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368A -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368A
KR20210077368A KR1020190168937A KR20190168937A KR20210077368A KR 20210077368 A KR20210077368 A KR 20210077368A KR 1020190168937 A KR1020190168937 A KR 1020190168937A KR 20190168937 A KR20190168937 A KR 20190168937A KR 20210077368 A KR20210077368 A KR 2021007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schedule
manage
recommending
schedul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593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수납 상황에 따라 의료진이 적절한 진료를 스케쥴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수납 상황을 미리 확인하여 진료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진료에 수반되는 진료비 미수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진료 단계와 연계하여 환자의 수납 상황을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HEDULE OF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반 상황에 적합하도록 진료 스케쥴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병원 시스템에서 환자의 수납 기록은 수납 단계에서만 조회가 가능하며, 진료 단계에서는 환자가 진료비를 정상적으로 수납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그에 따라, 진료비가 납부되지 않거나 미수인 상황에서도 진료 담당자는 이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었고, 고가의 진료를 진행하고도 그에 대한 비용을 지불 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한편, 기존의 병원 시스템은 단순히 진료비를 수납한 이력을 나열식으로 기재할 뿐, 수납한 이력을 종합적으로 표현하거나 진료 계획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환자의 수납 이력을 간명하게 통계화 하거나 진료 계획과 연계하여 직관적으로 파악하려고 하면 수납한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여 용도에 맞게 별도로 계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793호 (2017. 07. 2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자의 수납 상황에 따라 의료진이 적절한 진료를 스케쥴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가의 진료에 수반되는 진료비 미수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행 중인 진료 단계와 연계하여 환자의 수납 상황을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진료는 상기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낮은 진료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2 진료의 순서가 상기 제1 진료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상기 제1 진료 및 상기 제2 진료의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1 진료를 상기 제2 진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1 진료의 순서가 늦춰지도록 상기 제1 진료의 앞에 상기 제2 진료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납 정보는 전체 진료 금액에 대한 납부된 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납 진행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진행률을 상기 제1 진료와 매칭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진료에 대응되는 적정 수납 진행률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정 수납 진행률을 표시하는 단계는 잔여 진료 금액에 대한 수납 계획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환자의 수납 상황에 따라 의료진이 적절한 진료를 스케쥴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수납 상황을 미리 확인하여 진료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진료에 수반되는 진료비 미수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진행 중인 진료 단계와 연계하여 환자의 수납 상황을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S40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수납 진행률, 적정 수납 진행률, 및 잔여 진료 금액에 대한 수납 계획을 예시적인 형태로써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의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은 병원 시스템 내의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S1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환자의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을 저장한다. 상기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은 초기 진료 단계에서 환자와의 협의에 의해 정해진 것으로, 병원 수납 담당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이 표시된 화면(1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의 화면(10)은 상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환자에 대한 진료는 복수의 진료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은 복수의 진료 단계들에 맞추어 복수의 단위 계획들로 스케쥴링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수 탭(11)에 복수의 진료 단계들이 표시되고, 진료 계획 탭(12) 및 수납 계획 탭(13)에 각 진료 단계에 맞추어 개별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이 스케쥴링 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1 로 돌아가면, S2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환자의 수납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수납 정보는 현재까지 환자가 납부한 진료비를 산출한 정보로서, 전체 진료 금액에 대한 납부된 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납 진행률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전체 진료 금액이 50만원이고 현재까지 납부된 진료비가 10만원인 경우 수납 진행률은 20%로 산출될 것이다.
S3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한다. 이는, 환자의 수납 진행이 더딜 경우 리스크 있는 치료를 뒤로 미룸으로써, 환자의 변심으로 치료가 중단되거나 진료비를 장기 미납했을 때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계획된 제1 진료가 재료 준비 및 가공에 고가의 비용이 드는 보철 치료이고 환자의 수납 진행률이 20% 이하로 저조한 경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예정한 것과 달리 제1 진료의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계획된 제1 진료가 큰 비용이 들지 않는 스케일링 치료이거나, 환자의 수납 진행률이 60% 이상으로 진료비를 계획에 따라 완납하고 있는 경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예정한 것과 동일하게 제1 진료의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S3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한다. 가령, S300 단계에서 제1 진료의 진행이 불가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낮은 제2 진료를 대신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진료비 미납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환자의 진료를 최대한 차질없이 진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예시하는 실시예들이 도 5 내지 도 7에서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한편, S300 단계에서 제1 진료의 진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원래 계획했던 제1 진료를 그대로 진행하도록 추천할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따르면, 환자의 수납 상황에 따라 수납 진행이 미진한 경우 의료진에게 적절한 대체 진료 등을 추천함으로써 진료 스케쥴이 유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고가의 진료에 수반되는 진료비 미수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1의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서는 진행 가부 판단을 위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이 예시된다.
S31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환자의 수납 진행률이 제1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수납 진행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 진료 금액에 대해 현재까지 납부된 금액의 비율을 의미하고,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진료에 대해 설정된 수납 진행률의 임계값으로서 제1 진료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수납 진행률을 의미한다.
제1 임계값은 제1 진료의 진료 유형, 소요 비용, 수납 계획 또는 병원의 수납 정책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납 계획 상에서 제1 진료 시 전체 진료비의 60%를 납부하도록 한 경우, 제1 임계값은 60%로 결정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수납 계획 상에서 제1 진료 시 전체 진료비의 60%를 납부하도록 한 것은 동일하나, 그와는 별도로 계획된 수납 금액의 90%만 납부되면 예정된 진료를 그대로 진행하도록 병원의 수납 정책이 정해진 경우, 제1 임계값은 계획된 수납 진행률의 90% 수준인 56%로 결정될 것이다.
S310 단계에서 수납 진행률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본 실시예는 S32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는 S330 단계로 진행한다.
S320 단계는 수납 진행률이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므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진료비가 계획대로 잘 수납된 것으로 보고 제1 진료를 진행 가능으로 판단한다.
S330 단계는 수납 진행률이 제1 임계값 미만인 경우이므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진료비가 계획대로 수납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제1 진료를 진행 불가로 판단한다.
도 4는 도 1의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S400)를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S300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계획된 제1 진료를 추천하거나, 이를 대신하여 제2 진료를 추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S41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가 진행 가능한지 판단한다. 제1 진료가 진행 가능하다면(즉, 앞서 S300 단계에서 진행 가능으로 판단하였다면), 본 실시예는 S420 단계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본 실시예는 S430 단계로 진행한다.
S42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계획된 제1 진료가 예정대로 진행되도록 제1 진료를 추천한다. 진료비가 정상적으로 수납되고 있는 경우이므로, 기존의 진료 계획을 변경할 필요없이 그대로 수행하는 것이다.
S43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계획된 제1 진료를 대신하여 제2 진료를 추천한다. 이때, 제2 진료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낮은 진료일 수 있다. 진료비가 정상적으로 수납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고가의 제1 진료 대신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의 제2 진료를 추천함으로써 진료비 미수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S430 단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진료 스케쥴의 순서를 조정하여, 원래 진료 스케쥴 상에서 뒤쪽에 위치하던 제2 진료를 제1 진료의 앞으로 가져오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S431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를 대신하는 진료로서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제2 진료를 선택한다. 가령,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원래 진료 스케쥴 상 제1 진료의 뒤쪽에 위치한 진료들 중에서,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으면서 현 단계에서 제1 진료를 대신하여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는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한다. 도 2의 실시예를 예로 들면, 현 치료 단계가 3차 진료인 경우, 고가의 보철 1차를 대신하는 제2 진료로서 스케일링 치료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진료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단계에서 제1 진료를 대신하여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는 진료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목록 중에서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으면서 진료 스케쥴 상 제1 진료보다 뒤쪽에 위치한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진료 스케쥴 상 제1 진료보다 뒤쪽에 위치한 진료들 중 제1 진료를 대신하여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는 진료들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선별하고 그 중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여기서 예시하지 않은 다양한 방법들 또한 제2 진료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S432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선택된 제2 진료가 제1 진료의 앞에 오도록 진료 스케쥴 상에서 제1 진료와 제2 진료의 순서를 조정한다. 이때, 제1 진료와 제2 진료는 서로의 순서를 맞바꿀 수도 있고, 제2 진료의 진료 순서만 앞당겨 제1 진료의 앞에 배치할 수도 있다. 앞서의 예시와 같이 제2 진료가 스케일링 치료인 경우, 보철 1차와 스케일링 치료의 순서를 맞바꾸면 이후 보철 2차의 치료 순서가 어긋나게 되니, 스케일링 치료의 순서만 앞당겨 보철 1차의 앞에 배치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S433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조정된 진료 스케쥴에 따라 제2 진료를 추천한다. 의료진은 추천 진료가 무엇인지 확인한 후, 당해 진료에서 추천된 제2 진료를 진행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진료 스케쥴 상에서 제1 진료를 다른 제2 진료로 대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S434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를 대신하는 진료로서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제2 진료를 선택한다. 가령,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원래 진료 스케쥴 상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제1 진료를 대체하여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는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한다. 다만, 이는 제1 진료를 의학적으로 유효하게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진료가 있는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2 진료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단계에서 제1 진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진료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목록 중에서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1 진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진료들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선별하고 그 중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여기서 예시하지 않은 다양한 방법들 또한 제2 진료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S435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진료 스케쥴 상에서 제1 진료를 제2 진료로 대체한다. 만일, 제1 진료를 대체했을 때 후속하는 제3 진료도 다른 진료(제4 진료)로 대체해야 하는 경우,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 및 제3 진료를 각각 제2 진료 및 제4 진료로 대체할 수 있다.
S436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조정된 진료 스케쥴에 따라 제2 진료를 추천하게 된다. 의료진은 추천된 진료를 보고 당해 진료에서 제2 진료를 진행하게 된다.
도 7은 도 4의 S430 단계를 더욱 구체화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에서는 진료 스케쥴 상의 기존 진료들을 직접적으로 변경하지는 않지만 제1 진료 앞에 다른 제2 진료를 추가하여 제1 진료의 순서를 늦추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S437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를 대신하는 진료로서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제2 진료를 선택한다. 가령,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원래 진료 스케쥴 상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현 단계에서 제1 진료보다 먼저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고 진료 비용도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한다. 이는 미납된 진료비가 납부된 이후에 고가의 제1 진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현 단계에서 다른 부수적인 치료를 대신 진행하여 제1 진료의 순서를 늦추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 진료의 선택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 단계에서 제1 진료보다 먼저 수행되어도 의료적으로 문제가 없는 부수적인 진료들의 목록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목록 중에서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1 진료보다 먼저 수행 가능한 부수적인 진료들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선별하고 그 중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더 낮은 진료를 제2 진료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여기서 예시하지 않은 다양한 방법들 또한 제2 진료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S438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진료 스케쥴 상에서 제1 진료의 앞에 제2 진료를 추가하여, 제1 진료의 순서가 늦춰지도록 진료 스케쥴을 조정한다.
S439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조정된 진료 스케쥴에 따라 제2 진료를 추천하게 된다. 의료진은 추천된 진료를 보고 당해 진료에서 제2 진료를 진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하다. 다만, S1500 단계가 추가되는 점이 도 1과 상이하다. 여기서는 도 1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단계들, 즉 S1100 내지 S1200 단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S11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진료 계획 및 수납 계획을 저장한다.
S12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수납 정보를 확인한다.
S13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확인한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계획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한다.
S14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앞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한다.
S1500 단계에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제1 진료에 대응되는 적정 수납 진행률을 표시한다. S1500 단계는 의료진이 현재 진행 중인 진료 단계와 연계하여 환자의 수납 상황을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로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수납 현황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제공하거나, 미납된 잔여 진료비에 대한 수납 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S1500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참조되는 수납 진행률, 적정 수납 진행률, 및 잔여 진료 금액에 대한 수납 계획을 예시적인 형태로써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화면(20)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8에서 언급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20)에는 도 2의 화면(10)보다 추가적으로 수납 진행률(24), 적정 수납 진행률(25) 및 잔여 수납 계획(26)이 더 도시된다. 수납 진행률(24)은 전체 진료 금액에 대한 납부된 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항목이다. 적정 수납 진행률(25)은 현재 진료 단계에 대응되는 적정한 수납 진행률을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예를 들어, 수납 계획 상에서 예정한 현 진료 단계의 수납 진행률일 수 있다. 잔여 수납 계획(26)은 현재 미납된 진료비의 납부 계획을 나타내는 항목으로서, 미납 진료비가 함께 납부될 수 있도록 원래의 수납 계획을 조정한 것일 수 있다. 가령, 잔여 수납 계획(26)은 경과한 진료 단계(27)의 미납 진료비가 도래할 진료 단계(28)의 수납 계획에 추가될 수 있도록 도래할 진료 단계(28)의 수납 계획을 일부 또는 전부 수정한 것일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도래할 진료 단계(28)의 수납 계획을 일부 수정하여 1/15일에 미납 진료비를 포함한 20만원을 수납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한편,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도 9에서 예시한 것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수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환자들의 수납 현황에 대한 통계 정보로서, 환자들의 평균 수납 기간, 평균 수납 진행률, 평균 미납 진료비, 또는 미수 진료비의 평균 회수율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는 여기서 예시하지 않은 다양한 통계 정보들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장치(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팅 장치(500)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언급한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가 구현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도 10은 컴퓨팅 장치(500)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510), 버스(550), 통신 인터페이스(570),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530)와,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저장하는 스토리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500)는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팜(server farm)에 소속된 물리 서버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컴퓨팅 장치(5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1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5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3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5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591)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530)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30)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550)는 컴퓨팅 장치(5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55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컴퓨팅 장치(5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57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591)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590)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91)이 메모리(53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510)는 상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591)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료는,
    상기 제1 진료보다 진료 비용이 낮은 진료인,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2 진료의 순서가 상기 제1 진료의 순서보다 앞서도록 상기 제1 진료 및 상기 제2 진료의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1 진료를 상기 제2 진료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진료 스케쥴 상에서 상기 제1 진료의 순서가 늦춰지도록 상기 제1 진료의 앞에 상기 제2 진료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정보는,
    전체 진료 금액에 대한 납부된 금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납 진행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납 진행률을 상기 제1 진료와 매칭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료에 대응되는 적정 수납 진행률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정 수납 진행률을 표시하는 단계는,
    잔여 진료 금액에 대한 수납 계획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9.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진료 스케쥴 관리 장치.
  10.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수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납 정보에 기반하여, 진료 스케쥴 상 예정된 제1 진료의 진행 가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진료와 상이한 제2 진료를 추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68937A 2019-12-17 2019-12-17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35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37A KR102359593B1 (ko) 2019-12-17 2019-12-17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37A KR102359593B1 (ko) 2019-12-17 2019-12-17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68A true KR20210077368A (ko) 2021-06-25
KR102359593B1 KR102359593B1 (ko) 2022-02-08

Family

ID=76629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37A KR102359593B1 (ko) 2019-12-17 2019-12-17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5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JP2008117177A (ja) * 2006-11-06 2008-05-22 Hitachi Medical Corp 健診情報入力システム
US20100235295A1 (en) * 2006-10-03 2010-09-16 Amanda Zides Identifying one or more healthcare providers
KR20140050352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22106A1 (en) * 2012-10-25 2014-05-01 Analyte Healt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dministration of a Medical Test to a User
KR20140137852A (ko) * 2013-05-24 2014-12-0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012197A1 (en) * 2014-04-01 2016-01-14 Ersno Eromo Health advising system
KR20170086793A (ko)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엠티비 ICT IoT 스마트 베드사이드터미널을 통한 스마트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3552A (ja) * 2017-09-15 2019-04-04 株式会社ヘルスケアシステムズ 情報処理装置、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10A (ko) * 2004-04-16 2005-10-20 이노범 치과병원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100235295A1 (en) * 2006-10-03 2010-09-16 Amanda Zides Identifying one or more healthcare providers
JP2008117177A (ja) * 2006-11-06 2008-05-22 Hitachi Medical Corp 健診情報入力システム
KR20140050352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22106A1 (en) * 2012-10-25 2014-05-01 Analyte Healt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Administration of a Medical Test to a User
KR20140137852A (ko) * 2013-05-24 2014-12-03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012197A1 (en) * 2014-04-01 2016-01-14 Ersno Eromo Health advising system
KR20170086793A (ko) 2016-01-19 2017-07-27 주식회사 엠티비 ICT IoT 스마트 베드사이드터미널을 통한 스마트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3552A (ja) * 2017-09-15 2019-04-04 株式会社ヘルスケアシステムズ 情報処理装置、レコメン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593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129B2 (en) Customizing names of insulin delivery profiles for improved patient safety
US8156070B2 (en) Insulin pump programming software with basal profile preview feature
US20180158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and managing flexible loans
US20070245306A1 (en) User Interface Image Element Display and Adaptation System
US9183523B2 (en) Recommending electronic content based upon user availability
EP2763064B1 (en) Method for configuring an insulin pump with configuring device
JP4959655B2 (ja) 高性能ルールエンジン
KR102407259B1 (ko) 전자차트를 이용한 치아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장치
WO2014027286A2 (en)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ation of algorithmic guidelines
US20100088497A1 (en) Software updating of a server supporting electronic gaming machines
KR102359593B1 (ko)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6277223A (ja) 融資返済に伴う余裕金積立管理システム及び余裕金積立管理方法
WO2014127308A1 (en) Portfolio decumulation and risk management
US2008027017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djusting a quantity of an item supplied in preparation for a medical procedure
US110804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web server
US20210110005A1 (en) License management apparatus,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license management program
WO2008141330A1 (en) System and process for protected retirement asset management
JP5678729B2 (ja) 情報処理装置、作業重視度算出方法、および作業重視度算出プログラム
JP2012064065A (ja) 保健指導支援計画作成システム
JP5256631B2 (ja) レセプト修正支援プログラム、レセプト修正支援装置、及びレセプト修正支援方法
Tetteh Assuring health commodity security in resource-poor settings
JP6089944B2 (ja) チェック項目作成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5295395B2 (ja) データ処理装置
US20170046674A1 (en) Generating a payment plan for payments du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fund sources
JP2009020584A (ja) 資産運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