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762A -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762A
KR20190054762A KR1020170151707A KR20170151707A KR20190054762A KR 20190054762 A KR20190054762 A KR 20190054762A KR 1020170151707 A KR1020170151707 A KR 1020170151707A KR 20170151707 A KR20170151707 A KR 20170151707A KR 20190054762 A KR20190054762 A KR 2019005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drug
patient
side effect
me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세현
이은해
이현진
최정민
최명선
김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7015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4762A/ko
Publication of KR2019005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Abstract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은,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IDE EFFECTS OF PRESCRIPTION DRUGS}
본 발명은 환자 개개인이 자신의 단말을 통해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을 손쉽게 보고할 수 있게 하고, 병의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과 연동하여 부작용 발생이 보고된 처방약품에 대한 적절한 대체처방을 지원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는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에게 약물 처방이 필요한 경우 처방전을 발행하고 있으나, 환자가 실제로 처방된 약을 제때에 정확한 양을 복용했는지 알기 어렵고, 약 복용에 따라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는지 또는 부작용이 발생했는지를 환자가 다음 진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기 전까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한편, 2016년도 기준으로 의약품 부작용 보고 건수가 대략 22만 8천 건을 넘어서는 등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 사례를 신속하게 수집해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처방약품의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환자가 직접 처방약품의 부작용을 신고할 수 있는 웹사이트가 운영되고 있으나, 환자 개인이 자신의 신상정보와 부작용이 발생한 처방약품 및 부작용 사례 등을 해당 웹사이트에 들어가 집적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며 실제로 많은 환자들이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 측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으로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직접 보고할 필요 없이, 환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부작용 발생을 보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발생 즉시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 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환자 단말로부터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이 보고될 경우, 진료 예약을 유도하거나, 근시일 내에 병원에 내원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EMR 시스템으로부터의 승인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한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처방전을 재발행하여,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즉시 복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방약품 복용 시의 난이도에 따라 복약지도를 알림하는 횟수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조정 함으로써,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약 알림 이후에도,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와 증상의 개선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진을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처방약품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발생 즉시 확인하고, 이후의 처방 시 문진을 활용해 적절한 처방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은,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손쉽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고,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환자 측에서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전송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 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로부터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이 보고될 경우, 진료 예약을 유도하거나, 근시일 내에 병원에 내원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EMR 시스템으로부터의 승인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한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처방전을 재발행하여,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즉시 복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 복용 시의 난이도에 따라 복약지도를 알림하는 횟수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조정 함으로써,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알림 이후에도,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와 증상의 개선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진을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처방약품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발생 즉시 확인하고, 이후의 처방 시 문진을 활용해 적절한 처방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이나, 투약횟수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낮아진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담당의사로 하여금 처방전 작성 시 환자의 과거 약 복용 여부, 부작용 여부와 증상 호전 여부 등을 참조하여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에게 처방전 발행 시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동일 효능을 가지는 적절한 대체약품을 처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의 복약방법이 복잡하거나 투약횟수가 많거나 약품마다 상이할 경우 낮아지는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처방약품을 복약 알림하는 횟수를 조정 함으로써, 환자가 복약 알림에 대한 부담 없이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게 하고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하려는 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알람하여 대체약품의 처방을 유도하는 등 부작용 발생 시 병의원의 EMR 시스템에서 약품의 처방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전에 있는 약품에 대해 복약여부, 약물 부작용 상태 등을 입력하면, 해당 내용이 처방전을 발행한 병원 EMR 시스템의 해당 환자의 처방기록과 연동이 되어, 향후 환자가 해당 병원을 재 방문 시 환자가 입력한 복약여부, 약물 부작용 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진을 통해 환자의 복약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처방전을 발행한 병원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되면 복약 알림을 실시하고, 복약순응도에 따라 복약 알림의 횟수와 메시지 내용 등의 형태를 환자와 처방약품에 맞춰 다양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과, 병원 EMR 시스템 및 환자의 PHR 단말기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복약 알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문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문진 화면에서 부작용 증상이 입력될 경우 진료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의사 단말에서 처방전 작성이 요청될 경우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와 대체약품을 안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과, 병원 EMR 시스템 및 환자의 PHR 단말기 간의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100)은, 복약순응도 관리부(110),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 및 PHR DB(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약순응도 관리부(110)는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진료 내역과 처방전을 분석하여 환자의 복약순응 정도를 예측해 점수화 하고, 해당 점수 구간에 따라, 환자가 소지한 PHR 단말기(102)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예, 'PHR 앱')으로 복약 알림 화면 및 복용 확인 여부를 위한 문진 화면을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복약순응도 관리부(110)는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경우 해당 병원에서 운영되는 EMR 시스템(101)('의사 단말')으로부터 수신되는 진료 내역을, 환자를 기준으로 PHR DB(130)에 유지하고, 상기 진료 내역 중 처방전에 포함된 투약 정보를 분석하여 환자의 해당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순응도는, 환자의 약물 복용 시 진료의사의 처방에 잘 따르는 정도로서, 예컨대 환자가 약물을 처방된 대로 복약방법을 준수하여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높으며, 복약방법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나이와 성별, 질병에 대한 지식 및 신념 중 적어도 하나의 환자요인과, 복용약의 개수와 복약방법, 복용기간 및 부작용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의약품 및 처방요인과, 질병의 중증도, 치료기간 및 정신질환 유무 중 적어도 하나의 질병요인과, 의사 또는 약사와 환자 간의 관계와 같은 의료진 및 약사 요인, 의약품의 가격과 보험지급 여부와 같은 보건의료체계가 있을 수 있다.
복약순응도 관리부(110)는 이러한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환자 나이, 질환 증증도, 복약방법, 복용기간 및 투약횟수)을 점수화 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단계 별로 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복약순응도 관리부(110)는 질환 중증도에 따른 질환 등급 별 기본 점수에, 복약방법의 복잡도(복약방법 가지 수), 1일 투약횟수, 총 투약일수 및 환자 나이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 점수를 가산하여, 총 점수가 속하는 등급(단계)을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항목)이나 등급은 상황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복약방법은 경구투여, 외용약, 좌약, 주사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환자의 단말기(102)로부터 복약 여부와 약물 부작용 증상이 입력된 경우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환자의 단말기(102)에서 실행되는 'PHR 앱'의 문진 응답을 통해 처방약품에 대한 부작용 증상이 입력되면, 입력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 및 진료내역과 연관시켜 부작용 사례로서 PHR DB(130)에 기록하여, 부작용 사례를 발생 즉시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이때,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부작용 사례를 처방약품 별로 누적하여 부작용 발생 건수를 기록하고, 처방약품을 대체하여 처방 가능한 동일 효능 약품(대체약품)이 존재하면 해당 약품 정보도 함께 PHR DB(13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PHR DB(130)에 기록된 부작용 사례가 검증되면, 일정 주기로, 공인 기관에서 운영되는 외부의 KAERS 서버(103)로 전송하여, 환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KAERS 서버(103)로 보고하는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KAERS 서버(103)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부작용) 보고 시스템으로서, 의약품 투여 후 발생된 이상사례(부작용)를 수집하여 정보 탐색과 평가 및 안전성 정보를 생산,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국제 약물감시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KAERS(103) 서버를 통해,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세계보건기구의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센터('웁살라모니터링센터')로 전송하여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환자에게 처방전을 발행하는 병원 EMR 시스템(101)과 연동하여, 의사 단말의 처방 지원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병원 EMR 시스템(101)으로부터 처방하려는 약품 리스트(예, 약품코드, 약품명)가 수신되면, 수신된 약품 리스트 중에 PHR DB(130)에 부작용 사례가 기록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처방하려는 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가 PHR DB(130)(또는 외부의 KAERS(103))에 다수 기록되어 있으면, EMR 시스템(101)에서 부작용 사례가 표시되도록 알람하여 진료의사가 즉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당 환자에 의해 직접 보고된 부작용 사례가 PHR DB(130)에 기록되어 있으면, 약물 부작용 관리부(120)는 EMR 시스템(101)에서 작성 중인 처방전에서 해당 처방약품을 바로 삭제하도록 EMR 시스템(101)에 알람하고, 해당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손쉽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고,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환자 측에서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전송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 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전에 있는 약품에 대해 복약여부, 약물 부작용 상태 등을 입력하면, 해당 내용이 처방전을 발행한 병원 EMR 시스템의 해당 환자의 처방기록과 연동이 되어, 향후 환자가 해당 병원을 재 방문 시 환자가 입력한 복약여부, 약물 부작용 정보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문진을 통해 환자의 복약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처방전을 발행한 병원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되면 복약 알림을 실시하고, 복약순응도에 따라 복약 알림의 횟수와 메시지 내용 등의 형태를 환자와 처방약품에 맞춰 다양화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산출부(210), 인터페이스부(220), 처리부(23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산출부(210)는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한다.
산출부(210)는 의사 단말에서 구동하는 병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의 진료 내역과 함께 입력되는 처방전을 분석 함으로써, 환자의 처방전(처방약품)에 대응하는 복약순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순응도는, 환자의 약물 복용 시 진료의사의 처방에 잘 따르는 정도로서, 예컨대 환자가 약물을 처방된 대로 복약방법을 준수하여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높으며, 복약방법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례로, 산출부(210)는 처방전으로부터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처방전에 기재된, 환자의 질환명과 질환의 중증도(질환 등급), 처방약품, 복약방법, 복용기간, 복용량, 1일 투약횟수와, 총 투약일수, 환자 나이 등과 같은 요인 뿐만 아니라, 처방약품의 개수와, 복약방법의 가지 수, 환자의 질환 등급이 높은지, 처방약품의 투약횟수 또는 투약일수가 많은지, 매회 처방약품 별로 복용량이 상이한지 등과 같은 경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질환 등급이 높을수록, 처방약품의 1일 투약횟수 또는 총 투약일수가 많을수록, 환자 나이가 많을수록,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의 개수가 많을수록, 복약방법의 가지 수가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낮은 복약순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부(210)는 경구 투여하는 처방약품('아스피린')이, 다른 처방약들(외용약, 주사, 좌약)과 같이 처방되어 있으면, 처방약품('아스피린')이 경구 투여하는 처방약들로만 처방된 경우에 비해 복약방법의 복잡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복약순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산출부(210)는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질환 증증도, 복약방법, 투약횟수 및 환자 나이)을 점수화 한 테이블(도 3의 ⅰ, ⅱ 참조)을 마련하고,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요인들이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단계 별로 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출부(210)는 환자의 질환 등급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점수에,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의 복잡도(가지 수), 1일 투약횟수, 총 투약일수 및 환자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부여되는 가중치 점수를 가산한 총 점수가 속하는 등급을, 상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방법은, 경구투여, 외용약, 좌약 및 주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산출부(210)는 도 3의 테이블(ⅰ)에서 환자의 질환 등급('1')에 따른 기본 점수('25')를 확인하고, 도 3의 테이블(ⅱ)에서 각 처방약품의 복용방법의 복잡도('3가지 복합')에 따른 가중치 점수('2')와, 1일 투약횟수('2회')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와, 총 투약일수('1주일')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와, 환자 나이('30~50세')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 이 밖에도 환자의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별 가중치 점수를 확인하고, 상기 기본 점수에, 각 가중치 점수를 합산한 총 점수('250')가, 도 3의 테이블(ⅲ)에서 속하는 등급('낮음')을, 환자의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한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220)는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하면 환자가 소지한 환자 단말에서 구동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예, 'PHR 앱')을 통해 처방약품 별 정확한 복용량과 복약방법을 안내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여, 환자가 처방전에 기록된 대로 정확하게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빈도 수(복약 알림 횟수)를, 설정된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이외의 다른 빈도 수로 조정하여, 환자에게 불필요한 알림으로 인한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처방약품의 복용을 상기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약순응도가 '높음'으로 산출되는 경우, 도 4의 (ⅰ)과 같이 빈도수 '3일에 1회'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으며, 복약순응도가 '매우 낮음'으로 산출되는 경우, 도 4의 (ⅱ)와 같이 빈도수 '매 투약횟수 마다'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복약순응도가 '보통'으로 산출되는 경우, 도 4의 (ⅲ)과 같이 빈도수 '1일마다 1회'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 이하(즉, '낮음')이면, 설정된 복약 알림 횟수를 늘리도록 조정하고, 조정된 복약 알림 횟수에 따라 지정되는 알림시점이 도래 시 마다,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220)는 설정된 복약 알림 횟수를, 상기 복약순응도에 반비례하는 횟수로 조정하여, 예컨대, 복약 알림 횟수의 디폴트 값을, 복약난이도 '보통'에 해당하는 '1일에 1회'로 설정해 두고,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 '보통' 이하인 '낮음'이면 복약 알림 횟수를 '1일에 2회'로 늘리고,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그 보다 더 낮은 '매우 낮음'이면 복약 알림 횟수를 '복용시점 마다'로 더 늘릴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20)는 산출된 복약순응도에 따라, 복약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횟수(복약 알림 횟수) 뿐만 아니라,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복약순응도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제2 기준치 이하('매우 낮음')이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에 포함되는, 상기 처방약품의 복약방법, 복용순서, 복용시간, 및 차기 복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메시지의 난이도를 낮추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220)는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제2 기준치 '낮음' 보다 낮은 '매우 낮음'인 경우, 복약 알림 횟수를 '복용시점 마다'로 늘리는 동시에, 복약 알림 화면 내의 메시지를 환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이미지를 이용해 난이도를 낮춰서 표현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220)는 처방전 내의, 복약방법 또는 1일 투여횟수가 서로 상이한 각각의 처방약품을 복용하는 순서대로, 상기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량에 해당하는 약품 이미지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ⅳ)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처방약품의 복용 시마다 복용하는 약품의 종류와 복용량이 서로 다른 경우,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복용 순서와 복용량을 더욱 알기 쉽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약 알림 이후 문진 화면을 표시하여,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와 함께, 미복용 사유와, 복용 후의 질환 개선 여부 및 부작용 증상과 같은 상세한 사항을 환자가 처방약품을 복용 후 바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처방약품의 유효성을 빠르게 파악하여 차기 진료 시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240)에 누적하여 기록한다.
일례로, 인터페이스부(220)는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 여부를 선택 가능한 문진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에 대해, 미복용 사유 입력을 요청하고, 처리부(230)는 상기 미복용 사유가 상기 처방약품의 부작용과 관련될 경우, 상기 미복용 사유를, 상기 부작용 증상으로서, 데이터베이스(240)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ⅰ)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PHR 앱')을 통해,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 여부를 선택 가능한 문진 화면을 표시하여 투약일 별로 복용한 처방약품에 대해 체크('V')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예, '록소탄정')에 대해, 미복용 사유 입력(510)을 요청할 수 있다.
도 5의 (ⅱ)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미복용 사유가 '복용 후 부작용 발생' 때문인 경우, 부작용 증상(520)('열이 남')과 복용한 처방약품(530)의 입력을 요청하고, 환자 정보(540)를 함께 표시하여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에 대해, 질환 호전, 질환 호전되지 않음, 및 부작용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부작용 발생으로 선택될 경우, 부작용 증상의 입력을 요청하고, 처리부(230)는 상기 입력된 부작용 증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ⅰ)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220)는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복용'으로 선택되는 각 처방약품에 대해, 질환 호전(610), 질환 호전되지 않음, 및 부작용 발생(620)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고, 부작용 발생(620)으로 선택될 경우, 상세한 부작용 증상의 입력을 요청(630)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도 5의 (ⅱ)에서 '전송' 버튼이 선택될 경우, 환자 정보(701)와 복용한 처방약품(702) 및 부작용 증상(703)을 도 7의 (ⅰ)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처방약품(702)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230)는 각 처방약품 별 데이터베이스를 취합하여, 모든 처방약품을 대상으로 부작용 발생 건수를 부작용 증상 별로 카운트하고, 그에 따른 대체약품 정보와 대체약품의 EMR 처방 횟수를 도 7의 (ⅱ)에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할 수 있다.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누적하여 기록된 부작용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공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일정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된 부작용 사례를 일정 주기로, 공인 기관에서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부작용) 보고 시스템(KAERS)으로 전송하여, 환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KAERS 서버에 보고하는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30)는 국제 약물감시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KAERS(103) 서버를 통해,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세계보건기구의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센터('웁살라모니터링센터')로 전송하여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230)는 환자 단말로부터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면,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된 대체약품을 이용해 처방전을 재발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30)는 보고된 부작용 증상에 상응하는 제1 대체약품으로서, 데이터베이스(240)로부터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약품을 선별하고, 처방약품을, 제1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재발행처방전을, 의사 단말을 경유하여 환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30)는 도 7의 (ⅱ)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처방약품('록소탄정')의 부작용 증상('열이 남')에 해당하는 대체약품('프로펜B정')을 검색하고, 검색한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재발행처방전을, 의사 단말의 승인 하에 환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처리부(230)는 환자 단말에 의해 부작용이 보고되면 타인의 부작용 사례에 근거해서 대체약품으로 바로 변경 함으로써, 내원하기 어려운 환자가 재발행처방전을 통해 약물 치료를 지속해 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230)는 부작용 발생시 환자의 내원을 유도하기 위해 진료 예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30)는 의사 단말에 의해 재발행처방전의 제공이 중지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 중단하고, 진료 예약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진료 예약 화면에서,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내원일 및 진료시간을 포함하여 진료 예약이 요청되면, 의사 단말로, 상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30)는 도 6의 (ⅰ)과 같은 문진 화면에서 부작용 발생(620)이 보고될 경우, 처방약품의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를 중단하고, 도 6의 (ⅱ)와 같은 진료 예약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 함으로써, 환자를 대신하여 의사 단말에 진료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처리부(230)는 환자에게 처방전을 발행하는 병원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의사 단말의 처방 지원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30)는 의사 단말로부터, 환자에 대한 처방전 작성이 요청될 경우, 데이터베이스(240)를 참조하여, 환자 단말에 의해 부작용 증상이 보고된 처방약품을 제외하는 대신에, 처방약품의 대체약품을 포함한 처방약품 리스트를 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처리부(230)는 해당 환자에 의해 직접 보고된 부작용 사례가 데이터베이스(240)에 기록되어 있으면, 작성 중인 처방전에서 해당 처방약품을 바로 삭제하도록 EMR 시스템에 알람하고, 대체약품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230)는 환자 단말에 의해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처방약품을 포함한 처방약품 리스트를 의사 단말에 전송하되, 데이터베이스(240)를 참조하여, 처방약품과 연관된 부작용 증상 및 대체약품을 안내하는 알람 메시지를 의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처리부(230)는 병원 EMR 시스템으로부터 처방하려는 약품 리스트(예, 약품코드, 약품명)가 수신되면, 수신된 약품 리스트 중에 데이터베이스(240)에 부작용 사례가 기록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처방하려는 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가 데이터베이스(240)에 다수 기록되어 있으면, 도 8과 같이 EMR 시스템으로 부작용 사례를 표시하도록 알람하여 진료의사가 즉시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을 손쉽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하고,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신속하게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환자 측에서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전송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 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 단말로부터 처방약품의 부작용 발생이 보고될 경우, 진료 예약을 유도하거나, 근시일 내에 병원에 내원할 수 없는 환자에게는 EMR 시스템으로부터의 승인 하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확인한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처방전을 재발행하여,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즉시 복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 복용 시의 난이도에 따라 복약지도를 알림하는 횟수 또는 메시지의 내용을 조정 함으로써, 정확한 시간에 적정량의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환자의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약 알림 이후에도,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와 증상의 개선 여부 및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문진을 환자 단말에 제공하여, 처방약품의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발생 즉시 확인하고, 이후의 처방 시 문진을 활용해 적절한 처방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이나, 투약횟수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낮아진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담당의사로 하여금 처방전 작성 시 환자의 과거 약 복용 여부, 부작용 여부와 증상 호전 여부 등을 참조하여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환자에게 처방전 발행 시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동일 효능을 가지는 적절한 대체약품을 처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약품의 복약방법이 복잡하거나 투약횟수가 많거나 약품마다 상이할 경우 낮아지는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처방약품을 복약 알림하는 횟수를 조정 함으로써, 환자가 복약 알림에 대한 부담 없이 처방약품을 복용할 수 있게 하고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하려는 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알람하여 대체약품의 처방을 유도하는 등 부작용 발생 시 병의원의 EMR 시스템에서 약품의 처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질환 증증도, 복약방법, 투약횟수 및 환자 나이)을 점수화 한 테이블(도 3의 ⅰ, ⅱ 참조)을 마련하고, 입력된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요인들이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단계 별로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도 3의 테이블(ⅰ)에서 환자의 질환 등급('1')에 따른 기본 점수('25')를 확인하고, 도 3의 테이블(ⅱ)에서 각 처방약품의 복용방법의 복잡도('3가지 복합')에 따른 가중치 점수('2')와, 1일 투약횟수('2회')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와, 총 투약일수('1주일')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와, 환자 나이('30~50세')에 따른 가중치 점수('1.25'), 이 밖에도 환자의 복약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별 가중치 점수를 확인하고, 상기 기본 점수에, 각 가중치 점수를 합산한 총 점수('250')가, 도 3의 테이블(ⅲ)에서 속하는 등급('낮음')을, 환자의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복약 알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산출된 복약순응도에 따라, 복약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횟수(복약 알림 횟수) 뿐만 아니라,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복약 알림 횟수의 디폴트 값을, 복약난이도 '보통'에 해당하는 '1일에 1회'로 설정해 두고, 복약 알림 시, 도 4의 (ⅲ)과 같이 빈도수 '1일마다 1회'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 '보통' 이하인 '매우 낮음'으로 산출되면, 복약 알림 횟수를 '매 투약횟수 마다'로 늘리는 동시에, 복약 알림 화면 내의 메시지를 환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이미지를 이용해 난이도를 낮춰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도 4의 (ⅱ)와 같이 빈도수 '매 투약횟수 마다'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도 있고, 도 4의 (ⅳ)와 같이, 처방약품의 복용 시마다 복용하는 약품의 종류와 복용량이 서로 다른 경우,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복용 순서와 복용량을 더욱 알기 쉽게 표현할 수도 있다.
또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 '보통'을 초과한 '높음'이면 복약 알림 횟수를 '3일마다 1회'로 줄이고, 도 4의 (ⅰ)과 같이 빈도수 '3일에 1회'에 해당하는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문진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도 5의 (ⅰ)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PHR 앱')을 통해,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 여부를 선택 가능한 문진 화면을 표시하여 투약일 별로 복용한 처방약품에 대해 체크('V') 선택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예, '록소탄정')에 대해, 미복용 사유 입력(510)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도 5의 (ⅱ)에 도시된 것처럼, 미복용 사유가 '복용 후 부작용 발생' 때문인 경우, 구체적인 부작용 증상(520)('열이 남')과 복용한 처방약품(530)의 입력을 요청하고, 환자 정보(540)를 함께 표시하여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전송' 버튼이 선택될 경우, 환자 정보(540, 701)와 복용한 처방약품(530, 702) 및 부작용 증상(520, 703)을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문진 화면에서 부작용 증상이 입력될 경우 진료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ⅰ)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에서 '복용'으로 선택되는 각 처방약품에 대해, 질환 호전(610), 질환 호전되지 않음, 및 부작용 발생(620)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고, 부작용 발생(620)으로 선택될 경우, 상세한 부작용 증상의 입력을 요청(630)할 수 있다.
이후,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처방약품의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를 중단하고, 도 6의 (ⅱ)와 같은 진료 예약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할 수 있으며, 환자에 의해 진료 예약하기(640)가 요청되면, 해당 병원에 진료 예약을 요청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환자 단말에 표시한 문진 화면에서 부작용 발생이 보고될 경우 환자 정보(701)와 복용한 처방약품(702) 및 부작용 증상(703)을 도 7의 (ⅰ)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처방약품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각 처방약품 별 데이터베이스를 취합하여, 모든 처방약품을 대상으로 부작용 발생 건수를 부작용 증상 별로 카운트하고, 그에 따른 대체약품 정보와 대체약품의 EMR 처방 횟수를 도 7의 (ⅱ)에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된 부작용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공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일정 주기로 전송 함으로써, 환자가 직접 접근하기 어려운 KAERS 서버에 보고하는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고, KAERS 서버를 경유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를 세계보건기구의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센터('웁살라모니터링센터')로 전송 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에서, 의사 단말에서 처방전 작성이 요청될 경우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와 대체약품을 안내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병원 EMR 시스템으로부터 처방하려는 약품 리스트(예, 약품코드, 약품명)가 수신되면, 수신된 약품 리스트 중에 데이터베이스에 부작용 사례가 기록된 약품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처방하려는 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가 데이터베이스에 다수 기록되어 있으면(발생 건수가 높으면), 도 8의 상단에 도시된 것처럼 EMR 시스템으로 부작용 사례를 표시하도록 알람하여 진료의사가 즉시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병원에서 발행한 처방전에 약품코드가 'A43800471'인 처방약품('타이레놀정 500mg')이 처방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처방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10건')를 검색해 EMR 시스템에 제공하고,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 중, 가장 많이 대체 처방된 제1 대체약품('대원이부프로펜정')으로의 대체 처방이 가능함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병원에서 발행한 처방전에 약품코드가 '648600370'인 처방약품('록소탄정')이 처방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처방약품에 대한 부작용 사례('8건')을 검색해 EMR 시스템에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 처방 가능한 약품이 검색되지 않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처방약품('록소탄정')의 부작용 사례를 알림한 뒤, EMR 시스템에서 처방약품('록소탄정') 대신에 약품코드가 '649700640'인 의약품('크라운메페남산성250mg')이 처방된 경우, 이를 이용하여, 처방약품('록소탄정')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대체약품으로서 의약품('크라운메페남산성250mg')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은,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병의원의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처방약품의 부작용 사례 및 대체약품을 안내 함으로써,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뿐만 아니라, 병의원의 EMR 시스템에서의 처방내역을 분석하여 대체 처방 가능한 의약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함으로써 처방 지원 기능을 기계학습 방식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
이하,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은, 상술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한다.
일례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질환 중증도에 따른 질환 등급 별 기본 점수에, 복약방법의 복잡도(복약방법 가지 수), 1일 투약횟수, 총 투약일수 및 환자 나이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 점수를 가산하여, 총 점수가 속하는 등급(단계)을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약순응도는, 환자의 약물 복용 시 진료의사의 처방에 잘 따르는 정도로서, 예컨대 환자가 약물을 처방된 대로 복약방법을 준수하여 지속적으로 복용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높으며, 복약방법을 준수하지 못하거나 약물 복용을 중단할 경우 환자의 처방전에 대한 복약순응도는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단계(920)에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단계(930)에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한다.
일례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병원의 EMR 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한 환자의 진료 내역과 처방전을 분석하여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점수화 하고, 해당 점수 구간에 따라, 환자가 소지한 PHR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예, 'PHR 앱')으로 복약 알림 화면 및 복용 확인 여부를 위한 문진 화면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산출된 복약순응도에 따라, 복약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횟수(복약 알림 횟수) 뿐만 아니라,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메시지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보통') 이하의 제2 기준치('낮음') 보다 더 낮은 인 경우('매우 낮음'), 복약 알림 횟수를 '복용시점 마다'로 늘리는 동시에, 복약 알림 화면 내의 메시지(처방약품 별 복용량과 복용순서)를 환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약품 이미지를 이용해 난이도를 낮춰서 표현할 수 있다.
단계(940)에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한다.
일례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문진 화면에서 처방약품의 미복용 사유가 '복용 후 부작용 발생' 때문인 것으로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증상('열이 남')과 복용한 처방약품의 입력을 요청하고, 보고된 부작용 증상과 처방약품에 관한 정보를,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에 대해, 질환 호전, 질환 호전되지 않음, 및 부작용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고, 상기 부작용 발생으로 선택될 경우, 부작용 증상의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부작용 증상을,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할 수 있다.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각 처방약품 별 데이터베이스를 취합하여, 모든 처방약품을 대상으로 부작용 발생 건수를 부작용 증상 별로 카운트하고, 그에 따른 대체약품 정보와 대체약품의 EMR 처방 횟수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함으로써, 이후, 환자에게 처방전을 발행하는 병원 EMR 시스템과 연동하여, 의사 단말의 처방 지원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된 부작용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공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일정 주기로 전송하여, 환자 단말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의약품의 부작용 사례 수집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210: 산출부
220: 인터페이스부
230: 처리부
240: 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된 부작용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공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KAERS)에 일정 주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에 상응하는 제1 대체약품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약품을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처방약품을 상기 제1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재발행처방전을, 의사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단말에 의해, 상기 재발행처방전의 제공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 중단하고, 진료 예약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 예약 화면에서,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내원일 및 진료시간을 포함하여 진료 예약이 요청되면, 상기 의사 단말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전 작성이 요청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부작용 증상이 보고된 상기 처방약품을 제외하는 대신에, 상기 처방약품의 대체약품을 포함한 처방약품 리스트를 상기 의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보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처방약품을 포함한 처방약품 리스트를 상기 의사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처방약품과 연관된 부작용 증상 및 대체약품을 안내하는 알람 메시지를 상기 의사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질환 등급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점수에,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의 복잡도, 1일 투약횟수, 총 투약일수 및 환자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부여되는 가중치 점수를 가산한 총 점수가 속하는 등급을, 상기 처방약품의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 여부를 선택 가능한 문진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미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에 대해, 미복용 사유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복용 사유가 상기 처방약품의 부작용과 관련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미복용 사유를, 상기 부작용 증상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은,
    상기 문진 화면에서 복용 여부가 '복용'으로 선택되는 처방약품에 대해, 질환 호전, 질환 호전되지 않음, 및 부작용 발생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부작용 발생으로 선택될 경우, 부작용 증상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부작용 증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순응도가 제1 기준치 이하이면,
    설정된 복약 알림 횟수를 늘리도록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복약 알림 횟수에 따라 지정되는 알림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환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순응도가, 상기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제2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에 포함되는, 상기 처방약품의 복약방법, 복용순서, 복용시간, 및 차기 복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하는 메시지의 난이도를 낮추도록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낮추도록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전 내의, 복약방법 또는 1일 투여횟수가 서로 상이한 각각의 처방약품을 복용하는 순서대로, 상기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용량에 해당하는 약품 이미지를 시각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13. 환자의 처방전이 입력 됨에 따라,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순응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시점이 도래 시 마다, 상기 복약순응도를 고려하여 복약 알림 화면을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의 표시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문진 화면에서 상기 처방약품의 복용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보고될 경우,
    부작용 발생 건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을 환자 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처방약품에 관해 마련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하여 기록된 부작용 증상에 관한 데이터를, 공인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의약품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에 일정 주기로 전송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보고된 부작용 증상에 상응하는 제1 대체약품으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처방약품과 동일 효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대체약품을 선별하고,
    상기 처방약품을 상기 제1 대체약품으로 변경한 재발행처방전을, 의사 단말을 경유하여 상기 환자 단말로 제공되도록 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단말에 의해, 상기 재발행처방전의 제공이 중지되는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복약 알림 화면을 표시 중단하고, 진료 예약 화면을 상기 환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진료 예약 화면에서,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내원일 및 진료시간을 포함하여 진료 예약이 요청되면, 상기 의사 단말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방전 작성이 요청될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환자 단말에 의해 부작용 증상이 보고된 상기 처방약품을 제외하는 대신에, 상기 처방약품의 대체약품을 포함한 처방약품 리스트를 상기 의사 단말에 전송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환자의 질환 등급에 따라 설정되는 기본 점수에, 상기 처방전에 포함된 각 처방약품에 대한 복약방법의 복잡도, 1일 투약횟수, 총 투약일수 및 환자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부여되는 가중치 점수를 가산한 총 점수가 속하는 등급을, 상기 처방약품의 복약순응도로서 산출하는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KR1020170151707A 2017-11-14 2017-11-14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KR20190054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07A KR20190054762A (ko) 2017-11-14 2017-11-14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07A KR20190054762A (ko) 2017-11-14 2017-11-14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762A true KR20190054762A (ko) 2019-05-22

Family

ID=6667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707A KR20190054762A (ko) 2017-11-14 2017-11-14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4762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6278A (zh) * 2020-06-17 2020-10-23 成都慢乐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增强现实模拟治疗过程并分析依从性的系统及方法
KR20210014882A (ko) * 2019-07-31 2021-02-10 김창호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57423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20066B1 (ko) * 2021-04-21 2021-11-02 (주)미라벨소프트 전자처방전 기반 환자 맞춤형 처방 및 이상반응 관리 서비스
KR20210132947A (ko) * 2020-04-28 2021-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5883A (ko) * 2020-06-17 2021-12-2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발적 백신 이상사례 보고의 시간적 변동시점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KR20220097601A (ko) * 2020-12-30 2022-07-08 충북대학교병원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4062B1 (ko) * 2021-07-26 2022-10-14 조현석 인공지능을 이용한 약품 이미지 식별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507211B1 (ko) * 2022-08-19 2023-03-06 김준형 약물 부작용 분석 장치, 약물 부작용 분석 방법, 및 약물 부작용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30031113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관리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42675B1 (ko) * 2022-04-11 2023-06-14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서버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84410B1 (ko) * 2023-03-22 2023-10-04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병원 및 환자 관리 시스템
KR102609482B1 (ko) * 2022-09-27 2023-12-05 강민규 개인화 부작용 데이터를 이용한 부작용 약물 탐지 및 최적화된 약물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882A (ko) * 2019-07-31 2021-02-10 김창호 복약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57423A (ko) *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머니업 사용자 맞춤형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32947A (ko) * 2020-04-28 2021-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816278A (zh) * 2020-06-17 2020-10-23 成都慢乐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增强现实模拟治疗过程并分析依从性的系统及方法
KR20210155883A (ko) * 2020-06-17 2021-12-2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발적 백신 이상사례 보고의 시간적 변동시점 분석시스템 및 분석방법
KR20220097601A (ko) * 2020-12-30 2022-07-08 충북대학교병원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20066B1 (ko) * 2021-04-21 2021-11-02 (주)미라벨소프트 전자처방전 기반 환자 맞춤형 처방 및 이상반응 관리 서비스
KR102454062B1 (ko) * 2021-07-26 2022-10-14 조현석 인공지능을 이용한 약품 이미지 식별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230031113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관리하는 마사지 장치 및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42675B1 (ko) * 2022-04-11 2023-06-14 주식회사 올라운드닥터스 항암제의 부작용 치료를 위한 원격 치료 서버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07211B1 (ko) * 2022-08-19 2023-03-06 김준형 약물 부작용 분석 장치, 약물 부작용 분석 방법, 및 약물 부작용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609482B1 (ko) * 2022-09-27 2023-12-05 강민규 개인화 부작용 데이터를 이용한 부작용 약물 탐지 및 최적화된 약물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4071595A1 (ko) * 2022-09-27 2024-04-04 강민규 개인화 부작용 데이터를 이용한 부작용 약물 탐지 및 최적화된 약물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84410B1 (ko) * 2023-03-22 2023-10-04 주식회사 이노메디제이 병원 및 환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762A (ko)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Hartwig et al. Severity-indexed, incident report-based medication error-reporting program
Bérard et al. Isotretinoin, pregnancies, abortions and birth defects: a population‐based perspective
Zhan et al. Potential benefits and problems with computerized prescriber order entry: analysis of a voluntary medication error-reporting database
US20160026773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al-Time Medication Adherence Monitoring
US10388023B2 (en)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Seibert et al. Effect of barcode technology with electronic medication administration record on medication accuracy rates
Prot et al. Drug administration errors and their determinants in pediatric in-patients
JP2019083071A (ja) 患者固有投薬管理システム
US20190237174A1 (en) System for gap in care alerts
Rodriguez-Gonzalez et al. Prevalence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in two medical units with automated prescription and dispensing
US200602244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tion misuse prevention
WO2017057013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89162A5 (ko)
Spina et al. Clinical relevance of automated drug alert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providers
JP2011189162A (ja) 全患者の流入の監視
EP1554678A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care
Hepler Regulating for outcomes as a systems response to the problem of drug-related morbidity
Ruggiero et al. Discharge time out: an innovative nurse-driven protocol for medication reconciliation
Leite et al. Cohort study for evaluation of dose omission without justification in a teaching general hospital in Bahia, Brazil
Patapovas et al. Medication safety and knowledge‐based functions: a stepwise approach against information overload
Blake Telemedicine and adherence monitoring in children with asthma
Gilbert et al. To err is human: medication patient safety in aged care, a case study
JP2006209400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9028833A (ja) 服薬管理装置および服薬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