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679A -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679A
KR20010082679A KR1020010007642A KR20010007642A KR20010082679A KR 20010082679 A KR20010082679 A KR 20010082679A KR 1020010007642 A KR1020010007642 A KR 1020010007642A KR 20010007642 A KR20010007642 A KR 20010007642A KR 20010082679 A KR20010082679 A KR 20010082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prescription
information
pharmacy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592B1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박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남 filed Critical 박용남
Priority to KR10-2001-0007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5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 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의 시행시, 의사에 의한 환자진료 처방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진료 투약에 관련된 모든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국민보건 통계자료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원사 약국의 지리정보와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14)와, 상기 회원사 약국에 의약품을 납품하고 그 재고정보를 각 약국 단위로 관리하는 회원사 제약회사그룹 서버(18)와, 상기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과 제약회사그룹 서버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넷상에서 전자처방전 발행 및 접수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웹서버(10)와, 환자 진료후 인터넷을 통해 환자지정 약국 또는 거주지 최근접 약국으로 진료결과에 따른 전자처방전을 발행하는 병원단말기 그룹(13)과, 환자의 내방시 자신의 약국 고유등록번호로 전자처방 정보가 송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처방정보가 수신되어 있으면 해당 처방전에 따라 약품을 조제 투약하고 그 투약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약국단말기 그룹(12)과, 상기 약국단말기 그룹의 투약정보와 병원단말기 그룹의 진료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개인별 토탈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16)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자료의 요구 및 관리가 인터넷상의 서버에서 이루어지게되는데, 접근 허가를 주는 인증 부분에 있어서 본인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나 의료행위의 특성상 의사와 환자가 항상 만나야 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의료인이 인증등록 기관(RA; Registration Authority) 역할을 함으로써 환자 본인 확인을 하여 주며 인증 받은 환자는 차후 인터넷상에서의 새로운 주치의사 선임에 대한 인증 부여권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 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 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의약분업의 시행시 의사에 의한 환자의 진료처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지정 단골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진료 및 투약에 관련된 모든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국민보건 통계자료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분업 시행과 맞물려서 의사는 의약품에 대해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약품에 대해 처방전에 따른 조제 및 투약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의약분업 실행은 처방전 서류의 규격화 문제, 자료보관 문제, 처방전 전달에 따른 지리적 제한 및 시간적 제한 문제, 처방 내용의 정확한 전달 및 관리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시급한 과제이다.
의약분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진료환자, 의사, 약사 모두가 기존의 진료 및 투약절차보다 까다롭거나 불편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의약분업의 실시를 종이 처방전발행 형식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진료결과에 따른 투약의 신속성 및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없어, 환자, 의사, 약사간의 유기적이고 효과적인 진료 및 치료행위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의약분업 시행 시에는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사회현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대표격으로서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인터넷을 들 수 있다. 인터넷은 실시간 업무처리를 가능하게 하므로 의약분업에 있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처방전 전달과정의 신속 정확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의약분업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진료 처방전의 전자문서화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사는 환자의 진료만을 수행하여 처방전만을 발행하고 약사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조제 투약만을 수행하는 의약분업의 시행시, 의사에 의한 환자진료 처방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진료 투약에 관련된 모든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국민보건 통계자료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전 시스템의 구축에 필요한 재원을 합리적으로 조달할 수 있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약분업의 시행에 있어 약사와 의사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 의사의 처방행위 및 약사의 처방전 확인시 자연적인 광고소비를 통하여 그 이익이 직간접적으로 의사와 약사에게 되돌아가게 되고 또 광고주는 정확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맞춤광고를 내보낼 수있게 되는 양자 만족의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 시스템의 전체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에서 의사의 처방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에서 환자에 의한 단골약국지정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에서 약사에 의한 투약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사전결제에 따른 조제 및 투약 서브루틴의 흐름도이다.
※도면1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웹서버 11 : 인터넷 12 : 약국단말기그룹
13 : 병원단말기그룹(13-1 의사 처방용 단말기 13-2 환자용 단말기)
14 :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 15 : 병원데이타베이스시스템
16 :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 17 : 통계데이타베이스시스템
18 : 회원 제약회사그룹 서버
19 :광고서버 20 : 광고데이타베이스시스템 21 : 물류정보처리 시스템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진료의무기록의 데이터 베이스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진료의무기록을 이용한 진료 및 진료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는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에 대한 접근도이다.
<도면 7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0 : 서버 7-11 : 병원단말기1
7-12 : 병원단말기2 7-13 : 약국단말기
7-14 : 의사협 서버 7-15 : 약사협 서버
7-16 : 환자DB 7-17 : 의사DB
7-18 : 약사DB 7-19 : 환자
7-20,21 : 의사 7-22 : 약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원사 약국의 지리정보와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와, 상기 회원사 약국에 의약품을 납품하고 그 재고정보를 각 약국 단위로 관리하는 회원사 제약회사그룹 서버와, 상기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과 제약회사그룹 서버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넷상에서 전자처방전 발행 및 접수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웹서버와, 환자 진료 후 인터넷을 통해 환자지정 약국 또는 거주지 최근접 약국으로 진료결과에 따른 전자처방전을 발행하는 병원단말기 그룹과, 환자의 내방시 자신의 약국 고유등록번호로 전자처방 정보가 송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처방정보가 수신되어 있으면 해당 처방전에 따라 약품을 조제 투약하고 그 투약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약국단말기 그룹과, 상기 약국단말기 그룹의 투약정보와 병원단말기 그룹의 진료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개인별 토탈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인터넷상에 전자처방을 위한 홈페이지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웹서버(10)를 포함한다.
이 웹서버(10)에 의해 관리되는 전자처방 사이트에는 인터넷(11)을 통해 전국의 모든 약국단말기(12)들과 전국의 모든 병원단말기(13)들이 접속할 수 있으며, 시스템 운용상 필수적으로 병원단말기들과 약국단말기들은 회원사 등록을 한 후 고유번호를 부여받게 하고 이 고유번호를 통해 전자처방사이트에 실제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 고유번호는 의약분업 실행을 위한 전자메일주소가 될 수 있다.
상기 웹서버(10)는 전국의 회원사 약국의 지리정보와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14)와, 상기 회원사 약국에 의약품을 납품하고 그 재고정보를 각 약국 단위로 관리하는 회원 제약회사그룹 서버(18)와, 상기 약국단말기 그룹의 투약정보와 병원단말기 그룹의 진료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개인별 토탈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16)를 가진다.
또한 상기 웹서버(10)에는 전국의 회원사 병원의 정보를 저장하는 병원데이타베이스시스템(15)와 개인별, 지역별, 연령별 등으로 질환정보 및 투약 정보등 조합정보를 관리하고 저장하기 위한 통계데이타베이스시스템(17)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병원데이타베이스시스템(15)는 일반병원 외에 보건소 및 의원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10)는 의사의 전자처방전 발행시와 약사의 처방전 확인시 맞춤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광고서버(19)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광고서버는 광고데이타베이스시스템(20)를 가진다.
상기 회원 제약회사그룹 서버(18)는 광고서버(19)를 통해 자사광고를 수행할 수 잇게 구성하고, 또한 각 약국에서의 조제 투약에 따른 정보를 공유하여 자사의 물류공급 관리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물류정보처리시스템(21)을 연동시켜 구성할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에 기초한 전자처방 및 투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진료하여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투약 약제가 결정되면 병원단말기(13)를 통해 전자처방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환자에게 적합한 투약 처방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투약 처방정보 입력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의사가 투약을 위한 처방정보 입력시 자신이 결정한 약성분 또는 약종의 키워드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입력조건과 관련된 다수의 약품이 컴퓨터 모니터 상에 메뉴화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모니터 화면에 나타나게 되는 의약품종은 회원 제약회사에서 제조된 의약품종으로만 한정되고 비회원사 제약회사의 약품종에 대해서는 어떠한 정보도 표시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전자처방시스템의 구축에 참여한 제약회사와 참여하지 않은 제약회사와의 관계에 차등을 둠으로써, 초기에 많은 회원 제약회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의사에 의한 전자처방전 작성시 의사가 다수의 의약품종 메뉴화면에서 특정의 약품종을 선택하면 해당 약품종을 생산하는 제약회사의 상품광고가 표출되고 이 상품광고 시청에 대한 광고시청 수수료는 의사의 지정계좌로 자동이체 된다. 여기에서 상품광고에 대한 형식은 줄 광고, 전면 광고, 플래시광고 등 다양한 광고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의사에 의한 투약 처방이 결정된 후 환자가 자신의 단골약국이나 주거지에서최근접 약국을 지정하게 되면 의사는 웹서버(10)를 통해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14)를 불러들여 지정된 약국의 회원사 등록여부를 확인한 후 고유번호를 통해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환자에게 통보한다. 그러나 환자가 약국을 지정하지 않으면 웹서버(10)가 제공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을 가동하여 환자거주지에 최근접한 회원사 등록 약국을 서치하여 해당약국의 고유번호를 통해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그 결과를 환자에게 통보한다.
전자처방전 발행에 앞서, 병원단말기(13)측으로부터 처방전 인터넷 전송을 위한 단골약국선택 및 그 약국에 대한 일종의 전자메일 주소가 될 수 있는 회원사 약국고유번호 입력이 있으면, 웹서버(10)는 제약회사 그룹서버(18) 또는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14)를 조회하여 선택된 약국에 처방된 의약품 재고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조제할 의약품에 대해 재고가 있으면 다음 단계인 전자처방전 전송과정이 속행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약국의 재선택 요구를 통해서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실제로 환자에게 전자 처방전대로 조제 투약이 가능한 약국을 찾게 된다.
이러한 전자처방전 발행 과정에서 사전결제여부를 판단하여 신용카드나 현금을 이용한 사전 결제 시에는 전자처방과 동시에 해당약국에 사전조제를 의뢰하여, 약국을 방문한 환자의 전자처방전에 따른 조제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의사의 진료행위 및 전자처방 결과는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16)에도 전송 저장되어 차후 의사에 의한 환자의 과거 진료정보 확인 및 처방시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의사에 의한 모든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 및 투약 처방기록은 병원데이타베이스시스템(15)에 수록되어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병원 내방 환자에 대한 의사의 전자처방전은 전자처방전달 프로그램을 통해서 환자가 지정하였거나 그 환자가 이용하기에 편리한 약국의 단말기(12)로 전송되게 되며, 대상 환자가 지정된 약국을 방문하여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면 약국의 약사는 약국단말기(12)를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약국내방 환자에 대한 전자처방전에 따라 의약을 조제 투약하게 된다.
또, 진료 후 전자처방전 발행시 사전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즉시 지정된 약국으로 조제 및 투약을 위한 처방정보가 전자메일을 통하여 전송되게 되며, 이 경우 약국에서는 즉시 처방전에 따른 사전조제 작업을 수행하여 환자가 약국을 방문했을 때 바로 투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약국의 약사는 투약에 앞서, 내방환자의 신원을 정확히 판단할 의무가 지워지며, 약국단말기(12)에 뜬 전자처방 내용이 그 환자에 대해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체처방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처방권 행사 후에는 그 처방내용을 웹서버(10)에 업로드시켜야 한다.
또한, 회원사 약국에서 전자처방전에 따른 조제 및 투약시 그 수수료가 사전 결제된 상태이면 의료조합에 약품대금을 청구하고 약품 값에 대한 사전 결제가 없었으면 신용카드 또는 현금으로 결제 받게 된다. 의약분업에 따른 조제 및 투약 약제에 대한 결제는 신용카드조합과 물류사업기관과 의료보험조합과 의사협회와 유관기관 간의 협조에 따른 결제시스템의 통합을 통해 그 관리를 체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한 의약분업 실행은 모든 환자의 질환정보, 회원사 약국의 조제 및 투약정보, 회원사 병원의 진료정보가 웹서버(10)에 접속된 통계데이타베이스시스템(17)에 수록되게 되므로 이를 통하여 국민건강질환정보와 의료정보와 약제조제정보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정부의 대국민 보건정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웹서버(10)에는 시스템 구축 협찬사들의 그룹인 제약회사그룹서버(18)가 접속되어 있어 인터넷상에서의 전자처방에 따른 의약품의 소비상태 및 재고정보를 각 약국단위별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각 회원사 제약회사의 물류정보처리시스템(21)에 연동시켜 재고관리 및 약국들에 대한 제약납품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 시스템의 전체 실행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요청하게 되면 담당의사는 진료 후 본인 확인 과정을 거쳐 전자처방전을 작성한다. 작성된 전자처방전은 인터넷을 통해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에 기록하여 업데이트시킨 후 환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환자와 협의 된 지정약국에 해당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사전결제 여부를 확인한다. 환자가 사전결제를 승인하면 디지털화폐, 직불카드, 선불카드,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가동을 통해 사전결제를 집행하고 처방전의 즉시 조제오더를 해당 약국단말기에 지령한다.
이후, 환자가 지정된 약국을 방문하여 본인 확인 인증 과정과 투약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수행 후 사전 결제 여부에 따라 조제 및 투약과 함께 사전결제 또는 사후결제 방식에 따라 대금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에 기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의 운용과정에 있어 의사의 처방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의사에 의한 환자 진료후 처방전을 내기 위해 병원단말기를 인터넷상의 전자처방 사이트에 접속한 후 처방전작성 페이지를 선택한 다음 제약회사명이나 투약정보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면, 사전 등록된 시스템 구축사업에 참여한 협찬 제약회사의 목록 또는 협찬 제약회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제약만을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만일 의사의 처방전에 기록된 약품이 전자처방전 시스템 구축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제약회사의 약품이면 전자처방 불가를 표시하고 그 처방내용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환자를 통하거나 다른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지정된 약국으로 처방전을 발송한다.
의사에 의한 처방의약이 전자처방전 시스템 구축사업에 참여한 제약회사의 약품이어서 해당 의약이 병원단말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또는 전자처방전 시스템 구축사업에 참여한 제약회사들이 생산하는 당해 처방관련 모든 의약이 모니터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투약할 특정의 의약품목을 클릭하면, 해당약품 데이터가 처방데이터로 입력되고 동시에 해당의약 제조사의 약품 광고화면이 출력된다. 즉 약제선택 메뉴가 곧 해당 약제의 광고페이지 접근을 위한 검색어 기능을 수행하게 할수 있다.
이러한 광고화면출력은 제약회사입장에서 볼 때, 소비자인 의사에게 집중광고를 수행하게 되어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광고 소비에 대한 대가는 직간접적으로 당해 의약품을 진료 처방의약으로 결정한 의사에게 입력비용 등 보상으로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의사들의 전자처방전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낼 수 있다.
특히, 처방전 입력시의 제약회사 제품광고는 소비대상에 대한 맞춤광고 형식이므로 그 광고비 단가가 고 단가로 책정될 수 있어, 전자처방전 발행 의사는 그렇게 의도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약품광고 시청에서의 수입에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처방전 입력을 통해 발생되는 환자보건자료 축적 및 환자용 약제의 조제대기시간 감축 등의 효과는 의사에게 의료인으로서의 의무감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지며, 본 발명에 따른 광고수입을 통하여 의사의 처방전 입력의 수고에 대한 보상금의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의 광고형태는 컴퓨터 모니터 상의 화면의 하단 줄 광고, 처방의약 클릭시의 확장광고 또는 플래시광고 기법 등을 이용하여 표출시키게 되며, 이러한 광고시청에 대한 대가는 사전에 개설한 담당 진찰의사의 계정으로 현금 또는 사이버 포인트 형태로 자동이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의 운용에 있어 단골약국지정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의사에 의한 진료 후 처방내용을 결정하여 처방전을 작성하고 난 다음 환자에 의한 단골약국 지정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골약국의 지정이 있으면 전자처방시스템의 정식등록회원사 약국인지 여부와 해당 지정약국에 처방의약품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위 단계에서 조건이 만족되면 지정된 약국의 고유번호(전자메일주소)로 전자처방전을 발송하고 전자처방시스템의 등록회원사 약국이 아니거나 처방의약품의 재고가 없을 경우에는 다른 약국이나 인접 약국을 선택하여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이를 환자에게 고지한 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처방시스템에서 약사에 의한 투약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난 환자가 자신이 지정하여 전자처방전을 접수시킨 약국에 찾아가 처방의약의 조제를 요청하면 약국의 약사는 약국단말기를 전자처방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하여 처방 결과를 다운로드 받아 확인한 후 약국 방문자와 처방환자의 신원을 비교하여 동일인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진료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약국단말기를 통한 처방전 확인시, 의사에 의한 처방전 작성시와 같은 방식으로 제약회사 광고가 표출될 수 있다. 이때의 맞춤 광고(시청)소비에 대한 대가(현금 또는 사이버 포인트)는 의사의 계정을 통해 자동으로 이체 처리된다.
처방전 확인시 처방된 의약보다 더 나은 효능을 갖는 대체의약이 있거나 처방된 의약이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약사 자신의 판단에 따라 대체처방을 수행할 수 있다.
대체처방 수행후 그 사실을 전자처방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웹서버에 전송하고 종료한다.
도 6은 병원에서의 진료후 사전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의 조제 및 투약과정 흐름도이다.
먼저, 의사의 처방전 발행과 동시에 사전결제가 이루어지게 되면 지정약국의 단말기에는 사전결제 조제 메일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약사가 전자메일을 오픈하여 처방내용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의사에 의한 처방전 작성시와 같은 방식으로 제약회사 광고가 표출될 수 있다. 이때의 맞춤 광고(시청)소비에 대한 대가(현금 또는 사이버 포인트)는 의사의 계정을 통해 자동으로 이체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이때에도 처방전 확인시 처방된 의약보다 더 나은 효능을 갖는 대체의약이 있거나 처방된 의약이 환자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약사 자신의 판단에 따라 대체처방을 수행할 수 있다.
대체처방 수행후 그 사실을 전자처방 인터넷사이트를 통해 웹서버에 전송한다.
사전결제시 전자처방전에 따른 사전 조제 완료후 환자가 방문하면 환자의 신원을 확인한 다음 투약을 집행하는 것으로 종료한다.
이와 같은 모든 인터넷 상에서의 처방정보는 전부 온라인을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된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 통계데이타베이스시스템,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 병원데이타베이스시스템, 나아가서는 제약회사그룹 서버에도 제공되어 통계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기반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인터넷상에 전자처방을 위한 홈페이지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서버(7-10)를 포함한다.
이 서버(7-10)에 의해 운영되는 인터넷 사이트에는 전국의 모든 병원의 단말기(7-11,12)와 약국단말기(7-13)들이 접속하여 필요시마다 상기 서버(7-10)로부터 등록된 환자의 진료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환자등록 및 그 진료기록의 갱신정보를 업데이트 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서버(7-10)에는 위의 모든 약국단말기(7-13)나 병원단말기(7-11,12)들로 부터 전송된 특정환자의 최초의 진료 의무기록 또는 새로운 진료 의무기록을 저장하는 환자DB(7-16)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서버(7-10)에는 의사협회 서버(7-14)와 약사협회 서버(7-15)에 접속하여 이들 협회로부터 제공되는 등록의사 및 약사의 정보를 수시로 다운 받을 수 있게 구성하고, 이렇게 다운된 새로운 약사등록번호 및 의사등록번호는 각각 약사 DB(7-18)와 의사DB(7-17)에 저장되게 구성한다.
환자(7-19)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7-20)의 진료를 요청하게 되면, 의사는 그 환자를 진료하고 그에 따른 처방을 주게 된다.
처방에 따른 투약은 의약분업에 따라 약국으로부터 투약될 것이다.
이때 의사는 환자에게 진료기록을 제공할 의무가 주어지게 되므로 환자의 요구시 반드시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제공해야 하며, 환자(7-19)의 동의를 얻어 자신이 이미 작성한 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병원단말기(7-11)를 통해 서버(7-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사에 의한 진료기록의 전송에 앞서, 환자에 대한 인증은 의사가 하나의 등록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환자에 대한 인증은 환자 데이터 베이스의 진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서버(7-10)는 의사협 서버(7-14)와 약사협 서버(7-15)에 접속되어 각각의 협회로부터 등록된 의사의 정보와 등록된 약사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자신의 의사데이타베이스(7-17)와 약사데이타베이스(7-18)에 저장해 놓고, 각각의 병원단말기(7-11,12)의 의사(7-20,21)나 약국단말기(7-13)의 약사(7-22)들로부터의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요구가 있을 때 마다 이를 조회하여 인증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병원단말기(7-11)로부터 특정환자에 대한 진료기록을 등록하기 위해 해당 진료의사가 등록기관 인증을 요구하면 이를 확인 조회하여 승인 하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의사가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을 서버(7-10)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7-10)는 병원단말기(7-11)로부터 환자의 진료의무기록이 입력되면 이를 환자데이타베이스(7-16)에 저장한다.
환자데이타베이스(7-16)는 개인별로 관리 저장되며 최초 환자데이타베이스를 생성시킨 다음에는 이후의 모든 진료기록 또는 투약기록은 그 환자 회원의 계정에누적 기록된다.
그러므로 환자가 다른병원이나 주치의의 변경이 있게 될 경우라도, 해당 병원단말기(7-12)를 이용하여 그 환자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과거의 진료기록을 새로운 주치의 등이 열람해 볼수 있어, 중복진료및 중복검사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여기에서도 환자의 진료결과를 서버측에 전송하여 환자의 병력을 지속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약국에서도 내방한 환자의 과거 병력이나 진료결과 등을 약국단말기(7-13)를 이용하여 조회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투약정보가 등록기관으로서의 약사에 의해 작성되어 업로드 된다.
약사에 의한 투약정보와 의사에 의한 진료의무기록의 업로드는 법률적으로 의무를 지우게 하거나 일정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상을 실행하여 환자별 데이터 베이스 구축목표의 조기달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도8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을 통해 환자가 주치의를 선정하여 예약하고나서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 해당 예약한 주치의에 의해 진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내방한 환자를 진료한 주치의는 의무적으로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환자에게 제공해야 하는데, 모든 환자가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그 주치의는 자신이 진료한 환자가 환자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환자인지 여부를 조회하여,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기록을 서버를 통해 환자데이타베이스로 전송하면 되고, 미등록 환자이면 그 환자로부터 환자데이타베이스등록 승인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환자가 환자데이타베이스 등록거부의사를 표명하면 진료의무기록을 작성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종료한다.
그와는 반대로 환자에 의해 환자데이타베이스의 등록의 허락이 있으면 병원단말기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시켜 의사의 아이디(ID)를 입력하는 것으로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을 획득한 다음, 해당 환자의 인적사항과 진료기록을 전송하여 환자 회원 데이타베이스에 개인 데이타베이스를 생성시켜 등록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약분업의 시행시 의사에 의한 환자진료 처방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약국의 약사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진료 투약에 관련된 모든 의료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화하여 국민보건 통계자료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전 시스템의 구축에 필요한 재원을 수익자 부담원칙에 입각하여 합리적으로 조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분업의 시행에 있어 약사와 의사간의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정하여 병원과 약국에서의 원활한 국민의료 행위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 의사의 전자처방 및 약사의 처방전 확인시 자연적인 광고소비를 통하여 그 이익이 직간접적으로 의사와 약사에게 되돌아가게 되고 또 광고주는 정확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맞춤광고를 내보낼 수 있게 되는 양자 만족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회원사 약국의 지리정보와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DB)(14)과, 상기 회원사 약국에 의약품을 납품하고 그 재고정보를 각 약국 단위로 관리하는 회원 제약회사그룹 서버(18)와, 상기 약국데이타베이스시스템(DB)과 제약회사그룹 서버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넷상에서 전자처방전 접수 및 전송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를 구축하는 웹서버(10)와, 의사가 환자 진료후 병원내 환자진료데이타베이스(13-1)에 처방기록을 입력하고 그후 환자는 약국선택에 대한 본인의사를 반영할 수 있고 환자 본인 병력 보호를 할 수 있도록 환자 고유 번호 등 환자 인증을 이용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환자지정 약국 또는 거주지 최근접 약국으로 진료결과에 따른 종이 및 전자처방전을 발행 및 전송하는 환자용 병원 무인단말기 그룹(13-2)과, 환자의 내방시 자신의 약국 고유등록번호로 전자처방 정보가 송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처방정보가 수신되어 있으면 해당 처방전에 따라 약품을 조제투약하고 그 투약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약국단말기 그룹(12)과, 상기 약국단말기 그룹의 투약정보와 병원단말기 그룹의 진료정보를 수집하여 환자 개인별 종합정보를 저장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DB)(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10)에는 병원단말기를 통한 의사의 전자처방정보와 약국단말기에 의한 조제 투약정보를 수집하여 약국데이타베이스(DB)(14)의 재고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약국의 약품재고 정보를 이용해 상호 전자주문 및 제품홍보 등이 가능하도록 물류정보처리시스템(21)에 연동시켜 재고관리, 전자주문 및 전자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약회사그룹 서버(18)를 더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기반 전자처방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10)에는 병원단말기(13-1,13-2)를 통한 의사의 전자처방작성 및 약국단말기에 전자처방 확인시 담당의사 및 담당약사 그리고 처방전 수령 내지 전송시 환자에게 당해 처방의 질병 및 약품코드에 따른 무인단말기상의 전자적 및 처방용지내 문서적인 맞춤광고를 수행하고 그 통계를 나타낼 수 있는 광고서버(19)를 더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전자처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10)에는 의약분업에 따른 전자처방을 통해 모든 환자의 질환정보, 회원사 약국의 조제 및 투약정보, 회원사 병원의 진료정보를 수집하여 국민건강질환정보와 의료정보와 약제조제정보 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파악하는 것으로 정부의 대국민 보건정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통계데이타베이스시스템(DB)(17)를 더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전자처방시스템.
  5. 의약분업 실행방법에 있어서,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진료하고 그 진료 결과에 따라 전자처방전을 작성하는 단계와, 작성된 전자처방전을 인터넷을 통해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DB)에 기록하여 업데이트시킨 후 환자에 의해 지정되거나 환자와 협의된 지정약국에 해당 전자처방전을 전송하고 사전 결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환자가 사전결제를 승인하면 결제시스템을 가동시켜 사전결제를 집행하고 처방전의 즉시 조제오더를 해당 약국단말기에 지령하고 사후결제 조건이면 처방전만을 전송하는 단계와, 당해 환자가 지정된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전에 따른 의약조제를 요구하면 본인확인 인증과정과 투약정보를 인터넷접속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 수행 후 사전 결제여부에 따라 조제투약 및 대금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DB)에 투약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전자처방 실행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사이트 접속상태에서 병원단말기를 이용한 의사의 전자처방작성 및 약국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처방 확인시 담당의사 및 담당약사에 대해 처방코드 및 질병코드에 따른 맞춤광고를 실행하고, 상기 맞춤광고의 소비에 대한 대가로서 현금 또는 사이버포인트중 하나를 광고주-처방전달사업자-병원-약국 사이에서 사전 계약되어진 계정으로 자동이체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전자처방 실행방법.
  7. 제1항과 제 5항에 있어서, 의사 및 약사가 환자를 진료 및 면담하는 단계; 진료후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접속하여 등록기관(의사)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등록기관 인증 후 진료환자의 해당 진료환자의 환자데이타베이스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진료환자가 미등록환자이면 의사가 등록기관의 역할로서 해당 환자의 신상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환자가 진료의무기록(영상데이터포함)을 열람하고 추가할 권한을 가지는 주치의에 대한 단수 혹은 복수 선정 및 인증하는 단계; 주치의로서 진료의무기록 데이터를 등록하고 등록환자이면 해당 회차의 진료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업데이트(update)시키는 단계; 주치의는 다른 의사에게 협진을 요하는 경우 의료법이 정하는 범위에서 협진의사가 환자 기록열람을 할 수 있도록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병원 및 약국에 설치되는 단말기(7-11∼13), 상기 병원 및 약국 단말기에 등록기관으로서의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인증된 각 병원 및 약국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최초 진료의무기록 또는 업데이트 진료기록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서버(7-10), 상기 서버에 의해 처리된 환자별 진료기록을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환자데이타베이스시스템(7-16),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의사 및 약사자격을 인증하기 위한 약사데이타베이스시스템(7-18) 및의사데이타베이스시스템(7-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의무기록 데이터 베이스 구축 시스템.
KR10-2001-0007642A 2000-02-15 2001-02-15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KR10044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7642A KR100441592B1 (ko) 2000-02-15 2001-02-15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6997 2000-02-15
KR1020000006997 2000-02-15
KR10-2001-0007642A KR100441592B1 (ko) 2000-02-15 2001-02-15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79A true KR20010082679A (ko) 2001-08-30
KR100441592B1 KR100441592B1 (ko) 2004-07-23

Family

ID=2663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642A KR100441592B1 (ko) 2000-02-15 2001-02-15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5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84A (ko) * 2000-07-13 2000-10-05 남궁석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97735B1 (ko) * 2005-06-28 2008-01-24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서명을 이용한 전자처방전 보관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06093A2 (en) * 2011-09-06 2013-07-18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US9760677B2 (en) 2009-04-29 2017-09-12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84A (ko) * 2000-07-13 2000-10-05 남궁석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97735B1 (ko) * 2005-06-28 2008-01-24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서명을 이용한 전자처방전 보관시스템 및 그 방법
US9171344B2 (en) 2007-10-30 2015-10-27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US9760677B2 (en) 2009-04-29 2017-09-12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WO2013106093A2 (en) * 2011-09-06 2013-07-18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WO2013106093A3 (en) * 2011-09-06 2013-09-06 Onemednet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1592B1 (ko) 200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167B2 (en) 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8219412B2 (en) Architecture for orchestrating promotional services
US108175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prescription drug regimen
US20030177033A1 (en) Method of internet-based medical record database configuration and system thereof by mutual certification between patient and doctor
JP4884220B2 (ja) 競争的処方薬および/または入札サービス提供者の選択方法
US20030074234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20020055856A1 (en) Adjudicating pharmaceutical drug sampl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CA28849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orrelation of diagnosis and medication as part of qualifying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JP2009528640A (ja) 競合処方薬および/または入札サービスプロバイダ選択のための方法
US20030154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ewing prescriptions
US20130151273A1 (en) Mobile sampling
US854341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nd collecting data related to controlled substances
US201302319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oting medications
KR20010082679A (ko)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KR20010090423A (ko)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CN115910313B (zh) 网络应用程序随机选择系统
WO2001097140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EP1528500A1 (e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and method
JP2002092185A (ja) 医療情報伝送システム
KR20000063537A (ko) 웹기반 무인처방시스템 및 무인처방방법
CN117012350A (zh) 一种购药处理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和购药系统
KR2001010728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의약품 투여 관리시스템
KR20010106736A (ko) 인터넷을 통한 의료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