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947A -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947A
KR20210132947A KR1020200051482A KR20200051482A KR20210132947A KR 20210132947 A KR20210132947 A KR 20210132947A KR 1020200051482 A KR1020200051482 A KR 1020200051482A KR 20200051482 A KR20200051482 A KR 20200051482A KR 20210132947 A KR20210132947 A KR 2021013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atment
radiation
side effec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022B1 (ko
Inventor
박재원
오세안
예지원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2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3Treatment planning systems
    • A61N5/1038Treatment planning system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ly administered plans applied to the same patient, i.e. adaptive radi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3Treatment planning systems
    • A61N5/1031Treatment planning systems using a specific method of dose optimiz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은, 환자 정보를 제공받아 대상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계획 생성부; 상기 대상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대상 환자의 단말에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에 따른 치료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상기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ATION THERAPY}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대표적인 암치료법 중 하나이다. 최근, 방사선 치료는 세기변조 방사선 치료, 영상 유도 방사선 치료 등 혁신적인 기술적 발전으로 점차 적응증이 늘어나고 있어 방사선 치료를 이용하는 환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국내에서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는 의사들은 연간 1인당 2,000 여명의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고,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업무의 과부하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1주일에 한 번 치료 중에 환자와 대면 진료를 시행하고 있으나, 평균 한달 반 정도의 치료 기간 동안 매일 발생하는 환자들의 불편 사항이나 부작용 등을 반영하고 이에 대처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117792호 (2012.02.1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4-0009792호 (2014.01.2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8-0097076호 (2018.08.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 치료 시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여 대응되는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방사선 치료 환자들의 불편을 반영하고 의사가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는 방사선 치료 환자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은, 환자 정보를 제공받아 대상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계획 생성부; 상기 대상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대상 환자의 단말에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에 따른 치료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상기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획 생성부는, 상기 치료 일정 정보 및 상기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확인부는, 상기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대상 환자에게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치료 일정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방사선 치료에 관련된 상기 대상 환자의 치료 준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은,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는,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방사선 치료에 따른 피부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피부 약제의 적용 부위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링크된 3차원 영상을 함께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 치료의 의사는 환자에게 정확한 방사선 치료 계획을 알릴 수 있고, 방사선 치료 시 환자의 부작용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효과적인 진료가 가능하며, 환자에게 정확한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의 환자는 정확한 치료 일정을 확인할 수 있고,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미리 의사에게 알려 짧은 대면 진료 시간으로 알릴 수 없었던 치료 중 문제점 등을 알릴 수 있고, 치료 부작용에 따른 관리 정보를 받아 치료 효과를 높이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에서 치료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에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 전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병원 등 의료기관에 구축된 전체 시스템(10)의 일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에 구축된 전체 시스템(10)은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에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 등은 내부 통신망(5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의 설계에 따라,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 등은 외부의 네트워크(5)와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5)를 통해 외부의 환자의 단말(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단말(20)은 방사선 치료 환자의 통제 하에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환자의 단말(20)은 네트워크(5)를 통해 의료기관에 구축된 전체 시스템(10)의 일부에 접속이 가능하며, 네트워크(5)는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네트워크(5)로 인터넷 등을 들 수 있으며, 환자의 단말(20)은 HTML, XML 등 웹 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단말(20)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 2G/3G/4G/5G, 와이브로 무선망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 네크워크(5)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IEEE 802.11 무선 랜 네트워크 카드 등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단말(20)은 이동 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병원 정보 시스템(200)은 환자의 처방 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전달 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저장하는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전달 시스템(OCS,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등의 구성, 기능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은 방사선을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방사선 치료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기는 선형 가속기(Linear Accelerator)일 수 있으며, 방사선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나 장치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의 방사선 치료기를 이용하여 암조직에 최적의 방사선량을 조사하고, 주위 정상조직에 최소의 방사선량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한다.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은 적절한 선량계획을 반영한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의료 영상, 치료 자세, 조사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방사선 치료에 반영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원활한 방사선 치료를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방사선 치료 관련 컨트롤 타워에 해당한다.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및/또는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과 연동되어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환자의 단말(20)과 네트워크(5)를 통해 연결되어 방사선 치료 환자 및 의사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방사선 치료 환자들의 불편을 반영하고 방사선 치료 의사가 효율적으로 진료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환자의 단말(20)과 네트워크(5)를 통해 연결되어 환자에게 치료 일정, 방사선량 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방사선 치료에 따라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환자로부터 제공받아 정확한 부작용 데이터를 의사가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환자 정보를 제공받아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하며,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의 단말(20)에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에 따른 치료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로부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고, 방사선 치료에 의해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환자의 단말(20)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의 의사는 환자에게 정확한 방사선 치료 계획을 알릴 수 있고, 의사는 정확한 부작용 데이터를 얻고 진료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의사는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환자에게 정확한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정확한 치료 일정, 치료 계획 등을 알게 되고, 대면 진료 시간의 부족으로 알릴 수 없었던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 등을 미리 의사에게 알릴 수 있어 의사로부터 부작용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고, 환자의 진료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계획 생성부(110), 정보 확인부(120), 정보 수집부(130), 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획 생성부(110)는 환자 정보를 제공받아 대상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대상 환자는 방사선 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이다.
계획 생성부(110)는 내부 통신망(50)을 통해 연결되는 병원 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환자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환자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 진료 정보, 처방 정보 등 병원 정보 시스템(200)에서 획득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계획 생성부(110)는 치료 일정 정보 및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치료 일정 정보는 모의치료, 치료, 진료 등의 날짜,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의 선량 정보는 방사선의 에너지, 방사선의 조사 방법, 방사선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확인부(120)는 대상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대상 환자의 단말(20)에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에 따른 치료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한다. 즉, 정보 확인부(120)는 환자의 단말(20)로부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받아 치료 일정 정보를 확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환자는 본인의 치료 날짜, 치료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 일정이 확정되면, 환자의 치료 전 및/또는 치료 중 준비 사항 등을 정보 확인부(120)에서 방사선 치료 일정 전에 환자의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환자에게 준비 사항 등을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 확인부(120)는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 환자에게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설문은 방사선 치료 부작용의 계량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VAS score, 식이량, 소변량-scale, 그외 부작용은 EORTC-CTCAE 기반으로 grading system을 참고하여 환자가 이해하기 쉽게 한글로 번역되어 환자의 단말(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설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의사의 선택에 따라 적절한 설문 정보가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는 객관식, 주관식, 범위 지정(일례로, 범위를 1~10) 등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작용 정보를 점수 등으로 표시하여 객관화하기 위해,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는 객관식 또는 범위 지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확인부(120)는 환자의 단말(20)에 푸쉬(push) 기능 등을 통해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환자가 입력하도록 알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확인부(120)는 일주일 한 번 환자의 단말(20)에 푸쉬하여 환자가 단말(20)에 부작용을 입력하도록 알려 줄 수 있다.
정보 수집부(130)는 방사선 치료에 의해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한다. 즉, 정보 수집부(130)는 환자의 단말(20)로부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수집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130)는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기초하여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함에 따라, 치료 부작용 정보의 계량화가 가능하다. 특히,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은 진료 시간에 정확히 계량화해서 확인하기 어려운 데 반해,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가 입력함으로써, 치료 부작용 정보를 계량화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치료 부작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수집된 치료 부작용 정보는 의료 빅데이터로 치료에 대한 리뷰, 연구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부작용 정보는 엑셀 등으로 정리되어 간단히 분류될 수 있고, 추후 치료에 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140)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정보 생성부(140)가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된 치료 부작용 정보는 엑셀 등 의사가 원한는 적절한 파일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매칭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가 정보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되어 의사가 원한는 적절한 파일 형식으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생성부(140)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신경망 등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적절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딥러닝 신경망 모듈에 수집된 치료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여 학습시킬 수 있다. 전처리 수집된 치료 부작용 정보가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층에 입력되며, 입력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가 되고, 학습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딥러닝 신경망은 은닉층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층에서 출력값을 출력한다.
이때, 딥러닝 신경망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RNN은 시간에 따라 순차적인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의 구현 방식 중의 하나로써, 시간 t에서 심층 신경망 내 특정 뉴런의 출력이 시간 t+1에서 다른 뉴런의 입력으로 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신경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생성부(140)는 치료 일정 정보가 확인된 경우, 방사선 치료에 관련된 대상 환자의 치료 준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140)는 방사선 치료 전 적절한 식이 요법, 금식 여부, 소변량 조절, 피부 보호 크림의 적절한 도포 방법 등 치료 준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환자에게 단말(20)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료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계획 생성부(110), 정보 확인부(120), 정보 수집부(130), 정보 생성부(140), 통신부(160), 저장부(170) 등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계획 생성부(110), 정보 확인부(120), 정보 수집부(130), 정보 생성부(140)에서 수행되는 각 기능들을 원할히 수행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환자의 단말(20)의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에서 환자의 단말(20)로부터 전송되고, 환자의 단말(20)로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및 정보는 프라이버시에 민감하며,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제어부(150)가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등의 고유 인증 모듈의 색인자 또는 비밀번호를 통해 환자의 단말(20)을 인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텍스트파일 인증모듈(mod_auth), DBM인증모듈 (mod_auth_dbm), Berkeley DB 인증모듈(mod_auth_db), Anonymous 인증모듈(mod_auth_anon), PostgreSQL인증모듈, XNS 인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환자의 단말(20)의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으며,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통신부(160)는 외부 환자의 단말(2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며,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및/또는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과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를 통해 병원 정보 시스템(200)으로부터 환자 정보를 수신하고, 치료 일정 정보를 환자의 단말(20)에 전송하고, 환자의 단말(20)로부터 확인받은 치료 일정 정보 및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전송받으며,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환자의 단말(20)에 전송한다.
저장부(170)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된 정보의 보안을 위해 저장부(170)에는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및/또는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과 송수신하여 얻은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저장하고 이러한 정보들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70)는 환자의 단말(20), 병원 정보 시스템(200), 방사선 치료 시스템(300)에 대응하여 각각 DB화하여 별도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은,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아(S110),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며(S120),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고(S130),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 받는다(S140).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는 경우(S110), 환자의 단말(20)에 치료 일정 정보가 표시된다. 이러한 치료 일정 정보는 모의치료, 치료, 진료 등의 치료 날짜, 시간 등을 포함하며, 치료 일정 정보와 함께 방사선 치료의 진행 현황을 표시하는 관련 정보(예를 들어, progress bar 이미지 등)도 환자의 단말(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단말(20)을 확인하여 치료 진행 사항을 본인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함께 안내받을 수 있다. 방사선의 선량 정보는 방사선의 에너지, 방사선의 조사 방법, 방사선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S120), 환자가 단말(20)을 이용하여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치료 일정 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단말(20)에 일정 확인이 푸쉬(push)되거나 문자 메시지 등이 전송되어 환자의 단말(20) 사용자에게 일정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S130), 환자가 단말(20)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입력하여 환자의 본인의 치료 중 불편감을 의사에게 잘 알릴 수 있다. 환자가 단말(20)에서 직접 입력함으로써, 기존 짧은 진료 시간으로 확보하기 힘들었던 정확한 부작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에서 치료 부작용 정보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의 단말(20)을 통해 환자가 부작용을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받아 환자가 단말(20)을 이용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답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마나 아프십니까" 에 대한 설문에 환자는 0~10으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아픔의 정도를 답변할 수 있다. 또한, "식사량은 원래 드시던 양에 비해 얼마나 되십니까?" 에 대한 설문에 환자는 0~100 (%)로 지정된 범위 내에서 식사량의 정도를 답변할 수 있다.
이에, 환자는 치료 부작용 설문에 답변함으로써, 치료 부작용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은 진료 시간에 정확히 계량화해서 확인하기 어려운 데 반해,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이용하여 치료 부작용 정보를 계량화할 수 있다.
환자는 단말(20)을 사용하여 원하는 시간에 부작용의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환자는 단말(20)을 사용하여 소정 기간 내에 부작용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자가 매일 부작용 설문에 답변함으로써, 많은 부작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하루 중에는 입력한 부작용 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치료 부작용 정보는 의료 빅데이터의 기초 자료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엑셀 등으로 정리되어 간단히 분류되어 의사에게 제공될 수 있다.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 받는 경우(S140), 방사선 치료의 환자는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환자의 단말(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확인한 의사에 의해 선택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100)에서 자동 생성되어 의사의 확인 후에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는 식사법, 금식, 소변량 조절, 방사선 피부 보호 크림 바르는 영역 등 치료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에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가 환자의 단말(20)에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의 화면에 식사법, 금연, 보호 크림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특히,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로써, 환자의 단말(20)에 방사선 치료에 따른 피부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피부 약제의 적용 부위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에서, 피부 부작용 관리 정보 중 하나인 "피부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안내 받은 보습 크림을 하루에 2~3번 정도 바르시기 바랍니다" 라는 관리 정보와 함께 피부 약제의 적용 부위를 표시하는 이미지가 표시됨으로써, 크림을 바르는 부위를 환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로써, 환자의 단말(20)에 표시된 이미지에 3차원 영상을 링크시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환자의 단말(20)에 표시된 이미지에 링크된 3차원 영상이 재생되고 있다. 환자는 환자의 단말(20)에 표시된 이미지를 클릭 등의 방법으로 선택하여 3차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 받기 위해, 환자의 단말(20)에 환자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키가 부여되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암호화된 전자 파일 형태로 전송받고, 상기 암호화된 전자 파일을 상기 인증키에 의해 인증되는 상기 환자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복호화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보안화하여 전송할 수 있고, 환자에 의해 암호화를 풀어 환자의 동의 하에 질병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작용 관리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웹 크롤러 등으로 수집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이해와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의 대상이 되는 암 등에 대한 정보, 암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정보를 웹 크롤러 등으로 여러 의료 기관이나 관련 단체로부터 수집하여 환자의 단말(2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본인의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나 이에 관련되는 정보를 단말(20)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사선 치료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각각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의해 하나의 모듈로 구현 가능하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 '~모듈'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110: 계획 생성부 120: 정보 확인부
130: 정보 수집부 140: 정보 생성부

Claims (10)

  1. 환자 정보를 제공받아 대상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계획 생성부;
    상기 대상 환자의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대상 환자의 단말에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에 따른 치료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상기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획 생성부는,
    상기 치료 일정 정보 및 상기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상기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생성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확인부는,
    상기 대상 환자에게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대상 환자에게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수집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상기 치료 일정 정보가 확인된 경우, 상기 방사선 치료에 관련된 상기 대상 환자의 치료 준비 정보를 생성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6.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
    방사선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사선 치료에 의해 발생하는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일정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는,
    대상 환자에게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 정보를 포함한 방사선 치료 계획 정보를 안내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치료 부작용 설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치료 부작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방사선 치료에 따른 피부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피부 약제의 적용 부위를 표시하는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부작용 관리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링크된 3차원 영상을 함께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관리 방법.
KR1020200051482A 2020-04-28 2020-04-28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0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82A KR102403022B1 (ko) 2020-04-28 2020-04-28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482A KR102403022B1 (ko) 2020-04-28 2020-04-28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47A true KR20210132947A (ko) 2021-11-05
KR102403022B1 KR102403022B1 (ko) 2022-05-30

Family

ID=7850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482A KR102403022B1 (ko) 2020-04-28 2020-04-28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02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2428A (ja) * 2007-04-12 2008-10-30 Yokogawa Electric Corp 放射線治療業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治療業務管理方法
KR20100086694A (ko) * 2009-01-23 2010-08-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117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09792A (ko)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방사선 치료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7076A (ko) 2017-02-22 2018-08-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90054762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KR20190087896A (ko) * 2018-01-17 2019-07-2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피부염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2428A (ja) * 2007-04-12 2008-10-30 Yokogawa Electric Corp 放射線治療業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治療業務管理方法
KR20100086694A (ko) * 2009-01-23 2010-08-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17792B1 (ko) 2009-01-23 2012-03-0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2117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복약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09792A (ko)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방사선 치료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97076A (ko) 2017-02-22 2018-08-3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90054762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방법 및 처방약품 부작용 관리 시스템
KR20190087896A (ko) * 2018-01-17 2019-07-2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피부염 평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022B1 (ko) 202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abar et al. HealthBlock: A secure blockchain-based healthcare data management system
US10811124B2 (en) Device-driven non-intermediated blockchain system over a social integrity network
US20230099208A1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Sackett et al. Choosing the best research design for each question: It's time to stop squabbling over the “best” methods
CN110494919A (zh) 帮助医师实现用于基于价值支付的质量措施的面向患者的移动技术
CN101742960A (zh) 记录访问和管理
CN105659238A (zh) 用于患者数据交换系统的数据驱动模式
EP1307849A2 (en)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CN109947723A (zh) 用于区块链网络的区块数据共享方法、存储介质、计算设备
Gatto et al. The structured process to identify fit‐for‐purpose data: a data feasibility assessment framework
US20190180208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ocial resource planning, allocation and management
Maheswar et al. Body area network challenges and solutions
Ajagb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ccess control base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KR102403022B1 (ko)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The doctor is in, but is academia? Re-tooling IT education for a new era in healthcare
Bobbs et al. Building a global teledermatology collaboration
Stensland et al. Exploring implementation outcomes in the clinical trial context: a qualitative study of physician trial stakeholders
KR20170115909A (ko) 온라인 상담치료 중재정보 및 측정정보 제공이 가능한 피상담자 단말기 및 운영서버
Moghaddasi et al. Infrastructures of the system for developing electronic health record
Webber et al. Integrating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Throughout the Total Product Life Cycle of Medical Devices
Das et al. Privacy and Security of Telehealth Services
Rigby et al. e-Health as the enabler of primary care for children
Mursi et al. Towards a Secure E-Health System for Public Healthcare Sector in Egypt Using HL7.
Okemiri et al. Patient Data Integration: a panacea for effective healthcare
Singh et al. Enhancing Patient-Centered Care in Oncology through Telehealth: Advanced Data Analytics and Personalized Strategies in Breast Canc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