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760B1 - 중량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760B1
KR101271760B1 KR1020110049799A KR20110049799A KR101271760B1 KR 101271760 B1 KR101271760 B1 KR 101271760B1 KR 1020110049799 A KR1020110049799 A KR 1020110049799A KR 20110049799 A KR20110049799 A KR 20110049799A KR 101271760 B1 KR101271760 B1 KR 101271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uni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551A (ko
Inventor
김남현
성인철
홍석민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7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05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는,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로서, 바닥면에 접촉되어, 중량물의 하중을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베이스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높이조정유닛; 제1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와 다른 제2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높이조정유닛; 및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지지되며,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지지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HEAVY WEIGHT}
본 발명은 중량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스티어링 기어 펌프(Steering Gear Pump)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이 설치된다.
상기 스티어링 기어 펌프와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량물에 대한 배선연결 및 설치준비를 위하여, 상기 중량물을 임시로 거치시키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량물 지지장치는 임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 복수 개의 금속프레임을 용접하여 사용을 하며,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닥면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한다.
한편, 상기 중량물에 대한 작업이 종료된 경우, 상기 중량물 지지장치를 철거하여야 하는데, 용접에 의하여 설치함으로써, 그 철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 있다.
또한, 제작한 중량물 지지장치의 높이가 조정 불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서, 제작한 중량물 지지장치를 다른 장소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목적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량물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로서,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량물의 하중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조정높이와 다른 제2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지지되며,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유닛;을 포함하는 중량물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은, 하방을 향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의 중앙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은, 하측이 상기 제1함몰홈에 대응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제1함몰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함몰홈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의 중앙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은 상호 간에 정렬되며, 돌출되는 베이스유닛측 고정부,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및 지지프레임유닛측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측 고정부,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및 프레임유닛측 고정부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측에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몸체; 및 상기 베이스유닛 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유닛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은,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이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함몰홈에 대응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구조물에 지지되며, 지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물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과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 사이 높이를 조정하는 미세조정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중량물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량물 지지장치의 지지높이가 가변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가 중량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중량물 지지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2의 제1높이조정유닛 및 제1높이조정유닛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중량물 지지장치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가 중량물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중량물 지지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는 도 2의 제1지지유닛 및 제2지지유닛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1)는 일례로 선박내부와 같은 작업장소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된 상태에서, 스티어링 기어 펌프(Steering Gear Pump)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L)을 바닥면(B)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중량물 지지장치(1)는 일측은 바닥면(B)에 대하여 지지되고, 타측은 바닥면(B)에 대하여 고정되는 구조물(S)에 지지되며, 이격된 상태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중량물 지지장치(10) 및 제2중량물 지지장치(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중량물 지지장치(10)는 베이스유닛(14)과, 제1높이조정유닛(13)과, 제2높이조정유닛(12)과, 지지프레임유닛(11)과, 고정프레임(15)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베이스유닛(14)은 바닥면(B)에 접촉되어, 중량물(L)의 하중을 바닥면(B)에 대하여 지지하며, 베이스유닛 몸체(141)와, 지지부(142)와, 베이스유닛측 고정부(143)를 포함한다.
베이스유닛 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측에는 제1높이조정유닛(13)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하는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145)이 형성된다.
지지부(142)는 베이스유닛 몸체(141)의 하측에 형성되며, 일례로 베이스유닛 몸체(141)로부터 방사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부(142)는 베이스유닛 몸체(14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바닥면에 대하여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베이스유닛(14)이 안정적으로 바닥면(B)에 대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유닛측 고정부(143)는 베이스유닛 몸체(141)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례로 상하방항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높이조정유닛(13)은 베이스유닛(14)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에 대하여 제1조정높이(L1)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정유닛(13)은,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131)와, 제1연결플레이트(132)와,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를 포함한다.
제1조정플레이트(131)는 하방을 향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제1함몰홈(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131)들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조정플레이트(131)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연장된 높이는 제1조정높이(L1)로 형성된다.
연결플레이트(132)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제1조정플레이트(131)의 내면의 중앙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131)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는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131)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정유닛(13)이 베이스유닛(14)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는 베이스유닛측 고정부(143)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
한편, 제2높이조정유닛(12)은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에 대하여 제2조정높이(L1)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높이조정유닛(12)은,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121)와, 제2연결플레이트(122)와,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를 포함한다.
제2조정플레이트(121)는 하방을 향하며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제1함몰홈(135)에 대응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제2함몰홈(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121)들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조정플레이트(121)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면까지 연장된 높이는 일례로 제1조정높이(L1)보다 작은 제2조정높이(L2)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제1조정높이(L1)는 제2높이조정유닛(12)의 제2조정높이(L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제1조정높이(L1)가 제2조정높이(L2)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제2연결플레이트(122)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제2조정플레이트(121)의 내면의 중앙측에 연결되어,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121)를 상호 연결시킨다.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는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121)의 외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높이조정유닛(12)이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는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
한편, 지지프레임유닛(11)은 제2높이조정유닛(12)의 상측에 지지되며, 지지프레임 유닛(11)의 상측에는 중량물(L)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유닛(11)은, 지지프레임(111)과, 결합부(112)와, 프레임유닛측 고정부(113)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1)은 상측면에는 중량물(L)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112)는 일례로 지지프레임(111)의 일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결합부(112)의 하측은 제2높이조정유닛(12)의 상측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112)가 제2높이조정유닛(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결합부(112)의 하측은 제2조정플레이트(121)의 제2함몰홈(125)에 대응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11)의 타측에는, 지지프레임(111)의 타측이 바닥면(B)에 안착되거나, 바닥면(B)에 대하여 고정되는 구조물(S)에 지지되며, 지지프레임(111)이 타측이 지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물 지지홈(115)이 형성된다.
프레임유닛측 고정부(113)는 결합부(1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12)가 제2높이조정유닛(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유닛측 고정부(113)는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다.
한편, 고정프레임(15)은 베이스유닛(14)과, 제1높이조정유닛(13)과, 제2높이조정유닛(12)과, 지지프레임유닛(11)을 상호 고정시키며, 일례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유닛(14)의 베이스유닛측 고정부(143)와,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와, 제2높이조정유닛(12)의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와 지지프레임유닛(11)의 지지프레임유닛측 고정부(113)가 상하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5)이 베이스유닛측 고정부(143),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33),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123) 및 지지프레임유닛측 고정부(113)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베이스유닛(14)과, 제1높이조정유닛(13)과, 제2높이조정유닛(12)과, 지지프레임유닛(11)이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중량물 지지장치(20)는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중량물 지지장치(20)의 구성은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제2중량물 지지장치(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은 중량물(L)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례로 스틸(Steel)과 같은 고강도의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1)는 제1중량물 지지장치(10) 및 제2중량물 지지장치(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중량물 지지장치 이상으로 구성되어, 중량물(L)을 지지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1)가 설치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중량물 지지장치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바닥면(B)부터 상방을 향하여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높이조정유닛(1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함몰홈(135)에는, 제1함몰홈(135)에 대응되는 쐐기형상의 제2높이조정유닛(12)이 안착되며, 제2높이조정유닛(1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함몰홈(125)에는 지지프레임유닛(11)의 결합부(112)가 순서대로 결합된다.
즉,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은 일부가 쐐기형상으로 형상 또는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홈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구성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호간에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안착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상호 결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5)이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의 고정부(113~143)들을 관통하여,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을 고정시키게 된다.
베이스유닛(14), 제1높이조정유닛(13), 제2높이조정유닛(12) 및 지지프레임유닛(11)이 순서대로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유닛(11)의 상측에 지지되는 중량물(L)은 바닥면(B)으로부터 제1지지높이(H1) 만큼 리프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중량물(L)을 제1지지높이(H1)보다 큰 제2지지높이(H2)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1)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중량물(L)의 지지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중량물 지지장치(10)는 2개의 제1높이조정유닛(13a,13b)과, 미세조정편(16)을 더 포함한다.
즉, 도 5에서의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에는 도 4에서의 제1높이조정유닛(13)이 베이스유닛(14)과 제2높이조정유닛(12) 사이에 두 개가 배치됨에 따라서, 도 5의 제1중량물 지지장치(10)는 제1지지높이(H1)보다 큰 제2지지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13)과 제2높이조정유닛(12) 사이에 제2높이조정유닛(12)이 추가로 배치되어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지지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조정높이(L1) 및 제2조정높이(L2)보다 작은 미세 조정높이만큼,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지지높이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미세조정편(16)을 제2높이조정유닛(12)과 지지프레임유닛(11)의 결합부(112)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미세조정편(16)은 제2높이조정유닛(12)과 지지프레임유닛(11)의 결합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미세조정편(16)이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예컨대 제1높이조정유닛(13)과 제2높이조정유닛(12) 사이 또는 베이스유닛(14)과 제1높이조정유닛(13)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제1높이조정유닛(13)이 3 개 이상으로 마련되거나, 제2높이조정유닛(12)이 2 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제2중량물 지지장치(20)의 높이가 조정되는 구성은 제1중량물 지지장치(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중량물(L)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장치(1)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량물 지지장치(1)의 지지높이가 가변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의 구성은 프레임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중량물 지지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지지장치(3)의 지지프레임유닛(31)은 지지프레임(311)의 일측 및 타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부(312) 및 제2결합부(3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결합부(312) 및 제2결합부(313)의 하측에는, 각각 제2높이조정유닛(32), 제1높이조정유닛(33) 및 베이스유닛(34)이 배치되어, 지지프레임유닛(31)을 바닥면(B)에 대하여 지지한다.
즉, 지지프레임유닛(31)의 양측이 바닥면(B)에 대하여 지지됨으로써, 중량물 지지장치(3)가 다양한 장소에서 제한없이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3 : 중량물 지지장치 10 : 제1중량물 지지장치
11 : 프레임유닛 12 : 제2높이조정유닛
13 : 제1높이조정유닛 14 : 베이스유닛
15 : 고정프레임 20 : 제2중량물 지지장치

Claims (9)

  1. 삭제
  2.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로서,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량물의 하중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조정높이와 다른 제2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지지되며,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은, 하방을 향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조정플레이트의 중앙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은, 하측이 상기 제1함몰홈에 대응되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상기 제1함몰홈과 동일한 형상의 제2함몰홈이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 및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2조정플레이트의 중앙측에 연결되는 제2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중량물 지지장치.
  3.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로서,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량물의 하중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조정높이와 다른 제2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지지되며,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은 상호 간에 정렬되며, 돌출되는 베이스유닛측 고정부,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및 지지프레임유닛측 고정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유닛측 고정부, 제1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제2높이조정유닛측 고정부 및 지지프레임유닛측 고정부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중량물 지지장치.
  4. 중량물을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 지지장치로서,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중량물의 하중을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며,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1조정높이와 다른 제2조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지지되며, 중량물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측에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유닛 몸체; 및
    상기 베이스유닛 몸체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유닛 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지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유닛은,
    상기 중량물이 안착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이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함몰홈에 대응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이 상기 바닥면에 안착되거나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구조물에 지지되며, 지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는 구조물 지지홈이 형성되는 중량물 지지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지지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과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 상기 제1높이조정유닛과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 및 상기 제2높이조정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 사이 높이를 조정하는 미세조정편이 마련되는 중량물 지지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설치되는 중량물 지지장치.
KR1020110049799A 2011-05-25 2011-05-25 중량물 지지장치 KR101271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99A KR101271760B1 (ko) 2011-05-25 2011-05-25 중량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799A KR101271760B1 (ko) 2011-05-25 2011-05-25 중량물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551A KR20120131551A (ko) 2012-12-05
KR101271760B1 true KR101271760B1 (ko) 2013-06-05

Family

ID=4751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799A KR101271760B1 (ko) 2011-05-25 2011-05-25 중량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612A (zh) * 2015-12-31 2016-05-1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组合支撑工装
CN105888224A (zh) * 2016-05-13 2016-08-24 江苏业强脚手架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脚手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77B1 (ko) * 2011-11-02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54657B1 (ko) * 2022-09-07 2024-04-05 국방과학연구소 비행체 구조시험용 중량물 위치 조정/설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98Y1 (ko) * 2004-01-05 2004-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곡블럭 서포터지그
KR200351101Y1 (ko) * 2004-03-04 2004-05-22 장철주 승강장치가 설치된 핀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98Y1 (ko) * 2004-01-05 2004-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형 곡블럭 서포터지그
KR200351101Y1 (ko) * 2004-03-04 2004-05-22 장철주 승강장치가 설치된 핀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4612A (zh) * 2015-12-31 2016-05-1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组合支撑工装
CN105888224A (zh) * 2016-05-13 2016-08-24 江苏业强脚手架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调节脚手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551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760B1 (ko) 중량물 지지장치
CN103650270A (zh) 电气设备安装框架
KR101107920B1 (ko) 중량물 적재대
KR102261511B1 (ko) 교량용 점검대
CN102951523A (zh) 用于经济型乘客电梯的轿架
CA2926450C (en) Horizontal pumping system with bent plate frame
KR20100089645A (ko) 링너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서포트
JP2016529424A (ja) 足場
CN203754179U (zh) 电梯90°直角贯通开门下梁平稳裝置
KR200488823Y1 (ko) 모터 커플링 분해 조립장치
WO2012122439A3 (en) Tilt cylinder support structure
CN205602900U (zh) 一种缓冲器底座加固装置
KR20170003950A (ko) 차량 장착 콘크리트 펌프
CN202631360U (zh) 增大拉伸试验机有效工作空间的装置
JP4605310B2 (ja) 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タワークレーン用架台の取付構造
CN207748710U (zh) 一种驱动装置的安装结构
CN208914045U (zh) 吨级装配平台
JP3175076U (ja) 架台用連結金具
JP2010275743A (ja) 壁パネルの固定構造
CN205500107U (zh) 一种动力摆动装置
JP6118944B1 (ja) 二重床
KR101480875B1 (ko)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KR20170044947A (ko)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한 양중테이블 및 u형 거푸집 설치 방법
CN103244796A (zh) 一种支撑架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