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805B1 -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805B1
KR101234805B1 KR1020110062292A KR20110062292A KR101234805B1 KR 101234805 B1 KR101234805 B1 KR 101234805B1 KR 1020110062292 A KR1020110062292 A KR 1020110062292A KR 20110062292 A KR20110062292 A KR 20110062292A KR 101234805 B1 KR101234805 B1 KR 10123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health
patient
health record
terminal
hospi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500A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유디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8345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348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디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디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8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80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및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고, 상기 병원 단말기를 통하여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고,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갱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Description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snal Health Record}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기록(Persnal Health Record, 이하 PHR이라 칭함)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요청에 따라 PHR 데이터를 저장 및 송수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누구나 자신이 휴대하는 생활도구를 이용하여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자의 위치, 건강상태 등을 모니터링하고 개인화된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U-헬스케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U-헬스는 유비쿼터스 IT 기술과 센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보안 기술 등을 활용하여 예방, 진단, 치료 및 사후 관리 등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원격보건의료, e-Health 보다 넓은 개념의 서비스이며, 유·무선 정보통신 인프라와 건강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모든 보건의료 서비스를 포괄한다. 대표적인 u-Health 서비스로는 의료정보 온라인 제공, 원격 진료, 질병모니터링, 모바일 건강관리 등이 있다. PHR은 의료정보 온라인 제공의 한 방법으로 개인별 건강정보, 의료정보, 검사정보, 진료의뢰서 등을 저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된 건강관리와 진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최근 미국의 구글사는 구글헬스(Google Health)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구글헬스는 사용자 온라인 헬스 프로파일 생성, 의료기관으로부터 메디컬 기록 다운로드, 개인화된 건강 가이드와 관련 뉴스 제공, 질 높은 의사를 찾아주고 시간을 절약하는 서비스 제공, 가족이나 보호자간에 선택된 건강정보 공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병원별로 환자의 진료 기록을 DB화하여 관리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이나 병원간에 환자의 진료 기록을 교환하는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서비스가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EMR이나 EHR은 의사나 의료기관 중심의 서비스로 일반인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처럼 국내에는 아직까지 PH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데이터 표준이 마련되지 않았다. 또한 최근 여러 업체에서 PHR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PHR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이 상이함으로 인해, 서로 주고 받으려는 환자의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를 담은 PHR 파일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EMR이나 EHR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는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는 환자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으므로 환자는 오직 병원에서만 자신의 진료 기록을 활용하여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이 자신의 PHR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의료서비스 공급자에게 개인의 PHR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병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및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 단말기를 통하여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갱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및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파일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단말기와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접속 및 인증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와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고 요청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진료 내역이 추가된 상기 요청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 및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의료보험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의 단말기와, 상기 환자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에 새로운 진료 내역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병원의 단말기와,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보험 수가를 관리 및 지불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대한 가입 및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금융기관 서버와, 상기 병원의 단말기 및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며,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환자의 단말기 및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관리 센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환자가 언제든지 자신의 PHR을 열람할 수 있고, 만성 질병환자의 경우 과거 병력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의 이전 진단 결과를 열람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빠른 진료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여러 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차트를 복사해서 전달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개인별 PHR을 관리함으로써 만성질환의 관리 비용, 약물치료 비용 및 건강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과도한 의료기관 이용을 제어하고 마약류 의약품의 중복 처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PHR 관리센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서비스 이용시 단말기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들이 PHR 규격에 따라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PHR을 효과적으로 열람 및 분석할 수 있으며, 환자는 원하는 때에 어디서든지 자신의 PHR을 열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은 환자(110)와 PHR 관리센터(120), 병원(130), 금융기관(14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을 포함한다.
환자(110), 병원(130), 금융기관(14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은 PHR 통신 프로토콜을 준수하며, 각각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PHR 관리센터(120)와 연결된다. 도 1에서는 환자(110), 병원(130), 금융기관(14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가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직접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환자(110), 병원(130), 금융기관(14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과 PHR 관리센터(120) 사이에 인증을 담당하는 중계기를 두고 중계기를 통해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환자(110), 병원(130), 금융기관(14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은 먼저 중계기를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치며, 인증이 완료된 후에는 중계기를 통하지 않고 곧바로 PHR 관리센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환자(110)와 병원(130)은 각각 PHR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금융기관(140)과 협약을 맺고 아이디(ID)를 부여받는다. 이때 환자(110)는 금융기관(140)이 보유하고 있는 계좌번호 등을 이용하여 PHR ID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금융기관(140)는 새로운 ID 카드를 발급하거나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체크카드 또는 일반 신용카드)에 PHR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금융기관(140)은 PHR 관리센터(120), 병원(130) 및 국민건강보험공단(150)과의 통신을 통해 PHR 서비스와 관련된 환자(110)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주민번호, ID, 병록 번호 등)를 카드에 입력한다. 그러면 환자(110)는 PHR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병원(130)에서 진료를 받을 경우 병원별로 별도의 진료카드를 발급받지 않아도 되며, 해당 카드로 진료 접수와 진료비 수납을 할 수 있다.
금융기관(140)은 환자(110)가 PHR 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입된 환자 정보를 PHR 서비스에 가입된 병원(130)으로 전달하며, 환자(110)와 국민건강보험공단(150)으로부터 PHR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수수료를 징수한다. 이를 위해 금융기관(140)은 국민건강보험공단(150)과 정보가 연동되어야 한다. 또한 금융기관(140)는 수수료 징수를 담당하는 별도의 기관을 둘 수 있으며, 이 기관은 금융기관 공동 전산망과 연동된다.
병원(130)은 금융기관(140)으로부터 수신한 환자 정보를 내부 전산시스템에 저장하여 환자(110)가 해당 병원(130)을 방문하였을 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110)가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면 그 진료 기록을 PHR 형태로 작성하여 PHR 관리센터(120)로 전송하며, 환자(110)의 요청에 따라 ID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휴대폰, 스마트카드, 칩 임플란트 등의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해줄 수도 있다. 또한 환자(110)는 발급받은 PHR ID를 가지고 웹을 통해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할 수도 있고, 휴대폰이나 체크카드에 자신의 진료 기록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거리 통신으로 의사의 컴퓨터로 전송될 수 있고, 체크카드에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에는 의사의 컴퓨터에서 카드를 읽는 과정을 통해 의사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병원(120)은 환자(110)에 대한 진료를 마치고 처방전을 발급할 때, ID 카드에 직접 처방전을 입력해줄 수 있으며, 환자(110)는 약국(도시하지 않음)에서 조제시 ID 카드를 제시하여 처방전을 전달할 수 있다. 물론 ID 카드에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제비를 ID 카드로 지불할 수 있다. 이 경우 PHR 관리센터(120)는 약국(도시하지 않음)과도 유무선 통신망(160)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환자 개개인의 처방전 및 조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약국이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여 조제에 대한 승인을 받도록 함으로써 한 환자에 대해 마약 등의 처방이 여러 병원에서 중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약품에 대한 제고 관리도 가능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150)는 PHR을 위한 보험수가를 관리하며 환자(110)가 PHR 서비스를 이용하면 정해진 보험수가에 따라 병원(130)에 해당 비용을 지불한다.
PHR 관리센터(120)는 PHR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110)의 진료 기록을 PHR 형태로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진료 기록은 약물 처방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PHR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HR 정보는 환자이름, 생년월일, 성별 등의 개인 정보와, 종류, 데이터 등의 진료 기록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수술 정보, 약물 투약 정보, 질병에 대한 교육 컨텐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이름 홍길동
생년월일 1942년1월28일
성별 남자
종류 Brain CT
데이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 단계에서 PHR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110)가 PHR 서비스에 가입된 병원 1(131)에 방문하여 진료 요청을 하면, 202 단계에서 병원 1(131)은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거치고 203 단계에서 PHR 관리센터(120)로부터 해당 환자(110)의 PHR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PHR 데이터를 참조하여 환자(110)를 진료하고, 204 단계에서 그 진료 기록을 PHR 데이터 형태로 PHR 관리 센터(12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또한 환자(110)는 이후에 205 단계에서 PHR 서비스에 가입된 또 다른 병원 2(132)에 방문하여 진료 요청을 하면, 206 단계에서 병원 2(132)는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여 인증과정을 거치고 207 단계에서 PHR 관리센터(120)로부터 해당 환자(110)의 PHR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PHR 데이터에는 병원 1(131)에서의 진료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병원 2(132)는 수신한 PHR 데이터를 참조하여 환자(110)를 진료하고, 208 단계에서 그 진료 기록을 PHR 데이터 형태로 PHR 관리 센터(12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또한 환자(110)는 언제든지 PHR 관리센터에 접속하여 209 단계에서 인증 과정을 거친 이후에 210 단계에서 자신의 최신 PHR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204 단계와 208 단계 및 210 단계에서 환자(110)는 자신의 PHR 데이터를 ID 카드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후 병원 진료시 ID 카드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된 PHR 데이터를 의료진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PHR 관리센터(120)는 병원에서 전송된 환자의 의료 데이터가 PHR 형식의 파일이 아닌 제이펙(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이하 JPEG이라 칭함), 지아이에프(Graphics Interchange Format, 이하 GIF라 칭함), 윈도우 비트맵 그림 파일(이하, BMP라 칭함), 티프(Tag Image File Format, 이하 TIFF라 칭함)와 같은 일반 이미지 파일인 경우에도, PHR 데이터 통신 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환자의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 중 PHR 관리센터(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HR 관리서버(120)는 인증모듈(121), 데이터 관리모듈(122), 헤더 스캔모듈(123), 동기화모듈(124), 의료보험 관리모듈(125) 및 제어모듈(126)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환자(110)와 병원(130)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등의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해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고, PHR 관리센터(120)에 저장된 PHR 형식의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데 인증모듈(121)은 이러한 인증 과정을 제어한다.
또한 인증모듈(121)은 보안 인증 메시지를 통해 환자(110) 또는 병원(130)의 단말기가 PHR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이하 DB)에 엑세스(Access)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PHR 관리센터(120)에 접속하는 환자(110) 및 병원(130) 단말기를 ID별로 누적 관리하여 각 사용자의 사용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인증모듈(121)이 PHR 관리센터(12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브라우저 없이 자체 브라우저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예를 들어, 브로커) 별도의 서버에 존재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 모듈(122)은 환자(110)의 PHR 데이터의 송수신을 관리한다. 즉, 병원(130)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DB(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환자(110)의 PHR 데이터를 병원(130)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환자(110)의 요청에 따라 DB에 저장된 환자(110)의 PHR 데이터를 환자(110)의 단말기, ID 카드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로 전송한다.
PHR 헤더 스캔 모듈(123)은 PHR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해당 PHR 헤더 파일의 소정의 부분을 스캐닝 및 체크한다.
일반적으로 PHR 헤더 파일은 100만개 이상의 항목을 담고 있고, 종래에는 이러한 PHR 파일을 주고 받을 때 PHR 헤더 파일을 풀 스캔(Full Scan)하였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환자 (110)와 병원(130)의 단말기에 설치된 PHR 소프트웨어의 벤더(Vendor)가 각각 다른 경우 100만개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는 헤더 파일을 스캔하는 중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전송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PHR 헤더 스캔 모듈(123)을 통해 PHR 통신 시 필수적인 소정의 항목만을 스캔 및 체크하도록 하고, 나머지 항목들은 스캔하지 않고 스킵(Skip)하도록 함으로써 PHR 통신 프로토콜을 준수하면서도 빠른 PHR 파일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필수적인 소정의 항목이란 Patient ID, Modality, Study Date, Series Number, Image Number 등을 포함하며 상술한 항목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PHR 통신 시 필수적인 소정의 항목만을 스캔하도록 하고, 그 나머지 항목들은 스킵(Skip)하도록 함으로써 각각 다른 벤더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필수적인 소정의 항목만을 스캔하기 때문에 풀 스캔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하여 각각 다른 벤더 제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PHR 헤더 스캔 모듈(123)은 환자의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가 PHR 형식의 파일이 아닌 JPEG, GIF, BMP, TIFF와 같은 일반 이미지 파일인 경우, PHR 형식으로 변환하여 환자의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동기화 모듈(124)은 PHR 헤더 스캔 모듈(123)에서 소정의 항목을 체크한 결과를 DB와 해당 PHR 헤더 파일에 추가로 저장하여, PHR 통신 시 PHR 관리센터(120)에 저장된 DB와 환자(110) 또는 병원(130)의 단말기에서 송수신하는 PHR 헤더 파일을 동기화한다.
의료보험 관리 모듈(125)은 PHR 데이터를 이용한 진료내역 및 약물 처방 내용을 국민건강보험공단(150)에 통보하고, PHR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에 대한 청구 및 결재를 담당한다. 또한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기능을 포함하는 ID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진료비나 약물 조제비에 대한 지출 내역을 ID 카드를 발급한 금융기관(140)에 통보한다.
제어모듈(126)은 인증모듈(121), 데이터 관리모듈(122), 헤더 스캔모듈(123), 동기화모듈(124), 의료보험 관리모듈(125)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에서 PHR 관리센터(12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PHR 관리 센터(12)의 인증모듈(121)은 40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병원(130)의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아서 이를 처리한다. 환자(110)가 ID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병원(130)의 단말기에 연결된 카드 리더기를 통해 ID 카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후 402 단계에서 병원(130)의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PHR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으면, 403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ID를 확인하여 PHR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데이터 관리 모듈(122)은 DB로부터 해당 환자의 PHR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병원(130)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403 단계에서 환자의 ID를 확인한 결과 해당 ID가 PHR 서비스 가입자 목록에 없거나, 404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PHR 데이터를 검색한 결과 DB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으면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시지를 병원(130)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병원에서 환자의 진료가 끝나면, 405 단계에서 데이터 관리 모듈(122)은 병원(130)의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진료 내용이 추가된 PHR 데이터를 수신하며, 406 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로 DB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PHR 데이터를 갱신한 후 이를 저장한다. 405 단계에서 수신된 PHR 데이터는 추후에 조회가 가능하도록 동기화 모듈(125)에 의해 동기화되어 DB에 저장된다.
또한 405 단계에서 PHR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환자의 PHR 데이터는 PHR 헤더 스캔 모듈(123)에서 소정의 헤더만을 스캐닝 및 체크하고, 체크 결과 이상이 없으면 환자의 PHR 데이터가 DB에 저장되고 이상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시지를 병원(130)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HR 헤더 스캔 모듈(123)은 환자의 의료 데이터가 PHR 형식의 파일이 아닌 JPEG, GIF, BMP, TIFF와 같은 일반 이미지 파일인 경우, PHR 형식으로 변환하여 DB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HR 관리 시스템에서 PHR 관리센터(12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PHR 관리 센터(120)의 인증모듈(121)은 501 단계에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환자(110)의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받아서 이를 처리한다. 환자(110)가 ID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110)의 단말기에 연결된 카드 리더기를 통해 ID 카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후 502 단계에서 환자(110)의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PHR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으면, 503 단계에서 데이터 관리 모듈(122)은 DB로부터 해당 환자의 PHR 데이터를 검색하여 이를 환자(110)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501 단계에서 환자의 ID를 확인한 결과 해당 ID가 PHR 서비스 가입자 목록에 없거나, 503 단계에서 해당 환자의 PHR 데이터를 검색한 결과 DB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으면 이에 해당하는 알림 메시지를 환자(110)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환자(110) 또는 병원(130)의 단말기에서 PHR 관리 센터(1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이용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병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및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병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 단말기를 통하여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갱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가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와 병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병원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의 헤더 파일의 일부분을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헤더 파일에 추가하여 상기 저장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와 상기 헤더 파일을 동기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개인 건강 기록 파일 형식이 아닌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개인 건강 기록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6.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서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및 인증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파일 전송을 요청받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방법.
  7.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단말기와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접속 및 인증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와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 전송을 요청받고 요청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진료 내역이 추가된 상기 요청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과,
    상기 환자의 단말기 및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의료보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와 병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되는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의 헤더 파일의 일부분을 체크하는 헤더 스캔 모듈과,
    상기 저장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와 상기 헤더 파일을 동기화하는 동기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모듈은,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개인 건강 기록 파일 형식이 아닌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개인 건강 기록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장치.
  12. 개인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의 단말기와,
    상기 환자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에 새로운 진료 내역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병원의 단말기와,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보험 수가를 관리 및 지불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대한 가입 및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금융기관 서버와,
    상기 병원의 단말기 및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을 허가하며,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환자의 단말기 및 상기 병원의 단말기에 대한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이용 내역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통보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관리 센터를 포함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는,
    상기 병원의 단말기 또는 환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요청된 환자의 최근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는,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갱신된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터는, 상기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와 병원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16. 삭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기관 서버는, 상기 환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 건강 기록 서비스에 가입된 환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상기 관리 센터와 상기 병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의 단말기 또는 상기 환자의 단말기는, 상기 관리 센터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개인 건강 기록 데이터를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KR1020110062292A 2011-06-27 2011-06-27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3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92A KR101234805B1 (ko) 2011-06-27 2011-06-27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292A KR101234805B1 (ko) 2011-06-27 2011-06-27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00A KR20130001500A (ko) 2013-01-04
KR101234805B1 true KR101234805B1 (ko) 2013-02-20

Family

ID=47834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29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4805B1 (ko) 2011-06-27 2011-06-27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21B1 (ko) 2020-11-25 2021-10-07 (주) 위너메디 간호 emr 프로그램에서 환자사례를 이용한 간호차팅 실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4579B2 (en) 2008-10-13 2013-10-08 Fht, Inc. Management, reporting and benchmarking of medication preparation
BR112015009108A2 (pt) 2012-10-26 2017-07-04 Baxter Corp Englewood sistema para o gerenciamento da preparação de uma dose médica, e, método para processar e capturar dados de imagem de preparação de uma dose médica
NZ707430A (en) 2012-10-26 2016-04-29 Baxter Corp Englewood Improved work station for medical dose preparation system
NZ727697A (en) * 2014-06-30 2022-05-27 Baxter Corp Englewood Managed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US11575673B2 (en) 2014-09-30 2023-02-07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Central user management in a distribut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1107574B2 (en) 2014-09-30 2021-08-31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Management of medication preparation with formulary management
US10446274B2 (en) 2014-11-25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n healthcare apparatus and method
US10818387B2 (en) 2014-12-05 2020-10-27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Dose preparation data analytics
EP3265989A4 (en) 2015-03-03 2018-10-24 Baxter Corporation Englewood Pharmacy workflow management with integrated alerts
KR101708774B1 (ko) 2016-05-27 2017-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363627B1 (ko) * 2018-12-21 2022-02-16 강지영 진료 데이터 통합 관리시스템
KR102261680B1 (ko) * 2019-11-01 2021-06-08 주식회사 씨소프트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30A (ko) * 2001-01-02 2002-07-12 노환규 개인 병력 관리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의료 상담 서비스및 진료 정보 제공 방법
KR20040073662A (ko) * 2003-02-14 2004-08-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의료용 전자 카드, 의료용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340A (ko) * 2008-10-14 2010-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건강정보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30A (ko) * 2001-01-02 2002-07-12 노환규 개인 병력 관리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의료 상담 서비스및 진료 정보 제공 방법
KR20040073662A (ko) * 2003-02-14 2004-08-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의료용 전자 카드, 의료용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0162A (ko) * 2004-11-30 2006-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1340A (ko) * 2008-10-14 2010-04-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건강정보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21B1 (ko) 2020-11-25 2021-10-07 (주) 위너메디 간호 emr 프로그램에서 환자사례를 이용한 간호차팅 실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00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805B1 (ko)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265954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8321239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US20030177033A1 (en) Method of internet-based medical record database configuration and system thereof by mutual certification between patient and doctor
BRPI0717818A2 (pt) Sistema de segurança para registros médicos; método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e sistema para acesso seguro dos registros médicos.
US20140278532A1 (en) Payment Request-Triggered, Pull-Based Collec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KR20050051953A (ko)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2129265A1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KR100750071B1 (ko)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KR20170022007A (ko) 건강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57866B1 (ko) U-의료센터를 이용한 원격의료시스템
WO2009132434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atient-driven electronic health records
JP2002117152A (ja) 遠隔医療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遠隔医療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5818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3806B1 (ko) 개인 건강 기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200118656A1 (en) Systems for validating healthcare transactions
CN113611384B (zh) 一种医疗机构端就诊数据自查自纠的方法和系统
KR20130001539A (ko) 개인 건강 기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 진단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371738B1 (ko) 약품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114187A (ko)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방문진료 전자처방전 서비스 시스템
US20210335468A1 (en) Electronic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mmendating pharmacy stores all suitable drug products and methods thereof
KR100441592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US20190139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lling healthcare services
KR101686854B1 (ko) 개인 건강 기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의료 데이터 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PJ0202 Trial for correc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70320

Request date: 20160118

Appeal identifier: 20161050000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05;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703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60118

Decision date: 20170320

Appeal identifier: 2016105000005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704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