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797B1 -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797B1
KR100474797B1 KR10-2000-0030132A KR20000030132A KR100474797B1 KR 100474797 B1 KR100474797 B1 KR 100474797B1 KR 20000030132 A KR20000030132 A KR 20000030132A KR 100474797 B1 KR100474797 B1 KR 10047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erver
prescription
computer
do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019A (ko
Inventor
김두용
선우재근
조현찬
Original Assignee
김두용
선우재근
조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용, 선우재근, 조현찬 filed Critical 김두용
Priority to KR10-2000-0030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79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797B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의사, 환자, 약사, 제약회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 병원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의사는 원격 진료시 환자측의 컴퓨터에 설치된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얻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진료를 할 수 있으며 환자는 의사에게 지역적으로 가까운 약국이나 자기가 원하는 약국으로 처방전을 인터넷상으로 보내줄 것을 요구할 수 있고 약국의 입장에서는 인터넷으로 전송받은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을 조제할 수 있으므로 조제 시간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약국에서는 원하는 제약회사에 필요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병원 시스템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필요한 진료 전문의를 선택할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을 구비하고 인터넷상에서 환자를 위한 진료 예약 시스템을 운영하므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A cyber hospital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사이버 병원 시스템은 의사와 멀리 떨어져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운 무의촌, 도서지역, 격리 수용소, 노인 보호시설, 고아원, 양로원 등에 거주하는 환자, 신체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받아야 하는 환자, 지속적인 약물 투여가 필요한 만성질환 환자, 일반 재진 환자, 그리고 응급 환자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측 컴퓨터에 설치된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혈압, 혈당, 체중, 체온, 태아의 심박과 이외에도 의사가 원격 진료시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원격지에 있는 의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종래의 원격진료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수단이 제공되고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향상된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의약분업으로 인해 환자는 진료 후에 처방전을 가지고 한 약국으로 가서 필요한 약을 조제할 경우 많은 불편과 시간이 낭비되는 점이 발생되는데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는 진료 의사에게 환자가 원하는 지역의 약국으로 미리 처방전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약의 조제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약국에서는 원하는 제약회사에 필요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 환자가 필요한 진료 전문의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인터넷상에서 환자를 위한 진료 예약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의사, 환자, 약사, 제약회사들이 인터넷상에서 편리하게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원격 진료시 환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로부터 환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의사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료시 환자가 원하는 약국으로 처방전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약국은 제약회사에 필요한 약품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증상에 따라 필요한 진료 전문의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병원 환자를 위한 진료 예약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빌명은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병원의 응급 환자를 위한 응급실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측 컴퓨터와 측정장치를 연결시켜주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먼저 서버용 컴퓨터(100), 진료용 컴퓨터(200), 처방전용 컴퓨터(300), 제약회사용 컴퓨터(400), 환자용 컴퓨터(500), 제어장치(566), 측정장치(561)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컴퓨터들은 서로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다. 각 컴퓨터는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으로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용 컴퓨터(100)를 이용하여 의사, 환자, 약사, 제약회사는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서버용 컴퓨터(100)의 구성도로서 CPU(130), RAM(140), ROM(150), 모니터(110), 운영체계(120), 데이터 저장 장치(180), 입력 장치(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60)로 이루어진다. 서버용 컴퓨터(100)는 웹서버로서 작동하므로 많은 양의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사용자 접속을 위해 충분한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서버용 컴퓨터(100)는 다수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필요한 일을 나누어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180)로는 하드디스크, 광저장장치, CD-ROM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이버 병원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모뎀, LAN카드, ATM카드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것을 허락한다.
도 3은 진료용 컴퓨터(200)의 구성도로서 CPU(230), ROM(250), RAM(240), 데이터저장장치(280), 운영체계(220), 모니터(210), 카메라(290), 마이크와 스피커(295), 입력장치(2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로 이루어진다. 원격 진료시 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보내고 마이크와 스피커(295)는 인터넷상에서 서비스되는 웹폰을 사용하여 음성을 전달할 때 사용된다.
도 4는 환자용 컴퓨터(500)의 구성도로서 CPU(530), ROM550), RAM(540), 데이터저장장치(580), 운영체계(520), 모니터(510), 카메라(590), 마이크와 스피커(595), 직렬통신포트(568), 측정장치(561), 제어장치(566), 입력장치(5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6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제어장치(566)의 구성도로서 CPU(565), 측정장치(561)용 포트(562), 환자용 컴퓨터(500)와 통신을 위한 직렬통신포트(56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어장치(566)와 연결된 측정장치(561)는 환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혈압, 혈당, 체중, 체온, 태아의 심박과 이외에도 의사가 원격 진료시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장치(566)를 통해 환자용 컴퓨터(500)로 전송하고 이러한 데이터는 환자용 컴퓨터(500)를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의사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진료용 및 환자용 컴퓨터(200)(500)에 사용하는 모니터(210)(510)와 카메라(290)(59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다음 도 6과 같이 일체형으로 된 모니터(210)와 카메라(29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216은 케이블이고, 케이블(216)은 모니터용 케이블(212)과 카메라용 케이블(214)로 이루어진다.
도 7은 처방용/제약회사용 컴퓨터(300)로 CPU(330), ROM(350), RAM(340), 운영체계(320), 모니터310), 데이터저장장치(380), 입력장치(3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60)로 이루어지며 약국에 설치되어 의사로부터 전송된 처방전을 받을 수 있고 제약회사용 컴퓨터는 약국이 주문하는 약품내역을 웹서버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컴퓨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은 의사의 원격 진료시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110). 접속한 다음 본인의 진료용 메뉴를 선택한다(s120). 진료용 메뉴를 선택하면(s130) 시스템은 진료할 환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140). 그리고 리스트에 있는 해당 환자를 선택하여 환자측 컴퓨터와 접속한다. 아울러 원격진료를 위하여 화상과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150). 이후 환자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s160). 이때 의사측 컴퓨터는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윈도우를 생성한 뒤 환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윈도우에 디스플레이한다(s170).
도 9는 원격 진료시 환자측에서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210). 접속한 다음 진료신청 메뉴를 선택한다(s220). 선택한 진료신청 메뉴에서 환자의 인적사항에 관련된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병원명, 진료과, 진료의사, 예약번호 등을 입력한 뒤 전송한다(s230). 서버는 환자의 인적사항을 입력받아 해당의사의 진료 환자 리스트에 이를 알려준다(s240). 그리고 서버는 환자측 컴퓨터에 해당 의사가 연결될 때까지 잠시 기다려달라는 메시지를 보낸다(s250). 이후 환자측 컴퓨터에서 측정창치를 제어장치에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한다(s260). 프로그램 수행으로 등록절차가 완료되면 측정 준비를 위해 등록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270).
환자가 미리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해서(s280), 필요하면 측정을 수행하여(s290) 측정된 데이터는 환자측 컴퓨터에 전송 요구 시까지 저장하여 보관하고(s300), 의사측 컴퓨터로부터 서로 연결이 되었음을 알릴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미리 측정을 할 필요가 없을 경우는 바로 대기한다(s310). 그리고 의사측 컴퓨터로부터 서로 연결이 되었음을 통지받고(s320), 진료를 수행하기 위해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구받으면(s330) 측정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해서(s340) 측정된 데이터가 없으면 필요한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뒤(s350)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s360), 그러나, 상기 확인(s340) 결과 미리 측정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바로 측정된 데이터를 송신한다(s360).
상기 판단(s280) 결과 측정이 불필요하면 바로 상기 대기단계(s310)를 수행한다.
위의 단계에서 환자측 컴퓨터(500)에서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할 경우 다음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장치(566)에 측정장치(561)를 부착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도 10은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시키는 첫 번째 방법으로서 환자 측에 의한 등록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 의하면 환자는 측정장치들(561)을 제어장치(566)의 측정장치용 포트(562)에 차례로 연결한다(s410). 연결 후 환자측 컴퓨터(500)에서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얻은 표시창에서 제어장치(566)의 각 포트에 해당되는 측정장치(561)를 차례로 보기 리스트에서 선택하므로써(s420) 제어장치(566)의 각 포트에 원하는 측정장치(561)를 부착한다. 상기 선택은 포트선택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고(s430), 포트선택이 완료되면 모니터 표시창에 제어장치의 포트선택결과를 출력한다(s440).
도 11은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시키는 두 번째 방법으로서 측정장치(561)의 개별코드에 의한 등록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는, 환자는 측정장치들(561)을 제어장치(566)의 포트(562)에 차례로 연결한다(s510). 각 측정장치(561)는 매 측정시마다 인식을 위한 개별코드와 측정값을 발생시켜 제어장치(566)에 차례로 입력한다(s520). 입력 후 측정장치 인식이 완료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해서(s530) 인식이 완료된 상태면 측정장치(561)의 종류와 그 측정 값을 환자측 컴퓨터(500)로 송신한다(s540). 그러나 상기 판단(s530) 결과 인식 완료상태가 아니면 다시 상기 측정 값 발생단계(s520)를 수행한다.
도 12는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시키는 세번째 방법으로서, 약속된 포트접속에 의한 등록방법을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는, 제어장치(566)의 각 포트(562)에 연결되는 측정장치(561)의 종류를 할당한다(s610). 환자는 제어장치(566)의 포트(562)에 표시된 측정장치(561)의 종류에 따라 그 용도에 맞는 측정장치들(561)을 제어장치(566)의 포트(562)에 차례로 연결한다(s620). 제어장치(566)는 해당포트(562)에 있는 측정장치(561)로부터 입력된 측정값을(s630) 환자측 컴퓨터(500)로 송신한다(s640).
도 13은 제어장치(566)로부터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500)에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측정장치(561)를 제어장치(566)에 등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장치의 등록을 완료한다(s710). 환자가 측정장치(561)를 이용하여 측정을 완료하면 측정장치(561)는 측정 데이터를 제어장치(566)로 송신하며, 제어장치(566)는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s720). 제어장치(566)는 해당 측정장치(561)의 종류(ID)와 수신한 측정 데이터(DATA)를 환자측 컴퓨터(500)로 송신할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한다(s730). 송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환자측 컴퓨터(500)로 송신한다(s740).
도 14는 제어장치(566)로부터 환자측 컴퓨터(500)로 전송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해당 프로토콜은 직렬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프로토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시작(START) 바이트(610)는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알리며, 측정장치 종류(DEVICE ID)(620)는 제어장치(566)가 인식한 측정장치(561)의 고유번호를 나타낸다. 측정 데이터(MEASURED DATA)(630)는 측정장치(561)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확장용 바이트(EXTENSIBLE BYTE)(640)는 추후 기능확장을 위한 보존용 바이트이고, 종료(STOP) 바이트(650)는 전송의 종료를 알리는 바이트이다.
도 15는 처방전을 해당 약국에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s810)한 다음 처방전 송신메뉴를 선택한다(s820). 송신메뉴가 선택되면 처방전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한다(s830). 이때 필요한 내용은 환자의 주소, 성명, 주민등록번호, 나이, 성별, 조합기호, 피보험자, 보험증번호, 보험구분, 초진, 재진, 상병기호, 약품명, 성분, 분량, 용법, 용량, 사용기간, 교부 년월일, 의료기관의 명칭, 소재지, 의료인의 면허자격, 대체약품명, 전자서명, 기타 내용이다. 상기한 필요 내용입력이 끝나면 서버로의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고(s840), 상기 송신 시도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s850), 상기 요청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을 검토하여 입력내용의 수정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860).
확인 결과 수정이 필요하면 처방전 입력내용을 수정한 뒤(s870) 다시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하고(s840), 만약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한다(s880).
도 16은 약국에서 처방전을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905). 접속한 다음 처방전 수신 메뉴를 선택하면(s910) 약사는 처방전 목록을 검색하여(s915) 검색결과 처방전목록이 있으면 처방전 목록을 수신한다(s920).
수신한 처방전 목록으로부터 대체약품의 지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s925), 확인결과 지정이 필요하면 대체약품으로 처방전 내용을 수정하고(s930), 서버로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며(s935), 상기 송신시도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 확인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940).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입력내용을 확인한 뒤 입력내용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결정에 의해 수정이 필요하면 대체약품 입력내용을 수정한 뒤 다시 서버로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고(s935), 수정이 불필요하면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하면(s960), 서버에서 처방전을 수신하여(s965), 해당의사에게 처방전을 전송하고(s970), 서버는 처방전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받은 처방전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고(s975) 변환할 필요가 있으면 처방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저장하고(s980) 변환이 불필요하면 바로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925)에서 대체약품 지정이 불필요하면 서버로 처방전 수신확인메시지를 전송한 뒤(s955) 바로 상기 단계(s975)를 수행한다.
도 17은 약품 주문내역에 대한 제약회사의 응답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1110). 접속한 다음 주문 내역을 검색한다(s1120). 그리고 주문 내역을 수신하고(s1130) 수신한 내역에 따라 해당약국에 대한 주문 확인서를 서버로 전송한다(s1140),
도 18은 약국에서 제약회사로 약품을 주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1210).
접속후 약품주문 메뉴를 선택하고(s1220) 필요한 약품 내역을 입력한다(s1230). 이어서 주문자 정보를 입력하여(s1240) 서버로 송신한다(s1250).
상기 서버로 송신된 주문자 정보를 통해 약품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s1260), 주문내역이 확인되면 제약회사가 접수했는지, 원하는 날짜에 배달이 가능한지 등을 제약회사로부터 회신된 확인서 내용을 서버를 통해 검색한다(s1270). 그러나 주문내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종료한다.
환자가 본인의 증상과 관련하여 진료과와 전문의사를 선택하기가 어려운 경우 본 사이버 병원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당 진료과와 전문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공지능, 퍼지이론, 신경회로망, 유전자알고리즘 또는 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혼합형 알고리즘 등과 같은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도 19는 이러한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1310). 접속한 다음 전문가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고(s1320) 환자의 증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s1330). 이후 서버는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환자에게 필요한 진료과와 의사를 환자측 컴퓨터에 전송하여(s1340) 서버로부터 추천 진료과와 의사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s1350).
도 20은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에서 진료를 예약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한다(s1410). 접속한 다음 예약 메뉴를 선택하고(s1420) 진료 예약날짜, 시간, 진료과, 진료의사, 환자 성별, 생년월일, 성명, 의료보험관련 내용 등 예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s1430). 그리고 진료비 지불 수단을 선택한다(s1440). 지불수단으로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1450)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고(s1460) 서버로 전송한다(s1470). 한편, 지불수단으로서 신용카드대신 다른 수단 예로서 전자화폐를 선택하면(s1460) 필요한 비용만큼 서버로 전송한다(s1480).
도 21은 응급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응급 메뉴를 선택하여 서버에 접속한다(s1510). 접속한 다음, 환자의 증상을 입력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1520). 이어서 서버는 당직의사가 사용하는 응급용 컴퓨터에 음성신호나, 부저소리를 이용하여 응급환자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려주고(s1530) 이어서 서버는 응급환자의 컴퓨터와 당직의사의 컴퓨터를 연결시키고(s1540) 원격진료를 위하여 화상과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1550).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환자가 병원에서 장시간 동안 대기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둘째, 병원이 먼 거리에 있는 경우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의사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셋째,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의사의 긴급처방을 즉시 받을 수 있어서 환자의 생명을 구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도서벽지와 같은 곳에서 생활하는 환자가 진료를 위해 대도시까지 오지 않더라도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다섯째, 병원에서 무료하게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가 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서 사회적으로 큰 이득이다.
여섯째, 인터넷 환경만 구축된 곳이라면 어느 곳에 있든지 담당의사로부터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어서, 환자가 진료상태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가 넓어진다. 즉 해외여행중이나 외국에 거주하는 해외교포가 현지언어에 능숙하지 못할 경우 자신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병원의사를 찾아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게된다.
일곱째, 병원이 환자들의 대기공간을 불필요하게 많이 확보할 필요가 없어서 병원의 경영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여덟째, 약국이 제약회사에 필요한 약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납기일정을 온라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어서 약국의 약품구입과정이 보다 용이해진다. 그리고 약품구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금전적 부조리 사항을 예방할 수 있게되고 이는 의약품값의 인하를 초래하게 되어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된다.
아홉째, 공휴일에 응급환자가 발생한 경우 담당의사가 병원에 없어도 필요시 인터넷을 통해 의사가 환자에게 응급조치를 취해줄 수 있게된다.
도 1은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서버용 컴퓨터의 구성도를 나타내다.
도 3은 진료용 컴퓨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환자용 컴퓨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모니터와 카메라 일체형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처방용/제약회사용 컴퓨터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원격 진료시 의사측에서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원격 진료시 환자측에서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환자측에서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측정장치의 개별코드에 의해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약속된 포트접속에 의해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에 등록시키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제어장치로부터 측정값을 환자 측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어장치로부터 환자 측 컴퓨터로 전송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15는 처방전을 해당 약국에 전송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약국에서 처방전을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약품 주문내역에 대한 제약회사의 응답을 나타내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약국에서 제약회사로 약품을 주문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이 제공하는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료과와 전문의사를 추천받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에서 진료를 예약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응급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사이버병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서버용 컴퓨터 110,210,310,510: 모니터
120,220,320,520: 운영체제 130,230,330,530,565: CPU
140,240,340,540,563: RAM 150,250,350,550,564: ROM
160,260,360,5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270,370,570: 입력장치 180,280,380,580: 데이터 저장장치
200: 진료용 컴퓨터 212: 모니터용 케이블
214: 카메라용 케이블 216: 케이블
290,590: 카메라 295,595: 마이크/스피커
300: 처방용 컴퓨터 400: 제약회사용 컴퓨터
500: 환자용 컴퓨터 561 측정장치
562: 측정장치용 포트 566: 제어장치
568: 직렬통신용 포트 610: 시작 헤더
620: 측정장치 종료 헤더 630: 측정 데이터 헤더
640: 확장용 바이트 헤더 650: 종료 헤더

Claims (21)

  1. 의사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환자를 원격으로 진료하기 위한 진료용 컴퓨터;
    의사가 인터넷상에서 환자를 진료한 결과에 따라 처방을 하여 처방전을 발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방용 컴퓨터;
    상기 진료용 컴퓨터를 통해 의사로부터 원격으로 진료를 받기 위한 환자용 컴퓨터;
    상기 진료용 컴퓨터, 처방용 컴퓨터 및 환자용 컴퓨터를 제어하고 웹서버의 기능을 구비한 서버용 컴퓨터;
    상기 환자용 컴퓨터에 제어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원격 진료에 필요한 환자의 각종 건강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 및
    약국이 주문하는 약품내역을 상기 서버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제약회사용 컴퓨터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용 컴퓨터, 진료용 컴퓨터, 처방용 컴퓨터, 제약회사용 컴퓨터 및 환자용 컴퓨터는 각각 모니터, CPU, 램, 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및 운영체계를 구비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용 컴퓨터 및 환자용 컴퓨터는,
    각종 영상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음성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및
    각종 소리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램, 롬, CPU 및 다수개의 측정장치용 포트를 구비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전면에 상기 카메라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는 모니터용 케이블과 카메라용 케이블을 일체화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사이버 병원 시스템.
  6.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경우에 있어서,
    의사가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의 인증을 받는 단계;
    서버가 상기 인증을 받은 의사에게 담당분야의 진료용 메뉴를 제공하여 의사가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상에서 담당의사가 진료할 환자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환자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환자리스트상에서 소정의 순서에 의해 환자를 선택하여 환자측 컴퓨터와 접속하여 화상 및 음성 시스템을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을 통해 환자에게 진료에 필요한 소정의 측정 데이터를 요구하는 단계; 및
    환자가 상기 요구에 따라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진료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사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를 원격으로 진료하는 방법.
  7. 의사의 처방전을 약국으로 발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후 처방전 송신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메뉴가 선택되면 처방전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한 필요 내용입력이 끝나면 서버로의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송신 시도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을 검토하여 입력내용의 수정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수정이 필요하면 처방전 입력내용을 수정하여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만약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면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사의 처방전을 약국으로 발송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한 내용은 환자의 주소, 성명, 주민등록번호, 나이, 성별, 조합기호, 피보험자, 보험증번호, 보험구분, 초진, 재진, 상병기호, 약품명, 성분, 분량, 용법, 용량, 사용기간, 교부 년월일, 의료기관의 명칭, 소재지, 의료인의 면허자격, 대체약품명, 전자서명, 기타 내용인 것이 특징인, 의사의 처방전을 약국으로 발송하는 방법.
  9. 의약분업에 따라 약사가 의사의 처방전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다음 처방전 수신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약사가 처방전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처방전목록이 있으면 처방전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처방전 목록으로부터 대체약품의 지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결과 지정이 필요하면 대체약품으로 처방전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
    상기 내용 수정후 서버로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송신시도에 따라 처방전 입력내용 확인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확인 요청에 따라 입력내용을 확인한 뒤 입력내용의 수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의해 수정이 필요하면 대체약품 입력내용을 수정한 뒤 다시 서버로 처방전 송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결정에 의해 수정이 불필요하면 서버로 처방전을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송신된 처방전을 수신하는 단계;
    해당의사에게 처방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대체약품 지정이 불필요하면 서버로 처방전 수신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해당의사에게 상기 처방전이 전송되거나 서버가 상기 처방전 수신확인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서버가 처방전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송받은 처방전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변환할 필요가 있으면 처방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저장하고 변환이 불필요하면 바로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국에서 처방전을 수신하는 방법.
  10. 환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로부터 원격진료를 받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가 인터넷상의 사이버 병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인증을 받은 환자가 서버가 제공하는 메뉴가운데 진료신청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메뉴에서 환자가 자신의 인적사항과 예약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적사항과 예약관련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가 상기 정보를 토대로 진료를 담당할 의사를 선정한 뒤 이를 해당 의사의 진료목록에 등재하는 단계;
    서버가 환자에게 진료를 위해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담당의사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할 것을 지시하는 단계;
    환자가 소정의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에 등록하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절차가 완료되면 측정 준비를 위해 등록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환자가 서버로부터 측정 수행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측정 수행 명령이 있으면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환자가 상기 측정 수행결과를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측정 수행 명령이 없거나 상기 컴퓨터에 측정 결과를 저장 완료한 경우 담당의사가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상기 대기 상태에서 담당의사가 서버의 진료용 메뉴의 진료환자 리스트에서 상기 환자를 선택하면 서버가 상기 환자에게 담당의사가 연결되었음을 통지하는 단계;
    상기 담당의사가 측정결과를 송신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요구에 따라 측정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측정 데이터가 없으면 소정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데이터를 담당의사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사용하여 의사로부터 원격진료를 받는 방법.
  11.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가 환자를 원격 진료하는데 필요한 환자측 측정장치를 환자측에서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가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의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모니터 표시창에서 해당 제어장치 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포트선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완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해당 제어장치 포트를 선택하고, 완료되었으면 모니터 표시창에 제어장치의 포트 선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측정장치 등록 방법.
  12.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가 환자를 원격 진료하는데 필요한 환자측 측정장치를 측정장치의 개별코드를 이용하여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가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의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측정장치에서 인식코드와 측정값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인식코드와 측정값 발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인식코드와 측정값 발생이 완료되었으면 측정장치의 종류와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로 전송하고, 만약 완료되지 않았으면 다시 측정장치에서 인식코드와 측정값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측정장치 등록 방법.
  13.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가 환자를 원격 진료하는데 필요한 환자측 측정장치를 약속된 포트접속에 의해 등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장치의 각 포트에 연결되는 측정장치의 종류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측정장치의 종류가 할당된 제어장치의 포트에 표시된 해당 측정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포트에 연결된 해당 측정장치로부터 측정값을 제어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측정장치의 종류와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측정장치 등록 방법.
  14.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사가 환자를 원격 진료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측정장치 등록방법을 사용하여 측정장치를 제어장치에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등록된 측정장치로부터 측정장치의 종류와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해당 측정장치의 종류(ID)와 측정 데이터를 송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환자측 컴퓨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에서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의 형식은 시작 헤더, 측정장치 종류 헤더, 측정 데이터 헤더, 확장용 바이트 헤더 및 종료 헤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사이버 병원 시스템에서 측정값을 환자측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
  16.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서버를 통해 약국이 소정의 약품을 제약회사에 주문한 경우,
    상기 서버에 제약회사가 접속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인증을 받은 제약회사가 서버상에서 상기 주문내역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주문내역을 제약회사측 컴퓨터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완료후 서버로 주문 확인서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약회사가 약품 주문을 확인하는 방법.
  17.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병원 시스템의 서버를 통해 약국이 소정의 약품을 제약회사에 주문하는 경우,
    약국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
    약품 주문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약품 주문 메뉴에서 약품 주문 내역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약품 주문 내역에 따른 주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한 약품 주문 내역 및 주문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 전송된 주문자 정보를 통해 상기 주문 내역이 제약회사에 의해 접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주문 내역이 확인되면 제약회사로부터 온 확인서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운용 방법.
  18. 인터넷상에서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가 진료과와 자신에 맞는 전문의사를 선택하기를 원하는 경우,
    환자가 상기 사이버 병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인증을 받은 뒤 전문가 시스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문가 시스템 메뉴에서 증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후 서버로부터 추천진료과와 의사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과 및 담당의사 선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시스템은 인공지능, 퍼지이론, 신경회로망, 유전자알고리즘 및 이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혼합형 알고리즘 가운데 하나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 특징인,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한 진료과 및 담당의사 선정 방법.
  20. 인터넷상에서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료를 받기 위하여 진료를 예약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인증 후 예약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예약메뉴에서 예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서버가 예시한 다수의 진료비 지불 수단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지불 수단이 신용카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신용카드이면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신용카드가 이니면 전자화폐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신용카드 번호 입력 또는 전자화폐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 내용 또는 선택사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 진료 예약 방법.
  21. 인터넷상에서 환자가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하여 응급진료를 받기 원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이버 병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응급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응급메뉴에서 증상을 입력하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상을 수신한 서버가 담당의사에게 응급용 컴퓨터를 통해 소정의 응급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서버가 응급용 컴퓨터와 응급환자의 컴퓨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이버 병원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 진료 방법.
KR10-2000-0030132A 2000-06-01 2000-06-01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047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32A KR100474797B1 (ko) 2000-06-01 2000-06-01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32A KR100474797B1 (ko) 2000-06-01 2000-06-01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19A KR20010109019A (ko) 2001-12-08
KR100474797B1 true KR100474797B1 (ko) 2005-03-08

Family

ID=4037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132A KR100474797B1 (ko) 2000-06-01 2000-06-01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73A (ko) 2021-08-02 2023-02-09 (주)신신플러스 개인화된 의약 제공 장치 및 그를 활용한 의약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11A (ko) * 2000-06-05 2000-09-05 남궁석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진료방법과 시스템 및 그 기록매체
KR20020006880A (ko) * 2000-07-13 2002-01-26 박세준 헬스시스템
KR20020087315A (ko) * 2001-05-15 2002-11-22 (주)씽크로드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처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3570B1 (ko) * 2007-04-2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443357B1 (ko) * 2012-09-28 2014-09-29 주식회사 유비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환자의 건강정보 제공시스템
KR102500250B1 (ko) * 2020-11-19 2023-02-16 (주)인성정보 글로벌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51340A (ko) *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아이센스 의료데이터 전송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16A (ja) * 1995-11-15 1997-05-27 Hitachi Ltd 広域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10053956A (ko) * 1999-12-02 2001-07-02 장영용 의약 처방 및 약국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16A (ja) * 1995-11-15 1997-05-27 Hitachi Ltd 広域医療情報システム
KR20010053956A (ko) * 1999-12-02 2001-07-02 장영용 의약 처방 및 약국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673A (ko) 2021-08-02 2023-02-09 (주)신신플러스 개인화된 의약 제공 장치 및 그를 활용한 의약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19A (ko)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268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remote access of patient data
US20210251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telemedicine into multimedia video visitation systems in correctional facilities
US200400734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communication devices to provide access to patient-related information
US201002502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assistance to a traveler
Boutros-Saikali et al. An IoMT platform to simplify the development of healthcare monitoring applications
JP2005267358A (ja) 地域医療のための電子カルテ作成・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EP270404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support
KR100474797B1 (ko) 사이버 병원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JP6345400B2 (ja) 患者情報取込システム
JP5845235B2 (ja) 病院利用支援システム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US93610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legacy patients clinical documents for open sharing
KR102418721B1 (ko)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182B1 (ko) 환자의 증상 정보에 따른 선택적 의사 매칭이 가능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51457B1 (ko) 의사-환자의 선택적 매칭을 통한 비대면 진료 상담 결제 시스템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14081751A (ja) 救急医療管制支援システム及びサーバ並びに携帯端末
WO2002056151A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communication devices to provide access to patient-related information
WO2022249434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7376761B1 (ja) 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70479B1 (ko) 인공지능 기반 민감 정보 선택적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JP7390543B2 (ja) 遠隔診療支援システム
KR102466587B1 (ko) 양방향 채널 개설과 상호 커넥팅을 통한 의사-환자의 비대면 진료 시스템
KR102429183B1 (ko) 의사의 선택적 진료 수락을 통한 의사-환자 비대면 진료 시스템
WO202318116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26

Effective date: 200410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