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023A -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023A
KR20190031023A KR1020170118829A KR20170118829A KR20190031023A KR 20190031023 A KR20190031023 A KR 20190031023A KR 1020170118829 A KR1020170118829 A KR 1020170118829A KR 20170118829 A KR20170118829 A KR 20170118829A KR 20190031023 A KR20190031023 A KR 20190031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medical institution
user
insu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444B1 (ko
Inventor
임영관
Original Assignee
임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관 filed Critical 임영관
Priority to KR102017011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4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외국인 환자에게 의료기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의료서비스 이용 시 의료기관 및 보험회사와의 절차를 대행하여 외국인 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중소규모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절차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Medical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외국인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의료서비스산업은 높은 고용창출 가능성과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 창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의 일환으로 의료관광산업을 선정하고, 2009년 5월 의료법 개정으로 외국인환자의 유치를 허용하여 이후 병원들의 외국인 환자 유치경쟁이 활발해졌다.
실제 외국인 환자의 유치 실적을 보면 2009년 60,201명, 2010년 81,789명, 2011년 122,297명, 2012년 159,464명, 2013년 211,218명, 2014년 266,501명, 2015년 296,889명, 2016년 364,189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2011년 기준 1886개 의료기관 및 209개 유치업체가 외국인환자 유치사업기관으로 등록되어 활동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외국인에 대한 의료산업은 의료관광 즉, 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국내 관광 또는 의료 목적으로 방문하여 의료기관이나 요양시설, 휴양시설 등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건강을 회복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성형외과 중심의 미용목적 관광과 이를 홍보하는 마케팅 위주의 유치활동이 지배적이다.
한편, 전술한 의료관광 이외의 국내 체류중인 200만 명에 달하는 외국인 환자의 유치는 아직 만족할 만한 성장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주된 요인은 정보의 부족, 중소규모 의료시설의 외국인 환자 대응 시스템 부재, 복잡한 행정절차, 성형 등 미용위주의 마케팅, 의료기관이 자체 제작한 마케팅용 콘텐츠의 신뢰성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외국인이 국내보험회사로부터 보험금을 환급받기 위해서는 초진차트, 진료기록지, 의료비 영수증, 약 값 영수증, 외국인등록증 사본 또는 여권 사본을 보험사에 제출해야 하는데,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이 중소규모의 병원에서 전술한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전문 통역사나 번역 서비스를 갖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중장기간 체류중인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하여 의료 서비스 제공 수준에 따른 전문화, 고객 욕구 충족을 위한 차별화 등 적극적 전략이 필요하고, 외국인 유치 관련 전문 인력확보 및 육성 등 인프라 구축이 요망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2011-0095115호에 인터넷망을 이용한 국내 및 해외 의료관광 서비스 및 의료관광 상품 판매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 1397128호에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다만, 중소규모 의료시설의 외국인 전담 부서 배치의 어려움,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의 국내 일반의료 서비스 이용 시 언어소통 및 복잡한 절차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국내공개특허 2011-0095115호 국내등록특허 1397128호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인 환자에게 의료기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의료서비스 이용 시 의료기관 및 보험회사와의 절차를 대행하여 외국인 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중소규모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절차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 및 통역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자가진단차트 및 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 가능한 보험혜택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하는 비용처리부; 및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하는 보험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용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절차처리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 및 통역자 정보를 번역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신원확인부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신원확인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비용처리부가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하는 단계; 및 보험처리부가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용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정산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국인 환자에게 의료기관의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의료서비스 이용 시 의료기관 및 보험회사와의 절차를 대행하여 외국인 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중소규모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단계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단계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사용자 단말(10), 의료기관 시스템(20) 및 보험회사 시스템(30)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110), 정보처리 서버(120) 및 절차처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20)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30)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제1데이터베이스(111),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진료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제2데이터베이스(112) 및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제3데이터베이스(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여권사본, 통장사본, 신상정보, 개인정보제공동의에 관한 내용 등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정보는 진료과목, 위치정보, 병원시설, 병원 근처 음식점, 교통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보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정보, 보험 증권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용한 의료기관의 진단 및 치료내역으로 상기 사용자가 이용할 병원이나 보험회사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가입절차에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모국어로 변환될 수 있다.
정보처리 서버(1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10)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20)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한다.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은 상기 사용자의 주소 또는 거소를 중심으로 근거리 병원순서, 진료과목별 이용환자가 많은 병원순서, 외국인 환자들의 이용이 많은 병원순서 등으로 카테고리화 하여 제공될 수 있고, 각 의료기관의 병원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추천 의료기관 목록은 사용자의 모국어로 제공된 각종 증상이나 병명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해당 증상이나 질병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안과, 이비인후과, 내과 등)을 위주로 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증상이나 병명은 한국어로 전환될 수 있어 병원방문 없이 약국, 편의점 등의 일반의약품 구매장소에서 관련 의약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 이용시간,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자 단말(10)이 선택한 의료기관의 시스템(20)에 이를 송신하여 진료예약 절차가 진행된다. 또한,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하여 예약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정보처리 서버(120)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의 경우 모국어로 제공되는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예약절차로 인하여 쉽게 국내 의료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의료기관은 1,2차 의료기관인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국내 거주하거나 중장기 체류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일반의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1차 의료기관이란 30병상 미만을 갖춘 병원으로 환자가 외래 또는 1~2일 정도 입원으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경우 또는 2,3차 의료기관에서 진료 후 병세가 완화된 경우 이용가능한 의료기관이다. 2차 의료기관이란 30병상 이상을 갖춘 병원으로 진료과가 4개 이상이고 각 과별로 전문의를 포함한 의료기관이다. 3차 의료기관은 5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으로 진단과 치료의 난이도가 높고 치료에 세부 전문의들의 협진이 필요한 환자 등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처리 서버(120)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 또는/및 통역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와 함께 상기 자가진단차트를 수신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30)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차트는 사용자가 모국어로 제공된 자가진단차트를 통하여 스스로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병원 진료 과목을 선택하도록 도움을 주고, 수신한 상기 자가진단차트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보험혜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예약정보에 기재된 병원에 전달하여 구두진료에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국어로 작성한 자가진단차트는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병원 방문 후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문제로 발생하는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가진단차트는 진료를 원하는 부위, 증상의 종류 및 발현시기, 통증 강도, 복용중인 약품 등 구두진료에 필요한 정보를 세분화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모국어로 제공된 자가진단차트를 기록하여 구두진료에 필요한 사항을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료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한 통역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통역자를 대동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하여, 국내 의료진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외국인 환자의 국내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병원정보에 관한 제2 데이터베이스(112)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약정보의 진료과목과 의료기관을 기초로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외국인 환자의 이용 빈도를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 생성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국내거주 또는 국내 장기체류자를 대상으로 하는바 이들은 일반적인 의료보험 이외에 실비보험, 암보험 등의 특수보험에 가입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 서버는 보험회사로부터 받은 특수보험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모국어로 소개하고 가입절차를 대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보험상품에 대한 정보를 도식화하여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 서버(13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절차처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20)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30)과 수납절차를 처리하여 외국인 환자의 복잡한 행정절차를 대행한다. 따라서, 복잡한 절차와 언어 문제로 병원 방문을 꺼리거나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도 이를 받지 못하는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의 국내 의료 서비스 이용률을 높여 외국인 전담 부서를 배치하기 어려운 중소규모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절차처리 서버(130)는 신원확인부(131), 비용처리부(132) 및 보험처리부(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원확인부(131)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20)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다. 상기 진료정보는 환자의 신상정보, 진료과목, 진료 및 검사 내역, 가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초진차트, 진료기록지, 의료비 영수증, 약 값 영수증 등을 포함한다. 수신한 진료정보의 환자 신상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의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와 환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3자가 개입되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한다.
상기 비용처리부(132)는 상기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한다. 상기 보험처리부(133)는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보험처리부(133)는 사용자가 약국에서 제조받은 약품에 대한 청구서 또는 약 제조전을 받아 이에 대한 보험금 환급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용처리부(132)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을 한 후 병원비용을 지급하여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상기 절차처리 서버(131)는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정산부(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 환자의 보험금 환급절차를 대행하여 국내 의료 서비스 이용 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인 사용자의 단말에 사용자의 주소, 거소, 진료를 원하는 과목, 보험가입 여부 등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부는 이를 수신 및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정보처리 서버로부터 모국어로 번역된 추천 의료기관 목록, 자가진단차트 및 통역자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병원 예약정보 및 자가진단차트가 정보처리 서버로 송신되고, 정보처리 서버는 이를 데이터베이스부 및 예약된 의료기관의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상기 예약정보와 일치하는 병원에서 상기 개인정보와 일치하는 진료정보를 수신한 절차처리 서버는 환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진료비용을 지급하고,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여 보험금을 수령한다.
이후 보험금 중에서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하고 사용자에게 지급된다.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단계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a)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S110)하고 저장(S120)하는 단계, (b)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S130)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S140) 및 (c)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절차처리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단계(S150, S160, S170)를 포함한다.
(a)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S110)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S120)단계이고,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정보, 개인정보제공동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병원정보는 진료과목, 지도정보, 병원시설, 병원 근처 음식점, 교통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보험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정보, 보험 증권 등을 포함한다.
(b) 단계는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S130)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S140)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 단계이다.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은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주소 또는 거소를 중심으로 근거리 병원순서, 진료과목별 이용환자가 많은 병원순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예약정보에 기초하여 외국인 환자들의 이용이 많은 병원순서 등으로 카테고리화 하여 제공될 수 있고, 각 의료기관의 상기 병원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병원, 이용시간, 지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상용자 단말이 선택한 의료기관의 시스템에 이를 송신하여 진료예약 절차가 진행된다. 또한,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여 예약정보를 확인하는 한편 각 의료기관에 대한 외국인 환자의 이용 횟수 통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정보처리 단계는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의 경우 모국어로 제공되는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예약절차로 인하여 쉽게 국내 의료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 또는/및 통역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와 함께 상기 자가진단차트를 수신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차트는 사용자가 모국어로 제공된 자가진단차트를 통하여 스스로 상태를 파악하고 필요한 병원 진료 과목을 선택하도록 도움을 주고, 수신한 상기 자가진단차트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10)에 저장된 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보험혜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예약정보에 기재된 병원에 전달하여 구두진료에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국어로 작성한 자가진단차트는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병원 방문 후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문제로 발생하는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자가진단차트는 진료를 원하는 부위, 증상의 종류 및 발현시기, 통증 강도, 복용중인 약품 등 구두진료에 필요한 정보를 세분화하여 제공하고, 사용자가 모국어로 제공된 자가진단차트를 기록하여 구두진료에 필요한 사항을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료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한 통역자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통역자를 대동하고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하여, 국내 의료진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외국인 환자의 국내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c)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절차처리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절차처리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처리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c) 단계는 병원과 보험회사에 대한 절차를 대행하여 복잡한 절차와 언어 문제로 병원 방문을 꺼리거나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받지 못하는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의 국내 의료 서비스 이용률을 높이고 외국인 전담 부서를 배치하기 어려운 중소규모 의료기관의 외국인 환자 유치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d) 신원확인부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S310)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S320)하는 단계, (e) 상기 신원확인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비용처리부가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S330)하는 단계 및 (f) 보험처리부가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S340)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료정보는 환자의 신상정보, 진료과목, 진료 및 검사 내역, 의료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수신한 진료정보의 환자 신상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의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와 환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3자가 개입되어 생길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한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을 한 후 병원비용을 지급하여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정산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환자의 보험금 환급절차를 대행하여 국내 의료 서비스 이용 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S110)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S120)한다.
다음,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개인정보 및 병원정보를 기초(S210)로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생성(S220)하여 사용자 단말로 송신(S230)한다.
다음,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의료기관에 대한 예약정보를 수신(S240)하고 이를 의료기관에 전송 및 데이터베이스를 갱신(S250)한다.
다음,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S310)하면 신원확인부가 베이터베이스의 예약정보와 대비하여 신원확인(S320)과정을 거친 후 진료비를 지급(S330)한다.
다음, 베이터베이스의 보험정보를 기초로 보험회사 시스템에 보험금을 청구(S340)하여 이를 수령하고, 수수료를 제외(S350)한 나머지 잔금을 사용자에게 송금(S360)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 20 : 의료기관 시스템
30 : 보험회사 시스템 40 : 네트워크 망
100 :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부
111 : 제1 데이터베이스부 112 : 제2 데이터베이스부
113 : 제3 데이터베이스부 120 : 정보처리 서버
130 : 절차처리 서버 131 : 신원확인부
132 : 비용처리부 133 : 보험처리부
134 : 정산부

Claims (15)

  1.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 서버;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절차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되,
    상기 의료기관은 1, 2차 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는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와 함께 상기 자가진단차트를 수신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자가진단차트 및 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 가능한 보험혜택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하는 비용처리부; 및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하는 보험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사용자 단말, 의료기관 시스템 및 보험회사 시스템과 통신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개인정보,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병원정보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으로부터 보험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 및 상기 병원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예약정보를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다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진료가 완료되면 절차처리 서버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 및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수납절차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을 상기 개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서버가 상기 추천 의료기관 목록과 함께 진료 과목별 자가진단차트를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로 번역제공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의료기관 예약정보와 함께 상기 자가진단차트를 수신하여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에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신원확인부가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진료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개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신원확인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비용처리부가 상기 진료정보에 따라 비용을 지급하는 단계; 및
    보험처리부가 상기 보험정보, 상기 진료정보 및 상기 개인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보험회사 시스템과 보험금 수령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처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진료확인 후 비용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차처리 서버는 정산부가 상기 사용자에게 수수료 및 본인부담금을 제외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는 상기 사용자의 모국어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18829A 2017-09-15 2017-09-15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829A KR102004444B1 (ko) 2017-09-15 2017-09-15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829A KR102004444B1 (ko) 2017-09-15 2017-09-15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023A true KR20190031023A (ko) 2019-03-25
KR102004444B1 KR102004444B1 (ko) 2019-07-26

Family

ID=6590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829A KR102004444B1 (ko) 2017-09-15 2017-09-15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4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CN111986035A (zh) * 2020-08-31 2020-11-24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医保服务审核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90834B1 (ko) * 2021-04-08 2021-08-19 주식회사 트러스트 사용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추천 방법
KR102451369B1 (ko) * 2021-06-29 2022-10-06 강재원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627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테크노투어 의료 관광 서비스 시스템
KR20110095115A (ko) 2010-02-18 2011-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두루마리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74118B1 (ko) * 2009-09-03 2012-08-14 주식회사 하나은행 해외 환자와 국내 의료 기관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KR101397128B1 (ko) 2012-05-15 2014-05-27 최송운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8025A (ko) *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이안메드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3917B1 (ko) * 2016-01-05 2016-04-20 국수근 다국적 성형 수술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627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테크노투어 의료 관광 서비스 시스템
KR101174118B1 (ko) * 2009-09-03 2012-08-14 주식회사 하나은행 해외 환자와 국내 의료 기관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KR20110095115A (ko) 2010-02-18 2011-08-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두루마리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태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97128B1 (ko) 2012-05-15 2014-05-27 최송운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8025A (ko) *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이안메드 보험금 청구 시스템 및 방법
KR101613917B1 (ko) * 2016-01-05 2016-04-20 국수근 다국적 성형 수술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CN111986035A (zh) * 2020-08-31 2020-11-24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医保服务审核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90834B1 (ko) * 2021-04-08 2021-08-19 주식회사 트러스트 사용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추천 방법
KR102451369B1 (ko) * 2021-06-29 2022-10-06 강재원 스마트 앱을 이용한 비대면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444B1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ramanian et al. Cost and affordability of non-communicable disease screening, diagnosis and treatment in Kenya: Patient payments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US879314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mote diagnosis and prescription
Bagga et al. Medical tourism: treatment, therapy & tourism
Chiang et al. Special requirements for electronic health record systems in ophthalmology
CA2837188C (en) Patient-interactive healthcare system and database
US8670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healthcare open market exchange
US201201914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ealthcare services
US200600643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entr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healthcare services
KR102004444B1 (ko)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903130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and/or Healthcare-Related Information
US20120123891A1 (en) Professionally-qualified bidding system for a user seeking professional services
JP6830719B1 (ja) 高信頼データ取引システム、および高信頼データ取引方法
CA28849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orrelation of diagnosis and medication as part of qualifying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US20050108053A1 (en) Interactive internet medical pharmaceutical prescribing system
Fuchs Major concepts of health care economics
Hohmann et al. Medicare Annual Wellness Visits: a scoping review of current practice models and opportunities for pharmacists
US20150310573A1 (en) Providing healthcare solutions and workflow management
US11694249B2 (en) Prepaid bundled health, dental, and veterinary services with virtual payment distribution
US20050065816A1 (en) Healthcar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hin et al. Utilization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s in nonresidential foreign medical tourists visiting a Korean medicine hospital
Daniel et al. Retail health clinics: a policy position paper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US11288749B2 (en) Interactive algorithm for determining negotiated healthcare price rates
CN105210105A (zh) 用于解释医疗信息的系统和方法
Habicht et al. Estonia: health system summary, 2022
US11830052B2 (en) Prepaid bundled health, dental, and veterinary services with virtual payment distrib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