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726B1 -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726B1
KR102548726B1 KR1020200153818A KR20200153818A KR102548726B1 KR 102548726 B1 KR102548726 B1 KR 102548726B1 KR 1020200153818 A KR1020200153818 A KR 1020200153818A KR 20200153818 A KR20200153818 A KR 20200153818A KR 102548726 B1 KR102548726 B1 KR 10254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disease information
information
answer
question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284A (ko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미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린트 filed Critical (주)미린트
Priority to PCT/KR2020/0162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07902A1/ko
Priority to KR1020200153818A priority patent/KR1025487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질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질환 정보에 기초하여 예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질환 정보 DB화 서버,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환 관련 설문을 통하여 질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기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제공하며,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Description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SERVER AND SYSTEM THAT COLLECTS DISEASE INFORMATION AND MAKES A DATABAS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다양한 질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질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업데이트하여 정확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질환은 대기/기상 상태등의 환경 데이터와 관련성이 매우 높다. 기압이 낮아지면 머리나 다리가 쑤시거나, 건조해지면 비염이 악화되는 등의 경우가 그렇다. 따라서, 특정 환경 데이터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경우, 미래의 질병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 데이터와 질환과의 상관 관계는, 빅데이터를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분석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꽃가루와 같은 환경 데이터는 알러지성 비염이나 천식과 같은 질환과의 상관 관계가 있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수많은 환경 파라미터(온도, 습도, 꽃가루 분포 등) 중에서 특정 질환과의 상관 관계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피드백 정보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꽃가루가 심한 날에는 '알러지성 비염 환자가 급증'했다는 피드백 정보를 의미한다. 피드백 정보가 있어야, 해당 질환과 환경 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의료기관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환자의 접수, 진찰, 처방, 치료, 입원과 퇴원, 검사결과 등의 모든 과정과 기록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전산화하고 있다.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이 국민보건향상을 위한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보호 측면에서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제한점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는 환자정보 데이터를 갖는 의료정보가 환자 개인의 신체와 관련된 전문적이고 공익적인 정보일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중에서도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자정보 디지털 데이터는 복제가 쉬워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부정확한 정보가 생산될 경우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환자 정보 데이터와 같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를 최대한 보호해 주면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질환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서버 및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환 관련 설문을 통하여 질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기상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수집되는 질환 정보는, 비염 질환 및 천식 질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질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1 설문이 출력되면,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복수 개의 답변 항목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답변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이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답변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문에 대하여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변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질환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환 관련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질환 정보를 저장하는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 기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기상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수집되는 질환 정보는, 비염 질환 및 천식 질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질환 정보의 수집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1 설문이 출력되면,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복수 개의 답변 항목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답변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이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답변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설문에 대하여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변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시키는 서버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개인정보 보호법에 저촉되지 않고 합법적이고 정확한 개인 질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상 및 환경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는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1000)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의 기능 및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1000)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인터페이스(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설문-답변 트리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인 설문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1000)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1000)은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 기상 데이터 서버(101),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 및 이동 단말기(103)를 구비한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 기상 데이터 서버(101),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 및 이동 단말기(103)는 모두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10)와 접속되고 네트워크(110)를 통해 통신한다. 상기 네트워크(110)는, 일반적인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기기 간 직접적으로 주고 받을 수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 역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도 1은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구성의 수에 제한은 없다.
기상 데이터 서버(101)는 풍향 풍속, 기온, 일교차, 습도, 일사량, 우량 등의 기상 데이터를 지역마다(예를 들어 250m 메쉬 단위로), 시간대마다(예를 들어 분 단위로) 수집하여 제공해 준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는 특정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빅데이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제공되는 기상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3)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설문을 제공 및 설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3)는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로부터 예방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치료기(104)가 직접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예방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상기 설문 및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대한 질환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킨다. 이렇게 데이터 베이스화된 질환 정보는,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데이터 베이스화라는 용어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는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질환 정보 및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화 시킨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0)는 취득된 질환 정보와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래의 질병(즉, 질병의 위험도)을 예측할 수 있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모델을 선택한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0)는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네트워크(110)를 통해 기상 예측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기상 예측 정보와 선택된 모델로부터 병에 관한 예측 정보를 도출한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3) 및/또는 휴대용 치료기(104)에 예측 정보(예방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예방 정보는 특정 질환의 발생 가능성 자체를 경고할 수도 있으며, 휴대용 치료기를 사용하도록 권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의 기능 및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에 나타내는 각 블록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컴퓨터의 CPU를 비롯한 소자나 기계 장치로 실현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는데, 여기서는 이들 제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에 언급한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것이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설문 저장부(392), 기상 데이터 취득부(393), 조건 생성부(394), 무선 통신부(316) 및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30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도 2의 구성에서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설문 저장부(392)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답변 받기 위한 복수 개의 설문 및 설문에 대한 선택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아침에 일어나면 코가 막히나요?'라는 설문에 대해서, '예', '아니요', '자주 그렇습니다' 및 '종종 그렇습니다'와 같은 선택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기상 데이터 취득부(393)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기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취득되는 기상 데이터의 항목은 예를 들어 이하를 포함한다.
기상에 관한 항목: 운량, 강수량, 풍향, 풍속, 기온, 습도, 일조 시간, 강설량, 기압.
환경에 관한 항목: SO2(이산화유황), NO(일산화질소), NO2(이산화질소), NOX(질소산화물), CO(일산화탄소), OX(광화학 옥시던트), NMHC(비메탄 탄화수소), CH4(메탄), THC(전탄화수소), SPM(부유 입자상 물질), PM2.5(미소 입자상 물질), SP(부유 분진), 황사, 삼목 화분(cedar pollen), 회목(檜木) 화분, 화산재, UV(자외선), 꽃가루.
취득되는 기상 데이터의 시간 간격은 예를 들어 분 단위, 시간 단위,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이다.
조건 생성부(394)는 사용자에 대한 질환 정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확인 설문을 보내기 위한 조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비염 질환에 대한 원인으로 '꽃가루'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꽃가루가 소정 기간 동안 지속되는지 여부를 조건으로 설정하여, 조건 부합 여부에 따라 확인 설문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부(316)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기상 데이터 서버(101),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 및 이동 단말기(103)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예시로, 무선통신부(316)는 네트워크(11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3)에 설문에 대한 요청을 하고 답변을 회신 받거나, 확인 설문을 요청하고 답변을 회신 받을 수 있다.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306)는, 이동 단말기(103)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설문 및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초하여 질환 정보를 생성 및 생성된 질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킨다. 또한, 이하에서 후술되는 확인 설문에 기초하여 기존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질환 정보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수정)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의 경우는 민감한 개인정보이기 때문에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 받는 것이 개인정보 보호법에 저촉될 것이다. 이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질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고, 이에 기초하여 예방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별로 질환 정보에 대한 입력을 수신해야 한다.
하지만, 개개인별로 정확한 질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쉽지 않다. 왜냐하면 1) 사용자에게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2) 질환의 원인이 다양하기도 하며 3) 사용자가 직업 입력한 피드백은 객관성이 다소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환자가 자신의 질환 정도를 6레벨 정도라고 피드백하였는데, 실제로는 더 심한 10레벨일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1) 일시적으로 질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질환 정보에 대한 설문을 제공 및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2) 사용자가 입력한 질환 정보가 맞는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질환 정보를 취득하도록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1000)의 제어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인터페이스(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설문-답변 트리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103)는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로부터 요청이 수신(S301)되면, 대화형 인터페이스(400)를 통하여 설문을 출력(S302)한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3)는 대화형 인터페이스(400)를 통하여 제 1 설문(401-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 받을 수 있도록, 출력되는 제 1 설문(401-1)에 대한 복수 개의 답변 항목(402)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답변 항목(402) 중에서 어느 하나(402a)를 선택하면, 선택된 항목(402a)이 답변으로 입력될 수 있다. 답변으로 입력된 항목(402a)은 대화형 인터페이스(400)의 제 1 답변(403-1)으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은, 사용자가 앞선 설문에서 답변한 내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즉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설문이 동일한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앞선 설문의 답변에 따라서 뒤의 설문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는 질병의 원인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개괄적인 질문에서부터 세부 질문으로 진행하여 효과적으로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답변(403-1)으로 '자주 그렇습니다'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 2 설문(401-2)으로 '최근 침구 세탁은 언제인가요?'가 선택되어 다음 설문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선택 및 출력되는 제 2 설문(401-2)은, 제 1 답변(403-1)에 의해 결정된 설문이다. 답변에 의해서 다음 설문이 결정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답변에 따라 달라지는 설문(설문-답변 트리)의 일예시를 도시한다. 상술한 제 1 설문(403-1)에 대응하여 '예'가 제 1 답변(403-1)으로 입력될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최근 침구 세탁이 언제인가요?'라는 제 2 설문(403-2)을 출력하게 되지만, '아니오'가 제 1 답변(403-2)으로 입력될 경우 제 3 설문(403-2)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예시로, 상기 제 2 설문(401-2)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제 2 답변(403-2)으로 '2달 정도 되었습니다'를 입력할 경우, 그 다음 설문으로 제 5 설문(403-5)인 '침구 세탁 직후에도 코가 막히던가요?'가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설문-답변 트리의 다른 예시로서, 제 1 내지 제 4 설문(403-1 ~ 403-4)에 대한 답변에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설문(403-1 ~ 403-4) 중에서 일부가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예시일 뿐, 사용자의 비염 증상 및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설문-답변 트리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설문-답변 트리를 거치게 되면, 사용자의 비염 원인을 개략적으로 판단(410)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의 순서도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3)를 통하여 입력 받은 설문 답변을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에 전달(S304)한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전달 받은 설문 답변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질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획득한 질환 정보를, 사용자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S305) 한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질환 정보로, 꽃가루 및 집먼지 진드기가 비염 발생 원인이고, 만성 비후성 비염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질환 정보는, 가능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로 저장되도록 제안한다. 즉, 상술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문을 통하여, 원인 항목에 대한 레벨을 판단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꽃가루가 비염의 원인이 되는 정도를 1 ~ 5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설문과 답변에 기초하여 1 ~ 5 레벨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이때 1 레벨은 '꽃가루가 확실하게 비염의 원인 아닌 경우'이고, 2 ~ 4 레벨로 높아질 수록 비염의 원인이 되는 가능성의 정도가 높아지며, 5 레벨은 '꽃가루가 확실하게 비염의 원인인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아래 표 1은 질환 정보의 일 예시이다.
Figure 112020123200183-pat00001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정 사용자에 대한 질환 정보를 저장하는데 있어서, 확실한 경우(1레벨이나 5레벨)와 확실하지 않은 경우(2 ~ 4 레벨)을 구분하고,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후술하는 검증 과정을 거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답변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검증 과정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 만약 정확하다고 판단된다면, 굳이 별도의 검증이 필요 없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의 조건 생성부(394)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저장된 질환 정보 중에서 불명확한 정보를 검증하기 위한 조건을 생성(S306)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건이란, 사용자에게 확인 설문(검증 설문)을 보내기 위한 조건으로 기상 데이터에 관한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에 대한 원인 항목으로 '꽃가루'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상술한 1 ~ 5 레벨 중에서 중간인 3레벨)라고 가정하면, '꽃가루가 3일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가 해당 특정 사용자에 대한 조건으로 생성될 수 있다. 만약 해당 특정 사용자에 대한 비염 원인으로 '꽃가루'가 맞다면, 3일 이상 지속에 따라 비염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해당 특정 사용자에 대한 비염 원인으로 '꽃가루'가 아니라면, 3일 이상 지속되는 꽃가루 환경에서도 비염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조건에 부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수신(S307) 받을 수 있다. 기상 데이터 서버(101)는, 일회적 혹은 주기적으로,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와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에게 기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조건에 부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S308)하고, 부합되었다면 이동 단말기(103)에 확인 설문을 요청(S309)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 기상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꽃가루가 3일 이상 지속'되었다면, 조건에 부합된 것으로 판단하고 확인 설문을 요청(S309)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단말기(103)는 S309 요청에 대응하여 다시 상술한 대화형 인터페이스(400)를 통하여 확인 설문에 대한 답변을 수신(S310 및 S311)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3)는 수신 받은 답변을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에 전달(S312)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인 설문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확인 설문은, 도 7의 '최근 2 ~ 3일 내에 코막힘 증상이 심해졌나요?'라는 질문(701)과 같이, 사용자의 질환 악화 여부나 악화 정도를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질환이 악화되었다면 해당 원인 항목이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원인 항목에 대한 레벨을 상향조정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질환이 악화되었지 않았다면, 해당 원인 항목에 대한 레벨을 하향조정 시킬 수 있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수신 받은 답변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수정(S313)한다.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원인 항목에 대한 레벨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예시에서, 최근 2 ~ 3일 동안 지속되는 꽃가루로 인하여 비염 증상이 악화되었다면, 꽃가루에 대한 원인 항목을 3레벨에서 4레벨로 상향조정 시키도록 데이터 베이스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는 S305에서 데이터 베이스화 한 정보와 S313에서 수정한 정보를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에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예방 정보 제공 서버(102)는 질환 정보 DB화 서버(100)로부터 제공 받은 질환 정보 및 기상 데이터 서버(101)로부터 제공 받은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예방 정보를 생성(S314)할 수 있다.
이때 예방 정보란, 질환 악화를 경고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의 질환 정보에 기초하였을 때 현재 기상 상태가 비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지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가능성이 높다면 예방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3)에 제공(S315)해 줄 수 있다. 만약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꽃가루'의 원인 항목이 4레벨 이상이라면, '꽃가루'가 많은 계절에 사용자에게 예방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질환 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질환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환 관련 설문을 통하여 질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는, 명확도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로 구분되고,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 중에서,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 정보의 불명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
    기상 데이터 서버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수신 받은 기상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반하여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상향조정 또는 하향조정 시키도록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되는 설문은 사용자의 질환 악화 여부를 물어보는 질문을 포함하고,
    상기 업데이트 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의 내용이,
    질환이 악화되었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상향조정하고,
    질환이 악화되지 않았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하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되는 질환 정보는,
    비염 질환 및 천식 질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1 설문이 출력되면,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복수 개의 답변 항목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답변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이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답변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문에 대하여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변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로부터 질환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질환 관련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질환 정보를 저장하는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는, 명확도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로 구분되고,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 중에서,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 정보의 불명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조건을 생성하는 조건 생성부;
    기상 데이터 서버로부터 기상 데이터를 수신 받는 기상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수신 받은 기상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공되는 설문은 사용자의 질환 악화 여부를 물어보는 질문을 포함하고,
    상기 질환 정보 데이터 베이스는 설문에 대한 답변의 내용이,
    질환이 악화되었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상향조정하고,
    질환이 악화되지 않았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하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되는 질환 정보는,
    비염 질환 및 천식 질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정보의 수집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출력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 1 설문이 출력되면,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복수 개의 답변 항목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답변 항목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항목이 상기 제 1 설문에 대한 답변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문에 대하여 답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변에 기초하여 제 2 설문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설문 및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에 기초하여 수집된 질환 정보를 저장하는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문을 출력하고 답변을 입력 받기 위한 이동 단말기;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답변에 기초하여 사용자 각각에 대한 질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질환 정보 DB화 서버; 및
    기상 데이터를 상기 질환 정보 DB화 서버에 제공하는 기상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는, 명확도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로 구분되고,
    상기 질환 정보 DB화 서버는,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 중에서, 소정 레벨에 해당하는 질환 정보의 불명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조건을 생성하고,
    상기 제공 받은 기상 데이터가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생성된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질환 정보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설문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제공되는 설문은 사용자의 질환 악화 여부를 물어보는 질문을 포함하고,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의 내용이,
    질환이 악화되었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상향조정하고,
    질환이 악화되지 않았다는 답변이면, 상기 수집된 질환 정보의 레벨을 하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어 있는 질환 정보 및 상기 기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예방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하는 예방 정보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정보 DB화 시스템.
KR1020200153818A 2020-11-17 2020-11-17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54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6201 WO2022107902A1 (ko) 2020-11-17 2020-11-17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0200153818A KR102548726B1 (ko) 2020-11-17 2020-11-17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18A KR102548726B1 (ko) 2020-11-17 2020-11-17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284A KR20220067284A (ko) 2022-05-24
KR102548726B1 true KR102548726B1 (ko) 2023-06-28

Family

ID=8170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18A KR102548726B1 (ko) 2020-11-17 2020-11-17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8726B1 (ko)
WO (1) WO20221079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7710A (ja) * 2008-04-08 2009-10-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花粉症状診断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10B1 (ko) * 2013-12-24 2020-06-23 주식회사 케이티 지리정보를 활용한 알러진 지도의 구축 및 활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484344A1 (en) * 2016-07-14 2019-05-22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sthma symptoms
KR101931518B1 (ko) * 2017-03-31 2018-12-21 (주)에코브레인 사용자 맞춤형 의료기상정보 제공시스템
JP7025131B2 (ja) * 2017-05-26 2022-02-24 一般財団法人日本気象協会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方法および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7710A (ja) * 2008-04-08 2009-10-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花粉症状診断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142568B1 (ko) * 2011-09-26 2012-05-08 주식회사 페모지아 쌍방향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정보 통합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7902A1 (ko) 2022-05-27
KR20220067284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ix Mobile sensing in environmental health and neighborhood research
Núñez-González et al.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of the built environment's effects on mental health
EP3756344B1 (en) Connected kiosk for the real-time assessment of falls risk
Schminkey et al. Handling missing data with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techniques
WO2007005622A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individual healthfulness and for providing health-enhancing behavioral advice and promoting adherence thereto
JP7025131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端末、方法およびサーバ
Landon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 compensation strategies and the intensity of care delivered to Medicare beneficiaries
Feng et al. Dental workforce availability and dental services utilization in Appalachia: a geospatial analysis
Dickinson et al. Prices, peers, and perceptions (P3): study protocol for improved biomass cookstove project in northern Ghana
Coffman et al. Testing the Validity of Primary Care Physicians' Self‐Reported Acceptance of New Patients by Insurance Status
KR101575886B1 (ko) 개인화된 라이프 스타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2548726B1 (ko) 질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는 서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93433B1 (ko) 스마트폰 센서를 이용한 정신건강측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0320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online insurance application process
CN114580979B (zh) 高温防灾指数检测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Schusteff et al.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of outcomes in allergic rhinitis and chronic rhinosinusitis: A review
KR102560437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KR20140147168A (ko) 개인화된 라이프 스타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
Mehra Estimating the impact of a select criteria pollutant (PM2. 5) on childhood asthma in Florida
KR20140146748A (ko) 라이프 스타일 자율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04010B1 (ko) 일반화된 라이프 스타일 모델링 장치 및 방법
Döös The problem of predicting global food production
Karanth et al. Modeling User Context from Smartphone Data for Recognition of Health Status
Kähkönen et al. Internet questionnaire and real-tim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US20220165431A1 (en) Sleep disorder data fidelit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