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125B1 -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125B1
KR102194125B1 KR1020170087848A KR20170087848A KR102194125B1 KR 102194125 B1 KR102194125 B1 KR 102194125B1 KR 1020170087848 A KR1020170087848 A KR 1020170087848A KR 20170087848 A KR20170087848 A KR 20170087848A KR 102194125 B1 KR102194125 B1 KR 10219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pital
reservation
self
unit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754A (ko
Inventor
고태연
양희영
장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티티
Priority to KR102017008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1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을 자가 진단하고, 자가 진단 결과 질병이 예상되면 예상 질병과 관련된 병원을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자동 예약하여 증상에 알맞은 병원을 최적으로 찾아 병원을 예약함으로써, 병원 예약의 편리함을 도모해주도록 한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기반으로 병원 예약 장치와 접속하여, 사용자 및 등록된 가족의 자가진단을 요청하고 병원 예약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 수행 결과에 의해 증상이 검출되면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검출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한 후, 병원을 예약하는 병원 예약 장치를 포함하여,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Hospital reservation system with family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을 자가 진단하고, 자가 진단 결과 질병이 예상되면 예상 질병과 관련된 병원을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자동 예약하여 증상에 알맞은 병원을 최적으로 찾아 병원을 예약함으로써, 병원 예약의 편리함을 도모해주도록 한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온라인 기반의 자가진단 시스템은 자가진단을 위한 다수의 질의에 답변 버튼이 Radio 버튼으로 구성되어, 보통 1개의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답변 항목이 복수(대략 10개)로 구분되어 사용자가 취사선택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아울러 자가 진단의 결과를 표시해주는 방법으로는, 전문 의학적인 용어를 기초로 진단 증상이 표시된다.
또한, 일반적인 병원 진료 안내 및 예약 시스템은, 병원의 콜센터(call center)를 통한 전화 진료 안내 또는 예약 시스템이 주를 이룬다. 즉, 진료를 받고자 하는 자 또는 예약을 하고자 하는 자(클라이언트)는 병원의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담당 전문의 파악, 해당 전문의의 스케줄 등을 파악하여 예약해야 하는 불편함과, 해당 병원에 국한된 정보 제공이라는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병원 진료 안내 및 예약 시스템에 관해 알려진 다른 기술로는, 병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web site)에 접속하여 해당 병원의 담당 전문의의 스케줄을 확인하고 진료 일자를 예약하는 방법 또는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병원의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진료 예약을 하는 기술보다는 상당히 진보된 것이기는 하지만, 클라이언트가 접속한 병원의 웹사이트에 클라이언트가 의심 가는 병에 대한 전문의 스케줄이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담당 전문의가 없을 경우에는 다른 병원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예약 신청을 하거나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예약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자가진단 시스템 및 병원 예약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또 다른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대학 병원 및 종합 병원, 건강 검진 센터, 전문 클리닉에 관한 전문의 리스트, 진료 시간표, 진료 현황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병원 진료 안내 및 예약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가 예약 신청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상 병원 및 전문의 진료 현황을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병원의 의사에게 진료 예약을 대행해 주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병원 예약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장치로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병원을 검색한 검색 결과 및 검색된 병원에서의 진료관련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말장치의 사용자로 하여금 근처 병원과 병원의 진료관련정보를 빠르게 인지하고 적합한 병원을 선택하여 진료를 예약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해당 병원으로의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병원 또는 의원의 전문의 리스트, 예약 현황, 진료 시간표 등이 나타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의사에 대해 진료 예약을 수행하고, 동일 플랫폼 내의 병원에 대해서는 과거 진료 기록을 공유하여 중복되는 진료 절차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진료예약 방법 및 진료예약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병원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 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07506(2002.01.29. 공개)(인터넷 기반 병원 진료 예악 방법과 그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8489(2011.11.30. 공개)(병원 예액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4570(2016.12.19. 공개)(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9224(2017.05.10. 공개)(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자가 진단 및 병원 예약 시스템은 진단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너무 복잡하여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선택 답변 버튼이 Radio 버튼으로 되어 있어 1개의 답변만을 선택하도록 하거나, 10개가 넘는 답변 항목의 구분이 모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답변 선택의 어려움을 수반하여 진단에 대해 신뢰도가 하락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체크 박스를 통해 답변을 유도하는 방식은 증상과 함께 해당 없음 버튼이 동시에 존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자가 진단 및 병원 예약 시스템은 예상 진단 결과를 표시해주는 방법으로서, 전문적인 의학 용어를 사용하여 일반인이 진단 질병을 이해하기 어려우며, 자신의 상황 정보를 입력했을 시 뇌경색, 간암, 백혈병 등 일반인이 느끼기에 너무나 큰 병명들이 예상 질병 결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자간 진단을 꺼리는 요소로 작용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언급한 종래기술들은 자가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자신의 질병을 자가진단하는 것은 가능하나, 상기 자가 진단 애플리케이션을 가족의 건강 정보를 함께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들은 자가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질병을 예상하고, 예상한 질병에 최적화된 병원을 자동으로 찾아 예약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을 자가 진단하고, 자가 진단 결과 질병이 예상되면 예상 질병과 관련된 병원을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자동 예약하여 증상에 알맞은 병원을 최적으로 찾아 병원을 예약함으로써, 병원 예약의 편리함을 도모해주도록 한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기반으로 병원 예약 장치와 접속하여, 사용자 및 등록된 가족의 자가진단을 요청하고 병원 예약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 수행 결과에 의해 증상이 검출되면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검출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한 후, 병원을 예약하는 병원 예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예약 장치는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을 자가진단하는 자가 진단부; 상기 자가 진단부에서 자가진단한 결과 증상이 검출되거나 사용자의 예약 요청에 따라 진단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하고, 복수의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탐색 및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예약 장치는 상기 자가 진단부와 연동하여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 결과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가족의 의료 정보를 의료수첩 형태로 제공하는 가족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예약 장치는 상기 복수의 병원 서버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된 질의에 대해 답변을 추출하고, 추출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문의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상기 자가 진단부로부터 제공되는 자가 진단 결과인 예상 증상을 획득하는 예상증상 획득부; 상기 예상증상 획득부에서 자가 진단 결과로 증상이 획득되면,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와 병원 간의 거리 정보, 진료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적 병원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칭 및 증상/진료과목 정보, 자체 추천 병원과 내 주변 병원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로부터 최단거리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소비자의 평가 및 자체 병원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병원을 평가하여 랭킹을 정하고, 상기 랭킹 기반으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창에 병원 이름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병원을 탐색하고, 탐색한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병원을 예약하는 명칭검색기반 병원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최적 병원 예약부는 사용자 단말기 위치나 선택되는 위치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탐색할 병원의 반경을 설정하는 탐색반경 설정부; 상기 탐색반경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탐색 반경 내의 탐색된 병원의 목록 정보를 표시해주는 병원 목록 표시부; 표시된 병원 중 특정 병원이 선택되면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특정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예약요청 메시지 전송부; 상기 특정 병원에서 전송된 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주는 병원정보 표시부; 표시된 병원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약 병원을 선택하면, 해당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기반으로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을 자가 진단하고, 자가 진단 결과 질병이 예상되면 예상 질병과 관련된 병원을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자동 예약하여 증상에 알맞은 병원을 최적으로 찾아 병원을 예약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가진단 결과의 정보 표시 시 전문 의학용어가 아닌 일반인이 알기 쉬운 용어로 재해석하여 표시해줌으로써, 일반인이 자가 진단을 통해 예상되는 질병 등을 좀 더 쉽게 인지하도록 해주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예약 가능한 병원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병원 탐색 및 예약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최적 병원 예약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최적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최단거리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랭킹 기반 병원을 예약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문의 처리부에서 사용자의 질의 및 응답을 처리하는 화면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에서 가족 관리부에서 가족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네트워크(200), 병원 예약 장치(300) 및 복수의 병원 서버(401 ~ 400+N)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온라인 기반으로 병원 예약 장치(300)와 접속하여, 사용자 및 등록된 가족의 자가진단을 요청하고 병원 예약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기기, 인터넷이 가능한 퍼스널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네트워크(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병원 예약 장치(300) 및 병원 서버(401) 간의 데이터를 상호 인터페이스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200)는 데이터망, 유/무선망. 이동통신망, 공중전화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예약 장치(300)는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와 접속하여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 수행 결과에 의해 증상이 검출되면 병원 서버(401 ~ 400+N)와 연동하여 검출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한 후, 병원을 예약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병원 예약 장치(300)는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을 자가진단하는 자가 진단부(310), 상기 자가 진단부(310)에서 자가진단한 결과 증상이 검출되거나 사용자의 예약 요청에 따라 진단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하고, 복수의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탐색 및 예약부(320), 상기 자가 진단부(310)와 연동하여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 결과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하고,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와 연동하여 가족의 의료 정보를 의료수첩 형태로 제공하는 가족 관리부(330), 상기 복수의 병원 서버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요청된 질의에 대해 답변을 추출하고, 추출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문의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3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가 진단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자가 진단 결과인 예상 증상을 획득하는 예상증상 획득부(321), 상기 예상증상 획득부(321)에서 자가 진단 결과로 증상이 획득되면,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100)와 병원 간의 거리 정보, 진료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적 병원 예약부(322),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칭 및 증상/진료과목 정보, 자체 추천 병원과 내 주변 병원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로부터 최단거리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323), 소비자의 평가 및 자체 병원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병원을 평가하여 랭킹을 정하고, 상기 랭킹 기반으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324), 사용자에 의해 검색창에 병원 이름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병원을 탐색하고, 탐색한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병원을 예약하는 명칭검색기반 병원 예약부(3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최적 병원 예약부(3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위치나 선택되는 위치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322a),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탐색할 병원의 반경을 설정하는 탐색반경 설정부(322b), 상기 탐색반경 설정부(322b)에 의해 설정된 탐색 반경 내의 탐색된 병원의 목록 정보를 표시해주는 병원 목록 표시부(322c), 표시된 병원 중 특정 병원이 선택되면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특정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예약요청 메시지 전송부(322d), 상기 특정 병원에서 전송된 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주는 병원정보 표시부(322e), 표시된 병원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약 병원을 선택하면, 해당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예약부(322f)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자신 및 가족의 건강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질병 증상이 예상되면 병원을 예약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기반으로 병원 예약 장치(300)가 운영하는 병원 예약 사이트를 접속하여, 병원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이어, 상기 다운로드 받은 병원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필요한 정보(사용자 정보, 가족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어, 병원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자가진단을 선택하고 사용자 또는 가족의 건강 자가 진단을 위해, 자가진단 대상자를 선택하고, 자가 진단 및 병원 예약을 요청한다. 여기서 자가 진단 대상자 선택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가 진단 항목을 선택하면 등록된 가족 정보가 표시되고, 이를 통해 간단하게 자가진단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자가진단 대상자가 선택되면, 병원 예약 장치(300)의 자가 진단부(310)는 진료 알고리즘과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자가진단 대상자의 건강을 자가진단한다.
여기서 진료 알고리즘은 의학교과서에 개시된 진료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실제 병원에서 환자의 초기 진료에 사용하는 자료를 토대로 상기 의학교과서에 개시된 진료 알고리즘을 단순화한 알고리즘이다.
아울러 더욱 정확한 의학적 안정성을 위해, 진료 알고리즘에 포함되는 모든 분과에 자문의사를 위촉하여 자문 정보를 부가하여, 건강 상태를 자가 진단하고, 질병이 예상되는 증상을 검출한다.
여기서 진료 알고리즘에는 질병의 증상을 예측하기 위해 미리 정형화된 진단 질문과 복수의 답변 항목을 포함한다. 답변의 복수 선택이 가능하다.
그리고 답변을 분석하여 특정 질병이 예상되는 증상이 검출되면, 자가 진단 결과를 의학적인 관점에서 의학적인 용어로 추출하고, 이를 다시 일반인이 알기 쉽게 재해석을 통해 예상 질병에 대해 증상을 자가 진단 결과로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자가 진단 결과 정보를 병원 탐색 및 예약부(32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병원 탐색 및 예약부(320)는 상기 자가 진단부(310)에서 자가진단한 결과 증상이 검출되거나 사용자의 예약 요청에 따라 진단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하고, 복수의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을 수행한다.
여기서 병원 탐색 및 예약은 빠른 예약 가능한 병원 찾기 및 예약, 내 위치기준 가까운 거리의 병원 찾기 및 예약, 자체 랭킹 시스템에 의한 병원 찾기 및 예약, 명칭 검색으로 병원 찾기 및 예약 등의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최적의 병원을 탐색하고 예약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320)는 예상증상 획득부(321)에서 상기 자가 진단부(310)로부터 제공되는 자가 진단 결과인 예상 증상을 획득하여, 최적 병원 예약부(322), 랭킹 기반 병원 예약부(324) 등에 제공한다.
상기 최적 병원 예약부(322)는 상기 예상증상 획득부(321)에서 자가 진단 결과로 증상이 획득되면,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100)와 병원 간의 거리 정보, 진료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한다.
예컨대, 최적 병원 예약부(322)는 위치 설정부(322a)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위치를 현재 위치로 설정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정보를 병원 예약 장치(300)에 제공하거나, 도 4a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병원 찾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다른 위치를 돋보기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가 확보되면, 다음으로 탐색 반경 설정부(322b)에 의해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탐색할 병원의 반경을 설정한다. 여기서 반경 설정은 500m ~ 15km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반경 설정으로 500m ~ 15km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근거리 또는 원거리를 설정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반경 설정이 되면, 병원 목록 표시부(322c)는 상기 탐색반경 설정부(322b)에 의해 설정된 탐색 반경 내의 탐색된 병원의 목록 정보를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해준다. 여기서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는 증상별 각각의 전문 병원에 대한 정보가 미리 등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목록 정보는 찾은 병원의 개수 정보와 해당 병원의 이름 정보, 그리고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목록 정보 표시시 해당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부가적으로 해당 병원의 현재 진료 상태 정보를 표시해주면, 사용자가 예약 병원을 선택하는 데 더욱 효율적이다. 현재 진료 상태정보는 아이콘이나 LED 램프를 이용한 컬러 정보로, 현재 상담이 가능한 병원, 현재 상담이 불가능한 병원, 현재 진료가 불가능한 병원, 현재 진료가 가능한 병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들의 목록 정보를 보고 사용자는 병원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병원을 먼저 선택한 후, 병원 예약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병원 예약이 요청되면, 예약요청 메시지 전송부(322d)는 목록에 표시된 병원 중 특정 병원이 선택되면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특정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병원의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병원을 선택하지 않았으면, 목록에 포함된 모든 병원에 예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병원의 서버는 이를 기반으로 해당 병원의 진료 정보나 상태 정보 등을 검색하여 예약 가능 여부 정보와 예약 가능 일시 정보를 병원 정보로 상기 병원 예약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당일 예약을 기준으로 예약 가능 여부 정보와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병원 정보를 수신한 병원 정보 표시부(322e)는 상기 특정 병원에서 전송된 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준다. 도 4b는 상기 특정 병원에서 전송된 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표시해주는 예시이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병원에 대하여 예약 병원을 선택하면, 병원 예약부(322f)는 해당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로 전송하고, 해당 병원 서버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화면에 예약 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한편, 병원 예약의 다른 방법으로서,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323)는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칭 및 증상/진료과목 정보, 자체 추천 병원과 내 주변 병원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로부터 최단거리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게 된다.
예컨대,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323)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단거리 병원찾기(가까운 병원찾기)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검색창에 입력하는 병원 명을 기초로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를 검색하여 해당 병원을 탐색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에 해당하는 병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를 화면에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다른 병원 명을 입력하거나 잘못 입력한 병원 명을 다시 정확하게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에 해당하는 병원이 찾아지면, 증상별 또는 진료과목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증상에 맞는 진료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최단거리 병원 찾기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에 의해 증상이나 진료 분과가 선택되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체 추천병원"과 "내 주변 병원"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해주어, 사용자가 시스템에서 추천해주는 병원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병원에 대하여 예약 병원을 선택하면, 해당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정보를 상기 병원 서버로 전송하고, 해당 병원 서버로부터 예약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하여 화면에 예약 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해주게 된다.
다음으로, 병원을 탐색하고 예약을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랭킹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324)는 소비자의 평가 및 자체 병원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평가된 후,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랭킹이 정해진 병원 정보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추출하여 도 6a와 같이 화면에 표시해준다.
여기서 랭킹 시스템의 특성상 보다 높은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한 소비자(사용자)의 욕구가 반영되는 것이기에, "지금 진료 가능한 병원"을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더욱 많은 옵션을 부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랭킹시스템에 의한 병원 예약 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병원의 이름을 검색하여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병원 명을 입력하면, 해당 병원의 정보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로 탐색하고, 탐색한 특정 병원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해준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병원 정보로는 병원 명, 거리, 상담가능 여부, 진료 가능 여부, 지도, 문의하기, 예약하기, 길 찾기, 전화 걸기, 평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병원 정보를 보고 사용자는 해당 병원을 선택하거나 다른 병원을 찾을 수 있다. 즉, 거리나 진료 가능하지만 평점이 너무 낮으면 의료 서비스에 문제가 많은 병원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병원을 찾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평점이나 자체 병원 평가를 통해 각각의 병원에 대해 평점을 부여하고, 이를 랭킹 시스템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입장에서는 의료 서비스 질이 좋은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병원 입장에서는 의료 서비스 질을 높여 병원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의료 관련 질에 대해 실시간으로 응답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문의 처리부(340)는 복수의 병원 서버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요청된 질의에 대해 답변을 추출하고, 추출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즉, 문의 처리부(340)는 사용자가 병원 예약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질의 및 응답 항목을 선택하면,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SNS 메신저 스타일의 대화 창을 화면에 표시해준다.
사용자는 이러한 대화 창을 통해, 비급여 시술 및 진료 사항, 의료 상담 당을 요청하게 되고, 이러한 요청이 발생하면 병원 예악 장치(300)의 문의 처리부(340)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의료정보, 병원 서버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질의한 것에 대해 최적의 답을 찾고,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대화창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의 건강관리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가족 정보를 제공하고, 병원 예약 장치(300)에 가족으로 등록을 한다. 도 8a는 가족으로 등록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이러한 가족 등록 화면을 통해 자유롭게 가족을 추가 등록하거나 등록된 각족을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족 등록이 완료된 후, 병원 예약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인 화면에서 자가 진단을 선택하면 도 8b와 같은 가족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어, 특정 사람을 선택하면, 이전에 설명한 사용자 자가진단 방식과 동일하게 자가 진단을 하여 질병이 예상되는 증상을 찾고, 증상을 찾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병원을 찾아 예약을 하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가족 건강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가 진단 과정, 병원 예약 과정 등은 전술한 사용자의 자가진단 과정, 병원 예약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아울러 가족 관리부(330)는 사용자는 물론 자가진단 등을 수행한 가족의 건강관리 정보를 캘린더 형태의 병원 수첩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화면에 제공해준다.
도 8c는 캘린더 형태로 사용자 및 가족 건강 정보인 병원 수첩을 제공해주는 화면의 예시이다. 사용자 및 가족에게 각각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도 8d는 가족 구성원에게 가족 구성원 구분을 위한 색상 정보를 선택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이다.
캘린더 형태의 가족 건강관리 정보 제공은 도 8c와 같이 월 단위 캘린더를 이용하여 제공해주는 것을 기본으로, 도 8e와 같이 주 단위 캘린더를 이용하여 제공해줄 수도 있으며, 도 8f와 같이 일 단위 캘린더를 이용하여 제공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은 물론 가족 구성원에 대해서도 건강관리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건강 상태를 자가진단하거나 증상에 알맞은 병원을 최적으로 찾고 병원 예약을 편리하게 수행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네트워크
300: 병원 예약 장치
310: 자가 진단부
320: 병원 탐색 및 예약부
321: 예상 증상 획득부
322: 최적 병원 예약부
322a: 위치 설정부
322b: 탐색반경 설정부
322c: 병원목록 표시부
322d: 예약요청 메시지 전송부
322e: 병원 정보 표시부
322f: 병원 예약부
323: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
324: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
325: 명칭검색기반 병원 예약부
330: 가족 관리부
340: 문의 처리부
350: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기반으로 병원 예약 장치와 접속하여, 사용자 및 등록된 가족의 자가진단을 요청하고 병원 예약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여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을 수행하고, 자가진단 수행 결과에 의해 증상이 검출되면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검출된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한 후, 병원을 예약하는 병원 예약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예약 장치는 진료 알고리즘 및 분야별 자문의사의 자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및 가족을 자가진단하는 자가 진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가 진단부는 답변을 분석하여 특정 질병이 예상되는 증상이 검출되면, 자가 진단 결과를 의학적인 관점에서 의학적인 용어로 추출하고, 추출한 의학적인 용어를 다시 일반인이 알기 쉽게 재해석을 통해 예상 질병에 대해 증상을 자가 진단 결과로 추출하며,
    상기 병원 예약 장치는 상기 자가 진단부와 연동하여 사용자 및 가족의 자가진단 결과를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가족의 의료 정보를 의료수첩 형태로 제공하는 가족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족 관리부는 자가진단 등을 수행한 가족의 건강관리 정보를 캘린더 형태의 병원 수첩으로 기록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화면에 제공해주되, 사용자 및 가족에게 각각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하고, 캘린더 형태의 가족 건강관리 정보 제공은 월 단위 캘린더, 주 단위 캘린더 및 일 단위 캘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공해주며,
    상기 병원 예약 장치는 상기 자가 진단부에서 자가진단한 결과 증상이 검출되거나 사용자의 예약 요청에 따라 진단 증상에 대응하는 병원을 탐색하고, 복수의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탐색 및 예약부를 포함하고,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소비자의 평가 및 자체 병원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병원을 평가하여 랭킹을 정하고, 상기 랭킹 기반으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를 포함하되,
    상기 랭킹기반 병원 예약부는 랭킹 기반으로 예약 병원을 탐색할 때 현재 시점으로 진료 가능한 병원을 이용한 랭킹 기반으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병원 예약 장치는 상기 복수의 병원 서버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된 질의에 대해 답변을 추출하고, 추출한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문의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상기 자가 진단부로부터 제공되는 자가 진단 결과인 예상 증상을 획득하는 예상증상 획득부; 상기 예상증상 획득부에서 자가 진단 결과로 증상이 획득되면,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기와 병원 간의 거리 정보, 진료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예약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적 병원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6. 청구항 1에서,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병원 명칭 및 증상/진료과목 정보, 자체 추천 병원과 내 주변 병원 정보를 기초로 현재 위치로부터 최단거리 병원을 탐색하고, 사용자의 병원 선택에 따라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병원을 예약하는 최단거리 병원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5에서, 상기 병원 탐색 및 예약부는 사용자에 의해 검색창에 병원 이름이 입력되면, 이를 기반으로 병원을 탐색하고, 탐색한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가능 시간 정보를 기초로 병원을 예약하는 명칭검색기반 병원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9. 청구항 5에서, 상기 최적 병원 예약부는 사용자 단말기 위치나 선택되는 위치를 현재 위치로 설정하는 위치 설정부;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탐색할 병원의 반경을 설정하는 탐색반경 설정부; 상기 탐색반경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탐색 반경 내의 탐색된 병원의 목록 정보를 표시해주는 병원 목록 표시부; 표시된 병원 중 특정 병원이 선택되면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특정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예약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예약요청 메시지 전송부; 상기 특정 병원에서 전송된 병원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주는 병원정보 표시부; 표시된 병원에 대하여 사용자가 예약 병원을 선택하면, 해당 병원 서버와 연동하여 자동 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예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 시스템.







KR1020170087848A 2017-07-11 2017-07-11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102194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48A KR102194125B1 (ko) 2017-07-11 2017-07-11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848A KR102194125B1 (ko) 2017-07-11 2017-07-11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4A KR20190006754A (ko) 2019-01-21
KR102194125B1 true KR102194125B1 (ko) 2020-12-22

Family

ID=6527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848A KR102194125B1 (ko) 2017-07-11 2017-07-11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980B1 (ko) * 2019-04-19 2020-03-13 이정의 사용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09891B1 (ko) * 2020-06-18 2022-06-17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234025B1 (ko) * 2020-07-10 2021-03-31 진수진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3311B1 (ko) * 2021-01-06 2021-12-23 박문찬 지역화폐사용자 및 재무전문가 상호간 스마트상담 매칭 플랫폼 시스템
KR102571912B1 (ko) * 2021-03-25 2023-08-30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빅데이터 기반 의료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51369B1 (ko) * 2021-06-29 2022-10-06 강재원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7B1 (ko) * 2003-04-26 2004-05-03 정성훈 온라인 가족 진료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06A (ko) 2000-07-14 2002-01-29 노환규 인터넷 기반 병원 진료 예약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60070989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팬택 의료기관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0116A (ko) * 2010-02-02 2011-08-10 (주)필링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의료 상담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110128489A (ko) 2010-05-24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병원 예약 관련 서비스 방법
KR20140050352A (ko) * 2012-10-19 2014-04-29 주식회사 솔트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1769480B1 (ko) 2015-06-08 2017-08-18 (주)유메디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170049224A (ko) 2015-10-28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707B1 (ko) * 2003-04-26 2004-05-03 정성훈 온라인 가족 진료실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754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125B1 (ko)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Oberländer et al. Conceptualizing business-to-thing interactions–A sociomaterial perspective on the Internet of Things
AlDossary et al. The development of a telemedicine planning framework based on needs assessment
JP7131164B2 (ja)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RU2544744C2 (ru) Фильтрация информации из социальной сети с целью ее индивидуализирован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на фоне карты местности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JP6222535B2 (ja) 地域医療総合受付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132639B2 (ja) 健康情報利用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Hossain et al. Consumer acceptance of eHealth among rural inhabitants in developing countries (A Study on Portable Health Clinic in Bangladesh)
US20220083983A1 (en)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06023973A (ja) 予約管理方法、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
JP2007172275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912939B1 (ko) 사용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자기관리정보 제공시스템
CN115331835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就医便民系统
KR102165699B1 (ko)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피부질환 관리시스템
US20170103171A1 (en) More-intelligent health care advisor
JP2020016995A (ja) 医療評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KR100441968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 및 관광 통합서비스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CN115620879A (zh) 医疗检查项目的智能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01090978A1 (fr) Systeme d&#39;information medicale, procede correspondant, procede de reception d&#39;information d&#39;hopital, base de donnees d&#39;information medicale, et terminal de patient pour la reception d&#39;information d&#39;hopital
WO202113241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端末装置制御方法、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プログラム
JP6819979B1 (ja) 医療看護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057539A1 (en) Internet-based location intelligence system
US11068542B2 (en) Serviceability tracking system
AU2021103894A4 (en) Online Selection of Medical Testing Centres Using Multiple Cri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