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478A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478A
KR20160148478A KR1020160074684A KR20160074684A KR20160148478A KR 20160148478 A KR20160148478 A KR 20160148478A KR 1020160074684 A KR1020160074684 A KR 1020160074684A KR 20160074684 A KR20160074684 A KR 20160074684A KR 20160148478 A KR20160148478 A KR 2016014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nformation
control command
elevator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안웨이 자오
창 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6014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2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assengers present in the elevator car to be al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23Taking into account the separation of passengers or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5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input of special passenger or passenger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B66B2201/4669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using passenger condition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엘리베이터 제공 기술 분야에 속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차체 및 엘리베이터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객 대기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승객 대기 영역의 제 1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제 1 정보 수집 디바이스; 상기 차체 안의 제 2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되는 제 2 정보 수집 디바이스; 상기 제 1 승객 특성 정보 및 제 2 승객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분석 및 처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승객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 디스패칭에 대한 제 1 제어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분류 내의 승객들에 대하여 적용가능한 제 2 제어 명령을 추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승객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제어 명령을 동적으로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도로 지능적이고 탁월한 승차 경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ELEV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제어 기술 분야와 관련되며, 승객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과 관련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다양한 건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사람들은 더 나은 엘리베이터 탑승 경험을 계속 추구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우수한 탑승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가 건물에 대한 또는 심지어 건물 내 회사에 대한 승객의 첫인상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종종, 기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객의 종래의 요구만 충족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승객이 대기 영역에서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전송할 때,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일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카(car)의 운행을 스케줄링함으로써, 비교적 표준화된 동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또한 VIP에게 대응하는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덧붙여, 낮은 동작 효율을 가지며, 잠재적인 안전 위험 또는 이미 발생한 안전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없고, 충분히 지능적이지 않다.
상기의 내용에 비추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예를 들면,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기 시작한 때부터 엘리베이터를 떠날 때까지 프로세스 전체에서 VIP-레벨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을 더 지능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사용자의 엘리베이터 탑승 경험을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카(car)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객 대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승객 대기 영역의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제1 정보 수집 장치,
상기 카 내부에서 적어도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제2 정보 수집 장치,
적어도 제1 승객 특성 정보 및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파송(dispatch)하기 위한 제1 제어 명령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분류에 속하는 승객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제2 제어 명령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3 제어 명령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승객 대기 영역의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카(car) 내부의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파송(dispatch)하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대기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분류의 승객에게 적용 가능한 제2 제어 명령어를 더 송신하는 단계,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3 제어 명령어를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완전해지고 더 명확해질 것이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듈식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3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승객 대기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승객 탑승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승객 도착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복수의 가능한 실시예 중 일부가 기재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것이고 핵심적인 또는 주요 요소를 확정하려는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따라 그 밖의 다른 대체 가능한 구현을 제안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특정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예시적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전부인 것으로 해석되거나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한정 또는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에서 기재의 명료성을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든 부분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완전히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부분을 강조한다.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많은 부분의 동작이 익숙하고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승객 대기 영역(passenger waiting area)" 및 "승객 도착 영역(passenger arriving area)"은 승객의 엘리베이터 탑승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정의된다. 하나의 층이 하나의 엘리베이터 탑승 프로세스에서 "승객 대기 영역"이거나 또 다른 엘리베이터 탑승 프로세스에서 "승객 도착 영역"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듈식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주로 정보 수집 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집 장치(110)는 승객 대기 영역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190)에 설치되거나 승객에 의해 반송되거나, 승객 도착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정보 수집 장치(110)는 승객 대기 영역, 카 내부, 및 승객 도착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정보 수집 장치(111), 제2 정보 수집 장치(112), 및 제3 정보 수집 장치(113)를 포함한다.
도 2는 제1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하고, 도 3은 제2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하며, 도 4는 제3 정보 수집 장치의 설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모두 참조하면, 한 명 이상의 승객(90)이 한 시간 주기 동안 승객 대기 영역(81) 내에 존재할 수 있고, 특히, 승객(90)은 서로 다른 신원을 가지며, 어린이, 노인 및 성인을 포함할 수 있고 VIP 또는 비-VIP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데 서로 다른 요구를 가진다. 제1 정보 수집 장치(111)는 승객 대기 영역(81)에 설치되어 이의 모니터링 범위 내에서 승객(90)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승객 특성 정보(711)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객 특성 정보(711)는, 비제한적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승객의 수, 승객이 내는 소리의 정보, 시간 정보, 승객 체형 정보, 승객이 지니는 물건의 형태, 승객 무리 밀도 및/또는 승객 신원 정보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모두 참조하면, 하나의 시간 주기 동안 한 명 이상의 승객(90)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190)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제2 정보 수집 장치(112)는 카(190) 내부에 설치되며 카(190) 내부의 승객(90)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승객 특성 정보(712)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객 특성 정보(712)는, 비제한적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를 탑승하는 승객의 수, 승객이 내는 소리의 정보, 시간 정보, 승객이 지니는 물품의 형태, 승객 무리 밀도 및/또는 승객 신원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정보 수집 장치(111)/제2 정보 수집 장치(112)가 하나 이상의 3D 센서, 가령, RGB-D(삼원색과 거리) 센서이거나, 2D 스마트 IP 카메라일 수 있다. 승객에서 다양한 스마트 단말기의 적용이 점점 광범위해짐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해 승객 신원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정보 수집 장치(111)/제2 정보 수집 장치(112)는 또한 승객이 지니는 웨어러블 스마트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고, 스마트 단말기는, 비-제한적 예를 들어, 승객의 승객 특성 정보를 적어도 저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승객의 VIP 신원 정보를 레이블링하는 RFID 카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판독하기 위해 대응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스마트 단말기를 장치에 가까이 위치시킬 때 승객 신원 정보가 편리하게 획득될 수 있다. 출원인은 승객 신원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관련하여, 스마트 단말기가 3D 센서 또는 2D 스마트 IP 카메라보다 더 정확하고 편리하다고 이해한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정보 수집 장치(111)/제2 정보 수집 장치(112)는 3D 센서 및 2D 스마트 IP 카메라 중 임의의 것과 승객이 지니는 스마트 단말기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하나의 시간 주기 동안 승객 도착 영역(82)에서 한 명 이상의 승객(90)이 카(car)로부터 나올 수 있고, 특히, 승객(90)들은 서로 다른 신원을 가지며 VIP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VIP 서비스가 VIP에 제공되고, 제3 정보 수집 장치(113)가 승객 도착 영역(82)에 설치되며, 이의 모니터링 범위 내에서 도착하는 승객(90)의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승객 특성 정보(713)를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승객 특성 정보(713)는, 비-제한적 예를 들면, 승객 신원 정보 등을 포함한다.
승객 도착 영역(82)이 동일한 층의 승객 대기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고려함으로써, 제3 정보 수집 장치(113)가 제1 정보 수집 장치(111)와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3 정보 수집 장치(113)는 도착하는 승객(90)에 대해 안면 이미지 획득 및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승객 특성 정보(713)를 획득하는 3D 센서 또는 2D 스마트 IP 카메라일 수 있고,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3 정보 수집 장치(113)는 스마트 단말기, 가령, RFID 카드일 수 있으며, 승객(90)의 신원 정보와 관련된 승객 특성 정보(713)가 스마트 단말기를 직접 판독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VIP의 다음 엘리베이터 탑승을 위해 대응하는 특수 서비스가 차후 제공될 것이다.
제1 정보 수집 장치(111), 제2 정보 수집 장치(112), 및/또는 제3 정보 수집 장치(113)의 특정 설치 위치가 한정 사항이 아니며, 승객 특성 정보를 더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 특정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주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를 포함하고, 정보 수집 장치(110)로부터 획득된 승객 특성 정보(711), 승객 특성 정보(712), 및 승객 특성 정보(713)가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 전송되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가 이들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집합적으로 설정되거나, 각각의 정보 수집 장치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모든 정보 수집 장치(110)가 RGB-D 센서인 예시에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RGB-D 센서에 대응하는 PC 서버일 수 있고, 수집된 다양한 이미지 정보가 면밀한 분석 및 처리를 위해 PC 서버로 송신되어, 중간 처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처리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제어 명령어(610)가 생성된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스마트 제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핵심 부분이며, 이로 인해 전송되는 서로 다른 제어 명령어(610)를 통해 개인화된 훌륭한 탑승 경험이 승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예시를 들어 기재될 것이며, 동시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예시를 들어 기재될 것이다.
도 5는 승객 대기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며, 도 6은 승객 탑승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며, 도 7은 승객 도착 스테이지에 대응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의 작동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객(90)이 엘리베이터 대기 영역(81) 내 대기 스테이지에 있고, 승객 특성 정보(711)가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 전송된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적어도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기초로, 승객 유동 예측(passenger flow prediction)을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dispatch)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 특성 정보(711)는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승객 유동 예측 모듈(121)이 제공된다. 긴 시간 주기 내에 획득된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 예를 들어, 승객 유동량 곡선에 따라, 승객 유동 예측 모듈(121)은,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기초로, 다음 시간 주기에서 승객수를 예측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객 유동 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승객 유동 예측 모듈(121)은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하기 위한 명령어(611a)를 더 송신한다. 건물 내 엘리베이터 승객이 실질적으로 고정적인 때(가령, 사무실 건물), 특히, 엘리베이터 승객의 활동에 특정 규칙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탑승의 피크(peak) 및 밸리(valley)가 정확히 예측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탑승 피크 전에 명령어(611a)가 송신되어, 대응하는 층의 승객 대기 영역으로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엘리베이터의 동작 효율을 개선하는 데 바람직하다. 건물 내 엘리베이터 승객이 비교적 고정적이 아닐 때라도, 승객 유동 예측 모듈(121)은 과거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고, 따라서 특정 규칙을 갖는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획득하고, 승객-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기초로, 엘리베이터 탑승 피크 전에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하기 위한 명령어(611a)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혼잡도 추정 모듈(crowdedness estimation module)(122)을 더 포함하고, 승객 특성 정보(711)는 현재 시간 주기 동안 승객수 및 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승객 특성 정보(711)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승객 대기 영역(81)의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명령어(611b)를 송신하도록 사용되며, 상기 명령어(611b)는 승객 대기 영역으로의 엘리베이터의 파송을 가속 및/또는 승객 대기 영역으로 파송되는 엘리베이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승객이 기다리고 있을 때 승객의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동작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명령어(611a 및 611b)가 주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의해 확인부(confirmation part)(130)로 송신되는 제어 명령어(611)를 형성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승객 분류를 수행하고, 따라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승객 정보 분류 모듈(123)이 제공되며, 상기 승객 정보 분류 모듈(123)은 승객 특성 정보(711)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승객 분류 정보를 적어도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승객 정보 분류 모듈(123)에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1), 승객 성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2),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 및 승객 특정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4)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1)은 승객 특성 정보(711)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도록 사용된다, 가령, 승객 특성 정보(711)에서 승객 체형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승객이 아동, 성인 및 노인의 세 가지 승객 분류 중 하나인지를 식별함으로써, 아동, 성인 및 노인의 분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류 정보가 적어도 노인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현재 대기하는 승객이 노인을 포함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1)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림 및 대기 시간을 연장하거나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문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명령어(612a)를 송신한다. 따라서 노인 승객에게 우수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고, 위험한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분류 정보가 아동 분류 정보뿐일 때, 현재 대기 중인 승객은 아동이고 대응하는 보호자가 동반하지 않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1)이 현재 승객 대기 영역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한 명령어(612a)을 송신한다. 따라서, 아동이 엘리베이터에 혼자 탑승하지 못하게 직접 방지되고, 위험한 사고가 미리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객 성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2)은 승객 특성 정보(711)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남성 및 여성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승객 특성 정보(711)에서 승객 체형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고, 따라서 각각의 승객의 성별을 실질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분류 정보는, 비-제한적 예를 들면, 현재 남성/여성 승객의 수 및 여성 승객에 대한 남성 승객의 수의 비일 수 있다. 승객 성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2)은, 여성에 대한 남성의 비 분류 정보를 기초로, 승객 대기 영역 및/또는 카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레이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612b)를 더 송신한다. 예를 들어, 명령어(612b)를 기초로, 분류된 여성 승객이 분류된 남성 승객보다 많을 때, 승객 대기 영역 및/또는 곧 도착할 카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엔터테인먼트 뉴스, 광고 또는 쇼핑 가이드 정보를 플레이하도록 전환될 수 있고, 분류된 남성 승객이 분류된 여성 승객보다 많을 때, 승객 대기 영역 및/또는 곧 도착할 카 내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포츠 뉴스를 플레이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령어(612b)를 기초로,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대부분의 승객에 대해 적용 가능하여, 더 우수한 경험을 이끈다.
구체적으로,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은 승객 특성 정보(711)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도록 사용되어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관리 직원이 대응하는 RIFD 카드 또는 스마트 장치를 VIP 또는 이의 수행원에게 발급하여, 이들의 신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VIP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카드를 긁을 때(swipe), 승객 특성 정보(711)는 이들의 신원 정보를 포함할 것이며, 따라서 이들이 VIP에 속한다는 분류 정보가 빠르게 인식될 수 있다.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에 의해 획득된 분류 정보가 VIP 분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때, VIP가 현재 엘리베이터를 타기를 원함을 가리키고,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은 특수 엘리베이터를 승객의 대기 영역으로 파송하기 위한 명령어(612c)를 송신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VIP에게 우수한 탑승 경험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승객 특정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4)이 승객 특성 정보(711)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승객, 가령, 장애인, 유모차를 운반하는 사람, 또는 대형 짐 또는 짐 카트를 운반하는 사람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현재 대기 홀에 있으며 특정 탑승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특정 승객, 가령, 장애인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고, 승객 특정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4)은 명령어(612d)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명령어(612d)가 예를 들어, 특수 엘리베이터를 승객 대기 영역으로 파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또 다른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림 및 대기 시간을 연장하거나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닫힘 속도를 늦추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수한 탑승 경험이 특정 승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612a, 612b, 및 612c)는 주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의해 확인부(130)로 송신되는 제어 명령어(612)를 형성한다. 명령어(612a, 612b, 및 612c) 중에서, 서로 다른 카(car)가 동시에 제어되거나 동일한 카가 서로 다른 시간 주기에서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양한 명령어(612a 및 612b)의 존재에 의해, 대응하는 분류된 승객에 대해 적용 가능한 명령어가 승객 특성 정보에 따라 송신될 수 있고,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이 다양한 분류된 승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승객(90)이 카(190) 내부에 있는 탑승 스테이지에서, 승객 특성 정보(712)가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 송신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카 내부의 승객들이 중량초과인 경우, 과적 동작이 발생했음을 가리키고, 따라서 다음 동작 프로세스에서 다른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이 무시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190) 내부의 승객(90)이 물건(901), 가령, 짐 또는 유모차를 지닐 수 있다. 지니는 물건(901)은 상기 카 내부에서 넓은 공간을 점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과적되지 않지만, 카(190)는 실제로 승객 및 승객이 지니는 물건(901)으로 채워지며 결과적으로 실제로 추가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점유된 공간 정보가 제2 정보 수집 장치(112)에 의해 승객 특성 정보(712)의 일부로서 수집되고 동시에 공간 점유 분석 모듈(124)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 도입되며, 이로 인해, 카 공간이 완전히 점유됐을 때, 통과하는 다른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이 무시될 수 있다. 특히, 공간 점유 분석 모듈(124)은 승객 특성 정보(712) 내 적어도 점유된 공간 정보(가령, 지니는 물건이 존재할 때 상기 지니는 물건(901)이 점유하는 공간을 분석)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여, 카(190)의 공간 점유 정도를 획득할 수 있고, 공간 점유 정도가 지정 값과 동일하거나 더 클 때 카는 완전히 점유되었다고 나타나며, 이때 카는 "완전히 적하"되었다고 나타나고, 공간 점유 분석 모듈(124)은 다른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한 명령어(613a)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190)의 실시간 공간 점유 상황에 따라 명령어(613a)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카(190)로의 불필요한 동작 인터럽트를 방지하고, 엘리베이터의 동작 효율을 개선하며, 또한 승객 경험을 개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의 현재 적하 정보가 추가로 조합될 수 있는데, 즉, 공간 점유 정보 및 현재 적하 정보가 조합되어, 두 조건 중 어느 하나가 이의 대응하는 지정 값 이상일 때, 또는 두 조건 모두 각자의 대응하는 지정 값 이상일 때 "완전히 적하"됐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카가 "완전히 적하"됐다고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포함되는 혼잡도 추정 모듈(122)이 사용되어, 승객 특성 정보(712)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카(190) 내부의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또한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카 내부의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ing device)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613b)를 송신할 수 있다.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는 카(190) 내부의 혼잡도를 반영할 수 있다. 사람들로 혼잡할 때, 카(190) 내부에서 공기 및 온도를 제어할 필요성이 더 높아진다. 혼잡도는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데, 가령,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가 지정 값 이상일 때, 명령어(613b)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151)으로 송신되어, 카(190) 내의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더 신선한 공기를 이송하고 냉방 또는 난방 파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명령어(613b)는 분석으로부터 획득되는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을 위한 안락함 정도가 크게 개선된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HVAC 시스템(151)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로 직접 연결되고,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HVAC 시스템(151)은 제어 명령어 변환 장치(140)로 직접 연결될 수 있고(도 1의 점선 연결 참조), 이때, HVAC 시스템(151)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될 수 있고,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HVAC 시스템(151)은 건물 중앙 집중 관리 및 제어 플랫폼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는 또한 건물 중앙 집중 관리 및 제어 플랫폼으로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 및 HVAC 시스템(151)이 건물 중앙 집중 관리 및 제어 플랫폼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HVAC 시스템(151)의 특정 형태의 분포 및 설정이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도 3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는 승객 특성 정보(712)를 수신하고, 상기 승객 특성 정보(712)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며, 그 후 승객(90)이 카(190)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카(190) 내부에 어떠한 승객도 없을 때, 카로부터의 수송 요청을 무시하는 명령어(613c)를 더 송신하는 빈 상태 결정 모듈(vacancy determining module)(126)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190) 내부의 패널(191) 상에 올바르지 않은 이송 요청 명령어가 존재할 때라도, 가령, 카(190) 내부에 어떠한 사람도 없을 때 일부 층에 대한 수송 요청이 패널(191) 상에서 여전히 활성화되는 경우라도, 현재 카(190)에 어떠한 승객(90)도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수송 요청이 실제는 무효하다는 것이 빈 상태 결정 모듈(126)에 의해 지능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카 내부에서 활성화된 수송 요청을 무시하기 위한 명령어(613c)가 송신되어, 불필요한 동작을 피하고, 효율을 개선하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덧붙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어떠한 승객도 카(190)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될 때, 빈 상태 결정 모듈(126)은 카 내부의 조명 장치(192)를 끄거나 어둡게 하기 위해 명령어(613c)를 더 송신한다.
도 1, 도 3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승객 특성 정보(712)를 수신하고, 상기 승객 특성 정보(712)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며, 카(190) 내의 승객(90)의 안전 상황을 결정하는 안전 문제 분석 모듈(127)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더 제공되며, 상기 안전 문제 분석 모듈(127)은, 승객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적어도 알람(alarm)을 출력하기 위해 명령어(613d)를 더 송신한다. 특히, 위험 상황의 비-제한적 예를 들면, 승객 대상 범죄 행위, 승객으로부터의 이상 소리(가령, 울음, 비명 등), 아동 홀로 엘리베이터 탑승, 승객 낙상 등이 있다. 정보, 예컨대, 승객의 소리, 체형, 조명의 켜짐/꺼짐 등이 제2 정보 수집 장치(112) 내 3D 센서 또는 SMART IP CAMERA(스마트 IP 카메라)에 의해 승객 특성 정보(712)로서 수집될 수 있다. 알람을 필요로 하는 위험 상황의 구체적 정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특성 정보(712)가 분석 및 처리를 위해 수집되어 안전한 상황의 비교적 정확한 결정을 획득할 수 있다.
명령어(613d)를 신속하게 송신함으로써, 신속한 알람을 촉진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신속하게 방지한다.
또한, 안전 문제 분석 모듈(127)에 의해 송신되는 명령어(613d)는 지정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190) 내 승객(90)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엘리베이터가 비교적 안전한 지정 층으로 자동으로 운행되고, 이는 신속한 소집 행위를 촉진하고 승객 안전을 보장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명령어(613a, 613b, 613c, 및 613d)가 주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의해 확인부(130)로 송신되는 제어 명령어(613)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도 1, 도 4 및 도 7을 참조할 때, 승객(90)이 도착 영역(82) 내에 있는 도착 스테이지에서, 제3 정보 수집 장치(113)에 의해 획득되는 승객 특성 정보(713)가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 송신된다. 제3 승객 특성 정보(1233)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더 수행하여,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이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 밖으로 걸어 나오는 승객(90)에 대해 신원 확인이 수행될 수 있고, 분류 정보가 VIP 분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고, 이 정보가 VIP 승객이 층에 도착했음을 가리킬 때,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1233)이 특수 엘리베이터를 승객 도착 영역의 대응하는 층으로 파송하기 위한 명령어(614a)를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VIP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다시 잡기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들의 탑승 경험이 개선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VIP 승객을 서비스하기 위해 특수 엘리베이터가 파송될 때, 빈 상태 결정 모듈(126)에 의해 빈 상태라고 결정된 카(190)가 대응하는 대기 영역 또는 도착 영역으로 파송될 수 있으며, 이는 비교적 엘리베이터의 전체 수송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명령어(614)는 주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의해 확인부(130)로 송신되는 제어 명령어(613)를 형성한다(도 1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확인부(130)가 더 제공된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의 각각의 모듈 또는 서브 모듈에 의해 앞서 설명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상황의 결정의 확인(confirmation)을 개선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한 올바르지 않은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수동 확인을 위한 확인부(13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30)는 제1 정보 수집 장치 및/또는 제2 정보 수집 장치가 각각 획득하는 제1 승객 특성 정보 및/또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명령어가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에 의해 송신되는 것을 중단, 가령, 제어 명령어(611, 612, 및 613)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로 추가로 송신되는 것을 중단할지에 대한 수동 결정을 수행한다. 안전 문제 분석 모듈(127)에 의해 송신되는 명령어(613d)를 예를 들면, 명령어(613d)가 확인부(130)로 송신되고, 카(190) 내부의 획득된 승객 특성 정보(712), 가령, 비디오 정보가 또한 확인부(130)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송신되고, 조작자가, 확인부(130)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상의 승객 특성 정보(712)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명령어(613d)가 카(190) 내 현재 실제 상황에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적합하지 않은 경우, 명령어(613d)의 송신을 중단하고 오경보(false alarm) 및 그 밖의 다른 동작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제어 명령어 변환 장치(140)가 더 제공되며, 상기 제어 명령어 변환 장치(140)는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로부터의 제어 명령어(610)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들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에 의해 판독 가능한 명령어 메시지로 변환한다. 제어 명령어 변환 장치(140)의 제공에 의해, 기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와 호환되도록 변환하는 것이 더 용이해 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센터이고 다양한 명령어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들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50)의 특정 유형 및 구성은 제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승객 특성 정보"는 "승객"의 신체 정보에 한정적이지 않으며 승객과 관련된 모든 특성 정보, 가령, 복장, 지니는 물건, 승객 주위 환경의 특성이 "승객 특성 정보"로 간주될 수 있다.
하나의 부분이 또 다른 부분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청구될 때, 이는 또 다른 부분으로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거나, 중간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하나의 부분이 또 다른 부분으로 "직접 연결" 또는 "직접 결합"된다고 청구될 때, 어떠한 중간 부분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예시는 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만 기재되었지만,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그 밖의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120)의 모듈 또는 서브-모듈이 삭제된다. 따라서 도시된 예시 및 실시예는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 및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6)

  1. 카(car)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객 대기 영역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승객 대기 영역의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제1 정보 수집 장치,
    상기 카 내부에서 적어도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제2 정보 수집 장치,
    적어도 제1 승객 특성 정보 및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파송(dispatch)하기 위한 제1 제어 명령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분류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분류에 속하는 승객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제2 제어 명령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더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3 제어 명령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동적으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정보 수집 장치/제2 정보 수집 장치는 3D 센서, 2D 스마트 IP 카메라 또는 승객이 지니는 웨어러블 스마트 단말기(wearable smart terminal), 또는 3D 센서 및 2D 스마트 IP 카메라 중 하나와 승객이 지니는 웨어러블 스마트 단말기의 조합이며,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단말기는 적어도 승객의 신원 정보를 저장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웨어러블 스마트 단말기는 RFID 카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승객이 VIP인지 여부와 관련된 제1 승객 특성 정보가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된 신원 정보를 통해 획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는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passenger flow quantity-time distribution informa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적어도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기초로, 승객 유동 예측을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하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승객 유동 예측 모듈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승객 대기 영역의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고,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승객 대기 영역으로의 엘리베이터의 파송을 가속 및/또는 상기 승객 대기 영역으로 파송되는 엘리베이터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제1 혼잡도 추정 모듈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승객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승객 정보 분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승객 정보 분류 모듈은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아동, 성인 및 노인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남성 및 여성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승객 성별 정보 분류 서브-모듈,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장애인, 유모차를 지니는 사람, 또는 대형 짐 또는 짐 카트를 지지는 사람을 포함하는 특정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승객 특정 정보 분류 서브-모듈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은
    분류 정보가 아동 분류 정보만일 때, 현재 승객 대기 영역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연령 정보 분류 서브-모듈은
    분류 정보가 적어도 노인 및/또는 특정 승객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림 및 대기 시간을 연장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은
    분류 정보가 적어도 VIP 또는 특정 승객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특수 엘리베이터를 승객 대기 영역으로 파송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성별 정보 분류 서브-모듈은
    여성에 대한 남성의 비 분류 정보를 기초로, 승객 대기 영역 및/또는 카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레이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제2 승객 특성 정보는 점유 공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적어도 제2 승객 특성 정보 내 점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분석을 수행하여, 카의 공간 점유 정도를 획득하고, 상기 공간 점유 정도가 지정 값 이상일 때 타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공간 점유 분석 모듈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카의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카 내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제2 혼합도 추정 모듈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카 내에 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사용되고, 카 내에 어떠한 승객도 없을 때, 카로부터의 수송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빈 상태 결정 모듈(vacancy determining module)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빈 상태 결정 모듈은, 카 내에 어떠한 승객도 없을 때, 카 내의 조명 장치를 끄거나 어둡게 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카 내의 승객의 안전 상황을 결정하도록 사용되고, 상기 카 내의 승객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적어도 알람(alarm)을 출력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안전 문제 분석 모듈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문제 분석 모듈은, 카 내의 승객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지정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더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 및/또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1 제어 명령어, 제2 제어 명령어 및/또는 제3 제어 명령어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중단할지 여부를 수동으로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인부(confirmation part)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명령어, 제2 제어 명령어 및/또는 제3 제어 명령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판독 가능한 명령어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명령어 변환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객 도착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카 내부에서 승객 도착 영역까지의 승객의 제3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제3 정보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장치는 제3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부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도록 사용되는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승객 중요도 정보 분류 서브-모듈은
    분류 정보가 적어도 VIP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승객의 도착 영역에 대응하는 층으로 특수 엘리베이터를 파송하기 위해 제4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2.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승객 대기 영역의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적어도 카(car) 내부의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를 파송(dispatch)하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적어도 대기 승객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대응하는 분류의 승객에게 적용 가능한 제2 제어 명령어를 더 송신하는 단계,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3 제어 명령어를 동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는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승객 유동 예측이 적어도 승객 유동량-시 분포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어, 엘리베이터를 미리 파송하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승객 대기 영역의 승개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승객 대기 영역으로의 엘리베이터의 파송을 가속 및/또는 승객 대기 영역으로 파송되는 엘리베이터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제어 명령어가 더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아동, 성인 및 노인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분류 정보가 아동 분류 정보만일 때, 현재 승객 대기 영역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며, 분류 정보가 적어도 노인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림 및 대기 시간을 연장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닫힘 속도를 늦추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남성 및 여성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여성에 대한 남성의 비 분류 정보를 기초로 승객 대기 영역 및/또는 카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레이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고, 분류 정보가 적어도 VIP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승객의 대기 영역으로 특수 엘리베이터를 파송하기 위해 제2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 승객 특성 정보 내 점유 공간 정보를 기초로 분석이 수행되어, 카의 공간 점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간 점유 정도가 지정 값 이상일 때 타 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호출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카의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획득하고, 승객 혼잡도 추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 내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더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카 내에 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결정되며, 카 내부에 어떠한 승객도 없을 때 카로부터의 수송 요청을 무시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더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카 내에 어떠한 승객도 없을 때, 카 내부의 조명 장치를 끄거나 어둡게 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더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2. 제22항에 있어서,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처리가 수행되어, 카 내 승객의 안전 상황을 결정하고, 상기 승객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적어도 알람(alarm)을 출력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더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승객이 위험 상황에 있다고 결정될 때 지정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제3 제어 명령어가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제1 승객 특성 정보 및/또는 제2 승객 특성 정보를 기초로, 제1 제어 명령어, 제2 제어 명령어 및/또는 제3 제어 명령어를 중단할지 여부를 수동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5. 제22항에 있어서, 제1 제어 명령어, 제2 제어 명령어 및/또는 제3 제어 명령어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판독 가능한 명령어 메시지로 변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36. 제22항에 있어서,
    적어도 카 내부로부터 승객 도착 영역으로의 승객의 제3 승객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승객 특성 정보에 대해 분석 및 처리를 수행하여 VIP 및 비-VIP의 분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분류 정보가 적어도 VIP 분류 정보를 포함할 때, 승객의 도착 영역에 대응하는 층으로 특수 엘리베이터를 파송하기 위해 제4 제어 명령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60074684A 2015-06-16 2016-06-1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48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331415.1A CN106315316A (zh) 2015-06-16 2015-06-16 一种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CN201510331415.1 2015-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478A true KR20160148478A (ko) 2016-12-26

Family

ID=5613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84A KR20160148478A (ko) 2015-06-16 2016-06-15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13417B2 (ko)
EP (1) EP3106416B1 (ko)
KR (1) KR20160148478A (ko)
CN (1) CN106315316A (ko)
ES (1) ES275475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2357A1 (en) * 2013-02-07 2014-08-14 Kone Corporation Personalization of an elevator service
US10532909B2 (en) * 2014-11-03 2020-01-1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assenger tracking control and call cancellation system
CN106144862B (zh) * 2015-04-03 2020-04-1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乘客运输门控制的基于深度传感器的乘客感测
CN106144861B (zh) * 2015-04-03 2020-07-2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乘客运输控制的基于深度传感器的乘客感测
CN106144801B (zh) * 2015-04-03 2021-05-18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特殊乘客运输工具负载状况的基于深度传感器的感测
CN112850406A (zh) 2015-04-03 2021-05-28 奥的斯电梯公司 用于乘客运输的通行列表产生
US20180237259A1 (en) * 2017-02-22 2018-08-23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detecting trapped passengers in elevator car
US10259683B2 (en) * 2017-02-22 2019-04-16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JP6619760B2 (ja) * 2017-03-06 2019-12-1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自律ロボットの制御方法
US10544007B2 (en) * 2017-03-23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isk-aware management of elevator operations
US10358318B2 (en) * 2017-04-10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ve analytics to determine elevator path and staging
CN107010503A (zh) * 2017-04-20 2017-08-04 安徽瑞隆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止宠物独自乘坐电梯方法和系统
US10266370B2 (en) * 2017-04-24 2019-04-23 Thyssenkrupp Elevator A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ndering of walking path maps for elevator car assignment display
CN106976768A (zh) * 2017-05-25 2017-07-25 广州日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及方法
CN107055228A (zh) * 2017-06-05 2017-08-18 合肥市闵葵电力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的声控系统
JP6800811B2 (ja) * 2017-06-15 2020-12-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利用者案内システム
CN107244599A (zh) * 2017-06-26 2017-10-13 广东工匠特种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梯
JP6786459B2 (ja) * 2017-09-15 2020-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ル管理システム装置
CN109678015A (zh) * 2017-10-11 2019-04-26 上海峰景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控制电梯运行模式的系统
US11024105B1 (en) * 2017-10-16 2021-06-01 Cybra Corporatio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CN108006910B (zh) * 2017-11-24 2020-07-17 广州广日电气设备有限公司 电梯空调的控制方法和控制系统、电梯空调控制装置
CN109941852A (zh) 2017-12-20 2019-06-28 奥的斯电梯公司 自动呼梯系统和自动呼梯控制方法
CN108564146A (zh) * 2018-01-05 2018-09-21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自动召梯的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275071B (zh) * 2018-02-12 2023-09-08 吉林大学 一种防止车内婴幼儿受困死亡的系统及控制方法
EP3543189B1 (en) * 2018-03-19 2022-07-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operation based on its occupancy
US11993483B2 (en) * 2018-04-19 2024-05-28 Otis Elevator Company E-call registration for elevator
CN110407040B (zh) * 2018-04-27 2023-04-1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服务请求的无线信号装置、系统和方法
CN110510486B (zh) * 2018-05-21 2023-03-14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门控制系统、电梯系统和电梯门控制方法
CN110626891B (zh) 2018-06-25 2023-09-05 奥的斯电梯公司 用于改进的电梯调度的系统和方法
US11667498B2 (en) * 2018-06-29 2023-06-06 Otis Elevator Company Auto adjust elevator door system
CN108946349A (zh) * 2018-07-23 2018-12-07 广州跨行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人脸识别和云视频对讲的电梯控制系统及其实施方法
CN110807345A (zh) 2018-08-06 2020-02-18 开利公司 建筑物疏散方法和建筑物疏散系统
US11332345B2 (en) * 2018-08-09 2022-05-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ptimized door response
US11535489B2 (en) 2018-08-10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lls from a wearable based on health profile
CN109063168A (zh) * 2018-08-16 2018-12-21 北京此时此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公共信息提示的方法和系统
CN109095303A (zh) * 2018-09-27 2018-12-28 迅立达智能装备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梯控制方法
EP3628620B1 (en) 2018-09-27 2023-04-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11542120B2 (en) * 2018-10-24 2023-01-03 Otis Elevator Company Associated mobile elevator calls
JP6679150B1 (ja) * 2019-01-08 2020-04-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693980B (zh) * 2019-02-21 2021-03-19 联想(北京)有限公司 电梯调度方法、装置及系统
CN110127467B (zh) * 2019-04-02 2022-11-1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控制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US11724909B2 (en) * 2019-04-18 2023-08-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ignment based on a detected number of waiting passengers
CN110282512B (zh) * 2019-07-08 2022-09-2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系统及方法
WO2021070256A1 (ja) * 2019-10-08 2021-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混雑度判定装置および昇降機運転制御システム
CN114555504B (zh) * 2019-10-11 2022-09-27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系统
JP7219695B2 (ja) * 2019-11-21 2023-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CN111392529A (zh) * 2020-03-20 2020-07-10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备用电梯的控制方法及具有备用电梯的电梯系统
WO2021240049A1 (en) * 2020-05-29 2021-12-02 Kone Corporation Elevator access control
CN111994747B (zh) * 2020-08-31 2023-10-17 通力电梯有限公司 用于电梯人流引导的方法和系统
US20220144583A1 (en) * 2020-11-06 2022-05-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response to custom passenger attributes
CN112478963A (zh) * 2020-12-11 2021-03-12 小爱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辅助系统及电梯控制方法
CN115246605B (zh) * 2021-08-30 2023-09-19 菱王电梯有限公司 电梯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879925B (zh) * 2021-09-10 2023-05-23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电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896063B (zh) * 2021-10-25 2023-06-27 嘉兴科纳沃川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ai智能的电梯智能调度系统
CN114604704A (zh) * 2021-11-29 2022-06-10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一种基于厅外检测的电梯派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3292A (ja) * 1988-06-09 1989-12-18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荷重分布検出装置
JPH03172294A (ja) 1989-11-28 1991-07-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防犯装置
US5258587A (en) 1992-08-10 1993-11-02 Otis Elevator Company Estimating elevator passengers from gender ratioed weight
US5387768A (en) * 1993-09-27 1995-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assenger detector and door control system which masks portions of a hall image to determine motion and court passengers
US5487451A (en) * 1994-01-26 1996-01-30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availability of an elevator car for response to hall calls
US6109396A (en) * 1998-11-09 2000-08-29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elevator call placement with provisional call verification
US6615175B1 (en) 1999-06-10 2003-09-02 Robert F. Gazdzinski “Smart” elevator system and method
US6578675B2 (en) 2000-12-06 2003-06-17 Elevator Channel, Llc, The Elevator information and advertising delivery system
US7079669B2 (en) * 2000-12-27 2006-07-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vator mounting it thereon
JP2003330963A (ja) * 2002-03-01 2003-11-21 Inventio Ag エレベータ設備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示の手順、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WO2003088157A1 (en) * 2002-04-08 2003-10-23 Newton Security Inc. Tailgating and reverse entry detection, alarm, recording and prevention using machine vision
MXPA05009996A (es) 2003-03-20 2005-11-17 Inventio Ag Vigilancia de area de elevador mediante sensor tridimensional.
US20040188182A1 (en) * 2003-03-24 2004-09-30 Walters Steve J. NRG magic
US7040458B2 (en) 2003-06-27 2006-05-09 Fujitec America, Inc. Elevator destination protocol control with flexible user interface
US7162233B2 (en) 2004-04-07 2007-01-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all registration system
US7712586B2 (en) * 2004-05-26 2010-05-11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guiding system for a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EP1779326B2 (en) 2004-06-29 2016-08-10 Otis Elevator Company Programmable adaptable touch screen elevator call devices
JP4757465B2 (ja) * 2004-08-20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TW200608259A (en) 2004-08-30 2006-03-01 Chi-Hsiu Hong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able smart elevator management system with personalized service
JPWO2006043324A1 (ja) 2004-10-21 2008-05-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1854754A4 (en) 2005-03-02 2012-05-02 Mitsubishi Electric Corp PICTURE MONITOR FOR ONE ELEVATOR
FI118045B (fi) 2005-08-31 2007-06-15 Kone Corp Menetelmä ja kutsujärjestelmä
WO2007066390A1 (ja) 2005-12-07 2007-06-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US8020672B2 (en) * 2006-01-12 2011-09-20 Otis Elevator Company Video aided system for elevator control
TW200745996A (en) 2006-05-24 2007-12-16 Objectvideo Inc Intelligent imagery-based sensor
FI118639B (fi) 2006-12-08 2008-01-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US7823700B2 (en) * 2007-07-20 2010-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dentification enabled elevator control method and system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JP5094314B2 (ja) * 2007-10-02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KR101775735B1 (ko) * 2008-09-19 2017-09-06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 설비의 호출 입력 장치
JP5393093B2 (ja) * 2008-10-01 2014-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人検知システム
EP2196425A1 (de) 2008-12-11 2010-06-16 Inventio Ag Verfahren zur Benachteiligungsgerechten Benutzung einer Aufzugsanlage
US8487772B1 (en) 2008-12-14 2013-07-16 Brian William Higgin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MY159159A (en) 2009-01-27 2016-12-30 Inventio Ag Method for operating a lift assembly
CN201376824Y (zh) * 2009-03-30 2010-01-06 广景科技有限公司 电梯影像系统
FI121421B (fi) * 2009-07-28 2010-11-15 Marimils Oy Järjestelmä hissien ohja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KR20110028703A (ko)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코어벨 핵심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스마트센서 노드 방범 시스템
FI122222B (fi) * 2009-12-22 2011-10-14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2893225B (zh) 2010-04-08 2016-04-20 陈傑臻 设施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US8662257B2 (en) * 2011-01-18 2014-03-04 Calvin Michael CHASTEEN Elevator cab accessory control device
US20120305340A1 (en) 2011-05-31 2012-12-06 Ming-Yuan Wu Elevator, floor,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010874B (zh) * 2011-09-26 2015-09-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方法及系统
JP2013103795A (ja) * 2011-11-14 2013-05-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空調装置およびその空調制御方法
US9114953B2 (en) * 2011-12-29 2015-08-25 Inventio Ag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s based on an indicated emergency condition
JP5966573B2 (ja) * 2012-05-01 2016-08-1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4122357A1 (en) 2013-02-07 2014-08-14 Kone Corporation Personalization of an elevator service
EP3003943B1 (en) * 2013-06-07 2019-12-25 KONE Corporation A method in allocation of an elevator and an elevator system
EP3020015A4 (en) 2013-07-10 2017-02-08 Visio Medi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n audience in a defined space
WO2015034459A1 (en) * 2013-09-03 2015-03-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 using facial recognition
US9481548B2 (en) 2013-10-09 2016-11-01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ensor-based elevator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0637B1 (ko) 2013-10-28 2015-12-28 주식회사 케이티 엘리베이터 보안 시스템
CN104401823A (zh) 2014-10-30 2015-03-11 合肥指南针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小区电梯的面部识别控制方法及系统
CN106315324B (zh) * 2015-06-16 2020-04-14 奥的斯电梯公司 一种能够监测儿童使用的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6416A1 (en) 2016-12-21
US10513417B2 (en) 2019-12-24
EP3106416B1 (en) 2019-10-30
ES2754750T3 (es) 2020-04-20
US20160368732A1 (en) 2016-12-22
CN106315316A (zh)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478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342355B (zh) 一种智能楼宇电梯调度平台系统及其工作方法
JP6619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自律ロボットの制御方法
US8573366B2 (en) Elevator system to execute anticipator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498802B2 (en) Elevator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elevators responsive to detected passenger states
US20130048436A1 (e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US8230980B2 (en) Method of operating elevators during emergency situations
AU2021200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ly interacting with elevators
US10308477B2 (en) Smart elevator movement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EP2834181B1 (en) Elevator system using dual communication channels
CN106276440A (zh) 电梯远程控制系统及方法
JP2021070578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200083594A (ko) 엘리베이터의 감시 화상 송신 장치
JP201323405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US20210101776A1 (en) Elevator system
US20070158141A1 (en) Conveyor passenger interface system
Yang et al. Design and practice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based on PLC
CN108792854B (zh) 电梯控制系统及方法
KR101890893B1 (ko)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8340A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H0769553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装置
CN115159283B (zh) 一种楼宇垂直电梯等梯信息管理系统
CN116081417A (zh) 一种用于向电梯使用者提供告知信息的信息告知系统
JP2017160001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