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9224A -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9224A
KR20170049224A KR1020150150323A KR20150150323A KR20170049224A KR 20170049224 A KR20170049224 A KR 20170049224A KR 1020150150323 A KR1020150150323 A KR 1020150150323A KR 20150150323 A KR20150150323 A KR 20150150323A KR 20170049224 A KR20170049224 A KR 20170049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ospital
health
manage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9224A/ko
Priority to US15/217,467 priority patent/US20170124523A1/en
Publication of KR20170049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06F1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24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OINTMENT AT THE DOCTOR'S BASED ON USER HEALTH}
본 발명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병원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료예약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란 말 그대로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빠른 보급화 단계에 있으며, 그 중에서 인간의 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됨과 동시에 착용이 용이한 웨어러블 안경, 웨어러블 워치 그리고 웨어러블 밴드가 가장 많은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말로 스마트(Smart) 디바이스라고도 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만,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그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신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싶다면 사용자가 심박수 측정 입력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웨어러블 워치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게 되며, 측정한 심박수를 기초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도 많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밴드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없더라도 사용자의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구동개시가 필요하지 않는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 없는 만큼, 디바이스 구동의 편의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추가 정보의 근원은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정보들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Sensor)를 필수적으로 실장해야 하며, 실장되는 센서의 종류가 많을수록 사용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심박수 측정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도보 수 측정 센서는 필수적으로 실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한된 디바이스 내부의 공간에 다양한 센서를 실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실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측정한 이후, 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정보의 제공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각기 다른 사용자에게 필요한 모든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함께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일종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는바,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기능을 통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관련된 근처 매장이나 상품들에 대한 정보의 제공 모두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때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추가 정보는 다양해질 수밖에 없으며,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의 개발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는 동반자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체에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기능을 포함시키고,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등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지갑을 꺼내 결제하지 않아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지갑을 대체하여 모바일 지갑(Mobile Wall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건강상태를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만을 제공할 뿐, 건강상태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없었다.
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제1218593호: 진료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진료 필요 시, 사용자의 병원 방문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예약된 시간에 병원 방문 및 검진을 마치게 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사용자 장치에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위급상황에 바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병원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건강상태가 위험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위급상항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생체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건강상태 체크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일 전에 상기 사용자 장치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예약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진료 완료 처리부를 포함하는 병원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건강상태 체크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정보를 의료진에게 전송하여 진료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위급상황정보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이상에 살핀 상기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된 뒤에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 관리 장치(서버 등)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진료 필요 시, 사용자의 병원 방문을 예약함으로써, 고령의 사용자들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정기점진을 매번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예약된 시간에 병원 방문 및 검진을 마치게 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사용자 장치에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챙길 수 있고, 서비스 이용에 편함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위급상황을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급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관리장치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병원관리장치(200)를 포함하고, 이들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로서,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다. 이하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상술하나, 본 발명의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200)로 전송하며,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병원관리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정보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생체정보는 맥박수, 혈압 수치, 혈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방문요청메시지는 병원진료목적, 병원명,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고,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200)로 전송하며,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병원관리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비상 연락처는 119, 응급센터, 지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콜(CALL), 메시지 등을 통해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진료 완료 후,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질환 또는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좋게 하기 위한 정보로 예컨대, 건강식품 할인 쿠폰, 운동용품 할인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운동 센터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인간의 몸에 착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착용 부위에 따라 안경(Glasses), 워치(Watch), 팔찌, 신발, 반지, 벨트, 밴드(Band), 목걸이, 헤드셋(Headset), 의류 등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병원관리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예컨대, 병원관리장치(200)는 심장 박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심장 박동수가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한 임계치 또는 상한 임계치 중에서 하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 및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이때, 병원관리장치(20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는 진료를 수행할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에서 해당 진료과 의료진들의 예약 가능 시간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또한, 병원관리장치(200)는 사용자에 설정된 병원 또는 담당의사(주치의) 등이 존재하면, 설정된 병원, 담당의사의 예약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200)는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 위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응급센터 또는 119에 위급상황정보를 알린다. 위급상황정보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건강상태정보는 생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관리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수신되면, 그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일 전에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관리장치(200)는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 질환 또는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즉, 병원관리장치(100)는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질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식품 매장의 쿠폰 또는 포인트 적립, 건강식품 쿠폰, 운동용품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푸시 형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에 좋은 건강식품의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등의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병원관리장치(200)는 단일의 연산 장치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연산 장치가 서로 연결된 집합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병원관리장치(200)는 단일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서버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병원관리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의료진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 장치(300)는 병원관리장치(200)가 제공하는 건강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문적인 진료 및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예컨대, 의사 등임)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병원관리장치(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지정한 담당의사 또는 주치의 등의 의료진을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진 장치(300)로 생체정보를 전달하여 건강상태확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의료진은 의료진 장치(300)를 이용하여 병원관리장치(200)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건강상태확인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강상태확인정보는 진료필요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상태확인정보에 진료 필요가 표시된 경우, 병원관리장치(200)는 병원진료목적, 병원명,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의료진은 의료진 장치(300)를 이용하여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하여 전문적인 진단을 내리고, 상담을 할 수 있다. 의료진은 의사 또는 간호사와 같은 전문 의료진일 수 있으나, 요양 보호사, 건강 관리사, 체육 관리사, 물리 치료사 등 관련 전문가일 수도 있다.한편, 의료진 장치(300)는 컴퓨터, 노트북, 넷북, PDA 등의 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의료진은 의료진 장치(300)로 온라인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전화 상담이나 별도의 전문 헬스 케어 시스템을 활용하여 원격 진료를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측정된 생체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3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측정한 생체정보 또는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받은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병원관리장치(200)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까지 연동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생체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 및 예측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자신과 페어링되어 있는 사용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장치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병원관리장치(200)로 측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병원관리 장치(200)에서 생성된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등을 병원관리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는 다양한 유무선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장치은 휴대용 소형기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캠코더 또는 랩탑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칭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실장되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맥박,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도(Sp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110)는 생체 측정 정보를 담고 있는 전류, 전압, 저항 등의 기본 물리량을 센싱하고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센서부(110)은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대상의 종류에 따른 해당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예컨대, 맥박센서, 혈압센서, 혈당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주기적 혹은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2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혹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사용자 장치 등을 통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나 연동된 사용자 장치에서 직접 외부로 알릴 수도 있다.
또한,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물론 위치정보를 측정한다. 이 경우, 센서부(110)는 생체정보 센서, 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로, 예컨대, 맥박센서, 혈압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센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로 예컨대, GPS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통신부(140)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측정정보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고,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심박수가 심박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한 임계치 또는 상한 임계치 중에서 하나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심박수의 변화 패턴이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변화 패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제어부(120)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생체정보의 중요도, 생체기준정보를 벗어난 정도 등을 근거로 위급상황 단계, 비정상 단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상 연락처는 119, 응급센터, 지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콜(CALL), 메시지 등을 통해 위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40)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병원방문요청메시지는 병원진료목적, 병원명,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고,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료예약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페어링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 진료 완료 후,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질환 또는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는 건강식품 할인 쿠폰, 운동용품 할인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운동 센터 할인 쿠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저장부(13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저장부(130)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에는 제어부(120)가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인 생체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생체 기준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심장 박동 기준 정보는 사용자가 정상 상태인 경우의 심장 박동수를 기준으로 일정한 수를 가감한 하한 임계치 및 상한 임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가 이 하한 임계치 미만이거나 상항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는 심장 건강 상태가 비정상인 위급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가 갖는 고유한 변화 패턴 및 이 고유한 변화 패턴에 대한 허용 편차 범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의 변화 패턴이 허용된 편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는 심장 건강 상태가 비정상인 위급 상황에 처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장부(130)에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애플릿)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120)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애플릿)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40)는 둘 이상의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측정정보,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진료예약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는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병원방문요청 메시지,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진료예약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특히, 진료예약정보 등을 정보를 입력받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는, 키패드,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는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병원 관리 장치(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건강강태 체크부(230), 예약 처리부(240), 진료 완료 처리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수신하고, 방문요청 메시지 또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 무선 통신이 모두 포함되며, 통신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병원관리관리장치(200)가 상호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220)에는 병원관련정보가 저장된 병원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관련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병원 데이터베이스에는 병원명, 병원위치, 의료진 정보, 예약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사용자 식별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식별정보 등임), 생체정보, 건강상태, 위치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가 요청한 진료예약정보,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 등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22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기본적으로 검색, 분류, 분석 등을 위한 환경변수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220)의 기능은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예컨대,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심장 박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심장 박동수가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한 임계치 또는 상한 임계치 중에서 하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 및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때,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병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는 진료를 수행할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에서 해당 진료과 의료진들의 예약 가능 시간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설정된 병원 또는 담당의사(주치의) 등이 존재하면, 설정된 병원, 담당의사의 예약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200)가 복수의 병원들을 관리하는 경우,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사용자의 담당의 또는 주치의가 있는 병원, 사용자의 병원 이용 내역에 근거하여 이용 이력이 있는 병원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명, 진료목적,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한 결과, 위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응급센터 또는 119에 위급상황정보를 알린다. 위급상황정보는 사용자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중요도, 생체기준정보를 벗어난 정도 등을 근거로 위급상황 단계, 비정상 단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담당의사 또는 주치의 등의 의료진을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진에게 생체정보를 전달하여 건강상태확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의료진은 병원관리장치(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건강상태확인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강상태확인정보는 진료필요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상태확인정보에 진료 필요가 표시된 경우, 건강상태 체크부(230)는 병원진료목적, 병원명,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 형태일 수 있다.
예약 처리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수신되면, 그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일 전에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예약일 전은 예약일 이틀전, 하루전 등을 의미하고,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료 완료 처리부(250)는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 질환 또는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보로, 예컨대, 건강식품 할인 쿠폰, 운동용품 할인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운동 센터 할인 쿠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진료 완료 처리부(250)는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질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식품 매장의 쿠폰 또는 포인트 적립, 건강식품 쿠폰, 운동용품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푸시 형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에 좋은 건강식품의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등의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건강강태 체크부(230), 예약 처리부(240), 진료 완료 처리부(250) 각각은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건강강태 체크부(230), 예약 처리부(240), 진료 완료 처리부(25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건강강태 체크부(230), 예약 처리부(240), 진료 완료 처리부(250)를 포함하는 병원관리장치(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측정하고(S402), 측정된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S404). 여기서, 생체정보는 심박수, 맥박, 혈압, 체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관리장치는 측정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S406), 사용자의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S408). 이때, 병원관리장치는 측정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가 기 설정된 생체 기준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하여,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장 박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심장 박동수가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한 임계치 또는 상한 임계치 중에서 하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심장 박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심장 박동수의 변화 패턴이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변화 패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는 측정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가 기 설정된 생체 기준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는 진료를 수행할 병원 및 의료진을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진에게 건강상태 확인을 요청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혈압이 비정상인 경우 병원관리장치는 혈압 진료를 잘하는 병원 및 의료진을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진에게 건강상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병원 및 의료진이 설정되어 있으면, 병원관리장치는 설정된 의료진에게 건강상태 확인을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의료진은 병원관리장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건강상태확인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강상태확인정보는 진료필요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408의 판단결과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관리장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410). 이때,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는 진료를 수행할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에서 해당 진료과 의료진들의 예약 가능 시간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병원 또는 담당의사(주치의) 등이 존재하면, 지정된 병원, 담당의사의 예약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가 복수의 병원들을 관리하는 경우,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담당의 또는 주치의가 있는 병원, 사용자의 병원 이용 내역에 근거하여 이용 이력이 있는 병원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명, 진료목적,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S410이 수행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푸시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입력되면(S412), 입력된 진료예약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S414).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관리장치는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S416), 예약일 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418).
그런 후, 병원관리장치는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S424), 진료 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여(S422),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42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S502), 측정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S504),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6).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심장 박동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심장 박동수가 심장 박동 기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하한 임계치 또는 상한 임계치 중에서 하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의 심장 건강 상태를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S506의 판단결과 건강상태가 정상이 아니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건강상태가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한다(S508). 생체정보의 중요도, 생체기준정보를 벗어난 정도 등을 근거로 위급상황 단계, 비정상 단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위급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508의 판단결과 위급상황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위급상황정보를 알린다(S510). 비상 연락처는 응급센터, 119, 지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위급상황정보는 개인식별정보, 위치정보, 생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S508의 판단결과, 위급상황은 아니지만 비정상 상태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S512).
S512의 수행 후, 병원방문요청메시지가 수신되면(S514),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입력받아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한다(S516). 진료예약정보는 병원명, 의사,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진료 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건강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다(S51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관리장치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병원관리장치는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가 수신되면(S602), 생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S604), 건강상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S606). 이때, 병원관리장치는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는 의료진으로부터 위급상황, 진료 필요 여부 등을 포함하는 건강상태확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S604의 체크결과, 건강상태가 정상이면, 병원관리장치는 측정정보를 저장한다(S608).
만약, S608의 판단결과, 정상이 아니고, 위급상황이면(S610), 건강관리장치는 기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위급상황정보를 알린다(S612). 비상 연락처는 응급센터, 119, 지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위급상황정보는 개인식별정보, 위치, 생체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610의 판단결과, 위급상황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진료가 필요하면(S614), 병원관리장치는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616). 이때,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맞는 진료를 수행할 병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에서 해당 진료과 의료진들의 예약 가능 시간을 획득한 후, 획득된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병원 또는 담당의사(주치의) 등이 존재하면, 지정된 병원, 담당의사의 예약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병원명, 병원약도, 의료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관리장치가 복수의 병원들을 관리하는 경우,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담당의 또는 주치의가 있는 병원, 사용자의 병원 이용 내역에 근거하여 이용 이력이 있는 병원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병원명, 진료목적, 병원약도, 예약 가능 시간 등을 포함하는 병원방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S616의 수행 후,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수신되면, 그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S618), 예약일 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S620).
그런 후, 병원관리장치는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S622), 진료 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S624). 즉, 병원관리장치는 사용자 건강상태 또는 질환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식품 매장의 쿠폰 또는 포인트 적립, 건강식품 쿠폰, 운동용품 쿠폰, 병원 진료 포인트 제공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푸시 형태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에 좋은 건강식품의 할인쿠폰, 포인트 적립 등의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또는 웹 기반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관련된 서버 또는 서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 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수단을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 모바일 컴퓨팅 플랫폼, 고정 컴퓨팅 플랫폼 등과 같은 컴퓨팅 플랫폼 중 일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명령어, 코드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된 CD-ROM, DVD,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RAM, ROM, 캐시 등과 같은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접근(Access)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은 서버, 클라이언트, 게이트웨이, 허브, 라우터 또는 네트워크 하드웨어 상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장치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는 파일 서버, 프린트 서버, 도메인 서버, 인터넷 서버, 인트라넷 서버, 호스트 서버, 분산 서버 등과같이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서버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스토리지 매체, 통신 디바이스, 포트, 클라이언트 그리고 다른 서버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서버와 연관된 계층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클라이언트, 다른 서버, 프린터,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린트 서버, 파일 서버, 통신 서버, 분산 서버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의 원격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된 디바이스 중 어느 것이라도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프로세서는 상이한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 코드 등을 디바이스에 제공하여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은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통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 라우터, 허브, 방화벽,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라우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각각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별도의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디바이스와 모듈 외에 스토리 플래시 메모리, 버퍼, 스택, RAM, ROM 등과 같은 스토리지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명령어, 코드 등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가 포함하는 디바이스, 모듈, 스토리지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실행 및 저장될 수 있으며,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디바이스 역시 네트워크 인프라구조의 일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시스템과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은 하드웨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적합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개인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디바이스와 기업형 특정 컴퓨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집적 회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조직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 코드 등은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저장 또는 접근될 수 있으며, 여기서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는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컴퓨팅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구비하는 컴퓨터 컴포넌트, RAM 또는 ROM과 같은 반도체 스토리지, 광디스크와 같은 영구적인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테이프, 드럼 등과 같은 대용량 스토리지, CD 또는 DVD와 같은 광 스토리지,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페이퍼 테이프, 독립형 RAM 디스크, 컴퓨터로부터 착탈 가능한 대용량 스토리지와 동적 메모리, 정적 메모리, 가변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형 스토리지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명령어와 코드 등은 SQL, dBase 등과 같은 데이터 지향 언어, C, Objective C, C++, 어셈블리 등과 같은 시스템 언어, Java, NET 등과 같은 아키텍처 언어, PHP, Ruby, Perl, Python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언어 등과 같은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언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명령어를 프로세서로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매체, 동적 메모리 등과 같은 휘발성 매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축 케이블, 구리 와이어, 광섬유 등과 같은 전송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진료 필요 시, 사용자의 병원 방문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예약된 시간에 병원 방문 및 검진을 마치게 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사용자 장치에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챙길 수 있고, 서비스 이용에 편함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위급상황을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급상황에 즉시 대처할 수 있다.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 센서부
120, 26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210 : 통신부
200 : 병원관리장치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건강강태 체크부
240 : 예약 처리부
250 : 진료 완료 처리부
300 : 의료진 장치

Claims (9)

  1. 병원관리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건강상태가 위험상태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연락처로 위급상항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
  5. 사용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생체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진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방문요청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건강상태 체크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진료예약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진료예약정보를 저장하고, 예약일 전에 상기 사용자 장치로 진료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예약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진료완료정보가 입력되면,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진료 완료 처리부;
    를 포함하는 병원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상태 체크부는 상기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진료 필요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생체정보를 의료진에게 전송하여 진료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관리장치.
  7. 사용자 장치가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를 기 저장된 생체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생체정보를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병원방문요청메시지 수신 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병원관리장치로부터 진료내용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급상황인 경우, 기 설정된 비상 연락처로 위급상황정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방법.
KR1020150150323A 2015-10-28 2015-10-28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9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23A KR20170049224A (ko) 2015-10-28 2015-10-28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5/217,467 US20170124523A1 (en) 2015-10-28 2016-07-22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appointment at doctor's based on health st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323A KR20170049224A (ko) 2015-10-28 2015-10-28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224A true KR20170049224A (ko) 2017-05-10

Family

ID=5863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323A KR20170049224A (ko) 2015-10-28 2015-10-28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24523A1 (ko)
KR (1) KR2017004922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53A1 (ko) * 2017-07-13 2019-01-17 주식회사 티플러스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6754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101988657B1 (ko) * 2018-01-25 2019-06-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열질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WO2020022825A1 (en) * 2018-07-26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assistive health sensing in internet of things network
CN115662599A (zh) * 2022-12-28 2023-01-31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医院就诊的预约方法和预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427B2 (en) * 2016-08-22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oviding location-based health alerts based on biological indicators
CN108461132A (zh) * 2018-01-31 2018-08-28 林康 一种基于微信公众号或app的麻醉医师预约系统及其方法
CN110335663B (zh) * 2019-07-10 2022-03-11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域的协作磁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6627A1 (en) * 2011-06-29 2014-08-21 Orange Dynamic medical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919142B1 (en) * 2014-03-14 2023-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US20160157735A1 (en) * 2014-12-09 2016-06-09 Jack Ke Zhang Techniques for near real time wellness monitoring using a wrist-worn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754A (ko) 2017-07-11 2019-01-21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WO2019013453A1 (ko) * 2017-07-13 2019-01-17 주식회사 티플러스 사물인터넷 기반 대화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88657B1 (ko) * 2018-01-25 2019-06-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열질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WO2020022825A1 (en) * 2018-07-26 2020-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assistive health sensing in internet of things network
CN115662599A (zh) * 2022-12-28 2023-01-31 温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温州医科大学附属育英儿童医院) 一种医院就诊的预约方法和预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4523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224A (ko) 건강상태에 따른 병원 예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49451B1 (ko) 의사가 가치-기반 지불을 위한 품질 측정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 환자-대향 모바일 기술
Wac Smartphone as a personal, pervasive health informatics services platform: literature review
US11636932B1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EP2892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treatment using mobile terminal
KR102477776B1 (ko)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1001541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user well-being
KR101811769B1 (ko) 건강검진 예약 및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7210358A1 (en) Context and location specific real time care management system
KR20130045642A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US20230116079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US202301333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resource intelligence
KR20170048921A (ko)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3142A (ko) 건강관리 동기부여를 위한 자가 인지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US1159633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lean muscle mass
US20230061435A1 (en) Predicting adverse health events using a measure of adherence to a testing routine
EP3651157A1 (en) Processing of anonymised patient data generated by a mobile medical device
KR20170048922A (ko) 오프라인 매장의 회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523B1 (ko) 생체신호 및 증상정보 기반 케어플랜 서비스 시스템
JP2020194346A (ja) 医療機関選定支援装置
EP4113535A1 (en) Remote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al inflammatory diseases
KR20220086186A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Petrović et al. Cloud-based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commercial off-the-shelf hardware
KR20230151340A (ko)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Grimes et al. Advanced practice nursing and work site primary care: challenges for outcomes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