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875B1 -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 Google Patents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875B1
KR101480875B1 KR20140030489A KR20140030489A KR101480875B1 KR 101480875 B1 KR101480875 B1 KR 101480875B1 KR 20140030489 A KR20140030489 A KR 20140030489A KR 20140030489 A KR20140030489 A KR 20140030489A KR 101480875 B1 KR101480875 B1 KR 10148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oor panel
support unit
suppor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
Priority to KR2014003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지지유닛(300); 플로어 패널(1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 구조물(500)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100);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에 고정되는 절곡편(420)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 및,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를 포함하는 것으로, 플로어 패널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물에 작용 되는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중마루 패널의 설치 공정을 줄여 시공의 간결성 그리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POST PLATE JOINT FOR INSTALLATION OF ACCESS FLOOR PANEL}
본 발명은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물 상,하에 지지유닛을 자유롭게 접합시켜 플로어 패널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물에 작용 되는 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중마루 패널의 설치 공정의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과 간결한 시공 그리고 향상된 안전성을 제공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등의 고정밀 부품 및 제품 제조에서 거의 모든 작업 공정은 클린룸clean room)에서 진행한다. 클린룸에는 각종 공정장비가 놓여 지거나 반송수단의 이동을 위한 정밀한 수평 바닥과 전기배선 등의 은폐, 그리고 습기 차단 및 정전기 방지 역할을 겸하는 이중바닥 시스템이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클린룸에 시공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은 클린룸 내의 기초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플로어 패널을 설치한다.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 바닥과 플로어 패널 사이는 지지유닛을 설치하여 플로어 패널을 받쳐주고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8898호(선행기술 1)에는 플로어 패널 지지 유닛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로어 패널 지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로어 패널 지지유닛(10)은 지지 컬럼부(11)와, 플로어 패널(30)을 지지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 컬럼부(11)는 기초 바닥(13)과 접촉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 중공형 지지컬럼, 나사공을 갖는 상부캡(15)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헤드부(20)는 상부캡(15)의 나사공을 통해 나사 체결되는 지지봉(21), 너트가 일체로 고정되고 너트를 통해 지지봉(21)을 내부에 수용하는 헤드(22), 헤드(22)의 하단부와 너트의 외측에서 각각 헤드(22) 내의 지지봉(21)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복수의 볼트, 헤드(22)의 상단부와 플로어 패널(30)의 사이에 위치하고 다수의 볼트 또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패드(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플로어 패널 지지유닛(10)은 조립과 설치 작업, 그리고 플로어 패널의 평탄도 유지 등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은 본인의 선출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433호(선행기술 2)의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에 개시된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의 개량형 플로어 패널 지지유닛은 조립의 편의성, 조립 또는 설치 과정에서 틀어짐을 방지하고 플로어 패널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선행기술 2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도 3은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플로어 패널 지지유닛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선행기술 2의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50)은 다양한 형태의 클린룸 내에 설치되는 이중 마루에 적용될 수 있으며 지지 컬럼부(51), 헤드부(60) 및 높이 조절부(7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유닛(50)의 하부그룹은 돌기(53a)를 갖는 중공형 하부 지지컬럼(53), 중공형 하부 지지컬럼(53)을 받쳐주는 베이스 플레이트(52)로 구성되는 지지 컬럼부(51)로 구성되고, 지지유닛(50)의 상부그룹은 돌기(53a)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 안내부(61)를 갖는 상부 지지컬럼(62), 상부 지지컬럼(62)의 상단부에 구비된 클램프 유닛(80)을 포함하는 헤드부(60) 및 헤드부(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70)로 구성된다.
지지유닛(50)을 이용한 플로어 패널(30)의 설치방법은 먼저 중공형 하부 지지 컬럼부(53)를 기초 바닥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헤드부(60)의 클램프 유닛(80)의 상면부가 기초 바닥에 대해 균일한 높이를 갖도록 높이 조절부(70)의 제1,2 조절너트(72)(73)를 조절하여 제1,2 조절너트(72)(73)로 헤드부(60)의 상부 지지컬럼(62)을 중공형 하부 지지컬럼(53)에 고정하고, 클램프 유닛(80)의 지지 플레이트 상에 H-빔(90)을 위치시키고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클램프 부재로 H-빔(90)에 고정한 후 H-빔(90) 상에 클램프 유닛(80)의 클램프 부재 또는 패드 플레이트를 복수의 리브들을 이용하여 플로어 패널(30)을 고정하는 순서로 설치한다.
한편, 지지유닛을 이용하는 플로어 패널 설치에서는 보다 간결하면서도 설치 자유도가 높고 구조적으로도 안전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는 고기능 플로어 패널 설치용 지지유닛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특히 H-빔 등의 구조물에 접합시켜 구조물 상,하에 자유롭게 설치하면서도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해소시켜 구조물의 하중과 진동에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공정의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과 시공의 간결성과 안전성 향상시킬 수 있는 고성능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지지유닛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특허문헌 1(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8898호 특허문헌 2(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43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에 지지대를 접합시키고 구조물 상,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로어 패널 설치에서 플로어 패널의 지지부의 구조적인 불안정을 해소시키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하중과 진동에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줄이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의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과 시공의 간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상기 플로어 패널과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 상기 구조물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을 형성하여 구조물에 고정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를 지지유닛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구조물과 지지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과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절곡편은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양편 방향에 일체형 대칭으로 절곡 형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넓이가 지지유닛측 지지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해 더 넓은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는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체결부재의 체결 위치는 커넥터 플레이트의 절곡편의 수평 단부면을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도록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양편 절곡편의 위치는 구조물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가 접시머리 나사이고, 그 접시머리 나사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에 사전에 위치결정되어 박혀있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상기 플로어 패널과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 상기 구조물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을 형성하여 구조물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 상기 절곡편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와 대면하여 지지유닛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구조물과 지지유닛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과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양편 절곡편은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대칭 상으로 위치하고 분리형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넓이가 지지유닛측 지지 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례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 위치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의 절곡편의 수직편을 따라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플레이트의 양편 절곡편의 단턱 위치는 구조물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를 구조물에 받쳐줄 수 있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
상기 구조물의 외곽을 감싸는 하부 방향으로의 단턱을 형성하여 구조물에 고정되는 절곡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구조물에 형합된 커넥터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을 기초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하부를 구조물에 받쳐줄 수 있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
상기 구조물의 외곽을 감싸는 하부 방향으로의 단턱을 형성하여 구조물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 상기 절곡편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와 대면하여 지지유닛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H-빔 등의 구조물에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접합시켜 이를 통해 구조물 상,하에 플로어 패널과 지지유닛을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조적인 불안정을 해소시키고 구조물의 하중과 진동에 안정성을 확보하고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중마루 패널 시공에서는 공정의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과 시공의 간결성과 안전성 향상을 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에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구조물 수평부재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부로 슬래브와 기타 부속물을 연결 고정하고 상부로는 A/F, 기계/장비를 받쳐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구조물의 집중하중으로 인한 피로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조물에 홀(Hole)을 뚫지 않는 체결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구조물 강도 결함 원인을 줄여 구조물 안정성을 장기간 유지하고 작업 시간과 비용의 줄이고 클린룸 등고 같은 열악한 작업 조건에서 작업성을 개선한다.
구조물과 지지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플레이트 구조 개선을 통해 구조물 표면에 손상이 없는 커버접합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여 구조물 선단에 자유로운 이동과 고정 그리고 낙하에 대한 안전성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 조건에 따라 지지유닛과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접합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이중마루 패널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사용한 이중마루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상세도.
도 7은 도 6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평면도.
도 8은 도 6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한 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상세도.
도 11은 도 9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한 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상세도.
도 15는 도 13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한 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구성도.
도 18은 도 17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상세도.
도 19는 도 17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부분을 발췌한 평면도.
도 20은 도 18의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한 플로어 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도 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로 제시된다. 본 발명을 각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높이를 가지는 제1 포스트(301), 제1 포스트(301)의 상부 방향에서 끼워져 결합 되고 외경에 나사산(303)이 형성된 제2 포스트(302), 제2 포스트(302)의 높낮이를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303)에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힘으로 돌리면 제2 포스트(302)는 나사 맞물림 방향에 의해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는 후술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의 현재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제1 포스트(301)의 하부는 기초 바닥(200)에 고정 지지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구성되고 기초 바닥(200)과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320)로 체결된다.
그리고, 플로어 패널(1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가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 도 5를 참조하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는 구조물(500)과 결합 되어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플로어 패널(10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조물(500)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된다.
그리고,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이 구성된다. 여기서, 구조물(500)은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구조물(5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되도록 되어 있고 구조물(500)의 하부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를 통해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조물(5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되고,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에 고정되는 절곡편(420)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가 구성되고,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 플레이트(430)는 도면 도 7을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예로 나타나 있으나 원형, 삼각, 다각 형상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기능은 구조물(500)을 형합하여 고정하는 형식이므로 결합 대응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고 단턱(410)을 통한 접촉 결합력을 높이는 형상은 사각형상이다. 도면에 나타낸 사각 형상은 상부 플로어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동하중, 횡하중 등에 대한 내력을 크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440)의 형상도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는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조물(500)은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형합 및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H-빔 또는 I-빔 형상의 구조물은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절곡편(420)에 형성된 단턱(410)에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는 양편 대칭 형상의 돌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어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용이하게 형합될 수 있는 구조물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절곡편(420)은 수평면(450)과 수직면(460)으로 양편 방향에 일체형 대칭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절곡편(420)의 일체형 대칭 형상은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통해 지지유닛(300)을 결합할 때 좌우 쏠림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고 좌우 평형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 결합을 유도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전체 면적 넓이는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해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최대 면적 L1이 지지 플레이트(440)의 최대 면적 L2에 비해 넓은 L1 > L2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으나 L1 ≥ L2, L1 = L2 등 각 플레이트의 면적 넓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L1 > L2인 경우이다. 이 경우는 지지 플레이트(440)의 최소 면적으로도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재료비의 절감, 무게 경량화, 시공성 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지지 플레이트(440)의 최대 면적이 L1 > L2인 조건에서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지지 플레이트(440)는 체결부재(470)로 체결되고 체결부재(470)의 체결 위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절곡편(420)의 수평 단부면을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타정 홀을 천공하거나 홀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물(5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양편 절곡편(420)의 위치는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절곡편(420)을 구성하면 절곡편(420)의 단턱(410)이 구조물(500)의 양편 플레이트와 정확히 밀착시켜 긴밀한 형합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커넥터 플레이트(430) 간 사이 틈 형성을 억제하여 흔들림 유동을 줄여주고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체결부재(470)는 접시머리(471) 나사로 구성된다. 접시머리 나사는 지지 플레이트(440)와 결합 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커넥터 플레이트(430)에 사전에 위치 결정하여 박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470)로서 선택된 접시머리 나사는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지지 플레이트(440) 간 사이 틈과 간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긴밀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체결부재(470)로서 접시머리 나사를 커넥터 플레이트(430)에 위치 결정하여 박아 놓으면 지지유닛(300)에 구조물(500)을 결합할 때 곧바로 접시머리 나사를 지지 플레이트(440)의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끼워 결합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의 결합 작업이 간결해지고 정밀한 결합 작업으로 유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가 사용된 이중마루 패널 시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높이를 가지는 제1 포스트(301), 제1 포스트(301)의 상부 방향에서 끼워져 결합 되고 외경에 나사산(303)이 형성된 제2 포스트(302), 제2 포스트(302)의 높낮이를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303)에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힘으로 돌리면 제2 포스트(302)는 나사 맞물림 방향에 의해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는 후술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의 현재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제1 포스트(301)의 하부는 기초 바닥(200)에 고정 지지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구성되고 기초 바닥(200)과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320)로 체결된다.
그리고, 플로어 패널(1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가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 도 9를 참조하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는 구조물(500)과 결합 되어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플로어 패널(10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조물(500)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된다.
그리고,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조물(500)은 도면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구조물(5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되도록 되어 있고 구조물(500)의 하부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를 통해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조물(5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a)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420a) 및 이 절곡편(420a)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a),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대면하여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 플레이트(430a)는 도면 도 11을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예로 나타나 있으나 원형, 삼각, 다각 형상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기능은 구조물(500)을 형합시켜 고정하는 형식이므로 결합 대응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고 단턱(410a)을 통한 접촉 결합력을 높이는 형상은 사각 형상이 다른 형상에 비해 비교적 유리하다. 도면 도 11에 나타낸 사각 형상은 상부 플로어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동하중, 횡하중 등에 대한 내력을 크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440a)의 형상도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는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조물(500)은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형합 가능하고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H-빔 또는 I-빔 형상의 구조물은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절곡편(420a)에 형성된 단턱(410a)에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는 양편 대칭 형상의 돌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어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용이하게 형합될 수 있는 구조물로 선택된 것이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 절곡편(420a)은 수평면(450a)과 수직면(460a)으로 구성되어 대칭 상으로 위치하고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절곡편(420a)은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에 용접을 통해 접합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구성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에 결합되는 절곡편(420a)은 대칭 형상으로서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a)를 통해 지지유닛(300)을 결합할 때 좌우 쏠림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고 좌우 평형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 결합으로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전체 면적 넓이는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a)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례하는 면적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지지 플레이트(440a)는 체결부재(470a)로 체결되고 체결부재(470a)의 체결 위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절곡편(420a)의 수직편(460a)을 따라 위치결정된 지점이 선택된다. 이 구조는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지지 플레이트(440a)를 대면 구조로 접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자체 두께 t를 두껍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고 슬림형 커넥터 플레이트(430a)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줄이고 무게 경량화 및 그에 따른 간결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 절곡편(420a)의 단턱(410a) 위치는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절곡편(420a)을 구성하면 절곡편(420a)의 단턱(410a)이 구조물(500)의 양편 플레이트와 정확히 밀착시켜 긴밀한 형합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커넥터 플레이트(430a) 간 사이 틈 형성을 억제하여 흔들림 유동을 줄여주고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가 사용된 이중마루 패널 시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은,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높이를 가지는 제1 포스트(301), 제1 포스트(301)의 상부 방향에서 끼워져 결합 되고 외경에 나사산(303)이 형성된 제2 포스트(302), 제2 포스트(302)의 높낮이를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303)에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힘으로 돌리면 제2 포스트(302)는 나사 맞물림 방향에 의해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는 후술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의 현재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제1 포스트(301)의 하부는 구조물(500)의 상부측과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를 통해 고정 지지 되고 구조물(500)의 하부는 기초 바닥(200)에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하부를 구조물(500)에 받쳐줄 수 있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가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 13을 참조하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는 하부측에 위치하는 구조물(500)과 결합 되어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플로어 패널(10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유닛(3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되고 지지유닛(300)의 하부는 구조물(5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b)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에 고정되는 절곡편(420b)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 및 지지유닛(300)을 구조물(500)에 형합된 커넥터 플레이트(430b)를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커넥터 플레이트(430b)는 도면 도 15를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예로 나타나 있으나 원형, 삼각, 다각 형상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기능은 구조물(500)에 지지유닛(300)을 형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구조물(500)측과의 결합 대응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고 단턱(410a)을 통한 접촉 결합력을 높이는 형상은 사각 형상이 유리하다. 도면 도 15에 나타낸 사각 형상은 상부 플로어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동하중, 횡하중 등에 대한 내력을 크게 설계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440b)의 형상도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는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500)에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구조물(500)은 하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기초 바닥(200)에 지지되고 상부는 플로어 패널(100)이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안착 된다. 플로어 패널(100)과 밀착 결합 되는 지지유닛(300)의 사이 틈은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방향 밀림을 막고 수직 방향 충격이나 진동 등의 동하중에 대한 완충 목적의 플랫 패드(1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500)은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형합 가능하고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H-빔 또는 I-빔 형상의 구조물은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절곡편(420b)에 형성된 단턱(410b)에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는 양편 대칭 형상의 돌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어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용이하게 형합될 수 있는 구조물로 선택된 것이다.
또한, 구조물(500)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절곡편(420b)은 수평면(450b)과 수직면(460b)으로 양편 방향에 일체형 대칭으로 절곡형으로 형성된다. 절곡편(420b)의 일체형 대칭 형상은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a)를 통해 지지유닛(300)을 결합할 때 좌우 쏠림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고 좌우 평형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 결합을 유도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전체 면적 넓이가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b)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해 더 넓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최대 면적 L1이 지지 플레이트(440b)의 최대 면적 L2에 비해 넓은 L1 > L2의 예로 나타나 있다. 도면 도 14에는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으나 L1 ≥ L2, L1 = L2 등 각 플레이트의 면적 넓이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1 > L2인 경우이다. 이 경우는 지지 플레이트(440b)의 최소 면적으로도 커넥터 플레이트(430b)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재료비의 절감, 무게 경량화, 시공성 개선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지지 플레이트(440b)의 최대 면적이 L1 > L2인 조건에서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지지 플레이트(440b)는 체결부재(470b)로 체결되고 체결부재(470b)의 체결 위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절곡편(420b)의 수평 단부면을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b)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타정 홀을 천공하거나 홀을 뚫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물(5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양편 절곡편(420b)의 위치는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절곡편(420b)을 구성하면 절곡편(420b)의 단턱(410b)이 구조물(500)의 양편 플레이트와 정확히 밀착시켜 긴밀한 형합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커넥터 플레이트(430b) 간 사이 틈 형성을 억제하여 흔들림 유동을 줄여주고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체결부재(470b)는 접시머리 나사로 구성된다. 접시머리 나사는 지지 플레이트(440b)와 결합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커넥터 플레이트(430b)에 사전에 위치 결정하여 박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470b)로서 선택된 접시머리 나사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지지 플레이트(440b) 간 사이 틈과 간격 발생을 최소화하여 긴밀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체결부재(470b)로서 접시머리 나사를 커넥터 플레이트(430b)에 위치 결정하여 박아 놓으면 지지유닛(300)에 구조물(500)을 결합할 때 곧바로 접시머리 나사를 지지 플레이트(440b)의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끼워 결합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의 결합 작업이 간결해지면서도 정밀한 결합 작업이 구현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가 사용된 이중마루 패널 시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을 설명하면,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높이를 가지는 제1 포스트(301), 제1 포스트(301)의 상부 방향에서 끼워져 결합 되고 외경에 나사산(303)이 형성된 제2 포스트(302), 제2 포스트(302)의 높낮이를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나사산(303)에 체결되는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포함한다. 높낮이 조절 와셔(304)를 힘으로 돌리면 제2 포스트(302)는 나사 맞물림 방향에 의해 제1 포스트(301)를 축으로 위로 올라가거나 밑으로 내려가는데 이는 후술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의 현재 높낮이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제1 포스트(301)의 하부는 구조물(500)의 상부측과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를 통해 고정 지지 되고 구조물(500)의 하부는 기초 바닥(200)에 지지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하부를 구조물(500)에 받쳐줄 수 있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가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 도 17을 참조하면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는 하부측 구조물(500)과 결합 되고 상부측으로는 지지유닛(300)과 결합되어 최종적으로는 플로어 패널(100)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유닛(300)의 윗부분으로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된다.
그리고,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조물(500)은 도면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구조물(500)의 상부에는 지지유닛(300)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그 지지유닛(300)의 상부로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 되도록 되어 있고 구조물(500)의 하부는 기초 바닥(200)에 지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유닛(300)의 상부에는 플로어 패널(100)이 얹혀져 안착된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하부 방향으로의 단턱(410c)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420c), 그 절곡편(420c)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c) 및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대면하여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넥터 플레이트(430c)는 도면 도 19를 참조하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예로 나타나 있으나 원형, 삼각, 다각 형상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기능은 구조물(500)을 형합시켜 고정하는 형식이므로 결합 대응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고 단턱(410c)을 통한 접촉 결합력을 높이는 형상은 사각 형상이 다른 형상에 비해 비교적 유리하다. 도면 도 19로 도시되어 있는 사각 형상은 상부 플로어 패널(100)로부터 지지유늣(300)을 따라 전달되는 동하중, 횡하중 등에 대한 내력을 크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440c)의 형상도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또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는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구조물(500)은 하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기초 바닥(200)에 지지 되고 상부는 플로어 패널(100)이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안착 된다. 플로어 패널(100)과 밀착 결합 되는 지지유닛(300)의 사이 틈은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방향 밀림을 막고 수직 방향 충격이나 진동 등의 동하중에 대한 완충 목적의 플랫 패드(1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500)은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형합 가능하고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H-빔 또는 I-빔 형상의 구조물은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절곡편(420c)에 형성된 단턱(410c)에 삽입되어 형합될 수 있는 양편 대칭 형상의 돌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어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용이하게 형합될 수 있는 구조물로 선택된 것이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 절곡편(420c)은 수평면(450c)과 수직면(460c)으로 구성되어 대칭 상으로 위치하고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절곡편(420c)은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에 용접을 통해 접합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에 결합되는 절곡편(420c)은 대칭 형상으로서 구조물(500)에 커넥터 플레이트(430c)를 통해 지지유닛(300)을 결합할 때 좌우 쏠림이나 비틀림을 방지하고 좌우 평형을 유지하여 최종적으로 플로어 패널(100)의 수평 결합으로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전체 면적 넓이는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c)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례하는 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지지 플레이트(440c)는 체결부재(470c)로 체결되고 체결부재(470c)의 체결 위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절곡편(420c)의 수직편(460c)을 따라 위치결정된 지점이 선택된다. 이 구조는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지지 플레이트(440c)를 대면 구조로 접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자체 두께 t를 두껍게 설계하지 않아도 되고 슬림형 커넥터 플레이트(430c)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비를 줄이고 무게 경량화 및 그에 따른 간결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 절곡편(420c)의 단턱(410c) 위치는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500)의 플레이트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절곡편(420c)을 구성하면 절곡편(420c)의 단턱(410c)이 구조물(500)의 양편 플레이트와 정확히 밀착시켜 긴밀한 형합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500)과 커넥터 플레이트(430c) 간 사이 틈 형성을 억제하여 흔들림 유동을 줄여주고 결합 안정성을 높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가 사용된 이중마루 패널 시공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하는 이중마루 패널 시공예를 제1 및 제2 실시예, 그리고 제3 및 제4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하는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순서는 각 실시예가 유사하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을 수직으로 세우고 그 상부로는 H-빔 또는 I-빔 구조물(500)을 중심으로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400a)를 삽입 설치하기 위하여 커넥터 플레이트(430)(430a)의 단턱(410)(410a)을 끼워 맞추어 고정한다.
그 뒤 커넥터 플레이트(430)(430a)를 지지유닛(300)의 상부 윗면부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440)(440a)에 밀착 고정하고 체결부재(470)(470a)를 통해 각 플레이트 사이 틈 간격이 없이 체결하고, 마지막으로 구조물(500)의 상부에 플로어 패널(100)을 얹고 고정하는 것으로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을 마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의해 시공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지지유닛의 시공도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사용하는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순서는 각 실시예가 유사하다. 도 13 및 17을 참조하면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시공순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실시예를 적용하는 시공순서와 비교할 때 지지유닛(300)과 구조물(500)의 위치가 바뀌고 나머지는 일부 순서를 바꾸거나 변경하는 것으로부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준하는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의해 시공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지지유닛의 시공도는 도 16 및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경우에서나 공통적으로 구조물(500)와 대면하는 지지유닛(300)의 사이에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400a)(400b)(400c)가 개입되어 구조물(500), 지지유닛(300) 상호긴 긴밀한 결속력을 지속시키고, 이들의 결합에 있어서는 뒤틀림, 비평형, 방향성 쏠림, 들뜸 등이 없고 긴밀한 밀착력과 정밀한 설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견고한 시공, 그리고 시공을 간단화하여 시공작업성을 개선하고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에 의하면, H-빔 등의 구조물에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를 접합시켜 구조물의 상,하에 자유롭게 설치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전한 지지유닛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구조물의 하중과 진동에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중마루 패널 시공을 위한 공정의 감소와 공기단축으로 비용절감을 줄이고 시공의 간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중마루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수평부재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부로 슬래브와 기타 부속물을 연결 고정할 수 있고 상부로는 A/F, 기계/장비 등을 평행하게 받쳐주고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구조물에 작용되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피로강도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구조물에 홀을 뚫어 플로어 패널 또는 지지유닛을 볼트로 체결하는 종래의 방식이 아닌 플레이트 간 접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플로어 패널 시공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작업 조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빠른 시간내에 플로어 패널 설치 작업을 마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물과 지지유닛을 결합하는 접합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구조물 표면에 일체의 손상 없이 구조물을 감싸는 커버접합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구조물의 선단에 자유로운 이동과 고정이 가능하고 부품 낙하를 방지하여 시공 중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지지유닛과 구조물의 다양한 접합방식을 작업 조건과 이중마루 패널의 시공 조건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플로어 패널 110: 플랫 패드
200: 기초 바닥 300: 지지유닛
400,400a,400b,400c: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410,410a,410b,410c: 단턱
420,420a,420b,420c: 절곡편
430,430a,430b,430c: 커넥터 플레이트
440,440a,440b,440c: 지지 플레이트
450,450a,450b,450c: 수평면
460,460a,460b,460c: 수직면
470,470a,470b,470c: 체결부재
500: 구조물

Claims (30)

  1.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 상기 플로어 패널(1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 상기 구조물(500)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100); 상기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에 고정되는 절곡편(420)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 및,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를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는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500)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절곡편(420)은 수평면(450)과 수직면(460)으로 양편 방향에 일체형 대칭 상으로 절곡 형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전체 면적 넓이가 상기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해 더 넓은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40)는 체결부재(470)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470)의 체결 위치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절곡편(420)의 수평 단부면을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도록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의 양편 절곡편(420)의 위치는 구조물(500)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70)가 접시머리 나사이고, 그 접시머리 나사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에 사전에 위치결정되어 박혀있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9.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 상기 플로어 패널(1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 상기 구조물(500)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100); 상기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상부 방향으로의 단턱(410a)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420a), 상기 절곡편(420a)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a);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대면하여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a);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a)는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500)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 절곡편(420a)은 수평면(450a)과 수직면(460a)으로 구성되어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에 대칭 상으로 위치하고 분리형으로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전체 면적 넓이가 상기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a)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40a)는 체결부재(470a)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470a)의 체결 위치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절곡편(420a)의 수직편(460a)을 따라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a)의 양편 절곡편(420a)의 단턱(410a) 위치는 구조물(500)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6.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
    상기 지지유닛(300)의 하부를 구조물(500)에 지지 되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100);
    상기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하부 방향으로의 단턱(410b)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에 고정되는 절곡편(420b)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 및, 상기 지지유닛(300)을 상기 구조물(500)에 형합된 커넥터 플레이트(430b)를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상기 지지유닛(300)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b);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b)는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500)에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500)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500)에 결합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절곡편(420b)은 수평면(450b)과 수직면(460b)으로 양편 방향에 일체형 대칭으로 절곡 형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전체 면적 넓이가 상기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40b)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해 더 넓은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b)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40b)은 체결부재(470b)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470b)의 체결 위치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절곡편(420b)의 수평면 단부를 기준으로 안쪽에 형성되도록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b)의 양편 절곡편(420b)의 단턱(410b) 위치는 구조물(500)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470b)가 접시머리 나사이고, 그 접시머리 나사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b)에 사전에 위치결정되어 박혀있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4. 이중마루의 상판을 구성하는 플로어 패널(100)을 기초 바닥(2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간격을 두어 지지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유닛(300);
    상기 지지유닛(300)의 하부를 구조물(500)에 받쳐줄 수 있도록 결합하는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와 형합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500);
    상기 지지유닛(300)의 상부에 안착 되는 플로어 패널(100);
    상기 구조물(500)의 외곽을 감싸는 하부 방향으로의 단턱(410c)을 형성하여 구조물(500)의 양편에 고정되는 절곡편(420c), 상기 절곡편(420c)들을 연결하고 결합하는 커넥터 플레이트(430c);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대면하여 지지유닛(300)을 중심으로 받쳐주기 위해 지지유닛(300)의 하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440c);를 포함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400c)는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구조물(500)과 지지유닛(300)을 결합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500)이 H-빔 또는 I-빔 형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 절곡편(420c)은 수평면(450c)과 수직면(460c)으로 구성되어 대칭 상으로 위치하고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전체 면적 넓이가 상기 지지유닛(300)측 지지 플레이트(430c)의 전체 면적 넓이에 비례하는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40c)는 체결부재(470c)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부재(470c)의 체결 위치는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절곡편(420c)의 수직편(460c)을 따라 위치결정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플레이트(430c)의 양편 절곡편(420c)의 단턱(410c) 위치는 구조물(500)의 최대 폭 위치에 대면하는 위치에 구성된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KR20140030489A 2014-03-14 2014-03-14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KR10148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0489A KR101480875B1 (ko) 2014-03-14 2014-03-14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0489A KR101480875B1 (ko) 2014-03-14 2014-03-14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875B1 true KR101480875B1 (ko) 2015-01-12

Family

ID=5258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0489A KR101480875B1 (ko) 2014-03-14 2014-03-14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22B1 (ko) * 2023-06-13 2023-11-06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코너락 체결구조를 구비한 이중바닥용 각형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174U (ja) * 1992-10-30 1994-05-27 三洋工業株式会社 床支持装置
JPH07292942A (ja) * 1994-04-21 1995-11-07 Ahresty Corp 二重床用支持脚
KR100449679B1 (ko) * 1998-01-28 2004-09-21 스쿼럴 홀딩스 리미티드 레독스 배터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293433B1 (ko) 2012-08-08 2013-08-12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174U (ja) * 1992-10-30 1994-05-27 三洋工業株式会社 床支持装置
JPH07292942A (ja) * 1994-04-21 1995-11-07 Ahresty Corp 二重床用支持脚
KR100449679B1 (ko) * 1998-01-28 2004-09-21 스쿼럴 홀딩스 리미티드 레독스 배터리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293433B1 (ko) 2012-08-08 2013-08-12 주식회사 해광 플로어 패널용 지지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22B1 (ko) * 2023-06-13 2023-11-06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코너락 체결구조를 구비한 이중바닥용 각형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44093A (ja) 接続装置
KR101499111B1 (ko) 물탱크용 하이브리드 기초
KR101480875B1 (ko)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JP5814770B2 (ja) 防振架台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JP2014103334A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JP4537884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におけるベース構造
KR101833293B1 (ko) 이중 바닥 패널 지지용 포스트
JP6446346B2 (ja) 斜め柱の設置方法
KR20150007372A (ko) 선박용 액세스 플로어의 지지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100863256B1 (ko) 이중 바닥 구조
KR20150016009A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구조물
JP534168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JP2017066736A (ja) 連結構造
KR101620044B1 (ko) 액세스 플로어 설치용 패드 고정 구조
KR101480878B1 (ko) 이중마루 패널 설치용 포스트 플레이트 조인트
JP7117190B2 (ja) ナット取付構造及び建物
JP5042811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KR101975475B1 (ko)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모듈형 마루틀 시스템
JP5133184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架台
JP5965690B2 (ja) 支柱立設具
JP5844781B2 (ja) 太陽電池架台と鋼管杭の接合構造および杭頭キャップ金物
JP5539255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支持構造
JP2021031861A (ja) ユニット建物
JP5711460B2 (ja) 締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