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78U -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 Google Patents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78U
KR20170001978U KR2020150007774U KR20150007774U KR20170001978U KR 20170001978 U KR20170001978 U KR 20170001978U KR 2020150007774 U KR2020150007774 U KR 2020150007774U KR 20150007774 U KR20150007774 U KR 20150007774U KR 20170001978 U KR20170001978 U KR 201700019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rame
electric pole
load switch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680Y1 (ko
Inventor
정호진
김근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50007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68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지지금구는, 복수의 분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부하개폐기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밴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부하개폐기를 상기 전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SUPPORT FOR LOAD BREAK SWITCH}
본 고안은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개폐기(Load Break Swith)는 전주에 설치된 지지금구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종래의 지지금구의 경우 부하개폐기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기 위해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추가적으로 각암타이를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부착하는 구조를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각암타이로 인해 작업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서 감전사고 등작업자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지지금구의 크기가 커지고 무거워짐에 따라서 전주에 설치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당 기술분야에서는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지지금구는 복수의 분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부하개폐기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밴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부하개폐기를 상기 전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각 분할부재는 곡면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곡면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렌지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고리 형태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지지금구는 복수의 분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고정 밴드; 및 상기 전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 밴드에 연결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설치 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부하개폐기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부하개폐기를 상기 전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설치 가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와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10)는 전주(1)에 고정되는 고정 밴드(100) 및 부하개폐기(2)와 체결되는 브라켓(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금구(10)는 부하개폐기(2)를 전주(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밴드(100)는 복수의 분할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 분할부재(110)는 곡면을 갖는 몸체부(111), 및 상기 몸체부(111)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곡면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평평한 평면을 갖는 플렌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112)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홀(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는 플랜지부(112)가 서로 맞닿아 접촉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분할부재(110)의 플랜지부(11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양측 플랜지부(112)의 상기 홀(1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서 상호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b)의 양측에 끼워지는 너트(n)에 의해 견고하게 조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b) 및 너트(n)를 통한 조임 및 풀림 방식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는 상기 전주(1)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를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트(b) 및 너트(n)의 체결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 밴드(100)는 상기 고리 형태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구조를 통해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는 상기 부하개폐기(2)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할부재(11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밴드(100)가 4개의 분할부재(11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 밴드(100)를 구성하는 상기 분할부재(110)의 개수는 기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110)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부하개폐기(2)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고정 밴드(10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부하개폐기(2)를 상기 전주(1)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제1 브라켓(210) 및 제2 브라켓(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210, 220)은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며 상기 고정 밴드(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은 상기 고정 밴드(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10)는 고정 밴드(100)와 브라켓(200)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완철에 추가적으로 각암타이를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히 부착하는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지지금구와 비교하여 구조가 보다 단순해지고,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서 전주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각암타이 등이 생략됨에 따라서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전주에서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지지금구를 전주에 설치한 상태에서 부하개폐기를 설치해야 했던 종래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르면 지상에서 미리 지지금구(10)에 부하개폐기(2)를 장착한 상태로 지지금구(10)를 전주(1)에 부착함으로써 부하개폐기(2)를 전주(1)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작업이 쉽고,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이 훨씬 절약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설명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20)는 전주(1)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밴드(300), 부하개폐기(2)와 체결되는 설치 가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금구(20)는 부하개폐기(2)를 전주(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300)는 제1 밴드(300a) 및 제2 밴드(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는 각각 복수의 분할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1)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밴드(300a)가 전주(1)의 상측에 고정되고, 제2 밴드(300b)는 전주(1)의 하측에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 분할부재(310)는 곡면을 갖는 몸체부(311), 및 상기 몸체부(311)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곡면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평평한 평면을 갖는 플렌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12)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홀(31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는 플랜지부(312)가 서로 맞닿아 접촉하는 구조로 연결되어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분할부재(310)의 플랜지부(31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양측 플랜지부(312)의 상기 홀(3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b)를 통해서 상호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b)의 양측에 끼워지는 너트(n)에 의해 견고하게 조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는 볼트(b) 및 너트(n)를 통해 조여지거나 풀려짐으로써 상기 고정 밴드(300)는 상기 전주(1)에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는 동일한 형태의 규격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밴드(3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 밴드(100)와 기본 구성 및 구조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즉,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밴드(100)가 단일로 고정되는데 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가 전주(1)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고정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에 따른 실시 형태에서는 부하개폐기(2)가 고정 밴드(100)에 직접 체결되는 구조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에 설치 가대(500)가 체결되고, 부하개폐기(2)는 설치 가대(500)에 체결되는 구조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는 해당 밴드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 중 어느 하나와 브라켓(400)이 각각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는 각각 브라켓(400)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른 브라켓(200)과 기본 구성 및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4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설치 가대(500)는 상기 전주(1)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에 연결되는 제1 프레임(510), 및 상기 제1 프레임(510)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51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은 전체적으로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510)은 상기 전주(1)와 나란하게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520)은 상기 제1 프레임(510)에 수직하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며, 따라서 상기 설치 가대(50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510)은 전주에 고정된 상기 고정 밴드(3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프레임(510)은 상기 고정 밴드(300)로부터 연장된 상기 브라켓(4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510)은 볼트(b)와 너트(n)를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밴드(300a, 300b)의 각 브라켓(400)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520)은 상기 부하개폐기(2)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부하개폐기(2)를 상기 전주(1)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하개폐기(2)는 상기 제2 프레임(520)의 하부에 매달린 오버행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510, 520)은 상기 부하개폐기(2)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510, 520)의 재질로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의 연결 부분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보강 부재(5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530)는 상기 제1 프레임(510)과 제2 프레임(520)이 연결되는 모서리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530)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510, 5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고정 밴드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른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밴드(300c, 300d)는 각각 복수의 분할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1)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각 분할부재(310)는 곡면을 갖는 몸체부(311), 및 상기 몸체부(311)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곡면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평평한 평면을 갖는 플렌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렌지부(312)에는 볼트(b)가 체결되는 홀(312a)이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310) 중 상기 설치 가대와 연결되는 분할부재(310')는 몸체부(311)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설치 가대(500)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설치 가대(500)와 마주하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면에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체결부(320)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설치 가대(500)의 제1 프레임(510)과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20)에는 볼트(b)가 삽입되는 홀(321)이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주
2... 부하개폐기
10... 지지금구
100, 300... 고정 밴드
200, 400... 브라켓
500... 설치 가대

Claims (7)

  1. 부하개폐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지지금구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부하개폐기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 밴드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부하개폐기를 상기 전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부재는 곡면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 끝단에서 각각 상기 곡면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플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렌지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밴드는 상기 고리 형태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서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은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5. 부하개폐기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지지금구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부재가 고리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전주에 각각 서로 다른 높이로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 밴드; 및
    상기 전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에 연결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 단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설치 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부하개폐기와 탈착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부하개폐기를 상기 전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가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에 부착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밴드와 상기 제1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KR2020150007774U 2015-11-27 2015-11-27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KR200491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74U KR200491680Y1 (ko) 2015-11-27 2015-11-27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74U KR200491680Y1 (ko) 2015-11-27 2015-11-27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78U true KR20170001978U (ko) 2017-06-07
KR200491680Y1 KR200491680Y1 (ko) 2020-05-18

Family

ID=5909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74U KR200491680Y1 (ko) 2015-11-27 2015-11-27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6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7792A (zh) * 2018-08-13 2018-11-06 杨柳 防鸟类筑巢结构件及电线支撑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34Y1 (ko) * 2008-09-18 2009-07-30 이진두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의 지지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34Y1 (ko) * 2008-09-18 2009-07-30 이진두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의 지지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7792A (zh) * 2018-08-13 2018-11-06 杨柳 防鸟类筑巢结构件及电线支撑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80Y1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0785B2 (en) Cast resin transformer
KR20170001978U (ko) 부하개폐기용 지지금구
JP7202147B2 (ja) 建築用金具
JP2013256777A (ja) 床版拡幅用ユニット
JP2016023410A (ja) 構台
KR101271760B1 (ko) 중량물 지지장치
JP3189564U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転落防止柵
US2333519A (en) Transformer mounting lug
KR10148879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KR101834449B1 (ko) 케이블 트레이
JP4244199B2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JP5387324B2 (ja) バックステー連結機構
KR102075824B1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JP2016148238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架台
KR200471064Y1 (ko) 그레이팅 고정장치
JP3197219U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架台
JP2015232236A (ja) 型枠支持具及び型枠支持構造
CN110593466A (zh) 一种快速安装的玻璃幕墙单元总成
JP2018040466A (ja) ガスボンベ固定具
JP2014114624A (ja) 床板材用吊り金具
JP6497961B2 (ja) 支持装置及びユニットルーム
CN210370118U (zh) 抱杆固定装置
KR200465978Y1 (ko) 케이블 트레이 서포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6812288B2 (ja) 蓄電池用架台
JP6941318B2 (ja) 基礎設置具および基礎設置具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