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466B1 -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66B1
KR102539466B1 KR1020210185431A KR20210185431A KR102539466B1 KR 102539466 B1 KR102539466 B1 KR 102539466B1 KR 1020210185431 A KR1020210185431 A KR 1020210185431A KR 20210185431 A KR20210185431 A KR 20210185431A KR 102539466 B1 KR102539466 B1 KR 10253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dical
data
user terminal
platfor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연희
Original Assignee
한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연희 filed Critical 한연희
Priority to KR102021018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진료를 신청하고 온라인으로 진료를 받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진료를 수락하고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의료진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로부터 학력, 경력 및 자격사항을 수집하여 인력풀을 구축하는 구축부, 사용자 단말에서 진료를 신청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로 진료를 의뢰하는 의뢰부, 의료진 단말에서 진료를 수락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의료진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MEDICAL PLATFORM SERVICE FOR SUPPORTING IDLE MANPOWER AND MULTINATIONAL PATIENT}
본 발명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의사, 약국, 배송기사 및 사용자를 연결하고 질병 데이터로 투자금 및 광고를 유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디지털 헬스케어(Digital Healthcare)란 문자 그대로 디지털과 헬스케어의 합성어로서, 디지털은 정보통신기술을 총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고 헬스케어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분류한 7개 분야인 의약품,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 의료정보, 보건의료제도, 산업일반을 통칭하는 의료보건산업 전반에 대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디지털 헬스케어는 정보통신기술(ICT)과 헬스케어가 융합된 산업으로, 빅데이터, AI 등의 ICT를 활용하여 고도화된 환자 맞춤 의료서비스와 환자 및 일반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이다. 코로나(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원격의료에 반대 일변도였던 의료계의 분위기가 조금씩 변화하는 기조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원격의료연구회가 창립 심포지엄을 열고 원격의료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펼쳐나갈 채비를 마쳤다.
이때, 원격의료를 진행하고 처방전을 약국으로 전달하며 조제된 의약품을 배송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258404호(2021년05월28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816744호(2018년01월09일 공고)에는, 웨어러블 기기로 환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고, 병원 서버에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진단 및 처방을 한 후 약국 서버로 처방전을 전달하며, 배달업체에서 배송지로 조제된 의약품을 배송하는 구성과,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 약국에서 의약품의 종류 및 가격을 업로드하면 환자는 병의원 방문없이 진단 및 처방받은 약을 배송지에서 배달받을 수 있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진료를 하는 구성일 뿐 의사와 환자가 대면하여 진료를 보는 방식이 아니다. 후자의 경우에도 약국 및 배송의 프로세스만 제시하고 있을 뿐 환자와 의사를 연결하고 진단 및 처방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전 세계를 아울러 의료진과 환자를 연결하고 진료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처방받은 약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각 약국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조제된 약을 배송 또는 배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정보의 이용동의를 받아 각 국가, 인종, 성별, 연령, 지역에 따른 질병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 세계를 아울러 의료진과 환자를 연결하고 진료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처방받은 약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각 약국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조제된 약을 배송 또는 배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정보의 이용동의를 받아 각 국가, 인종, 성별, 연령, 지역에 따른 질병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료자문 요청 단말로부터 의료비 산정을 위하여 전송되는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진료기록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진단명을 추출하고, 진단명으로부터 의료진단과, 의료진단부위 및 세부병명의 식별자를 도출하여 분류하는 단계, 수신된 진료기록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분류된 식별자 및 추출된 영상식별정보에 기반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로부터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기준 데이터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자문 데이터를 출력하여 환자의 진료기록 데이터에 대한 자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자문 데이터를 의료자문 요청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 세계를 아울러 의료진과 환자를 연결하고 진료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처방받은 약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 각 약국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조제된 약을 배송 또는 배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의료정보의 이용동의를 받아 각 국가, 인종, 성별, 연령, 지역에 따른 질병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여 의약품 회사의 투자 및 광고를 유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보호 서비스 및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문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는 리워드를 광고사, 투자사 및 제약회사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각 인력풀을 구성할 때 백그라운드체크를 진행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 및 배달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 및 배달 단말(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달 단말(6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의료진 단말(400),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진료를 요청하여 진료, 진단 및 처방을 받고, 배달 서비스가 필요할 경우 배달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리워드를 누적할 수 있고 누적한 리워드를 본 발명의 플랫폼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은 걷기나 운동하기로 리워드가 쌓이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리워드는 포인트, 팁, 별풍선 등 다양한 용어를 아우르는 상위개념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리워드로 진료에 대해서도 결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설문조사에 응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마이데이터의 이용에 동의한 단말일 수 있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누적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문대상별 타겟팅을 한 타겟, 즉 목적객체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설문에 응한 경우 이에 기 설정된 리워드를 적립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약국 단말(500) 및 배달 단말(600)로부터 의료진, 약국 및 배달기사에 대한 인력풀을 구축하고, 약국의 경우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공유받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각종 면허사항을 검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원가입을 받을 때 의료정보이용동의를 받은 후 각 국가, 인종, 연령, 성별, 지역 등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질병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각 제약회사 등의 광고나 투자금을 유치받는 서버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제된 약의 배송 또는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으로 누적한 리워드를 차감시켜 배달 단말(600)로 전송하고, 배달 단말(600)에서 배송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면 배송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지도 상에 본 발명의 플랫폼과 협약한 병의원과 그렇지 않은 병원을 구분하여 표기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의료진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진료를 승낙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을 받고 승낙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며 처방전을 약국 단말(5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의료진 단말(400)은, EHR(Electric Health Record)를 약국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의료진 단말(400)은, 만성질환환자가 키오스크(미도시) 등에서 접수를 하는 경우 대면진료 없이 버튼 등을 선택받아 키오스크 및 약국 단말(500)에서 처방전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받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회원가입을 위해 약국 단말(500)은, 상호, 위치,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업로드하거나 공유하고, 처방전이 전자처방전(E-Prescription)으로 수신되는 경우 제조를 한 후 제조완료 이벤트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단말(600)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배달요청을 승낙하는 단말일 수 있다. 배달 단말(600)의 배달기사는 일반적인 배달기사 외에도 요양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케어를 요청한 경우 간호사, 요양사 등이 배달요청을 선 접수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배달 단말(600)은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을 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배달 단말(600)은 자율주행로봇 또는 자율주행드론일 수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로봇 또는 자율주행드론은 기 공지된 로봇 또는 드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이나 알고리즘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배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달 단말(6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배달 단말(6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축부(310), 의뢰부(320), 연결부(330), 통역부(340), 처방전제공부(350), 전달부(360), 리워드설정부(370), 빅데이터화부(380) 및 광고투자유치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600)로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600)은,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 및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마이데이터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마이데이터(MyData)는 본인정보에 대한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정보주체인 개인의 동의에 따라 본인데이터(개인데이터)를 개방·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분야의 마이데이터는 제3자가 고객을 대신하여 다양한 금융기관에 개설된 계좌잔액과 거래내역 등 개인금융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지급을 지시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마이데이터는 정보주체인 개인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 우수한 역량을 가진 업체가 대형 금융기관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최근 개인정보 활용과 관련된 흐름은 가명 및 익명정보 도입과 활용, 그리고 개인정보이동권(Right to Data Portability)을 근거로 한 마이데이터 서비스이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데이터 활용 주체들 간의 구도를 재편하고, 정보주체의 통제권 및 선택권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면서 개인데이터의 유통 및 활용을 촉진하는 제도다.
국내외 마이데이터 산업은 정보주체의 권리 행사에 따라 본인정보 통합조회, 신용·자산관리 등의 개인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및 개인데이터와 관련하여 가장 심각한 문제는 개인정보유출 및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다. 현대 사회는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기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의도하지 않은 개인에 관한 모든 것이 포착되고 기록될 수 있다. 한국은 개인정보보호법, 전자서명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을 통해 개인데이터의 수집·유출·오용·남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고 있으며, 해외 주요 선진국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법제도적 장치를 강화하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는 2019년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개인데이터에 대한 수집제한의 원칙, 데이터 품질 원칙, 목적 명확화의 원칙, 이용제한의 원칙, 안전성 확보의 원칙, 공개의 원칙, 개인 참여의 원칙, 책임성의 원칙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고, 유럽연합은 GPD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을 적용한 바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금융, 의료, 공공, 생활, 교통 및 소상공인 6개 분야에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과제를 8개 선정하였다. 정보주체인 개인이 마이데이터 플랫폼에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하면 기업은 이를 활용해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인은 정보 제공의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되는 구조이다. 이는 정보주체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그 데이터의 이익을 활용 한다는 점에서 데이터를 통제하고 관리할 권한이 기업에서 정보주체로 옮겨진다는데 의미가 있다. 정보사회에서는 정보주체가 스스로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 및 관리하거나 복잡한 IT기술에 대응하는 것이 어려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개인의 데이터가 생성, 축적되는 양이 방대하고 종류가 다양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강화와 정보 보호의 문제가 발생하였고 이의 해결책이 마이데이터(MyData)이다. 즉, 정보주체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를 개방하고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력과 권한을 강화했다.
의료분야에서는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건강검진의 결과와 처방전 등의 데이터를 정보주체가 관리하고 맞춤형 건강관리(운동 및 영양 관리) 서비스를 연계하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그리고 기업은 정신건강 관리서비스, 맞춤형 식단 개발 및 제공 서비스 등의 다양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는 국민이 자신의 건강정보에 대한 결정권을 갖고, 원하는 곳에, 원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건강 증진 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환자 중심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가장 중요한 디지털 조력자(Digital Enabler)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에, 2021년 2월 정부는 마이 헬스웨이(My HealthWay) 구축을 시작했고, 국민 건강증진 및 의료서비스 혁신을 위하여 정부는 법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민간은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역할 분담을 시작하는 3 대 추진전략 하에, 4 개 분야 12 개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건강정보수집 체계를 마련하고,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구축하며, 개인 주도 건강 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고, 의료분야 마이데이터 도입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그것이다.
전 세계의 환자, 의료진, 약국 및 배달기사를 연결하고 그 질병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규제상황 및 입법상황에 기초해야 하는데, 한국의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개인의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동의가 필요하고, 유럽의 경우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 의거, 미국은 결론적으로 사전동의 없이 활용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 주마다 다르지만 미국 U.S.C.52a(a)에 따르면 개인정보는 교육, 금융거래, 진료 경력, 범죄 이력, 고용 경력 등을 포함한 정보로 이름, 개인식별번호, 지문·성문, 사진 등 개인 식별 상징 등 특별히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보주체의 자기결정권이란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에 대한 문제 발생시 정보를 만들고 사용한 사람이 피해자에게 보상을 해야하는 민사상의 문제이며 이 과정에서 국가가 전혀 개입하지 않는다. 이때 각국의 상황이나 입법규제에 따라 다르지만, 진료기록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플랫폼인 주체는 국내에 있으므로 국내법을 적용받는다는 가정 하에 동의가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축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학력, 경력 및 자격사항을 수집하여 인력풀(Pool)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위변조된 면허증으로 본 발명의 인력풀에 들어오려는 무자격 의료진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3 신뢰기관(Trusted Third Party)와 같은 관계 기관과 데이터베이스 공유 또는 관계 기관 서버에 질의하면 이에 대한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면허를 검증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비대면 차량렌트에서 무면허자인 미성년자가 부모의 면허를 무단으로 이용하여 렌트를 하는 경우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재 면허를 인증받으려는 사람이 면허증의 사람이라는 것을 실시간 영상통화로 얻어진 의료진의 얼굴과 면허증에 포함된 의료진의 얼굴 내 특징점(Feature Point)을 이용하여 추가로 증명할 수 있다.
의뢰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진료를 신청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400)로 진료를 의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증상을 입력받은 후 자동으로 진료를 받을 과를 분류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진료과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진료과가 선택되면 해당 진료과로 전공이 등록된 의료진 단말(400)로 진료 요청을 전송하고, 의료진 단말(400)에서 이를 수락하면 진료의 의뢰 및 승낙을 포함하는 일련의 계약이 체결될 수 있다.
연결부(330)는, 의료진 단말(400)에서 진료를 수락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의료진 단말(400)을 연결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진료를 신청하고 온라인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물론 오프라인으로 대면하여 진료를 받을 수도 있으나 이는 온라인 예약 후 대면진료받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 경우에도 대면진료 이외의 처방전 전달 및 배달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의료진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진료를 수락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역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언어와 의료진 단말(400)의 사용언어가 다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역 단말(미도시)을 사용자 단말(100) 및 의료진 단말(400)과 함께 연결하거나, 번역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후 번역을 진행하는 기계번역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번역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에는 STT(Speech To Text)로 변환된 텍스트를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거쳐 기계가 해독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한 후, 번역된 언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에는 상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즉, 번역된 언어를 자연어처리(NLP)하여 인간이 언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TTS(Text To Speech)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텍스트로 출력할 수 있다.
처방전제공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500)로부터 약국의 위치, 보유한 의약품 및 운영시간을 수집하여 약국풀(Pool)을 구축하고,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처방전이 전송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현위치 또는 입력된 위치를 기준으로 처방전 내 포함된 의약품을 보유한 약국 단말(500)을 선정하여 리스트업(Listup)한 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약국 단말(500)은 의약품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고 처방전을 처리하면서 조제된 약은 모두 전산화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약의 재고를 파악할 수 있다.
전달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600)로 배달 요청을 전송하고, 배달 요청을 수락한 배달 단말(600)로 약국위치 및 배송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배달기사는 요양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일 수 있으므로 유휴인력인 전문가가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리랜서라고 할지라도 실제로 고용인과 같이 노동을 하는 경우가 있어 요양사,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자격증을 따더라도 장농면허로 썩히는 경우가 많고 본업으로 돌아가지 않으려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 의사와 수간호사의 월급이 동일하거나 더 많을 만큼 수당이 비슷하고 그만큼의 대우도 해주지만, 한국의 경우 간호사는 의사의 갑질과 환자에게 시달려 그만두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에, 유휴인력인 간호사를 본 발명의 플랫폼에 편입시키고 자신이 원할 때 원하는 만큼만 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휴인력도 노동시장에 편입시키고 경제활동도 왕성하게 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
리워드설정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누적한 리워드를 이용하여 플랫폼 서비스 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8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의료정보이용에 동의를 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의료정보를 가명화(Pseudonymisation) 또는 익명화(Anonymization) 처리한 후 마이데이터(MyData)로 저장하여 각 국가, 인종, 지역, 성별, 질병 및 연령을 포함하는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80)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하며,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로우 데이터는 복수의 주체를 식별하지 못하도록 비식별화(De-Identification) 또는 가명화(Pseudonymization) 처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주체에 귀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일 수 있다.
빅데이터화부(380),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가 가명화 처리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하고, 가명화 처리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할 수 있고, 시스템 상 원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명화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마스킹으로 변환되는 값이 유일(Distinguishability)하도록 설정되어야 하고, 마스킹으로 변환된 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원본을 유추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개인정보에 접근하는 페이지,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도 복원되지 않는 동적 데이터 마스킹을 적용하고, 서비스 고가용성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가명화 처리는, 휴리스틱 가명화, 암호화 및 교환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가명화 처리는, 총계 처리(Aggregation), 데이터 삭제(Data Reduction), 데이터 범주화(Data Suppression), 및 데이터 마스킹(Data Mask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과 함께 복합적으로 또는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가명화 처리(Pseudonymizatoin)를 수행한 후,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정량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프라이버시 모델을 구동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모델의 구동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가명화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되지 못한 경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피드백을 요청하고, 기 설정된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화가 된 경우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버시 모델은, k-익명성(Anonymity), l-다양성(Diversity), 및 t-근접성(Closeness)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식별화된 데이터가 재식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Differential Privacy Model)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는, k-익명성과 l-다양성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C. Dwork가 제안한 모형으로, 단순한 숫자의 변화가 아니라 레코드들 자체의 확률적 변형을 통해 식별 가능성을 제한하는 접근법이다.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① 어떤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데이터 집합에서 차분적인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해 획득한 결과와 ② 그 특정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집합에서 얻은 결과가 구별되지 못하게 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이다. 이 목표의 달성을 위해 정확하게 계산된 양의 노이즈를 통계 기록에 넣어서 개인의 식별성을 없애는 방법을 이용한다. 민감한 정보의 보호를 위해 차분 프라이버시 모델은 체계적으로 무작위 수치를 넣게 되고 이 무작위 수치는 일종의 노이즈 역할을 한다. 이 노이즈의 삽입을 통해 어떤 데이터셋에 특정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결과물을 산출할 수 있다.
광고투자유치부(390)는, 의료진 단말(400)에서 진단, 치료 및 처방한 의료 데이터를 누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제약사의 광고 또는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리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이용하여 질병별 연월별 지역별 총 예상 환자수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 모델도 생성할 수 있다. 국민건강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처방 데이터 및 보건의료 빅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와 통계청에서 제공되는 인구 통계정보 데이터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우선 국민건강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처방 데이터의 경우 처방된 연월 정보와 함께 의약품이 처방된 시, 군 또는 구의 행정구역 코드, 국제 의약품 분류코드인 ATC 코드, 의약품 총 처방 건수 등의 정보를분석에 사용할 수 있고, 보건의료 빅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질병별, 연월별로 전국 기준 총 환자수의 정보를 분석에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계청의 인구통계 정보의 경우 의약품 처방 데이터에서 처방 정보가 제공되는 행정구역들의 환자수 예측에 필요한 총 인구 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는 현재 REST API 또는 Excel 형태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자동화할 수 있는 Python 기반의 자동 수집 도구를 제작하여 해당 데이터들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분석 자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예측 모델의 분석 절차 각 단계별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데이터 수집 단계에는 자동 수집 도구를 통해 의약품 처방 데이터, 보건의료 빅데이터 서비스, 인구 통계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② 데이터 전처리 단계에는 ①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의 정보 누락이나 불필요하게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고, ③ 데이터 변환 단계에는 기 구축된 행정구역 코드 테이블과 인구 통계 정보의 행정구역 코드, 의약품 처방 데이터의 군, 구 행정구역 코드를 이용하여 같이 처방 연월별, 시 또는 군별, 해당 의약품의 총 처방 건수와 해당 시 또는 군의 총 인구 수를 계산한 데이터로 변환하고, ④ 상관분석 단계에는 시 또는 군별 의약품 총 처방 건수를 연월별로 모두 합산한 결과와 보건의료 빅데이터 서비스의 해당 의약품이 처방되는 질병의 연월별 실제 총 환자수를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실제 해당 질병에 주요하게 작용되는 의약품 정보를 선별한다.
⑤ 회귀분석 단계에는 ④ 상관분석 단계에서 사용된 연월별 의약품 총 처방 건수와 연월별 실제 총 환자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단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 연월별 의약품 총 처방 건수를 바탕으로 예상 총 환자수를 산출하는 선형회귀식을 얻는다. 이후 후술될 수학식에 연월별 의약품 총 처방건수를 대입하여 예상 총 환자수를 산출한다. ⑥ 지역별 예상 총 환자수 및 위험도 산출 단계에는 ③ 단계에서 변환된 데이터에서 총 처방 건수를 해당 지역의 총 인구로 나눈 가중치 값을 계산하고, 연월별 예상 총 환자수의 1%에 해당하는 환자수를 해당 가중치와 곱하고 이를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지역별 예상 총 환자수를 산출한다. 이후 연월별 지역별 예상 총 환자수를 사분위수로 구분하여 경미, 보통, 주의, 위험 등으로 해당 질병에 대하여 지역별 위험도를 구분한다.
⑦ 에서는 ⑥ 단계에서 회귀모형을 통해 예측된 시계열 형태의 결과를 장기 예측 가능하도록 연월별, 지역별, 예상 총 환자수를 시계열 예측 모형인 ARIMA 모델에 적용시켜 장기 예측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예측 모델은 질병별 연월별 의약품 총 처방 건수와 해당 질병의 실제 총 환자수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선형회귀식을 바탕으로 총 환자수를 예상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수학식은 이하와 같다.
Figure 112021148922069-pat00001
수학식 1을 통해 얻어진 연월별 예상 총 환자수는 이후 각 지역별 예상 환자수를 계산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때 보다 정확한 지역별 예상 환자수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인구 대비 의약품 처방 건수를 고려한 가중치 값을 이용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중치 값은 지역별 의약품 처방 건수의 편차를 고려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수학식 2를 이용한다.
Figure 112021148922069-pat00002
수학식 1은 모든 지역의 해당 질병에 대한 의약품 처방 건수를 고려하여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를 도출한 것인데 이를 이용하여 지역별 예상 총 환자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를 수학식 2를 통해 얻은 지역별 가중치 값에 따라 분배해야 한다. 가중치 값에 따른 분배를 위해서는 해당 연월의 지역별 가중치 값이 전체 가중치 값에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야하며, 이에 따른 전체 가중치 값을 구하기 위해 수학식 3을 이용한다.
Figure 112021148922069-pat00003
각 지역별 예상 총 환자수를 구하기 위하여 지역별 인구 대비 의약품 처방 건수의 편차를 고려한 가중치 값을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했다면,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를 지역별 가중치 값에 따른 분배를 위해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해당 연월의 지역별 가중치 합을 구하고 이에 따라 각 지역별 가중치 값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비율에 따라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를 분배하기 위해서는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에서 1%를 차지하는 환자 수를 알아야하며 이는 수학식 4로 산출된다.
Figure 112021148922069-pat00004
수학식 4를 통해 연월별 예상 총 환자 수와 지역별 인구 대비 의약품 사용량을 고려한 가중치 값과 가중치 비율에 따른 분배를 위한 가중치 합, 예상 총 환자수의 1%에 해당하는 환자수를 산출한다. 이후 연월별 지역별 가중치 값의 비율에 따른 예상 총 환자수를 구하기 위해 수학식 5를 이용한다.
Figure 112021148922069-pat00005
이하, 상술한 도 2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a)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b) 약국 및 (c) 배달기사의 경력, 면허, 의약품데이터베이스, 위치, 상호, 진료시간, 영업시간 등을 수집하고 인력 및 의약품 풀을 구축한다. 그리고, (d)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회원가입을 받을 때 마이데이터 이용동의 및 의료정보 이용동의를 받은 후 도 4의 (a)와 같이 의료진 단말(400)에서 원격진료를 수행할 때 진단, 치료 및 처방 등의 정보를 의료진 단말(400)로부터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b)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조제된 약에 대한 배달을 요청하는 경우 배달 기사(600)에게 배달요청을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c)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리뷰나 평점을 수신할 수 있고, (d)와 같이 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약회사의 투자금을 유치받거나 광고를 유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로부터 학력, 경력 및 자격사항을 수집하여 인력풀을 구축한다(S5100).
그리고,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진료를 신청하는 경우 의료진 단말로 진료를 의뢰하고(S5200), 의료진 단말에서 진료를 수락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과 의료진 단말을 연결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진료를 신청하고 온라인으로 진료를 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진료를 수락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의료진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의료진 단말로부터 학력, 경력 및 자격사항을 수집하여 인력풀을 구축하는 구축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진료를 신청하는 경우 상기 의료진 단말로 진료를 의뢰하는 의뢰부와, 상기 의료진 단말에서 상기 진료를 수락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의료진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로부터 약국의 위치, 보유한 의약품 및 운영시간을 수집하여 약국풀(Pool)을 구축하고, 상기 의료진 단말로부터 처방전이 전송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위치 또는 입력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처방전 내 포함된 의약품을 보유한 약국 단말을 선정하여 리스트업(Listup)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처방전제공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배달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로 배달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배달 요청을 수락한 배달 단말로 약국위치 및 배송지를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달 단말은 자율주행로봇을 포함하며,
    상기 배달 서비스는 요양 서비스 또는 돌봄 서비스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언어와 상기 의료진 단말의 사용언어가 다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역 단말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의료진 단말과 함께 연결하거나, 번역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후 번역을 진행하는 기계번역을 진행하도록 하는 통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워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누적한 리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플랫폼 서비스 내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리워드설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워드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결제되는 리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정보이용에 동의를 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의료정보를 가명화(Pseudonymisation) 또는 익명화(Anonymization) 처리한 후 마이데이터(MyData)로 저장하고, 각 국가, 인종, 지역, 성별, 질병 및 연령을 포함하는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및 상기 마이데이터를, 정형, 비정형 및 반정형 데이터로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빅데이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의료진 단말에서 진단, 치료 및 처방한 의료 데이터를 누적한 후 적어도 하나의 제약사의 광고 또는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리포트로 사용하는 광고투자유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진행된 설문조사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진 단말은, 만성질환환자가 키오스크에서 접수를 하는 경우 대면진료 없이 버튼의 선택으로 상기 키오스크 및 약국 단말에서 처방전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85431A 2021-12-22 2021-12-22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3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31A KR102539466B1 (ko) 2021-12-22 2021-12-22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31A KR102539466B1 (ko) 2021-12-22 2021-12-22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66B1 true KR102539466B1 (ko) 2023-06-07

Family

ID=8676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431A KR102539466B1 (ko) 2021-12-22 2021-12-22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6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209A (ko) * 2000-08-21 2002-02-27 최인석 처방전 데이터에 적합한 약국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방법
KR101271333B1 (ko) * 2011-11-25 2013-06-04 박진환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
KR20140037325A (ko) * 2012-09-17 2014-03-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심전도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2843A (ko) * 2013-11-29 2015-06-08 최규남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스마트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24374A (ko) * 2018-08-27 2020-03-09 김용범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34025B1 (ko) * 2020-07-10 2021-03-31 진수진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58680A (ko) * 2019-11-13 2021-05-2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자 회원 가입 정보 기반 맞춤형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209A (ko) * 2000-08-21 2002-02-27 최인석 처방전 데이터에 적합한 약국리스트를 환자에게 제공하는방법
KR101271333B1 (ko) * 2011-11-25 2013-06-04 박진환 화상 복약 지도 기반 복약관리서버 및 그 방법
KR20140037325A (ko) * 2012-09-17 2014-03-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심전도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2843A (ko) * 2013-11-29 2015-06-08 최규남 만성질환 환자에 대한 스마트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24374A (ko) * 2018-08-27 2020-03-09 김용범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10058680A (ko) * 2019-11-13 2021-05-24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요자 회원 가입 정보 기반 맞춤형 의료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4025B1 (ko) * 2020-07-10 2021-03-31 진수진 전세계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1276A1 (en) Data Analytics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Health Insurance Claims and Targeted Advertisement-Based Healthcare Management
US20170185723A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Creating and Utilizing an Assessment Metric Based on Outcomes
Ballaro et al.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uccessful Use of Electronic Healthcare Record (EHR).
US201303045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data from a database
US20130304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nical trial design
Elnahal et al. A framework for disseminating clinical best practices in the VA health system
L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clinical data exchange system: the international layer function of the Dolphin Project
Meinert et al. The technological imperative for value-based health care
CA3146318A1 (en) Data analytics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health insurance claims and targeted advertisement-based healthcare management
Grossman et al. Information gap: can health insurer personal health records meet patients’ and physicians’ needs?
Arkorful et al. Examining quality, value, satisfaction and trust dimensions: An empirical lens to understand health insurance systems actual usage
Chin et al. Guiding principles to address the impact of algorithm bias on racial and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and health care
US20220359067A1 (en) Computer Search Engine Employ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for Optimal Healthcare Outcomes
Xie et al. Economic analysis of mobile integrated health care deliver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aramedic teams
Ye et al.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and adoption of tele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of China’s practices and experiences
Smith et al. Evaluating process and clinical outcomes of a primary care mental health integration project in rural Rwanda: a prospective mixed-methods protocol
Ouhbi et al. Electronic health records for cardiovascular medicine
Cheek et al. Experience-based codesign approach to improve care in Australian emergency departments for complex consumer cohorts: the MyED project protocol, Stages 1.1–1.3
KR102539466B1 (ko) 유휴인력 및 다국적 환자 지원을 위한 의료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Fukami et al. Success factors for realizing regional comprehensive care by EHR with administrative data
Krishnaraj et al. Radiology in 2022: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coming decade—proceedings of the 12th annual ACR Forum
Lin et al. Incorporating patient-reported outcomes into shared decision-making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hybrid effectiveness-implementation study protocol
KR20220077653A (ko) 국제교류 플랫폼 내 의료 관광 매칭 시스템
Murthy et al. Chapter 1: role of digital health, mhealth, and low-cost technologies in advancing universal health coverage in emerging economies
Doupi et al. eHealth in Finland: present status and future tr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