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340A -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340A
KR20230151340A KR1020220050918A KR20220050918A KR20230151340A KR 20230151340 A KR20230151340 A KR 20230151340A KR 1020220050918 A KR1020220050918 A KR 1020220050918A KR 20220050918 A KR20220050918 A KR 20220050918A KR 20230151340 A KR20230151340 A KR 2023015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lood sugar
information
data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22005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340A/ko
Priority to PCT/KR2023/001141 priority patent/WO2023210929A1/ko
Publication of KR2023015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3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Abstract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 중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한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EALTH DATA}
본 개시는 의료 데이터 전송 및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의료데이터를 의료데이터 수신장치에 직접 전송하고 상기 의료데이터 수신장치는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 헬스케어의 발전에 따라 해당 개인이 자신의 현재 건강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의료시스템과 연동하여 건강상태를 점검하는 개인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니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일컫는 '웰니스'를 추구하는 사람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도 의료기관 또는 의료장비판매업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혈당정보 등의 건강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의료 산업과 통신 산업을 융합하여, 개인은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 디바이스(휴대폰, 스마트 워치 등을 포함한다)를 이용하여 생체신호, 체액성분 등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전송되어 관리되고 있다.
한편,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특정 질환을 가지고 있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의 경우, 식이요법을 실시하고 적정한 운동 기회를 가지며 아울러 인슐린 요법 또는 내복약 치료를 실시하게 되는 바, 일상생활에서 당뇨병 환자들의 신체에 부착된 혈당 센서 또는 혈당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획득된 생체 데이터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애플리케이션을 거쳐 대학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으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의료기관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특정 질병을 모니터링 하는 경우 환자들은 증상은 유사할지라도 신체상태, 질병 종류, 체질, 기타 환경적 요인에 따라 모니터링 해야하는 의료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는데, 스마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의료데이터가 일률적으로 제공되어 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획득된 의료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을 거침으로써 서버에 저장되고, 의료기관에 구비된 데이터 수신장치는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게 되므로 개인의 의료기록이 외부서버에 저장되어,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료데이터 수신장치에서 요청하는 특정정보를 서버 또는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있어서,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 중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한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정보와 혈당모니터링 방법에 따른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운동전후혈당정보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측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정보가 '평균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정보가 '특정시간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및 운동전후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단정보가 '혈압 또는 체온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정보 중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추가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QR 인증, 와이파이, 블루투스, P2P, NFC, RFI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상기 제1 사용자 진단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데이터 중 특정 의료진 및 특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의료데이터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송신하는 혈당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당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정보를 측정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혈당정보를 상기 혈당측정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수신장치와 통신하고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 중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상기 제1 사용자 진단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데이터 중 특정 의료진 및 특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의료데이터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획득된 건강정보 중 데이터 수신장치에서 요청한 특정정보를 데이터 수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개인화된 의료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는 데이터 수신장치로 전송된 정보가 출력되면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료에 필요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진료에 필요한 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데이터전송시스템(1)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데이터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나타난 각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혈당측정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장치나 서버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혈당측정부(130)는 사용자의 혈당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혈당측정부(130)는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는 패치형, 직접 혈액을 채취하는 침형 등 공지된 혈당측정 기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 정보, 사용자 단말기(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부(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부(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서버(300) 또는 연결된 장치에서 획득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키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의료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양한 장치를 일컫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의료데이터를 수신하는 의료단말기, 병원 또는 의료기관에 구비된 의료데이터관리장치 등의 헬스케어 및 진단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TV, 프로젝터, 휴대폰,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DMB 수신기,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70) 및 프로세서(28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성은 도 1에 나타난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3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혈압, 산소포화도, 심박수 및 체온 등 다양한 신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특정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당뇨병 환자들의 신체에 부착된 혈당 센서 또는 혈당측정장치 등을 이용하여 특정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혈당수치를 측정하고, 해당 혈당수치에 알맞을 약을 복용하거나 의료기관에서 가이드한 생활양식에 따라 행동하여야 한다. 또한 혈당수치가 일정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혈당측정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혈당측정장치, 또는 상기 혈당측정장치와 연동되어 혈당측정장치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휴대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료기관에서 확인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기관 또는 의료데이터가 필요한 장소에 의료데이터수신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곧바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의료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출력함으로써 의료데이터수신장치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1 사용자로 일컫고,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사용자는 제2 사용자로 일컫도록 한다. 이때, 제1 사용자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 일반인, 검진 대상자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 질환으로 당뇨병 환자, 고혈압 환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 의료관련기관 종사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1, 100-2, 100-3), 데이터 수신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료데이터라 함은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정보와 혈당모니터링 방법에 따른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운동전후혈당정보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측정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수집하고, 타 장치에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혈당측정부 또는 각종 생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센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당뇨병 환자의 의료데이터를 직접 획득할 수 있는 혈압센서, 온도센서, 심박측정센서, 혈당측정센서 등) 및 센싱부를 이용하여 직접 획득할 수 있으며, 별도의 혈당측정장치, 애플리케이션 및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의료데이터를 획득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버(300)로 수집한 의료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수집한 의료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본 개시의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의료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 일 수 있으며, 의료기관에 배치되거나 의료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소에 배치되는 장비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1,100-2,100-3)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각각은 서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사용자 각각의 의료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부호를 '100'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때,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장치(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각각의 통신부는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QR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P2P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수신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정거리는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에 상응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집된 의료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의료데이터 수집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료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4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직접 획득할 수 있으며, 별도의 혈당측정장치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의료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의료데이터는 제1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혈당측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수신장치가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연결될 수 있다(S403).
한편, '연결'이라 함은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되는것 또한 가능하나,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 수신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또는 데이터 수신장치 각각은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기가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들어오면,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양 단말기는 전송된 신호에서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사용자 단말기(100) 고유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통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수신장치를 상호 페어링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약 양 단말기가 이전에 페어링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양 단말기는 통신 가능한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NFC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수신장치가 NFC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는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식별된 NFC 신호에 기초하여 당뇨병 환자를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공지된 근거리 통신 기술(QR코드, RFID, P2P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통신 식별정보에 해당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시리얼 넘버, 라이센싱 키 등은 사용자 단말기 고유정보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요청해야 할 의료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집된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 중 기 설정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405).
이때,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는 제1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 검진 대상자, 주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고혈압, 당뇨병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혈압, 당뇨병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들은 해당 질병에 의하여 발생되는 대표적인 증상은 유사할지라도 신체상태, 체질, 기타 환경적 요인에 따라 모니터링 해야되는 의료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수신장치가 수신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가 보유한 복수의 의료데이터 중 특정함으로써 개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 수신장치는 의료기관에 배치되거나 의료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식단, 복약지도, 처방사항 등 당뇨병 치료 및 진단에 대한 의학적 지식을 일정수준 이상 보유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의사, 간호사 및 의료기관 등의 종사자인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문지식을 보유한 통하여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의료데이터 중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의료데이터를 사전에 특정할 수 있다.
이하,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의료데이터의 예시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데이터'는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진단정보는 데이터 수신장치(200)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데이터 수신장치(200)에 연결된 전자의무기록(EMR)에서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가 '평균 혈당 모니터링 필요'인 경우, 데이터 수신장치(200)의 제2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의료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상기 최대혈당, 상기 최소혈당, 상기 평균혈당 및 상기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직전 의료기관 방문 이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제1 사용자의 대혈당, 최소혈당 및 평균혈당 데이터를 곧바로 확인함으로써 제1 사용자에게 적절한 진단 및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시로,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가 '특정시간 혈당 모니터링 필요' 인 경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의료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상기 공복혈당, 상기 특정시간혈당정보, 상기 식전혈당정보, 상기 식후혈당정보 및 상기 운동전후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직전 의료기관 방문 이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제1 사용자의 식사전후 혈당, 공복혈당 등의 특정시점의 혈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적절한 진단 및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가 '혈압 또는 체온 모니터링이 필요'이면,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의료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정보 중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의 직전 검진 또는 의료기관 방문 이후,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집된 제1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게 적절한 진단 및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의료데이터 중 '기 설정된 데이터'는 다양한 카테고리 및 분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기 설정한 의료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데이터를 획득하고 싶은 경우, 데이터 수신장치의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추가적인 의료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 설정된 의료데이터는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와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4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 중 기 설정된 특정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407).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 중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상기 수신된 의료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409).
이후,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상기 출력된 의료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추가 진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장치는 제2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사용자의 추가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특정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의 기 설정된 데이터는 '특정 시간 혈당 모니터링 필요'일 수 있으며, 추후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기 설정된 데이터는 '특정시간 및 평균 혈당 모니터링 필요'일 수 있다.
즉, 추후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수신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수신장치로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운동전후 혈당정보,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및 상기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위와 같이 데이터 수신장치가 설정한 '기 설정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써 환자 개개인에 치료에 고도화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의료데이터 측정방법, 측정수단 및 데이터 저장방식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의료데이터 저장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내부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자체 기능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의료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501)와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정보(502)와 혈당모니터링 방법에 따른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운동전후혈당정보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측정정보(5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인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포함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정보(504), 제1 사용자의 운동결과를 기록하는 활동정보(5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장치와 연결되었을 때, 해당 데이터 수신장치에서 기 설정한 데이터(506)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데이터(506)에 대응하는 의료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각 데이터를 대분류로 설정하고, 상기 대분류에 포함되는 소분류 정보들을 각각 넘버링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대분류는 개인정보(501), 건강정보(502), 혈당측정정보(503), 식단정보(504) 및 활동정보(505)에 해당할 수 있다. 소분류는 대분류에 포함된 세부 정보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당측정정보(503)을 대분류로 설정하고, 혈당측정정보(503)에 포함된 최대혈당(5031), 최소혈당(5032), 평균혈당(5033), 공복혈당(5034), 특정시간혈당정보(5035), 식전혈당정보(5036), 식후혈당정보(5037), 운동전후혈당정보(5038) 및 혈당그래프정보(5039) 각각을 소분류로 넘버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기 설정된 데이터 (506)에 포함된 대분류 및 소분류 넘버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소분류 넘버링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터 수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대분류 및 소분류 넘버링 정보는 결정요소정보(507)에 포함된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질 수 있다.
즉, '결정요소정보'에 포함된 식별된 사용자의 진단정보가 '평균 혈당 모니터링 필요'인 경우, 기 설정된 데이터(506)는 대분류가 혈당측정정보(503)이고, 소분류 넘버링 정보가 '5031 및 '5032'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넘버링에 대응하는 최대혈당(5031) 및 최소혈당(5032) 정보를 데이터 수신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특정데이터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결정요소정보(507)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수신장치가 연결되었을 때, 연결된 데이터 수신장치에서 기 설정한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근거리 통신에 의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해 제1 사용자를 특정하였으며,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진단정보(5064)를 통하여 기 설정된 의료데이터를 결정하였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한 특정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요청되는 의료데이터 또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결정요소정보란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제2 사용자 식별정보, 의료기관정보, 제1 사용자 진단정보 및 의료데이터 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데이터(506)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신장치에서 요청되는 기 설정된 데이터(506)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사용하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사용하는 의료진 식별정보(5061),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5062) 및 상기 의료데이터 중 특정 의료진 및 특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의료데이터요청정보(50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 설정된 데이터는, 의료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식별된 제1 사용자를 진단한 진단정보(50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 식별정보(5061),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정보(5062) 및 의료데이터요청정보(5063)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는 데이터 수신장치 사용 시,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 및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진단정보(5064)에 기초한 '기 설정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신장치에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기관 정보 및 의료데이터 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기관정보 및 의료데이터 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식별된 제1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따른 결정 요소정보에서 추가로 요청되는 정보를 포함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장치와 연결되면, 기 설정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에 포함된 의료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사용자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에게도 개인화된 의료데이터 송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혈당측정정보의 측정수단 및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센싱부에 포함된 혈당측정부를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혈당수치에 기초하여 혈당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할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별도의 혈당측정장치와 통신하여 혈당측정장치에 구비된 혈당측정센서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두 실시예는 혈당측정장치가 사용자 단말기 내부에 구비된 구성에 해당하는지,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혈당측정장치로 구분되는지의 문제이므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7에서 별도의 혈당측정장치가 존재하는 시나리오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의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100-1, 100-2), 데이터 수신장치(200),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기 각각과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400-1, 40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각각과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 생체신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 또는 제1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와 같이 도 1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혈당측정장치의 경우 상기 혈당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당뇨병 환자의 혈당정보를 측정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혈당정보를 상기 혈당측정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혈당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웨어러블 장치 및 혈당측정장치를 스마트 디바이스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100-1, 100-2)는 각각과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400-1, 400-2)와 연동되어 의료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400-1, 400-2)는 각자 구비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혈당정보 및 생체데이터를 획득하고 무선통신망을 이용하거나, 자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NFC 태그 등을 이용하여 획득한 의료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디바이스(400-1, 400-2)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의료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300)로 수집한 의료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장치(200)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수집한 의료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동작에 관련된 사항은 본 개시의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 상기 구현될 실시예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되는 의료데이터는 데이터 수신장치에 송신되는 기 설정된 의료데이터와 상이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기보다 복수의 개인 각각이 구비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수신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개인의료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개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의료데이터를 요청받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대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수신장치가 별도의 데이터가공 과정없이 의료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고도화되고 효과적인 당뇨병 환자의 진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Claims (18)

  1.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 중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한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성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정보와 혈당모니터링 방법에 따른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운동전후혈당정보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혈당측정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된,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가 '평균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가 '특정시간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및 운동전후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가 '혈압 또는 체온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건강정보 중 혈압, 체온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추가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 QR 인증, 와이파이, 블루투스, P2P, NFC, RFI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연결된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서로 상이한,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상기 제1 사용자 진단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데이터 중 특정 의료진 및 특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의료데이터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송신하는 혈당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당측정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정보를 측정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혈당정보를 상기 혈당측정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시스템.
  14.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의료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수신장치와 통신하고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제1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된 상기 제1 사용자 의료데이터 중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가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가 '평균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혈당측정정보 중 최대혈당, 최소혈당, 평균혈당 및 혈당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가 '특정시간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의 공복혈당, 특정시간혈당정보, 식전혈당정보, 식후혈당정보 및 운동전후혈당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추가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데이터는 상기 제1 사용자 식별정보, 상기 제1 사용자 진단정보 및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가 특정한 데이터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의 제2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데이터 수신장치를 사용하는 의료진 식별정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 정보 및 상기 의료데이터 중 특정 의료진 및 특정 의료기관에서 추가로 요청하는 의료데이터요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KR1020220050918A 2022-04-25 2022-04-25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18A KR20230151340A (ko) 2022-04-25 2022-04-25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PCT/KR2023/001141 WO2023210929A1 (ko) 2022-04-25 2023-01-25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918A KR20230151340A (ko) 2022-04-25 2022-04-25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340A true KR20230151340A (ko) 2023-11-01

Family

ID=8851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918A KR20230151340A (ko) 2022-04-25 2022-04-25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1340A (ko)
WO (1) WO20232109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97B1 (ko) * 2000-06-01 2005-03-08 김두용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632308B1 (ko) * 2009-09-23 2016-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038529A (ja) * 2012-08-17 2014-02-27 Medetopia Kk 健康診断用コンピュータのハンディ端末、および健康診断用コンピュータのハンディ端末を用いたデータ処理方法
KR20170091395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처리 및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5862B1 (ko) * 2021-03-29 2022-03-17 유정선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의료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29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Khafajiy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through wearable sensors
US1103928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roximity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US20240038382A1 (en) Methods of treatment and diagnosis using enhanced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Steinhubl et al. The emerging field of mobile health
US10664572B2 (en) Recommendations for health benefit resources
JP6253166B2 (ja) 個別化医療における情報の電子配信
US11029913B1 (en) Customizable real-time electronic whiteboard system
US11538565B1 (en) Decision support tool for managing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EP3255573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ensemble system and clinical decison supporting method using the same
US11862310B2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EP2892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treatment using mobile terminal
Pise et al. Enabl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T) healthcare architectures and listing security issues
CN109310317A (zh) 用于自动医学诊断的系统和方法
Bedón-Molina et al. A home-based smart health model
KR20180106099A (ko) 웹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Vyas et al. Smart health systems: emerging trends
Pise et al. Enabling Ambient Intelligence of Things (AIoT) healthcare system architectures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Israni et al. Human‐Machine Interaction in Leveraging the Concept of Telemedicine
KR20210135403A (ko) 인터넷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558521B1 (ko) 사용자 건강정보를 고려한 해결책 추천 서버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20230151340A (ko)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Bharathi et al.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Latif et al. IoT cloud based Rx healthcare expert system
Iqbal et al. Internet of Things for in Home Health Based Monitoring System: Modern Advanc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