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25B1 -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25B1
KR102234025B1 KR1020200085112A KR20200085112A KR102234025B1 KR 102234025 B1 KR102234025 B1 KR 102234025B1 KR 1020200085112 A KR1020200085112 A KR 1020200085112A KR 20200085112 A KR20200085112 A KR 20200085112A KR 102234025 B1 KR102234025 B1 KR 10223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dical staff
user terminal
healthcare servic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수진
Original Assignee
진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수진 filed Critical 진수진
Priority to KR102020008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biostatistics; ICT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related machine learning or data mining, e.g. knowledge discovery or pattern fin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eth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히스토리 로그로 전송하며,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에 대응하여 예측된 질병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진단명을 도출한 후 의료진을 매칭받는 사용자 단말 및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를 질의(Query)로 입력하여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질병을 출력하는 인공지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명을 도출하고 기 구축된 의료진 풀(Pool) 중 진단명 태그를 포함하는 의료진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WORLDWIDE INTEGRATE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HEALTH CARE SERVICE}
본 발명은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으로 전세계의 환자와 의료진을 스마트 플랫폼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고령화 사회로 인한 만성질환자의 증가와 의료 격차 해소를 위해,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국민의 의료서비스 이용 편의성 및 접근성 개선이 제기되면서 원격의료가 새로운 의료서비스 제공방식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의사는 환자를 직접 대면하여 의료도구를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하지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의사와 환자가 직접 만나지 못할 수도 있다. 지방에 있는 환자가 서울대학병원의 전문의 및 최신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장시간 차량으로 이동해야 하며, 어렵게 도착해도 병원의 병실에 여유가 없을 수 있고, 한정적인 의료인의 인력으로 예약 대기중 질병 악화 또는 예기치 못한 사망에 이르기까지도 한다. 또한, 감염병과 같이 대면접촉을 최소화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용형 컴퓨터, 유무선네트워크,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등 정보통신기술의 도움으로 의료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때, 비대면 및 원격 진료를 인공지능,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진행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37434호(2019년01월10일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088980호(2020년03월13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64816호(2017년08월14일 공고)에는, 정보 제공자의 의료 히스토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의료 히스토리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건강기록을 인공지능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처리, 정보 분석 및 질병 예측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질병 예측 정보를 정보 제공자가 방문하는 병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과, 사용자 정보와 증상 정보를 수신하여 텍스트를 빅데이터와 매칭시켜 진단명을 파악하여 병원 또는 의료진을 매칭하는 구성과, 응급구조를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응급구조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가족이나 지인의 단말로 구조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병원 및 응급차와 연계하여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수집된 의료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을 누락했거나 정확하게 입력을 하지 않는다면 정확한 결과에 이르기 어렵다. 또, 생체신호 중 일부만을 수집한다면 이 역시 하나의 생체신호로 응급신호를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구조대가 도착하는 인력 및 혈세 낭비가 된다. 그리고, 정부 의료보험으로 수가가 비교적 낮은 한국과는 대조적으로 해외 각국에서는 잦은 의료과오소송 및 로비스트의 이해관계입법에 의해 상대적으로 의료수가가 높아 코로나(COVID-19) 사태에서 병원비가 병원비가 부족하여 의사를 만나보지도 못한 채 안타까운 생명을 잃어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전세계적으로 통합된 플랫폼을 구축하여 한 국가 내에서 뿐만 아니라 국경을 초월한 초국가의료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경쟁력있는 자국의 의료업계를 수출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집하며 이와 동시에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함께 업로드받음으로써 실시간 현재 상태 모니터링은 물론 질병이나 질환을 예측하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의료 및 의약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모국어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세계 어디에서나 통합적으로 자국의 의료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며 더 나아가 의료관광으로까지 이어질 단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 영상 및 모션 디텍팅으로 SOS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오류를 제로화하고 인명의 구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및 각종 보험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청구된 보험료까지 청구나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병원 및 의료진을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까지 상호교환적으로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은 더욱 많은 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갑질천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히스토리 로그로 전송하며,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에 대응하여 예측된 질병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진단명을 도출한 후 의료진을 매칭받는 사용자 단말 및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를 질의(Query)로 입력하여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질병을 출력하는 인공지능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명을 도출하고 기 구축된 의료진 풀(Pool) 중 진단명 태그를 포함하는 의료진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신호를 수집하며 이와 동시에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함께 업로드받음으로써 실시간 현재 상태 모니터링은 물론 질병이나 질환을 예측하며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의료 및 의약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모국어 전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세계 어디에서나 통합적으로 자국의 의료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며 더 나아가 의료관광으로까지 이어질 단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성, 영상 및 모션 디텍팅으로 SOS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오류를 제로화하고 인명의 구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보험 및 각종 보험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청구된 보험료까지 청구나 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병원 및 의료진을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까지 상호교환적으로 리뷰 및 평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은 더욱 많은 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갑질천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국의 의료는 세계 최초의 전세계 통합 의료시스템을 선도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건강정보를 입력하고 의약품 정보 제공, 의료 서비스 및 헬스케어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및 결과를 도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강수첩, SOS, 비대면 치료, 번역 서비스, 쇼핑몰 서비스, 건강보험 서비스, 병원 진료 서비스, 방문 진료 서비스, 독거노인지원 서비스, 기부 서비스, 구인구직 서비스, 투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의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진료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진료 기록 데이터에 대한 소견 등을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인공지능부(320), 매칭부(330), SOS부(340), 번역부(350), 제품관리부(360), 투표부(370) 및 구인구직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로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은,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의료진 단말(400)이나 구급 단말(500)은 전문가 등록으로 인증절차서류를 등록한 후 인증이 되어야만 등록이 가능하다. 전문가는, 예를 들어, 의료진, 간병인, 사회복지사, 보건과학전공, 보건소 자살방지 심리치료사 등이 존재할 수 있지만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또, 사용자와 의료진 모두 별점 평가와 댓글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전문가 인증을 받으려면 면허증 또는 자격증 임상경력 증빙이 되어야 가능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는, 운동정보, 식습관, 체성분, 혈압, 혈당, 나이, 키 및 몸무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Vital Sign)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모두 저장하는 공간을 애플리케이션 상 "건강수첩"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이때, 건강수첩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와 응급상황에 빠른 대처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풋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자신은 물론, 가족, 지인 및 애견까지 통합적으로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건강수첩에는, 운동정보, 식습관, 체성분, 혈압, 혈당, 나이, 키, 몸무게 등 기록을 매일 등록하도록 구성되고, 기록된 건강수첩은 의료진 단말(400)과의 데이터 공유를 통해 모니터링되고,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건강 기록, 매일 식습관 운동 등으로 누적 수치가 쌓이면 미래 질병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으로 질병을 진단하고 실시간 생체정를 측정 및 건강관리를 할 수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사용자가 등록한 건강수첩을 분석해 사전에 건강에 대한 위기를 감지하고, 알람을 울리게 하며 개인맞춤질병과 병원식품습관을 알려줄 수 있다. 이때, 검진결과를 누적 관리하여 주요 검사소견 확인하고, 방문한 병원, 진료내역, 달력으로 자동복약 알림설정할 수 있으며, 의약품 주의사항 안내가 가능하고, 가족 추가시 가족 처방기록 확인 가능하며, 반려동물 추가 시 반려동물도 방문한 병원의 진료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걸음수 카운트 기능, 식단관리, 흡연, 음주, 수면 습관 등을 자동기록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수동으로 입력받거나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설문조사와 건강수첩을 통해서 나의 건강상태 확인, 질병이 있다면 의심되는 질병이 확인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미래 질병을 예측할 수 있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치의 매칭을 통해 실시간으로 간단한 처방을 받을 수 있으며,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관리 안내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의 오명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매일의 기분을 10단계로 구분하여 기분체크와 설문조사해서 건강수첩에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여성맞춤형으로 생리주기관리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유방암, 자궁암, 난소암, 갱년기 등 건강위험도 체크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임신, 출산 그리고 어린이를 위한 건강관리 수첩이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개인 맞춤 다이어트 식단부터 필요한 종류의 운동을 추천할 수 있다.
또, 생체신호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피부 유수분을 측정하거나, 활력신호를 측정하거나, 간편하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연동 제품이 다수 존재하므로, 이와 연동하거나 스마트 단말만을 이용하여 측정 및 수집될 수 있다. 또, 코골이, 이갈이 등을 녹음할 수 있도록 코고는 시점, 이가는 시점만을 인식하여 녹음을 동기화시키고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수면습관교정에 대한 진료 근거를 의료진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 사람의 감정이나 기분을 어조로 판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심리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도 있고, 인공지능 모니터링 헬스케어 제품 등과 연동되어 수집을 할 수도 있으며, 측정된 모든 데이터는 건강수첩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 조명의 조도를 확인하거나, 사용자의 활동량 체크 등도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면습관을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추후 계속적으로 개발될 인공지능 헬스케어 제품과 연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심전도 어드바이스 기능으로 인체 균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정 운동량을 제안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피트니스 밴드 등 환자가 상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센서를 탑재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치를 자동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부(320)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를 질의(Query)로 입력하여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질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인공지능부(320)는, 담당 주치의, 예를 들어 의료진 단말(400)의 인간의 입력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400)은,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특히 코로나 감염증상 의심 또는 완치환자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수첩 히스토리 로그와, 인공지능 검진기록을 이용하여 매일 필수적으로 실시간 예방건강 모니터링으로 신체적 건강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공지능부(320)는 환자의 질병에 대한 증상을 묻는 질문 등록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도 있다. 또, 인공지능부(320)는 사용자의 건강수첩 기반으로 관련 의료진 모두 매칭하여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문자, 메일, 카카오톡 알림으로 빠른 매칭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체 내 사진, 영상, 통화, 영상통화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의료진에게 직접 대화창을 만들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위험환자에 대해서는 인공지능부(320)와 의료진 단말(400)이 배치되어 환자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특히 코로나감염증상 의심 또는 완치환자 건강수첩 히스토리 로그와 인공지능 검진 기록은 매일 필수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간 예방건강 모니터링으로 신체적 건강 최적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히스토리 로그로 전송하며,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에 대응하여 예측된 질병을 수신할 수 있다.
매칭부(3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명을 도출하고 기 구축된 의료진 풀(Pool) 중 진단명 태그를 포함하는 의료진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0)로 매칭할 수 있다. 또는, 매칭부(330)는, 건강수첩으로 개인맞춤 병원이나 진료과목 매칭할 수 있고, 도 4의 (b)와 같이 가야 하는 진료과목 중 내가 원하는 시간에 예약가능한 병원을 매칭해줄 수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이나 약국 찾기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진단명을 도출한 후 의료진을 매칭받을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또한, 매칭부(330)는, 개인맞춤 병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여의사 또는 전문의 등의 태그나 검색어를 이용하여 의료진을 선택할 수 있으며, 희망하는 검진기관, 항목, 검진일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기능도 추가될 수 있다. 덧붙여서, 매칭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의료진 단말(400)의 처방전을 발급받고 약국으로 가는 동안 약국 단말(미도시)로 처방전을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100)에서 결제를 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결제를 완료하면 약국 단말은 알람을 울리고 조제를 시작하며 사용자가 도착했을 때 바로 픽업할 수 있게 된다.
SOS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단어의 음성인식 또는 기 설정된 모션의 모션인식이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500)과 매칭하여 응급출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에 인공지능 기능이 내장되어 있고, "SOS"라고 사용자가 음성발화하면 비상출동이 가능한 서비스이다. 이때, 음성인식 및 자연어처리 알고리즘은 공지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히 기술하지는 않는다. 물론, 영상인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급상황 발생시 "SOS"라고 말하면 미리 지정해 놓은 지인, 가족, 지인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의료진이나 구급차를 매칭하여 출동하도록 한다. 이때, 매칭 후 환자의 음성을 듣기 위해 호 연결을 하거나, 영상통화 자동 연결, 바이탈사인을 알 수 있는 영상 분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국민 위급상황 SOS 설정"을 하는 경우, SOS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가까운 거리 내에서 응급상황을 누른 회원을 도울 수 있게 알람 울리게 할 수도 있다. 또, 위험우려환자의 안심귀가 체크하기도 가능하며, 환자가 안심귀가 미응답시 병원에서 확인 후 전화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코로나19 알람이나 동선 위험지역 지도에서 오버레이로 색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응급환자 발생 또는 치료가 어려운 환자 발생 시 영상과 음성파일 상황을 축적하고, 진료기록이나 저장된 학술기록 모두 파악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가장 시급한 치료를 분석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또, SOS부(340)는 코로나 확진자가 다녀간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인식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코로나 감염률을 파악할 수도 있고, 폐렴균 관련 환자병력 확률도 포함시킬 수 있다. 또, SOS부(3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심전도나 심박수 또한 사용자의 건강수첩에 매일 실시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심뇌혈관계 이상상태 등에 대하여 SOS를 환자가 외치기 전 SOS부(340)가 의료진에게 알려주어 사전에 감지하고 응급상황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심장박동수로 부정맥, 서백, 빈맥과 심장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상술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상세한 알고리즘은 공지기술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번역부(350)는, 실시간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되는 화면 또는 음성을 사용자의 모국어를 기반으로 번역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대화창이나 커뮤니티에 번역부(350)가 동작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모든 나라 맞춤형으로 실시간 대화창을 번역해주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어떤 나라의 언어로 이야기해도 모국어를 기준으로 대화창이 자동번역되는 기능인데, 모든 세분화 카테고리에 전부 실시간 대화창을 탑재하고, 각 분야별로 전문가들과의 실시간 대화창으로 이야기할 수 있으며, 의뢰인 및 가입자 간의 실시간 대화창도 가능하다. 여성들의 실시간 대화창이나 같은 질병을 가졌거나 관심있는 사람들과의 실시간 통합 대화창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임신, 출산 여성들의 실시간 대화창이나, 성형과나 피부과 관련 실시간 대화창, 성형 부작용 사례를 실시간 대화창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비공개로 대화도 가능하다. 또, 교통사고 실시간 대화창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 적용분야는 특허법에서 중요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선언적 나열은 하지 않는다. 이때, 회원 초대로 서로 매칭해서 줌(Zoom) 화상처럼 여러명과 실시간 화상통화도 가능하다.
제품관리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의 성분비 및 함량과, 권장량을 비교하여 그래프화하여 업로드하고, 예측된 질병 또는 진단명의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을 사용자 단말(100)로 추천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건강기능식품, 일반의약품, 헬스케어제품 쇼핑센터를 마련하는 경우, 쇼핑센터 분야에서 제품에 대한 리뷰, 별점, 순위투표, 실시간 채팅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알맞은 질병 매칭해서 관련논문, 기사, 제품, 프로그램, 유튜브 등을 볼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표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약국, 의료진 및 보험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투표를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하고, 집계 후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투표의 주체자는 병원, 약국, 의료진, 보험회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전국 병원 의료서비스를 투표하여 병원의 순위를 집계하고, 예를 들어, 3 달에 한 번씩 동기화할 수 있으며, 매일 맨 위로 의료관련 전세계 최신 뉴스가 뜰 수 있게 연동이 반영될 수 있다.
구인구직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구인구직 이벤트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과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의 조건을 비교하여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도 4의 (d)를 참조하면, 병원은 의료진 구하기, 의료진은 병원 취직하기의 니즈가 있는데, 사용자의 건강수첩에 기반하여 의료진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사용자(환자) 매칭을 받아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카오택시처럼 환자가 의료비를 결제하면 클릭해서 먼저 매칭되는 의료진이 방문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조사결과 취업률 100프로인 의료진들이 졸업 후 면허취득 후에도 자신의 시간을 갖고 싶어 프리랜서 또는 다른 직업을 갖는 경우가 많고, 연휴, 법정휴일, 연차나 휴가 등 자신의 시간을 갖는 동안에 이 고급인력들을 아르바이트로 조금씩 일하게 하면서 인력충당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는 클라우드 플랫폼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회원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는데, 의료 자문 데이터와, 의료 가이드라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의료 자문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를 포함한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료 가이드라인 데이터는,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다양한 정부기관 및 의료기관에서 관리 및 운영되고 있어서 각 기관에서 보유한 데이터들의 공유와 연계로 수집될 수 있다. 이때, 개인 건강 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과 전자 건강 기록(HER; Electronic Health Record), 스마트 헬스데이터(Smart Health Data) 등이 더 수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여기서, 인공신경망 딥러닝은, 영상 자료를 분석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간판탈출의 MRI, CT, X-RAY를 학습시키고, 새로운 요청이 수신될 때, 해당 자료가 추간판탈출의 식별자를 가지는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자문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추간판탈출의 그룹이 있을 수 있고, 척추팽윤의 그룹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자(사용자)의 그룹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후 신규 질의가 입력된 경우, 신규 질의에 포함된 객체를 분류해낼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이 설명이 되지 않은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 건강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건강수첩을 이용하여 개인맞춤형 건강보험상품을 추천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등록한 건강상품, 영수증, 보험금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휴대폰 인증을 통하여 진료결과를 조회하고 미청구된 보험까지 보험청구를 할 수 있어서 우편이 필요없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보험 청구도 건강보험 서비스를 이용하여 요청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 적용항목이나 적용기준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수 있다.
(c) 의료비 기부 서비스는 가족, 친구, 지인에게 의료비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인데, 카테코리별 의료비 지원 코너를 만들어 원하는 의료비를 기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자살률 고위험군 환자 관리, 불우이웃 후원, 장애인, 기아민에게 기부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가 기부자가 된 경우, 사용자의 프로필에 등급별 색상을 달리 입혀줄 수도 있고, 소액만 기부해도 1 단계의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기부금액을 프로필에 오픈하여 인증해줄 수도 있다. 또, 독거노인 봉사활동 매칭이나, 의료봉사 활동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고, 봉사활동을 한 사람도 어떤 봉사활동을 하였는지, 봉사활동 후기를 남기면 점수를 주고 색깔을 달리 입혀줄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가진 한국은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서 독거노인의 자살 또한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독거노인와 사회봉사자 매칭할 수 있고, 다양한 매체의 강연 콘텐츠나 우울증 치료 식품 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그리고, 이혼 우울증, 학업진학 스트레스 상담, 취업생활 스트레스 상담, 조울증 상담 등 심리치료사를 배치하고, 의료진이 고위험군 자살위험으로 판단되는 사용자는 단독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렌즈로 눈물의 PH를 파악하여 감정의 변화를 사용자의 건강수첩에 기록하고, 감정변화에 위험군으로 분류되면, 가족, 지인, 의료인에게 알람을 전송하여 환자를 관리하게 할 수 있다.
(d)는 방문진료 서비스인데, 중대 질환에 대하여 전문 의료진이 직접 사용자에게 방문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치과진료 치과위생사 구강관리교육, 예방진료 방문지원 서비스, 교정치과진료 와이어등 불편사항 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문가는 의료 서비스를 각 카테고리별로 판매할 수 있고, 정신과 진료, 심리치료, 피부과 진료, 치과예방관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사용자가 검색한 카테고리를 인식해서 관심사를 저장하고, 관심사와 매핑된 전문가가 판매하는 의료 서비스를 노출하는 추천 서비스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수집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누적하여 저장한다(S6100).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를 질의(Query)로 입력하여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예측된 질병을 출력한다(S6200). 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명을 도출하고 기 구축된 의료진 풀(Pool) 중 진단명 태그를 포함하는 의료진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로 매칭한다(S6300).
상술한 단계들(S6100~S6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히스토리 로그로 전송하며, 상기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에 대응하여 예측된 질병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진단명을 도출한 후 의료진을 매칭받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유전자 검사 결과지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를 히스토리 로그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유전자 검사 결과지 및 히스토리 로그를 질의(Query)로 입력하여 기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상기 예측된 질병을 출력하는 인공지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진단명을 도출하고 기 구축된 의료진 풀(Pool) 중 진단명 태그를 포함하는 의료진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매칭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단어의 음성인식 또는 기 설정된 모션의 모션인식이 입력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과 매칭하여 응급출동신호를 전송하는 SOS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단어의 음성인식 또는 상기 기 설정된 모션의 모션인식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칭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급 단말과 영상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상기 영상 통화 상의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화면 또는 음성을 사용자의 모국어를 기반으로 번역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되도록 하는 번역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 매칭된 상기 의료진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의료진 중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을 선택받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간의 대화창을 개설하되, 상기 개설된 대화창을 통해 입력되는 대화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번역하여 제공하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는, 운동정보, 식습관, 체성분, 혈압, 혈당, 나이, 키 및 몸무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Vital Sign)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을 등록받아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의 성분비 및 함량과, 권장량을 비교하여 그래프화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예측된 질병 또는 진단명의 태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제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제품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약국, 의료진 및 보험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투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집계 후 결과를 공유하는 투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구인구직 이벤트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의 조건을 비교하여 매칭을 수행하는 구인구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85112A 2020-07-10 2020-07-10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34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12A KR102234025B1 (ko) 2020-07-10 2020-07-10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112A KR102234025B1 (ko) 2020-07-10 2020-07-10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025B1 true KR102234025B1 (ko) 2021-03-31

Family

ID=7523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112A KR102234025B1 (ko) 2020-07-10 2020-07-10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101B1 (ko) * 2022-02-25 2022-06-10 주식회사 에이직스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KR102496567B1 (ko) * 2021-10-05 2023-02-06 주식회사 인비전랩 구강 건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39466B1 (ko) * 2021-12-22 2023-06-07 한연희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04A (ko) * 2000-04-28 2001-11-08 최형순 동화상 통신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19084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제노웰 휴대용 의료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의료 정보 전송시스템
JP2010231308A (ja) * 2009-03-26 2010-10-14 Olympus Corp 生活習慣病予防装置および生活習慣病予防プログラム
JP2011043898A (ja) * 2009-08-19 2011-03-03 Toshiba Corp 医用情報表示装置
KR101271285B1 (ko) * 2011-12-28 2013-06-04 (주)카카오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JP2013137645A (ja) * 2011-12-28 2013-07-11 Mercury Inc 医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医師の派遣方法
KR20170141326A (ko) * 2016-06-15 2017-12-26 문경곤 의약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4544A (ko) * 2017-06-09 2018-12-19 (주)클래시스 독거인 관리용 로봇, 이를 이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독거인 관리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JP2020016994A (ja) * 2018-07-24 2020-01-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104A (ko) * 2000-04-28 2001-11-08 최형순 동화상 통신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19084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제노웰 휴대용 의료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의료 정보 전송시스템
JP2010231308A (ja) * 2009-03-26 2010-10-14 Olympus Corp 生活習慣病予防装置および生活習慣病予防プログラム
JP2011043898A (ja) * 2009-08-19 2011-03-03 Toshiba Corp 医用情報表示装置
KR101271285B1 (ko) * 2011-12-28 2013-06-04 (주)카카오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JP2013137645A (ja) * 2011-12-28 2013-07-11 Mercury Inc 医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マッチング装置、および医師の派遣方法
KR20170141326A (ko) * 2016-06-15 2017-12-26 문경곤 의약품 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34544A (ko) * 2017-06-09 2018-12-19 (주)클래시스 독거인 관리용 로봇, 이를 이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독거인 관리 방법
KR20190006754A (ko) *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JP2020016994A (ja) * 2018-07-24 2020-01-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病院予約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567B1 (ko) * 2021-10-05 2023-02-06 주식회사 인비전랩 구강 건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3058942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인비전랩 구강 건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39466B1 (ko) * 2021-12-22 2023-06-07 한연희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07101B1 (ko) * 2022-02-25 2022-06-10 주식회사 에이직스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치의 데이터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2940B2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Crawley et al.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in the African American community
KR102234025B1 (ko)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ao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 of physician payment and patient trust
CN104471597B (zh) 用于患者保健计划管理的系统和方法
KR20200038628A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21319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US20190122770A1 (en) Lightweight Clinical Pregnancy Preterm Birth Predictive System and Method
Van Den Block et al. Transitions between care settings at the end of life in Belgium
Yoo et al. PHR based diabetes index service model using life behavior analysis
US20150363553A1 (en) Medical registry
Gyawali et al. Effectiveness of a female community health volunteer–delivered intervention in reducing blood glucose among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n open-label, clus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JP2023535849A (ja) 問題推奨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180025498A (ko)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25811A (ko) 생체정보 수집 및 온라인 문진을 이용한 건강관리케어 서비스 제공 서버
US20220157474A1 (en) Automated susceptibility identification and alerting in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Kataria et al. Harnessing of real-world data and real-world evidence using digital tools: utility and potential models in rheumatology practice
KR102430758B1 (ko)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한 디지털돌봄 지원시스템, 서버 및 이의 제공 방법
US20220192556A1 (en) Predictive,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wearables for mental health
Ayalon et al. Spouse-rated vs self-rated health as predictors of mortality
Mollica Assessment of trauma in primary care
Campbell Smart Telemedicine Diagnosis Systems, Biomedical Big Data, and Telehealth Outpatient Monitoring in COVID-19 Screening, Testing, and Treatment
KR102495086B1 (ko) 의료 ai 엔진을 활용한 건강검진 및 질병 예측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
Shen et al. Toward a nationwide mobile-based public healthcare service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Vaseem et al. Depression: A survey on the Indian scenario and the technological work d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