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76A -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76A
KR20180097076A KR1020170023744A KR20170023744A KR20180097076A KR 20180097076 A KR20180097076 A KR 20180097076A KR 1020170023744 A KR1020170023744 A KR 1020170023744A KR 20170023744 A KR20170023744 A KR 20170023744A KR 20180097076 A KR20180097076 A KR 2018009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ltation
consultant
terminal
applicant
couns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섭
김향숙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076A/ko
Publication of KR2018009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상담자 리스트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면, 수신한 복수의 상담글을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여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복수의 상담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한다.

Description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System and method for crowdsourcing based psychotherapy and application therefor}
본 발명은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심리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로 심리치료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일대일 상담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면대면 상담심리치료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면대면 상담심리치료는 대기 기간이 길거나 혹은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가용성 문제, 경제적 지불능력으로 인하여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접근성 문제, 그리고 개인의 태도나 지식과 관련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수용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면대면 심리치료의 문제점인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시도와 함께 모바일 플랫폼에서 상담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심리치료 어플리케이션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상당 부분의 관련 앱 서비스는 정신의학적 혹은 임상 심리학적 전문성이 부족하거나,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해하고, 이에 앱 서비스 자체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여 이용률이 대체로 저조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라우드소싱을 기반으로 하여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신청자에게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상담자 리스트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복수의 상담글을 상기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담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한다.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담자 각각에 대한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자 정보를 토대로 상담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자의 심리 상태가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최소 개입 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상기 최소 개입 수 미만이면, 상담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자 단말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이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단말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프로그램된 동작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상담자 리스트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복수의 상담글을 상기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담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한다.
상기 신청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청자의 심리 상태가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담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이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신청자 단말 그리고 복수의 상담자 단말과 연동하며,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담자들 각각에 대한 상담자 정보를 저장하는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신청글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담자 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 단말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에 따른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상담 요청부; 및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을 수신하고, 상기 상담 요청부로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을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담자 정보는 상담자 각각에 대한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담 요청부는, 상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최소 개입 단말 수보다 많은지 확인하고, 최소 개입 단말 수 보다 적으면 상담 요청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수신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담글 중 어느 하나의 상담글을 선택 상담글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상담글에 대응하는 상담글을 전송한 상담자 단말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워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청자 단말과 상담자 단말 각각에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청자 또는 상담자가 신청글이나 상담글을 입력하도록 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대면 상담치료방식이 갖고 있는 가용성, 수용성, 접근성 측면에서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낮은 전문성 및 저조한 재 사용률이라는 문제점을 가지는 심리치료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도 해결하여, 사용자는 정서적 도움이 필요 시 다수의 검증된 준 전문 상담자로부터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인지행동치료 기법을 앱 서비스 전반에 접목시켜 치료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리워드 시스템을 더하여 앱의 재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앱의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실행 화면 중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내용을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딩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에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한다. 메모리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심리치료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앱'이라 지칭함)을 제공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상담을 신청하는 신청자 단말(200), 그리고 복수의 상담자가 각각 소지하는 복수의 상담자 단말(300)들과 연동한 형태로 구성된다.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심리치료 신청자가 신청자 단말(200)에 설치된 앱을 이용하여 자신의 심리 상태를 텍스트로 작성하여 공유한 공유 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청글'이라 지칭함)을 수신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담자 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 단말(300)에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담자 정보로 등록된 상담자들은 상담치료 수련 과정을 진행중인 전문성을 갖춘 예비 치료자들에 해당한다.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담자 단말(300)에서 작성된 신청글에 대한 댓글(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담글'이라 지칭함)을 확인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상담글 중 신청자가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선택된 임의의 상담글에 대해서는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신청자 단말(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신청자가 자신의 정서적 불안감을 텍스트 형태의 신청글로 작성할 수 있도록, 앱에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담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상담자가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을 작성할 때, 상담글 역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될 수 있도록 앱에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여기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은 앱이 실행된 단말이 신청자 단말(200)인지 또는 상담자 단말(300)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로 제공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한다.
여기서,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입력 정보 수신부(110),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120), 상담 요청부(130), UI 제공부(140) 및 리워딩부(150)를 포함한다.
입력 정보 수신부(110)는 신청자가 신청자 단말(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입력하여 공유한 신청글을 수신한다. 여기서 신청자는 앱에서 제공하는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심리 상태를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신청글에는 신청자의 감정 정보, 상황 정보, 생각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입력 정보 수신부(110)는 상담자가 상담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신청글에 입력한 상담글을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상담글은 하나의 신청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글이 포함될 수 있다.
상담자가 상담글을 작성할 때, 상담자 단말(3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인지행동치료 방식으로 작성되도록 UI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담글 역시 인지행동치료 방식으로 제공되는 안내문에 따라 작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지행동치료 방식의 일환인 소크라테스식 'Rethink Guideline'을 활용한 4개 항목의 안내문이 주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력 정보 수신부(110)는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상담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선택 상담글이라 함은, 신청자가 작성하여 공유한 신청글에 달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글 중 주관적으로 자신에게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선택한 상담글을 의미한다.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120)는 외부로부터 복수의 상담자들에 대한 상담자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그리고 상담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갱신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담자 정보에는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담 요청부(130)는 입력 정보 수신부(110)가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상담글을 수신하면,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상담자들 중 선정된 복수의 상담자들의 상담자 단말(300)로 상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상담자들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무작위 선택 방식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담 요청부(130)는 상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 복수의 상담자 단말(300)들 중 미리 설정된 최소 인원의 상담자가 소지한 상담자 단말(300)로부터 상담 개입 알림 신호가 전송될 때까지 상담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소 인원의 수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UI 제공부(140)는 신청자 단말(200)과 상담자 단말(300) 각각에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청자 또는 상담자가 신청글이나 상담글을 입력하도록 UI를 제공한다. 또한, 입력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신청글 중 신청자의 심리 상태에 따라, 미리 UI 제공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이모티콘 중 심리 상태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UI를 신청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여기서, UI 제공부(140)가 심리 상태에 대응하는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리워딩부(150)는 입력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선택 상담글을 작성한 상담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상담자에게 미리 설정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선택 상담글을 남긴 상담자 단말(300)로 리워딩 결과와 함께 작성된 상담글이 신청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공된 리워딩 서비스는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120)로 전달하여, 해당 상담자의 이력 정보에 추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앱을 통해 신청자에게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상담자 단말 중 두 개의 상담자 단말(300-1, 300-2)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미리 상담자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 관리한다(S100). 이때, 상담자 리스트에 등록된 상담자들은 상담치료 수련과정을 진행중인 예비 치료자들로, 상담자가 최초 앱을 상담자 단말(300)에 설치하여 가입할 때 요구되는 다양한 상담자 정보가 상담자 리스트로 저장된다. 상담자 정보에는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S100 단계의 상담자 리스트 생성 과정은 신청자에게 심리치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에 갱신될 수 있다.
신청자 단말(200)은 신청자에 의해 신청글이 입력되어 공유될 수 있도록 UI를 제공한다(S101).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신청자 단말(200)로부터 신청자에 의해 입력된 신청글을 수신하면(S102), S100 단계에 의해 생성된 상담자 리스트에서 임의로 선정된 복수의 상담자들 각각의 상담자 단말(300-1, 300-2)로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3, S104).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S105, S106), 수신한 상담 개입 단말 수가 미리 설정한 최소 개입 수보다 많은지 확인한다(S107).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 명 이상의 상담자가 상담 개입을 알리면 신청자에 대한 상담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만약, 상담 개입 단말 수가 최소 개입 단말 수보다 적으면,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03, S104). 그러나, 상담 개입 단말 수가 최소 개입 단말 수와 같거나 많으면, 상담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한다.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담자 단말(300-1, 300-2)로부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을 각각 수신하고(S108, S109), 수신한 상담글을 신청글에 대한 댓글 형태로 신청자 단말(200)에 제공하여 신청자에 대한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S110).
심리치료 서비스를 이용한 신청자가 신청글에 남겨진 상담글을 확인하고, 확인한 상담글 중 도움이 된 상담글을 선정한다(S111). 선정된 상담글에 대한 정보가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면(S112),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선택 상담글을 남긴 상담자에게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한다(S113). 그리고 상담자 단말(300-1)로 리워딩 결과와 함께 상담글이 신청자에 의해 선택었음을 알려준다(S114).
이상에서 설명한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의 실행 화면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앱의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실행 화면 중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에는 상담 신청자가 앱을 통해 작성한 신청글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b)에는 상담자가 상담자 단말(300)을 통해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을 남기는 화면의 예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신청자가 도 4의 (a)에 나타낸 신청글을 작성하고자 할 때,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앱을 통해 인지행동치료 기반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심리 상태를 작성하게 된다. 신청자에게 제공되는 가이드라인은 감정, 상황, 생각의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의 (a)는 감정에 대한 앱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상황에 대한 앱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c)는 생각에 대한 앱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정에 대한 앱 실행 화면은, 신청자가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롤 바(400)를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신청자의 감정에 대한 감정 이모티콘(410)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신청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신청자가 첫 번째 단계인 감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후,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청자가 현재 처한 상황을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도록 텍스트 입력 창(420)이 주어진다. 텍스트 입력 창(420) 하단에는 상황에 대한 카테고리(430)를 선택하도록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황에 대한 카테고리는 어느 하나의 형태나 구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두 번째 단계인 상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후,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청자는 자신의 생각을 생각 입력 창(440)을 통해 기재한다. 이와 같이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활용하여 심리치료 서비스에 대한 앱을 제공함으로써, 신청자는 자신의 정서적 불안감을 표현하는 훈련을 할 수 있어 스스로의 심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두 번째 단계와 세 번째 단계인 상황을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창(420)과 생각 입력 창(440)에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황이나 생각을 입력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각각의 입력 창(420, 440)에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대한 신청글에 대해 상담자는 상담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상담글을 댓글 형태로 기재한다. 즉,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담자는 신청글에 대한 피드백을 상담글의 입력을 통해 제공하는데, 이때 상담자 단말(300)에서 실행되는 앱의 UI도 인지행동치료 방식으로 작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담자 단말(300)의 앱을 통해 제공되는 UI가 인지행동치료 방식의 하나인 소크라테스식 'rethink guideline'을 활용하여 안내문 4개 항목이 주어지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UI의 형태도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담자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주어지는 안내문 4개 항목을 기재하면서, 신청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시하고 신청자의 인지행동치료를 도울 수 있는 과정에 참여한다. 이때, 상담자는 상담치료의 수련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전문가들로, 일반 사용자들의 정서적 치유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전문가로서 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신청자가 신청자 단말(200)을 통해 상담글을 추천하는 예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담내용을 추천하는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청자는 신청글의 댓글로 입력되어 있는 복수의 상담글을 보면서,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되는 특정 댓글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상담글이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추천하기 버튼(450)을 입력하여, 해당 상담글을 선택할 수 있다.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렇게 선택된 상담글을 남긴 상담자에게는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한다. 리워딩의 예에 대해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워딩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는 상담자가 남긴 상담글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7의 (b)는 리워딩 화면의 상세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자는 지금까지 자신이 남긴 상담 내역을 리스트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상담글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 창(460)을 수신하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워딩 내역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즉, 상담 내용과 신청자의 코멘트 내용, 그리고 리워딩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에는 리워딩 내역을 상세하게 나타내지 않았으나,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은 리워딩인 새싹을 이용하여 상담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목록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4)

  1.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신청자에게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상담자 리스트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복수의 상담글을 상기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담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담자 각각에 대한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담자 정보를 토대로 상담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자의 심리 상태가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최소 개입 수 이상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상기 최소 개입 수 미만이면, 상담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자 단말로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이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 중 임의의 상담글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담글에 대하여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단말에 탑재되고, 상기 단말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프로그램된 동작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이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상담자 리스트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의 상담자 단말 각각으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 중 상담 개입을 알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상담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복수의 상담글을 상기 신청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담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청자의 심리 상태가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담자 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은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이 입력되도록 UI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9. 신청자 단말 그리고 복수의 상담자 단말과 연동하며, 심리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전문가에 해당하는 복수의 상담자들 각각에 대한 상담자 정보를 저장하는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신청글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상담자 리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상담자 정보를 토대로 복수의 상담자 단말로 상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상담 요청 신호에 따른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상담 요청부; 및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신청글을 수신하고, 상기 상담 요청부로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복수의 상담자 단말로부터 상기 신청글에 대한 상담글을 수신하는 입력정보 수신부
    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자 정보는 상담자 각각에 대한 상담자 이름, 상담자 전화번호, 상담자가 소지하고 있는 학위 정보, 상담 실습 경력 정보, 상담자를 추천한 추천 전문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 요청부는,
    상기 상담 개입 알림 신호를 전송한 상담자 단말의 수가 미리 설정한 최소 개입 단말 수보다 많은지 확인하고, 최소 개입 단말 수 보다 적으면 상담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수신부는,
    상기 신청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상담글 중 어느 하나의 상담글을 선택 상담글로 수신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상담글에 대응하는 상담글을 전송한 상담자 단말로 리워딩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워딩부
    를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 단말과 상담자 단말 각각에 인지행동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신청자 또는 상담자가 신청글이나 상담글을 입력하도록 UI를 제공하는 UI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023744A 2017-02-22 2017-02-22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80097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44A KR20180097076A (ko) 2017-02-22 2017-02-22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44A KR20180097076A (ko) 2017-02-22 2017-02-22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76A true KR20180097076A (ko) 2018-08-30

Family

ID=6345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44A KR20180097076A (ko) 2017-02-22 2017-02-22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38A (ko) * 2018-08-08 2020-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10132947A (ko) 2020-04-28 2021-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14776B1 (ko) 2021-05-26 2022-06-29 최재원 성격 유형 기반의 심리 치유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38A (ko) * 2018-08-08 2020-02-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서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210132947A (ko) 2020-04-28 2021-11-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치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14776B1 (ko) 2021-05-26 2022-06-29 최재원 성격 유형 기반의 심리 치유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dsay et al. Mindfulness training reduces loneliness and increases social contact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ngler et al. Language learning on-the-go: opportune moments and design of mobile microlearning sessions
Danaher et al. From black box to toolbox: Outlining device functionality, engagement activities, and the pervasive information architecture of mHealth interventions
Grover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ternet-based cognitive-behavioural skills package for carers of people with anorexia nervosa
Darcy et al. I’ve got a mobile phone too! Hard and soft assistive technology customization and supportive call centres for people with disability
Doherty et al. Enhancing person-centred ca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US20210158952A1 (en) Virtual mental health platform
Wright et al. Text messaging for HIV prevention with young Black men: Formative research and campaign development
Broder Fingert et al. Implementing systems-based innovations to improve access to early screening, diagnosis, and treatment servic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 Autism Spectrum Disorder Pediatric, Early Detection, Engagement, and Services network study
Van De Ven et al. ULTEMAT: A mobile framework for smart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s and interventions
WO2019209570A1 (en) Healthcare provider-patient match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20180097076A (ko) 심리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JP6070888B1 (ja) 健康管理情報処理装置
Furberg et al. Technical implementation of a multi-component, text message–based intervention for persons living with HIV
Narváez et al. Human-Centered Design of an mHealth App for the Prevention of Burnout Syndrome.
Hussain et al. Mobile phone-based chatbot for family planning and contraceptive information
L’Engle et al. Evidence-based adaptation and scale-up of a mobile phone health information service
JP6062570B2 (ja) グループ内の構成員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aplan et al. Reliable implementation of evidence: a qualitative study of antenatal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in Ohio hospitals
Maenhout et al. Participator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of an adolescent health promotion chatbot
Wendrich-van Dael et al. Advance care planning in nursing homes: new conversation and documentation tools
Gould et al. Caring cards: preventing patient harm through the heart of nursing
Zhou et al. An artificially intelligent,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hatbot designed to promote COVID-19 vaccination: A proof-of-concept pilot study
Brunero et al. Mental health liaison nursing, taking a capacity building approach
Rezel-Potts et al. Expanding choice through online contraception: a theory of change to inform service development and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