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776B1 -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776B1
KR102477776B1 KR1020190144170A KR20190144170A KR102477776B1 KR 102477776 B1 KR102477776 B1 KR 102477776B1 KR 1020190144170 A KR1020190144170 A KR 1020190144170A KR 20190144170 A KR20190144170 A KR 20190144170A KR 102477776 B1 KR102477776 B1 KR 10247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edication
providing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423A (ko
Inventor
최윤제
Original Assignee
최윤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제 filed Critical 최윤제
Priority to KR102019014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7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USTOMIZED MEDICAL INFORMATION}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에 따라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사회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IT 기술과 의료분야가 융합하여 다양한 헬스 케어 기술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애플의 헬스 킷, 구글의 피트니스 등 개인의 건강, 의료 및 운동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응용 서비스들과 연동할 수 있는 플랫폼 적인 토대가 마련되고 있다.
한편,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은 단기간에 쉽게 치료되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질환의 관리를 위해 장기적인 복약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대부분 만성 질환자들은 질병 초기에 높은 복약 순응도(환자가 약물 복용을 처방에 잘 따르는 정도)를 보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차 복약 순응도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의료비 지출 또한 전체 의료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복약 순응도 저하의 원인은 환자가 약의 복용을 잊어버리거나, 일정기간 복용으로 병증이 개선되었다는 자의적 판단으로 약의 복용을 중단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 때문에 이러한 복약 순응도 저하를 방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에게 약을 올바르게 지도하고 복용상황을 기록 및 관리하는 기술이 복약 모니터링 또는 복약관리 기술이다. 복약 모니터링 및 복약지원에 대한 종래 기술들은 복약알림, 복용약 저장 및 인출관리, 복약 여부 인지 및 기록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PC 또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 단말을 통해 복약 알림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복약 여부를 확인 및 기록하는 발명이 있으나, 이 방법은 사용자의 실제 복약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고려한 복약 지도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01388호(2018.09.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49524호(2017.06.23 공고)
일 개시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관리를 도와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하여,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느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라,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따르면, 환자의 상태 정보 및 건강진단 이력에 기초하여 복약 처방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환자에게 나타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복약 행동을 예측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임으로써, 장기적인 복약 관리가 요구되는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외에도 보호자에게 복약 알림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복약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환자의 복약 알림 메시지에 긴급한 의료 서비스의 요청에 포함되는 경우 외부 서버로 환자의 상태를 알릴 수 있어, 위급 상황에도 빠른 대처가 가능해진다.
일 개시에 의하여,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약 관리, 식단 관리, 운동 관리, 의약 전문 지식 제공, 건강검진 정보의 설명 등의 1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병원 예약 서비스, 건강 식품 추천, 운동 추천 등의 2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 복용 시의 난이도에 따라 복약지도를 알림하는 횟수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알림 이후에도,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와 증상의 개선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진을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처방약품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발생 즉시 확인하고, 이후의 처방 시 문진을 활용해 적절한 처방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이나, 투약횟수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낮아진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담당의사로 하여금 처방전 작성 시 환자의 과거 약 복용 여부, 부작용 여부와 증상 호전 여부 등을 참조하여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개시에 따른 맞춤형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의 상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복약 이력에 따른 복약 타임라인을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약물 복용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에 따른 외부 서버로의 요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다른 장치와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공유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활동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100)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 축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사용자"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환자를 비롯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 약사,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개시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진료 정보, 건강 검진 정보, 투약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되거나, 사용자의 단말(200)에 포함된 하드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200)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지도를 알림하는 횟수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복약순응도는, 환자의 약물 복용 시 진료의사의 처방에 잘 따르는 정도로서, 예컨대 환자가 약물을 처방된 대로 복약방법을 준수하여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높으며, 복약방법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나이와 성별, 질병에 대한 지식 및 신념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요인과, 복용약의 개수와 복약방법, 복용기간 및 부작용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의약품 및 처방요인과, 질병의 중증도, 치료기간 및 정신질환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질병요인과, 의사 또는 약사와 환자 간의 관계와 같은 의료진 및 약사 요인, 의약품의 가격과 보험지급 여부와 같은 보건의료체계가 있을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환자 나이, 질환 증증도, 복약방법, 복용기간 및 투약횟수)을 관리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이도록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약국 서버, 보험사 서버, 의료기관 서버, 공공기관 서버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처방전(10), 진료카드(20) 및 의료기관 서버(30)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계약정보, 개인특성정보, 처방된 의약품 정보, 복약 정보 및 진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에 따라 복약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200) 또는 보호자의 단말(300)로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및 복약순응도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의사, 약물, 건강 검진 등을 추천할 수 있다.
도 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1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진단서, 진료카드, 처방전, 보험 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이미지를 OCR(optical character reader)판독하고, 판독된 OCR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보험계약정보, 개인특성정보, 처방된 의약품 정보, 복약 정보 및 진료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 서버, 소방서 서버, 보험사 서버, 의약품 회사 서버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는 사용자의 동의가 있어야 획득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나, 사용자의 동의가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동의를 얻는 절차를 추가하도록 한다.
일 개시에 의한 건강진단 이력 정보는 사용자의 모든 의료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질병 정보, 처방받은 약 정보, 구매한 약의 정보, 신체 정보, 생체 센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약물 처방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또는 현재까지 처방 받은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2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를 통해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물이 사용자의 건강에 적합한지,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하고,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물의 복용횟수, 약물간 상호 작용, 복용시간, 복용 주기, 복용량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한 복약 정보, 식단 정보, 운동 정보, 의약에 관련된 전문 지식 정보, 건강검진의 상세 설명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유전자 분석, 병원 추천 정보 등의 1:1 코칭 정보, 보험 정보, 날씨 등의 생활 밀접 정보, 커뮤니티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국내 제약사, 건강 식품 회사, 보험사, 의료 기관 및 해외 제약사 등에 제공함으로써 전문화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3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는 사용자의 평상시 생활 습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특히 기상 시간, 수면 시간, 운동 시간, 일하는 시간, 이동 시간 등의 일상적인 생활 습관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는 요일별, 시간별, 계절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다.
나아가,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BMI, 총콜레스테롤 수치, 흡연유무 등을 고려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생활 패턴 정보를 특정 수치(예: 2진수 또는 16진수 등)를 기반으로 하여 수치화하거나 그래프화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4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복약 알림 메시지는 건강 상태 정보, 치료 상태 정보, 약물 정보, 알람 설정, 복약 정보, 복약 타임라인 정보, 진료/처방 알림 정보 및 약물 정보의 목록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목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목록의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목록의 상세 정보는 선택된 목록의 속성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문 의약 정보, 식단 추천 정보, 운동 추천 정보, 병원 추천 정보, 건강식품 추천 정보, 의료기기 추천 정보 및 보험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개시에 의하여 블록 205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 알림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SNS, 팝업 메시지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표시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예를 들어 보호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복약 지도를 관리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단말, 보호자의 단말, 다른 사용자의 단말은 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나,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wearable) 단말,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3 약물을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제 3 약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 3 약물의 크기, 형상 및 색상을 수치화한 특징값을 이용하여 제 3 약물을 식별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 3 약물을 식별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제 3 약물을 식별하고, 제 3 약물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 3 약물의 명칭, 약효, 복용 방법, 부작용 및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제 3 약물을 복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개시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폰(200)인 경우 복약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및 도 3의 (b)는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 워치(210)인 경우에 있어서 복약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거나, 외부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복약에 대한 간단한 정보(ex. 약물의 명칭, 질병 정보, 복약 시간, 복약 방법)를 포함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약 알림 메시지에 포함될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빈도 수(복약 알림 횟수)를, 설정된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이외의 다른 빈도 수로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알림으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처방약품의 복용을 상기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웨어러블 워치(210)에 복약 알림 시간(2001) 동안 복약 알림 메시지(2002)를 표시할 수 있다. 복약 알림 메시지(2002)는 현재 시간이 약 복용 시간이며, 특히 식후 30분 후에 1알을 먹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알림 메시지(2002)는 주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 알림 메시지(2002)는 현재 먹어야 하는 의약품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타민과 동시에 먹으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개시에 따른 맞춤형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의 상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도 4의 (a)를 참고하면, 복약 알림 메시지는 약물 상세 정보, 복약 방법, 복약 주기, 복용량 및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알림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복용해야 할 약물이 건강을 위한 약인지, 치료를 위한 약인지 여부에 따라, 알림 메시지가 각각 다른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약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가 기 섭취한 약물에 대한 정보 및 미래에 섭취할 약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도 4의 (b)를 참고하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기 작성된 복약 알림 메시지의 내용을 수정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정해진 복약 시간, 복용량 및 복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수정된 사항을 반영한 복약 주의 사항을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현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고려하여 제 1 약물의 복용 시간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다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복약 이력에 따른 복약 타임라인을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맞춤형 복약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매핑하여 복약 타임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타임라인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 변화 및 복약순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복약 타임라인을 통해 복약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복약 이력에 따른 건강 상태의 변화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일 개시에 의한 약물 복용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에 따른 외부 서버로의 요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체질 정보 및 질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질 정보 및 질병 정보에 기초하여,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물의 효능 및 약물 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분석하여 복약 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 EMR 시스템으로부터 처방하려는 약품 리스트(예, 약품코드, 약품명)를 획득하는 경우, 수신된 약품 리스트 중에 데이터베이스에 부작용 사례가 기록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사용자의 체질 정보 및 사용자의 질병 정보에 기초하여 부작용 발생 가능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부작용 발생 가능성 여부에 기초하여, 약물 상세 정보, 복약 방법, 복약 주기, 복용량 및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맞춤형 복약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매핑하여 복약 타임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타임라인을 분석하여, 약물 처방 정보의 복약방법, 1일 복약횟수, 총 복약일 및 나이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약순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산출된 복약순응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로 질병 호전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에 대한 질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약물 처방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제 1 약물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 1 약물과 동일한 약효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약물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그 동안 복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확인된 제 1 약물의 부작용 사례가 소정의 횟수 이상(예를 들어, 10건 이상)으로 발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약물에 대한 정보를 약물 처방 정보를 발행한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새로운 약물 처방 정보의 발행을 요청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병원에서 발행한 처방전에 약품코드가 'A43800471'인 제 1 약품('타이레놀정 500mg')이 처방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처방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10건')를 검색해 병원 서버에 제공하고,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 중, 가장 많이 대체 처방된 제 2 약품('대원이부프로펜정')으로의 대체 처방이 가능함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원의 서버와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병의원의 시스템에서의 처방내역을 분석하여 대체 처방 가능한 의약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처방 지원 기능을 기계학습 방식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시간은 복약 시간을 기준으로 기 정해진 시간 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 및 기 등록된 보호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맞춤형 의료 정보에 대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여부에 대한 질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답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답변 메시지에 포함된 약물 복용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약물 복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거나,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약물 보관함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의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개시에 의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정보, 식습관 정보, 수면 정보, 복약 정보 및 증상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생성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및 기 정해진 약물의 복약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약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훈련데이터그룹을 통해 상기 예측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딥 네트워크 러닝(Deep network learning),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SVM(Support Vector Machine), 신경망(Neural Network) 등을 포함한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법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학습 기법에 제한이 없다.
도 8은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가 다른 장치와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공유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른 장치(210) 및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다른 장치(210)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장치이거나, 다른 사용자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2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다른 장치(210)가 사용자에게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인 경우,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른 장치(21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맥박수, 체온, 피부 습도 등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장치(210)가 다른 사용자의 장치인 경우,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관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장치(210)가 가족이나 간병인의 장치인 경우, 가족이나 간병인은 어디에서든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통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알림 메시지에 긴급 상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로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상세 질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긴급 상황 정보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경우로서, 보호자 또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긴급 상황 정보는 혈당 쇼크, 심장 발작, 혈압의 급격한 변화, 출혈 등의 상황을 나타낸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세 질문 메시지에 대응하는 답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병원 서버, 약국 서버, 경찰서 서버, 소방서 서버 및 공공기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서버(300)는 의료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거나, 병원 정보를 획득하거나, 통증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든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의 형태 및 서버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맞춤형 의료 정보를 서버(30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와 관련이 있는 의료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맞춤형 의료 정보를 기초로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운동을 제공하는 운동 어플리케이션, 통증 완화에 도움을 주는 의료 관리 애플리케이션, 질병과 관련된 병원,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는 약물, 통증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의료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추천한 복수개의 병원 사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병원 서버로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센싱하는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도 9의 (a)를 참고하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체온 정보, 땀 배출량 정보, 피부 특성 정보, 심장 박동 정보, 혈압 정보 및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설치된 생체 센서 또는 다른 장치에 설치된 생체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의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증에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복수개의 다른 개인 맞춤형 통증 관리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여 사용자는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100-1, 100-2, 100-3, 100-4, 100-5)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100-1, 100-2, 100-3, 100-4, 100-5)는 직접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100-1, 100-2, 100-3, 100-4, 100-5)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 및 주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를 참고하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기 정해진 복약 시간, 복용량 및 복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여 새로운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활동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하는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맞춤형 의료 정보에 따른 운동 처방 정보, 식단 추천 정보, 헬스 케어 앱 추천 정보, 복약 순응 처방 정보, 건강진단 추천 정보, 보험 추천 정보, 영양제 추천 정보 및 의료 기기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최종목표가 설정된 추가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서비스의 최종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최종목표의 달성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확실한 동기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활동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하였는지 판단하고, 판단된 바에 따라 보상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다른 API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을 개선하기 위하여 "걷기 운동 처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걷기 운동과 광고 시청을 매칭하여, 소정의 할당량을 포함하는 과제를 결정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다른 API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할당된 걷기 운동을 수행하는지, 할당된 광고 시청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과제 수행을 완료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과제에 포함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워드는 포인트, 쿠폰, 영양제 등 모든 상품 및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b)와 같이 3개 이상의 활동을 과제로 생성할 수 있으며, 보험료 할인 또는 일시금 지급 등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개시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200) 및 메모리(1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100)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원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0)는, 통상적으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그 기능 및 역할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거나, 통합된 형태의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0)는 메모리(1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는, 프로세서(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거나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1200)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들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서, 기능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0)는 데이터 학습부(110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하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101)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102)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102)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데이터 학습부(1101)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1) 및 데이터 인식부(1102)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는, 메모리(1100), 디스플레이부(1210), 카메라(1610) 및 프로세서(1300), 출력부(1200), 통신부(1500), 센싱부(1400), A/V 입력부(1600) 및 사용자 입력부(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100)는 가이드 정보의 출력 여부 판단을 위한 특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110), 터치 스크린 모듈(1120), 알림 모듈(11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1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130)은 디스플레이부(1210)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0)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0)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1130)은 추정된 차선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10)는 카메라(161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프로세서(1300)에서 생성된 가이드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에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20)는 프로세서(1300)의 제어에 의해 알림 모듈(1130)에서 신호로 발생된 가이드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700),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7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태 또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RGB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센싱부(140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차량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1500)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0)는, 사용자가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식습관 정보, 수면 정보, 복약 정보 및 증상 정보로부터 요일별, 시간별, 계절별로 분류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학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및 기 정해진 약물의 복약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약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약물의 복용 시간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다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의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맞춤형 복약 정보에 따른 운동 처방 정보, 식단 추천 정보, 헬스 케어 앱 추천 정보, 복약 순응 처방 정보, 건강진단 추천 정보, 보험 추천 정보, 영양제 추천 정보 및 의료 기기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목표가 설정된 추가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서비스의 최종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목표의 달성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체질 정보 및 질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체질 정보 및 질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약물의 효능 및 약물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분석하여 복약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작용 발생 가능성 여부에 기초하여, 약물 상세 정보, 복약 방법, 복약 주기, 복용량 및 주의사항을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처방 정보에 포함된 제 1 약물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제 1 약물과 동일한 약효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약물을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약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약물 처방 정보를 발행한 외부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새로운 약물 처방 정보의 발행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치료 상태 정보, 약물 정보, 알람 설정, 복약 정보, 복약 타임라인 정보, 진료/처방 알림 정보 및 약물 정보의 목록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목록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록의 상세 정보는 상기 선택된 목록의 속성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문 의약 정보, 식단 추천 정보, 운동 추천 정보, 병원 추천 정보, 건강식품 추천 정보, 의료기기 추천 정보 및 보험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 정보, 땀 배출량 정보, 피부 특성 정보, 심장 박동 정보, 혈압 정보 및 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정해진 복약 시간, 복용량 및 복용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사항을 반영한 복약 주의 사항을 포함하는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복약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기 등록된 보호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에 긴급 상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긴급 상황 정보에 대한 상세 질문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상세 질문 메시지에 대응하는 답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병원 서버, 약국 서버, 경찰서 서버, 소방서 서버 및 공공기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3 약물을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 3 약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3 약물의 크기, 형상 및 색상을 수치화한 특징값을 이용하여 약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 3 약물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3 약물의 명칭, 약효, 복용 방법, 부작용 및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약물을 복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획득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상기 맞춤형 복약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매핑하여 복약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약 타임라인을 분석하여, 상기 약물 처방 정보의 복약방법, 1일 복약횟수, 총 복약일 및 나이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복약순응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질병 호전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에 대한 질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약물 처방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 및 약물 처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진단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물 처방 정보의 부작용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활리듬 정보를 학습하여 생성된 생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복약 정보로부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복약 시간이 도래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식습관 정보, 수면 정보, 복약 정보 및 증상 정보로부터 요일별, 시간별, 계절별로 분류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및 기 정해진 약물의 복약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약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정보, 식습관 정보, 수면 정보, 복약 정보 및 증상 정보로부터 요일별, 시간별, 계절별로 분류된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학습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및 기 정해진 약물의 복약 주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복약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고려하여 상기 약물의 복용 시간을 변경한 경우, 변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다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복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약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 다음,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의 패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약물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맞춤형 복약 정보에 따른 운동 처방 정보, 식단 추천 정보, 헬스 케어 앱 추천 정보, 복약 순응 처방 정보, 건강진단 추천 정보, 보험 추천 정보, 영양제 추천 정보 및 의료 기기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최종목표가 설정된 추가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서비스의 최종목표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최종목표의 달성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13.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90144170A 2019-11-12 2019-11-12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7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70A KR102477776B1 (ko) 2019-11-12 2019-11-12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70A KR102477776B1 (ko) 2019-11-12 2019-11-12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23A KR20210057423A (ko) 2021-05-21
KR102477776B1 true KR102477776B1 (ko) 2022-12-22

Family

ID=7615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70A KR102477776B1 (ko) 2019-11-12 2019-11-12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323A (ko) * 2021-09-01 2023-03-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약 사용 지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489067B1 (ko) 2021-09-13 2023-01-17 임명재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8770A (ko) 2022-02-28 2023-09-05 약문약답 주식회사 의약품 복용 내역 기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4526A (ko) *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헬스케어 개인 의료 데이터 관리 플랫폼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48572B1 (ko) * 2022-06-13 2022-09-29 (주)웨어콤 사용자를 위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WO2023244177A1 (en) * 2022-06-15 2023-12-21 CueZen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pliance and behavioral activity via signals driven by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40059153A (ko) 2022-10-27 2024-05-07 고병욱 약 복용 장치
KR102518329B1 (ko) * 2023-01-04 2023-04-06 주식회사 테나리코 인공지능 기반 병원 진료 및 처방 정보의 관리 및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44A (ja) * 2010-03-31 2011-10-27 Fujitsu Ltd 服薬支援装置及び服薬支援方法
KR101744123B1 (ko) * 2015-12-29 2017-06-08 주식회사 퍼스트디스 의약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391A1 (en) * 2005-11-14 2010-04-22 Kantilal Kasan Daya Pharmaceutical packaging and method for delivery of same
KR20160061004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메디플러스솔루션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42599B1 (ko) * 2014-11-27 2016-08-25 서일대학교산학협력단 근거리 통신 기반 복약정보 관리 및 서비스 시스템
KR101749524B1 (ko) 2015-05-28 2017-06-23 양재정 복약순응에 따라 광고를 제시하고, 시청이 확인되면 보상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3382B1 (ko) * 2015-05-29 2017-04-05 (주)이든이노베이션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7299A (ko) * 2016-01-20 2017-07-2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맞춤형 약 복용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01388B1 (ko) 2017-11-06 2018-09-28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복약 순응도 향상을 위한 복약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20190054762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744A (ja) * 2010-03-31 2011-10-27 Fujitsu Ltd 服薬支援装置及び服薬支援方法
KR101744123B1 (ko) * 2015-12-29 2017-06-08 주식회사 퍼스트디스 의약품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23A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776B1 (ko)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894142B2 (en) Database managemen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asurements collected by analyzing blood
US20210098110A1 (en) Digital Health Wellbeing
US20180301209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customized health management, and methods thereof
US20190272725A1 (en) Pharmacovigilance systems and methods
US20170039336A1 (en) Health maintenance advisory technology
US20130304493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US20220273204A1 (en) Intermittent Monitoring
US20190006040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US20230116079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US20150278475A1 (en) Social medication management with sensors
US20170061823A1 (en) System for tracking and monitoring personal medical data and encouraging to follow personalized condition-based profile and method thereof
CN11444994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US20220139550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US20230061435A1 (en) Predicting adverse health events using a measure of adherence to a testing routine
US20230044000A1 (en) System and method using ai medication assistant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rpm) devices
WO2023119095A1 (en) Digital medicine companion for treating and managing skin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