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891B1 -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891B1
KR102409891B1 KR1020200074342A KR20200074342A KR102409891B1 KR 102409891 B1 KR102409891 B1 KR 102409891B1 KR 1020200074342 A KR1020200074342 A KR 1020200074342A KR 20200074342 A KR20200074342 A KR 20200074342A KR 102409891 B1 KR102409891 B1 KR 10240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ient
bio
cloud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590A (ko
Inventor
홍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0007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891B1/ko
Priority to PCT/KR2021/007622 priority patent/WO2021256877A1/ko
Priority to EP21826602.1A priority patent/EP4170676A1/en
Priority to US17/928,950 priority patent/US11749402B2/en
Publication of KR2021015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Nur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이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되, 사용자인증이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병원서버가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완료 메시지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원격진료 서비스 승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multiple departments and for follow-up monitoring for remoted and visiting medical treatment based on Patient generated healthcare data and DNA analysis data}
본 발명은 PGHD 및 DNA분석 데이터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진료 요청시 환자의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적합한 진료과를 실시간으로 추천하고, 진료 후 사후 모니터링이 가능한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진료는 진료의 질을 담보할 수 없고, 진료결과에 따른 법적 책임 소재도 불분명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도입이 보류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해 원격진료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원격진료 허용이 사실상 가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원격 진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환자가 직접 진료받기 원하는 진료과를 선택하여 진료를 받는 것에 그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8-0040300호(원격 진료를 위한 의료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가 있으나, 선행기술은 환자를 원격 진료하여 자문의사로부터 획득한 진료 의견을 진료에 활용하고, 이를 통하여 진료 관련 자문 및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및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가 요청한 진료과 뿐 아니라 다중 진료과 예약 필요 여부를 분석하여 한번에 다중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진료과를 실시간으로 추천하고, 진료 후 사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단말이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되, 사용자인증이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병원서버가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완료 메시지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원격진료 서비스 승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단말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진료시 PGHD의 이상 징후와 유전체(DNA)분석 및 예진/문진 설문 Data를 판단하고, 연관된 진료과를 복수로 호출하며, 원격 의료 수단 내 협업 진료를 실행하여 환자의 질병 및 질환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료할 수 있다.
또한, 진료 후에도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건강 이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과의 진료가 필요하다는 환자에게 추천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클라우드서버(100), 병원서버(200), 사용자단말(300), 진료과단말(400)로 구성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데이터수집부(110), 분석부(120), 응급환자판단부(130), 진료과추천부(140), 안내부(150), 제어부(160), 인증부(170), 예약부(180), 저장부(190), 통신부(191), 사후모니터링부(193)로 구성된다.
데이터수집부(11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딥러닝에 기초한 학습을 위한 진료과추천모델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분석부(12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20)는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120)는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범주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범주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분석부(120)는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를 표준화 및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응급환자판단부(130)는 분석부에서 분석된 건강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응급환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응급환자인 경우 병원서버(200)와 사용자단말(300)에 응급환자임을 알린다.
진료과추천부(14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진료과를 분석한다. 이때, 진료과추천부(140)는 건강측정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이미 학습된 진료과추천모델에 기초하여 진료가 필요한 진료과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건강측정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분류하고,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진료과추천모델에 입력하여 진료가 필요한 진료과를 추출할 수 있다. 진료과추천부(140)는 추출된 진료과를 사용자단말(300)에 추천할 수 있다.
안내부(150)는 병원서버로부터 다중진료과 예약완료 메시지, 단일진료과 예약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예약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단말에 안내한다.
제어부(160)는 클라우드서버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인증부(17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원격진료서비스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예약부(18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진료과 예약요청을 수신하면 병원서버(200)에 예약가능여부를 확인한다. 병원서버로부터 예약완료안내를 수신하면 사용자단말에 예약완료를 안내한다.
저장부(19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환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통신부(191)는 병원서버(200) 및 사용자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후모니터링부(193)는 진료가 종료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에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300)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병원서버(2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200)는 진료가 종료되고 사후로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중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진료과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병원서버(200)가 사용자단말(3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가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게더링하고, 데이터의 추이를 모니터링하되,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다중 진료과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이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01), 원격진료 서비스를 클라우드서버(100)에 요청한다(S103).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S105).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인증이 완료되면 병원서버(200)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한다(S107). 병원서버(200)는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완료 메시지를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S111).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원격진료 서비스 승인메시지를 전송한다(S113).
사용자단말(300)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측정 데이터를 수집한다(S115).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는 혈압, 혈당, 체중, 체온, 활동량,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를 인공지능 스피커를 허브로 하여 다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케어 디바이스와 연동하고,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없이 스마트폰으로 측정한 혈압, 맥박, 심전도, 산소포화도 등과 연동하고, 인공지능 스피커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클라우드서버(100)에 전송한다. 사용자단말이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데이터(PGHD)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홈케어 디바이스, 스마트폰을 통해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300)이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한다(S117).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환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클라우드서버(100)가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한다(S119). 클라우드서버(100)가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응급환자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21).
클라우드서버(100)가 분석 결과에 따라 응급환자로 판별되는 경우 병원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응급환자임을 알린다(S123). 클라우드서버(100)가 분석결과에 따라 응급환자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 건강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진료과를 분석한다(S125).
클라우드서버(100)가 분석된 추천 진료과를 사용자단말(300)에 안내한다(S127).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단말(300)이 클라우드서버(100)로부터 추천된 진료과가 다중 진료과인 경우, 클라우드서버에 예약요청을 하면(S203),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서버(200)에 다중진료과 예약요청을 하고(S207), 병원서버(200)는 다수개의 진료과단말(400)에 예약 가능여부를 확인한다(S209). 다수개의 진료과단말이 예약 가능여부를 확인하고(S211 내지 S215), 가능여부를 병원서버(200)에 회신한다. 병원서버(200)는 회신결과에 따라 다중진료과 예약을 완료하고(S219), 예약 완료를 클라우드 서버에 안내한다(S221).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300)에 예약 완료를 안내한다(S223).
사용자단말(300)이 클라우드서버(100)로부터 추천된 진료과가 단일 진료과인 경우 단일진료과를 예약한다(S225), 클라우드서버에 예약요청하면(S227),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서버(200)에 단일진료과 예약요청을 하고(S231), 병원서버(200)는 단일 진료과단말(400)에 예약 가능여부를 확인한다(S233). 단일 진료과단말이 예약가능여부를 확인하고(S233), 가능여부를 병원서버(200)에 회신한다(S237). 병원서버는 회신결과에 따라 단일진료과 예약을 완료하고(S239), 예약 완료를 클라우드 서버에 안내한다(S241).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300)에 예약 완료를 안내한다(S243).
도 4를 참조하면, 진료과단말(400)이 진료를 종료하면(S301), 진료처방전을 요청한다(S303). 진료과단말(400)이 병원서버(200)에 원외처방전을 요청하고(S305), 병원서버(200)는 병원 전자서명을 한다(S307). 병원서버(200)는 클라우드서버(100)에 결제 처리를 요청하고, 클라우드서버(100)는 진료처방전을 발행한다(S311).
클라우드서버(100)가 사용자단말(300)에 수납처리를 요청하고(S313), 사용자단말은 추가진료여부를 판단하고(S315), 추가 진료를 하지 않으면 약국선택 및 조제요청(S317)을 수행한다. 사용자단말(300)이 추가진료를 하면 추가진료를 예약을 요청하고(S321), 클라우드서버(100)가 추가진료를 예약한다(S323).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서버(200)에 진료과 예약요청하고(S325), 병원서버(200)가 진료과단말(400)에 진료과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S327), 진료과단말이 예약가능여부를 확인하고(S329), 가능여부를 병원서버(200)에 회신한다(S331). 병원서버는 회신결과에 따라 단일진료과 예약을 완료한다(S333). 병원서버는 예약 완료를 클라우드 서버에 안내한다(S335). 클라우드서버(100)는 사용자단말(300)에 예약 완료를 안내한다(S337).
클라우드서버(100)와 병원서버(200)는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사후모니터링을 수행한다(S339, S341).
클라우드서버(100)가 모니터링 중에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S339).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서버(100)가 병원서버(2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200)가 모니터링 중에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진료과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S339). 실시예에 따라 병원서버(200)가 사용자단말(300)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병원서버가 수신된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실시간 원격모니터링하되,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 병원서버가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게더링하고, 데이터의 추이를 모니터링하되,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다중 진료과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
클라우드서버(100)는 DNA와 같은 유전 정보 분석 및 추가적인 PHR의 데이터 측정 및 정보 분석이 필요한 경우, 원격 진료 환자에게 추천 및 요청을 하여 진료를 받도록 알릴 수 있다.
클라우드서버(100)는 모니터링 중에 건강 이상 상태가 확인되면 환자 동의를 받은 지정 대상(가족, 사회복지사, 지역보건소 등)의 단말기에 이상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위급사항 알림 및 대리진료 예약이 가능할 수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시스템
100; 클라우드서버 200; 병원서버
300; 사용자단말 400; 진료과단말

Claims (10)

  1.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이 전용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클라우드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면,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되, 사용자인증이 완료되면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에 원격진료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병원서버가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완료 메시지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원격진료 서비스 승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이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환자의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측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클라우드서버가 수신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응급환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되, 응급환자로 판별되는 경우 병원서버에 실시간으로 응급환자임을 알리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건강측정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응급환자인지 여부를 판별하되, 응급환자로 판별되지 않는 경우 건강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진료과를 분석하는 단계;
    클라우드서버가 분석된 추천 진료과를 사용자단말에 안내하는 단계;
    사용자단말이 추천된 진료과가 다중 진료과인 경우, 클라우드서버에 예약요청을하면, 클라우드서버가 다중진료과에 예약을 진행하기 위해 병원서버에 다중진료과예약요청을 하고, 병원서버는 다수개의 진료과단말에 예약 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단말이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를 인공지능 스피커를 허브로 하여 다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케어 디바이스와 연동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케어 디바이스없이 스마트폰으로 측정하여 연동하고,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가 데이터를 수집하여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서버는 분석부, 진료과추천부, 사후모니터링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석부는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범주형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범주형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를 표준화 및 정규화를 수행하고,
    상기 진료과추천부는 건강측정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이미 학습된 진료과추천모델에 기초하여 진료가 필요한 진료과를 분류하고, 상기 건강측정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분류하고,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DNA분석 데이터, 예진/문진 설문데이터를 진료과추천모델에 입력하여 진료가 필요한 진료과를 추출하고,
    상기 사후모니터링부는 진료가 종료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중에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이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를 측정하는 다수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홈케어 디바이스를 통해 클라우드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서버가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병원서버가 수신된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실시간 원격모니터링하되,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에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사용자단말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클라우드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집된 건강측정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환자별로 구분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병원서버가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를 게더링하고, 데이터의 추이를 모니터링하되, 기준값 이상의 데이터 변동이 발생하면, 다중 진료과에 건강 이상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환자 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KR1020200074342A 2020-06-18 2020-06-18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40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42A KR102409891B1 (ko) 2020-06-18 2020-06-18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1/007622 WO2021256877A1 (ko) 2020-06-18 2021-06-17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EP21826602.1A EP4170676A1 (en) 2020-06-18 2021-06-17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cal department selection and post-monitoring during telemedicine based on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pghd) and dna analysis data
US17/928,950 US11749402B2 (en) 2020-06-18 2021-06-17 Method and system for multi-medical department selection and post-monitoring during telemedicine based on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 (PGHD) and DNA analysis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342A KR102409891B1 (ko) 2020-06-18 2020-06-18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590A KR20210156590A (ko) 2021-12-27
KR102409891B1 true KR102409891B1 (ko) 2022-06-17

Family

ID=7917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342A KR102409891B1 (ko) 2020-06-18 2020-06-18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49402B2 (ko)
EP (1) EP4170676A1 (ko)
KR (1) KR102409891B1 (ko)
WO (1) WO2021256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20B1 (ko) * 2022-01-27 2024-04-09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원격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188466B (zh) * 2022-07-08 2023-12-12 江苏优盾通信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特征分析的受询辅助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373B1 (ko) * 2018-06-21 2018-12-12 주식회사 씨앤더블유커뮤니케이션 거주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9212264A (ja) * 2018-05-31 2019-12-12 一般社団法人テレメディーズ 診療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942A (ko) * 2007-06-25 2007-11-06 이경수 의료 예상 진단 서비스 방법
KR101443357B1 (ko) * 2012-09-28 2014-09-29 주식회사 유비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환자의 건강정보 제공시스템
WO2015126095A1 (ko) * 2014-02-21 2015-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26257A (ko) * 2014-08-29 2016-03-0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지 기반의 유-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US10318958B2 (en) * 2015-07-28 2019-06-11 Jong Ho Kim Smart watch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252145B2 (en) * 2016-05-02 2019-04-09 Bao Tran Smart device
KR20180040300A (ko) 2016-10-12 2018-04-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진료를 위한 의료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94125B1 (ko) * 2017-07-11 2020-12-22 주식회사 큐티티 가족 관리 기능을 구비한 병원 예약시스템
KR101841737B1 (ko) 2017-08-18 2018-05-04 (주)에프티에스 레이저모듈을 이용한 영상사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2264A (ja) * 2018-05-31 2019-12-12 一般社団法人テレメディーズ 診療支援システム
KR101927373B1 (ko) * 2018-06-21 2018-12-12 주식회사 씨앤더블유커뮤니케이션 거주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7258A1 (en) 2023-06-22
EP4170676A1 (en) 2023-04-26
KR20210156590A (ko) 2021-12-27
WO2021256877A1 (ko) 2021-12-23
US11749402B2 (en)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05287A (ja) 神経学的監視および補助された診断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10301429A1 (en) Method for remote diagnostic monitoring and support of patients and device and telemedical center
CN116580830B (zh) 一种基于云平台的远程智能医疗服务系统
CN1036059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社区智能医护系统控制方法
KR102409891B1 (ko) 환자생성 생체바이오 데이터(pghd) 및 dna분석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시 다중 진료과 선정 및 사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737870B1 (ko) 운전자 헬스 캐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827994A (zh) 心梗预警方法、装置及设备、存储介质
Trajkovik et al. General assisted living system architecture model
CN106510686A (zh) 基于云服务的心脏疾病诊断系统
Abiodun et al. Remote health monitoring in clinical tria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 conceptual framework
Khovrichev et al. Intelligent approach for heterogeneous data integration: Information processes analysis engine in clinical remote monitoring systems
KR101626834B1 (ko) 사용자 정보 기반 우울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7174289A (zh) 一种无人化智慧体检系统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725B1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6989203B2 (ja) 医療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189627A1 (en) Drive-through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drive-through medical treatment method
CN112397179A (zh) 一种医用心电图智能分析系统及分析方法
WO20151874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modal neurological evaluation
KR20160060807A (ko) 환자관리 시스템, 환자관리 서버, 환자단말기 및 그 환자관리 방법
CN110974215B (zh) 基于无线心电监护传感器组的预警系统及方法
CN214505007U (zh) 一种医用心电图智能分析系统
Singh et al. Performance of IoT-Enabled Devices in Remote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s
US20210335491A1 (en) Predictive adaptive intelligent diagnostics and treatment
US202201151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 users health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