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9084A -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9084A
KR20000059084A KR1020000040213A KR20000040213A KR20000059084A KR 20000059084 A KR20000059084 A KR 20000059084A KR 1020000040213 A KR1020000040213 A KR 1020000040213A KR 20000040213 A KR20000040213 A KR 20000040213A KR 20000059084 A KR20000059084 A KR 2000005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information
patient
delive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소영
Original Assignee
남궁석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석,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궁석
Priority to KR102000004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9084A/ko
Publication of KR2000005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상기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지정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전달할 수 있고, 구축된 처방전 점검 서버를 이용하여 처방내용의 과처방 또는 오류를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으며, 조제 의약품을 편리하게 수령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rescription delivery method and system 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병원에서는 의사의 처방이 이루어지고 환자는 그 처방전을 받아 들고 병원내 약국에 찾아 가서 처방전을 제시하고 처방에 따른 조제 의약품을 수령해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방전의 전달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이동중의 처방전 분실의 염려가 늘 존재하였고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의 여부에 대처하는 방법이 오직 담당 약사에 의한 확인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병원에서 발급한 처방전을 가지고 자신이 선택한 약국에서 처방전을 제시하고 조제 의약품을 수령하여야 하는 의약분업이 실시되었을 경우에는 병원에서 발급한 처방전의 분실 염려는 더욱 커진다. 또한 기존의 병원내 의사와 약사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여 즉, 내선전화등으로 상대적으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에 관한 의사소통이 간편하였으나 의약분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러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에 관한 의사소통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의약분업이 실시되는 경우 환자가 병원뿐만 아니라 약국에 반드시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환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조제 의약품을 수령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배송업체 단말기를 포함한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지정약국을 정하지 않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배송업체를 이용한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지정약국을 정하지 않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배송업체를 이용한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상기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지정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주문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과 조제 의약품의 배달 희망지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상기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지정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배송업체 단말기로 배달 희망지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과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 상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약국에 대해 상기 처방 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관리 서버; 및 상기 처방 도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제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약국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 상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환자에 대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주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방 주문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관리 서버; 및 상기 환자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상기 처방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제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과 배달희망지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 상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약국에 대해 상기 처방 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관리 서버; 상기 처방 도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제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약국 단말기; 및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고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배달 희망지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달업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터넷등 통신망(107)을 통해 처방전 관리 서버(100), 병원 단말기(104), 공급업체 단말기(105), 지정약국 단말기(106)가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과 도 4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처방전 관리 서버(100)는 전체적인 정보의 흐름을 관리하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와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를 점검하는 처방전 점검 서버(102) 및 의약품 관리 서버(103)을 구비하고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104)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110)와 처방내용과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110)를 수신한다(400).
환자 아이디로는 환자의 주민등록번호 또는 각 의료기관에서 발급하는 처방전 확인번호 내지 환자의 고유번호가 될 수 있으며 이를 구현하는 방법은 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아이디 외에 환자가 그간 복용했던 의약품에 대한 기록과 복용후 기록을 포함하는 의약품 복용 정보 및 약사와의 상담기록등 지속적인 회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 또는 환자의 과거 병력과 그를 담당했던 의료인의 의견 및 현재 질병에 대한 정보등 약사의 조제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환자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처방전 정보에서의 지정약국은 환자 본인이 자신의 처방전에 대한 조제를 원하는 약국을 정함으로써 결정되어질 수 있고 지정약국 방문시간 등 지정약국을 방문하여 조제 의약품을 수령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지정약국은 환자가 조제 의약품을 수령하기에 편리한 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환자 정보 및 처방전 정보(110)를 수신한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는 처방전 점검서버(102)로 수신한 처방전 정보에 있는 처방내용을 보내고(120)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여부를 점검한다(410). 의사가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내리는 처방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관계되는 것이므로 과처방 또는 오류 여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울혈성 심부전증이나 부정맥에 대한 약물로서 디곡신(Digoxin)의 경우 상품으로 디고신, 라녹신, 디곡신이 있는데 이 약물은 심장 독성, 위장 장해, 신경계 장해가 나타날 수 있는 극약에 해당한다. 따라서 복용법과 용량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 소염제의 역할을 하는 인도메타신의 경우 상품으로는 인도팝, 인테반, 바이겔, 마젤이 있는데 이 약물은 과민반응, 두통, 현기, 불면, 이명, 빈혈, 간질환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법과 용량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그 복용법과 용량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서는 처방내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성인, 임산부, 소아, 남녀 등 각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그에 해당하는 복용법과 용량의 기준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처방내용을 점검하는 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은 전문가 시스템(Expert Sytem)을 이용할 수 있다.
전문가 시스템은 인공지능(AI)의 한 분야로서, 특정한 영역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높은 수준의 성능을 얻기 위해 전문가의 지식(expert kowledge)을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요소로는 이성의 역할을 담당하는 추론 엔진(inference engine)과 상위 레벨의 데이터 형식이나 추상화된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지식 베이스(konwledge base)가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전문가 시스템은 어떤 특정한 작업을 행할 시에, 그 작업에 아주 익숙해 있는 전문가(human)를 대신하여 Computer가 자동적으로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 문제 해결 및 추론 등의 능력을 갖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Computer Program System)이다.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에 대한 점검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예 외에도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를 점검하는 컴퓨터는 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점검 결과 과처방 또는 오류가 존재하였을 경우 처방전 점검 서버(102)는 점검결과 및 재처방 요구를 포함하는 재처방 요구정보(130)를 병원 단말기(104)로 송신하고 정정된 처방내용(130)을 수신한다(420). 처방내용의 명백한 오기의 경우등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정정을 수행하는 경우나 과처방 및 오류가 없는 경우에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약국 단말기(106)로부터 각각 보유하고 있는 의약품에 대한 내용을 입력받아(150) 그에 대한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의약품 관리 서버(103)에 처방내용과 지정약국 및 지정약국 방문시간등의 정보(140)를 보낸다.
의약품 관리 서버(103)는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상기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의 예정 방문시간내에 조제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하는 조제질문정보(150)를 지정약국 단말기(106)로 송신한다(430).
조제질문정보(150)에 대해 지정약국에서는 조제 가능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150)를 의약품 관리 서버(103)에 송신하고 이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에 보내진다(140). 이러한 지정약국의 의약품 조제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도 7의 설명시 다른 확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처방전 중앙관리서버는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재고가 부족하여 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의약품 공급업체 단말기(105)로 필요한 의약품을 주문 정보(160)를 송신한다(440). 이러한 필요 의약품에 대한 발주는 각 지정약국 단말기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의약품이 부족하다는 정보(140)가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에 수신된 즉시 부족분에 대한 발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주된 의약품에 대해서 오프라인상으로 배달이 이루어진다(190).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는 조제 가능이 확인된 후에 지정약국 단말기(106)로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 및 지정약국 방문시간을 포함하는 처방도움정보(170)를 송신한다(450). 처방도움정보(170)에 따라 조제를 하는 지정약국 단말기로부터 처방내용에 대한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170)를 수신한다(460).
도 7은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에서 살펴본 지정약국의 의약품 조제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과 다른 예를 포함한다. 도 4와 관련하여 차이점은 처방전 중앙관리서버(101)에 환자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송신(710)하기 전에 처방전 점검 서버(100)에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또는 오류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700). 이는 병원내에 병원 단말기(104)가 연결된 처방전 점검 서버(102)를 구비하여 의사가 처방내용을 입력하는 즉시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경우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의 구현예가 이러한 방법에 적용되지 않는 시스템으로 일견 보이나 앞서 밝혔듯이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불과하기에 도 7의 과정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 명백하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도 7의 과정이 적용되는 도 1과 유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도 4와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7의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과처방 또는 오류여부를 점검하고(700) 정상적인 처방내용임이 확인된 경우 병원 단말기(104)는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한다(710).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720)하고 필요한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의약품 공급업체 단말기(105)로 부족분에 대한 자동발주가 이루어진다(730).
지정약국 단말기(106)로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한다(740).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750).
도 2는 배송업체 단말기를 포함한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터넷등 통신망(208)을 통해 처방전 관리 서버(200), 병원 단말기(204), 공급업체 단말기(205), 지정약국 단말기(206) 및 배송업체 단말기(207)가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서 경우와 같이 도 2와 도 5를 같이 설명하고 또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도 8을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도 4, 도7의 경우와 다른 점을 살펴보면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고 배달 희망지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수신하는 배송업체 단말기(207)가 통신망을 통해 더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처방전 정보는 조제 의약품의 배달 희망지를 더 포함하 차이점을 갖는다. 이로써 환자는 지정약국을 방문하지 않고 자신이 배달받고자 원하는 장소에서 조제 의약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앞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처방전 관리 서버(200)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와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를 점검하는 처방전 점검 서버(202) 및 의약품 관리 서버(203)을 구비하고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204)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210)와 처방내용과 배달 희망지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210)를 수신한다(500). 환자 아이디와 환자 정보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처방전 정보에서의 지정약국은 환자가 수령을 희망하는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약국으로 정하는 것이 배달의 차원에서는 바람직할 것이나 환자 본인이 자신의 처방전에 대한 조제를 원하는 약국으로도 정할 수 있다.
환자 정보 및 처방전 정보(210)를 수신한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처방전 점검서버(202)로 수신한 처방전 정보에 있는 처방내용을 보내고(220)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여부를 점검한다(510).
점검 결과 과처방 또는 오류가 존재하였을 경우 처방전 점검 서버(202)는 점검결과 및 재처방 요구를 포함하는 재처방 요구정보(230)를 병원 단말기(204)로 송신하고 정정된 처방내용(230)을 수신한다(520). 처방내용의 명백한 오기의 경우등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정정을 수행하는 경우나 과처방 및 오류가 없는 경우에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의약품 관리 서버(203)에 처방내용과 지정약국 및 지정약국 방문시간등의 정보(240)를 보낸다.
의약품 관리 서버(203)는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를 담당하는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의 예정 방문시간내에 조제 가능 여부 등을 포함하는 조제질문정보(250)를 지정약국 단말기(206)로 송신한다(530). 조제질문정보(250)에 대해 지정약국에서는 조제 가능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250)를 의약품 관리 서버(203)에 송신하고 이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에 보내진다(240). 이러한 지정약국의 의약품 조제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고 이와 관련하여 도 8의 설명시 다른 확인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재고가 부족하여 조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의약품 공급업체 단말기(205)로 필요한 의약품을 주문 정보(260)를 송신한다(540). 이러한 필요 의약품에 대한 발주는 각 지정약국 단말기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의약품이 부족하다는 정보(240)가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에 수신된 즉시 부족분에 대한 발주가 이루어지도록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발주된 의약품에 대해서 오프라인 상으로 배달이 이루어진다(290).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조제 가능이 확인된 후에 지정약국 단말기(206)로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도움정보(270)를 송신한다(550).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배송업체 단말기(207)로 지정약국 및 배달희망시간을 포함하는 배달정보(280)를 송신하고(560) 배송업체는 이에 따라 오프라인 상으로 조제 의약품을 환자에게 배달한다(291).
처방전 관리 서버(200)는 처방도움정보(270)에 따라 조제를 하는 지정약국 단말기로부터 처방내용에 대한 조제 내용을 수신하고 지정약국 단말기 또는 배송업체 단말기로부터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270, 280)를 수신한다(570).
도 8은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에서 살펴본 지정약국의 의약품 조제 가능 여부에 대한 확인 방법과 다른 예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8의 차이점은 도 4와 도 7의 그것과 동일하다.
도 5와 관련하여 차이점은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에 환자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송신(810)하기 전에 처방전 점검 서버(200)에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또는 오류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800). 이는 병원내에 병원 단말기(204)가 연결된 처방전 점검 서버(202)를 구비하여 의사가 처방내용을 입력하는 즉시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경우 가능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8의 과정이 적용되는 도 2과 유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도 5와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도 8의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과처방 또는 오류여부를 점검하고(800) 정상적인 처방내용임이 확인된 경우 병원 단말기(204)는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한다(810).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를 담당하는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820)하고 필요한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의약품 공급업체 단말기(205)로 부족분에 대한 자동발주가 이루어진다(830).
지정약국 단말기(206)로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한다(840).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배송업체 단말기(207)로 지정약국 및 배달희망시간을 포함하는 배달정보(280)를 송신하고(850) 배송업체는 이에 따라 오프라인 상으로 조제 의약품을 환자에게 배달한다(291). 처방전 관리 서버(200)는 처방도움정보(270)에 따라 조제를 하는 지정약국 단말기로부터 처방내용에 대한 조제 내용을 수신하고 지정약국 단말기 또는 배송업체 단말기로부터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270, 280)를 수신할 수 있다(860).
배송업체 단말기를 지정약국 단말기와 분리되어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나 이는 처방전의 전달뿐만 아니라 조제 의약품의 배달 또한 수행하는 본 발명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에 의하여 지정약국이 배송업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현실적인 면에서 배달 희망지에서 가까운 지정약국이 배송업체의 역할까지 수행한다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이 경우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방문할 약국을 환자가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4 및 도 7은 환자가 지정약국에 직접 방문하는 경우에 대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었고, 도 2와 도 5 및 도 8은 배송업체에 의한 조제 의약품 배달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후자의 경우는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처방전 및 조제의 약품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해당한다.
설명하고자 하는 도 3의 시스템과 도 6의 방법은 어떤 방법으로도 지정약국을 정하지 아니한 경우에 대한 것으로서 도 3은 지정약국을 정하지 않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시스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지정약국을 정하지 않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처방전 관리 서버(300)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301)와 처방내용의 과처방 및 오류를 점검하는 처방전 점검 서버(302)를 구비하고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전 중앙관리서버(301)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304)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310)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310)를 수신한다(600). 환자 아이디와 환자 정보에 대해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환자 정보 및 처방전 정보(310)를 수신한 처방전 중앙관리서버(301)는 처방전 점검서버(302)로 수신한 처방전 정보에 있는 처방내용을 보내고(320)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여부를 점검한다(610).
점검 결과 과처방 또는 오류가 존재하였을 경우 처방전 점검 서버(202)는 점검결과 및 재처방 요구를 포함하는 재처방 요구정보(230)를 병원 단말기(204)로 송신하고 정정된 처방내용(230)을 수신한다(520). 처방내용의 명백한 오기의 경우등 처방전 점검 서버에서 정정을 수행하는 경우나 과처방 및 오류가 없는 경우에 처방전 중앙관리서버(201)는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저장한다.
앞서 살펴본 방법에서는 조제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과정이 있었으나 본 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에는 환자가 직접 약국에 방문하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그러한 과정이 필요없다. 그러나 조제 가능 여부에 대해서는 처방전 관리 서버(300)가 환자 본인의 처방전에 대해 조제 가능한 약국에 대한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환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환자 아이디등의 환자 확인 정보를 제시하면 약국 단말기(304)는 처방전 중앙관리서버(301)로 환자 확인 정보를 송신한다(340). 환자 확인 정보를 통해 처방전 정보등이 저장된 환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저장된 환자임이 확인된 경우 그 약국 단말기(304)로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주문정보(350)를 송신한다(620). 이 경우 환자 정보는 환자에 대한 확인은 그 전단계에서 이루어졌으므로 확인을 위한 정보를 제외한 환자 정보로서 앞서 살펴본 경우와 같다.
처방전 관리 서버(300)는 처방주문정보(350)에 따라 조제를 하는 약국 단말기로부터 처방내용에 대한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360)를 수신한다(630).
도 3의 시스템과 도 6의 방법과 대응되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예로서 처방전 점검 서버(302)에서의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 여부에 대해 점검하는 단계가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다시 간략히 정리하면,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고 병원 단말기에 의사로서 인증을 받고 환자 아이디를 입력하여 처방내용등을 입력한다. 환자가 약국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지정약국에 송신한다. 지정하지 않고 환자가 직접 방문하는 경우에는 약국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로서 인증을 받은 후에 약국에 처방전 정보가 송신된다.
이러한 과정중에 처방전 관리 서버는 환자 정보에 대한 저장 및 관리와 처방내용에 대한 점검 및 약국의 재고등의 정보에 대한 저장 및 관리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공급업체와 연결하여 재고의 부족시에 자동 발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약사가 처방내용에 따라 조제하고 조제 내용은 의약품 관리 서버에 저장할 수 있고 또 처방전 관리 서버에 송신할 수 있고 병원측으로도 송신하여 조제 내용에 대해 확인한다. 조제 의약품을 환자는 수령하였다는 정보도 송신할 수 있고 신용카드등을 통해 약가중 환자부담금에 대한 지급여부등을 송신할 수 있다.
환자가 약국에서 직접 수령하지 않고 조제 의약품을 배달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달 희망지에 배달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환자는 배달 희망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배달 희망지의 주소, 배달 희망 일시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망을 이용하여 처방전을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처방전 점검 서버를 이용하여 처방내용의 과처방 또는 오류에 대한 사전 점검을 통해 정확한 처방을 수행할 수 있고, 배송업체와의 온라인상의 연결을 통해 환자가 직접 약국을 방문하지 않고 환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조제 의약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 및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처방내용에 있는 의약품을 상기 지정약국이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지정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환자 정보는 환자의 의약품 복용 이력 및 의약품 복용과 관련한 약사와의 상담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a)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과 상기 처방 도움 정보는 지정약국 방문시간을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기가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에 더 연결되고
    상기 처방전 정보는 조제 의약품의 배달 희망지를 더 포함하고
    (c) 단계 후에 상기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배송업체 단말기로 배달 희망지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b) 단계 후에 상기 처방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시에 상기 필요한 의약품을 포함한 의약품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 및 처방전 관리 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처방전 전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약국 단말기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처방 주문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a) 단계 후에 상기 처방내용에 대한 과처방 및 오류 여부에 대해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과 지정약국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
    상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약국에 대해 상기 처방 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조제가능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처방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처방 도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방 도움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관리 서버; 및
    상기 처방 도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제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정약국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는 조제 의약품의 배달 희망지를 더 포함하고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송업체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더 연결되고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는 상기 배달 희망지에 대한 조제 의약품의 배달을 담당하는 배송업체 단말기로 배달 희망지를 포함하는 배달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
  12. 제 10항에 있어서, 의약품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약품 공급업체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더 연결되고
    상기 처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조제가능여부의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처방내용에 따른 조제에 필요한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할 경우에 상기 필요한 의약품을 포함한 의약품 주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
  13.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 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와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전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단말기;
    상기 환자 정보와 처방전 정보를 수신하고 환자아이디를 포함하는 환자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환자에 대한 상기 처방내용을 포함하는 처방 주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처방 주문 정보에 따른 조제 내용과 조제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수령여부를 포함하는 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전 관리 서버; 및
    상기 환자 확인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환자 확인 정보에 따른 상기 처방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제 완료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약국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
  14. 제 10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처방전 관리 서버는 상기 처방 내용에 대해 과처방 및 오류 여부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상 처방전 전달 서비스 시스템.
KR1020000040213A 2000-07-13 2000-07-13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59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13A KR20000059084A (ko) 2000-07-13 2000-07-13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213A KR20000059084A (ko) 2000-07-13 2000-07-13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084A true KR20000059084A (ko) 2000-10-05

Family

ID=1967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213A KR20000059084A (ko) 2000-07-13 2000-07-13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90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36A (ko) * 2000-07-24 2002-01-31 김민호 인터넷을 통한 약품정보 제공 방법
KR20020037515A (ko) * 2000-11-14 2002-05-22 이병욱 통신망을 이용한 지하철내 약국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425275B1 (ko) * 2000-08-18 2004-03-30 찬 주 박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KR100432400B1 (ko) * 2000-11-08 2004-05-22 메디팜 주식회사 인터넷기반 체인약국 관리 및 업무지원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16649B1 (ko) * 2006-02-01 2007-05-10 (주)유비파트너아이엔씨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68139B1 (ko) * 2001-01-08 2007-10-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처방전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12112399A3 (en) * 2011-02-14 2013-01-17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151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医薬分業管理システム
JP2000099608A (ja) * 1998-09-25 2000-04-07 Casio Comput Co Ltd 医療システム
KR20000024569A (ko) * 2000-02-21 2000-05-06 조남선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시스템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KR20010082679A (ko) * 2000-02-15 2001-08-30 박용남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20020004163A (ko) * 2000-07-03 2002-01-16 강용해 인터넷 기반의 의약품 판매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151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医薬分業管理システム
JP2000099608A (ja) * 1998-09-25 2000-04-07 Casio Comput Co Ltd 医療システム
KR20010082679A (ko) * 2000-02-15 2001-08-30 박용남 인터넷 기반 확장 전자처방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
KR20000024569A (ko) * 2000-02-21 2000-05-06 조남선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시스템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KR20020004163A (ko) * 2000-07-03 2002-01-16 강용해 인터넷 기반의 의약품 판매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36A (ko) * 2000-07-24 2002-01-31 김민호 인터넷을 통한 약품정보 제공 방법
KR100425275B1 (ko) * 2000-08-18 2004-03-30 찬 주 박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KR100432400B1 (ko) * 2000-11-08 2004-05-22 메디팜 주식회사 인터넷기반 체인약국 관리 및 업무지원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37515A (ko) * 2000-11-14 2002-05-22 이병욱 통신망을 이용한 지하철내 약국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768139B1 (ko) * 2001-01-08 2007-10-1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처방전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16649B1 (ko) * 2006-02-01 2007-05-10 (주)유비파트너아이엔씨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2112399A3 (en) * 2011-02-14 2013-01-17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8844803B2 (en) 2011-02-14 2014-09-30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9449356B2 (en) 2011-02-14 2016-09-20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9767256B2 (en) 2011-02-14 2017-09-19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0262113B2 (en) 2011-02-14 2019-04-16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1295842B2 (en) 2011-02-14 2022-04-05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1763925B2 (en) 2011-02-14 2023-09-19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7033A1 (en) Method of internet-based medical record database configuration and system thereof by mutual certification between patient and doctor
US8494880B2 (en) Interactive patient medication list
US7599846B2 (en) Method for renewing medical prescriptions
EP1381995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JP2019531568A (ja) 処方薬の提出および履行に関連するリアルタイムヘルスケアデ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67099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a plurality of refill dates for prescriptions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customers
US20110184756A1 (en) Maintaining Patient Medication Lists
KR20130132806A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
US82498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o a customer a plurality of prescriptions having aligned refill dates
US20060196928A1 (en) System and method to assist patients in complying with medication regimes
KR2000005908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처방전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2172150A (ja) タグ付き医薬品包装体及び医薬品誤投与防止方法
US11676692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confirmation and verification requests based on electronic prescriptions
JP6078588B2 (ja) 介護支援システム、介護支援方法及び介護訪問用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CN114596945A (zh) 一种处方开药方法、医院信息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JP6954966B2 (ja) 薬局連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230162A (ja) 処方箋薬配送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2174066A (ja) 介護支援システム、介護支援方法、薬局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及び介護訪問用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
JP2002149818A (ja) 院外処方箋システム
KR20010087085A (ko) 전자 처방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6839A (ko) 전자 처방전 전달 방법
KR10076813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처방전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16331A (ko) 인프라 구축을 통한 원격처방전 전달 시스템
EP1528500A1 (e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