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067B1 -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067B1
KR102489067B1 KR1020210121737A KR20210121737A KR102489067B1 KR 102489067 B1 KR102489067 B1 KR 102489067B1 KR 1020210121737 A KR1020210121737 A KR 1020210121737A KR 20210121737 A KR20210121737 A KR 20210121737A KR 102489067 B1 KR102489067 B1 KR 102489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medical information
prescription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재
Original Assignee
임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재 filed Critical 임명재
Priority to KR102021012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맞춤형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병원 단말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약국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함으로써 환자의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만을 위한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하고 환자의 질환과 관련된 잠재적인 소비수요를 파악하며 이를 관련 의료기관의 광고와 연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AI BAS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I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발급받은 처방전에 명시된 의약품에 대하여 일정한 코드 또는 번호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약국 리스트를 제공하여 환자가 선택한 약국의 단말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여 처방약이 준비될 수 있도록 하며, 각 의약품 별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의료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되,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에 연관성 있는 의료기관의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방문하는 환자는 진료가 끝나면 처방전을 수령하여 약국으로 가서 처방전을 제시하여 처방약을 구매한다. 하지만 환자가 기저질환이 있거나 희귀병을 앓고 있는 경우, 또는 여러가지 의약품을 복합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 의사나 약사로부터 구체적인 복약지도에 대한 설명을 듣지만 그 내용이 복잡하여 복약법을 잊거나 잘못된 복약지도로 오해할 여지가 많다. 또한 의사의 진료시간이 제한되어 환자 입장에서 자신의 질병과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설명을 듣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환자들은 복용해야 하는 약물의 수가 증가하여 다제약물을 동시에 복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들 약물들은 복용하는 시기 또는 작동하는 방법 등이 다를 수 있으며 주의해야 할 정보도 많아지고 있다. 덧붙여서 단순하게 경구로 복용하는 약물 뿐만 아니라 인슐린 주사제, 흡입용 기구, 안약, 붙이는 약물 그리고 환자가 가정에서 스스로 조작해서 복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구두로 설명하거나 문서로 된 안내만으로는 고령의 환자들이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정보를 의료인이 구두로 설명하거나 문서로만 제공되는 것에 대해 노령의 환자들이 이들 정보의 습득, 이해, 보관 등을 하는데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종이문서로 제공됨에 따라 환경파괴와 비용의 낭비가 발생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의약품 및 건강에 관한 정보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0907호 (공개일자:2016년05월11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57423호 (공개일자:2021년05월21일)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환자의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환자 자신의 질환 및 처방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종이문서를 대체하여 환경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의료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맞춤형 의료정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맞춤형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병원 단말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약국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의약품 관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며,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컨텐츠 관리부;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의료정보 제공부; 및 기등록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복수의 약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약국정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컨텐츠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약국 단말은 약사의 입력에 따른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병원 단말에 의해,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약국 단말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및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단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약국 단말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약사의 입력에 따른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지 않고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만을 위한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자신의 질환 및 처방약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제공함과 더불어 환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능동적으로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다양한 의약품, 질환, 환자의 특성에 대한 양질의 건강정보 컨텐츠를 생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질환과 관련된 잠재적인 소비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관련 의료기관의 광고와 연계시킴으로써 의료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기 위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은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병원 단말(300), 약국 단말(400), 영상 제공 단말(500), 영상 공유 플랫폼(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 약국 단말(400), 영상 공유 플랫폼(600)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병원 단말(300), 약국 단말(400), 영상 제공 단말(500), 영상 공유 플랫폼(600) 등과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400)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맞춤형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 정보는 의사가 처방전 발급을 위해 입력하는 정보로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병원 단말(100)에서 의사에 의해 입력되는 처방 정보는 자동으로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별도의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내장된 GPS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복수의 약국 리스트가 맞춤형 의료정보 앱 내에서 표시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선택된 약국에 대응하는 약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처방 정보는 사용자가 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처방전을 촬영한 이미지에 대한 OCR(광학문자인식)을 통해 획득하거나, 처방전 내에 제공되는 QR코드 인식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방 정보는 병원 단말(300)에서 입력되는 처방 정보, 사용자 단말(200)의 OCR 또는 QR코드 인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혈당측정기 또는 혈압기에 나타난 화면을 촬영한 후 성별과 나이를 입력하면 촬영된 화면, 성별, 나이를 분석해서 관련도가 높은 영상을 자동으로 제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광고를 통해 자신의 질병과 관련된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을 검토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의료정보 앱의 검색화면에 특정한 단어를 입력하면 그 단어와 관련된 영상의 목록을 제공하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특화된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병원 단말(300)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한다.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은 맞춤형 의료정보 앱 내에 직접 임베딩되어 재생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맞춤형 의료정보 앱이나 메신저,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상기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의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처방 정보, 맞춤형 의료정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복수의 약국 리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와 같은 다양한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하되, 각 정보와 관련되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 단말(300)은 의사에 의해 처방 정보가 입력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병원 단말(300)은 처방 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자동으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방 정보는 사용자가 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처방전을 사용자 단말(200)로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OCR(광학문자인식)을 통해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처방전에 QR코드를 제공하여 QR코드 인식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 단말(200)에서 직접 처방 정보를 확보하여 약국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병원 단말(300)은 병원 정보, 병원에서 제공되는 의료 상품 등에 대한 광고를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질환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이나 보조제, 치료 관련 의료기구 등에 대한 광고를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약국 단말(400)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국 단말(400)은 약국 정보, 다양한 상품 등에 대한 광고를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병원 단말(300)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방 정보를 통해 파악된 사용자의 질환 종류에 맞는 건강기능식품이나 보조제 등에 대한 정보를 광고로 제작하여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병원 단말(300), 약국 단말(400) 또는 보험사, 금융사 등과 같이 의료와 관련된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광고를 신청 받아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된 광고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질환과 관련도가 높은 광고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의 기준이 되는 관련도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약국 단말(400)은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약지도 정보는 약사가 약국 단말(400)을 통해 처방약에 대한 용법 등을 간단하게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후 30분 또는 식전 30분, 하루 3번, 복용 기간에 주의해야 할 음식 리스트, 복용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및 대처방안 등을 약사의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복약지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선택된 약국 단말로 처방 정보를 미리 보냄으로써, 사용자는 진료를 마치고 약국에 도착해서 처방전을 접수하고 처방약이 제조되기까지 기다리지 않더라도 방문을 원하는 약국을 선택하여 처방 정보를 바로 전송하고, 약국에 도착하면 처방약을 수령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약사로부터 입력된 복약지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용법이나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언제든지 다시 확인이 가능하여 약을 용법에 맞게 정상적으로 복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영상 제공 단말(500)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을 통해 6자리의 112201와 같은 속성별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같은 효능, 동일성분이라도 함량이 650mg으로 바뀌면 마지막 숫자를 02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위 번호에 대해 성별과 나이에 대한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2201-MO, 112201-FY, 112201-Y, 112201-O와 같이 M=남자,F=여자, Y=젊은, O=노인과 같이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저질환, 알러지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의료계의 전문가라 할 수 있는 의대, 약대, 치대생 등의 학생 등이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을 통해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료 정보 관련 영상의 제작이 가능한 사람도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에 대해 클라우드 소싱 형식을 통해 양질의 컨텐츠를 수급할 수 있다.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는 일련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의약품의 속성인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이 함께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영상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영상시간, 화질, 포맷 등을 포함하는 영상 규격 정보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복약지도 영상 및 건강관리 영상에 대해 평가를 거쳐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며, 영상의 제공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한 평가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기등록된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30점 만점 기준으로 25점 이상인 영상을 등록 결정할 수 있다. 평가 기준은 정보의 정확성, 전문성, 전달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은 상기 평가 기준 별로 1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고, 일정 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의 평가가 끝나면 평가점수를 평균하여 25점을 넘긴 영상에 대해 등록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등록된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에게만 열람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등록이 결정된 영상에 대해서만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할 수 있다.
영상 공유 플랫폼(600)은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일 수 있다.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가 공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는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등록이 결정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이 등록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4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의약품 관리부(110), 컨텐츠 관리부(120), 의료정보 제공부(130), 약국정보 관리부(140), 컨텐츠 보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 관리부(110)는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을 통해 6자리의 112201와 같은 속성별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같은 효능, 동일성분이라도 함량이 650mg으로 바뀌면 마지막 숫자를 02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위 번호에 대해 성별과 나이에 대한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2201-MO, 112201-FY, 112201-Y, 112201-O와 같이 M=남자,F=여자, Y=젊은, O=노인과 같이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나이의 경우, 예를 들어 만 40세를 기준으로 그보다 어린 나이이면 Y(젊은), 60세 이상이면 O(노인) 등으로 세대를 구분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질환, 알러지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알러지는 AL, 알러지의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여 AL01은 약물 알러지, AL02는 음식 알러지 등과 같은 고유번호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저질환의 경우, 대응되는 질병분류기호를 고유번호로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별 일련번호는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인 것을 기본으로 하되, 기저질환이나 알러지에 대한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일련번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로부터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맞춤형 의료정보의 정확도가 더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500)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며,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는 일련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의약품의 속성인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이 함께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영상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영상시간, 화질, 포맷 등을 포함하는 영상 규격 정보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확보된 복약지도 영상 및 건강관리 영상에 대해 평가를 거쳐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며, 영상의 제공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한 평가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기등록된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30점 만점 기준으로 25점 이상인 영상을 등록 결정할 수 있다. 평가 기준은 정보의 정확성, 전문성, 전달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은 상기 평가 기준 별로 1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고, 일정 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의 평가가 끝나면 평가점수를 평균하여 25점을 넘긴 영상에 대해 등록이 결정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20)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예를 들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의 6자리 고유번호에 복용대상별 고유번호가 추가된 112201-MO의 의약품별 일련번호가 지정된 경우,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500mg, 남자, 노인이라는 정보가 있으므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로 수신된 영상에 대해 "노인 남성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등과 같은 제목이 부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에 대한 고유번호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당뇨병 남성 노인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당뇨병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와 같은 제목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언어별 자막은 먼저 인공지능 기반 Speech to Text를 활용하여 영상 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뒤, 각 언어별 자동번역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Speech to Text는 Google 클라우드 음성 API, IBM Watson Speech to Text, Microsoft Azure Bing 음성 API, Amazon Transcribe와 같이 공개된 음성 처리 API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언어별 자동번역은 Google Translation API, 카카오 번역 API, 파파고 번역 API 등의 상용 인공지능 자동번역 API 서비스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당뇨병 남성 노인의 감기와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여 해당 광고를 영상 하단에 제공하거나 영상의 앞 또는 뒤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의료정보 제공부(130)는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통상의 웹 스크래핑 또는 웹 크롤링을 통해서 수집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기와 같은 단순한 질환의 경우, 처방약은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으나 감기 증상이나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수의 약이 처방될 수도 있으며, 질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약이 처방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처방전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처방전 빅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처방전에 포함된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효능, 성분), 1회 투여량(함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인적사항, 질병분류기호,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 등을 라벨링 하고 질병분류기호 및 인적사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의 관련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인적사항 중 나이, 성별 외의 민감한 정보는 제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나이는 연령대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2살은 30대, 56살은 50대 등의 연령대로 하여 데이터의 파편화를 예방할 수 있다. 이렇게 전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통하여 질병분류기호, 나이, 성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고, 검증 과정을 거쳐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보정할 수 있다.
약국정보 관리부(140)는 기등록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복수의 약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지도 상에 가까운 약국을 표시하거나 근거리 순으로 약국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보상부(150)는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500)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인센티브는 계좌를 통한 현금지급이나 포인트, 쿠폰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제공자는 보다 양질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동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의 경우, 당뇨병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 식단 및 생활습관, 신약 또는 새로운 치료법과 관련된 뉴스 등을 텍스트나 이미지, 오디오 또는 영상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최신 정보를 적절하게 가공하여 카드뉴스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처방 정보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처방 정보는 환자의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해킹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ID 신원인증(탈중앙화 신원증명, Decentralized Identity)을 기반으로 개인의 처방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는 상기 처방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병원 단말(300)에 의해,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10),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320),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400)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30), 상기 약국 단말(4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340) 및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병원 단말(300)에 의해,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10)는 의사가 처방전 발급을 위해 처방 정보를 병원 단말(300)에 입력하면, 동시에 자동으로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320)에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가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처방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푸시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별도의 맞춤형 의료정보 앱을 통해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400)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30)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GPS 또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파악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가까운 약국을 표시하거나 근거리 순으로 약국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중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선택된 약국의 약국 단말(400)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약국 단말(4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340)에서, 상기 약국 단말(400)은 상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되, 알림 기능 등을 통해 약사가 처방 정보의 수신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약국 단말(40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약사의 휴대 단말(미도시)로 처방 정보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350)에서, 상기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은 맞춤형 의료정보 앱 내에 직접 임베딩되어 재생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선택에 따라 맞춤형 의료정보 앱이나 메신저,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상기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의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의 링크 정보는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되어 있는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주소 정보를 가리킨다.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S350)는,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처방 정보에서 질병분류기호, 나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이와 가장 관련도가 높은 의약품 일련번호를 선택하고 해당 의약품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맞춤형 의료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맞춤형 의료정보는 의료정보 제공 앱을 통해 푸시 알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는 의료정보 제공 앱 내에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영상 공유 플랫폼(600)으로 직접 이동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하기 위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10) 이전에,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0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500)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304),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하는 단계(S306) 및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는 단계(S3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302)에서,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는 예를 들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을 통해 6자리의 112201 숫자로 구성될 수 있고, 같은 효능, 동일성분이라도 함량이 650mg으로 바뀌면 마지막 숫자를 02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위 번호에 대해 성별과 나이에 대한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12201-MO, 112201-FY, 112201-Y, 112201-O와 같이 M=남자,F=여자, Y=젊은, O=노인과 같이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나이의 경우, 예를 들어 만 40세를 기준으로 그보다 어린 나이이면 Y(젊은), 60세 이상이면 O(노인) 등으로 세대를 구분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질환, 알러지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알러지는 AL, 알러지의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여 AL01은 약물 알러지, AL02는 음식 알러지 등과 같은 고유번호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저질환의 경우, 대응되는 질병분류기호를 고유번호로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별 일련번호는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인 것을 기본으로 하되, 기저질환이나 알러지에 대한 추가적인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일련번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로부터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의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할 맞춤형 의료정보의 정확도가 더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500)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S304)에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는 일련번호와 그에 대응되는 의약품의 속성인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이 함께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영상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영상시간, 화질, 포맷 등을 포함하는 영상 규격 정보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제공 단말(500)은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받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작하여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료계의 전문가라 할 수 있는 의대, 약대, 치대생 등의 학생 등이 상기 영상 제공 단말(500)을 통해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의료 정보 관련 영상의 제작이 가능한 사람도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에 대해 클라우드 소싱 형식을 통해 양질의 컨텐츠를 수급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하는 단계(S306)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단계(S306-1),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는 단계(S306-2) 및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는 단계(S30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하는 단계(S306)를 먼저 살펴보면, 영상 제공 단말(600)로부터 수신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해 평가를 거쳐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에 대한 평가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100)에 기등록된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30점 만점 기준으로 25점 이상인 영상을 등록 결정할 수 있다. 평가 기준은 정보의 정확성, 전문성, 전달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과별 전문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은 상기 평가 기준 별로 1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를 매길 수 있고, 일정 수 이상의 자격 소유자들의 평가가 끝나면 평가점수를 평균하여 25점을 넘긴 영상에 대해 등록이 결정될 수 있다.
S306-1 단계에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의 6자리 고유번호에 복용대상별 고유번호가 추가된 112201-MO의 의약품별 일련번호가 지정된 경우,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500mg, 남자, 노인이라는 정보가 있으므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로 수신된 영상에 대해 "노인 남성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등과 같은 제목이 부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에 대한 고유번호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당뇨병 남성 노인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당뇨병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와 같은 제목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레놀의 경우, 해열진통제-11, acetaminophen-22, 500mg-01의 6자리 고유번호에 복용대상별 고유번호가 추가된 112201-MO의 의약품별 일련번호가 지정된 경우,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500mg, 남자, 노인이라는 정보가 있으므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로 수신된 영상에 대해 "노인 남성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등과 같은 제목이 부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에 대한 고유번호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 "당뇨병 남성 노인의 감기약 복약지도" 또는 "당뇨병 노인 남성의 감기 예방 및 치료"와 같은 제목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S306-2 단계에서, 언어별 자막은 먼저 인공지능 기반 Speech to Text를 활용하여 영상 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뒤, 각 언어별 자동번역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Speech to Text는 Google 클라우드 음성 API, IBM Watson Speech to Text, Microsoft Azure Bing 음성 API, Amazon Transcribe와 같이 공개된 음성 처리 API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언어별 자동번역은 Google Translation API, 카카오 번역 API, 파파고 번역 API 등의 상용 인공지능 자동번역 API 서비스를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수신한 영상의 오디오로부터 STT 적용을 통한 텍스트 생성, 상기 텍스트에 대한 인공지능 자동번역 기술 적용을 통한 언어별 자막 생성을 통해 상기 영상에 언어별 자막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국어가 유창하지 않더라도 영상에 제공되는 언어별 자막을 통해 더욱 쉽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S306-3 단계에서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당뇨병 남성 노인의 감기와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여 해당 광고를 영상 하단에 제공하거나 영상의 앞 또는 뒤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다양한 단체 또는 기관으로부터 등록된 광고들 중에서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관련도가 높은 광고를 매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키워드 기반 광고 매칭을 통해 선정된 광고를 영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광고는 영상 하단에 문자나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거나 영상의 앞 또는 뒤에 추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는 단계(S308)를 살펴보면, 감기와 같은 단순한 질환의 경우, 처방약은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으나 감기 증상이나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수의 약이 처방될 수도 있으며, 질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약이 처방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처방전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처방전 빅데이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처방전에 포함된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효능, 성분), 1회 투여량(함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인적사항, 질병분류기호,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 등을 라벨링 하고 질병분류기호 및 인적사항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약품의 관련도를 학습할 수 있다. 이때 인적사항 중 나이, 성별 외의 민감한 정보는 제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나이의 경우, 예를 들어 만 40세를 기준으로 그보다 어린 나이이면 Y(젊은), 60세 이상이면 O(노인) 등으로 세대를 구분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전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통하여 질병분류기호, 나이, 성별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고, 검증 과정을 거쳐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하는 단계(S306) 이후에,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600)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500)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306 단계에서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600)의 영상 제공자에게 계좌를 통한 현금지급이나 포인트, 쿠폰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제공자는 보다 양질의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국 단말(400)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340)는, 약사의 입력에 따른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약지도 정보는 약사가 약국 단말(400)을 통해 처방약에 대한 용법 등을 간단하게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후 30분 또는 식전 30분, 하루 3번, 복용 기간에 주의해야 할 음식 리스트, 복용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 및 대처방안 등을 약사의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의 복약지도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약지도 정보는 약사의 음성이나 영상에 대한 음성인식을 통한 텍스트 형태로 변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병원에서 진료를 마치면, 처방 정보를 즉각적으로 의료정보 제공 앱을 통해 받아볼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약국의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약국을 선택하면, 선택된 약국의 약국 단말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여 약국에서 바로 접수 처리가 가능하며, 약사가 작성한 복약지도 정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맞춤형 의료정보를 의료정보 제공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자신의 진료 이후에 대한 처방약 구입, 질환 관련 정보,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 자신의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 광고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하고 필요 시 재확인할 수 있어 건강관리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것과 동시에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처방 정보 수집을 통해 다양한 의료정보를 획득하여 보다 질 높은 맞춤형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에 등록된 병원, 약국 및 그 외 다양한 관련 기관들이 연계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의료정보 제공 서버 110 : 의약품 관리부
120 : 컨텐츠 관리부 130 : 의료정보 제공부
140 : 약국정보 관리부 150 : 컨텐츠 보상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병원 단말
400 : 약국 단말 500 : 영상 제공 단말
600 : 영상 공유 플랫폼

Claims (10)

  1.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처방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맞춤형 의료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병원 단말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의료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약국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의약품 관리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며,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컨텐츠 관리부;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의료정보 제공부; 및
    기등록된 약국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에 있는 복수의 약국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약국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며,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DID 신원인증(탈중앙화 신원증명, Decentralized Identity)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고,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며,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컨텐츠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단말은 약사의 입력에 따른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6. 병원 단말에 의해,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약국 단말로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약국 단말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로 처방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의약품의 속성별 고유번호, 복용대상별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조합된 의약품별 일련번호 및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제공 단말에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및
    의약품과 관련된 질환 및 해당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복약지도 영상, 건강관리 영상,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에 대한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 정보는 보험구분, 인적사항, 병원정보, 질병분류기호, 담당의사정보, 의약품 이름, 1회 투여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 일수, 용법을 포함하며,
    상기 의약품의 속성은 이름, 효능, 성분, 함량을 포함하고,
    상기 복용대상은 성별, 연령대, 기저질환, 알러지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질환과 관련된 건강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이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처방 정보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DID 신원인증(탈중앙화 신원증명, Decentralized Identity)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처방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의약품별 일련번호를 기반으로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의 제목을 설정하는 단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언어별 자막을 자동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과 관련된 광고를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와 각각의 의약품별 일련번호와의 관련도를 기반으로 상기 맞춤형 의료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 평가점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영상 공유 플랫폼에 등록된 복약지도 영상 또는 건강관리 영상을 제공한 영상 제공 단말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단말에 의해, 상기 처방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약 주문 정보를 표시하고, 결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약사의 입력에 따른 복약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121737A 2021-09-13 2021-09-1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9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37A KR102489067B1 (ko) 2021-09-13 2021-09-1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37A KR102489067B1 (ko) 2021-09-13 2021-09-1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9067B1 true KR102489067B1 (ko) 2023-01-17

Family

ID=8511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737A KR102489067B1 (ko) 2021-09-13 2021-09-1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0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907A (ko) 2014-10-31 2016-05-11 대한민국(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장) 무황변, 가역성의 우레탄계 도자기 복원제 조성물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5582A (ko) * 2018-01-11 2019-07-19 강병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4239A (ko) * 2019-03-28 2020-10-07 이연재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KR20210057423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907A (ko) 2014-10-31 2016-05-11 대한민국(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장) 무황변, 가역성의 우레탄계 도자기 복원제 조성물
KR20190085582A (ko) * 2018-01-11 2019-07-19 강병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89474B1 (ko) * 2018-11-23 2019-06-14 (주)레몬헬스케어 클라우드 기반의 전자처방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4239A (ko) * 2019-03-28 2020-10-07 이연재 전자 처방전 전송 시스템
KR20210057423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Telehealth in health centers: key adoption factors, barriers, and opportunities
Grossman et al. Transmitt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prescriptions: experiences of physician practices and pharmacies
Mechael et al. Barriers and gaps affecting mHealth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Policy white paper
Ahmed et al. E-health and M-Health in Banglades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chiøtz et al. Polypharmacy and medication deprescribing: a survey among multimorbid older adults in Denmark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KR102156197B1 (ko) 처방 정보를 통한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Meyer-Rath et al. Cost and outcomes of paediatric antiretroviral treatment in South Africa
Sculley et al. Telehealth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efore, during,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Yoo et al. Patient–clinician mobile communication: Analyzing text messaging between adolescents with asthma and nurse case managers
Yang et al. Online media use and HPV vaccination intentions in mainland China: integrating marketing and communication perspectives to improve public health
JP6338957B2 (ja) 治験適合患者選択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Llorian et al. Healthcare utilization and telemedicine: An evaluation using linked administrative data from Manitoba
Enoka et al. Developing a culturally appropriate mental health care service for S amoa
Wunsch et al. Thirty-day treatment continuation after audio-only buprenorphine telehealth initiation
KR102489067B1 (ko)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25692A1 (en) Medication list generator
JP7412916B2 (ja) 服薬支援システム
US2015021357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Treatment Center Marketplace
US20070250347A1 (en) Broker service and system architecture for health care data
KR20210066251A (ko)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데이터 처리 장치
Ziman et al. The pharmacists' role in improving guideline compliance for thyroid function test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P70741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Samuel et al. Utilization of recently established drug information centers located in the public hospitals of Addis Ababa, Ethiopia: An assessment
Mahone et al. Opioid use disorder treatment and the role of New Jersey Medicaid policy changes: perspectives of office-based buprenorphine provi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