ja) 2004-10-18 2006-04-27 Planet:Kk 歯科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1012542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06113945A (ja) 2004-10-18 2006-04-27 Planet:Kk 歯科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1012542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525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lue et al. Telemedicine in the era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 neurosurgical perspective
Yousuf et al. Association of a public health campaign about coronavirus disease 2019 promoted by news media and a social influencer with self-reported personal hygiene and physical distancing in the Netherlands
Schwamm et al. A review of the evidence for the use of telemedicine within stroke systems of car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Zheng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elehealth in palliative care: caregiver outcomes
Bae et al. Information technology–based management of clinically healthy COVID-19 patients: lessons from a living and treatment support center opera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Lucero et al. The effec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informal caregivers of persons living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Haddad et al. Formative second opinion: qualifying health professionals for the unified health system through the Brazilian Telehealth Program
Schatz et al. Healthcare infrastructure: Health systems for individuals and populations
Ainamani et al. Caregiving burden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in rural Uganda
Miller et al. Evaluating testing strategies for identifying youths with HIV infection and linking youths to biomedical and other prevention services
Sheehan et al.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mental healthcare and services: results of a UK survey of front-line staff working with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or autism
Fuangtharnthip et al. Registry-based study of prevalence of cleft lip/palate in Thailand from 2012 to 2015
JP2016018224A (ja) 健康状態予測診断利用サービスシステム
Johar et al. What explains the quality and price of GP services? An investigation using linked survey and administrative data
Mazzuca et al. Applications and current medico-legal challenges of telemedicine in ophthalmology
Bronskill et al. Trends in health service use for Canadian adults with dementia and Parkinson disease during the first wave of the COVID-19 pandemic
Newton et al. Evaluation of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d care plan into multiple palliative care settings
KR101423985B1 (ko) 치아우식진단 정보의 기록, 저장 및 관리 방법
Puri et al. The policy dimensions, regulatory landscape, and market characteristics of teledermatology in the United States
Solangi et al. Adoption of IoT-based smart healthcare: An empirical analysis in the context of Pakistan
CN105210105A (zh) 用于解释医疗信息的系统和方法
Cheon et al. A review of major secondary data resources used for research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luccia et al. Health Services OutPatient Experience questionnaire: factori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patient-centered outcome measure for outpatient settings in Italy
Heratanti et al. The telehealth effectiveness in home care services: a systematic review
Awan et al. Health promotion and screening for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